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00373B1 - 살수노즐 - Google Patents

살수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373B1
KR100200373B1 KR1019970005164A KR19970005164A KR100200373B1 KR 100200373 B1 KR100200373 B1 KR 100200373B1 KR 1019970005164 A KR1019970005164 A KR 1019970005164A KR 19970005164 A KR19970005164 A KR 19970005164A KR 100200373 B1 KR100200373 B1 KR 10020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nozzle
nozzle body
cylind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521A (ko
Inventor
도시오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도시오 다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다카기 filed Critical 도시오 다카기
Priority to KR101997000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3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다종 살수형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한 살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노즐본체의 외주측방에 내통을 둘러싸고, 내통내의 간극을 내부유통로로하며, 내통의 외방을 외부유통로로하고, 노즐본체 주벽에 천설시킨 투공으로 부터 물을 내통의 진퇴조작에 의해 내부유통로 또는 외부유통로에 안내되어지도록 구성하였다. 거기에다가 노즐본체의 폐쇄선단에는,주벽에 수류입공을 천설한 누즐두부를 연설하고 동 수류입공은 내부유통로와 연통시켜, 내통의 조작에 의해 무상, 직진봉상, 콘상, 죠오로상 샤워상의 각종살수형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살수노즐을 제공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살수노즐
제1도는 본 발명의 살수노즐의 단면 전체 설명도.
제2도는 무상(霧狀)의 살수 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3도는 콘상의 살수형태로 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4도는 직진 본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5도는 죠오로(물뿌리개)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6도는 샤워 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살수노줄에 있어서의 노즐두부의 분해설명도.
제8도는 내통의 분해설명도.
제9도는 살수를 정지시킨 상태의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0도는 제2실시예로서의 살수노즐의 단면 전체 설명도.
제11도는 무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2도는 콘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3도는 직진봉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4도는 살수를 정지시킨 상태에서의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5도는 환상(環狀)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6도는 살수를 정지시킨 상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7도는 죠오르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8도는 샤워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19도는 내통의 분해 설명도.
제20도는 노즐본체의 접동기구(摺動機構)의 사시도.
제21도는 유량 조정통의 설명도.
제22도는 최외측통부의 일부절결(切決)측면설명도.
제23도는 제2 실시예로서 살수노즐의 단면 전체설명도.
제24도는 무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25도는 콘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26도는 직진 봉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27도는 살수를 정지시킨 상태의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28도는 죠오로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29도는 샤워상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30도는 살수를 정지시킨 상태의 다른 부분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
제31도는 선상(扇狀)의 살수형태로한 중요부분의 단면설명도.
제32도는 살수판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즐본체 12 : 중간부 유통로
13 : 투공 14 : 제1실 부재
15 : 제2실부재 17 : 내통
18 : 내부 유통로 19 : 연통로
20 : 최외측통부 22 : 살수판
23 : 노즐구 40 : 노즐두부
41 : 수류입구 44 : 세공(細孔)
[산업상의 이용분야]
이 발명은 살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살수노즐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실공평(實公評)6-26366호나 미국특허 제478599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이류로(二流路)로 분기한 구성으로서, 이류로를 독립하고 혹은 같이 개방하여, 더욱이 개방정도의 조정에 의해 각종 살수형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파지통(把持筒)에서의 유출수는 노즐본체의 주벽(周壁)에 천설된 투공을 통과하여 노즐본체의 외주로 부터 샤워형태로 살수되어지도록 구성시킴과 동시에 투공으로 부터의 유로를 변환시키는 실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면, 샤워유로가 폐색되어져 스트레이트 유료에 절환스트레이트형태의 살수가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샤워유료와 스트레이트 유로와는, 주벽에 투공을 가진 노즐본체의 외측에 내통을 덮어씌우고, 노즐본체와 내통과의 사이를 스트레이트 혹은 분무를 위한 유로로하여, 내통의 외측을 샤워유로로 한다.
