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812B1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1812B1 KR100251812B1 KR1019970025964A KR19970025964A KR100251812B1 KR 100251812 B1 KR100251812 B1 KR 100251812B1 KR 1019970025964 A KR1019970025964 A KR 1019970025964A KR 19970025964 A KR19970025964 A KR 19970025964A KR 100251812 B1 KR100251812 B1 KR 1002518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direction
- down wind
- direction plates
- direction plate
- plat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공기의 상하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상하 풍향판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기는 분출구(1)에 설치되며, 공조공기의 상하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각각 회전축(C1, C2)둘레로 회전 자유로운 2개의 상하 풍향판(20, 30)을 갖고 있고, 이중에 상하 풍향판(20)은 정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어떤 방향으로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공기조화장치가 운전을 정지할 때, 서로 인접하는 상하 풍향판(20, 30) 사이에 틈(x)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틈(x)은 상하 풍향판(20, 30)의 회전 궤적이 교차하지 않고 회전 가능한 값으로 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상하 풍향판중 앞쪽의 상하 풍향판(30)의 후단 테두리(34)는 뒷쪽의 상하 풍향판(20)의 전단 테두리(23)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조공기의 상하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상하 풍향판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3)과 이 전면 패널(3)의 전방 아래쪽에 설치되며, 실내에 공조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1)와 이 분출구(1)를 향해서 공조공기를 전방 아래쪽으로 흐르게 하는 분출 통로(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분출구(1)에는 공조공기의 상하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회전축(C1) 둘레로 회전 자유로운 상하 풍향판(루버)(120)과, 회전축(C2) 둘레로 회전 자유로운 상하 풍향판(1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는 고성능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외관이 요구되고 있어 최근에는 공기조화장치의 운전 정지시, 즉 상하 풍향판이 분출구(1)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하 풍향판이 전면 패널과 흡사 일체로 보일 수 있는 디자인이 바람직하다. 이때문에, 상하 풍향판(120, 130)은 실내기의 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정지시에 전면 패널(3)의 외면형상을 따르도록 약간 만곡된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도 9의 실선위치 참조).
여기서, 실내기의 공조공기의 분출 방향은 냉방시에는 대략 앞쪽으로 하고, 난방시에는 대략 아래쪽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서 임의의 분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내기의 상하 풍향판(120, 130)은 정지상태에서 운전상태로 이행할 때, 정지위치(도 9의 실선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어떤 한 방향(도 9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만 계속적으로 움직여 회전하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해 있는 경우에는 공조공기를 분출구(1)에서 앞쪽으로 분출시키고, 대략 수직방향으로 향해 있는 경우에는 공조공기를 분출구(1)에서 아래쪽으로 분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더욱 양호한 분출 특성을 얻기 위하여 상하 풍향판을 정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앞쪽의 상하 풍향판(130)은 정지위치에서 소정각도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또 뒷쪽에 위치하는 상하 풍향판(120)을 정지위치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씩 회전 가능하게 하면 앞쪽으로 송풍하는 경우에는 양 상하 풍향판(120, 13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양 상하 풍향판(120, 130)을 거의 수평방향으로 향하게 하고(도 10 실선위치 참조), 아래 방향으로 송풍하는 경우에는 뒷쪽 상하 풍향판(120)을 정지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앞쪽 상하풍향판(130)을 시계방향으로 크게 회전시켜(도 10의 이점쇄선 위치 참조) 상하 양방향의 분출방향에 있어서 양호한 분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뒷쪽에 위치하는 상하 풍향판(130)을 정지위치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씩 회전 가능하게 한 경우, 도 9중 영역(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도중에 양 풍향판(120, 130)이 충돌할 수 있는 영역이 생긴다.
