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22297B1 - 캐리어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297B1
KR100222297B1 KR1019960077187A KR19960077187A KR100222297B1 KR 100222297 B1 KR100222297 B1 KR 100222297B1 KR 1019960077187 A KR1019960077187 A KR 1019960077187A KR 19960077187 A KR19960077187 A KR 19960077187A KR 100222297 B1 KR100222297 B1 KR 10022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opening
closing
gap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359A (ko
Inventor
강주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97005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of waf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37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including mean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wafer casset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4Wafer cassette trans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Die Bon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 단위 상태로 원하는 만큼의 패키지가 각 인쇄회로기판에 탑재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과; 언로더/로더∼검사 장치간의 모든 단계를 자동화함에 있어서, 캐리어를 캐리어 이송 장치 및 검사 장치로부터 제거 또는 탑재하는 한편, 캐리어 이송 장치∼검사 장치간을 무인(無人)화된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키지의 검사 외의 부수적인 시간 손실을 방지하여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 이송 장치
본 발명은 캐리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 단위로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가 탑재 또는 제거되는 캐리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키지는 웨이퍼 절단 공정 내지 리드 절단/절곡 공정 등의 복잡한 공정이 진행되어 제조된다. 그런 다음, 패키지는 열적(熱的) 내지 전기적(電氣的) 검사가 진행되고, 신뢰성이 검증된 패키지만이 실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패키지의 검사는 대량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검사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패키지가 탑재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수단을 매개로 하여 별도의 검사 장치 내에서 진행된다.
후술되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사용되는 『언로더/로더(unloader/loader)』,및 『캐리어(carrier)』의 정의를 의미한다.
『언로더/로더』는 보관 용기 ↔ 인쇄회로기판간에 패키지를 탑재하거나 제거하는 장치 및 『캐리어』는 인쇄회로기판이 복수 개 적층될 수 있는 박스 형태의 용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패키지가 검사되는 통상적인 단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⑴ 단계: 최초 패키지는 튜브 또는 트레이와 같은 보관 용기 단위로 보관 창고 등에 보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보관 중인 패키지는 보관 용기 단위로 작업자에 의해 언로더/로더의 배치 구역으로 이송된다. 이후, 보관 용기 및 인쇄회로기판은 작업자에 의해 각기 언로더/로더의 작업 공간에 배치되고, 보관 용기에 탑재된 패키지가 각기 언로더/로더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된다.
⑵ 단계: 상기 원하는 만큼의 패키지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은 작업자에 의해 손수레(cart) 상에 배치된 캐리어에 각기 탑재되고, 검사 장치로 운반 및 캐리어 단위로 검사 장치에 장착된 후, 열적 내지 전기적 검사를 거치게 된다.
⑶ 단계: 검사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은 다시 작업자에 의해 상기 검사 장치로부터 캐리어 단위로 제거되어 손수레에 적재된 후, 언로더/로더의 배치 구역으로 운반된다.
⑷ 단계: 캐리어에 적재된 인쇄회로기판은 작업자에 의해 각기 제거되어 언로더/로더의 작업 공간에 배치되고, 그 각기 제거된 인쇄회로기판의 패키지는 언로더/로더에 의해 각기 물려져서 다시 보관 용기로 탑재된다. 그런 다음, 패키지는 보관 용기 단위별로 작업자에 의해 보관 장소로 이송되고, 실 소비자에게 공급되기 전(前)까지 단기(短期) 또는 장기(長期) 보관된다.
여기서, 신뢰성이 검증된 양품 패키지는 보관 용기에 탑재되지만, 불량품으로 검증된 패키지는 별도의 박스 등에 투기(投機)되고, 최종적으로 폐기(廢棄) 처분된다.
상기와 같이 패키지가 검사되는 단계 중에 있어서, 예컨대, ⑴ 단계: 『인쇄회로기판은 작업자에 의해 각기 언로더/로더의 작업 공간에 배치되고』, ⑵ 단계: 『상기 원하는 만큼의 패키지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은 작업자에 의해 손수레(cart) 상에 배치된 캐리어에 각기 탑재되고』 및 ⑷ 단계: 『캐리어에 적재된 인쇄회로기판은 작업자에 의해 각기 제거되어 언로더/로더의 작업 공간에 배치되고』가 작업자에 의한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 번째, 패키지가 인쇄회로기판에 탑재 또는 제거됨에 있어서, 각기 탑재 또는 제거되는 작업이 인쇄회로기판 단위로 진행됨으로써, 작업자의 반복적인 동작이 요구다. 따라서, 작업 생산성은 작업자의 근무 태도 및 주의 여부에 결정된다.
