KR100476345B1 -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6345B1 KR100476345B1 KR1020030070069A KR20030070069A KR100476345B1 KR 100476345 B1 KR100476345 B1 KR 100476345B1 KR 1020030070069 A KR1020030070069 A KR 1020030070069A KR 20030070069 A KR20030070069 A KR 20030070069A KR 100476345 B1 KR100476345 B1 KR 100476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plate
- shaft
- eccentric cam
- rop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용 로우프를 제동하는 라이닝 판을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캠축(35)에 고정된 편심캠(36)이 회전하여 상사점(top dead center)을 지나는 순간에 격발레버(34)가 캠축의 회전을 저지하여, 비상 제동신호를 대기하게 되고, 비상 제동시에는 액츄에이터(32)가 격발레버를 해제시켜 압축스프링(38)이 복원되면서 이동판이 고정판에 밀착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제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구동기어 또는 피동기어의 내부에 역회전방지 래칫(27a)을 구비함으로써 캠축의 회전력이 모터로 역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캠을 이용한 기계식 작동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로서, 기존의 캠 방식 제동장치에서 압축스프링이 복원되면서 로프를 제동하는 과정에서 캠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하여 모터로 역전달됨으로써 제동시간을 지연시키고, 모터에 무리를 주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고정판 및 가동판의 구조를 단순한 구조로 개량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로 운행할 때 작동되는 운행제동장치와 함께 병행되어 동작하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상태에서 로우프의 슬립(Slip)현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경우 브레이크 라이닝이 설치된 가동판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견인 로우프를 협지하여 록킹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과속을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제동장치로 작동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가 다수 공지되어 있는데, 본원 출원인이 권리자로 되어 있는 특허등록 제0269685호(1999.07.05. 공개)에서는 유압발생부와;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 유압력으로 동작되는 라이닝을 구비한 이동판을 작동시켜 고정판과 함께 엘리베이터 로우프를 제동하고, 가동판의 복귀(로우프 제동의 해제)는 스프링력으로 작동하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로우프 제동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3918호(2001. 2. 15. 공고)에서도 이와 유사한 유압에 의한 해제방식의 제동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제동하는 가동판의 작동 시점부터 제동완료까지의 소요시간이 상대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축압기를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가동판의 작동을 위한 동력원으로 유압발생부 대신, 캠의 원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에 관한 기술도 이미 본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바 있는데, 본원 출원인이 권리자로 되어 있는 특허등록 제0221960호(1998.04.30. 공개)에서는 모터를 이용하여 편심 캠을 회전시키고, 이 캠의 회전 및 스프링에 의하여 가동판을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로우프를 제동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09086호(1998. 1998. 4. 30. 공개)에서도 편심 캠을 이용한 작동방식의 엘리베이터 로우프 제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캠을 이용한 종래의 로우프 제동장치는 모터축(감속기 포함)과 캠축 사이에 클러치와 같은 동력 단속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캠축이 신속하게 회전되어 가동판을 작동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캠축에 직렬 연결된 모터에 의하여 캠축의 신속한 회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200∼300 msec 이내에 가동판이 신속히 작동하여 로우프를 제동해야 하는 기본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물론, 전자클러치 등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으나, 고가의 전자클러치 설치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 뿐만 아니라, 제품 사이즈의 증대로 인한 설치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에 대한 또다른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심캠(36)의 회전 및 압축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판(13)을 작동시켜 로프를 제동하도록 하되, 비상신호 인가시 기동되는 캠축의 회전력이 역으로 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동판을 신속하게 작동되게 하여 제동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기계적 제동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는 기존의 캠 방식의 제동장치에 비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하고, 현장에서 보다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부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는 모터(23) 축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의하여 회전되고 편심캠 축(35)을 구동하는 피동기어(29)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 또는 피동기어의 내부에는 역회전방지 래칫(27b)과 회전자(27a)를 구비하며; 액츄에이터(32)에 의하여 작동되는 격발레버(34)와, 편심 캠축(35)의 일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격발레버의 걸림쇠(34a)에 걸리는 걸림턱(33a)을 구비한 회전판(33)과, 상기 편심캠 축에 구비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가동판을 밀게 되는 편심캠(36)과, 상기 