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862B1 - 베니어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베니어 가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6862B1 KR100216862B1 KR1019970039638A KR19970039638A KR100216862B1 KR 100216862 B1 KR100216862 B1 KR 100216862B1 KR 1019970039638 A KR1019970039638 A KR 1019970039638A KR 19970039638 A KR19970039638 A KR 19970039638A KR 100216862 B1 KR100216862 B1 KR 100216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eer
- conveying
- path
- conveying means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B30B7/023—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 B27D3/02—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with a plurality of press plates, i.e. multi- platen hot pr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 B27D3/04—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with endless arrangement of moving press plates, bel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체가 서로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재치된 적어도 3개의 가압체 ; 각각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된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전진 이송 경로를, 전진 이송 경로로와 반대인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무단 벨트 ; 및 소정 압력으로 베니어를 가압하도록 무단 벨트를 구비한 가압체를 비가압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 부재로 구성된 베니어 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가압 장치에서의 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상에 재치되어 있고 이송 방향이 전진 이송 경로와 같은 제1 이송 수단과 ; 가압 장치에서의 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에 재치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는 물론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 이송 수단을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식으로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베니어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니어 단판 또는 서로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의 베니어판으로 된 적층 베니어판을 가열-가압 또는 냉각-가압하는 가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공소 41-1753호에는 수직으로 또한 다단식으로 재치(載置)된 복수의 가압 수단을 구비한 자동 압축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압 장치(200), 로더(loder)(206), 언로더(unloader)(6)에 의해 구성된다. 이 가압 장치(200)는 다단식으로 재치되거나 또는 서로 소정 간격 만큼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또한 서로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한 고정판(201)과 이동판(202) 간에 삽입된 복수의 압축판(203)과,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제15도참조)를 구비한다. 각각의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의 상부는 압축판(203)위로 이동하도록 재치되고 로딩(loading) 측에서 언로딩(unloading) 측으로 단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로더(206)는 로딩측에 이동가능하게 재치됨으로써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압축판(203)에 대응하도록 각각 재치된 복수의 컨베이어(205)를 구비한다. 언로더(208)는 언로딩측에 이동가능하게 재치됨으로써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로더(20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압축판(203)에 대응하도록 각각 재치된 복수의 컨베이어(205)를 구비한다.
로더(206)를 수직적으로 이동하면서 처리될 판(210)(이하에서는 미처리 판(210)이라 함)을 각각의 컨베이어 상에 연속적으로 놓고, 로더(206)의 각각의 컨베이어를 압축판(203)의 각각에 정렬시킨다. 이 조건하에서 로더(206)의 컨베이어와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를 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상에 미처리 판(21)을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 위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이동가능한 판(202)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며, 이것에 의해 압축판(203)이 서로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압축판(203) 간에 삽입된 각각의 미처리 판(210)을 가압한다. 소정의 시간 동안 이러한 가압 처리를 유지한 후, 이동판(202)을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압축판(203)간의 간격을 다시 확장시킨다. 이 조건하에서,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와 언로더(208)의 컨베이어(207)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렇게 가압된 판(210)을 언로더(208)의 각각의 컨베이어 위로 이송한다. 그 후 언로더(208)는 수직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컨베이어(208)로부터 언로더 컨베이어(220)로 판(210)을 연속적으로 언로딩한다.
그러나 이 자동 압축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 이송 표면(또는 윗면)은 항상 로딩측에서 언로딩측(화살표 a로 나타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이 경우 미처리 판(210) 위에 재치된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의 비이송 표면(204b)은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의 이송 표면(204a)의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 b로 나타냄)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미처리 판(210)의 단부가 휘거나 위로 굽으면, 또한 미처리 판(210)이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 간의 간격을 통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면, 미처리 판(210)의 휘거나 또는 굽은 단부는 미처리 판(210) 위에 재치되어 있고 이송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금속 벨트 컨베이어(204)의 비이송 표면(204b)과 접촉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미처리 판(210)을 정확하게 이송하기가 어렵게 되고 또한 미처리 판(210)의 단부의 파열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압축판(203)간의 간격이 충분한 높이로 설정된다면 이러한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압축판(203)간의 간격의 확대되면, 장치의 높이가 증가되어 전체적으로 장치가 커지고, 그리하여 다른 문제를 유발시킨다.
더욱이 상기 자동 압출기는, 미처리 판인 베니어를 가열-압축할 때 베니어의 가압에 의해 베니어에서 나온 수액이 베니어 위에 재치되어 있고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중인 금속 벨트 컨베이어의 밑 부분상에 부착하기 쉽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액이 부착된 금속 벨트 컨베이어를 베니어의 이송을 위해 계속 이동시키면, 베니어가 언로딩측으로 이송되지 않고 로딩측으로 거꾸로 이송되거나, 또는 파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장치에 수반되었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니어의 단부가 휘거나 위로 굽더라도 복수의 베니어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어서, 가압 처리를 행할수 있는 베니어 가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베니어 가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베니어 가압 장치의 좌반부를 설명하는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1도 나타낸 베니어 가압 장치의 우반부를 설명하는 확대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IV-IV선에서 본 베니어 가압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위에서 본 제2 및 제3단의 가압체의 사시도.
제6도는 베니어 가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베니어 가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8도는 베니어 가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9도는 베니어 가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10도는 베니어 가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11도는 베니어 가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니어 가압 장치의 정면도.
제1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베니어 가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요 정면도.
제15도는 종래의 베니어 가압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게 재치되어 있고, 서로 소정 간격 만큼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비가압 위치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진 적어도 3개의 가압체 ; 상기 각각의 가압체의 상·하 표면을 따라서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적용함으로써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 간에 전진 이송 경로(예컨대 짝수 단의 베니어 이송 경로)를, 또한 상기 전진 이송 경로로의 이송 방향에 반대인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 간에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무단 벨트(예컨대 홀수 단의 베니어 이송 경로) ; 및 상기 각각의 이송 경로상에서 운반되고 있는 베니어에 소정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무단 벨트를 구바한 상기 적어도 3개의 가압체가 상기 가압체 간에 교호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상기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압체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수직으로 떨어져 있는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가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압 장치 외에 이송 방향이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방향과 같고, 상기 가압 장치내에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게 또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에 재치된 제1 이송 수단 ; 및 상기 가압 장치내의 상기 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에 재치되어 있고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이도아능한 제2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베니어 가압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베니어 가압 장치는 하기와 같이 구동할 수 있다.
먼저 각각의 가압체는 비가압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이송 수단은 전진 경로와 일치하도록 유지한다. 이 조건하에서 제1 및 제2 이송 수단은 전진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시켜 제1 이송 수단상에 미리 재치된 제1 베니어를 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그 후 제2 이송 수단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 후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은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한편, 후진 이송 경로에 일치하기 위한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의 상기 수직 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제2 베니어는 제1 이송 수단상에 재치된다. 이 조건하에서, 제1 이송 수단은 전진 이송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이송 수단은 후진 이송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제1 이송 수단상에서 운반되는 제2 베니어를 가압체 간에 형성된 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제2 이송 수단상에서 운반되는 제1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게 된다. 그 후, 적어도 제1 및 제2 이송 수단과 무단 벨트 중에서 적어도 무단 벨트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 조건하에서, 가압 부재가 구동되어 가압체를 가압 위치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베니어의 가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묘사하는 제1도~제11도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설명한다.