두 번째, 손수레가 언로더/로더 및 검사 장치의 부근에 장시간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 단위 상태로 원하는 만큼의 패키지가 각 인쇄회로기판에 탑재 또는 제거될 수 있는 캐리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언로더/로더∼검사 장치간의 모든 단계를 자동화함에 있어서, 캐리어를 캐리어 이송 장치 및 검사 장치로부터 제거 또는 탑재하는 한편, 캐리어 이송 장치∼검사 장치간을 무인(無人)화된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입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입력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지지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지지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1』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2』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4의 『A3』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4의 『A4』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4의 롤러, 개폐하는 수단의 걸림쇠 및 볼 베어링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2의 이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3의 이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엘리베이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엘리베이터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구동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지지ㆍ이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B1』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4의 개폐하는 수단 및 롤러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도 13의 감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2의 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2의 출력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지지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0의 지지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C1』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C2』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26은 도 23의 『C3』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27은 도 23의 『C4』부분을 확대하여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도 23의 롤러, 개폐하는 수단의 걸림쇠 및 볼 베어링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에 의해 캐리어가 공급∼제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9 내지 도 31은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가 입력부에 공급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 내지 도 34는 도 31의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5는 도 34 엘리베이터부로 이송된 캐리어가 최저 위치에서 최고 높이로 상승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세부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7 및 도 38은 도 35의 캐리어가 출력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9는 도 38의 엘리베이터부가 최저 위치로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0 및 41은 출력부로부터 캐리어가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200 : 입력부
210 : 몸체 222,224,226 : 안내 부재
230,240 : 개폐하는 수단 250 : 롤러
260 : 볼 베어링 270 : 지지 부분
290 : 이송 부분 300 : 엘리베이터부
310 : 안내 지주 320 : 몸체
330 : 안내 부재 342,344 : 보강 부재
350 : 개폐하는 수단 360 : 롤러
370 : 지지ㆍ이송하는 부분 380 : 구동 부분
390 : 감지 부분 391 : 간극자
393 : 안내 로드 394 : 감지기
396 : 푸셔(pusher) 400 : 출력부
500 : 캐리어 이송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 몸체부; 그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몸체, 그 몸체의 좌방 및 후방 상부 면 말단에 설치된 안내 부재, 그 몸체의 전방 및 우방의 각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하는 수단, 상기 안내 부재와 개폐하는 수단에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굴림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이송되는 이송하는 수단을 갖는 입력부; 상기 몸체부 내부의 하부 및 상부 면에 각기 설치된 한 쌍의 안내 지주,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에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하부 및 상부 면에 설치된 선회축, 상기 한 쌍의 안내 지주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축과 연동된 몸체, 그 몸체의 하부 양말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부재, 그 안내 부재간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보강 부재, 상기 안내 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 개의 굴림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하는 수단, 상기 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 이송하는 수단, 전기 신호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고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수평으로 복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간극자,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자의 간극에 의해 전기 신호가 ON/OFF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복수 개의 감지기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기의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우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몸체, 그 몸체의 좌방 및 후방 상부 면 말단에 설치된 안내 부재, 그 몸체의 전방 및 우방의 각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하는 수단 및 상기 안내 부재와 개폐하는 수단과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굴림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부의 좌측에 배치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참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500)는 전면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후면의 일부가 개방된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 몸체부(100); 그 몸체부(100)의 하단 좌측에 배치된 입력부(200); 상기 입력부(200)의 우측에 이격ㆍ배치된 엘리베이터부(300); 상기 입력부(200)의 상단에 이격ㆍ배치된 출력부(40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입력부(200), 엘리베이터부(300) 및 출력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각기 설치되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이송 장치(500)의 입력부(200), 엘리베이터부(300) 및 출력부(40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後述)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입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입력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200)는 크게 캐리어가 탑재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지지 부분(270)과 캐리어를 엘리베이터부(도시 안됨)로 이동시키는 이송 부분(2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분(270)의 상세한 구조는 도 4 내지 도 10 그리고, 상기 이송 부분(290)의 상세한 구조는 도 11 및 도 12를 설명하는 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지지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지지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1』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A2』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A3』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A4』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롤러, 개폐하는 수단의 걸림쇠 및 볼 베어링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 부분(270)은 사각 형상의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좌방 및 후방 상부 면의 말단을 따라 설치된 한편, 우방 상부 면의 말단 상부에 설치된 각 안내 부재(222,224,226); 상기 몸체의 전방 상부 면의 말단 및 상기 우방 상부 면의 말단에 설치된 각 개폐하는 수단(230,240); 상기 안내 부재들(222,224,226) 및 개폐하는 수단들(230,240)에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260) 및 볼 베어링(250) 등의 굴림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21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210)는 상부 면에 설치된 안내 부재들(222,224,226), 개폐하는 수단들(230,240), 복수 개의 롤러(260) 및 볼 베어링(250)과 추후 몸체의 상부 면에 공급되는 복수 개의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된 캐리어의 총 중량을 극복할 수 있는 강도(强度)를 가지며, 전방 중심 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 몸체(210)의 절개된 부분은 지지 부분(270)을 구성하는 데 특별한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절개되지 않아도 무관하다.
