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21B1 - 적산계영위치복귀장치 - Google Patents
적산계영위치복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9021B1 KR100299021B1 KR1019950000619A KR19950000619A KR100299021B1 KR 100299021 B1 KR100299021 B1 KR 100299021B1 KR 1019950000619 A KR1019950000619 A KR 1019950000619A KR 19950000619 A KR19950000619 A KR 19950000619A KR 100299021 B1 KR100299021 B1 KR 1002990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ring
- projection
- zero position
- position return
- operation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zeroising or setting to a particular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조작축의 강성을 높이고, 조작성을 향상시킨 영위치복귀식 적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조작축은 계기프레임에 설치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하여 전후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조작축은 앞쪽으로 눌러 움직여져서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경우에 제 2 베어링을 통과하여 제 2 베어링에 가압되는 돌기와, 제 2 베어링에 의한 가압시에 돌기를 안지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탄성부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부는 돌기를 조작축의 외주로 부터 바깥지름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판스프링이다. 판스피링 탄성 변형의 경우, 돌기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개구면적과 돌기의 안지름방향의 이동량이상의 깊이등을 구비한 구멍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영위치복귀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조작축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조작축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영위치복귀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영위치복귀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조작축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조작축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조작축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조작축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인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조작축을 나타낸 사시도.
제14도는 종래의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의 조작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위치복귀축 (reset to zero 軸) 2 : 계기프레임
3 : 조작축 4 : 스프링
5 : 수자륜 (數字輪) 21 : 가이드부
23 : 제 1 베어링부 24 : 제 2 베어링부
35 : 판스프링부 36 : 돌기
본 발명은 조작축을 조작함에 따라,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적산계의 영위치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적산계의 영위치복귀장치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 4-180189 호 공보에 게재한 바와 같이 수자륜(數字輪)을 일정한 회전위치에 회전시키는 영위치복귀축을 조작축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성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보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조작축을 조작하였을 경우에 절도감(節度感)을 얻을 수 있도록 다음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작축(101)의 도면속의 하단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02)에 대응하는 축(101) 외주에는 조작축(101)의 하단측의 경사각이 큰 돌기부(103)가 설치되어있다. 이 조작축(101)은 통상상태에서는 스프링(104)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심축 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101)을 중심축에 평행하게 아래방향으로 눌러 움직이어 조작축(101)의 베어링(105)과 이 돌기부(103)가 접촉하는 경우에, 돌기부(103)가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되어 홈(102)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101)의 하단이 안지름 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그러나, 종래의 적산계의 영위치복귀장치에서는 조작축(101)의 하단은 홈(1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름방향에 대한 강성(剛性)은 불충분하다. 즉, 사용자가 조작축(101)을 축방향에서 차이진 방향으로 눌러버리면 조작축(101)이 휘어져서 돌기와 베어링(105)에 걸림이 발생하여 조작성에 악영향을 준다. 또, 차량에 탑재되는 등의 조건에 따라 고온 환경하에 놓였을 경우, 수지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101)은 강성은 더욱 저하하기 때문에 휘어지기 쉽게 되어, 상술한 바 걸림에 의한 불편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또, 강성이 불충분함에 기인하여 사용자가 조작축(101)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걸림에 의한 불편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즉, 통상 코일스프링(104)의 스프링힘은 조작축(101)을 눌러올리기 위하여 조작축(101)의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 힘은 아암(131)을 받침점으로하여 회전방향으로 가하여져서 조작축(101)의 하방의 홈(102)을 구비한 부분등을 휘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서 조작축(101) 전체가 휘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축(101)을 조작하는 이전으로부터 휘어진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조작축(101)을 중심축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조작축의 강성을 유지함에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는 계기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베어링과 하측 베어링에 의하여 상하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눌려 움직여져서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경우에 하측 베어링의 슬라이딩면에 접촉하여 하측 베어링에 가압되는 돌기와 이 돌기를 개재하여 하측 베어링에 가압되어서 탄성 변형하고, 상기 돌기를 상기 하측 베어링의 슬라이딩면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가 설치된 조작축을 구비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돌기를 조작축의 슬라이딩면에서 상기 하측 베어링의 슬라이딩면의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탄성체이며, 조작축의 슬라이딩면의 돌기가 배치되는 부위에는, 돌기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개구면적과, 탄성체의 탄성 변형에 의한 돌기의 이동량 이상의 깊이를 구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는, 계기프레임에 설치된 상측베어링과 하측베어링에 의하여 상하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눌려 움직여져서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조작축을 구비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의 슬라이딩면에는 하방으로 눌러 움직이게 하였을 경우에 하측 베어링과 접촉하여 하측 베어링을 가압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베어링은 상기돌기에 가압되어서 이 돌기와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의 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탄성체를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탄성부를 돌기를 상기 조작축의 외주로부터 바깥지름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의하면, 돌기가 제 2 베어링과 접촉하는 경우에 돌기를 개재하여 탄성체가 가압되어서 탄성변형한다. 이 탄성 변형에 의하여 돌기가 이동하여 구멍부분에 수납되는 경우에 구멍부분은 돌기의 이동량보다 깊기 때문에 돌기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돌기가 양호하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축외주의 돌기이외의 부분에 의하여 조작축은 제 2 베어링에 지지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 2 항 기재의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의하면, 조작축 가압시에 돌기가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과 접촉하여 제 2 베어링의 탄성부가 탄성변형한다. 이와 같이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경우의 절도감을 사용자에게 주기위한 탄성부가 제 2 베어링부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조작축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가 양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 조작축의 외주에 돌기 이외의 부분에 따라 조작축은 제 2 베어링에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의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를 포함하는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는 영위치복귀축 (1), 계기프레임(2), 조작축 (3), 스프링 (4) 으로 대별되어 다음 순차로 설명한다.
