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19639B1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639B1
KR100219639B1 KR1019970025217A KR19970025217A KR100219639B1 KR 100219639 B1 KR100219639 B1 KR 100219639B1 KR 1019970025217 A KR1019970025217 A KR 1019970025217A KR 19970025217 A KR19970025217 A KR 19970025217A KR 100219639 B1 KR100219639 B1 KR 10021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heet
hole
pair
torsion dam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774A (ko
Inventor
정명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639B1/ko
Priority to CN98106214A priority patent/CN1090766C/zh
Publication of KR1999000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6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클러치 디스크의 동력 입력 및 출력 회전 요소에 제공된 윈도우홀들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동력 입력 및 출력 회전요소를 이들의 회전 방향으로 탄성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들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 상기 탄성부재(12)는 상기 시트부재(11)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돌기(20) 및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11)에 제공된 관통 구멍(16)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부재 및 시트부재들의 토션 댐퍼를 조립함에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 내에 배치된 토션 댐퍼(torsion damper)를 갖추고 있는 클러치 디스크(clutch disk)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인 부분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는 클러치 내에 배치된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 단면 개략 측면도.
도 3은 제1도의 댐퍼 클러치로부터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토션 템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댕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토션 댐퍼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디스크의 적어도 두 부분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클러치 디스크는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디스크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 클러치 디스크는 동력 입력 회전요소의 역할을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Clutch plate)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retainingplate)와 , 동력 출력 회전요소의 역할을 하는 스플라인 허브(spline hub)와, 그리고 이들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부재를 가지고 있다.일반적으로, 탄성부재로는 코일 스프링(토션 스프링)이 이용되며, 보통 각각의 동력 입력 및 출력 회전 요소에 형성된 윈도우 홀(windolv hole)내에 배치된다. 클러치 플레이트와 리테이닝 플레이트로부터 토크는 토션 스프링을 거쳐서 플레이트들의 윈도우 홀들의 끝면 들로부터 스플라인 허브로 전달된다. 동력이 전달되는 동안에, 토션 스프링은 압축된 후 클러치 플레이트와 리테이닝 플레이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변위에 대응하여 전달된 동력의 진동 및 파동을 흡수하는 회전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몇몇 클러치 디스크에서는, 단일블럭의 토션 러버가 코일 스프링과 함께 이동되어 토크의 전달 및 진동의 흡수를 최적화하기 위한 또 다른 탄성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토션 러버는 토션 스프링과 동심으로 위치하며, 동력의 입력 및 출력 회전요소들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변위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몇몇 클러치 디스크에서는, 레진(resin)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진 시트(seat)부재가 탄성부재의 양단에 제공된다. 각 시트부재의 일단면은 클러치 플레이트 또는리테이닝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타단면은 탄성부재의 일단에 결합된다.
토션 러버는 토션 스프링과 유사하게 압축되는데,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시트부재 및 탄성부재는 종종 동력 입력 및 출력 회전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 운동에 대응하는 클러치 디스크의 방사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비틀린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는, 전단력이, 탄성부재의 끝면이 시트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탄성부재 또는 부착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오랜 사용 후, 반복되는 압축으로 인하여 내구성 결핍이 접촉면의 주변에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장치의 경우, 제조공정 중 부착단계가 요구되는데, 이는 제조비용의 증가를 유발시킨다. 게다가, 부착강도가 일정치까지 이르러야 하기 때문에, 탄성부재 및 시트부재로 선택될 수 있는 재질이 한정되므로, 그 재료값이 증가하게 된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제 없이 탄성부재와 시트부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토션 러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명을 늘릴 수 있고 부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토션 러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 및 시트부재의 재질에 대한 선택의 다양성을 크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을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와 시트부재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가 압축력을 받으면서 부드럽게 시트부재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측으로 개구하는 구멍(孔)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재는상기 한쌍의 시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원주부와 상기 구멍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과 상기 결합부는 서로 이탈할 수 없도록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는다.
