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31119B1 -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119B1
KR100231119B1 KR1019960030821A KR19960030821A KR100231119B1 KR 100231119 B1 KR100231119 B1 KR 100231119B1 KR 1019960030821 A KR1019960030821 A KR 1019960030821A KR 19960030821 A KR19960030821 A KR 19960030821A KR 100231119 B1 KR100231119 B1 KR 10023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terminal
ground pattern
base strip
terminal according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739A (ko
Inventor
아끼라 가네시게
다까시 마쯔나가
마사또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5997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11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7000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1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37Housings with compartments containing a PCB, e.g. partitioning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격실을 한정하는 차폐벽들을 갖는 차페케이스내에 인쇄 회로 기판이 내장된다. 접속 단자는 접지 패턴, 차페 케이스의 차폐 벽돌 및 차폐된 내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이루어 전자기장이 주위 전기 회로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 단자는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에 납땜되는 연장 기부 스트립 저면과, 연장 기부 스트립의 대향 단부들에 일체식 접속된 한쌍의 내부 지향 접촉 아암을 포함한다. 각 접촉 아암은 케이스의 차폐 벽들 및 차폐된 내부와의 접촉을 이룬다.

Description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본 발명은 전자기 차폐부에 의해 전자 회로 또한 장치를 둘러쌈으로써 간섭을 방지하는 전자기 차폐 처리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된 접지 패턴을 전자기 차폐부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 또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장이 인쇄 회로 지판상에 장착된 고주파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다. 인쇄 회로기판 및 고주파 발진기는 전자기장을 내장하는 차폐된 케이스에 내장된다. 예를 들어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에는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이 발진기를 둘러싸는 전기 회로와 간섭하는 방지하는 수단이 갖추어진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발진기는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고 인쇄 회로 기판상의 케이스의 소정 격실에 내장된다. 격실은 주위 벽들에 의해 한정된다. 케이스의 내부와 벽들을 니켈 또는 동으로 도금하고, 인쇄 회로 기판상의 접지 패턴에 접속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와 벽들은 전자기 장벽의 기능을 한다. 케이스와 벽들은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로 불리우는 접속 단자 또는 부재들에 의해 접지 패턴에 전기 접속된다.
이같은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의 한 예가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고주파 발진기(47)가 주위 벽(43)들에 의해 한정되는 케이스(41)의 소정 격실에 내장된다. 케이스(41)의 내부 및 주위 벽(43)들은 니켈 또는 동으로 도금된다. 격실은 인쇄 회로 기판(45)의 접지 패턴(46)에 전기 접속된다. 필요한 전기 접속은 접속 단자(31)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 단자(31)는 연장 기부(32)와 기부(32)의 한 단부에 일체식으로 연결된 접촉 아암(33)을 갖는 구부러진 금속 스트립을 갖는다.연장기부(32)는 접지패턴(46)의 소정 부분에 납 되어 접촉 아암(33)이 케이스(41)의 도금된 내부(42)에 접촉되게 한다. 충분한 금속 스트립이 준비되고 인쇄 회로 기판(45)의 접지 패턴(46)의 소정 부분에 납땜된다.
유리하게는 접속 단자(31)은 소형이고, 단순한 모양 및 구조이며 접지 패턴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불리하게는 접속 단자(31)는 한 단부에 접촉 아암을 갖는다. 그러므로 무게 중심은 접속 단자(31)가 접지 패턴(46)의 소정 부분에 납땜되는 연장 기부(32)의 중심에 있지 않다. 접속 단자(31)는 접지 패턴(46)에 납땜되면서 납땜 금속의 표면 장력에 기인한 접지 패턴에 대한 원치 않는 또는 틀린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단자(31)는 이를 흡입 지지하는 자동 위치 설정 장치를 위해 음압이 인가될 수 있는 단지 작은 공간만을 제공한다. 때로는 음압이 접촉 아암(33)에 인가되면 접촉 단자가 위치 설정중 흡입 지지되는 동안 변형될 수도 있다.
이같은 접속 단자(31')의 다른 예가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 고주파 발진기(47)는 인쇄 회로 기판(45)에 장착된다. 접속 단자(31')는 케이스(41)의 차폐된 내부(42)로부터 직립한 소정이 차폐부 벽(43)의 모서리를 수용하는 U형 채널을 포함한다. 제1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31')는 벼(43)의 대응 대향 측면들에 부착된 대향 측면(32')으로 소정의 차폐부 벽(43)에 장착된다. 접속 단자(31')는 인쇄 회로 기판(45)상의 접지 패턴(46)의 소정 부분들과 접촉하기 위해 상부면으로부터 절단되고 구부려진 복수의 패턴(46)의 접접 아암(33')들을 갖는다. 차폐된 상부 덮개가 케이스(41)에 부착될 때, 접속 단자(31')의 접촉 아암(33')은 인쇄 회로 기판(45)의 접지 패턴(46)과 접촉한다.