제1도~제5도를 참조하면, 베니어 가압 장치(1)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식 가압 장치(2),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좌측에 재치된 제1 이송장치(4) 및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우측에 재치된 제2 이송 장치(6)를 구비한다. 다단식 가압 장치(2)는, 가압체(3, 5, 7, 9 및 11)에 의해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가압·건조하도록 디자인한다. 이러한 다단식 가압 장치(2)에 있어서, 고정판(16)은 메인 프레임(main frame)(15)의 상부에 고정되고, 이동판(19)은 메인 프레이(15)의 하부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이동판(19)은 예컨대 수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로 구성된 압축 부재(17)와 연결되고, 소정 거리 만큼 고정판(16)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메인 프레임(15)은, 각각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1a~21b, 23a~23e)가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칼럼(column)(21, 23)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즉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지지부(예컨대 21a~23a) 간의 거리는 지지부의 위치가 각각의 칼럼(21, 2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적어지게 된다.
가압체(3, 5, 7, 9 및 11)는 칼럼(21, 23)간에 5단으로 수직 배열되고, 가열된 증기에 의해 약 150℃까지 가열되도록 적용된다. 각각의 가압체(3, 5, 7, 9 및 11)의 가열은 가열된 증기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각각의 가압체(3, 5, 7, 9 및 11) 내부에 설치가능한 전기 가열기로 행하여도 좋다.
가압체(3, 5, 7, 9 및 11)는 구석 부분에 계합부(engagement portion)(35, 37, 39, 41 및 4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계합부(35, 37, 39, 41 및 43)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로 뻗고, 이 계합부(35, 37, 39, 41 및 43)의 연장된 길이의 크기는 대응하는 가압체의 위치가 낮아져서 각각의 지지부(21a~21e, 23a~23e)와 계합되게 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보통 이 계합부(35, 37, 39, 41 및 43)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체(3, 5, 7, 9 및 11)를 소정의 거리 만큼 서로 분리시키면서 가압체(3, 5, 7, 9 및 11)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지지부(21a~21e, 23a~23e)와 계합되거나 또는 그 위에 재치된다.
3mm 폭과 2mm 깊이로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전·후로 뻗은 그루브(groove)(3a, 5a, 7a, 9a 및 11a)를 (금속 무단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진행방향, 또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의 방향으로) 12mm 간격 마다 각각의 가압체(3)의 밑면, 가압체(5, 7, 9)의 상·하 표면 및 가압체(11)의 윗면상에 형성한다. 한편 각각의 가압체(3, 5, 7, 9 및 11) 상에 형성된 그루브(3a, 5a, 7a, 9a 및 11a)는 서로에 대해 대향하는 그루브(예컨데 3a~5a)가 (진행 방향으로) 6mm의 거리 만큼 떨어지도록 형성한다.
각각의 가압체(3, 5, 7, 9 및 11)는 양측(또는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의 좌·우측)에 암(arm)(45, 47, 49, 51 및 53)을 구비한다. 구동 샤프트(shaft)(55, 57, 59, 61 및 63)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4 단에 재치된 각 암(45, 47 및 51)의 우측상, 및 제3 및 제5단에 재치된 각 암(49, 53)의 좌측상에, 베어링(45a, 47a, 49a, 51a 및 53a)을 각각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구동 샤프트(55, 57, 59, 61 및 63) 각각은 키(key) 및 키 그루브의 조합 등의 주지의 고정 메카니즘(fixing mechanism)에 의해 이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 구동 롤(roll)(65, 67, 69, 71 및 73)을 각각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 롤(65, 67, 69, 71 및 73)은 동일한 축 길이를 갖는 롤들이 그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된 분할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구동 롤(65, 67, 69, 71 및 73)은 원주 표면상에 약 6mm 높이로 원뿔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계합 돌출부(65a, 67a, 69a, 71a 및 73a)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65a, 67a, 69a, 71a 및 73a)의 각각은 파상형(staggered form)으로 배치된다. 즉 돌출부는 축 방향으로 25mm 간격으로 또한 축 방향에 수직 방향 만큼 25mm 간격으로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인접하는 돌출부의 어레이(array)는 서로 25mm의 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한편 고정 샤프트(75, 77, 79, 81 및 83)는, 제5도에 나타낸 바오 같이 제1, 제2 및 제4 단에 재치된 각 암(45, 47 및 51)의 좌측상에 및 제 3 및 제 5단에 재치된 각 아(49, 53)의 우측상에 각각 장착된다. 이 고정 샤프트(75, 77, 79, 81 및 83)의 각각은 베어링을 통해 각각 아이들러(idler) 롤(85, 87, 89, 91 및 9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아이들러 롤(85, 87, 89, 91 및 93)은, 상기 구동 롤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같은 축 길이를 갖는 복수의 롤(나타내지 않음)이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된 분할 구조로 형성된다. 각각의 아이들러 롤(85, 87, 89, 91 및 93)은 원주 표면 상에, 계합 돌출부(65a, 67a, 69a, 71a 및 73a)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파상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계합 돌출부(85a, 87a, 89a, 91a 및 93a)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 롤(65, 67, 69, 71 및 73)은 이 구동 롤과 아이들러 롤의 각 쌍 주위를 감는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하나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아이들러 롤(85, 87, 89, 91 및 93)과 연결된다. 각각의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는 양단을 내열성 접착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하여 무단 벨트(금속 벨트의 양단을 결합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 이 결합 부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를 형성한 내부식성 금속성(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박막 신장판(thin elongated plate)(바람직하게는 약 0.5mm 두께)으로 형성한다. 이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각각은 각각 직경이 12mm인 다수의 계합 홀(hole)(97a, 99a)을 구비한다. 이 계합 홀(97a, 99a)은 상기 계합 돌출부(65a, 67a, 69a, 71a, 73a, 85a, 87a, 89a, 91a, 및 93a)의 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이 계합 돌출부(65a, 67a, 69a, 71a, 73a, 85a, 87a, 89a, 91a, 및 93a)와 계합되도록 적용한다.
더욱이 서보 모터(나타내지 않음)은 각각의 구동 샤프트(55, 57, 59, 61 및 63) 상에 장착하여,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구동 샤프트(55, 59 및 63)의 회전 또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의 구동 샤프트(57, 61)의 회전을 일정한 원주 속도로 동시에 행할 수 있거나 또는 후술하는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의 제어를 통해 이 구동 샤프트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가 제2도 및 제3도에서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경우, 제1 이송 장치(4)로부터 제2 이송장치(6)로 베니어를 이송하는 전진 이송 경로는 금속 벨트(95)의 밑면과 금속 벨트(97)의 윗면 간에, 또한 금속 밸트(99)의 밑면과 금속 벨트(101)의 윗면 간에 형성되고, 제2 이송 장치(6)로부터 제1 이송 장치(4)로의 베니어를 이송하는 후진 이송 경로는 금속 벨트(97)의 밑면과 금속 벨트(99)의 윗면 간에, 또한 금속 벨트(101)의 밑면과 금속 벨트(103)의 윗면 간에 형성된다.