상기 계합부는 상기 구멍에 형성된 환상돌기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환상돌기에 끼워지는 환상요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개구하는 구멍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원주부와 상기 구멍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 제공된 구멍은 그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큰 직경을 갖는 테이퍼된 형상이며 ,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결합부는 상기 시트부재의 테이퍼 된 구멍에 대응하는 테이퍼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는 상기 구멍내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어 상기 구멍과 결합부는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상기 결합부에는 환상돌기가 제공되어있으며, 상기 구멍에는 상기 환상돌기와 결합하는 환상요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런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으며 ,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는 상기 구멍내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어 상기 구멍과 결합부는 결합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시트부재에 가까운 곳의 직경이 그 내측보다 작도록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테이퍼진 구멍에 대응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외측 방사립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대략 구형이고,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양면은 상기탄성부재와 접촉하는 구형상의 요형면(凹形面)을 갖는다. 상기 시트부재의 구형 요형면의 직경은 상기 구형 탄성부재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제1 시트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며 제2 시트부재 둘레로 연장하는 원통형 립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비금속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하는 원통형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는,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는 중심 구멍 및 상기 중심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시트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는 고정요소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용 토션댐퍼는 동력 입력 회전요소 및 동력 출력 회전요소 사이에는 토크를 전달하면서 압축되고 탄성부재는 댐퍼가 압축되면서 방사 방향으로 팽창한다. 시트부재 및 탄성부재가 이들 각각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므로,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접착제가 필요치 않으며, 전단력 및 바람직하지 못한 비틀림력이 접촉면에서 방지된다. 따라서, 접착면 및 그 주변부에서는 크랙(crack)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밖에, 접착을 고려하지 않고 시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작동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재질을 광범위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토크가위 요소들 사이에 부드럽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댐핑능력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선 0-0은 회전 중심축선이다.
클러치의 중심에는 허브(1)가 위치되어, 동력 출력 요소로서 작동하는 변속기축(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허브(1)는 그 중심에 형성된 스플라인 홀(1a)과 외주로 연장하는 플랜지(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2)의 외주에는, 네 개의 윈도우 홀(2a)(노치)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 한쌍의 디스크 형상의 사이드 플레이트, 즉, 클러치 플레이트(4)와 리테이닝 플레이트(5)가 플랜지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플레이트들(4,5)은 다수의 스토퍼 핀(6, 도 1에서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서 고정된다.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4,5)는 이들 각각의 외주에 형성된 4개의윈도우 홀(4a,5a)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쿠션(cushioning) 플레이트(7)가 리벳들에 의해서 클러치 플레이트(4)의 외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마찰 페이싱(facing)(8)들이 각각의 쿠션 플레이트(7)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다.
축선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윈도우 홀(2a)(4a)에는, 토션 스프링(9)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토션 스프링의 양 끝면은, 클러치 플레이트(4)와 리테이닝 플레이트(5)에 형성된 윈도우 홀(4a,5a)의 원주방향으로의 양끝을 이루는 끝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토션 스프링(9)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클러치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서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유지된다.
토션 댐퍼(10)가 토션 스프링(9)의 내측에 동심으로 위치되어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션 댐퍼(10)는 (디스크의 회전방향과 거의 대응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시트부재(11)와 시트부재(11) 사이에 위치된 탄성부재(12)의 조립체이다. 이 탄성부재(12)는 댐퍼의 중심선(A-A)을따르는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크에서, 쿠션 플레이트(7)를 거쳐서 마찰 페이싱들로부터 리테이닝 플레이트(4.5)로 전달되는 토크는 토션 스프링(9) 및 토션 댐퍼(10)를 거쳐서플랜지(2)로 전달된 후, 허브(1)를 거쳐서, 변속기 축(도시생략)으로 최종 전달된다.
이상과 같은 변속기에 있어서, 토션 댐퍼(10)의 시트부재(11)는 실질적으로 팽창 및 수축하지는 않으나, 탄성부재가 팽창 및 수축을 하는 동안에 시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이 시트부재(11)는 탄성부재(12)에 의해서 윈도우 홀을 형성하는 끝면들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며, 탄성부재(12)를 보호하는데 유용하다.