거기에다가, 이 내통전체는, 그 외주방(外周方)에 배설(配設)한 외측케이스의 기단과 고착상태(固着狀態)하여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 실공평(實公評)5-1319호에 개시(開示)되어져 있는 살수노즐은, 유로(流露)를 세밀하게 구분하여, 4종류 이상의 살수형태가 만들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살수노즐 본체(本體)의 주유로(主流路)의 선단(先端)을 폐색(閉塞)해서, 폐색벽(閉塞壁)의 후방(後方)으로 부터의 유수로(流水路)와 폐색벽(閉塞壁)의 선방(先方)으로 부터의 유수로(流水路)를 기본(基本)으로 하여, 각 유수로를 더욱더 복수(複數)로 나누어, 다수(多數)의 유수로(流數路)를 구성하여, 주류로(主流路)로 형성시킨 유수공(流水孔)의 위치를 진퇴조정(進退調整)에 의해 4종류 이상의 살수형태를 얻도록 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실공평6-26366호나 미국특허 제4,785,998호에 개시되어진 살수노즐에 있어서는, 샤워상태나 직진상 또는 분무상등의 살수형태를 내통의 진퇴작동에 따라 행하여 지도록 되어 있으나. 특히 무상으로 분무되는 형태에 있어서는, 중심부가 공동화되어져 환상(環狀) 살수가 되어질 우려가 있고, 더욱기 분무상으로 살수하면, 살수거리가 극단적으로 짧아질 우려가 있어, 이것들의 결점을 해소하면서 하나의 살수노즐로서, 무상(霧狀), 콘 상(狀), 직진봉상(直進棒狀), 죠오로상, 환상(環狀), 선상(扇狀)등 다종다양한 살수형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살수 노즐은 없었다.
더욱이, 노즐본체의 선단부가 눈막힘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경우, 점검이 어려워, 내통의 파손부품도 전제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결점이 있고, 그위에 조립작업에 있어서도, 고착공정(固着工程)이 필요에 그 만큼 번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어, 각종형태의 살수가 가능하게 되는 반면, 상기와 같은 정비상의 불비(不備)가 지적되어지고 있다.
또, 실공평5-1319호에 개시되어진 살수노즐에 있어서는, 각종 유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수류가 도중에서 혼합되어져 명확한 살수형태의 절환(切煥)이 확실히 행해지지 않고, 또, 유수로의 도중에 각부재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진 요철이 많아서, 물이 원활히 흐르지 않을 염려가 있어, 살수시 방정력(放鄭力)에 지장이 생길 염려가 있다.
이 발명은, 각종형태의 살수를 가능하게한 노즐이면서, 물의 흐름이 원활히 하고, 더불어, 각 유로의 구분을 명확히 구성하여, 살수방향으로 흐르는 유수부하(流水負荷)를 가급적 감소시키고, 상기 결점을 해소시키는데 있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발명은, 기단(基端)을 호스 연결부와 연통(連通)시킨 통형(筒型)의 중공상(中空狀)의 노즐 본체로 구성하고, 동 노즐본체는 선단부를 폐색함과 동시에 노즐본체의 외주측방향에는, 수류공간으로서의 내부유통로를 가지고 내통이 진퇴가 자유롭게 둘려싸며, 동 노즐본체의 폐색부선방(先方)에는, 선단을 협착상(狹窄狀)으로 조인 통상의 노즐두부를 돌설하여, 노즐두부의 주벽(周壁)에는 내부유통로에 연통한 수류입공(水流入貢)을 필요수 만큼 설치하고, 내부유통로의 종단은, 내통의 선단에 설치한 노즐구에 연통시키고, 노즐구는 내주면(內周面)을 프레이트면과 테이퍼면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내통의 진퇴작동에 의해, 노즐두부의 외주면과 노즐구와의 간극을 폐쇠 및 조절가능하게 구성한다. 게다가, 노즐본체의 중도부 주벽에 내통의 진퇴와 함께 내부유통로와 연통할 투공(透孔)을 만들고, 동 투공의 전후 외주측면에는 제1실 부재 및 제2실 부재를 만들어서, 동부재가 진퇴 자재한 내통의 내주벽면에 압착(壓着) 자재하게되고, 더욱이, 내통의 외주측 방향에는 수류공간으로서의 외부통로를 가지고 최외측통부(最外側筒部)를 둘려싸게한 상태가 되게 일체로 연결 설치하며, 동 외부유통로는 내통의 진퇴에 의해 노즐 본체의 투공과 연통(連通)하도록 구성한다. 