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65108B1 -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108B1
KR100465108B1 KR10-2001-0049073A KR20010049073A KR100465108B1 KR 100465108 B1 KR100465108 B1 KR 100465108B1 KR 20010049073 A KR20010049073 A KR 20010049073A KR 100465108 B1 KR100465108 B1 KR 10046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upled
shaft
driv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030A (ko
Inventor
한정수
Original Assignee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108B1/ko
Priority to DE10297093T priority patent/DE10297093T5/de
Priority to PCT/KR2002/001097 priority patent/WO2003015687A1/en
Priority to US10/486,235 priority patent/US20040243028A1/en
Publication of KR2003001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59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moved by trans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을 구비한 구동프레임(10)과, 상기 구동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동축을 가진 조정프레임(14)와, 상기 이동블록 및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며 골절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지지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블록에 힌지결합되는 전방링크부(50)과, 상기 회동축에 고정결합되는 후방링크부(52)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며, 상기 후방링크부(52)는, 상기 전방링크부에 힌지결합된 후방주링크(54)와,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주링크와 슬라이딩하여 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는 후방길이조절링크(78)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프레임에는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2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골절 환자의 다리길이에 따라 후방링크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회복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apparatus for a recovering exercise for bone-fracture patient}
본 발명은 골절 환자가 골절부의 회복운동을 할 시에 사용되는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다리를 사용하여 이동하므로, 인체의 대퇴골 및 경골, 비골 등의 다리뼈는 골절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골절이 되면 석고나 고정장치등으로 고정하여 골유합이 될 때까지 장기간 골절된 뼈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골유합이 되어 석고나 고정장치를 떼어 내더라도 바로 운동을 하기는 힘들며, 장기간 다리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운동을 하게 되면 골절부위나 관절부위에 이상이 생기게 되므로, 서서히 운동을 하면서 정상상태로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골절 환자로 하여금 일정한 기간동안 다리 운동을 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회복운동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 회복운동장치는 간단한 지지프레임에 다리를 올려 놓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무릎을 굽히고 펴는 운동을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종래 회복운동장치는 골절 환자에 따라 다리 길이가 상이하므로 골절 환자가 편안하게 회복운동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절 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어 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의 링크 구조가 간단하고 무릎이 구부려지는 정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골절환자의 회복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구동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4은 도1에서 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고정브라켓의 방향을 바꾸어 결합한 상태),
도5은 도4에서 B부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도4에서 C부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도4에서 D부의 분해 사시도,
도8는 도4의 후방링크부의 후방주링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은 도4의 전방링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는 도1에서 조정프레임(커버를 제거한 상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1는 도10의 정면도,
도12은 도11의 구동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3은 도11에서 화살표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프레임 12 : 지지프레임
14 : 조정프레임 16 : 제어부
24, 125 : 모터 26 : 이동블록
50 : 전방링크부 52 : 후방링크부
54 : 전방주링크 56 : 고정브라켓
58 : 발안치대 59 : 전방길이조절링크
76 : 후방주링크 78 : 후방길이조절링크
80 : 보조링크 82 : 연결링크
84 : 전동나사부재 100 : 회전센서
116 : 베이스판 118 : 회동축
120 : 구동수단 122 : 구동축