디스크의 기본 작동 및 토션 댐퍼(10)의 역할이 이상에서 설명되었으며, 토션 댐퍼(10)를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토션 댐퍼(10)는 시트부재(11)와 탄성부재(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의 중심선(A-A)은 클러치 디스크의 회전방향과 대략 거의 유사하다. 시트부재(11)는 예를 들면, 몰딩 나일론 6-6 또는 이와 유사한 폴리머 또는 단단하나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원통형 재질이다. 금속재질로 시트부재를 만들 수 있으나, 나일론 재질이 보다 바람직하다. 매우 다양한 형상 및 패턴의 시트부재(11)와 탄성부재(12)의 조립이 채택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부착제 없이도 이들을 조립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
도 3에서 도시되고 있는 토션 댐퍼(10)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시트부재(11)가 각각 전체적으로 시트부재 몸체(15)로 만들어져 있다. 각각의 시트부재 몸체(15)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선(A-A)과 동심을 이루고 있고, 관통 구멍(오목부)(16)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 구멍(16)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직경부, 즉,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부(16A)와 른 직경부(또는 환상요부)(16B)를 포함하고 있다. 큰 직경부(16B)는 내면(26)을 가지고 있다. 작은 직경부(16A)와 큰 직경부(16B) 사이에는 환상의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면(28)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는 거의 원통형상이며 대향하는 시트부재 몸체(15) 사이에 개재된 원주부(17)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부재(12)는 중심선(A-A)과 동심을 이루는 원주부(17)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는 결합부(2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12)는 원주부(17) 및 단일 블록 재질로 형성된 결합부(2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결합부(20)는 원주부(17)에 이웃하는 상대적으로 작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스템(21)과 스템의 일단에 이웃하는 상대적으로 크고 이러한 직경을 가지는헤드(또는 환상돌기)(22)로 형성되어 있다. 스템(21) 및 헤드(22)는 구멍(16)에 단단히 끼워져 있다. 원주부(17)는 모따진 끝면을 포함하는 가장자리(24)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스템(21)의 외주면은 구멍의 작은 직경부의 내면에 접촉하며, 헤드(22)의 외주면(25)과 구멍(16)의 내주는 중심선(A-A)과 평행하게 서로 접촉한다. 또한, 헤드(22)의 환상면(27)은 중심선(A-A)에 수직하는 면(28)에 접촉한다. 또한, 원주부(17)의 끝면(30)과 시트부재 몸체(15)의 끝면(31)은 중심선(A-A)에 수직하게 서로 접촉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촉면에는 어떠한 접착제도 사용되지 않아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 쌍들이 단순히 이들과 평행한 마찰력과 수직인 미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템과 헤드의 접촉면(25)과 시트부재 몸체들(15)의 접촉면은 단순히 중심선(A-A)과 평행한 마찰력과 토션 댐퍼의 방사방향으로 미는 힘을 서로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몇 부분에서의 접촉은 시트부재(11)와 탄성부재(12)가 항상 특별한 상호관계에 있는 위치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2)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서 전달된 토크에 대응하여 압축되며 방사방향 외측으로 팽창한다. 접촉면(27,28)과 끝면(30)에 평행한 마찰력은 토션 댐퍼(10)의 본 모양을 유지 시켜주는데 일조한다. 우선, 방사방향으로, 방사방향의 미는 힘이 접촉면(25,26)을 거쳐서 중심선(A-A)의 방향으로 전달된다. 전단력 및 장력은 어느 접촉면으로도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균열 및 부분적 피로의 원인이 되는 응력이 더 이상 접촉지역 및 그 주변에 집중되지 않는다. 제2 실시 예
도 4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2 실시 예에서는, 결합부(20)가 상대적으로 짧고, 거의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직경을 가지는 외주면(접촉면(25))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직경은 최외측단(또는 환상돌기)(20E)에서 가장 크게 되어 있다. 접촉면(25)과 접촉하고 있는 각각의 시트부재(11)의 접촉면(또는 환상요부)(26)은 접촉면(25)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토션 댐퍼(10)의 나머지 요소들은 대체로 도 3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요소들과 유사하게 되어 있다. 도 4에서 도시되고 있는 이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부착제가 사용되지 않았다.