게다가, 동 외부유통로의 종단(終端)은 최 외측통부의 선단에 형성한 살수판과 연통시키게 되는 살수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기단(基端)을 호스연결부와 연통시킨 통형의 중공상태(中空狀態)의 노즐 본체를 구성해, 동 노즐본체는 선단부를 폐색하여, 중도부 주벽에 투공을 천설함과 동시에, 노즐본체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으로한 내부유통로를 가지고 내통을 둘려싸게하고, 게다가, 노즐본체는 내통의 내부에, 상기 투공(透孔)의 전후외주측면에 설치한 제1실 부재 및 제2실 부재를 사이에 끼워 진퇴자유롭게 삽통(揷通)하고, 노즐본체의 폐색부선방(閉塞部先方)에는, 선단을 협착상태로 조인 통상의 누즐두부를 돌설(突設)하고, 동 노즐두부의 주벽에는 내부유통로에 연통한 수류입공(水流入孔)을 필요한 수로 설치하며, 내부 유통로의 종단은, 내통의 선단에 설치한 노즐구에 연통시키고, 노즐구는 내주면을 프레이트면과 테이퍼면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노즐본체의 진퇴작동에 의해, 노즐두부의 외주면과 노즐구와의 간극을 폐쇠 및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게다가, 내통은 노즐 본체의 외주측방에 수류 공간으로서의 내부유통로를 가지는 내측내통과, 동 내측내통의 외주측방향에 수류공간으로서의 중간부 유통로를 가지는 외측내통으로 구성하고, 동 중간 유통로는 노즐 본체의 진퇴에 의해 노즐 본체의 투공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며, 동 중간부 유통로의 종단은 외측내통의 선단에 형성된 살수판의 제1의 살수구와 연통시킨 것에도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내통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으로서의 외부유통로를 가지고 최외측통부를 들러싸고, 동 외부유통로는 노즐 본체의 진퇴에 의해 노즐 본체의 투공과 연통되어지도록 구성하고, 게다가, 동 외부유통로의 종단은 최외측통부의 선단에 형성된 살수판의 제2의 살수구와 연통시킨 것에도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제1의 살수구는, 살수판의 중심보다 외주연(外周緣)을 향해어 다수 천설한 살수소공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의 살수구는 살수판의 주연부에 배설(配設)해 둔 것에도 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제1의 살수구는, 살수판의 중심으로 부터 대칭위치에 복수로 배설하고, 선형살수를 형성시키기 위해 구성한 선형용공(扇形用孔)으로 함과 동시에, 제2의 살수구는 살수판의 거의 전면에 천설한 다수의 살수 소공으로 하는 것에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또, 내통은 전단내통과 후단내통으로 분할한 것에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단내통의 내주측면에 주방향으로 일정간극을 두고 리브를 돌설해서, 동 리브와 제1실 부재를 당접상태로 하는 것과 동시에, 각 리브간의 간극을 내부유통로로하고, 더욱이 후단내통의 선단개구 연부에, 전후내통의 리브와 감합(嵌合)하는 요부(凹部)를 형성하여, 전단내통을 떼어서 자재로 후단내통에 일정조립할때, 리브가 후단내통의 요부에 감착해서 일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살수노즐에도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살수노즐의 단면도이고, 1은 파지통이며, 파지통(把持筒)(1)의 하단에 호스연결부(2)를 설치함과 동시에, 파지통(1)의 전면에는 부라켓(5)을 사이에 끼우고 파지(把持)레버(6)를 회동자재하게 마련하고 있다. 파지통(1)안에는 상하접동 자재하게 삽통(揷通)한 스라이드 파이프(3)와 동 파이프의 상단이 당접하는 조정변(調整弁)(7)을 설치하고, 스라이드 파이프(3)의 중단은, 파지레버(6)의 중도에 끼워져 있는 레버(4)와 연결되어 있다.
스라이드 파이프(3)의 중도부에는, 돌출부(8)를 형성함과 동시에, 돌출부(8)와 파지통(1)의 내부하단과의 사이에는, 스프링(9)을 끼워두었기 때문에, 스라이드 파이프(3)는 조정변(7)에 항상 당접 부세해 수류입(水流入)을 차단하고 있다.