128 : : 지지브라켓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을 구비한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동축을 가진 조정프레임과, 상기 이동블록 및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며 골절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블록에 힌지결합되는 전방링크부와, 상기 회동축에 고정결합되는 후방링크부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며, 상기 후방링크부는, 상기 전방링크부에 힌지결합된 후방주링크와,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주링크와 슬라이딩하여 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는 후방길이조절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프레임에는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링크부는, 전방주링크와, 사용자의 발의 안치하는 발 안치대와, 상기 발 안치대가 고정되는 ㄷ자형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전방주링크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되어 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는 전방길이조절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전방길이조절링크에 대해 방향을 바꾸어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노브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는 사변형을 유지하며 오무려지고 펴지는 사절링크를 이루어 결합되며, 상기 사절링크의 적어도 한 힌지점에는 링크가 오무려지고 펴지는 정도를 감지하는 회전센서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센서는, 일측링크에 고정된 몸체부와, 타측링크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주링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후방주링크와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전동나사부재와, 상기 회동축과 독립적으로 회전가능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됨과 동시에 전동기어에 의해 상기 전동나사부재와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전동기어를 매개로 연결축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에 상기 전동나사부재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을 구비한 구동프레임(10)과, 상기 구동프레임(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동축을 가진 조정프레임(14)과, 상기 이동블록 및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며 골절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지지프레임(12)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구동프레임(1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모터를 덮는 한편 회복운동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6)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프레임(10)은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케이스(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부재(22)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부재를 구동하는 모터(24)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도록 이동블록(26)이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케이스(20)는, 반원통형으로 된 한쌍의 긴 레일부(28a)(28a)가 일단부에서 이어지는 형상의 측부재(28)를 구비하고, 이 측부재(28)의 트인 타단부에 마무리부재(30)가 고정되며, 상기 측부재의 상측 및 하측은 상, 하커버부재(32)(34)에 의해 각각 덮어져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상커버부재(32)에는 상기이동블록(26)의 후술하는 플랜지가 통과하는 슬롯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하커버부재(34)는 상기 측부재(28)와 일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도2는 상기 상커버부재(32)가 제거된 상태이다.
상기 이송부재(22)는 볼 스크류나 리이드 스크류 등으로 되어 있고, 그 양단은 상기 케이스(20)에 베어링을 매개로 끼워진다. 상기 이송부재(22)는 상기 모터(24)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24)는 스테핑 모터나 서보모터등으로 되어 있으며, 이 모터(24)는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이송부재(22)의 양측에는 이 이송부재에 평행하게 가이드봉(36)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봉(36)의 양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블록(26)은, 상기 이송부재(22)에 외삽되는 전동나사를 가진 너트나 볼 너트등의 전동너트(38)가 삽입된 몸체를 가진 블록으로서, 그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봉(36)이 삽입되는 부시(40)가 삽입된 구멍이 형성되며, 그 폭방향 외측면에는 이동블록의 자중을 받치며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측부재(28)의 내측면에 구름운동하는 로울러(42)(42')가 결합되며, 그 상측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후술하는 전방링크부에 힌지결합되는 플랜지(44)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44)는 베이스부(46)를 매개로 상기 이동블록의 몸체에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44)는 이동블록의 몸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링크부(50)가 상기 이동블록(26)에 힌지결합되고, 후방링크부(52)가 후술하는 회동축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전방링크부(50)와 후방링크부(52)는 사변형을 유지하며 오무려지고 펴지는 사절링크를 이루어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록(26)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는 구조이다.
상기 전방링크부(50)는 도4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갈래로 벌어진 전방주링크(54)(54)사이에 ㄷ자형의 고정브라켓(5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6)의 웨브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발안치대(58)가 고정되며, 상기 전방주링크(54)(54)에는 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전방길이조절링크(59)가 내삽되어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전방주링크(54)는 한쌍의 상파이프부(54a)(54a)와, 상기 한쌍의 상파이프부(54a)(54a)에 일단에서 하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이어진 연장파이프부(5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파이프부(54b)의 중간, 즉 최하부에는 플랜지(61a)가 달린 힌지브라켓(6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61)에 상기 이동블록(26)의 플랜지(44)가 끼워져 힌지축(도시안됨)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된다.
