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4138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386B1
KR102541386B1 KR1020160016906A KR20160016906A KR102541386B1 KR 102541386 B1 KR102541386 B1 KR 102541386B1 KR 1020160016906 A KR1020160016906 A KR 1020160016906A KR 20160016906 A KR20160016906 A KR 20160016906A KR 102541386 B1 KR102541386 B1 KR 10254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unit
discharge uni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701A (ko
Inventor
윤연섭
김성재
이창식
김종활
김지홍
김진균
오승원
윤상기
이원희
정재림
천성덕
천성현
권준석
전현주
정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75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14477A1/ko
Priority to CN201680042116.9A priority patent/CN107850322B/zh
Priority to US15/745,088 priority patent/US10443864B2/en
Publication of KR201700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701A/ko
Priority to KR1020230059331A priority patent/KR10272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개구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토출부, 외부패널에서 제 1 토출부 하부에 형성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부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 2 토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al}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최소풍속에 의한 대류를 통한 냉방 및 근접구간에 형성된 찬공기영역을 이용한 냉방을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개구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토출부, 상기 외부패널에서 상기 제 1 토출부 하부에 형성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2 토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로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를 개폐하는 도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토출부를 개폐함으로서,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의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패널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전면과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토출부가 형성된 상기 외부패널의 상부의 일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부패널의 상부의 타 측면에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 내측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 2 토출부의 전 영역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부는 전면이 하부로 갈수록 상기 제 2 토출부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부는 전면이 상기 송풍팬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개구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토출부, 상기 외부패널에서 상기 제 1 토출부 하부에 형성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제1 토출부를 연결하는 제1 토출유로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토출부를 연결하는 제2 토출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토출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는 상기 제1 송풍팬의 구동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를 개폐하는 도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토출부를 개폐함으로서,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의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패널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전면과 양측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부 및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1 토출부; 상기 제 1 토출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풍속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 2 토출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토출부 또는 상기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 2 토출부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게 실내의 공기조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부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제2 토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토출홀이 생성된 외부패널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기류 제어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기류 제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공기조화기에서 제2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 1 토출부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와,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과,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마련되는 측면패널과, 측면패널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패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원형으로 마련되며 전면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배치될 수 있다. 후면패널에는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는 열교환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상에 마련되어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흡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빼앗긴다.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열을 교환한 공기는 송풍부에 의해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된다.
송풍부는 송풍팬과 송풍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의 토출방향에는 송풍그릴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은 사류(斜流)팬이 적용되나, 송풍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송풍팬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은 흡입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과 흡입부 사이에는 열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의 전방으로 제 1 토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는 송풍팬의 중심에 마련되어,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그릴은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그릴은 송풍팬과 공기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송풍그릴은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는 그 개수, 형상,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으로부터 공기토출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송풍그릴의 중심에는 이후 설명하는 도어동작부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와, 팬구동부는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 팬날개의 전방으로 송풍그릴의 복수의 날개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는 송풍팬을 둘러싸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팬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즉,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를 지난 공기가 송풍팬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열교환기는 송풍팬과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한다. 열교환기는 튜브와, 튜브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개수는 개구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는 하우징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기토출부는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갖고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하우징에 마련되는 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하우징에 마련된 토출플레이트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와 토출플레이트로 함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모드, 제 2 모드와 제 3 모드는 각각 이후 설명하는 제 1 토출부, 제 2 토출부,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나, 제 1 토출부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토출부로도 그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제 1 모드에서는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1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도 제 1 모드에서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2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를 지난 공기는 공기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는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는 송풍팬의 송풍방향상에 마련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토출부는 송풍부의 송풍팬 전방에 형성되어,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로 직접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과 제 1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는 토출가이드부에 의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는 가이드개구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는 개구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는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도어유닛이 이동하여 가이드개구부에 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는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는 도어유닛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은 제 1 토출부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어유닛은 제 1 토출부를 개폐함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유닛은 제 1 토출부를 개방하는 도어개방위치와, 제 1 토출부를 폐쇄하는 도어폐쇄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유닛은 도어개방위치와 도어폐쇄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유닛은 도어블레이드와, 도어블레이드를 동작시키는 도어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블레이드는 제 1 토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유닛이 도어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가 가이드개구부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이 도어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가 가이드개구부에 접하여 제 1 토출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도어블레이드는 제 1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블레이드몸체와, 블레이드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도어동작부와 결합되는 블레이드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이트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몸체는 그 일측면이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며, 타측면은 송풍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의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거나, 공기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는 도어블레이드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동작부는 도어블레이드의 블레이드결합부와 결합되어, 도어블레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송풍그릴은 도어동작부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송풍그릴의 배면에 마련되는 송풍팬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송풍그릴을 지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는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 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는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에 형성되며, 토출플레이트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개구는 토출플레이트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례로, 개구와 토출플레이트는 하우징의 각각 다른 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과 제 2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유로는 토출가이드부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패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패널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패널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은 외부패널의 일구성이나, 토출부의 일구성일 수도 있다.