또, 파지통(1)의 상단에는, 통형의 중공상의 노즐 본체(10)의 종단부를 연통연결해 두고, 동 종단부에는 조정변(7)과의 사이에 수류입 간극을 형성한 변수부(弁受部)(11)가 마련되어져 있다. 따라서, 파지통(1)의 하단에 마련된 호오스연결부(2)에 의해 물을 유입하면, 물은 파지통(1)안의 스라이드 파이프(3)안을 통과해 조정변(7)으로 폐색되어져 있어, 파지레버(6)의 조작에 의해 스라이드 파이프(3)가 스프링(9)의 작용에 대항하여 강하하면서 잠기면, 조정변(7)에 의해 폐색되어진 스라이드 파이프(3)상단이 개구되어, 노즐 본체(10)의 종단에 설치되어진 변수부(11)와의 사이의 유통공에 의해 물을 노즐본체(10)안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진 것이다.
노즐본체(10)는, 선단을 폐쇄함과 동시에, 폐색부(10b)전방에는, 선단을 협착상으로 조인 통상의 노즐 두부(40)를 라설(螺設)해두고, 동 노즐두부(40)의 주벽에는, 후술의 내부유통로(18)에 연통한 수류입공(41)을 4곳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즐두부(40)의 구보를 제7도에 의거하여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노즐두부(40)는 통상부(42)와, 통상부(42)의 선단에 형성된 협착상의 노즐 선단부(43)로 구성되고, 노즐 선단부(43)의 선단에는 세공(44)을 형성하고, 세공(44)의 선방에는, 확개상(擴開狀)의 테이퍼면(45)을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통상부(4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노즐본체(10)의 폐색부(10b)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47)와 라합(螺合)되어져 있다. 더우기 폐색부(10b)의 전단면에는, 통상부(42)안에, 수류입공(41)과 연통하는 수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분벽(壁)(48)을 방사상으로 돌설(突設)해 두고, 동 구분벽(48)은, 통상부(42)안에 수로를 구분 형성시켜, 다수의 수류입공(41)으로 부터의 유입수를 균일하게 세공(44)에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구분벽(48)의 선단에는, 협착상의 노즐선단부(43)안에 삽입시킨 돌기체(突起體)(49)가 돌설되어져 있고, 그 주면에는 주면라선구(周面螺旋溝)가 각설(刻設)되어져 있다.
노즐 본체(10)의 중도부(中途部) 주벽에는 투공(13)을 천설(穿設)하고, 거기에 투공(13)의 전후 위치에는, 노즐 본체의 외주측면에 고무 소재의 제1 실 부재(14) 및 제2 실 부재(15)를 장착하고 있다. 더욱이, 16은 노즐 본체(10)의 후부에 장착한 제3 실 부재이다.
노즐본체(10)의 외주측면에는, 내통(17)이 내부유통로(18)를 가지고, 진퇴자재하게 둘러 싸여져 있다. 내통(17)을 전진시키면, 내부유통로(18)는,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되었을 때에는, 노즐본체(10)의 전반부와 내통(17)의 후반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진 간극(間隙) 즉, 내부유통로(18)를 사이에 두고 내부유통로(18)의 개구부인 노즐구(23)와 노즐본체(10)선단에 연설된 노즐두부(40)와 노즐 선단부(43)와의 간극으로 부터 방수되어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동시에, 내부유통로(18)가 투공(13)과 연통되었을 때에는, 제4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내부유통로(18)의 종단 근방에 위치한 수류입공(41)을 사이에 두고 물이 노즐두부(40)의 안에도 유입되어, 구분벽(48)사이를 유통해서 주면 나선홈(50)을 통과하면서, 선단의 세공(44)으로부터 세봉상(細捧狀) 혹은 협폭분상(狹幅粉狀)의 살수가 행하여 진다.
또, 내통(17)의 후부에는, 연통로(19)가 천설되어져 있고, 동 연통로(19)는 내통(17)의 더 외주측방에 둘려싸여 있는 최외측통부(20)와의 사이의 외부유통로(21)에 연통되어져 있는 것이며, 최외측통부(20)와 내통(17)과는 일체로 전후접동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한편으로 최외측통부(20)의 기단내주측면(基端內周側面)은 노즐본체(10)의 중도부 외주면에 설치한 숫나사통(10a)와 라합되어져 있다.