가동판(13)의 이동량에 따라 압축되거나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스프링(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고정판과 가동판의 구조에 있어서는 고정판(12)를 관통하여 구비된 부싱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샤프트(15) 일단에 가동판(12)을 구비하며, 그 반대측 단에는 라이닝(16b)을 구비한 이동판(14)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38)은 상기 고정판(12)과 가동판(13) 사이에서 가이드샤프트(15)에 끼워져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판(12)를 포함하여 대략적으로 H자 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우징(11)과, 가동판(13) 및 이동판(14)이 상기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부싱이 구비되고 이 부싱 내에는 가이드샤프트(1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 가이드샤프트(15)의 양단에는 상기 가동판(13) 및 이동판(14)이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고정판(12)과 가동판(13) 사이의 가이드샤프트(15)에는 압축스프링(38) 끼워져 가동판(13)이 후술하는 편심캠에 의하여 압축되는 경우 압축력을 축적하였다가, 편심캠(36)의 압축력이 해제되는 순간 가동판을 밀쳐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판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의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판(13)의 전면 중앙을 가로지르는 캠축(35)이 양 하우징에 끼워져 구성되며, 이 캠축(35)의 일단에는 피동기어(29)가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는 걸림턱(33a)이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33)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의 걸림턱(33a)에는 액츄에이터(32)에 의하여 작동되는 격발레버(34)의 일단에 구비되는 걸림쇠(34a)가 걸릴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격발레버(34)의 타측 끝단에는 격발레버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32)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33)의 걸림턱(33a)이 형성되는 위치는, 캠축(35)에 고정된 편심캠(36)의 상사점(top dead center) 직후의 위치(즉, 회전판(33)의 걸림턱(33a)은 캠축(35)의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편심캠의 상사점 위치에서 캠축의 회전방향으로 약 0.5 ∼ 10°정도 더 회전된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캠(36)이 상사점을 통과하기 시작하면서 스프링(38)의 복원력이 캠축(35)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 순간(상사점을 통과한 직후)에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를 회전판(33)의 걸림턱(33a)에 걸어야만 캠축(35)의 회전을 최소한의 힘으로 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액츄에이터(32)는 격발레버를 움직이게 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구성하여 플런저의 진퇴운동에 의하여 힌지(P)를 중심으로 격발레버(34)가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정상 작동상태에서는 전자석 작동에 의하여 플런저(32a)가 격발레버(34)를 밀어내도록 하고 비상신호가 인가(전원차단)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의 전자석 작동이 중지되어 내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플런저(32a)가 후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34a)에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턱(33a)과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롤러(34b)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심캠(36)이 가동판(13)을 밀지 않는 상태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동판과 이동판(14)이 전방(모터가 설치된 쪽)으로 이동되므로, 고정판의 라이닝(16a)과 상기 이동판의 라이닝(16b)이 상호 밀착되어 로프를 제동하는 상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가 작동된 상태이다.
비상 제동상태를 해제하여 엘리베이터의 정상적인 운행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터(23)를 구동하여 구동기어(27) 및 피동기어(29)를 거쳐 캠축(36)을 회전시킨다.
이 때, 모터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고, 래칫(27b)이 구동기어(27)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본 발명에 의한 역회전방지 래칫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에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모터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회전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데, 만약 래칫이 피동기어(29)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래칫의 단턱은 위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모터의 회전력은 감속기를 거친 저속의 큰 회전력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래칫을 통하여 구동기어(27)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회전은 피동기어(29) 및 캠축(3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편심캠(36)이 회전하면, 편심캠(35)의 돌출된 굴곡면은 점차 가동판(13)을 밀쳐 스프링(38)을 압축하게 되고, 가동판(13)은 스프링(38)을 압축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이동판(14)도 가이드샤프트(15)에 의하여 상기 가동판(13)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판(14)도 후방으로 이동되어, 로프를 제동하고 있던 라이닝(16a)(16b)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엘리베이터는 정상적인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 동안 액츄에이터(32)는 플런저(32a)를 밀치고 있으므로,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 선단에 구비된 롤러(34b)는 회전판(33)의 원주면에 밀착되어 원주면을 따라 미끄럼운동을 하게 된다.