접속 단자(31')는 접지 패턴(46)에 대한 올바른 위치 설정과 접지 패턴(46) 및 케이스(41)의 차폐된 내부(42) 및 벽(43)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접속을 보장한다. 접속 단자(31')는 그러나 각각의 용도를 만족하는 개개의 크기 요구에 따라 설계되고 만들어져야되며, 따라서 관련 결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회로 기판상의 접지 패턴에 정확한 납땜을 용이하게 하고 임의의 종류 및 크기의 장치에 사용을 허용하는 점에서 위 단점들이 없는 전자가 차폐부용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접속 단자의 정면도.
제2도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정면도.
제4도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평면도.
제5도는 도4의 선 X-X'을 따라 취한 전기 접속 단자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정면도.
제7도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평면도.
제8도는 도7의 선 Y-Y'을 따라 취한 전기 접속 단자의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정면도.
제10도는 제5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평면도.
제11도는 도10의 선 Z-Z'를 따라 취한 전기 접속 단자의 종단면도.
제12도는 전기 접속 단자들이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개방 상태의 인쇄 회로 기판 케이스의 사시도.
제13도는 전기 접속 단자가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전기 접속의 단자가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개방 상태의 인쇄 회로기판 케이스의 사시도.
제15도는 도14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접속 단자의 사시도.
제16도는 다른 종래의 전기 접속 단자의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개방 상태의 인쇄회로 기판 케이스의 사시도.
제17도는 도16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접속 단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 단자 2 : 연장 기부 스트립
3 : 접촉 아암 4 : 접점
5 : 형상 리테이너 13 : 차폐벽
15 : 인쇄 회로 기판 16 : 접지 태턴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잡지 패턴에 전자가 차폐부를 접속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 접속 단자는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에 납땜되는 연장 기부 스트립 저면과 연장 기부 스트립의 대향 단부들에 일체식 접속된 한쌍의 내부 지향 접촉 아암을 포함한다. 각 접촉 아암은 전자가 차폐부와 접촉하는 접점을 갖는다. 접속 단자는 고주파 발진기를 장착하는 인쇄 회로 기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인쇄 회로 기판은 격실 및 차폐된 내부를 한정하는 차폐벽들을 갖는차폐 케이스에 내장된다. 접속 단자는 접지 패턴, 차폐 케이스의 차폐 벽들 및 차폐된 내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이루어 고주파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이 주변 전기 회로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 단자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이 연장 기부 스트립의 대향 단부들에 일체식으로 접속되고 내측 지향된다는 점에서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아암들은 기부스트립에 대해 경사지고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속 단자는 특히 기부 스트립에 대해 대칭 형상이다. 각 접촉 아암은 차폐된 내부 및 차폐 케이스의 차폐벽들과 접촉한다. 접속 단자의 무게 중심은 접속 단자의 기하학적 또는 물리적 중심에 대응한다. 접속 단자의 연장 기부 스트립 및, 그러므로 접속 단자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에 납땜되는 동안 용융 땜납의 표면 장력에 의해 일어나는 자기 정렬 효과에 의해 올바른 위치로 놓여진다. 결과적으로 접속 단자가 접지 패턴에 납땜될 수 있는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필요한 차폐는 충분한 순의 전기 접속 단자들을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에 납땜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접속 단자는 연장 기부 스트립 및 경사진 접촉 아암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채워진 형상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압이 연장 기부 스트립 또는 형상 리테이너의 대체로 평평한 상부면에 인가되어 접속 단자를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으로의 자동 부착동안 흡입 지지할 수 있다. 접속 단자는 평면에 대해 대체로 대칭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1)를 도시한다. 접속 단자(1)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위에 형성된 접지 패턴(16)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15)에 사용된다. 접속 단자(1)는 고주파 발진기(17)를 장착하는 인쇄 회로 기판(15)에 특히 유용하다. 인쇄 회로 기판(15)은 차폐된 내부(12) 및 격실들을 한정하는 차폐벽(13)들을 갖는 케이스(11)에 내장된다. 