영위치복귀축 (1) 은 계기프레임 (2) 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영위치복귀축 (1) 에는 여러개의 피니언 (11) 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나중에 설명하는 스프링 (4) 의 작용으로 항상 각 피니언 (11) 이 각 수자륜 (5) 의 기어 (51) 에 맞물리고 있다. 더욱이, 각 피니언 (11) 은 기어 (51)를 개재하여 수자륜 (5)을 구동한다. 또, 영위치복귀축 (1) 에는 여러개의 영위치복귀레버 (12)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영위치복귀레버 (12) 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 수자륜 (5) 에 설치된 하아트형캠 (52)을 조작하는 것으로 영위치복귀축 (1)을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피니언 (11) 이 수자륜 (5) 의 기어 (51)에서 벗어나게 되어 영위치복귀레버 (12) 가 하아트형캠 (52)을 가압하여 수자륜 (5)을 소정위치 (사용자에 0을 나타낸 위치) 에 회전운동 시킨다. 종동레버 (13) 는 영위치복귀축 (1) 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레버 (13) 는 크랭크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나중에 설명하는 구동가이드 (31) 에 끼워맞추어지는 아암 (13) 이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기프레임 (2) 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위치복귀축 (1)을 회전운동이 지지함과 동시에 수자륜 (5) 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수지제의 기체 (基體) 이며, 예컨대 차량의 계기반 (도면에 없음) 에 굳게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부 (21) 는 이 계기프레임 (2) 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어, 조작축 (3)을 지지한다. 이 가이드부 (21) 는 측벽부 (22), 제 1 베어링부, 제 2 베어링부 (24) 로 되었고, 단면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 (3) 은 일부 계기에서 돌출한 부분을 구비하였고, 그 돌출부분이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작축 (3) 에는 구동가이드 (31) 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외력이 가하여져 있지 않는 통상상태에서는 조작축 (3) 은 스프링 (4) 의 복원력을 받침부 (32) 에 받아서 제 1 베어링 (23) 측에 가압되어 있다. 구동가이드 (31) 는 조작축 (3) 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자 형상의 오목부 (311)를 구비하고, 또 이 오목부 (311) 는 종동레버 (13) 의 아암 (131) 에 끼워맞춤에 따라서 이 아암 (131)을 사이에 끼워서 지지하고 있다.