이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구조로 한 경우, 어느 하나의 상하 풍향판(120, 130)이 영역(A)에서 외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을 때, 다른쪽 상하 풍향판(120, 130)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문에, 이 상하 풍향판(120, 130)의 회전을 각각 모터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양쪽 상하 풍향판(120, 130)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면서 회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어 이 제어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하 풍향판(120, 130)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하 풍향판(120)과 상하 풍향판(130)이 충돌하여 상하 풍향판(120, 130)이나 그 지지부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상하 풍향판이 설치되며, 또 복수의 상하 풍향판중 적어도 1개가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도 복잡한 제어를 사용하지 않고 양쪽 상하 풍향판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시의 실내기의 외관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제 1 실시형태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풍향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제 2 실시형태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전면 패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상하 풍향판의 배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상하 풍향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출구 2: 분출 통로
3: 전면 패널 20, 30: 상하 풍향판
22: (상하풍향판(20)의) 외부면
23: (상하풍향판(20)의) 전단 테두리
32: (상하풍향판(30)의) 외부면
34: (상하풍향판(30)의) 후단 테두리
제 1 수단은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에 공조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와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상기 공조공기를 전방 아래쪽으로 흐르게 하는 분출 통로와, 상기 분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 공기의 상하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각각 회전축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된 복수의 상하풍향판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상하 풍향판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상하 풍향판 사이에 각 상하 풍향판의 회전 궤적이 교차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하는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수단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상하 풍향판 사이에 각 상하풍향판의 회전 궤적이 교차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하는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상하 풍향판중 적어도 한쪽의 상하 풍향판은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때문에 더욱 양호한 분출 특성을 갖는 실내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2 수단은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상하 풍향판중 앞쪽의 상하 풍향판의 후단 테두리는 뒷쪽의 상하 풍향판의 전단 테두리 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수단에 의하면 상하 풍향판이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실내기를 대략 앞쪽에서 본 경우, 상하 풍향판과 상하 풍향판 사이에 형성된 틈을 시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외관이 아름다운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
제 3 수단은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중 가장 앞쪽의 상하 풍향판은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중 가장 앞쪽의 상하 풍향판 보다 뒷쪽에 있는 상하 풍향판은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상하 풍향판중 가장 앞쪽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방향으로밖에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가장 앞쪽의 상하 풍향판을 분출구의 둘레 테두리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때문에 가장 앞쪽의 상하 풍향판과 전면 패널 사이의 틈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문에 또한 외관이 아름다운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뒷쪽의 상하 풍향판만큼 송풍기에 가깝기 때문에 분출 바람의 풍향에 대한 영향이 크고, 앞쪽의 상하 풍향판에 의한 풍향으로의 영향은 적다. 이때문에 앞쪽 상하 풍향판의 회전을 한방향으로만 해도 뒷쪽에 있는 상하 풍향판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분출 바람의 풍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 4 수단은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상하 풍향판의 외부면은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둘레 테두리의 전면 패널의 외부면의 가상 연장면을 대략 따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 수단에 의하면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하 풍향판이 전면 패널의 외형을 따르기 때문에 실내기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수단은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앞쪽 상부의 둘레 테두리와 상기 분출구의 둘레 테두리에 인접한 상하 풍향판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5 수단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실내기를 대략 앞쪽에서 본 경우, 상하 풍향판과 전면 패널 사이의 틈을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기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 수단은 뒷쪽 상하 풍향판의 상단 테두리측은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6 수단에 의하면, 상하 풍향판을 만곡시킨 것에 의해, 상하 풍향판 사이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이때문에, 공기조화장치의 정지 직전 또는 운전개시 직후와 같이 상하 풍향판이 정지 위치, 즉 분출구를 닫는 위치의 근방에 있으며, 또 실내팬이 운전상태에 있거나 완전히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 공조공기가 상하 풍향판에 의해 막히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분출 흐름의 서징(sur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문에 서징현상에 기인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의 벽면 상부에 부착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3)과 이 전면 패널(3)의 앞쪽 하부에 설치되며, 실내에 공조공기(냉방공기, 제습공기, 난방공기 등)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1)와, 이 분출구(1)를 향해 공조 공기를 전방 아래쪽으로 흐르게 하는 분출 통로(2)를 구비하고 있다. 분출 통로(2)는 횡단면에 있어서 전방 벽(2a)과 후방 벽(2b)에 끼워져 있다. 또한, 전면 패널(3)의 전면에는 실내공기의 흡입구(4)가 형성되며, 전면 패널(3)의 윗면에도 실내공기의 흡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3)의 내측에는 흡입구(4)에 대응하는 제 1 열교환기(6a)와 흡입구(5)에 대응하는 제 2 열교환기(6b)로 이루어진 주 실내열교환기(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5)와 제 2 열교환기(6b) 사이에는 보조실내 열교환기(과냉각 열교환기)(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 실내열교환기(6)의 내측(제 1 열교환기(6a)와 제 2 열교환기(6b) 사이)에는 횡류형 실내팬(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도면부호 “9”로 나타내는 것은 상하 풍향판(10)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공조공기의 좌우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좌우 풍향판이다.