상기 압축 부재(17)는 지지부(21a~21e, 23a~23e)가 계합부(35, 37, 39, 41 및 43)상에 각각 안치된 비가압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가압체(3, 5, 7, 9 및 11)를 연속적으로 밀어 올리고, 그 후 약 2kg/cm2의 압력에서 가압체(3, 5, 7, 9 및 11)의 각 쌍 간에 재치된 비건조 베니아판(13a, 13b, 14a 및 14b)을 가압하도록 디자인한다. 다단식 가압 장치(2)의 메인 프레임(15)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판(19)이 하강할 경우 압축부재(17)에 연결된 이동판(19)의 위치를 검출하는 저위치 검출기(105)와 이동판(19)의 아래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구(나타내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양 측상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된 제1 이송 장치(4) 및 제2 이송 장치(6)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다.
즉 제1 이송 장치(4)는 프레임(107)(제2도 및 제3도에서 일점 쇄선으로 지시), 가압체(3, 5, 7, 9 및 11)의 3개 단에 등가인 간격을 유지하도록 프레임(107)의 상·하부에 각각 재치된 1쌍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 및 상부 컨베이어(111)의 레벨(level)이 위로부터 제2 단의 가압체(5)의 레발과 같아지는 상부 위치를 취하거나 또는 상부 컨베이어(111)의 레벨이 위로부터 제 3단의 가압체(9)의 레벨과 같아지는 하부 위치를 취하기 위해 프레임(107)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107)에 부착된 수압 실린더 등의 승강 부재(119)를 구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이송장치(6)는 프레임(109)(제2도 및 제3도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냄), 1쌍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 및 승강 부재(121)를 구비한다. 이 구성 부재의 특정 구조와 기능은 제1 이송 장치(4)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검출기(제한 스위치 등)(123a, 123b, 125a 및 125b)는 제1 이송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의 상기 상·하부 위치에 재치되어, 프레임(107, 109)의 어느 하나가 이 검출기(123a, 123b, 125a 및 125b)와 접촉할 경우 신호가 방출되고, 이 방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가 상기 상·하부 위치를 취하도록 승강 부재(119, 121)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제어 수단이 작동한다. 동시에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의 위치결정을 이 검출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는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가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속도와 같은 속도로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화살표로 지시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정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으로부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서보 모터(나타내지 않음)와 접속한다. 더욱이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는 베니어 검출기(127a, 127b, 129a 및 129b)를 구비하고, 이 베니어 검출기(127a, 127b, 129a 및 129b)로부터의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이 작동하여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동시에 베니어의 존재 여부와 베니어의 경로를 이 검출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단식 가압 장치에 대해 더 설명한다.
먼저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의 초기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는 승강 부재(119, 121)의 작동에 의해 상부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 위치에서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의 위치결정은 검출기(123a, 125a)에 의해 검출된다.
다단식 가압 장치(2)는 이동판(19)이 압축 부재(17)의 복귀 이동에 의해 하부 위치로 이동하도록 적용되고, 그에 의해 계합부(35, 37, 39, 41 및 43)가 지지부(21a~21e, 23a~23e)상에 안치되어, 가압체(3, 5, 7, 9 및 11)가 소정 거리 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하도록 한다. 이 순간 하부 위치에서의 이동판(19)의 위치결정은 하부 위치 검출기(105)에 의해 검출된다.
다음에 제1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조건하에서 예컨대 각각 3mm 두께를 갖는 베니어(13a, 13b)을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상에 각각 재치하여 이들을 이송하도록 한다. 베니어(13a, 13b)을 이런 방식으로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에 의해 이송할 경우, 하류측상의 베니어(13a, 13b)의 단부는 베니어 검출기(127a, 127b)에 의해 각각 검출된다. 이동판(19)의 아래 방향 이동이 하부 위치 검출기(105)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상부 위치에서의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의 위치결정이 검출기(123a, 125a)에 의해 검출되는 조건하에서, 제어 수단이 작동하여 각각의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가 제6도에 나타낸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가 제6도에 나타낸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제1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상에서 운반되는 베니어(13a, 13b)은 금속 벨트(97, 101)로 각각 이송되고, 그곳으로부터 베니어(13a, 13b)은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로 더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베니어(13a)이 베니어 검출기(129a)에 의해 검출될 경우, 상부 컨베이어(115)의 이동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정지된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검출된 베니어(13b)이 베니어 검출기(129b)에 의해 검출될 경우, 하부 컨베이어(117)의 이동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정지된다. 동시에 검출 신호가 2개의 베니어 검출기(19a, 129b)로부터 제어 수단으로 전송될 경우,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 및 각각의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모두의 이동이 정지된다. 소정의 최소 시간이 경과한 후, 제2 이송 장치(6)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위치로 낮아지게 되고, 동시에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6)만은 제7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이송 장치(6)의 하강 이동이 검출기(125b)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제어 수단이 작동하여 제2 이송 장치(6)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제2 이송 장치(6)가 하부 위치에서의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조건하에서, 미건조 베니어(14a, 14b)이 제7도에서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상에 각각 로딩되고, 이송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한 이 베니어(14a, 14b)의 단부가 베니어 검출기(127a, 127b)에 의해 각각 검출될 경우, 제어 수단이 작동하여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소정의 최소 시간이 경과한 후, 신호가 제어 수단으로부터 방출되어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 및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가 제8도에서의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가 반대 방향으로(제8도에서의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즉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신호는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상의 베니어(14a, 14b)과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상의 베니어(13a, 13b)의 소정의 거리 만큼 쉬프트(shift) 될 때 까지, 즉 각각 소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대응하는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에 의해 각각 운반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이 각각의 가압체(5, 7, 9 및 11)의 중심부 위로 이송될 때까지 계속 설정된다. 즉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이 상기 소정 거리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 위치로 이송될 경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출력이 정지됨으로써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 및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 결과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상에서 각각 운반되는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이 각각의 가압체(5, 7, 9 및 11)의 중심 위로 이송된다. 하부 컨베이어(113, 117)와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를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벨트의 진행 거리에 비례하여 펄스 수를 방출할 수 있는 펄스 오실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펄스 오실레이터(pulse oscillator)로부터 방출된 펄스 수를 제어 수단내에 설치된 계수기(counter)에 의해 측정하고, 계수기에 의해 측정된 회수가 상기 소정 거리에 해당하는 펄스 수와 동일하게 될 경우 이동을 계속하는 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계수기에 의해 측정된 회수가 상기 소정 거리에 해당하는 펄스 수와 동일하게 될 경우, 압축 부재(17)를 작동시키는 또 다른 신호가 제어 수단으로부터 방출되어 이동판(19)을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이동시켜 먼저 최하단에 위치한 가압체(11)를 밀어 올리고 그 후 연속적으로 나머지 가압체(9, 7, 5 및 3)를 기재된 순서대로 계속해서 밀어 올린다. 압축 부재(17)에 의해 압력이 소정의 크기에 이를 경우, 압축 부재(17)의 이동이 정지되고 또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은 가압체(3, 5, 7, 9 및 11)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가압된다. 이 가압 처리 중, 가압체(3, 5, 7, 9 및 11)의 어떤 쌍간에 삽입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도 가압체(3, 5, 7, 9 및 11)로부터의 열에 가열됨으로써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 경우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에 형성된 계합 홀(97a, 97b)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루브(3a, 5a, 7a, 9a 및 11a)에 비례하여 특정 방식으로 분포되기 때문에,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정지 위치가 때때로 달라지더라도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계합 홀(97a, 99a)이 그루브(3a, 5a, 7a, 9a 및 11a)에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이 계합 홀(97a, 99a)과 그루브(3a, 5a, 7a, 9a 및 11a)를 통해 외부 대기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만약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두께가 약 3mm라 가정하면, 약 5~10분의 가압 시간 정도면 이 베니어를 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약 0~15%로 감소시키는데 충분하다. 그러나 만약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가압을 장시간 계속하면, 베니어의 건조에 의한 수축으로 인해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베니어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가압 동작을 단속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즉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가압을 예컨대 1분간 행한 후, 압축 부재(17)를 아래로 이동시켜 이동판(19)을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이 베니어를 예컨대 약 20초 동안 가압 처리로부터 해제시키고, 그 후 압축 부재(17)를 다시 동작시켜 이 베니어를 가압하고, 그 후 요구되는 회수 만큼 같은 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베니어의 건조 처리에 있어서 이 방식으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가압을 단속적으로 해제할 경우, 베니어의 파열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적절히 베니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동판(19)이 상승하여 하부 위치 검출기(105)가 이동판(19)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을 경우, 승강 부재(119)가 복귀함으로써 제1 이송 장치(4)를 하부 위치로 이동시켜 제1 이송 장치(4)의 위치를 하부 검출기(123b)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대기 위치를 취하도록 하고 또한 승강 부재(121)가 구동하여 제2 이송 장치(6)를 상부 위치로 이동시켜 제2 이송 장치(6)의 위치를 상부 검출기(123a)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대기 위치를 취하도록 제어 수단이 작동한다.