토출패널은 제 2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를 통해 저속으로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패널이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토출패널은 공기조화기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후면,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은 유로형성프레임과,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은 하우징의 내부와 제 2 토출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형성프레임은 송풍그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외관패널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에는 제 2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와, 제 2 토출부를 플레이트토출부라 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토출홀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는 토출플레이트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는 유로형성프레임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유로형성프레임과 사이에 제 2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는 토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집중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된다.
토출영역은 토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플레이트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로 분배되어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로 유동하는 제 1 토출유로와,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로 유동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와 제 2 토출유로는 각각 토출유로와 방사토출유로로 명명할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유로와 제 2 토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과 제 1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에서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과 제 2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는 토출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토출가이드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부는 송풍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송풍부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유로와 제 2 토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가이드부는 가이드몸체와, 가이드홈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는 그 내측으로 제 1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몸체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몸체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제 2 토출유로가 지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은 가이드몸체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상에 마련되어 가이드몸체의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은 가이드몸체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이 제 1 토출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송풍부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를 지나 제 1 토출부로 토출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이 제 1 토출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몸체의 일측은 도어유닛에 의해 막히게 되어, 송풍부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를 지나 제 2 토출부로 토출하게 된다.
토출플레이트는 플레이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는 토출플레이트가 하우징 또는 가이드개구부와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결합부는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결합부는 가이드개구부와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의 개구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는 토출플레이트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는 홀 형상의 플레이트걸림홈을 포함하고, 플레이트걸림홈은 이후 설명하는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는 토출플레이트가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와, 토출플레이트가 가이드개구부와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는 토출플레이트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는 하우징과 결합하여, 하우징과 토출플레이트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에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걸림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걸림돌기는 유로형성프레임의 외곽에서 제 1 플레이트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1 걸림돌기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에 제 1 플레이트결합부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과 토출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토출플레이트를 하우징에 밀착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결합부의 제 1 플레이트걸림홈은 제 1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토출플레이트를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와 제 1 걸림돌기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는 개구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는 가이드개구부와 결합하여, 가이드개구부와 토출플레이트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개구부에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를 밀착시에 제 2 플레이트결합부는 가이드삽입홈을 통해 가이드개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삽입홈은 개구의 외곽에 마련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에 대응하여 가이드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는 가이드삽입홈에 삽입되고, 삽입된 제 2 플레이트결합부는 제 2 걸림돌기가 제 2 플레이트걸림홈에 걸림으로서,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를 결합함으로서, 개구와 제 1 토출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 제 2 걸림돌기, 가이드삽입홈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일정간격을 두고 네 개씩 도시하였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와 함께 열교환한다. 열교환기에 의해 공기조화된 공기는 송풍부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거친 공기를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즉, 제 1 모드와 같이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하여 집중적인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 2 모드와 같이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하여 실내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토출부는 도어유닛을 동작시켜 개폐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 1 토출부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며, 제 1 토출부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제 2 토출부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된다.
자세하게는 제 1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이 도어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는 가이드개구부와 이격되어 제 1 토출부가 개방된다.