따라서, 최외측통부(20)를 상기 라합부와 사이에 두고 회전시키면, 일체로 연설되어진 내통(17)은, 최외측통부(20)와 일체가 되어 전후 접동하도록 되어진 것이고, 최외측통부(20)와 내통(17)과의 사이에 형성되어진 외부유통로(21)의 선단부에는, 다공판(多孔板)등의 살수판(22)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살수노즐에 있어서, 파지통(1)으로 부터 유입되어진 물은 노즐본체(10)의 투공(13)을 통과하여, 내통(17)의 진퇴위치에 의해, 일차적으로는 내부유통로(18)와 연통되어 그 노즐구(23)를 사이에 두고 방수되는 것으로 되고, 노즐구(23)와 노즐두부(40)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의해, 제2도∼제4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상, 콘상 및 봉상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때, 노즐두부(40)의 세공(44)으로 부터도, 살수중심부를 향해 세봉상등의 살수가 행하여지도록 되어서, 그러므로, 노즐구(23)으로부터의 봉상,콘상,무상등의 살수시에는, 그 중심부의 세공(44)으로 부터의 세봉상등의 살수가 포함되어, 무상살수시의 중심공동화를 방지하고, 주변살수를 유인하여 비거리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즐구(23)의 외주면은 프레이트면(23a)과 테이퍼면(23b)를 형성시키므로서, 내통(17)의 진퇴작동에 의해 노즐두부(40)의 외주면과 노즐구(23)와의 간극 조절 및 폐쇠조절을 가능하게끔 구성하고 있다.
이차적으로는, 최외측통부(20)를 회동조작시키는 것에 따라, 내통(17)을 전방으로 진출시키면, 제1실 부재(14)와 내통(17)의 내주면과는 실링 상태가 되고, 제2실 부재(15)와 내통(17)의 내주면과는 실링이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내통(17)의 연통로(19)가 연통해서, 외부유통로(21)에 통수(通水)하도록 하므로써,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샤워상으로 방수되도록 되는 것이다.
게다가, 내통(17)의 전진거리에 따라 연통로(19)와 투공(13)과의 연통면적이 변화하여, 연통면적이 적을 경우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죠오로상의 살수가 되고, 큰 경우는 제6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샤워상의 살수가 된다.
또, 제9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내통(17)을 적의의 위치로 조절하여 후단내통(17b)의 외주면과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가 실링 상태가 되면, 투공(13)이 완전히 페색되어 살수가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내통(17)은 제8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전후로 2등분되어 있어, 전단내통(17a)은, 떼면 자유롭게 되고, 최외측통부(20)의 선단의 살수판(22)을 형성하는 커버를 벗기면 전단내통(17a)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살수노즐의 노즐두부(40)에 눈막힘이나, 파손등의 사고가 생기는 경우에는, 살수판(22)을 떼어낸후, 내통(17)의 전단내통(17a)을 벗기고, 노즐두부(40)를 노출시켜서 소정의 정비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단내통(17a)은 주로 노즐본체(10)의 전부외주측면(前部外周側面)을 둘러 쌀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고, 그 선단은, 소형의 노즐구(23)에 끼워넣어 동 노즐구(23)에 노즐본체(10)의 노즐두부(40)가 접동 자재하게 삽통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노즐 본체(10)의 전부와 전단내통(17a)과의 사이에는 제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일정의 간극, 즉, 내부유통로(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전단내통(17a) 내주면에는, 일정간극을 가지고 세상(細狀)의 리브(25)가 다수배열해서 형성되어 있고, 리브(25)와 리브(25)와의 사이에는 수류 때문에 장수상구(長手狀構)가 형성되어져 있고, 따라서, 제1 실부재(14)가, 전단내통(17a)의 리브(25)의 내주면과 당접해도, 제1실부재(14)와 각 리브(25) 사이의 장수상구와의 사이는 물이 유통할 수 있는 만큼의 간극을 형성하여, 그 간극이 내부유통로(18)를 구성하는 것이 된다. 즉, 제1실 부재(14)가 리브(25)의 내측면과 압착상태로 되어 있어도, 물은 리브(25)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방수되어진다.