그 후 소정의 가압 시간이 경과한 후, 압축 부재(17)가 하강하여 제어 수단에 따라 이동판(19)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이동판(19)이 하부 위치 검출기(105)에 의해 검출될 경우, 압축 부재(17)의 복귀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계합부(35, 37, 39, 41 및 43)가 지지부(21a~21e, 23a~23e)상에 안치된 확장 상태에서 가압체(3, 5, 7, 9 및 11)가 지지되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체(3, 5, 7, 9 및 11)는 서로 소정 거리 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그 후 하부 위치 검출기(10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무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가 제10도에 나타낸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 위치에서 대기 위치를 취하는 제1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가 제10도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부 위치에서 대기 위치를 취하는 제2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가 제10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 수단을 구동시킨다. 그 결과 금속 벨트(97)상의 베니어(14a)이 상부 컨베이어(115)상으로 이송되고, 금속 벨트(99)상의 베니어(13a)는 상부 컨베이어(111)상으로 이송되고, 금속 벨트(101)상의 베니어(14b)은 하부 컨베이어(117)상으로 이송되고, 또한 금속 벨트(103)상의 베니어(13b)은 하부 컨베이어(113)상으로 이송됨으로써 이 컨베이어들을 베니어 가압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각각의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이동을 통해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의 대응하는 하나로 이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진 이송 경로가 금속 벨트(97, 95)간에 또한 금속 벨트(101, 99)간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후진 이송 경로가 금속 벨트(99, 97)간에 또한 금속 벨트(103, 101) 간에 형성되고, 이 경로의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상·하부 벨트 표면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건조 또는 축소로 인해 휘거나 굽어진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단부가 베니어의 이소 중 이 베니어 위에 재치된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밑면과 접촉할지라도, 이 베니어의 이송이 방해되거나 또는 이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이 이송 중 파열될 가능성이 없다.
이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베니어 가압 장치로부터 배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보통 베니어 이송을 위해 구동되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위치로 이동된 제1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의 각각과, 상부 위치로 이동된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의 각각에 접속되도록 된 배출 컨베이어(나타내지 않음)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컨베이어(111, 115), 하부 컨베이어(113, 117) 및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이동을 통해 운반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은 직접 배출 컨베이어로 각각 이송된다. 이 경우 제어 수단이 작동하여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로부터 상부 커(111, 115) 및 하부 커(113, 117)의 대응하는 하나로 각각 이송할 경우 검출 신호가 베니어 검출기(127a, 127b, 129a 및 129b)로부터 출력될지라도,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 상부 컨베이어(111, 115) 및 하부 컨베이어(113, 117)의 이동을 계속하도록 제어한다.
이 베니어를 배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컨베이어(나타나지 않음)는 상부 위치로 이동된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의 각각의 우측에 재치됨으로써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컨베이어(115, 117)와 접속된다. 이 경우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 상부 컨베이어(111, 115) 및 하부 컨베이어(113, 117)의 이동을 통해 운반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은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의 대응하는 하나의 위로 각각 이송된다. 이 경우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의 이동이 계속되어 배출 컨베이어 위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직접 이송시킴으로써 이 베니어를 배출하도록 제어 수단이 작동한다. 한편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상에 운반된 베니어(13a, 13b)이 베니어 검출기(127a, 127b)에 의해 검출될 경우,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의 이동이 정지되어 대기 상태를 취한다. 이 조건하에서 제1 이송 장치(4)는 제1 이송 장치(4)가 검출기(123a)에 의해 검출되어 정지하여 대기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 상승하고, 그 후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는 제11도에 나타낸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동하는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를 통하여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 상으로 베니어(13a, 13b)을 이송하고, 계속하어 이 베니어(13a, 13b)은 배출 컨베이어상에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 배출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컨베이어(나타내지 않음)를 하부 위치로 이동된 제1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의 각각의 좌측상에 재치시킴으로써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컨베이어(111, 113)와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베니어(13a, 13b)을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에 의해 직접 배출시킬 수 있다. 그 후 제2 이송 장치(6)를 하부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는 제10도에 나타낸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베니어(13a, 13b)의 경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하는 상·하부 컨베이어(111, 113)를 거쳐서 베니어(14a, 14b)을 이송·배출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체(3, 5, 7, 9 및 11)의 각 쌍 간의 공간에 삽입된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은 이 베니어의 상·하 양 표면상에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에 의해 이송된다. 그러므로 비록 휘거나 굽은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의 단부가 이 베니어의 이송 중에 이 베니어 위에 재치된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밑면과 접촉할지라도, 이 베니어의 이송이 방해될 가능성은 없다. 더욱이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는 단지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만을 구비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압체(3, 5, 7, 9 및 11)의 수와 비교할 때 적으며, 또한 각 장치의 진행 방향과 수직 위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에서의 컨베이어 수 보다 더 많은 수의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으므로, 즉 베니어 가압 장치(1)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가압체(3, 5)간 및 가압체(7, 9)간의 경로는 전진 이송 경로로 정의되고, 가압체(5, 7)간 및 가압체(9, 11)간의 경로는 후진 이송 경로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명명법상의 문제이고, 가압체(5, 7)간 및 가압체(9, 11)간의 경로를 제1도에서의 전진 이송 경로로 정의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베니어를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우측으로부터 공급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제9도에 있어서 베니어를 건조하기 위해 이동판(19)으로 위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이송 장치(6)는 상승하지만 제1 이송 장치(4)는 하강한다. 그러나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가 이동할 준비가 되도록 베니어의 건조를 완료한 후 이동판(19)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가압 위치로 하강하는 순간까지 이 하강 및 상승 이동이 지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변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상기 실시예에서, 다단기 가압 장치(2)로는 5단의 가압체(3, 5, 7, 9 및 11)를 채용하고, 4장의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동시에 가압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이송장치(4, 6)로는 2단의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을 채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식 가압장치로 3단의 가압체를 채용하고 제1 및 제2 이송 장치의 각각으로는 1단 컨베이어르 사용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가압체의 금속 벨트는 항상 고정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진행 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이송 장치는 진행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1쌍의 베니어의 가압 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 다단식 가압 장치(2)로는 5단(즉 홀수개의 단)의 가압체를 채용하고, 4장의 베니어(13a, 13b, 14a 및 14b)을 동시에 가압하는 제1 및 제2 이송 장치(4, 6)의 각각으로는 2단의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를 채용한다. 그러나 부가적인 가압체를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전체 가압체의 수를 짝수로 만들 수 있으며, 여기서 홀수 단에서의 가입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하고, 짝수 단에서의 다른 가압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한다.