제3 실시 예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3 실시 예에서는, 환상요부(40)가 결합부(20)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0)의 직경은 환상요부(40)부분을 제외하고는 일정하게 이루어져 있다. 구멍(16)의 내주면에서는, 환상돌기(41)가 환상요부(40)내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요부(40) 및 환상돌기(41)의 횡단면은 각각 반구형으로 되어 있다. 결합부(20)는 구멍(16)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끼워져 있다.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는 토션 댐퍼(10)의 나머지 요소들은 대체로 도 3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요소들과 유사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 예에서와 유사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 예
도 6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4 실시예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요부(40)와 환상돌기(41)가 빠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제4 실시예에서, 면들(25,26)이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만으로 결합부(20)를 구멍내에 유지시킨다. 마찰력은 시트부재(11) 및 탄성부재(12)가 서로에 대하여 위치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위의 실시 예들과 동일한 특징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5 실시 예
도 7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5 실시 예에서는, 결합부(20)가 상대적으로 짧고 테이퍼된 외주면인 접촉면(35)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35)은 이것의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토록 테이퍼되어 있다 각각의 시트부재(11)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결합부(20)가 단단히 압축 접촉되어 끼워지는 오목한 구멍(43)이 제공되어 있다 .
제6 실시 예
도 8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6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상의 원주부(17)에 중앙관통 구멍(45)이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시트부재 몸체(15)의 끝면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결합부(46)가 제공되어 있다. 결합부(46)는 대체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있으며 누름 접촉상태로 구멍(45)내로 연장한다
이 실시 예에서, 결합을 위한 구멍 및 결합부가 위의 실시 예에 비하여 반대로 형상 지워져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위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 및 특징이 얻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및 이하 설명될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12)의 전체적인 크기는 탄성부재(12)가 시트부재(15)로 연장하느냐 또는 시트부재(15)가 탄성부재 내로 연장하느냐에 따라 변환된다 따라서, 러버재질의 탄성특성은 체적 및 기하학적 방향의 변화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참작하면, 위에서 언급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 전체적으로 토션 댐퍼의 체적 및 치수그리고 형상 등의 변화없이 다양한 탄성특성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7 실시 예
도 9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7 실시예는 오목한 구멍(45)이 원주부(17)를 관통하여 연장하고 않고, 결합부(46)가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가지는 원주부(17)의 양단에 만곡부 또는 구멍(45)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의 제6실시예와 유사하다. 환상요부(47)는 거의 반원의 단면을 가지는 각각의 구멍(45)내에 제공되어 있다. 환상돌기(48)가 각각의 결합부(46)상에 형성되어 환상돌기들이 환상요부(47)에 맞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환상돌기(48)는 환상요부(47)내로꼭 끼워진다.
이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 및 특징을 갖는다. 특히, 도 8의 제6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심선 방향사이의 위치변화는 환상요부(47) 및 환상돌기(48)에 의해서 현격히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 댐퍼(10)의 작동상의 필요에따라서 제6 실시예와 제7 실시에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8 실시 예
제8 실시예가 도 10에서 도시되고 있는데, 단순히 구멍(45) 및 결합부(46)가 테이퍼진 것만을 제외하고는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9 실시 예
도 11에서 도시되는 제9 실시 예에서, 구형 또는 원형 면(50)이 각각의 시트부재 몸체(15)의 내측 끝면의 외주근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시트부재 몸체(15)는 외측방사립(51)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방사립(51)은 몸체(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부재 몸체(15)를 향하여 연장한다. 내주면(50)은 방사립(51)상에 형성되어 그 형상이 방사방향으로 끝면(31)의 외주에 근접한 휘어진 면이 되도록 부분 구형이 된다. 면(50)의 곡률반경은 원주부(17)의 끝면의 가장자리(24)의 외주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약간 크다.
이러한 사항을 제외하면, 이 제9 실시예는 도 8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6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앞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특징들 이외에도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탄성부재(11)가 시트부재(11)에 대하여 다소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 가장자리(24)는 곡면(50)과 접촉하게 되어 이 곡면(50)과 방사립(51)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압력 및 응력이 탄성부재(12)를 손상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0 실시 예
도 12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10 실시예는 도 9에서 도시되고 있는 형상과 도11에서 도시되고 있는 요소들과 유사한 면(50) 및 외측방사립(51)을 조합한 것으로,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11 실시 예
도 13에서 도시되는 제11 실시예는 도 10의 형상과 도 11에서 도시되는 요소와 유사한 외측방사립(51)을 조합한 것으로,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12 실시 예
도 14에서 도시되는 제12 실시 예에서는, 원주부()7)가 대체로 구형으로 되어있으며, 각각의 시트부재 몸체(15)는 대체로 구형의 홈끝면(31)과 결합하는 요형면(30)을 가지고 있다. 구형 홈끝면(31)은 원주부(17)의 끝면(30)보다 조금 큰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결합부(55)가 각각의 시트부재(11)내에 제공되어 있으며, 오목한 구멍(56)이 탄성부재(17)에 형성되어, 결합부(55)가 탄성부재(12)와 긴밀하게 접촉 끼워진다.