모터가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동판(13)에 접촉하는 편심캠(36)은 그 곡면의 상사점에 다다르게 되고, 이 상사점을 넘어서게 되면 캠축(35)은 상기 압축된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모멘트를 받기 시작하여, 모터의 구동과 관계없이 계속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순간에 모터는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회전을 정지하며, 모터의 정지에도 불구하고 캠축이 계속 회전하게 되는 순간에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가 캠축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판(33)의 걸림턱(33a)에 걸리게 된다. 도 2a에는 이러한 상태에서의 로프 제동장치를 평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3a는 편심캠(36)이 상사점에 도달한 직후 편심캠축(36)의 회전판(33)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가 회전판(33)의 걸림턱(33a)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3b는 편심캠의 상사점 위치와 회전판의 걸림턱의 위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의 걸림턱(33a)은 편심캠(36)의 상사점을 통과한 직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판(13)에 접하는 편심캠(36)이 상사점을 통과하는 순간 회전판(33)의 원주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운동을 하던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는 걸림턱(33a)에 걸리게 됨으로써, 캠축(35)의 회전을 억제(압축스프링(38)의 복원력을 제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캠(36)의 위치 또는 캠축(35)의 위치에 대한 신호(즉, 편심캠의 상사점 직후임을 인식하는 신호)는 캠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획득된다.
상기 설명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는 정상적인 운행상태로 완전 복귀되며, 비상 작동을 위한 신호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회전판(33)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기 걸림쇠(34a)는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부수적으로 캠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판(33)의 직경을 크게함으로써 걸림쇠(34a) 및 걸림턱(33a)에 인가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복귀과정에서, 만약 편심캠(36)이 상사점을 지나는 순간에 상기 격발레버(34)가 회전판(33)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못한다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캠축을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이 모터의 회전을 견인(편심캠(36)이 상사점을 지나는 순간, 캠축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입력으로 모터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임)하게 될 것이며, 가동판(13)과 이동판(14)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두 라이닝(16a)(16b)은 로프를 다시 제동하게 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판의 걸림턱(33a)의 형성위치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격발레버(34)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32) 또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또한, 편심캠(36)이 상사점을 지나는 순간에, 압축된 스프링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편심캠(36)은 상사점 직후에 곡률반경이 급격하게 적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쇠(34a)의 롤러(34b)와 마찬가지로, 편심캠에 접촉되는 가동판의 마찰면에도 편심캠(36)과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접촉되는 면에 롤러(37)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비상 신호가 인가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콘트롤러로부터 비상 제동신호를 인가받게 되면(전원이 끊어지게 되면), 액츄에이터(32)는 힌지점(P)을 중심으로 격발레버(34)를 회동시켜 걸림쇠(34a)를 회전판(33)의 걸림턱(33a)으로부터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쇠(34a)가 해제되면, 회전판(33)과 일체로 구성된 캠축(35)은 상기 압축된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가동판(13) 및 이동판(14)이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판(12)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두 라이닝(16a)(16b)은 서로 밀착되면서 로프를 신속하게 제동하게 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제동장치가 작동되어 로프를 제동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두 라이닝(16a)(16b)이 밀착되는 속도, 다시 말해 이동판(14)이 고정판(12)으로 이동되는 속도 및 밀착력은 가이드 샤프트(15)에 끼워진 압축 스프링(38)의 압축력과 편심캠(36)의 기울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값을 조절함으로써 라이닝의 제동력 조절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압축스프링(38a)를 가동판(13)과 고정판(12)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가이드샤프트(15)에 끼워진 스프링(38)의 압축력을 보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종래의 기술과 대비되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역회전방지 래칫(27b)을 구동기어(27) 내에 구비함으로써, 제동시 캠축의 회전력이 모터로 전가되지 않도록 하여 가동판(13)의 이동속도(즉, 라이닝(16a)(16b)이 서로 밀착되는 시간)을 최소화되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에서 