즉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체(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금속 벨트(135)를 구비하 다른 가압체(137)를 제1도에서의 최하단에 위치한 가압체(11)와 이동판(19) 사이에 재치한다. 이 경우 가압체(137)는 가압체(11)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떨어져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가압체(137)의 계합부(137)는 지지부(나타내지 않음) 상에 안치한다. 1쌍의 컨베이어(141, 143)를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체(137)의 좌·우측상에 또한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의 아래에 고정적으로 재치하고, 이 컨베이어(141, 143)의 윗면은 금속 벨트(135)의 이송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금속 벨트(135)와 컨베이어(141)는 제12도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만 단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되고, 컨베이어(143)는 일정하게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더욱이 검출기(147)를 컨베이어(141) 근처에 재치하여 베니어(145)의 이송 방향에서의 하류측을 검출하도록 한다. 한편 배출 컨베이어(나타내지 않음)는 커(143)의 이송 방향에서 하류측에 재치된다. 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금속 벨트(135)와 컨베이어(141, 143)를 구비한 가압체(137)는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최하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 벨트(135)와 컨베이어(141, 143)를 구비한 가압체(137)를 다단식 가압 장치(2)의 최상단부에 배열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미리 로딩된 베니어(13a, 13b)은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상으로 이송되고, 그 후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위치로 내려진다. 이 조건하에서 단지 상부 컨베이어(111), 하부 컨베이어(113) 및 커(141)만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후 다음의 베니어(14a, 14b 및 145)이 상부 컨베이어(111), 하부 컨베이어(113) 및 컨베이어(141) 상에 각각 로딩된다. 베니어(14a, 14b 및 145)의 하류측상의 단부가 베니어 검출기(127a, 127b 및 147)에 의해 검출될 경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부 컨베이어(111), 하부 컨베이어(113) 및 컨베이어(141)의 이동이 제어 수단에 의해 정지되고, 모든 컨베이어 검출기(127a, 127b 및 147)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출력에 따른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상부 컨베이어(111), 하부 컨베이어(113), 컨베이어(141) 및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모두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가 제12도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베니어(13a, 13b, 14a, 14b 및 145)이 각각의 가압체(3, 5, 7, 9, 11 및 137)의 중심부로 이송된다. 이 때 이 금속 벨트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 후 제어 수단에 따라서 압축 부재(17)가 작동함으로써 가압체(3, 5, 7, 9, 11 및 137)의 어떤 쌍 간에 재치된 베니어(13a, 13b, 14a, 14b 및 145)가 소정 시간 동안 가압 처리된다. 그 후 압축 부재(17)를 하강하여, 즉 이러한 가압에서 베니어(13a, 13b, 14a, 14b 및 145)을 해제시킨다. 이 조건하에서 제1 이송 장치(4)의 상부 컨베이어(111)와 하부 컨베이어(113), 제2 이송 장치(6)의 상부 컨베이어(115)와 하부 컨베이어(117) 및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렇게 가압된 베니어(13a, 13b, 14a, 14b 및 145)을 꺼내게 된다. 동시에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금속 벨트(135)가 이동함으로써 계속 진행하는 컨베이어(143)를 통해 베니어(145)를 꺼낼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 가압체(5, 7, 9 및 11)의 레벨과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를 각각 일치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이송 장치(4, 6)를 완전히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제1 이송 장치(4)와 제2 이송 장치(6)를 구성하는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재치할 수도 있다. 즉각 컨베이어의 인접 단부는 피벗으로(pivotally) 지지되어 가압체가 비가압 위치에 안치도었을 때 측정된 바와 같이 가압체(5, 7, 9 및 11)의 1단의 거리에 해당하는 각의 범위내에서 컨베이어의 인접 단부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의 자유로운 단부는 선택적으로 가압체(5, 7, 9 및 11)의 대응하는 하나와 일치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피벗으로 지지하는 위치로서, 상부 컨베이어(151, 155)를 제2 가압체(5)와 대응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제 4 가압체(9)와 대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대신에 상부 컨베이어(151, 155)를 (위에서부터 셀 때) 제 2 및 제 3 가압체 간의 중간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위에서부터 셀 때) 제 4 및 제 5(상부로부터 계산) 가압체 간의 중간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의 이동, 정지 타이밍(timing) 및 진행 방향의 전환은 하기와 같이 행할 수 있다.
먼저 각각의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는 제13도에서 실선으로 지시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그 후 제6도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먼저 베니어(13a, 13b)이 상부 컨베이어(155)와 하부 컨베이어(157)상으로 이송되어 정지하게 된다. 그 후 장치가 제6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7도에 나타낸 상태로 동작한다. 즉 제2 이송 장치(6)를 하강시키는 것 대신에 상부 컨베이어(155)와 하부 컨베이어(157)가 제13도에서의 일점 쇄선에 의해 지시한 위치로 하향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7도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후속하는 베니어(나타내지 않음)을 상부 컨베이어(151)와 하부 컨베이어(153)상에 이송하여 일단 정지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이밍으로 상부 컨베이어(151,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다단식 가압 장치(2)를 향하여 이동시켜, 각각의 베니어가 다단식 가압 장치(2)의 각각의 경로로 공급되도록 한다. 다음에 이동판(19)을 압축 부재(17)를 작동하여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베니어를 가압한다. 이 때 제1 이송 장치(4)를 하강시키는 대신에, 상부 컨베이어(151) 및 하부 컨베이어(153)를 제13도에서의 일점 쇄선으로 지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하향 회전시킨다. 한편 상부 컨베이어(155)와 하부 컨베이어(157)를 제13도에서의 실선에 의해 지시한 위치로 상향 회전시켜 그 위치에 계속 고정시킨다. 소정 시간 동안 가압 처리를 완료한 후,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다단식 가압 장치(2)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후속하는 베니어를 제10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155)와 하부 컨베이어(157)상으로 이송시키고, 그 곳으로부터 베니어를 하기 단계로 이송시킨다. 한편, 베니어(13a, 13b)을 상부 컨베이어(151)와 하부 컨베이어(153)상의 소정 위치에 계속 고정시킨다. 그 후 상부 컨베이어(151)와 하부 컨베이어(15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3도에서의 실선에 의해 지시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컨베이어들을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배치한다. 그 후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다단식 가압 장치(2)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면사, 상부 컨베이어(151, 155)를 다단식 가압 장치(2)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술하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베니어(13a, 13b)가 전진 이송 경로로 이송된 후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를 통하여 후속 단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 변형 실시예에서, 베니어를 검출하는 검출기는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상부 컨베이어(151, 155)와 하부 컨베이어(153, 157)의 회전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도록 검출기를 사용한다. 제13도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1 이송 장치(4)와 이송 장치(6)의 상향 및 하향 회전 이동을 검출하는 제한 스위치는 상술한 실시예의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다.