이러한 형상에서, 곡률 홈끝면 및 요형면(30,31)은 적은 마찰을 가지는 시트부재(11) 및 탄성부재(12) 사이에 상대적인 기울어짐이 효과적으로 생기게 하여, 기울어짐에 의해 원인이 되는 국부적 응력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압축시의 토크전달이 부드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3 실시 예
도 15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13 실시 예에서는, 휘어진 끝면 및 요형면(30,31)이 도 14의제13 실시 예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결합부(57)가 탄성부재에 제공되어있고, 오목한 구멍(58)이 시트부재 몸체(15)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7)는 오목한 구멍(58)내로 타이트하게 끼워진다. 이 실시예는 제12 실시예와 매우 동일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4 실시 예
도 16에서 도시되고 있는 제14 실시 예에서는, 탄성부재(12)가 구형으로 되어있고 시트부재(11,11')는 원뿔형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요형면(30)을 가지고 있다. 시트부재(11')에는 제2 시트부재(11)의 시트부재 몸체(15)의 외주를 지나서 이 시트부재 몸체(15)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립(60)이 일체로 제공되어 있다. 원통형 립(60)이 제2 시트부재(11)의 외주둘레에 끼워짐에 따라, 시트부재(11,11')는 단일체로 조립된다. 탄성부재(12)는 시트부재(11,111) 사이의 원통형 립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공간내로 들어가며, 원통형 립(6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놓이므로서, 시트부재(11,11')와 동심으로 유지된다.
제15 실시 예
도 17에서 도시되는 제15 실시 예에서는, 탄성부재(12)가 원주부(17)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연장부(62)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연장부(62)는 시트부재(11)를 전체적으로 둘러싼다.
이러한 형상으로, 시트부재(11) 및 탄성부재(12)가 서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착제가 시트부재(11) 및 탄성부재(12) 사이에 이용되지 않으므로, 앞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6 실시 예
도 18에서 도시되는 제16 실시예는 도 17의 제17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연장부(62)의 먼 끝단이 개방되어 있고, 방사방향으로 향하는 끝단(63)은 각각의 시트부재(11)의 외측끝내의 외주에 제공된 노치(64)내에 끼워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15 실시예와 동일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7 실시 예
도 19에서 도시된 제17 실시예는 도 18의 제16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연장부(62)가 상대적으로 짧고 이것의 먼 끝단에 각각의 시트부재(11)의 긴 연장부의 중간부 외측으로 위치된다. 반구형 단면을 가지는 환상돌기(65)가 연장부(62)의 먼끝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환상돌기(65)는 각각의 시트부재(11)의 외주면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환상요부(66)내로 끼워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15실시예와 동일한 특징 및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8 실시 예
도 20에서 도시된 제18 실시예의 도 3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1 실시예에서의 결합부와 환상돌기를 연결하는 요소가 이 실시 예에서는 단일 고정요소(70)로 대치되며 이 고정요소(70)는 리벳과 유사하게 원주부(17)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용 토션댐퍼에 있어서, 시트부재 및 탄성부재가 접착제 없이 조립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에 의해 원인이 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국부 적응력이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의 수명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공정이 없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그밖에, 접착을 고려하지 않고 시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작동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재질을 광범위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시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결합은 두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어떤 결합요소의 결합부가 스템 및 헤드로 되어 있거나, 립 또는 돌기가 다른 곳에 제공되면서 환상요부가 상기 결합부 또는 볼록부의 한곳에 제공되는 경우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두 요소의 결합은 결합부 및 구멍이 테이퍼졌을 경우에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계합부로서 환상돌기를 관통 구멍에 형성하는 것은 제조상에 유리한 점이 있다.