내부(12) 및 벽(13)들의 차폐는 케이스의 내부 및 벽을 니켈, 동 또는 적절한 금속으로 도금함에 의해 수행된다. 전자기장 차폐부용 접속 단자(1)는 접지 패턴(16), 케이스(11)의 차폐된 내부(12) 및 차폐벽(13)들 사이의 필요한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고주파 발진기 (17)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이 주변 전기 회로들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 단자(1)는 접지 패턴(16)의 소정 부분에 납땜된 저면(7)을 갖는 연장 기부 스트립(2)을 포함한다. 한쌍의 내측 지향 접속 아암(3)들이 연장 기부 스트립(2)의 대향 단부들에 일체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단자(1)의 형상은 대칭이다. 더바람직하게는 접속 단자는 기부 스트립(2)에 대해 대칭 형상이다. 한쌍의 접촉 아암(3)들은 바람직하게는 기부 스트립(2)에 대해 경사지고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각 접촉 아암(3)은 케이스(11)의 차폐된 내부(12) 및 / 또는 차폐벽(13)들과 접촉하는 접점(4)을 갖는다. 기부스트립(2)은 만입부(2a)들을 갖는다. 다수의 접속단자(1)들이 접지패턴(16)과, 케이스(11)의 차폐된 내부(12) 및 차폐벽(13)들 사이의 충분한 전기 접속을 위해 필요한 만큼 접지 패턴(16)의 소정 부분에 부착된다.
접속 단자(1)는 이를 접지 패턴(16)의 소정 부분에 자동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연장기부 스트립(2)의 내부면(8)에 음압을 안가함으로써 흡입 지지될 수 있다. 흡입 구역(6)은 대체로 평명이고 연장 기부 스트립(2)의 중심에 위치한다. 대체로 평면인 평면 구역(6)은 접지 패턴(16)의 소정 부분으로의 접속 단자(1)의 정확한 위치 설정 및 납땜을 용이하게 한다. 이같은 정확한 위치 설정 및 납땜은 접속 단자(1)의 양호한 대칭 형상에 의한 자기 정렬 효과에 의해 허용된다. 접속 단자(1)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흡입구역(6)에 대해 대칭이다.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보면,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속 단자(1')은 연장 기부 스트립(2')과 경사진 접촉 아암(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S')에 채워진 형상 리테이너(5')를 갖는다. 형상 리테이너(5')는 접지 패턴(16)에 대한 접속 단자(1')의 부착중 접촉 아암(3')의 변형을 방지한다. 접속 단자(1')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 노즐이 표면(10')에 음압을 인가할 때 형상 리테이너(5')의 대체로 평평한 상부표면(10')에 흡입되고 지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속자(1')는 접지패턴(16)의 소정 부분에 자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항상 리테이터(5')는 나일론, 폴리′알킬렌 또는 다른 적절한 절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장 기부 스크립(2')은 형상 리테이너(5')의 내부와 결합하여 이를 연장 기부 스트립(2')과 경사진 접촉 아암(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S)에 지지하기 위해 기부 스트립(2')의 대향 측면들에 일체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역전된 “V”형 리테이너(9')를 갖는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왁 같이, 리테이너(9')는 기부 스트립의 상승부(2b')에 일체식으로 연결된다.
제6도, 7 및 8을 보면, 제3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1")가 도시되어 있고, 제3도, 4 및 5의 제2 실시예로부터 접촉 아암(3')들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그 자유 단부에서 구부려지지 않은 접점(4")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이는 형상 리테이너(5")의 상부 표면(10")상의 접촉 아암(3')들의 절첩을 구사이에 공간을 남기자 않게 허용한다. 이 구조는 전기 단자(1")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 기부 스트립(2")은 리세스(9')를 포함한다.
제9도, 10 및 11을 보면, 제4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속 단자(1'")가 케이스의 차폐벽(13)들 또는 차폐된 내부(12)와의 양호한 접촉을 허용하고, 형상 리테이너(5'")의 상부면(10'")과 접촉 아암(3'")들 사이의 남은 공간(S'")을 최소화시키도록 설계된다. 접속 단자(1'")는 2개의 경사진 접촉 아암(3'")을 갖는다. 각 접촉 아암은 더 큰 접촉 영역에 의해 케이스 (11)의 차폐된 내부(12)또는 차폐벽(13)들과 양호환 접촉을 보장하는 구부려진 (4'")을 갖는다. 형상 리테이너(5'")는 상부 표면(10'")에 노치로 형성된 리세스(18'")를 갖음으로써, 형상 리테이너(5'")의 상부 표면(10'")상의 접촉 아암(3'")의 절첩을 그사이에 공간(S'")을 남기지 않고 허용한다. 접속 단자(1'")의 이 구조는 사용시 접속 단자(1'")의 수직 높이를 따라서 감소시킨다. 대체로 평평한 평면부(6'")가 흡입 지점 목적으로 리세스(18'")들 사이에 제공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전기 접속 단자(1'")가 사용가능한 방식을 도시한다. 제12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폐벽(13)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노치(14)들을 갖는다. 접지 패턴 (16)의 소정 부분에 납땜된 전기 접속 단자(1'")는 덮개판이 케이스(11)에 놓일 때 노치(14)에 끼워져 주변 전기 부품들을 고주파 발진기(17)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기장으로부터 차폐한다.