상기 안내 부재(222,224,226)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안내 부재는 상기 몸체(210)의 좌방 상부 면의 말단에 설치된 제 1안내 부재(222); 후방 상부 면의 말단에 설치된 제 2안내 부재(224); 및 전방 상부 면의 말단 상부에 설치된 제 3안내 부재(226)이며, 상기 제 1안내 부재(222)의 언급되지 않은 관통 구멍(223) 및 제 3안내 부재(226)의 정확한 위치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제 1개폐하는 수단(230)의 설명 이후를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안내 부재(222) 및 제 3안내 부재(226)의 상단 부분은 약 15∼30°의 각도로 각기 마주보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개폐하는 수단(230,24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하는 수단은 상기 몸체(210)의 절개된 부분을 가로지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면에 설치된 제 1개폐하는 수단(230) 및 상기 몸체(210)의 우방 상부 면에 설치된 제 2개폐하는 수단(24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우선, 제 1개폐하는 수단(2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개폐하는 수단(23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공압이 공급 또는 제거되는 실린더(232); 그 실린더(232)와 일단이 기계적 고정된 경첩(234); 그 경첩(234)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안내 부재(222)의 관통 구멍(223)을 통과해서 상기 몸체(210)의 절개된 부분의 양단에 한 쌍의 걸림쇠(237)가 설치된 로드(236); 상기 로드(236)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10)의 절개된 부분의 양측 상부 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238);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제 2개폐하는 수단(24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2개폐하는 수단(240)은 걸림쇠(247)가 일체로 형성된 것과 그 걸림쇠(247)의 소정 부분에 요(凹) 홈(247a)이 형성된 것 외에는 전술된 제 1개폐하는 수단(230)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걸림쇠(247)의 요 홈(247a) 위치와 그 제작 이유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개폐하는 수단(230)의 공압 실린더(232) 및 제 2개폐하는 수단(240)의 공압 실린더의 위치는 각기 제 1안내 부재(222) 및 제 2안내 부재(224)의 뒷부분, 예컨대, 상기 몸체(210)의 상부 면 말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222,224,226)와 개폐하는 수단(230,240)은 모두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이 복수 개 적층ㆍ탑재된 캐리어가 입력부(200)의 내부로 공급됨에 있어서 정확한 공급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 1안내 부재(222) 및 제 3안내 부재(226)의 절곡된 형상은 캐리어의 공급시 정확한 공급이 되지 않고 위치가 조금 변화하여 공급되더라도 상기 입력부(200) 내로의 정확한 공급을 유도하며, 더욱이 개폐하는 수단(230,240)은 안내하는 기능 외에 상기 캐리어의 공급 및 이송에 관련된 기능도 수행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롤러(2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롤러(260)는 각기 제 1개폐하는 수단의 전방, 상기 몸체(210)의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262); 관통 구멍을 갖는 한 쌍의 바퀴(264); 및 상기 한 쌍의 바퀴(264)의 관통 구멍에 각기 양단이 삽입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이 상기 바퀴의 관통 구멍의 내경보다 더 두꺼운 핀(266)을 갖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롤러(260)는 상기 볼 베어링(250)과 달리, 캐리어가 공급되는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설치된 것으로, 공급되는 방향 이외의 변위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롤러(260), 개폐하는 수단(230,240)의 걸림쇠(237,247) 및 볼 베어링(250)의 높이 관계를 설명하면, 롤러(260)와 볼 베어링(250)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개폐하는 수단(230,240)의 걸림쇠(237,247)의 높이는 롤러(260)와 볼 베어링(250)의 높이보다는 더 높다. 따라서, 캐리어가 입력부에 공급된 이후,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캐리어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걸림쇠(237,247)가 연동된 공압 실린더(232,242)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으로 된 상태의 높이는 상기 롤러(260)와 볼 베어링(250)의 높이보다는 더 낮기 때문에 캐리어의 공급 또는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높이 관계에 더불어 안내 부재(222,224,226)의 높이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안내 부재(222,224,226)의 높이는 적어도 롤러(260), 및 볼 베어링(250)의 높이보다는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만약, 전술된 바의 반대라면, 입력부에 공급된 캐리어는 움직이게 되고, 정확한 공급 또는 이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1은 도 2의 이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이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 부분(290)은 캐리어를 측면을 밀어서 후술되는 엘리베이터부(도시 안됨)로 이송하는 부분으로써, 도 1에서 전술된 몸체부(100)의 후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 판재(292); 그 한 쌍의 지지 판재(292)와 양단이 기계적 고정되어 있으며, 좌방 말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밀판(295) 및 스토파(stopper;297)을 갖는 슬라이딩 실린더(296)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실린더(294)의 길이는 상기 밀판(295)의 최초 위치가 적어도 전술된 지지 부분(270)의 내측에 공급된 캐리어의 좌측면과는 이격되어야 하며, 상기 밀판(295)의 최종 위치가 적어도 캐리어의 좌측면을 밀어서 후술되는 엘리베이터부로 완전하게 공급될 수 있는 길이, 예컨대, 상기 밀판(295)의 최초 위치에서 최종 위치까지의 길이보다는 적어도 더 길다.