이 경우, 송풍부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를 통해 제 1 토출부로 유동하게 된다.
제 1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부에 의한 풍속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모드에서는 제 2 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이 도어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는 가이드개구부와 접하게 되어 제 1 토출부가 폐쇄된다.
이 경우, 송풍부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가 도어블레이드에 의해 막혀있어, 가이드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를 지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송풍부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토출유로를 지나 제 2 토출부로 유동하게 된다.
제 2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공기가 토출플레이트의 복수의 토출구멍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는 각각 고속토출부와 저속토출부로 명명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 3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와 제 2 토출부로 각각 분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공기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를 적용하여, 주위환경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부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제2 토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토출홀이 생성된 외부패널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기류 제어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기류 제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공기조화기에서 제2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300)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310)과, 하우징(1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320)와, 하우징(13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미도시)와,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3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1340)를 포함한다.
하우징(1310)은 상부패널(1311)과 하부패널(13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패널(1312)은 후방패널(1312a)와 제2 토출부(1342)가 형성된 전방패널(1312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1340)는 제 1 토출부(1341)와 제 2 토출부(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341)와 제 2 토출부(1342)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341)와 제 2 토출부(1342)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1341)는 하우징(131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341)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341)는 하우징(13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팬(138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1 송풍팬(1389)과 제 1 토출부(13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1391)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1341)는 도어유닛(136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1360)은 제 1 토출부(1341)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부(1341)를 통해 하우징(13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어유닛(1360)은 제 1 토출부(1341)를 개폐함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1341)와 제 2 토출부(1342)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1342)는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300)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1342)를 통해 하우징(13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 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1342)는 외부패널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134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 2 토출부(1342)는 외부패널의 전면과 양측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1342)를 통해 하우징(13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제2 송풍팬(138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320)과 제 2 토출부(1342)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1392)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송풍팬(1380)은 제 1 토출부(1341)와 제2 토출부(13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송풍팬(1380)은 팬(1381)이 후술하는 기류 제어부(1370)의 상단에 설치된 지지부(138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300)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1342)의 전 영역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제어부(1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제어부(1370)는 제 2 토출부(134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기류 제어부(1370)는 전면(1371)이 하부로 갈수록 제 2 토출부(1342)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류 제어부(1370)는 전면(1371)이 제2 송풍팬(1380)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기류 제어부(1370)는 전면(1371)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기류 제어부(1370)는 전면(1371)의 양단에 절곡된 양측면(13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기류 제어부(1370)는 제 2 토출유로(1392)를 통해 이동된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1342)의 전 영역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400)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410)과, 하우징(1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420)와, 하우징(14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1480, 1489)와, 송풍부(1480, 1489)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4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1440)를 포함한다.
하우징(1410)은 상부패널(1411)과, 중간패널(1412)과, 하부패널(141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패널(1412)은 제 2 토출부(1442)가 형성되는 토출패널(1412b)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 1 토출부(1441)는 상부패널(1411)에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제 2 토출부(14442)는 중간패널(1412)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1419)는 중간패널(1412)의 후방과 하부패널(1413)의 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 토출부(1441)와, 제 2 토출부(1442)와, 흡입부(1419)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토출부(1440)는 제 1 토출부(1441)와 제 2 토출부(14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441)와 제 2 토출부(1442)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441)와 제 2 토출부(1442)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1441)는 하우징(141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441)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441)는 하우징(14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팬(148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1 송풍팬(1489)과 제 1 토출부(144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토출유로(1491)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송풍팬(1489)은 제2 송풍팬(1480)에 의해 하우징(14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 1 토출부(1441)가 마련된 하우징(1410)의 상부로 흡입하여 제 1 토출부(1441)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1 송풍팬(1489)은 제 1 토출부(1441)와 제 2 토출부(14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팬(1489)은 중간패널(1412)의 상측에 마련된 지지부(1490)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1441)는 도어유닛(146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1460)은 제 1 토출부(1441)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부(1441)를 통해 하우징(14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어유닛(1460)은 제 1 토출부(1441)를 개폐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1441)와 제 2 토출부(1442)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유닛(1460)은 도어 블레이드(1461)가 도어회전축(14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 1 토출부(144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송풍팬(1489)은 제2 송풍팬(1480)에 의해 하우징(14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제 1 토출부(1441)로 이동시킨다. 제1 송풍팬(1489)에 의해 제 1 토출부(1441)로 흡입된 공기는 개구를 통해 하우징(14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제 2 토출부(1442)는 중간패널(1412)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400)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1442)를 통해 하우징(14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유닛(1460)은 도어 블레이드(1461)가 도어회전축(14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 1 토출구(1441)를 폐쇄하며, 제1 송풍팬(1489)은 구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송풍팬(1480)에 의해 하우징(14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14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기조화기(1400)는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1442)는 토출패널(1412b)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 2 토출부(1442)는 중간패널(1412)의 전면과 양측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1442)를 통해 하우징(14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제2 송풍팬(148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420)와 제 2 토출부(1442)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1492)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 1 토출부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500)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4)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510)과, 하우징(15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520)와, 하우징(15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1580, 1589)와, 송풍부(1580, 1589)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5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1540)를 포함한다.