조작축 (3) 은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1 개소자 형상의 슬릿 (34)을 설치하여 조작축 (3) 의 살두께와 같거나, 또는 살이 엷게 된 탄성부로서의 판스프링부(35)를 형성한다. 이 판스프링부(35)가 살이 엷게 된 정도에 따라서 판스프링부 (35) 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조작축 (3) 은 받침부 (32) 에서 전단부 (37) 까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의 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조작축 (3) 은 사용자가 가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조작축 (3) 은 스프링 (4) 의 탄력을 받침부 (32) 에서 받고 있다. 또, 조작축 (3) 의 전단부 (37) 가 제 2 베어링부 (24) 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된 상태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작축 (3) 을 사용자가 눌러 움직이면 돌기 (36) 가 가이드부 (21) 의 제 2 베어링부 (24) 의 내벽에 접촉하여 조작축 (3) 의 안지름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조작축 (3) 의 바깥지름과 제 2 베어링부 (24) 의 안지름과의 차는 미소하기 때문에 제 6 도에 나타낸 돌기 (36) 의 외표면에 정점과 조작축 (3) 과의 지름의 차분 (α) 이, 판스프링부 (35) 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조작축 (3) 의 안쪽으로 가압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 2 베어링부 (24) 에 의하여 돌기 (36) 는 조작축 (3) 내부의 중공공간 (구멍부분) 에 수납된다. 또, 돌기 (36) 는 그 전단측의 경사각 (θ1) 에 따라 영위치복귀조작시의 절도감을 사용자에게 준다. 또한, 후단의 경사각 (θ2) 은 (θ1) 과 동등하거나 그 이하로 설정함에 따라, 조작축의 눌러 움직임이 종료시의 복귀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경우, 영위치복귀축 (1), 캠 (52) 등에 의하여 수자륜 (5) 을 소정위치에 회전 시키는 영위치복귀동작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조작축 (3) 의 가압을 종료하면, 스프링 (4) 의 복원력에 의하여 조작축 (3) 은 원래의 변위에 복귀한다. 복귀후는 재차 조작축 (3) 의 전단부 (37) 가 제 2 베어링부 (24) 의 내벽에 지지되어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의하면 영위치복귀조작시에 사용자가 조작축 (3) 을 축방향에서 이동된 방향으로 눌러버렸어도 조작축 (3) 은 휘어지기 어렵다라고 하는 것은 조작축 (3) 이 돌기 (36) 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판스프링부 (35) 을 슬라이딩부분과 독립하여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기 때문에 조작축 (3) 의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지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 (3) 이 고온시에도 휘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아암 (131) 을 받침점으로 한 회전력에 대하여도 제 2 베어링부 (24), 또는 제 1 베어링부 (23) 의 내벽에 조작축 (3) 이 가압되어도 조작축 (3) 이 휘어지기 어렵고 걸림등의 불편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조작축 (3) 의 조작성은 양호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의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서는 조작축 (3) 및 조작축 (3)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부위, 제 2 베어링 (24) 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부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 (3) 은 일부 계기에서 돌출하는 부분을 구비하여, 그 돌출부분이 가압되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외력이 가하여져 있지 않는 통상상태에서는 조작축 (3) 은 스프링 (4) 의 복원력을 받침부 (32) 에서 받아 제 1 베어링 (23)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조작축 (3) 은 중심축 방향에 평행으로 2 개소,자 형상의 슬릿 (34) 을 설치하여 조작축 (3) 의 살두께와 같거나, 또는 살이 엷게 된 판스프링부(35)를 형성한다. 이 판스프링부(35)의 살이 엷게 되는 정도에 따라서, 판스프링부(35) 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판스프링부(35) 의 단부에는 산형(山形) 의 돌기 (36) 가 조작축의 안지름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축 (3) 은 받침부 (32) 에서 전단부 (37) 까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 (3) 의 슬라이딩부는 제 2 베어링 (24) 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제 2 베어링 (24) 은 판스프링부(35) 의 탄성변형시에 판스프링부(35) 및 돌기(36) 를 수납하는 구멍부분 (242)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 2 베어링 (24)에는 이 돌기 (36) 를 조작축 (3) 의 바깥지름 방향으로 가압 이동하기 위한 원주형상부 (241) 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적산계의 영위치복귀장치의 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조작축 (3) 은 사용자에 가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스프링 (4) 의 탄력을 받침부 (32) 에서 받고 있다. 또, 조작축 (3) 의 전단부 (37) 는 제 2 베어링 (24) 에 의하여 확실이 지지된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작축 (3) 을 사용자가 눌러 움직이면, 돌기 (36) 가 가이드부 (310) 의 제 2 베어링부 (24) 의 원주형상부 (241) 에 접촉하여 조작축 (3) 의 바깥지름 방향으로 가압된다. 여기에서, 조작축 (3) 의 원주형상으로 중공공간의 지름과 원주형상부 (241) 의 지름과를 비교하면, 원주형상의 중공공간의 지름의 편이 약간 크기 때문에 돌기 (36) 의 외표면의 정점과 중공공간의 지름과의 차분 (α) 이, 판스프링부(35)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조작축 (3) 의 바깥쪽으로 가압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압 이동하는 판스프링부 (35) 및 돌기 (36) 는 제 2 베어링의 안쪽에 설치된 구멍부분 (242) 에 수납된다. 