또, 동 리브(25)를 설치함에 따라, 제1실 부재(14)와의 마찰저항이 적어져서, 노즐본체(10)의 외주측면에 설치되어진 실부재와의 접동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실 부재의 마모, 벗겨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후단내통(17b)의 선단개구 연부는, 제8도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단내통(17a)의 내주측면에 감입밀착(嵌入密着)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동 선단개구 연부에는, 전단내통(17a)에 설치되어진 리브(25)와 감착하는 요부(凹部)(27)를 형성하고 있다.
또, 후단내통(17b)의 중도부에는,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해서 외부유통로(21)에 통하는 연통로(19)가 설치되고, 동 연통로(19)의 외주측면에는 악부(鍔部)가 돌설되어 있고, 동 악부는 최외측부(20)의 내주측면과 연결되어서, 일정하게 접동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 제8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내통(17b)의 전부내주면에 는 팽출(膨出)한 접동부(29)를 형성하고, 동 접동부(29)는, 노즐본체(10)의 제1실 부재(14) 및 제2 실 부재(15)가 압착접동해서 내부유통로(18)와 외부유통로(21)와의 절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 선단개구연부의 각 요부(凹部)(23)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편(28)의 외주면은, 선단개구 연부에 걸쳐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거기에 이와 같은 경사면은 선단방향을 항해서, 점차 확개상(漸次擴開狀)의 구배(句配)로 되어 있다.
이것은, 노즐본체(10)의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와, 내통(17)의 내주측면과가 접동할때에, 노즐본체(10)의 실면이 원활히 후단내통(17b)의 내부에 진입 후퇴하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위에. 후단내통(17b)내주면의 접동부(29)로 부터 연통로(19)에 이르는 면에도 구배면(勾配面)을 가지고 있고, 이와 같은 구배면은 연통로(19)를 향해 점차확개상의 구배로써, 상기 경사면과 같이 노즐본체(10)의 부드러운 진입후퇴 작동 및 원활한 유형의 변화에 기여한다.
제10도∼제22도는 제2실시예로서의 살수노즐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10도∼제18도에 있어서, 살수노즐의 선단부분은 제19도의 I-I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0도는, 제2 실시예로서의 살수노즐의 단면도이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파지통(1)의 하단에 호스 연결부(2)를 설치함과 동시에, 파지통(1)의 상단에 노즐본체(10)의 종단부를 연통연결해, 파지통(1)의 전면에 설치한 파지레버(6)의 회동조작에 의해, 물을 노즐본체(10)안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노즐본체(10)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선단을 폐색함과 동시에, 중도부 주벽에 투공(13)을 천설하고, 폐색부(10b)전방에는, 제10도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노즐두부(40)를 라설하고, 투공(13)의 전후 위치에는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를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파지통(1)의 상단과 노즐본체(10)의 종단부와의 사이에는 노즐본체 접동기구(51) 및 유량조절기구(52)를 개설(介設)하고 있다.
노즐본체 습동기구(51)는, 제10도 및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의 고정통(53)의 기단에 원통상의 중심통(54)의 기단을 동축상(同軸狀)에 붙여, 동중심통(54)의 기단에 통형의 회동통(回動筒)(55)의 기단을 회동자재하게 붙여두고, 동 회동통(55)의 주벽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4본의 안내구(55a)를 회동통(55)의 축선(軸線)에 따라서 형성하고, 동 안내구(55a)에 노즐본체(10)의 기단에 형성한 숫나사부(10c)를 접동 자재하게 유감(遊嵌)시키고, 또한, 고정통(53)의 내주면에 각설(刻設)한 암나사구(53a)에 숫나사부(10c) 상면의 숫나사(10d)를 라합시킨다. 따라서 중심통(54)은 노즐본체(10)의 내부에 진퇴 자재하게 수납된다.
도, 회동통(55)의 선단에는, 계합(係合) 프레임(55b)을 돌설하고, 계합 프레임(55d)의 내측은 안내구(55a)에 연통시킨 4개소의 계합 요부(凹部)를 형성하는 한편, 최외측통부(20)의 기단내주면에, 제2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편(係合片)(20a)을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4개소를 형성하여, 각 계합편(20a)에 상기 계합프레임(55b)의 계합 요부(凹部)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최외측통부(20)의 기단에 회동통(55)의 선단을 연동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최외측통부(20)의 회동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통(55)이 회전함과 동시에, 노즐본체(10)가 회동통(55)의 안내구(55a)에 안내되어져서 전후방향으로 진퇴이동 하도록 하고 있다.
