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01515B1 -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515B1
KR100301515B1 KR1019990027744A KR19990027744A KR100301515B1 KR 100301515 B1 KR100301515 B1 KR 100301515B1 KR 1019990027744 A KR1019990027744 A KR 1019990027744A KR 19990027744 A KR19990027744 A KR 19990027744A KR 100301515 B1 KR100301515 B1 KR 10030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d
demux
signal
psi
aud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393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5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5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5Regeneration of digital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방송 신호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 채널만이 녹화가 되더라도 PSI나 PSIP정보는 가공없이 저장하게 되는데, 이 테이블을 가공하려면 복호화, 부호화를 다시 한 번 거쳐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호기에서 부호기를 내장하여야 함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생을 원하는 채널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오디오, 비디오 정보에 대한 PID를 선택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관계가 없는 PID를 선택하였을 경우 화면에 원하지 않는 영상이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DVCR을 비롯한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저장한 후 PSI나 PSIP 테이블의 정보를 변형하기 힘든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속하고 사용자의 불편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DVCR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재생하는 모든 기기에 응용 가능하게 되어 수신기와 저장 매체간의 어떠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EEE1394, QAM 변조방식, VSB 변조방식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CHANNEL SELECTING METHOD AT THE DIGITAL TELEVISION SIGNAL REPRODUCE}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티브이 신호를 녹화하여 재생할 경우 사용자가 녹화시 원했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994년 엠펙(MPEG : Motion Picture Expert Group)2가 국제적으로 표준이 되고난 이후 각 국가와 업체에서 디지털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며, 지금가지 직접 위성 방송을 통한 디지털 영상의 송수신 방식이 널리 보금되었고 우리나라도 무궁화 위성 1,2호를 쏘아올린 후 방송에서의 디지털 시대를 열었다.
그리고, 1997년 미국의 FCC에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규격을 채택하므로써 21세기 디지털 영상시대의 광범위한 시장이 열리게 되었으며 이러한 디지털 방송시대로의 진입에 따라 다양한 저장매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현재 까지는 DVD(Digital Video Disc)등이 일반 사용자에게 널리 알려진 매체이고 DVCR(Digital Video Cassette Record)은 어느정도 실현단계에 있다.
한편, 디지털 티브이가 원하는 방송을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검토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 현재 IEEE1394를 이용하여 DVCR에 저장하는 방법이 가장 각광받고 있는 방법이다.
IEEE1394는 디지털 기기의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응용 분야로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 컴퓨터, 주문형 비디오(VOD)용 셋탑박스, 브이씨알, 캠코더, 디지털 티브이, 각종 멀티미디어 장비, 프린터와 스캐너, 하드 디스크, CD-ROM, 광 디스크, DVD등 많은 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방송신호를 저장할 경우 일반적으로 엠펙 2의 전송계층(Transport Layer)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의 위성방송 송수신 시스템이나 ATSC의 지상파 방송에서는 하나의 주파수에 여러개의 프로그램 채널을 수신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선택하여 보는 채널은 하나이고 이를 보는 도중 녹화를 할 경우 녹화장치의 연결에 따라 두가지로 녹화가 가능하다.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신호의 녹화 및 재생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TV튜너부(1)와; 상기 DTV튜너부(1)를 통해 신호를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VSB복조부(2)와; 상기 VSB복조부(2)를 통해 출력되는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가지는 비트스트림에서 스위치(3)를 통해 하나의 스트림만을 추출하는 TP 디먹스(4)와; 상기 TP 디먹스(4)에서 추출된 하나의 스트림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음성 출력장치(9) 및 영상 출력장치(10)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A/V디코더(5)와; 상기 VSB복조부(2) 또는 TP디먹스(4)의 출력을 각각의 데이터 패스(DATA PATH1, DATA PATH3)로 전달하여 IEEE1394인터페이스부(6)를 통해 DVCR(8)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CPU(7)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종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전송 스트림은 188바이트 형태의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패킷이 각각의패킷 아이디(PID)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를 담은 테이블의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방송을 수신하면서 녹화를 할 경우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신호를 녹화하는 것은 VSB복조부(2)의 출력 또는 TP 디먹스(4)의 출력을 받아 녹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VSB복조부(2)의 출력을 녹화하는 경우 한 주파수에 여러개의 채널 데이터가 들어오던지, 하나의 주파수에 하나의 채널 데이터가 들어오던지 그에 관계없이 VSB복조부(2)의 출력을 그대로 여과없이 DVCR(8)로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미래에 사용자가 DVCR(8)을 재생하여 시청할 경우 채널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DVCR(8)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임의의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원하는 채널을 DVCR(8)로 녹화 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위치(3)와 TP 디먹스(4)를 통해 선택되어진 채널이 DVCR(8)에 녹화 될 것이다.