하우징(1510)은 상부패널(1511)과, 중간패널(1512)과, 하부패널(151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패널(1512)은 제 2 토출부(1542)가 형성되는 토출패널(1512b)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 1 토출부(1541)는 상부패널(15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토출부(1541)는 상부패널(1511)의 내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후술할 제 2 토출부(1542)는 중간패널(1512)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1519)는 하부패널(1513)의 전방과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토출부(1542)와 흡입부(1519)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토출부(1540)는 제 1 토출부(1541)와 제 2 토출부(15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541)와 제 2 토출부(1542)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541)와 제 2 토출부(1542)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1541)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541)는 하우징(1510)에 형성되는 개구(1514)를 통해 하우징(1510)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1510)의 내부로 인입되며 선택적으로 하우징(15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토출부(1541)는 복수의 제1 토출홀(1543)이 형성된 헤드(1544)와, 제 1 토출부(1541)를 하우징(1510)의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1510)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헤드 구동부(1545)가 마련된 헤드 지지부(1546)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544)는 그 형상 및 크기가 상술한 하우징(1510)의 개구(1514)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개구(1514)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1544)는 전면과 측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토출홀(15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홀(1543)은 후술할 제 2 토출부(1542)의 복수의 토출홀들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되어 제1 송풍팬(1589)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고속의 풍속을 유지하며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 지지부(1546)는 헤드(1544)의 하부에 형성되어 헤드(1544)를 지지하며, 헤드(1544)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마련된 헤드 구동부(15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헤드 구동부(1545)는 헤드 지지부(1546)의 측면에 형성된 래크기어와, 래크기어에 맞물리며 구동원과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래크 앤 피니언 구조를 통해 헤드(1544)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헤드(1544)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헤드 구동부(1545)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헤드(1544)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헤드 지지부(1546)는 하우징(1510)의 내부에 마련된 헤드 가이드(1515)에 결합되어 상하 구동이 안내될 수 있다. 헤드 가이드(1515)는 하우징(1510)의 내부에서 하우징(1510)의 상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500)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부(1541)가 하우징(15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1 송풍팬(1589)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1 토출부(1541)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고, 제1 토출부(1541)가 하우징(15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1 송풍팬(1589)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토출부(1542)를 통해 공기를 토출한다.
제1 송풍팬(158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1 송풍팬(1589)과 제 1 토출부(154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토출유로(1591)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송풍팬(1589)은 제2 송풍팬(1580)에 의해 하우징(15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 1 토출부(1541)가 마련된 하우징(1510)의 상부로 흡입하여 제 1 토출홀(1543)을 향해 이동시킨다. 제1 송풍팬(1589)은 제1 토출부(15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팬(1589)은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1542)는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500)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1542)를 통해 하우징(15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토출부(1541)가 하우징(1510)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고 제1 송풍팬(1589)이 구동하지 않는 경우, 열교환된 공기는 제2 송풍팬(1580)에 의해 하우징(15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제 2 토출부(1542)를 통해 하우징(15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기조화기(1500)는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1542)는 토출패널(1512b)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 2 토출부(1542)는 중간패널(1512)의 전면과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1542)를 통해 하우징(15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제2 송풍팬(158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520)와 제 2 토출부(1542)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1592)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600)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610)과, 하우징(16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620)와, 하우징(15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1680, 1689)와, 송풍부(1680, 1689)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6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1640)를 포함한다.