노즐본체(10)이 외주측방에는, 제10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17)이 내부유통로(18) 및 중간부유통로(12)를 가지고 둘려싸고, 동 내통(17)의 외주측방에는, 최외측통부(20)가 외부유통로(21)을 가지고 둘려싸고, 거기에다가, 내통(17) 및 최외측통부(20)의 선단개구부에는, 살수판(22)이 복설(覆設)되어져 있고, 노즐본체(10)는, 상기 노즐본체접동기구(51)에 의해 내통(17)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이동 하도록 하고 있다.
내통(17)은, 제10도 및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주로 2분할 되어져 구성되고, 전단내통(17a)의 내부에 후단내통(17b)을 삽입해 두고, 후단내통(17b)은 그위에 전방후단내통(17c)과 후방후단내통(17d)으로 분할되어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살수노즐의 노즐두부(40)에 눈막힘이나. 파손등의 사고가 생긴 경우에, 살수판(22)을 떼어낸 후, 내통(17)을 떼어, 노즐두부(40)를 노출시켜 소정의 정비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단내통(17a)은, 노즐본체(10)의 전반부외주측방에 둘려싸게여서 내부유통로(18)를 가지는 내측내통(17e)과, 동 내측내통(17e)의 외주측방에 둘려싸여 중간부유통로(12)를 가지는 외측내통(17f)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층내통(17e)은 주로 노즐본체(10)의 전반부 외주측면을 둘러 싸는 것 같이 구성되어져 있고, 그 선단은, 소형의 노즐구(23)에 좁아지게 넣어, 동 노즐구(23)에 노즐본체(10)의 노즐두부(40)가 접동자재하게 삽통되어 있다.
내측내통(17e)과 노즐본체(10)의 전반부와의 사이에는,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의 간극 즉, 내부유통로(18)가 형성되어 진다. 즉, 내측내통(17e) 내주면에는, 일정 간극을 유지하고 세상(細狀)의 리브(25)가 다수병렬로 형성되어, 리브(25)와 리브(25)와의 사이에는 수류(水流)를 위한 장수상구(長手狀構)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 부재(14)가 내측내통(17e)의 리브(25)의 내주면과 당접해도, 제1실 부재(14)와 각 리브(25) 사이의 장수상구와의 사이에는 물이 유통할 수 있을 만큼의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이 내부유통로(18)를 구성한 것처럼 된다. 즉, 제1실 부재(14)가 리부(25)의 내측면과 압착상태로 되어 있어도, 물은 리브(25)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방수된다.
또, 동 리브(25)를 설치함으로 해서, 제1실 부재(14)와의 마찰저항이 적게되고, 노즐본체(10)의 외주측면에 설치되어진 실링부재와의 접동을 부드럽게 행하게 되어, 상기 실부재의 마모, 벗겨짐등을 방지하게 된다.
내측내통(17e)의 외주에는, 중간부유통로(12)의 일부가 되는 공간을 보유하고 외측내통(17f)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내통(17f)의 기단은 점차협착상(漸次狹窄狀)으로 된 내측내통(17e)의 외주에 고설(固設)되어 있다.
거기에, 외측내통(17f)의 경사후벽(傾斜後壁)(17g)에는, 중공연통벽(中空連通壁)(17h)이 연설되어져 있다. 게다가, 동 중공연통벽(17h)의 중공종단개구부(中空終端開口部)는, 내측내통(17e)과 외측내통(17f)과의 사이의 공간에 연통함과 동시에, 동 중공연통벽(17h)의 중공시단개구부(中空始端開口部)는, 내측내통(17e)의 주벽에 형성된 연통로(19a)와 연통한다.
따라서, 연통로(19a)와 중공연통벽(17h)의 중공부와 내측내통(17e)의 외주공간에 의해, 중간부유통로(12)가 형성된다.