이때 DVCR(8)에 저장되는 스트림은 선택된 오디오, 비디오 패킷 뿐만 아니라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채널 정보 또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아이디를 갖고 있는 정보 테이블) 또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도 함께 저장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전송계층(Transport layer)으로 패킷화된 오디오, 비디오 정보는 PSI와 PSIP정보를 추출하여야만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PSI나 PSIP정보는 TP 디먹스(4)를 거치면서 하나의 신호를 저장할 경우에도 여러개의 정보를 가진 테이블이 함께 저장이 된다.
도2는 상기 PSI의 간단한 구조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는 전송계층의 패킷 스트림을 나타낸 것으로 구성요소의 빈도에 따라 스트림을 구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188바이트 짜리 패킷이 PID에 의해 성질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이 PID의 구분은 우선(a)의 PAT(Program Association Section) 테이블로 부터 (b)와 같이 PMT PID를 추출해내며, 구해진 PMT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한 후 PMT 테이블을 추출하여 그 PMT 테이블로부터 오디오/비디오 PID(A/V PID)를 추출해내고 이 PID를 다시 TP 디먹스에 설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A/V신호를 추출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PSI나 PSIP을 이용하여야만 오디오, 비디오 PID를 추출해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여러개의 채널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 채널만을 녹화 하더라도 이 정보를 가공하여 저장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이 테이블을 가공하려면 복호화, 부호화를 다시 한 번 거쳐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호기에서 부호기를 내장하여야 함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의 저장매체들과 수신기는 녹화 채널의 수에 관계없이 PSI나 PSIP정보를 가공없이 그대로 저장을 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녹화 채널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오디오/비디오 정보에 대한 PID를 선택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관계가 없는 PID를 선택하였을 경우 화면에 원하지 않는 영상이 나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도 부응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방송채널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 채널만이 녹화가 되더라도 PSI나 PSIP정보는 가공없이 저장하게 되는데, 이 테이블을 가공하려면 복호화, 부호화를 다시 한 번 거쳐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호기에서 부호기를 내장하는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생을 원하는 채널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오디오, 비디오 정보에 대한 PID를 선택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관계가 없는 PID를 선택하였을 경우 화면에 원하지 않는 영상이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여러개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장할 때 그와 함께 여러개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PSI나 PSIP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오류없이 사용자가 원래 원했던 채널만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신호의 녹화 및 재생장치의 구성도.
도2는 전송 패킷의 오디오/비디오 정보에서 PSI의 간단한 구조를 보인 블록도.
도3은 TP 디먹스에 대한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타이밍도.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흐름도.
도5는 도4에 의해 추출된 PID 리스트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생 모드시 PSI 또는 PSIP를 디코딩하여 추출한 PAT 테이블로부터 PMT PID를 추출해내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PMT PID가 추출되면 A/V 디코딩하여 오디오/비디오 PID(A/V PID)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A/V PID가 검출되면 TP 디먹스에 A/V PID를 설정하는 제3단계와; A/V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Sync)를 판별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3단계의 A/V PID를 다시 설정하고 상기 제5단계로 진행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TP 디먹스에 대한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타이밍을 보여주고 있다.
그 동작을 보면 일단, 신호가 입력되면 TP 디먹스(3)는 사전설정값(Default PID)으로 세팅되고, PSIP의 경우 MGT(Master Guide Table : PID 0x1FFB)도 사전설정(Default)PID로 세팅되어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PSI를 디코딩한다고 가정하면 PMT PID를 찾고 난 후 오디오/비디오 PID를 찾을 수 있으며 이렇게 찾아진 오디오/비디오 PID를 다시 TP 디먹스(3)에 설정 하고 나면 TP 디먹스의 출력이 정상적으로 A/V 디코더(4)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 A/V 디코더(4)는 각 부분을 디코딩하면서 프레임별로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CPU(7)가 입력받아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4,6,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CPU(7)가 정상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 보기로 하자.