4. 상기 다단식 가압 장치(2)를 사용하여 수지가 풍부한 침엽수형 베니어를 건조할 경우, 베니어에 함유된 수지가 베니어 밖으로 유출되어 가압체(3, 5, 7, 9 및 11)와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간의 공간으로 들어감으로써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더욱이 그루브(3a, 5a, 7a, 9a 및 11a)가 수지로 막힐 수 있게 됨으로써 수증기가 외부 대기로 발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건조될 베니어의 윗면상에 수분을 가하고 그 후 베니어의 가압시에 부착된 수증기가 폭발적으로 증발하도록 함으로써 가압체(3, 5, 7, 9 및 11)상에 또는 금속 벨트(95, 97, 99, 101 및 103)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루브(3a, 5a, 7a, 9a 및 11a)내에 충전된 수지를 날려 버릴 수 있다.
5.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이송 장치(4, 6)가 다단식 가압 장치(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디자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1 및 제2 이송 장치(4, 6)를 고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고, 이 이송 장치들 대신에 가압체의 1단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로, 다단식 가압 장치(2)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디자인할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이송 장치(4, 6)를 구성하는 상부 컨베이어(111, 115)와 하부 컨베이어(113, 117)가 단순히 그 위의 베니어를 운반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그러나 이 컨베이어가 베니어를 진공·흡입(vacuum-absorbing)할 수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7. 상기 실시예에서, 모놀리식(monolithic) 베니어에 가압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각 베니어가 서로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된 베니어 합판에 가압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8. 상기 실시예에서, 가열된 가압체(3, 5, 7, 9 및 11)를 사용하여 베니어의 건조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비가열 가압체를 사용하여 베니어의 냉각 가압을 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니어의 단부가 휘거나 위로 굽어 있을지라도 복수의 베니어를 정확하게 이송하여 동시에 가압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베니어 가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 복수의 가압체 ; 상기 가압체가 소정 간격으로 서로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비가압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상기 가압체를 이동되는, 다단식으로 상기 복수의 가압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가압 장치 ; 상기 가압 장치의 일측에 재치되어 이송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제1 베니어 이송 수단 ; 및 상기 가압 장치의 상기 일측에 반대인 다른 일측에 재치되어 이송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가압체는 상기 가압체의 각각의 표면을 따라서 상기 가압체 주위를 단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단 벨트를 구비함으로써, 이송 방향이 전진 방향에서 후진 방향으로 교호로 변화하는 또 다른 베니어 이송 경로를 상하로 놓인 인접하는 가압체 간에 형성하고 ; 상기 베니어는 제1 베니어 이송 수단과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을 통해 상기 베니어 이송 경로로 동시에 또는 따로 따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특징인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은 베니어를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도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은 베니어를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도입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동시에 복수의 베니어를 가압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는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그 위치를 수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과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을 디자인함으로써,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도록 위치 변화된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이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베니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도록 위치 변화된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에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를 통하여 베니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베니어를 이렇게 수취한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은 상기 위치 변화의 결과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이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베니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인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베니어를 공급함과 동시에, 위치 변화 후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은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제2 베니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인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장치.
- 제3 또는 4항에 있어서, 위치 변화 후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은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부터 가압되어 언로딩된 베니어를 수취하도록 디자인되어 있고, 우치 변화 후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은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부터 가압되어 언로딩 된 베니어를 수취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위치 변화 후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항하고 가압되어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부터 언로딩된 베니어를 수취하고 있는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은,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소 경로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이 위치 변화된 후,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베니어를 공급하도록, 더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공급된 상기 가압된 베니어는,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도록 위치 변화된 상기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에 의햐,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를 통하여 수취 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위치 변화 후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고 가압되어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부터 언로딩된 베니어를 수취하고 있는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은,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베니어 이송 수단이 위치 변화된 후, 상기 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베니어를 공급하도록, 더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로 공급된 상기 가압된 베니어는,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에 대향하도록 위치 변화된 상기 제1 베니어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후진 방향의 베니어 이송 경로를 통하여 수취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것이 특징은 복수의 베니어를 동시에 가압하는 장치.
- (a) 가압체가 서로 수직하여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한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재치된 적어도 3개의 가압체 ; 각각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가압체의 상·하 표면을 따라 단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됨으로써,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이송 방향이 반대인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무단 벨트 ; 및 상기 무단 벨트를 구비한 적어도 3개의 가압체가 상기 가압체 간에 교호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체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수직하여 떨어져 위치한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각각의 이송 경로상에 운반된 베니어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가압 장치 ; (b) 상기 가압 장치에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게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상에 재치되고 이송 방햐이 상기 이송 경로의 방향과 같은 제1 이송 수단 ; (c) 상기 가압 장치내에 상기 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상에 재치되어 전·후진 양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제2 제어 수단 ; 및 (d) 각각의 가압체가 비가압 위치로 이동할 경우와 제2 이송 수단이 전진 경로와 일치하도록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 이송 수단이 전진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함으로써 미리 제1 이송 수단상에 안치된 제1 베니어를 전진 이송 경로로, 그 후 제2 이송 수단으로 이송하고 ; 그 후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수단이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도록 수직으로 이동하고,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도록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의 상술한 수직 이동이 종료될 때까지 제2 베니어는 제1 이송 수단상에 안치되고 ; 이 조건하에서, 제1 이송 수단은 전진 이송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2 이송 수단은 후진 이송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이송 수단상에 운반된 제2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제2 이송 수단상에 운반된 제1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 그 후 제1 및 제2 이송 수단과 무단 벨트중 적어도 무단 벨트의 이동이 정지되고, 이 조건하에서 가압 부재가 작동하여 가압체를 가압 위치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베니어의 가압을 행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베니어 가압 장치.
- (a) 가압체가 서로 수직하여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한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재치된 적어도 3개의 가압체 ; 각각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가압체의 상·하 표면을 따라 단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됨으로써,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이송 방향이 반대인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무단 벨트 ; 및 상기 무단 벨트를 구비한 적어도 3개의 가압체가 상기 가압체 간에 교호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체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한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각각의 이송 경로상에 운반된 베니어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가압 장치 ; (b) 상기 가압 장치에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게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상에 재치되어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는 전진 방향과 또한 상기 전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진 경로 또는 상기 후진 경로와 일치될 수 있는 제1 이송 수단 ; (c) 상기 가압 장치내에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게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하류측상에 재치되어 상기 전진 방향과 상기 전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전진 경로 또는 상기 후진 경로와 일치될 수 있는 제2 이송 수단 ; 및 (d) 각각의 가압체가 비가압 위치로 이동할 경우와 제1 및 2 이송 수단이 전진 경로와 일치하도록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 이송 수단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함으로써 미리 제1 이송 수단상에 안치된 제1 베니어를 전진 이송 경로로, 그 후 제2 이송 수단으로 이송하고 ; 그 후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이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도록 수직으로 이동하고,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도록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의 상술한 수직 이동이 종료될 때까지 제2 베니어는 제1 이송 수단상에 안치되고 ; 이 조건하에서, 제1 이송 수단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2 이송 수단은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이송 수단상에 운반된 제2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제2 이송 수단상에 운반된 제1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후진 이송 경로롤 이송하고 ; 그 후 제1 및 제2 이송 수단과 무단 벨트의 이동이 정지되고, 이 조건하에서 가압 부재가 작동하여 가압체를 가압 위치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베니어의 가압을 소정 시간 동안 행하고 ; 그 후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 작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압체가 비가압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니어의 가압을 해제하고 ; 그 후 상기 무단 벨트를 이동시키고 ; 상기 제1 이송 수단을 상기 후진 경로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이송 수단은 상기 전진 경로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베니어가 상기 가압체간에 이송된 후 상기 무단 벨트가 작동하여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1 이송 수단이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 이송 수단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베니어 가압 장치.