상기 상파이프부(54a)(54a)의 우측부에는, 상기 전방길이조절링크(59)가 이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노브(60)가 결합된 한편.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는 벨트(도1에서 B)를 고정하는 벨트 고정구(62)(62)가 설치된다. 상기 상파이프부(54a)(54a)의 좌측중간부에는 상기 후방링크부(52)의 후술하는 후방주링크에 힌지결합되도록 플랜지(54c)가 형성되고, 상기 상파이프부(54a)(54a)의 좌측단부에는 상기 후방링크부(52)의 후술하는 보조링크에 힌지결합되도록 원통플랜지(54d)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6)는 그네의 판형태로서, 상기 전방길이조절링크(59)에 대해 방향을 바꾸어 조립될 수 있도록 그 플랜지부(56a)가 매개부재(64)를 매개로 고정노브(6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6)의 웨브부(56b)에는 상기 발안치대(58)의 베이스판부가 고정노브(6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발안치대(58)는 베이스판부(58a)의 상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높이로 테두리부(58b)가 형성된 보트형태이다. 상기 테두리부(58b)의 하측부는 상측부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고정구(62)는 두개의 반원통형의 캡(70)(72)이 상기 상파이프부(54a)를 감싸면서 맞추어 볼트로 결합한 구조로서, 그 일측 캡(72)에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외측으로 플랜지(72a)(72a)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72a)(72a) 사이에 두개의 로울러(74)(74)가 인접되게 끼워진 구조이며, 상기 두개의 로울러(74)(74)사이로 벨트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후방링크부(52)는 도4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주링크(54)의 플랜지(54c)에 힌지결합되는 후방주링크(76)와, 상기 조정프레임(14)의 후술하는 회동축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주링크(76)에 내삽되어 상기 후방주링크와 슬라이딩하여 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는 후방길이조절링크(78)와, 상기 전방주링크(54)의 원통플랜지(54d)에 힌지결합되는 보조링크(80)와, 상기 보조링크(80)의 하단과 상기 후방주링크(76)의 중간부를 연결하면서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82)로 이루어 진다. 상기 후방링크부(52)는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쌍이다.
상기 후방주링크(76)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파이프부(76a)와 내측파이프부(76b) 사이에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78)가 삽입되는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파이프부(76a)의 외주면에는 그 일단부에 제1돌출부(76c)가 형성되는 한편 그 중간부에 제2돌출부(76d)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파이프부(76b)의 단부 내측은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암나사(76e)가 형성되어, 이 암나사에는 후술하는 구동수단의 전동나사부재(84)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돌출부(76c)는 와셔(85) 및 힌지축(86)에 의해 상기 플랜지(54c)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돌출부(76d)는 와셔(87) 및 힌지축(88)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82)의 일단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78)는 상기 후방주링크(76)의 외측파이프부(76a) 및 내측파이프부(76b) 사이 간격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파이프(90)와, 상기 파이프(90)의 노출측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전동나사부재(84)와 베어링(92)을 매개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정프레임(14)의 후술하는 회동축에 나사결합되는 소켓(94)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보조링크(8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그 상측단부에는 상기 전방주링크(54)의 원통플랜지(54d)에 맞추어져 결합되는 원통플랜지(80a)가 형성되고, 그 하측단부 외면에는 돌출부(80b)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돌출부(80b)는 와셔(96) 및 힌지축(98)에 의해 연결링크(82)의 타단과 결합된다.
상기 연결링크(82)는 띠판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링크(80)와 상기 후방주링크(76)의 어긋남을 맞추도록 절곡되어 단차를 이루고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링크(80)의 원통플랜지(80a)의 일측면(도면에서 뒷측)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중심에 구멍(80c)이 형성된 돌출축(80b)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주링크(54)의 원통플랜지(54d)의 일측면(도면에서앞측)에는 수용공간(54e)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축(80b)이 끼워지는 구멍(54f)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플랜지(80a)(54d)에는 회전센서(100)가 설치되어 상기 전방주링크(54)와 상기 보조링크(8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센서(100)는, 상기 원통플랜지(80a)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100a)와, 상기 구멍(80c)를 통하여 끼워져 상기 원통플랜지(54d)의 수용공간(54e)에서 고정되는 축부(100b)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100b)는 상기 몸체부(100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구멍(54f)에 끼워지는 돌출축(80b)에는 와셔(102) 및 링(104)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센서의 축부(100b)는 로킹부재(106) 및 핀(10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돌출축(80b)에는 간격유지링(110)이 끼워진다. 상기 원통플랜지(80a)(54d)의 수용공간은 캡(112)(114)에 의해 막혀져 있다.