먼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DVCR(8)에 녹화된 신호를 재생할 경우 DVCR(8)에서 재생신호가 출력되면 그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PSI 또는 PSIP를 디코딩하고, 그로부터 추출된 PID 테이블로부터 신호에 실려있는 모든 PID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형태로 가공을 하여 A/V PID의 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PID 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A/VPID를 TP 디먹스에 세트함으로써 최종적인 A/V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도5는 도4에 의해 추출된 PID 리스트를 도시한 실시예도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PID를 선택하게 한다.
즉, 도5의 (1)의 선택 영역에 사용자가 체크하면 PID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 되어짐을 알 수 있고, 이를 근거로 TP 디먹스에 선택된 PID를 설정하여 A/V를 디코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신호 흐름도로서 도4의 실시예와는 달리 자동으로 수행된다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일단, 재생모드가 되면 데이터 패스2 또는 스위치(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PSI 또는 PSIP 디코딩 블록에서 PAT 테이블로부터 PMT PID를 추출해내는 과정을 거치며, PMT PID가 추출되면 A/V 디코더에서 오디오/비디오 PID(A/V PID)를 검출한다.
다음, 상기 A/V PID가 검출되고 TP 디먹스에 PID가 설정이 되고 나면 CPU는 A/V 디코더로부터 출력되어 지는 프레임 동기(Sync)를 체크하여 어느정도의 소요시간(약 50msec)까지 들어오지 않을 경우 신호 없음(No Sync)을 판별하고,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카운트에 대한 제한시간(Limit)은 현재의 기준으로 3으로 즉, 총 무신호 판별에 대한 시간을 10msec이하에서 판단하게 된다.
즉, 신호없음(No Sync)의 경우 카운트값이 제한시간(Limit)을 넘어갈 경우 다시 PMT PID에 의해 찾아진 다음의 A/V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하여 이전에 수행했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DVCR로부터 방송신호에 대한 재생요구를 하고 신호가 TP 디먹스에 입력되면 최초에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위치에 따라 보여주는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한 신호를 검색하는 시간이 100msec 이내이고 사용자가 녹화한 신호를 다시 선택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신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모드시 PSI 또는 PSIP 디코딩하여 PAT 테이블로부터 PMT PID를 추출해내고, 상기에서 PMT PID가 추출되면 A/V 디코딩하여 오디오/비디오 PID(A/V PID)를 검출한 다음 TP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몇 개의 패킷에 대해 비디오 PID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다음, 비디오 PID를 가지고 있는 패킷이 3개 이상이 될 경우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하여 A/V PID가 검출되면 TP 디먹스에 그 검출된 A/V PID를 설정하여 A/V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Sync)를 체크하고, 프레임 동기(Sync)가 소정시간(약 50msec)동안 들어오지 않을 경우 신호 없음(No Sync)을 판별하여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다음 상기 카운트값이 제한시간(Limit)을 넘어갈 경우 다시 제3단계의 A/V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하여 이전에 수행했던 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단, 여러개의 PID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의 경우 저장매체에서 신호를 재생한다는 것을 인식하면 PSI나 PSIP에서 VID PID를 추출하여 TP 디먹스에서 스트림을 출력하기 이전에 TP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내어 몇 개의 패킷에 대해 비디오 PID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검출해내고 비디오 PID를 가지고 있는 패킷이 3개 이상이 될 경우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하여 신호를 판별하게 한다면 좀더 빠른 신호 검출 방법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채널 선택 방법은 DVCR을 비롯한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저장한 후 PSI나 PSIP 테이블의 정보를 변형하기 힘든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속하고 사용자의 불편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DVCR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재생하는 모든 기기에 응용 가능하게 되어 수신기와 저장 매체간의 어떠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EEE1394, QAM 변조방식, VSB 변조방식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재생모드시 PSI 또는 PSIP를 디코딩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로부터 추출된 PID 테이블로부터 신호에 실려있는 모든 PID 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형태로 가공을 하여 A/V PID의 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PID 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A/V PID를 TP 디먹스에 세트하여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2. 재생 모드시 PSI 또는 PSIP를 디코딩하여 추출한 PAT 테이블로부터 PMT PID를 추출해내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PMT PID가 추출되면 A/V 디코딩하여 오디오/비디오 PID(A/V PID)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A/V PID가 검출되면 TP 디먹스에 A/V PID를 설정하는 제3단계와; A/V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Sync)를 판별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3단계의 A/V PID를 다시 설정하고 상기 제5단계로 진행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3. 