시트부재들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면서, 탄성부재가 구형일 경우, 탄성부재와 시트부재 사이로 토크를 부드럽게 전달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배열이 맞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댐퍼에서는, 시트부재들이 탄성부재에 제공된 원통형 결합부내로 묻혀있기 때문에, 이들 요소 사이에 접착제가 없어도 위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 및 시트부재들의 결합은, 환상요부가 각각의 시트부재의 외주면에 제공되면서, 원통형 연장부의 내주면에 환상돌기가 제공될 경우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댐퍼에서는, 탄성부재 및 시트부재들이 고정 요소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게다가 요소들이 더욱 확실히 서로 결합한다.

Claims (11)

  1.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측으로 개구하는 구멍(孔)을 가지고, 상기 타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시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원주부와 상기 구멍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과 상기 결합부는 서로 이탈할 수 없도록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구멍에 형성된 환상돌기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환상돌기에 끼워지는 환상요부로 이루어지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
  3.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 ,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개구하는 구멍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원주부와 상기 구멍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 제공된 구멍은 그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큰 직경을 갖는 테이퍼된 형상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결합부는 상기 시트부재의 테이퍼된 구멍에 대응하는 테이퍼된 형상인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
  4.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는 상기 구멍내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어 상기 구멍과 결합부는 마찰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상기 결합부에는 환상돌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구멍에는 상기 환상돌기와 결합하는 환상요부가 제공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
  5. 한쌍의 시트부재와,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는 상기 구멍내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가 제공되어 상기 구멍과 결합부는 결합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시트부재에 가까운 곳의 직경이 그 내측보다 작도록 테이퍼져 있으며 ,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테이퍼진 구멍에 대응하도록 테이퍼져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외측방사립이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7.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 ,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대략 구형이고,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양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구형상의 요형면(凹形面)이 제공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구형 요형면의 직경은 상기 구형 탄성부재의 직경보다 큰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9. 제7항에 있어서, 제1 시트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며 제2 시트부재 둘레로 연장하는 원통형 립이 제공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10.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비금속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각의 시트부재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하는 원통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11. 한쌍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구적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디스크용 토션 댐퍼에서서,
    상기 한쌍의 시트부재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금속보다 경량의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는 중심 구멍 및 상기 중심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시트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는 고정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
KR1019970025217A 1997-06-17 1997-06-17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217A KR100219639B1 (ko) 1997-06-17 1997-06-17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CN98106214A CN1090766C (zh) 1997-06-17 1998-04-08 反射型投影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217A KR100219639B1 (ko) 1997-06-17 1997-06-17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74A KR19990001774A (ko) 1999-01-15
KR100219639B1 true KR100219639B1 (ko) 1999-09-01

Family

ID=1950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2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639B1 (ko) 1997-06-17 1997-06-17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19639B1 (ko)
CN (1) CN109076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43780A1 (en) * 2019-07-12 2022-08-04 Nok Corporation Buffer stop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51596U (zh) * 2012-10-04 2013-04-21 Tera Xtal Technology Corp 具雙折射結構之觸控顯示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43780A1 (en) * 2019-07-12 2022-08-04 Nok Corporation Buffer st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66C (zh) 2002-09-11
KR19990001774A (ko) 1999-01-15
CN1202630A (zh) 199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9693B1 (ko) 클러치 디스크용 토션 댐퍼
US6119839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2569276B2 (ja) ねじり振動減衰器
JP3848508B2 (ja) ダンパー機構
EP0219341B1 (en) Dual-type damper device
KR100408803B1 (ko) 댐퍼 기구
EP0696694B1 (en) Torque absorbing disc
US6015035A (en) Clutch disk
US5141474A (en) Damper disc
JP2003278792A (ja) 捩じれ緩衝ディスク
KR100219639B1 (ko)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JP3731236B2 (ja) トーションダンパ
JP3398160B2 (ja) 軸継手
KR20010032819A (ko) 이중 질량부 감쇠 플라이휠
CN111819373B (zh) 摆式阻尼装置
JP3986266B2 (ja) 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US20040040818A1 (en) Clutch driven plate
EP0708265B1 (en) Undulated spring and damper mechanism
JP2004504571A (ja) 摩擦クラッチ用被駆動板
KR100602305B1 (ko) 마찰 클러치 디스크용 비틀림 댐퍼
JP3429574B2 (ja) 曲がり板ばね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KR20190136614A (ko) 차량용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JPH1082440A (ja) ダンパ用コイル・スプリング
JP3727186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およびそのプレート部材
JP2003336689A (ja) フライホイール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