상기 회전센서(10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C)에 의해 제어부(16)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조정프레임(14)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6)의 상측면에는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78)의 소켓(94)이 고정되는 회동축(118)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78)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20)이 결합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커버(도1에 도시)가 덮어져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6)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구동프레임(10)이 고정되도록 고정판(122)이 세워져 용접되고, 상기 고정판(122)은 보강리브(124)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116)은, 상기 고정판(122)이 형성된 부분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116a)를 이루고, 상기 고정판(122)이 형성된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6b)를 이룬 형상이다. 상기 연장부(116b)에는 상기 구동수단(120) 및 회동축(118)이 결합된다.
상기 구동수단(120)은,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78)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주링크(7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후방주링크(76)와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상기 전동나사부재(84)(도8에 도시)와, 상기 회동축(118)과 독립적으로 회전가능케 상기 회동축(118)의 내측에 결합된 구동축(122)과, 상기 구동축(122)를 회전시키는 모터(125)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축(122)은 상기 연장부(116b)의 하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축(122)의 좌우측 외주면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126)을 매개로 상기 회동축(118)이 결합된다. 도12는 상기 구동축(122)과 회동축(118)이 결합된 일측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구동축(122)의 양단 및 중간부에는 베벨기어(127)(129)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118)은 상기 연장부(116b)의 하부 양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28)(128)에 베어링(130)(130)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118)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베벨기어(전동기어)가 내장되는 기어박스부(118a)를 이루고, 회동축(118)의 타단부는 상기 베어링(130)(130)이 결합되는 축부(118b)를 이룬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부(118a)의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에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78)의 소켓(94)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상기 기어박스부(118a)의 내부에는 베어링(132)(132)을 매개로 연결축(134)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축(134)의 상단에는 홈(134a)이 형성되고 이 홈(134a)에는 상기 전동나사부재(84)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134)에는 상기 베벨기어(127)에 물리는 베벨기어(136)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축(134)은 상기 전동나사부재(84)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122)은 회동축(118)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28)의 일측부(구동축의 중심부에 가까운 쪽)는 베어링(132)을 매개로 구동축(122)을 지지한다.
상기 모터(125)는 상기 베이스판의 연장부(116b)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연장부(116b)의 하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된 지지부(138)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125)의 모터축에는 상기 베벨기어(129)에 물리는 베벨기어(14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서, 사용자는 벨트(B)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대(도시안됨, 선택적으로 설치됨)에 회복운동을 하고자 하는 다리를 걸쳐, 발을 발안치대(58)의 수용부에 놓게 되는데, 도1의 제어부(16)을 조작함에 의해, 운동량, 이동블록(26)의 이동거리 등을 세팅하고 모터(24)를 구동하면, 이송부재(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블록(26)이 이동하고, 이 이동블록(26)의 운동은 전방링크부(50)를 구동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전방링크부의 전방주링크(54)가 이동함에 따라 이 전방주링크(54)에 사절링크식을 결합된 후방링크부(52)가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후방링크부의 후방주링크(76)는 지지브라켓(128)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회동축(118)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전방링크부(50)와 후방링크부(52)는 꺽여지고 펴지게 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오무리고 펴면서 회복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방주링크(54)와 보조링크(80)의 힌지점에 결합된 회전센서(100)에 의해 꺽여지고 펴지는 정도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6)에 전달되어 제어된다.
한편, 사용자마다 무릎이하(장딴지부등)의 다리길이(장딴지부등)가 상이하므로, 노브(60)를 풀고 전방길이조절링크(59)를 빼내고 끼우는 정도를 조절하는 한편, 도1 및 도4에 서로 상이하게 결합된 바와 같이 고정노브(66)를 풀고 고정브라켓(56)를 서로 다른방향으로 끼워 이 고정브라켓(56)의 웨브부(56b) 내측 또는 외측에 발안치대(58)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사용한다.