재생모드시 PSI 또는 PSIP 디코딩하여 PAT 테이블로부터 PMT PID를 추출해내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PMT PID가 추출되면 A/V 디코딩하여 오디오/비디오 PID(A/VPID)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TP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내어 몇 개의 패킷에 대해 비디오 PID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출해내는 제3단계와; 비디오 PID를 가지고 있는 패킷이 3개 이상이 될 경우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하여 신호를 판별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A/V PID가 검출되면 TP 디먹스에 PID를 설정하는 제5단계와; A/V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Sync)를 판별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지 않으면 다시 제3단계의 A/V PID를 TP 디먹스에 설정하여 이전에 수행했던 과정을 수행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프레임 동기(Sync)가 검출되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KR1019990027744A 1999-07-09 1999-07-09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0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744A KR100301515B1 (ko) 1999-07-09 1999-07-09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744A KR100301515B1 (ko) 1999-07-09 1999-07-09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393A KR20010009393A (ko) 2001-02-05
KR100301515B1 true KR100301515B1 (ko) 2001-11-01

Family

ID=1960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7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1515B1 (ko) 1999-07-09 1999-07-09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331A (ko) * 1999-10-25 2001-05-15 윤종용 외부저장매체로 데이터전송 가능한 디지털방송수신기
KR101516968B1 (ko) 2008-11-06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출력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199A (ja) * 1994-05-3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9200693A (ja) * 1996-01-22 1997-07-31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記録再生装置
JPH09233428A (ja) * 1996-02-27 1997-09-05 Victor Co Of Japan Ltd デ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JPH104535A (ja) * 1996-04-17 1998-01-06 Hitachi Ltd ディジタル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H10145768A (ja) * 1996-11-07 1998-05-29 Hitachi Ltd Catvにおけるnit情報取得方法
KR19980033103A (ko) * 1996-10-23 1998-07-25 모리시타요이찌 가상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JPH11127413A (ja) * 1997-10-21 1999-05-1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199A (ja) * 1994-05-3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9200693A (ja) * 1996-01-22 1997-07-31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記録再生装置
JPH09233428A (ja) * 1996-02-27 1997-09-05 Victor Co Of Japan Ltd デ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JPH104535A (ja) * 1996-04-17 1998-01-06 Hitachi Ltd ディジタル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KR19980033103A (ko) * 1996-10-23 1998-07-25 모리시타요이찌 가상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JPH10145768A (ja) * 1996-11-07 1998-05-29 Hitachi Ltd Catvにおけるnit情報取得方法
JPH11127413A (ja) * 1997-10-21 1999-05-1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393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408B1 (en) Digital audio/video system and method integrates the operations of several digital devices into one simplified system
KR20060049697A (ko)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자막을 네비게이팅하는방법 및 장치
US20060165375A1 (en) Recordable PVR using metadata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9410B1 (ko) 사용자 장치에서 시청등급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 및장치
EP2101499B1 (en) Broadcast station device and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KR100301515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시 채널 선택 방법
US20090110369A1 (en) Moving image and audio reproduction device
JP4500475B2 (ja) 受信装置
US7400566B2 (en) Method of sequentially recording programs using calculated reception ending times
KR20010045778A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녹화/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34826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비디오 편집 방법
US7657156B2 (en)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4649900B2 (ja) 番組表示装置
KR100267225B1 (ko) 디지털방송수신이가능한디지털기록/재생장치
JP200520423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録画再生装置
US20080005762A1 (en) Data broadcast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034826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vcr 기능 제공 방법
JP543425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8206076A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15218B1 (ko) 방송 수신 녹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탐색 방법
KR20100047729A (ko) 영상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4535041B2 (ja) 受信装置
US7664366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KR100578245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방법
KR100578246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