하우징(1610)은 상부패널(1611)과, 중간패널(1612)과, 하부패널(16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패널(1613)은 제 2 토출부(1642)가 형성되는 토출패널(1613b)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 1 토출부(1641)는 상부패널(1611)에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제 2 토출부(1642)는 하부패널(1613)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1619)는 상부패널(16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례로, 흡입부(1619)는 상부패널(1611)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 토출부(1641)와, 제 2 토출부(1642)와, 흡입부(1619)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토출부(1640)는 제 1 토출부(1641)와 제 2 토출부(16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641)와 제 2 토출부(1642)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1641)와 제 2 토출부(1642)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1641)는 하우징(161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641)는 열교환된 공기를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1641)는 상부패널(1611)의 인접한 두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팬(168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1 송풍팬(1689)과 제 1 토출부(164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토출유로(1691)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송풍팬(1689)은 하우징(1610)의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제 1 토출부(1641) 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 송풍팬(1689)은 상부패널(16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팬(1689)은 배면이 흡입부(1619)를 향하고 전면이 제 1 토출부(164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배면에서 흡입한 공기를 전면으로 송풍할 수 있다. 즉, 제1 송풍팬(1689)은 전면이 상부패널(1611)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된 제 1 토출부(164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배면에 마련된 흡입부(1619)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제 1 토출부(1641)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송풍팬(1680)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제1 송풍팬(1689)이 흡입한 공기는 열교환기(1620)를 통과하며 열교환된 후 제 1 토출부(1641)를 통해 하우징(16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제 2 토출부(1642)는 하부패널(1613)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600)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1642)를 통해 하우징(16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송풍팬(1680)이 구동되는 경우, 제1 송풍팬(1689)이 흡입한 공기는 열교환기(1620)를 통과하며 열교환된 후 제2 송풍팬(1680)에 의해 하우징(1610)의 하부로 안내된다. 하우징(1610)의 하부로 안내된 공기는 제 2 토출부(1642)를 통해 풍속이 저하되어 하우징(16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기조화기(1600)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저하시킨채 하우징(161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제 2 토출부(1642)는 토출패널(1613b)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 2 토출부(1642)는 중간패널(1612)의 전면과 양측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1642)를 통해 하우징(16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제2 송풍팬(168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620)와 제 2 토출부(16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토출유로(1692)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300, 1400, 1500, 1600 : 공기조화기
1310, 1410, 1510, 1610 : 하우징
1320, 1420, 1520, 1620 : 열교환기
1340, 1440, 1540, 1640 : 공기토출부
1341, 1441, 1541, 1641 : 제1 토출부
1342, 1442, 1542, 1642 : 제2 토출부
1360, 1460 : 도어유닛
1370 : 기류 제어부
1391, 1491, 1591, 1691 : 제1 토출유로
1392, 1492, 1592, 1692 : 제2 토출유로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개구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토출부;
    상기 외부패널에서 상기 제 1 토출부 하부에 형성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2 토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송풍팬;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쇄하며 상기 제 1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부는 상기 제 1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제 1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풍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풍팬은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토출부를 개폐함으로서,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의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패널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전면과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토출부가 형성된 상기 외부패널의 상부의 일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부패널의 상부의 타 측면에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부 내측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 2 토출부의 전 영역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부는 전면이 하부로 갈수록 상기 제 2 토출부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부는 전면이 상기 제 2 송풍팬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16906A 2015-07-17 2016-02-15 공기조화기 KR102541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7565 WO2017014477A1 (ko) 2015-07-17 2016-07-12 공기조화기