실내기는 실내팬(8)의 회전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구(4, 5)에서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구(4)에서 흡입된 실내공기는 제 1 열교환기(6a)를 통과하여 상기 분출 통로(2)로 흐르며, 흡입구(5)에서 흡입된 실내 공기는 보조실내 열교환기(7)와 제 2 열교환기(6a)를 통과하여 분출 통로(2)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는 분출구(1)에 설치되며, 서로 평행한 회전축(C1, C2) 둘레로 각각 회전 자유롭게 된 2개의 상하 풍향판(20, 30)을 구비하고 있다. 이중에 분출 통로(2)의 후방벽(2b)측에 위치하는 상하 풍향판(20)은 그 양단이 횡단면에 있어서 회전축(C1)측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분출 통로(2)의 앞쪽 벽(2a)측에 위치하는 상하 풍향판(30)도 그 양 단이 횡단면에 있어서 회전축(C2)측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다. 또한, 각 상하 풍향판(20, 30)은 각각 도 8에 나타낸 상하 풍향판 모터(M1, M2)에 의해서 독립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상하 풍향판(20, 3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하 풍향판(20, 30)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출 통로(2)내에는 상하 풍향판(20, 30)을 그 회전축(C1, C2)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판형상의 지지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5)는 양 단부를 각각 전방 벽(2a)과 후방벽(2b)으로 지지된 기부(16)와, 이 기부(16)의 대략 중앙에서 전방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7)와, 기부(16)의 전방 벽(2a)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8)를 갖고 있다.
또한, 각 상하 풍향판(20, 30)의 회전축(C1, C2)측에는 각각 지지부재(15)의 지지부(17, 18)에 대응하여 부착판(25, 35)이 설치되며, 각 부착판(25, 35)의 선단과 지지부재(15)의 각 지지부(17, 18)의 선단이 각각 회전축(C1, C2)의 위치에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C1)은 상하 풍향판(20)의 내면(21)측에 위치하고, 또 상하 풍향판(20)에 대해 그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와같은 회전축(C1)과의 위치관계로 설치된 상하 풍향판(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위치(도 2 실선 위치), 즉 상하 풍향판(20)이 분출구(1)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도 2의 이점쇄선 위치 참조).
또한, 회전축(C2)은 상하 풍향판(30)의 내면(31) 측에 위치하고, 또 상하 풍향판(30)에 대해 그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와같은 회전축(C2)과의 위치관계로 설치된 상하 풍향판(30)은 정지위치(도 2의 실선위치 참조), 즉 상하 풍향판(30)이 분출구(1)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도 2의 이점쇄선 위치 참조).
이하, 도 1에 의해 상하 풍향판(20, 30)의 분출구(1)내로의 배치방법과 상하 풍향판(20) 및 상하 풍향판(30)의 위치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도 6의 하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본 발명의 주요부에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화 또는 생략화되어 있다(이하, 도 2∼도 6에 있어서도 동일).
도 1은 운전시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도 2의 이점쇄선 위치 참조)하는 상하 풍향판(20, 30)은 운전 종료시(이하 「정지시」라고 한다)에 분출구(3)를 닫는 위치(도 2의 실선위치 참조, 이하 「정지위치」라고 한다.)로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리몬콘 등에 의해 운전정지 지령이 입력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로부터 구동모터(M1, M2)에 대해 정지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회로는 상하 풍향판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M1, M2)의 동작 정지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상하 풍향판(20, 30)은 운전모드나 운전 상황에 따라서 임의의 위치에 이동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풍향판(20)은 정지위치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하 풍향판(30)은 정지위치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하 풍향판(20, 30)이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20)과 상하 풍향판(30) 사이에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틈(x)이 형성되어 있다. 이 틈(x)은 상하 풍향판(20) 및 상하 풍향판(30)을 회전시킨 경우, 상하 풍향판(20)과 상하 풍향판(30)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범위로 가능한한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틈(x)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풍향판(20, 3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회전 궤적이 교차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20)과 분출 통로(2)의 후방벽(2b) 사이에는 소정의 틈(y)이 형성되어 있다. 틈(y)은 상하 풍향판(20)을 회전시킨 경우, 상하 풍향판(20)이 분출 통로(2)의 후방 벽(2b)과 충돌하지 않는 범위가 되도록 가능한한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틈(y)은 상하 풍향판(20, 30)의 형상 및 부착 구조에 의해서 매우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0으로 한 경우에는 상하 풍향판(20)이 회전할 수 없어지기 때문에 틈(y)을 0으로 할 수 없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30)의 외부면(32)은 정지시에 분출구(1)의 둘레 테두리의 전면 패널(3)의 외부면의 가상연장면을 대략 따르도록 되어 있다.