캠축(3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피동기어(29)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구동기어(2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래칫(27b)으로 인하여 구동기어(27)의 회전력은 모터축에 일체로 구성된 회전자(27a)로 전달되지 않고 구동기어(27)만 겉돌게 되어 모터축으로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하여, 편심캠을 이용한 종래의 로프 제동장치(특허등록 제0221960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09086호)에서는, 복원스프링에 의하여 편심캠축에 작용하는 회전모멘트로 캠축이 회전하게 될 때 그 회전력이 모터로 역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로프 제동을 저해하는 장해요소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격발레버(34)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격발레버(34)를 절곡하여 구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격발레버(34)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직선 레버형으로 구성되어 가운데 힌지점(P)을 중심으로 솔레노이드 동작에 의하여 걸림쇠(34a)를 움직이게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실용성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12), 가동판(13) 및 이동판(14)을 구성함에 있어서, 로프 제동의 신속성 및 견고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현장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5)에 걸린 로프(3) 중 엘리베이터 카(CAR)(1)가 설치된 로프측 또는 균형추(7)가 설치되는 로프측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A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A'는 종래 로프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로프제동장치(A')는 권상풀리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로프 제동장치(특허등록 제0221960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09086호)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51)의 전방에 캠 및 캠축이 위치하고, 고정판의 후방에 가동판(52)이 구비된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판의 후방으로 압축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격판(56)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어 고정판(51)과 가동판(52) 사이의 라이닝 내로 로프를 삽입하기 위하서는 격판(56)을 분리하고, 스프링을 제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가동판(52)를 제거해야 하는 등 많은 부품의 분해가 불가피한 구조로서, 상기 가동판(52)에는 고정판(51) 전방의 캠과 연동되는 작동봉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작동봉까지 분해하여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를 제동하는 라이닝이 하우징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풀리(5)와 간섭을 일으키에 되어 설치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로로 고정되는 고정판(12)를 포함하여 대략적으로 H자 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우징(11)과, 가동판(13) 및 이동판(14)이 상기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부싱이 구비되고 이 부싱 내에는 가이드샤프트(1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하였으며, 이 가이드샤프트(15)의 양단에는 상기 가동판(13) 및 이동판(14)이 볼트로 체결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라이닝의 위치를 최대한 하우징의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로프 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 로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동판(14)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풀어 이동판(14)만을 분리하여 로프를 끼운 후 다시 이동판(14)을 체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상풀리(5)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현장 설치작업의 실용성을 극대화하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캠을 이용한 기계식 작동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로서, 기존의 캠 방식 제동장치에서 압축스프링이 복원되면서 로프를 제동하는 과정에서 캠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하여 모터로 역전달됨으로써 제동시간을 지연시키고, 모터에 무리를 주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고정판 및 가동판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로 유지 및 보수도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편심캠과 회전판 및 걸림쇠의 상호관계를 설명한 개념도
도 4는 회전판 및 걸림쇠의 관계를 설명한 개념도
도 5는 역회전방지를 위한 기어 내부의 래칫의 구성도
도 6은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캠 방식 로프 제동장치의 록킹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우징 12: 고정판
13: 가동판 14: 이동판
15: 가이드샤프트 16a,16b: 라이닝
23: 모터 23a: 감속기
27: 구동기어 29: 피동기어
32: 액츄에이터 33: 회전판
33a: 걸림턱 34: 격발레버
34a: 걸림쇠 35: 캠축
36: 편심캠 38: 스프링
Claims (4)