- (a) 가압체가 서로 수직으로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한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재치된 적어도 5개의 가압체 ; 각각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가압체의 상·하 표면을 따라 단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됨으로써,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이송 방향이 반대인 인접하는 무단 벨트의 1쌍의 대향 표면간에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무단 벨트 ; 및 상기 무단 벨트를 구비한 적어도 3개의 가압체가 상기 가압체 간에 교호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후진 이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체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떨어져 위치한 비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각각의 이송 경로상에 우난된 베니어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체가 서로 근접하는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가압 장치 ; (b) 상기 가압 장치에서 상기 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게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상류측상에 재치되어 상기 전진 이송 경로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는 전진 방향과 또한 상기 전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압체가 상기 비가압 위치내에 위치할 때 측정할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의 3단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한 적어도 2개의 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 부재가 상기 전진 경로 또는 상기 후진 경로와 일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이송 수단 ; (c) 상기 가압 장치내에 상기 쩐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게 상기 전진이송 경로의 하류측상에 재치되어 상기 전진 방향과 상기 전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압체가 상기 비가압 위치내에 위치할 때 측정할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의 3단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한 적어도 2개의 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 부재가 상기 전진 경로 또는 상기 후진 경로와 일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 이송 수단 ; 및 (d) 각각의 가압체가 비가압 위치로 이동할 경우와 제1 및 2 이송 수단이 전진 경로와 일치하도록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 이송 수단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함으로써 미리 제1 이송수단의 각각의 이송 부재상에 안치된 제1 베니어를 전진 이송 경로로, 그 후 제2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로 이송하고 ; 그 후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이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도록 수직으로 이동하고, 후진 이송 경로와 일치하도록 제1 베니어를 운반하는 제2 이송 수단의 상술한 수직 이동이 종료될 때까지 제2 베니어는 제1 이송 수단상에 안치되고 ; 이 조건하에서, 제1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부재는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각각의 무단 벨트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상에 운반된 제2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제2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상에 운반된 제1 베니어를 가압체간에 형성된 후진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그 후 제1 및 제2 이송 수단과 무단 벨트의 이동이 정지되고, 이 조건하에서 가압 부재가 작동하여 가압체를 가압 위치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베니어의 가압을 소정 시간 동안 행하고 ; 그 후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 작용을 해제함으로써, 사기 각각의 가압체가 비가압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니어의 가압을 헤재하고 ; 그 후 상기 무단 벨트를 이동시키고 ; 상기 제1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를 상기 후진 경로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는 상기 전진 경로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베니어가 상기 가압체간에 이송된 후 상기 무단 벨트가 작동하여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1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가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후진 이송 경로상의 상기 제1 베니어를 상기 제1 이송 수단의 상기 각각의 이송 부재상으로 이송하고, 전진 이송 경로상의 상기 제2 베니어를 상기 제2 이송 수단의 각각의 이소 부재상으로 이송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베니어 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3854496A JP3761258B2 (ja) | 1996-08-20 | 1996-08-20 | ベニヤ単板圧締処理装置 |
JP96-238544 | 1996-08-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8820A KR19980018820A (ko) | 1998-06-05 |
KR100216862B1 true KR100216862B1 (ko) | 1999-09-01 |
Family
ID=1703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9638A KR100216862B1 (ko) | 1996-08-20 | 1997-08-20 | 베니어 가압장치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5875710A (ko) |
EP (1) | EP0830936B1 (ko) |
JP (1) | JP3761258B2 (ko) |
KR (1) | KR100216862B1 (ko) |
CN (1) | CN1077834C (ko) |
CA (1) | CA2213364C (ko) |
DE (1) | DE69727746T2 (ko) |
ID (1) | ID18050A (ko) |
MY (1) | MY114464A (ko) |
NZ (1) | NZ328564A (ko) |
TW (1) | TW34470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51327A1 (de) * | 1996-12-11 | 1998-06-18 | Danzer Furnierwerke Gmbh | Furnierbügelanlage |
JP2004209868A (ja) * | 2003-01-07 | 2004-07-29 | Mitsubishi Rayon Co Ltd | 板状製品の製造方法 |
US7819163B2 (en) | 2003-09-16 | 2010-10-26 | Masonite Corporation | Automated door assembly system and method |
ITRE20040070A1 (it) * | 2004-06-11 | 2004-09-11 | Diemme Spa | Filtropressa per la formatura di lastre ceramiche e metodo di formatura con essa |
US20060111786A1 (en) * | 2004-11-22 | 2006-05-25 | Orthopedic Development Corporation | Metallic prosthetic implant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acromio-clavicular shoulder joint hemi-arthroplasty |
DE102007025380A1 (de) * | 2007-05-30 | 2008-12-04 | Robert Bürkle GmbH | Mehretagen-Laminierpresse |
JP5762679B2 (ja) * | 2009-10-26 | 2015-08-12 | 株式会社新井機械製作所 | 食品生地の熱風乾燥装置 |
US9314983B2 (en) * | 2010-07-28 | 2016-04-19 | Masonite Corporation | Automated door assembly, press, and adhesive therefor |
CA2806246C (en) | 2010-07-28 | 2022-03-01 | Masonite Corporation | Automated door assembly, press, and adhesive therefor |
DE102011008650A1 (de) * | 2011-01-14 | 2012-07-19 | Robert Bürkle GmbH |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Bandlaufkorrektur bei einem Förderband einer Presse und Presse mit Förderband und Bandlaufkorektur |
US9259890B2 (en) * | 2012-07-02 | 2016-02-16 | Taihei Machinery Works, Ltd. | Dewatering method for correcting water content of green veneer for plywood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the green veneer |
EP2969437A1 (en) | 2013-03-15 | 2016-01-20 | Masonite Corporation | Automated doo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
US9511573B2 (en) | 2013-07-25 | 2016-12-06 | Masonite Corporation | Automated door assembly, press, and adhesive therefor |