접지 패턴(16) 및 차폐벽(13)들 사이의 접속 단자(1'")의 접속이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노치가 있는 리테스(18'")로의 구부려진 접점(4'")의 침입은 접지 패턴(16) 및 차폐벽(13) 사이의 남은 공간을 최소화시킨다. 형상 리테이너(5'")는 전기 접속 단자(1'")를 그 정확한 원래의 형상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접지 패턴(16)과 차폐벽(13)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중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예 및 실시예들은, 그러므로 모든 점에서 예시적이고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전술한 세부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속 단자의 대칭 형상에 의한 자기 정렬 효과에 의해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으로의 접속 단자의 정확한 위치 설정 및 납땜을 용이하게 한다. 형상 리테이너는 그 상부 표면상에 접촉 아암들의 절첩시 공간을 남기지 않게 하여, 접속 단자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 형상 리테이너는 또한 전기 접속 단자를 그 정확한 원래의 형상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지 패턴과 차폐벽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보장한다.

Claims (14)

  1.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에 납땜되는 저면을 갖는 연장 기부 스트립과 전자기 차폐부와 접촉하는 접점을 갖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전자기 차폐부를 접속하는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들이 각각 내측으로 지향되고 연장 기부 스트립의 대향 단부에 일체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형상 리테이너가 연장 기부 스트립 및 접촉 아암들 사이에 한정된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연장 기부 스트립의 상부 표면은 접속 단자를 흡입 지지하고 접속 단자를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에 부착하도록 음압이 인가될 수 있는 대체로 평평한 평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부 리테이너의 상부 표면은 접속 단자를 흡입 지지하고 접속 단자를 접지 패턴의 소정 부분에 부착하도록 음압이 인가될 수 있는 대체로 평평한 평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격실들을 한정하는 차폐벽들을 포함하는 차폐 케이스를 내장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접지 패턴 및 차폐 케이스의 차폐벽들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아암들은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7.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아암들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아암들은 아암들과 기부 스트립 사이에 한정된 공간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연장 직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9. 제2항에 있어서, 형상 리테이너는 상기 접촉 아암들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0. 제3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는 펑명부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1. 제5항에 있어서, 차폐벽들중 하나는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2. 제1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의 형상은 대체로 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3. 제1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는 기부 스트립에 대해 대체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4. 제4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는 형상 리테이너의 평면부에 대해 대체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히는 접속 단자.
KR1019960030821A 1995-07-27 1996-07-27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231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06395A JP3338976B2 (ja) 1995-07-27 1995-07-27 電磁シールド用接続端子
JP95-211063 1995-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739A KR970008739A (ko) 1997-02-24
KR100231119B1 true KR100231119B1 (ko) 1999-11-15

Family

ID=1659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8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1119B1 (ko) 1995-07-27 1996-07-27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76223A (ko)
EP (1) EP0756446A1 (ko)
JP (1) JP3338976B2 (ko)
KR (1) KR100231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941B1 (ko) * 2000-05-05 2005-11-2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 차폐 커넥터
KR20210139136A (ko)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KR20210139128A (ko)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20210139135A (ko)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8839C1 (de) * 1997-07-05 1998-09-03 Bosch Gmbh Robert Abschirmgehäuse für Mikrowellenschaltungen
GB2327537B (en) * 1997-07-18 2002-05-22 Nokia Mobile Phones Ltd Electronic device
US6063999A (en) * 1997-12-19 2000-05-16 Siemens Medical Systems, Inc. Surface mount spring gasket and EMI enclosure
US6157546A (en) * 1999-03-26 2000-12-05 Ericsson Inc. Shield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KR100376335B1 (ko) * 1999-09-10 2003-03-17 홍영근 폐타이어 고무가 연속상을 이루는 마찰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10083895A1 (en) * 2005-01-10 2011-04-14 Paul Douglas Cochrane Three-Dimensional Shapes with multiple Parametric geometries and Surfaces Formed in Electronics Enclosures for Provi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US9345183B2 (en) * 2005-03-15 2016-05-17 Stealthdrive Canada Corp. EMI-shielding solutions for electronics enclosures using opposing three-dimensional shapes and channels formed in sheet metal