도 13은 도 1의 엘리베이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엘리베이터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부(300)는 크게 전술된 입력부(200)로부터 이송된 캐리어를 탑재, 고정 및 지지하는 한편, 상승 및 하강시켜 후술되는 출력부(도시 안됨)로 이송하는 지지ㆍ이송 부분(370); 그 지지ㆍ이송 부분(37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구동 부분(380); 그 구동 부분(380)을 전기적 제어하여 지지ㆍ이송 부분(370)에 공급된 캐리어로부터 원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개별로 언로더/로더 장치로 공급하는 감지 부분(3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부분(380)의 상세한 구조는 도 15, 상기 지지ㆍ이송 부분(370)의 상세한 구조는 도 16 내지 도 18 그리고 감지 부분(390)의 상세한 구조는 도 19를 설명하는 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5는 도 13의 구동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 부분(380)은 전기 신호에 제어되어 구동되며, 전술된 몸체부(100)의 우면에 설치된 모터(382); 그 모터(382)와 연동되어 있으며, 전술된 몸체부(100)의 하부 면 및 상부 면에 각기 설치된 베어링(도시 안됨) 내부에 삽입ㆍ설치된 한편, 그 상단에 원판(385)이 설치된 나선 선회축(384); 및 상기 원판(385)을 감지하여 상기 나선 선회축(384)의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기(386);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모터(382)와 나선 선회축(384)과의 결합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몸체부(100)의 우면에 설치된 모터(382)는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모터(382)가 구동됨으로써, 벨트(383)에 의해 연동된 나선 선회축(384)이 공전(空轉;회전)되는 결합 관계를 갖는다.
상기 감지기(386) 및 나선 선회축(384)과의 결합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감지기(386)는 나선 선회축(384)의 상단에 설치된 원판(385)의 상, 하부 면에 동일하게 이격ㆍ설치된 손가락 형상으로써, 그 원판(385)의 변위 발생시 상기 원판(385)의 상부 또는 하부 면과의 기계적 접촉됨을 감지되어 상기 모터(382)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고, 결과적으로 모든 동작이 멈추게 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나선 선회축(384)은 전술된 몸체부(100)의 상단 면에 설치된 베어링(도시 안됨)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382)의 구동에 의하여 공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6은 도 14의 지지ㆍ이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1』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개폐하는 수단 및 롤러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지지ㆍ이송 부분(370)은 전술된 몸체부(100)의 우면과 인접된 하부 면과 상부 면과 각기 수직으로 설치된 원형 봉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안내 지주(310); 사각 형상의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상부 면과 하부 면이 각기 상기 안내 지주(310)에 삽입된 몸체(320); 그 몸체(320)의 양측면 하부와 마주보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20)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부분의 말단에 각기 하나의 관통 구멍을 갖는 한 쌍의 안내 부재(330); 그 안내 부재(330)의 마주보는 내면과 외면에 각기 설치된 보강 부재(342,344); 상기 안내 부재(330)의 관통 구멍들에 관통된 한편, 상기 몸체(320)에 설치된 개폐하는 수단(350); 상기 몸체(320)의 상부 면 중심 부분에 설치된 이송 부분(325); 및 상기 각 안내 부재(330)의 내측에 횡렬(橫列)로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36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안내 부재(330)와 보강 부재(342,344)간의 결합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보강 부재(342,344)는 전술된 몸체(320)의 하부 양측면에 설치된 안내 부재(330)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며, 그 한 쌍의 안내 부재(330)의 내면에 각기 설치된 원형 봉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보강 부재(342)와 그 안내 부재(330)의 외면과 각기 기계적 보강된 제 2보강 부재(3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보강 부재(342)가 상기 안내 부재(330)에 설치된 위치는 상기 안내 부재(330)의 횡렬로 설치된 롤러들(360)의 하부이고, 상기 제 2보강 부재(344)에는 후술되는 개폐하는 수단(350)의 로드(356)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부재(342,344)는 상기 안내 부재(330)의 롤러(360) 상부 면으로 전술된 입력부(200)로부터 이송된 복수 개의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의 총 중량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이면 가능하고, 형상이나 개수에 대하여는 변형이 가능하다.
도 17를 참조하여 롤러(36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롤러(360)는 중심 부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롤러 바퀴(364)가 상기 안내 부재(330)의 마주보는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362)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 삽입된 롤러 바퀴(364)가 상기 돌기(362)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말단 부분이 리베팅(riveting)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롤러(360)는 상기 돌기(362)를 중심으로 공전되며, 이는 전술된 입력부(200)로부터 이송된 캐리어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게 공전된다.