CN201680042116.9A CN107850322B (zh) 2015-07-17 2016-07-12 空调
US15/745,088 US10443864B2 (en) 2015-07-17 2016-07-12 Air conditioner
KR1020230059331A KR102724048B1 (ko) 2015-07-17 2023-05-0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76 2015-07-17
KR20150101976 2015-07-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331A Division KR102724048B1 (ko) 2015-07-17 2023-05-0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01A KR20170009701A (ko) 2017-01-25
KR102541386B1 true KR102541386B1 (ko) 2023-06-09

Family

ID=5799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906A KR102541386B1 (ko) 2015-07-17 2016-02-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43864B2 (ko)
KR (1) KR102541386B1 (ko)
CN (1) CN107850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9677B (zh) 2017-05-18 2022-05-13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
KR102482637B1 (ko) * 2018-01-03 2022-12-29 주식회사 위니아 에어컨의 측면풍 가이드 구조
KR102514679B1 (ko) * 2018-01-09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886449B (zh) * 2018-03-07 2022-04-19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KR102093412B1 (ko) 2018-03-07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661384B1 (ko) 2018-03-07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5164279B (zh) * 2018-03-07 2023-12-29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KR102709656B1 (ko) 2018-03-07 202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77570B1 (ko) * 2018-03-1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442396B (zh) * 2019-01-17 2021-08-24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立式空调器室内机
JP7033149B2 (ja) 2019-02-25 2022-03-09 広東美的制冷設備有限公司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その開閉板ユニット
US11566795B2 (en) * 2019-02-25 2023-01-3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200119576A (ko) 2019-04-10 202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2944471A (zh) * 2019-12-10 2021-06-11 Lg电子株式会社 空气管理装置
CN112944467A (zh) * 2019-12-10 2021-06-11 Lg电子株式会社 空气管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1906176B2 (en) 2019-12-10 2024-02-20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KR20210073019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23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관리장치
CN111288555A (zh) * 2020-03-27 2020-06-16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柜式空调器
KR20220104557A (ko) * 2021-01-18 2022-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5540306A (zh) * 2022-09-15 2022-12-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送风结构、室内机和空调器
KR20240102402A (ko) * 2022-12-26 202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9024A (en) * 1932-08-08 1934-10-30 Jones & Lamson Mach Co Screw threading die
US4958500A (en) * 1989-04-20 1990-09-25 Hitachi, Ltd.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method
JPH08334238A (ja) * 1995-06-09 1996-12-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60017040A (ko) * 2004-08-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형 에어콘 실내기
US7334424B2 (en) * 2004-10-22 2008-02-26 Winiamando Inc. Air conditioner having independent cooling and purifying paths
KR100726946B1 (ko) 2004-12-24 2007-06-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다중 송풍구조를 갖는 에어컨 실내기
KR20070060875A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733951B2 (ja) 2010-10-28 2015-06-10 東京電力株式会社 空気式放射パネル装置
KR101868371B1 (ko) * 2011-10-21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2034104B1 (ko) 2012-06-28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40037985A (ko) 2012-09-12 201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55939B1 (ko) * 2012-10-10 2019-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122574B1 (ko) * 2013-02-28 202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JP6182798B2 (ja) * 2013-09-12 2017-08-23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冷却装置、温調装置および温調除湿システム
CN104697055B (zh) * 2015-02-13 2017-06-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01A (ko) 2017-01-25
US10443864B2 (en) 2019-10-15
CN107850322B (zh) 2020-09-22
US20180216835A1 (en) 2018-08-02
CN107850322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386B1 (ko) 공기조화기
KR102513484B1 (ko) 공기조화기
US11079119B2 (en) Air conditioner
US10684024B2 (en)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KR102504098B1 (ko) 공기 조화기
KR102631918B1 (ko) 공기조화기
EP3631307B1 (en) Air conditioner
US20190017711A1 (en) Air conditioner
US10935273B2 (en) Air conditioner
CN111164349B (zh) 空调
KR20230069898A (ko) 공기조화기
KR10177854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6001089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240160037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