또, 돌기 (36) 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단측의 경사각에 의하여 절도감을 사용자에게 주며, 후단측의 경사각에 의하여 복귀성을 사용자에게 주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 (3) 이 눌려 움직였을 때, 영위치복귀축(1), 캠(52) 등에 따라, 수자륜(5)을 소정 위치에 회전시키는 영위치복귀동작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조작축 (3) 의 가압을 종료하면 스프링 (4) 의 복원력에 의하여 조작축 (3) 은 기 (基) 의 변위에 복귀 한다. 복귀후는 재차, 조작축 (3) 의 전단부 (37) 가 제 2 베어링 (24) 의 내벽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를 채용하여도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서는 조작축 (3) 및 조작축 (3) 에 형성되어 있는 각 부위, 제 2 베어링 (24) 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부위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축 (3) 은 제 8 도,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이찬 둥근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축 (3) 에는 조작축 (3) 눌려 움직일 때의 슬라이딩면에 돌기 (36)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축 (3) 은 스프링 (4) 의 복원력을 저면에서 받아서 도면에 없는 제 1 베어링 (23)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조작축 (3) 의 슬라이딩부는 제 2 베어링 (24) 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제 2 베어링 (24) 은 중심축에 평행으로 슬릿 (34) 을 여러 개소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등하게 4 개소 슬릿 (34) 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작축 (3) 이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 (3) 은 미소한 극간을 갖고 있으면서, 그 슬라이딩부가 제 2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축 (3) 을 앞쪽으로 눌러 움직이면 제 9 도와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 (36) 가 제 2 베어링 (24) 의 슬라이딩면과 접촉한다. 이때, 조작축 (3) 의 바깥지름과 제 2 베어링 (24) 의 안지름은 미소한 차밖에 없기 때문에 돌기 (36) 의 외표면의 정상과 조작축 (3) 의 지름과의 차분 (α) 에 의하여 제 2 베어링 (24) 의 슬라이딩면을 가압한다. 또, 제 2 베어링 (24) 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여러개의 슬릿 (34) 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따라서 제 2 베어링 (24) 은 지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 (36) 에 의한 제 2 베어링 (24) 의 슬라이딩면 가압시에는 제 2 베어링 (24) 이 지름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조작축 (3) 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돌기 (36) 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단측의 경사각에 의하여 절도감을 사용자에게 주어 후단측의 경사각에 의하여 복귀성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 (3) 이 눌러 움직여졌을 때, 영위치복귀축 (1), 캠(52) 등에 의하여 수자륜(5)을 소정위치에 회전시키는 영위치 복귀동작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조작축 (3) 의 가압을 종료하면, 스프링 (4) 의 복원력에 의하여 조작축 (3) 은 기 (基) 의 변위에 복귀한다. 복귀후는 재차, 조작축 (3) 의 전단부 (37) 가 제 2 베어링 (24) 의 내벽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를 채용하여도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 (34) 을 2 개소 설치하고, 거기에 판스프링부 (35), 돌기 (36) 를 2 개소씩 구비한 조작축 (3) 을 채용하여도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한 제 1, 2, 3 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이빈 각 철봉형상의 조작축 (3) 에 슬릿 (37) 을 설치하여 거기에 판스프링부 (35), 돌기 (36) 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 (34) 을 1 개소 설치하고, 거기에 판스프링부 (35), 돌기 (36) 를 1 개소씩 구비한 조작축 (3) 을 채용하여도 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축 (3) 에 속이찬 둥근 막대를 채용 하였으나, 속이빈 둥근 막대형상의 조작축 (3) 에 돌기 (36) 를 설치하여도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 (36) 는 조작축 (3) 의 슬라이딩면의 외주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었으나, 슬라이딩면의 같은 지름위에 여러개소, 돌기를 설치하는 일이나, 1 개소 돌기를 설치하여도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영위치복귀식 적산계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는 돌기를 이동할 수 있는 탄성변형부를 슬라이딩부에 독립하여 설치함에 따라, 조작축 슬라이딩부 자체에 탄성을 갖게 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슬라이딩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강성 부족에 기인하는 조작법의 악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서는 조작축에 제 2 베어링에 의하여 가압된 돌기를 수납하는 구멍부분을 구비하였음에 따라, 돌기의 안지름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있어, 보다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7)