상기 개폐하는 수단(35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개폐하는 수단(350)은 갈고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걸림쇠(357)가 설치된 것 외에는 도 8의 개폐하는 수단(230)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8의 개폐하는 수단(230)의 지지대(248)의 역할을 안내 부재(330) 및 보강 부재(342,344)의 관통 구멍이 대신하고 있다.
도 18를 참조하여 개폐하는 수단(350) 및 롤러(360)의 높이 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개폐하는 수단(350)의 걸림쇠(357)의 높이, 예컨대, 닫혀진 상태의 높이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러(360)의 높이보다는 더 높다. 따라서, 캐리어가 입력부(200)에 공급된 이후,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캐리어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걸림쇠(357)가 연동된 공압 실린더(352)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으로 된 상태의 높이는 상기 롤러(360)의 높이보다는 더 낮기 때문에 캐리어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9는 도 13의 감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감지 부분(390)은 전술된 지지ㆍ이송 부분(370)의 몸체(320) 후면 우측 부분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간극(391a)이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는 간극자(391); 전술된 몸체부(100)의 상부 면 및 하부 면에 양 말단이 고정ㆍ설치된 원통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안내 로드(393); 상기 한 쌍의 안내 로드(393)에 삽입ㆍ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자(391)의 간극(391)에 의해 전기 신호가 ON/OFF됨을 감지하여 전술된 모터(382)를 선택적 구동시켜 상기 지지ㆍ이송 부분(37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복수 개의 감지기(394); 전술된 몸체부(100)의 우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기(394)에 의하여 감지된 전기 신호에 의하여 캐리어에 적층ㆍ탑재된 인쇄회로기판 중에서 원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밀어서 언로더/로더로 공급하는 푸셔(pusher;396))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간극자(391)는 『ㄷ』자 형상이며, 그 마주보는 양팔 중에서 한쪽 팔에, 예를 들어 12열의 일정한 간격으로 간극(39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ㆍ이송 부분(370)의 몸체(320)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기(394)에 대하여 설명하면, 감지기(394)는 마주보는 한 쌍의 손가락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으로부터 적외선이 송출되고, 그 다른 일단이 송출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구조로써, 이 상태를 『ON』이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감지기(394)의 일단으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을 다른 일단이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OFF』라 한다. 상기 감지기(394)는 상기 안내 로드(393)에 5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각 기능 및 위치는 모두 상이하다. 여기서, 최초 감지기(394)를 OFF시키기는 것, 최초 ON 상태의 감지기(394)를 OFF 시키는 것 및 재차 감지기(394)를 ON, OFF 시키는 것은 간극자(391)가 상기 감지기(394)의 일단과 다른 일단 사이를 통과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감지기 중에서 제 1, 2, 4(394a,394b,394c,394d) 및 제 5감지기(394e)는 안내 지주(393)의 우측에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3감지기(394c)는 2쌍의 손가락 형상의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극자(391)의 길이, 안내 지지(393)에 삽입ㆍ고정된 감지기(394)의 설치 위치와 기능, 그리고 푸셔의 작동에 의해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이 언로더/로더로 공급되는 작동 관계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 3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0은 도 2의 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의 출력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지지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지지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C1』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C2』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C3』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3의 『C4』부분을 확대하여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3의 롤러, 개폐하는 수단의 걸림쇠 및 볼 베어링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출력부(400)는 전술된 입력부(200)의 지지 부분(270)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9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에 의해 캐리어가 공급∼제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구성 요소의 번호 매김을 생략하며, 단지 작동 순서에 대한 번호 매김만을 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 이송 장치에 사용되는 캐리어는 12개의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을 적층ㆍ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캐리어는 가상선 그리고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9 내지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송 장치에 의해 캐리어가 공급∼제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9 내지 도 31은 검사용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가 입력부에 공급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 내지 도 34는 도 31의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5는 도 34 엘리베이터부로 이송된 캐리어가 최저 위치에서 최고 높이로 상승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세부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7 및 도 38은 도 35의 캐리어가 출력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9는 도 38의 엘리베이터부가 최저 위치로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0 및 41은 출력부로부터 캐리어가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도면들에 표시된 번호는 캐리어 이송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며, 그 번호를 중심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1): 최초 입력부와 엘리베이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2)(3): 전기 신호에 의해 입력부의 제 1개폐하는 수단이 열린 후, 캐리어가 공급된다. 여기서, 캐리어의 공급은 작업자에 의하거나 무인화된 운반 장치에 의한다.
(4): 캐리어의 공급이 완료되면,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제 1개폐하는 수단이 닫힌다.