즉, 상하 풍향판(30)의 외부면(32)은 전면 패널(3)의 앞부분의 외부면(3a)의 곡률을 유지하여 연장된 가상연장면(S1)(도 1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의 형상을 대략 따르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고, 정지시에 외부면(32)과 가상연장면(S1)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30)과 분출 통로(2)의 전방 벽(2a) 사이에는 틈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하 풍향판(30)의 전단 테두리(33)와 전방 벽(2a)은 실질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즉, 상하 풍향판(30)의 전단 테두리(33)는 분출구(1)의 전방 상부의 둘레 테두리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상하 풍향판(30)은 정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밖에 회전하지 않아 간격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20, 30)중 상대적으로 뒷쪽에 있는 상하 풍향판, 즉 상하 풍향판(20)은 그 전단 테두리(21)측이 회전축(C1)측으로 굴곡되어 대략 「〈」자형 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20)의 외부면(22)의 후단 테두리(24)측은 정지시에 분출구(1)의 둘레테두리의 전면 패널(3)의 외부면의 가상 연장면을 대략 따르도록 되어 있다. 즉, 상하 풍향판(20)의 외부면(22)의 후단 테두리(24)측은 전면 패널(3)의 하부 외부면(3b)을 그 곡률을 유지하여 연장한 가상연장면(S2)(도 1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의 형상을 대략 따르도록 되어 있으며, 정지시에 외부면(22)과 가상 연장면(S2)이 일치하여 원활한 곡면을 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지시에는 상하 풍향판중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는 상하 풍향판, 즉 상하 풍향판(30)의 후단 테두리(34)는 상대적으로 뒷쪽에 있는 상하 풍향판, 즉 상하풍향판(20)의 전단 테두리(23)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즉, 상하 풍향판(20)과 상하 풍향판(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폭(e)을 두고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실내기를 대략 앞쪽에서 본 경우, 상하 풍향판(20)과 상하 풍향판(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시야로 확인할 수 없어 상하 풍향판(20)을 정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도 외관상 우수한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20)을 굴곡시킴으로써 상하 풍향판(20)이 굴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3 참조)에 비해 상하 풍향판(20)과 상하 풍향판(30) 사이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이때문에 공기조화장치의 정지 직전, 또는 운전개시 직후와 같이 상하 풍향판(20, 30)이 정지위치 근방에 있으며, 또한 실내팬(8)이 운전상태에 있거나 완전히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공조 공기가 상하 풍향판(20, 30)에 의해 막혀진 것에 의해 발생되는 분출 흐름의 서징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문에 서징현상에 기인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풍향판(20)을 대략 「〈」자형 횡단면 형상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풍향판(20)의 형상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즉, 상하 풍향판(20)의 외부면(22)의 전체 면을 가상연장면(S2)(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의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시키고, 정지시에 상하 풍향판(20)의 외부면(22)의 전체 면과 가상연장면(S2)이 일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정지시에 상하 풍향판(20)의 외부면(22)의 전체 면 및 상하 풍향판(30)의 외부면(30)의 전체 면이 전면 패널(3)의 외형을 따르기 때문에 실내기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30)을 전면 패널(3)의 앞부분의 외부면(3a)에서 약간 뒷쪽에 배치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상하 풍향판(30)의 회전 방향이 다르고, 그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의 상하 풍향판(30)은 정지위치(도 5 실선 위치)를 기준으로 시계방향(도 5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3)의 앞부분의 외부면(3a)의 하단에는 볼록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c)의 선단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30)의 후단 테두리(34)의 회전 궤적(R)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으며, 상하 풍향판(30)은 도 6의 이점쇄선 위치에 이르기 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볼록부(3c)와 충돌하도록 되어 있다. 단, 구동하는 모터(M2)는 상하 풍향판(30)을 볼록부(3c)와 충돌하는 위치에 이르기 까지 회전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30)의 외부면(32)의 전단 테두리(33)측은 정지시에 볼록부(3c)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실내기가 2개의 상하 풍향판(20, 3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하 풍향판(20, 30) 사이의 간격을 넓히고, 또 상하 풍향판(20)과 상하 풍향판(30) 사이에 상하 풍향판(20)과 같은 형상 및 기능을 갖고 있는 추가 상하 풍향판을 더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상하 풍향판(30)의 후단 테두리(34)는 그 뒷쪽 상하풍향판, 즉 추가상하 풍향판의 전단 테두리 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또 추가 상하 풍향판의 후단 테두리는 그 뒷쪽 상하 풍향판, 즉 상하 풍향판(20)의 전단 테두리(23) 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면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풍향판(20, 30)이 상하 풍향판 모터(M1, M2)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 풍향판(20, 30)중 적어도 한쪽이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 설치된 상하 풍향판은 서로의 회전 궤적이 교차하지 않고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풍향판을 정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어떤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문에 더욱 양호한 분출 특성을 갖는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상하풍향판이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각 상하 풍향판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는 경우에 복잡한 제어가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하 풍향판을 조작한 경우라도 상하 풍향판 및 그 지지부가 파손될 우려는 없다.