그리고, 구동수단(120)을 구동하여 후방링크길이조절링크(78)를 후방주링크(76)에 삽입하고 빼내는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무릎이상(허벅지부)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회복운동장치를 사용할 있게 한다. 이경우, 모터(125)를 구동하면, 베벨기어(140)(129)를 통해 구동축(122)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122)의 회전력은 베벨기어(127)(136)를 통해 연결축(134)에 전달되며, 상기 연결축(134)에 고정된 전동나사부재(84)가 회전되는데, 상기 전동나사부재(84)는 상기 후방주링크의 내측파이프부(76b)의 암나사(76e)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전동나사부재(84)가 회전하면 후방주링크(76)는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전동나사부재(84)에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된 후방길이조절링크(78)가 후방주링크(76)에 대해 미끄러져서 길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 의하면, 골절 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어 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의 링크 구조가 간단하고 무릎이 구부려지는 정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모터의 구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을 구비한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동축을 가진 조정프레임과, 상기 이동블록 및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며 골절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블록에 힌지결합되는 전방링크부와, 상기 회동축에 고정결합되는 후방링크부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며,
    상기 후방링크부는, 상기 전방링크부에 힌지결합된 후방주링크와,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주링크와 슬라이딩하여 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는 후방길이조절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프레임에는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는 사변형을 유지하며 오무려지고 펴지는 사절링크를 이루어 결합되며,
    상기 사절링크의 적어도 한 힌지점에는 링크가 오무려지고 펴지는 정도를 감지하는 회전센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부는,
    전방주링크와, 사용자의 발의 안치하는 발 안치대와, 상기 발 안치대가 고정되는 ㄷ자형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전방주링크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되어 전방링크부의 길이를 가변하는 전방길이조절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전방길이조절링크에 대해 방향을 바꾸어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노브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는,
    일측링크에 고정된 몸체부와, 타측링크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주링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후방주링크와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전동나사부재와,
    상기 회동축과 독립적으로 회전가능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됨과 동시에 전동기어에 의해 상기 전동나사부재와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전동기어를 매개로 연결축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에는 상기 전동나사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을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10-2001-0049073A 2001-08-14 2001-08-14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73A KR100465108B1 (ko) 2001-08-14 2001-08-14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DE10297093T DE10297093T5 (de) 2001-08-14 2002-06-11 Gerät für eine Wiederherstellungsübung bei Knochenbruchpatienten
PCT/KR2002/001097 WO2003015687A1 (en) 2001-08-14 2002-06-11 Apparatus for a recovering exercise for bone-fracture patient
US10/486,235 US20040243028A1 (en) 2001-08-14 2002-06-11 Apparatus for a recovering exercise for bone-fracture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73A KR100465108B1 (ko) 2001-08-14 2001-08-14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30A KR20030015030A (ko) 2003-02-20
KR100465108B1 true KR100465108B1 (ko) 2005-01-05

Family

ID=1971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5108B1 (ko) 2001-08-14 2001-08-14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43028A1 (ko)
KR (1) KR100465108B1 (ko)
DE (1) DE10297093T5 (ko)
WO (1) WO20030156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28B1 (ko) 2009-12-08 2011-08-29 (주)케어테크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102062388B1 (ko) 2018-12-11 2020-01-03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목관절 재활운동 장치
KR20210112063A (ko) 2020-03-04 2021-09-14 (주)케어테크 발목관절 재활운동 장치
KR20230145636A (ko) 2022-04-08 2023-10-18 김기숙 재활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7410A1 (en) * 2005-07-29 2007-02-01 Cost Jay A Continuous passive and active motion machine for the ankle
US7481751B1 (en) * 2007-05-08 2009-01-27 Floyd Arnold Ankle/leg therapy device
US9510989B2 (en) * 2010-03-22 2016-12-06 Kinex Connect, Llc Orthopedic stretcher