(5)(6): 전기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 및 입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이 순차적으로 열린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의 요 홈은 그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의 걸림쇠간의 간격을 최소로 하기 위한 것이다.
(7)(8): 캐리어가 입력부의 실린더에 의해 입력부로부터 엘리베이터부로 이송된다.
(9): 엘리베이터부에 이송된 캐리어가 최초 위치로부터 최고 위치로 상승된다. 그 각 세부 단계는 도 3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6은 감지기와 간극자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시에 엘리베이터부의 각 상승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왜냐 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간극자가 엘리베이터부의 지지ㆍ이송 부분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자의 상승은 전체적인 엘리베이터부의 상승을 의미한다. 또한, 도 36은 감지기와 간극자를 평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①단계: 394b 감지기만 간극자의 최하부에 의해 OFF 상태이며, 나머지 감지기는 모두 ON 상태이다.
②단계: 입력부로부터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부로 이송된 상태이며, 최초 엘리베이터부가 하강되고, 간극자의 최하부가 394a 감지기를 OFF 상태로 단락하게 되면, 엘리베이터부는 상승하게 된다.
③-1단계: 상기 ②단계에서 상승된 간극자에 의해 394c1 감지기가 ON, 394c2 감지기가 OFF된 상태가 되면 엘리베이터부는 작동을 중지하고, 푸셔가 캐리어의 최하부로부터 1번째 적층ㆍ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밀어서 언로더/로더 장치로 공급하고, 이후 언로더/로더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가 탑재가 완료되면, 다시 캐리어의 원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된다. 그런 다음, 엘리베이터부는 다시 상승된다.
③-2단계: 상기 ③-1단계에서 상승된 간극자에 의해 394c1 감지기가 ON, 394c2 감지기가 OFF된 상태가 되면 엘리베이터부는 작동을 중지하고, 푸셔가 캐리어의 최하부로부터 2번째 적층ㆍ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밀어서 언로더/로더 장치로 공급하고, 이후 언로더/로더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가 탑재가 완료되면, 다시 캐리어의 원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된다. 그런 다음, 엘리베이터부는 다시 상승된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③-3단계 ∼ ③-10단계가 진행된다.
③-11단계: 상기 ③-10단계에서 상승된 간극자에 의해 394c1 감지기가 ON, 394c2 감지기가 OFF된 상태가 되면 엘리베이터부는 작동을 중지하고, 푸셔가 캐리어의 최하부로부터 12번째 적층ㆍ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밀어서 언로더/로더 장치로 공급하고, 이후 언로더/로더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가 탑재가 완료되면, 다시 캐리어의 원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된다. 그런 다음, 엘리베이터부는 다시 상승된다.
③-12단계: 상기 ③-11단계에서 상승된 간극자에 의해 394c1 감지기가 ON, 394c2 감지기가 OFF된 상태가 되면 엘리베이터부는 작동을 중지하고, 푸셔가 캐리어의 최하부로부터 11번째 적층ㆍ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밀어서 언로더/로더 장치로 공급하고, 이후 언로더/로더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가 탑재가 완료되면, 다시 캐리어의 원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탑재된다. 그런 다음, 엘리베이터부는 다시 상승된다.
④단계: ③-12단계에서 상승된 간극자에 의해 394d 감지기가 OFF된 상태로 되면, 엘리베이터부는 계속 상승된다. 이 때, 394c1 및 394c2 감지기의 상태는 무관하다.
⑤단계: ④단계에서 상승된 간극자에 의해 394e 감지기가 OFF 상태로 되면, 엘리베이터부의 상승은 정지되고,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부로부터 출력부로 이송되기 위한 준비가 진행된다. 이 때, 394d 감지기의 상태는 무관하다.
(10)(11)(12): 출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 및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순차적으로 열린다, 이후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부의 이송 부재에 의해 출력부로 이송된다.
(13)(14): 캐리어가 엘리베이터부로부터 출력부로 이송이 완료되면, 출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과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순차적으로 닫힌다.
(15): 엘리베이터부는 최초 위치로 하강된다. 이 때, 하강 위치는 도 36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①단계 위치이다.
(16)(17): 출력부의 제 1개폐하는 수단이 열린 후, 캐리어가 제거된다. 이 때, 캐리어의 제거는 작업자 또는 무인화된 운반 장치에 의한다.