또한, 정지시에 서로 인접하는 상하풍향판중, 앞쪽의 상하 풍향판의 후단 테두리가 뒷쪽의 상하 풍향판의 전단 테두리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아름다운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전면 패널;상기 전면 패널의 앞쪽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에 공조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상기 공조공기를 앞쪽 아래쪽으로 흐르게 하는 분출 통로;및상기 분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공기의 상하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앞쪽에 설치된 제 1 상하풍향판과,상기 분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공조공기의 상하 분출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상하풍향판보다 뒤쪽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상하풍향판을 구비하고,상기 제 1 및 제 2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상하 풍향판 사이에 각 상하 풍향판의 회전 궤적이 교차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 1 및 제 2 상하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상하풍향판 가운데 상기 제 1 풍향판의 후단 테두리는 상기 제 2 상하풍향판의 전단 테두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상기 제 1 및 제 2 상하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앞쪽 위의 둘레 테두리와 상기 분출구의 둘레 테두리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상하풍향판의 전단 테두리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상하 풍향판이 상기 분출구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상하 풍향판의 외부면은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둘레 테두리의 전면 패널의 외부면의 가상 연장면을 대략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상하 풍향판의 상단 테두리측은,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6602396A JP3171786B2 (ja) | 1996-06-26 | 1996-06-26 |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
JP8-166023 | 1996-06-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3254A KR980003254A (ko) | 1998-03-30 |
KR100251812B1 true KR100251812B1 (ko) | 2000-04-15 |
Family
ID=1582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5964A KR100251812B1 (ko) | 1996-06-26 | 1997-06-20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171786B2 (ko) |
KR (1) | KR1002518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0878A (ja) * | 2004-12-24 | 2006-08-0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 |
JP5577643B2 (ja) * | 2009-08-05 | 2014-08-2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静電霧化装置 |
JP5728935B2 (ja) * | 2010-12-27 | 2015-06-03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調和機 |
CN110608527B (zh) * | 2019-10-29 | 2024-08-23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器的导风板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
-
1996
- 1996-06-26 JP JP16602396A patent/JP317178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6-20 KR KR1019970025964A patent/KR1002518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3254A (ko) | 1998-03-30 |
JP3171786B2 (ja) | 2001-06-04 |
JPH109658A (ja) | 1998-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1386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085903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EP2019949B1 (en) | Air conditioner | |
EP2208943B1 (en) | Air conditioner | |
EP3009752A1 (en) | Air conditioner | |
JP2006002984A (ja) | 空気調和機 | |
CN101625142A (zh) | 空调机 | |
KR100541471B1 (ko) | 에어컨 실내기 | |
KR20160044998A (ko) |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
KR19990070390A (ko) |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 |
WO2017043479A1 (ja) | 空調室内機 | |
KR100251812B1 (ko)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 |
CN102563830A (zh) | 空调用百叶窗 | |
US11796216B2 (en) |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20040003730A (ko) | 공기조화기 | |
EP3722685B1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 |
KR20150027382A (ko) | 공기조화기 | |
KR20030083059A (ko) | 공기조화기 | |
JPH11287474A (ja) |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 |
US20230204252A1 (en) | Air conditioner | |
CN219913233U (zh) | 空调器 | |
KR20040106056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H10339470A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100300582B1 (ko) | 2방향 토출 에어컨 | |
KR100364765B1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3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