- 하우징 내의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로우프를 제동 또는 해제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과 가동판으로 이루어진 록킹부를 포함하여;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로프를 제동하도록 엘리베이터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23)와, 감속기(23a)를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의하여 회전되고 편심캠축(35)을 구동하는 피동기어(29)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의 내부에는 역회전방지 래칫(27b)과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자(27a)를 구비하되, 상기 래칫(27b)은 캠축에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모터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회전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상기 작동부는, 액츄에이터(32)에 의하여 작동되는 격발레버(34)와, 편심캠축(35)의 일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격발레버의 걸림쇠(34a)에 걸리는 걸림턱(33a)을 구비한 회전판(33)과, 상기 편심캠 축에 구비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가동판을 밀게 되는 편심캠(36)과, 상기 가동판(13)의 이동량에 따라 압축되거나 복원력을 발생하는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지되,상기 걸림턱(33a)은 편심캠(36)의 상사점에서 캠축(35)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약 0.5∼ 10°정도 더 지난 위치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동판(13)은 고정판(12)를 관통하여 구비된 부싱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샤프트(15) 일단에 구비되며, 그 반대측 단에는 라이닝(16b)을 구비한 이동판(14)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38)은 상기 고정판(12)과 가동판(13) 사이에서 가이드샤프트(15)에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에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턱(33a)과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롤러(34b)가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가동판(13)은 편심캠(36)과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접촉되는 면에 롤러(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0069A KR100476345B1 (ko) | 2003-10-08 | 2003-10-08 |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0069A KR100476345B1 (ko) | 2003-10-08 | 2003-10-08 |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76345B1 true KR100476345B1 (ko) | 2005-03-23 |
Family
ID=3738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0069A KR100476345B1 (ko) | 2003-10-08 | 2003-10-08 |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634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86311A (zh) * | 2020-11-27 | 2021-01-29 | 宜春学院 | 一种具有防震缓冲机构的计算机机箱 |
KR102213450B1 (ko) * | 2019-12-19 | 2021-02-08 | 곽호영 |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
-
2003
- 2003-10-08 KR KR1020030070069A patent/KR1004763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3450B1 (ko) * | 2019-12-19 | 2021-02-08 | 곽호영 |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
CN112286311A (zh) * | 2020-11-27 | 2021-01-29 | 宜春学院 | 一种具有防震缓冲机构的计算机机箱 |
CN112286311B (zh) * | 2020-11-27 | 2024-02-06 | 宜春学院 | 一种具有防震缓冲机构的计算机机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90565A (en) | Elevator emergency escape device | |
KR101227710B1 (ko) | 순차적 안전기어 | |
RU2495290C2 (ru) | Тормоз кабины лифта с колодками, приводимыми в действие пружинами, соединенными с зубчатым приводом | |
EP3670414B1 (en) | An elevator safety gear trigger and reset system | |
US8256579B2 (en) | Elevator car brake | |
US20110272223A1 (en) | Velocity limiter for an elevator | |
KR100476345B1 (ko) |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JP2008213828A (ja) | 安全ベルトシステム用のベルトリトラクター | |
KR100501976B1 (ko) | 정ㆍ역회전하는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CN203781566U (zh) | 电梯防溜车装置 | |
KR100609836B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CN111498641A (zh) | 轿厢的驻车装置 | |
JP2000219464A (ja) | エレベータ電磁ブレーキの開放装置 | |
WO2006078081A1 (en) | Rope brake system of elevator by using cam | |
KR100388156B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KR20050082940A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CN107134735A (zh) | 一种开关柜及开关柜手车与活门传动机构 | |
AU2020401242B2 (en) | Brake device, e.g. with a wedge-shaped brake element, for braking a travelling body that can be moved in a guided manner along a guide rail in a movement direction | |
CN103818798A (zh) | 电梯防溜车方法及防溜车装置 | |
EP4201866A1 (en) | A mechanical winch with a mechanical switch for terminating winding of a rope on the winch drum | |
EP3842201B1 (en) | A log splitter with a mechanical winch and operation method | |
CN211971428U (zh) | 一种电梯限速器的复位装置 | |
KR100973899B1 (ko) | 크레인 주행중의 비상 급제동장치 | |
KR200225167Y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JPS6014940B2 (ja) | 小形電動巻上機等の滑りクラツ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