(18): 최종 캐리어가 출력부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 이송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가 탑재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반대인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패키지가 제거되는 경우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행된다. 왜냐 하면,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를 탑재 또는 제거하는 것을 언로더/로더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개폐하는 수단간의 열리고 닫히는 순서에 대해서는 많은 변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캐리어 이송 장치의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캐리어의 이송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5)(6)단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완전히 열린 것을 감지한 후에 입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이 열리고, 이후 입력부의 이송 부재에 의해 캐리어가 이송됨이 캐리어의 이송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만약, 입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 및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순차적으로 열리는 방법이라면,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열림을 감지하고 이후 입력부의 이송 부재에 의해 캐리어가 이송되기 때문에 단지 1단계의 안전 장치만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안전 장치의 고장 빈도와 본 발명과 같이 엘리베이터부의 개폐하는 수단이 열리는 것과 입력부의 제 2개폐하는 수단이 완전히 열리는 것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2단계 안전 장치가 있는 경우의 고장 빈도는 월등히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로서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ㆍ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自明)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적층ㆍ탑재된 캐리어 단위 상태로 원하는 만큼의 패키지가 각 인쇄회로기판에 탑재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과; 언로더/로더∼검사 장치간의 모든 단계를 자동화함에 있어서, 캐리어를 캐리어 이송 장치 및 검사 장치로부터 제거 또는 탑재하는 한편, 캐리어 이송 장치∼검사 장치간을 무인(無人)화된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키지의 검사 외의 부수적인 시간 손실을 방지하여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 몸체부;
    그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몸체, 그 몸체의 좌방 및 후방 상부 면 말단에 설치된 안내 부재, 그 몸체의 전방 및 우방의 각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하는 수단, 상기 안내 부재와 개폐하는 수단과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굴림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이송되는 이송하는 수단을 갖는 입력부;
    상기 몸체부 내부의 하부 및 상부 면과 각기 설치된 한 쌍의 안내 지주,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에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하부 및 상부 면에 설치된 선회축, 상기 한 쌍의 안내 지주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축과 연동된 몸체, 그 몸체의 하부 양말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부재, 그 안내 부재간의 내측과 설치된 복수 개의 보강 부재, 상기 보강 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 개의 굴림대, 상기 몸체와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하는 수단, 상기 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 이송하는 수단, 전기 신호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고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수평으로 복수 개의 간극이 형성된 간극자,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자의 간극에 의해 전기 신호가 ON/OFF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복수 개의 감지기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기의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우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몸체, 그 몸체의 좌방 및 후방 상부 면 말단에 설치된 안내 부재, 그 몸체의 전방 및 우방의 각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하는 수단 및 상기 안내 부재와 개폐하는 수단과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굴림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부의 좌측에 배치된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하는 수단이 다음: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
    그 공압 실린더와 연동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걸림쇠가 설치된 로드; 및
    그 로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굴림대가 상기 안내 부재와 개폐하는 수단의 내측에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볼 베어링과 상기 개폐하는 수단의 전방에 이격ㆍ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이며, 높이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공전(회전) 방향이 전방에서 후방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전(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하는 수단이 닫혀진 상태의 걸림쇠 높이가 상기 볼 베어링 및 롤러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열려진 상태의 걸림쇠 높이가 상기 볼 베어링 및 롤러의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엘리베이터부의 이송하는 수단이 공압으로 작동되는 슬라이딩 실린더이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좌우 또는 우좌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부의 굴림대가 롤러이며, 그 공전 방향은 롤러가 횡렬로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일단이 적외선을 송출하고 다른 일단이 수신하는 적외선 감지기이며, 상기 간극자가 상기 두 일단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ON/OFF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엘리베이터부의 몸체가 상기 간극자의 간극만큼 상승되며, 상기 푸셔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장치.
KR1019960077187A 1995-12-30 1996-12-30 캐리어 이송 장치 KR100222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175A KR970053345A (ko) 1995-12-30 1995-12-30 캐리어(carrier) 이송 장치
KR101995068175 1995-12-30
KR1995-68175 1995-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359A KR970053359A (ko) 1997-07-31
KR100222297B1 true KR100222297B1 (ko) 1999-10-01

Family

ID=19447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8175A KR970053345A (ko) 1995-12-30 1995-12-30 캐리어(carrier) 이송 장치