JP4669460B2 (ja) * 2006-09-28 2011-04-1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板金部材
JP2009130181A (ja) * 2007-11-26 2009-06-11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回路基板、電子回路基板のシールド方法および構造
JP5280108B2 (ja) 2008-05-29 2013-09-04 京セラ株式会社 端子部品及び携帯電子機器
US7934961B2 (en) * 2008-06-11 2011-05-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contact
JP5927607B2 (ja) * 2012-03-15 2016-06-01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部材
JP6349177B2 (ja) * 2014-07-15 2018-06-27 竹内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コンタクト
USD915283S1 (en) * 2018-03-19 2021-04-06 Richard Steininger Protection board
USD915282S1 (en) * 2018-03-19 2021-04-06 Richard Steininger Protection board
KR102340421B1 (ko) * 2019-06-12 2021-12-17 조인셋 주식회사 부착 강도가 향상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전도성 개스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5739A (en) * 1989-11-13 1993-04-27 Augat Inc. High density parallel interconnect
US5055971A (en) * 1989-12-21 1991-10-08 At&T Bell Laboratories Magnetic component using core clip arrangement operative for facilitating pick and place surface mount
FI900356A7 (fi) 1990-01-23 1991-07-24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puhelimen maadoituspelti
US5053924A (en) * 1990-03-30 1991-10-01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shield for electrical circuit
US5235492A (en) * 1990-04-24 1993-08-10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for cellular telephones
JP2825670B2 (ja) * 1990-12-14 1998-11-18 富士通株式会社 高周波回路装置のシールド構造
US5181318A (en) * 1991-04-05 1993-01-26 Molex Incorporated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DE69204687T2 (de) * 1992-02-24 1996-04-04 Itt Erdungssystem für IC-Karten.
US5522602A (en) * 1992-11-25 1996-06-04 Amesbury Group Inc. EMI-shielding gasket
US5397857A (en) * 1993-07-15 1995-03-14 Dual Systems PCMCIA standard memory card frame
JPH0745983A (ja) * 1993-07-28 1995-02-14 Toshiba Corp プリント配線板とシールドケースの接続構造
US5428508A (en) 1994-04-29 1995-06-27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of an electrical circuit
DE9407499U1 (de) * 1994-05-05 1995-09-07 Itt Composants Et Instruments, Dole Cedex Elektrisches Kontaktele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941B1 (ko) * 2000-05-05 2005-11-2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 차폐 커넥터
KR20210139136A (ko)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KR20210139128A (ko)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20210139135A (ko)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US11563284B2 (en) 2020-05-13 2023-01-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102504472B1 (ko) 2020-05-13 2023-03-0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KR102525442B1 (ko) * 2020-05-13 2023-04-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45396A (ja) 1997-02-14
EP0756446A1 (en) 1997-01-29
US5876223A (en) 1999-03-02
JP3338976B2 (ja) 2002-10-28
KR970008739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119B1 (ko)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KR910001318B1 (ko) 전화 잭
US6527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PCB assembly
US4655518A (en) Backplane connector
US6132244A (en) RF coaxial angle-connector par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0138833B1 (ko) 전기 커넥터를 장착한 기판 지지 장치
EP0740373A2 (en) High performance card edge connector
US2006023455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JPH0515361U (ja) フイルタコネクタ及びフイルタコネクタ用遮蔽板
GB2163305A (en) Backplane connector
JPH09283222A (ja) 電気コネクタ
US20110059626A1 (en) Shieled connector having leveling arrangement ensuring reliable interconnection
US6942509B2 (en) ESD type connector
US6755691B2 (en) Connector with movable contact alignment member
JP2001126827A (ja) ラッチと据え付けアームとを有する電気的シールド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692366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5509826A (en) Very low profile card edge connector
JP3148855B2 (ja) 電気コネクタ
KR970002447B1 (ko) 표면 장착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CA2174130C (en) Ic card with board positioning means
JP2967480B2 (ja) 電気コネクタ
JPS6220669B2 (ko)
US20050059278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KR970013520A (ko) 둥근 납땜 미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단자
GB2303258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