- 계기프레임에 설치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눌러 움직여져서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경우에,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에 접촉하여 제 2 베어링에 가압되는 돌기와, 이 돌기를 개재하여 제 2 베어링에 가압되어서 탄성변형하고, 상기 돌기를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가 설치된 조작축을 구비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돌기를 조작축의 슬라이딩면에 의하여 상기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의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탄성체이며, 조작축의 슬라이딩면의 돌기가 배치되는 부위에는, 돌기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개구면적과,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한 돌기의 이동량 이상의 깊이를 구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 계기프레임에 설치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잇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앞쪽으로 눌러 움직여져서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조작축을 구비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의 슬라이딩면에는, 앞쪽으로 눌러 움직이게 하였을 경우에 제 2 베어링과 접촉하여 제 2 베어링을 가압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베어링은 상기 돌기에 가압되어서 이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돌기를 조작축의 외주에서 바깥지름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조작축의 지름방향에 대향하여 2 개 배설되었고, 각 탄성부의 선단측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은 조작축의 축방향으로 뻗은 원주형상부를 구비하고, 이 원주형상부에 돌기가 가압되어서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 계기프레임에 설치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앞쪽으로 눌러 움직여져서 적산계를 영위치복귀시키는 경우에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에 접촉하여 제 2 베어링에 가압되는 돌기 및 이돌기를 개재하여 제 2 베어링에 가압되어서 탄성변형하고, 상기 돌기를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가 설치된 조작축을 구비한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은 제 2 베어링측단부에 통상의 중공부를 구비하고, 탄성부는 통상 중공부의 측벽을 노치하여 형성한 설상부품이고, 이 설상 부품위에 제 2 베어링의 슬라이딩면측에 돌출하는 돌기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계 영위치복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003558A JP2710153B2 (ja) | 1994-01-18 | 1994-01-18 | 積算計帰零装置 |
JP94-3558 | 1994-01-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33951A KR950033951A (ko) | 1995-12-26 |
KR100299021B1 true KR100299021B1 (ko) | 2001-10-22 |
Family
ID=1156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0619A KR100299021B1 (ko) | 1994-01-18 | 1995-01-16 | 적산계영위치복귀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710153B2 (ko) |
KR (1) | KR100299021B1 (ko) |
CN (1) | CN1099062C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60370U (ja) * | 1983-04-08 | 1984-10-27 | 株式会社 井上製作所 | 帰零式積算計における帰零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9653Y2 (ko) * | 1981-03-17 | 1989-09-08 | ||
JP2543549Y2 (ja) * | 1991-09-26 | 1997-08-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積算計のリセットレバーの構造 |
-
1994
- 1994-01-18 JP JP6003558A patent/JP27101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01-16 CN CN95101266A patent/CN109906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1-16 KR KR1019950000619A patent/KR1002990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60370U (ja) * | 1983-04-08 | 1984-10-27 | 株式会社 井上製作所 | 帰零式積算計における帰零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9062C (zh) | 2003-01-15 |
JP2710153B2 (ja) | 1998-02-10 |
CN1116742A (zh) | 1996-02-14 |
JPH07210647A (ja) | 1995-08-11 |
KR950033951A (ko) | 1995-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163310A1 (en) | Side lock apparatus | |
JP6087160B2 (ja) | 配向可能な割出しベゼルを有する時計ケース | |
JP6766170B2 (ja) | 直線駆動装置 | |
JP2009004392A (ja) | キースイッチ | |
JP5294007B2 (ja) |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 |
JPH08338513A (ja) |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 |
KR100299021B1 (ko) | 적산계영위치복귀장치 | |
JPH0247660Y2 (ko) | ||
JP3509596B2 (ja) | ピックアップ調整機構 | |
KR100534174B1 (ko) | 합성수지제 부시 | |
CN111033077A (zh) | 阻尼器和操作单元 | |
JP2504795Y2 (ja) | 自動変速機のパ―キング機構 | |
JPS6026539Y2 (ja) | C形マグネツトの固定装置 | |
JPH10264670A (ja) | シフトレバー装置 | |
JPH09132081A (ja) |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装置 | |
JPH08230545A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 | |
JP4353507B2 (ja) | 回転操作つまみのトルク可変機構 | |
JP4343934B2 (ja) | キ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有するキーボード | |
JPS586042Y2 (ja) | 積算計におけるリセット装置 | |
JP4084397B2 (ja) | キ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有するキーボード | |
JPH0615486Y2 (ja) | モータ | |
JP3831064B2 (ja) |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 |
JPH0810058Y2 (ja) | 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 |
JPS623020B2 (ko) | ||
US6430374B1 (en) | Ratcheting diopter adjus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