CN107233191B (zh) * 2017-07-10 2020-03-20 台州中知英健机械自动化有限公司 一种辅助脚裸康复训练用装置
CN107496134B (zh) * 2017-07-10 2020-03-27 台州中知英健机械自动化有限公司 一种辅助下肢康复训练用装置
CN113662804B (zh) * 2021-08-16 2024-04-19 河北耀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位置可任意调节的通用医疗牵引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001A (en) * 1979-02-23 1980-10-21 Roman Michael P Therapeutic exercise device
US4549534A (en) * 1983-01-13 1985-10-29 Zagorski Joseph B Leg exercise device
US4566440A (en) * 1984-02-09 1986-01-28 Empi, Inc. Orthosis for leg movement with virtual hip pivot
US4621620A (en) * 1984-04-16 1986-11-11 Gene Anderson Human limb manipulation device
US4834073A (en) * 1987-02-20 1989-05-30 Medical Technology, Inc. Passive motion exerciser
JPH0548928U (ja) * 1991-07-12 1993-06-29 株式会社飯倉総合研究所 足筋力回復用訓練装置
KR200188040Y1 (ko) * 2000-01-25 2000-07-15 임동권 물리운동구의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8871A (ja) * 1983-09-27 1985-04-19 ジ−オ−技研株式会社 ペダル回転式健康運動器具
US5280783A (en) * 1992-09-29 1994-01-25 Sutter Corporatio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full extension of leg
JPH0658937U (ja) * 1993-02-03 1994-08-16 傑 井口 膝関節運動装置
JPH06225912A (ja) * 1993-02-03 1994-08-16 Takashi Iguchi 下肢関節運動装置
US5399147A (en) * 1993-03-11 1995-03-21 Jace Systems,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braced limb
FR2759901B1 (fr) * 1997-02-27 1999-07-09 Smith & Nephew Kinetec Sa Dispositif pour produire un deplacement passif continu
JPH11192273A (ja) * 1997-12-26 1999-07-21 Mizuho Ika Kogyo Kk 運動機能の回復促進装置
US6267735B1 (en) * 1999-11-09 2001-07-31 Chattanooga Group,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having a comfort zone feature
JP2001321410A (ja) * 2000-05-18 2001-11-20 Yaskawa Electric Corp 下肢リハビリ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001A (en) * 1979-02-23 1980-10-21 Roman Michael P Therapeutic exercise device
US4549534A (en) * 1983-01-13 1985-10-29 Zagorski Joseph B Leg exercise device
US4566440A (en) * 1984-02-09 1986-01-28 Empi, Inc. Orthosis for leg movement with virtual hip pivot
US4621620A (en) * 1984-04-16 1986-11-11 Gene Anderson Human limb manipulation device
US4834073A (en) * 1987-02-20 1989-05-30 Medical Technology, Inc. Passive motion exerciser
JPH0548928U (ja) * 1991-07-12 1993-06-29 株式会社飯倉総合研究所 足筋力回復用訓練装置
KR200188040Y1 (ko) * 2000-01-25 2000-07-15 임동권 물리운동구의 구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28B1 (ko) 2009-12-08 2011-08-29 (주)케어테크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102062388B1 (ko) 2018-12-11 2020-01-03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목관절 재활운동 장치
KR20210112063A (ko) 2020-03-04 2021-09-14 (주)케어테크 발목관절 재활운동 장치
KR20230145636A (ko) 2022-04-08 2023-10-18 김기숙 재활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97093T5 (de) 2004-07-29
US20040243028A1 (en) 2004-12-02
KR20030015030A (ko) 2003-02-20
WO2003015687A1 (en) 200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828B1 (ko)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100465108B1 (ko)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KR100814744B1 (ko) 무릎관절용 재활운동기구의 각도조절장치
EP0461117B1 (en) Apparatus for imparting continuous passive motion to a lower limb
EP1793789B1 (en) Medical bed with an exercising means
KR100942968B1 (ko)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US4834073A (en) Passive motion exerciser
US200900933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Joint Rehabilitation
KR100580971B1 (ko)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
US20080051682A1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toe
JP2003526470A (ja) 回内/回外・屈曲両用治療運動装置
JP2003319958A (ja) 整復装置
US7357768B2 (en) Recliner exerciser
US7112167B2 (en) Exercise apparatus
JPH0620478B2 (ja) 下肢機能訓練装置
US7481785B2 (en) Articulated joint for knee brace
EP2740457A2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CN209884684U (zh) 下肢关节康复训练器
SU14439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работки суставов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US4947831A (en) CPM leg exercising machine
RU20007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работки контрактур
KR100544567B1 (ko) 골절 환자 회복용 운동장치
JPH09253145A (ja) 歩行補助装具
KR100626299B1 (ko) 골절 환자 회복용 운동장치
CN221130332U (zh) 便于控制的驱动结构及用于深静脉血栓预防的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