US9500408B2 (en) * | 2013-11-01 | 2016-11-22 | Usnr, Llc | Mobile veneer dryer |
CN104400845A (zh) * | 2014-08-31 | 2015-03-11 | 钟育冰 | 板材冷压裁切组合装置 |
CN104227806B (zh) * | 2014-10-13 | 2015-12-16 | 浙江安吉双虎竹木业有限公司 | 一种木板冷压机结构 |
US20190105800A1 (en) * | 2017-10-06 | 2019-04-11 | Alex Xie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arbelized engineered stone |
US10738439B2 (en) * | 2018-01-19 | 2020-08-11 | Deere & Company | Open loop electrohydraulic bucket posi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
CN109435457B (zh) * | 2018-10-24 | 2024-02-09 | 深圳市威利特自动化设备有限公司 | 多层循环隧道炉 |
CN110466163A (zh) * | 2019-08-18 | 2019-11-19 | 山东金如意木业集团股份有限公司 | 胶合板全自动热压覆膜流水线及其热压覆膜方法 |
KR102346735B1 (ko) * | 2020-01-09 | 2022-01-03 | 주식회사 영전산기 | 프레스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본딩 설비 |
CN112092135A (zh) * | 2020-09-14 | 2020-12-18 | 广州飞柯科技有限公司 | 一种木纤维板压合装置及其生产方法 |
CN112318646B (zh) * | 2020-11-20 | 2022-04-08 | 贵港市欣桐木业有限公司 | 一种用于胶合板加工的压合装置 |
CN113146771B (zh) * | 2021-06-01 | 2022-04-19 | 南平市华泰木竹有限公司 | 一种高效保量单板干燥工艺方法 |
FI20216233A1 (en) * | 2021-12-01 | 2023-06-02 | Metso Outotec Finland Oy | Handling system for a sub-frame forming part of a filter plate frame unit in a tower-type horizontal filter press, method of carrying out maintenance of such sub-frame and use of such handling system |
CN115816582B (zh) * | 2022-12-19 | 2023-06-27 | 湖南宏森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环保低甲醛生态板热压装置及其生产工艺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98543B (de) * | 1962-10-16 | 1965-08-12 | Eugen Siempelkamp | Etagenpresse mit Beschicksieben fuer die Herstellung von Spanplatten, Faserplatten od. dgl. |
DE1223146B (de) * | 1965-04-17 | 1966-08-18 | Siempelkamp Gmbh & Co | Anlage zur beschickblechlosen Herstellung von Spanplatten, Faserplatten od. dgl. |
DE1653342A1 (de) * | 1966-10-26 | 1970-03-19 | Zagelow Dipl Ing Guenther | Anlage zum Pressen von Spanplatten oder dergleichen Platten |
US3896559A (en) * | 1973-03-28 | 1975-07-29 | Martin Jean Marie Michel | Machine for drying by contact veneers obtained by peeling or slicing wood |
US3964853A (en) * | 1974-11-13 | 1976-06-22 | Becker & Van Hullen Niederrheinische Maschinenfabrik | Apparatus for loading multi-stage heating presses |
CH582061A5 (ko) * | 1975-04-28 | 1976-11-30 | Fahrni Peter | |
DE2733765A1 (de) * | 1977-07-27 | 1979-02-15 | Buerkle Gmbh & Co Robert | Pressvorrichtung |
IT1137024B (it) * | 1981-05-22 | 1986-09-03 | Pagnoni Spa | Apparecchiatura di carico e scarico di una pressa bivan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fibrosi di legno o suoi succedanei e procedimento per il suo funzionamento |
US4863552A (en) * | 1986-02-22 | 1989-09-05 | Taihei Machinery Works, Ltd. | Horizontal multistage press |
US4811496A (en) * | 1987-10-28 | 1989-03-14 | Meinan Machinery Works, Inc. | Method of correcting the track of an intermittently-running endless belt in a veneer dryer |
DE4201475A1 (de) * | 1992-01-21 | 1993-07-22 | Hubertus Dipl Ing Hein | Etagenabluefter"- sortier- und pufferfaehige vorrichtung fuer das ablueften und die trocknung von plattenfoermigen erzeugnissen nach dickschichtigem lackauftrag |
JPH07159028A (ja) * | 1993-12-08 | 1995-06-20 | Yamamoto Tekkosho:Kk | 板状材の熱板乾燥方法 |
US5560410A (en) * | 1994-10-11 | 1996-10-01 | Peacock; Anthony N. | Veneer drying apparatus and method |
-
1996
- 1996-08-20 JP JP23854496A patent/JP376125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8-12 US US08/909,821 patent/US587571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8-15 NZ NZ328564A patent/NZ328564A/en unknown
- 1997-08-18 DE DE69727746T patent/DE6972774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8-18 MY MYPI97003777A patent/MY114464A/en unknown
- 1997-08-18 EP EP97114180A patent/EP083093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8-19 TW TW086111836A patent/TW344700B/zh active
- 1997-08-19 ID IDP972891A patent/ID18050A/id unknown
- 1997-08-19 CA CA002213364A patent/CA221336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8-20 CN CN97119270A patent/CN107783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8-20 KR KR1019970039638A patent/KR1002168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875710A (en) | 1999-03-02 |
ID18050A (id) | 1998-02-26 |
JPH1058405A (ja) | 1998-03-03 |
DE69727746T2 (de) | 2004-12-09 |
JP3761258B2 (ja) | 2006-03-29 |
TW344700B (en) | 1998-11-11 |
CN1178156A (zh) | 1998-04-08 |
MY114464A (en) | 2002-10-31 |
CA2213364C (en) | 2001-01-23 |
EP0830936B1 (en) | 2004-02-25 |
EP0830936A2 (en) | 1998-03-25 |
CA2213364A1 (en) | 1998-02-20 |
NZ328564A (en) | 1998-08-26 |
KR19980018820A (ko) | 1998-06-05 |
EP0830936A3 (en) | 1998-12-09 |
CN1077834C (zh) | 2002-01-16 |
DE69727746D1 (de) | 2004-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16862B1 (ko) | 베니어 가압장치 | |
JP5779295B1 (ja) | 単板仕組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単板仕組み方法 | |
JP4793991B2 (ja) |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搬出構造 | |
JP5755385B1 (ja) | 単板重ね合わせ方法 | |
JPH1054662A (ja) | ベニヤ単板の加熱装置 | |
JP4781166B2 (ja) |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位置決め構造 | |
FI73915B (fi) | Presstoemningsanordning. | |
KR20010020630A (ko) | 판 형상체의 가공 장치로의 반입, 반출 방법 | |
JP4776442B2 (ja) |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搬入構造 | |
JP4307147B2 (ja) | 板状体の搬送方法及び装置 | |
JPS56161256A (en) | Stacker for setting veneers together | |
US5013211A (en) | System for stacking veneer sheets conveyed from two different directions | |
US3280960A (en) | Conveyer unloading | |
JP3666701B2 (ja) | 定尺切断装置及び定尺切断方法 | |
JPH07159031A (ja) | 木材の乾燥装置 | |
JP2613011B2 (ja) | 木材乾燥装置の既乾燥単板排出構造 | |
JP2613010B2 (ja) | 木材乾燥装置の単板装入構造 | |
JPH049122Y2 (ko) | ||
JPH01279000A (ja) | 横型多段プレスにおける板体搬送方法及び装置 | |
JP4423093B2 (ja) | 塗付装置及び集成材製造装置。 | |
JPH0422963Y2 (ko) | ||
JP4423092B2 (ja) | プレス装置及び集成材製造装置。 | |
JP2001047404A (ja) | 搬入装置及び搬入、搬出方法 | |
JPS6212567A (ja) | ベニヤ単板の搬出方法 | |
JPH01294001A (ja) | 板体の加熱加圧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0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