KR1019960077187A KR100222297B1 (ko) 1995-12-30 1996-12-30 캐리어 이송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8175A KR970053345A (ko) 1995-12-30 1995-12-30 캐리어(carrier)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42723A (ko)
JP (1) JP2732829B2 (ko)
KR (2) KR970053345A (ko)
CN (1) CN1132510C (ko)
TW (1) TW3596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74B1 (ko) 2008-01-29 2010-02-12 (주)테크윙 전자부품 검사 지원을 위한 핸들러용 캐리어보드이송시스템 및 전자부품 검사 지원을 위한 핸들러의 챔버내에서의 캐리어보드 이송방법
KR101002326B1 (ko) 2003-12-30 2010-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2738B1 (en) * 1996-07-15 2005-09-13 Semitool, Inc. Automated semiconductor processing system
DE19805624A1 (de) * 1998-02-12 1999-09-23 Acr Automation In Cleanroom Schleuse zum Öffnen und Schließen von Reinraumtransport-Boxen
KR100599956B1 (ko) * 1999-12-24 2006-07-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유리 기판 반입/반출 장치
WO2002005313A2 (en) * 2000-07-07 2002-01-17 Semitool, Inc. Automated processing system
US6977515B2 (en) * 2001-09-20 2005-12-20 Wentwort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forming photo-defined micro electrical contacts
US6906540B2 (en) * 2001-09-20 2005-06-14 Wentwort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chemically etching photo-defined micro electrical contacts
US20040042789A1 (en) * 2002-08-30 2004-03-04 Celanese Venture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in films from a source position to a target position
US20040080852A1 (en) * 2002-10-18 2004-04-29 Seagate Technology Llc Disc caddy feeder system with caddy gripper for data storage devices
US7165303B2 (en) * 2002-12-16 2007-01-23 Seagate Technology Llc Disc cassette delidder and feeder system for data storage devices
US20060000752A1 (en) * 2003-03-28 2006-01-05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tack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7195236B2 (en) * 2003-03-28 2007-03-27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Automated indu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il and/or other objects
US20050077217A1 (en) * 2003-03-28 2005-04-14 Hillerich Thomas A. Carrier for mail and/or the like thin objects
US20040245714A1 (en) * 2003-05-13 2004-12-09 Ryan Patrick J. Enhanced object-feeder pre-processing system
JP4732360B2 (ja) * 2003-11-14 2011-07-27 ウエントワース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立補助材が組み込まれたダイ設計
US20060099065A1 (en) * 2004-08-27 2006-05-11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Preparation operator flex-station for carrier preparation
EP1794073B1 (en) * 2004-09-24 2014-03-0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Anti-toppling device for mail and/or the like
US7766171B2 (en) * 2008-02-28 2010-08-03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Rigid storage tray for flat and letter mail
KR20110092891A (ko)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조리기
CN105252892A (zh) * 2015-09-15 2016-01-20 深圳市和田古德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z轴倒三角伺服丝杆直联升降机构装置
CN105357943A (zh) * 2015-11-27 2016-02-24 苏州康贝尔电子设备有限公司 板件运输升降装置
CN106328562B (zh) * 2016-09-25 2018-11-16 泉州市泉港区玛纳利华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封装线缓冲下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057A (en) * 1986-09-11 1989-02-28 Sardee Corporation Workload regulator for automated production
JP3147451B2 (ja) * 1991-12-04 2001-03-19 株式会社石井工作研究所 Icストッカ、ic取出位置決め装置及びic供給システム
JPH0753009A (ja) * 1993-08-12 1995-02-28 Shinkawa Ltd マガジン搬送装置
JP3344850B2 (ja) * 1993-12-28 2002-11-18 株式会社リコー 部品供給装置
DE4409532C2 (de) * 1994-03-21 1996-09-26 Felsomat Gmbh & Co Kg Handhabungs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26B1 (ko) 2003-12-30 2010-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리어
KR100941674B1 (ko) 2008-01-29 2010-02-12 (주)테크윙 전자부품 검사 지원을 위한 핸들러용 캐리어보드이송시스템 및 전자부품 검사 지원을 위한 핸들러의 챔버내에서의 캐리어보드 이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32829B2 (ja) 1998-03-30
CN1132510C (zh) 2003-12-24
US6142723A (en) 2000-11-07
KR970053345A (ko) 1997-07-31
CN1161632A (zh) 1997-10-08
TW359659B (en) 1999-06-01
KR970053359A (ko) 1997-07-31
JPH09199889A (ja)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297B1 (ko) 캐리어 이송 장치
US8322282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lithographic plates to a press cylinder
KR20050077714A (ko) 유리 기판의 반송 시스템
KR0183493B1 (ko) 강판의 격납 및 입출고 설비
US5009303A (en) Automatic case accumulator
WO2006123520A1 (ja) 基板搬出入装置及び基板搬出入方法
KR20110013713A (ko) 팔레트 수하물 센터링 머신
JP2017030884A (ja) パレット分離設備
KR20050027988A (ko) 제조라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쓰여지는 자동창고
CN212832621U (zh) 升降机
CN114655614A (zh) 自动装卸料设备
CN114798457B (zh) 一种pad金属背板平面度与段差检测设备
JPH09175634A (ja) パレット整列装置
JP4086921B2 (ja) 遊技機製造用釘打装置
CN218753290U (zh) 一种托盘输送装置及物料输送设备
JPH08319020A (ja) コンベア搬送装置及びコンベア搬送方法
CN219949641U (zh) 翻转装置以及输送设备
CN221625200U (zh) 一种自动化物料装卸车系统
KR102405128B1 (ko)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파렛트 이송방법
KR102420678B1 (ko) 케미컬 용기 이송 시스템
JPH0789608A (ja) 搬送装置
KR102656633B1 (ko) Pcb 양산용 다열식 핸들링 시스템
KR10221204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3621518B2 (ja) パレットへの物品積込み装置
JPH0450776A (ja) 電子製品の多段棚式運転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