전방후단내통(17c)은 제10도 및 제19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개구연부가 전단내통(17a)의 내주측면에 감입(嵌入)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 선단개구 연부에는, 내측내통(17e)의 내주측면에 설치한 리브(25)와 감착하도록 요부(凹部)(27)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전방후단내통(17c)의 중도부에는,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함과 동시에, 내측내통(17e)의 연통로(19b)와 연통하여 외부유통로(21)로 통하는 연통로(56b)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개구연부와 연통로(56b)와의 사이의 내주측면에는, 팽출상(澎出狀)의 접동부(57b)를 형성하고, 동 접동부(57b)는, 노즐본체(10)의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와 압착 및 이반(離反)하는 것에 의해 내부유통로(18)와 외부유통로(21)와의 절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 선단개구 연부의 각 요부(凹部)(27)에 형성되어진 돌출편(28)의 내주면에는, 선단방향으로 향해서 점차 확개상(擴開狀)의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고, 노즐본체(10)의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가 내통(17)의 내주측면과 접동할때에, 노즐본체(10)의 실면이 원활히 전방후단내통(17c)의 내부에 진입후퇴하기 쉽도록 형성하고 있다.
거기에다, 전방후단내통(17c)의 내주면 접동부(57b)로 부터 연통로(56b)에 이르는 면에도 연통로(56b)에 향해서 점차 확개상의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과 같이, 노즐본체(10)의 원활한 진입후퇴동작 및 원활한 유량의 변화에 기여하도록 하고 있다.
후방후단내통(17d)은, 제10도 및 제1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선단개구연부가 전방후방내통(17c)의 내주측면에 감입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게다가, 후방후단내통(17d)은, 상기 전방후단내통(17c)과 같이, 동 선단개구연부에 전방후단내통(17c)의 내주측면에 설치한 리브(25)와 감착하는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있다. 또 후방 후단내통(17d)의 중도부에 연통로(56a)를 천설하고, 동 연통로(56a)는,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함과 동시에, 내측내통(17e)의 연통로(19a)와 연통하여 중간부 유통로(12)에 통한다. 또, 상기 선단개구연부와 연통로(56a)와의 사이의 내주측면에는, 팽출상의 접동부(57a)를 형성하고, 동 접동부(57a)는, 노즐본체(10)의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와 압착 및 이반(離反)해서 중간부유통로(12)와 외부유통로(21)와의 절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후방후단내통(17d) 내주면의 접동부(57a)로부터 연통로(56a)에 이르는 면에도 연통로(56a)를 향해서 점차확개상의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본체(10)의 원활한 진입후퇴동작 및 원활한 유량의 변화에 기여하도록 하고 있다.
살수판(22)에는, 다수의 살수소공(小孔)을 중심보다 외주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천설한 원판상의 다공판의 중심부에, 내측내통(17e)의 선단에 형성되어진 노즐구(23)에 연통하는 연통공(22a)를 천설함과 동시에, 다공판의 주연부에 외주공(外周孔)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연통공(22a)에는 내부유통로(18)에 연통하고, 제1의 살수구(22b)으로서의 살수소공은 중간부유통로(12)에 연통하고, 제2의 살수구(22c)로써의 외주공은 외부유통로(21)에 연통하고 있다.
유량조정기구(52)는,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통(1)의 상단과 노즐본체접동기구(51)를 구성하는 중심통(54)의 사이에 유량조정통(流量調整筒)(58)을 회동자재하게 개설하고, 동 유량조정통(58)의 후단에 유량조정 손잡이(59)를 붙여두고, 유량조정통(58)의 주벽에는,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향해서 점차 확개상의 유량조정공(58a)를 형성하고, 상기 유량조정 손잡이(59)의 회동조작(回動操作)에 의해 파지통(1)과 노즐본체(10)의 연통면적을 변경 자유롭게하여, 파지통(1)으로 부터 노즐본체(10)에 유입하는 물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수도꼭지로 부터 노즐본체(10)안에 물을 유입시켜, 최외측통부(20)를 회동조작해서 노즐본체(10)를 진퇴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형태의 살수가 행하여진다.
즉,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구(23)의 내주면에 노즐두부(40)의 외주면을 당접시켜 내부유통로(18) 종단을 폐색하면, 물은 투공(13)으로부터 내부유통로(18)을 사이에 끼우고 수류입공(41)에 유입시켜,노즐두부(40)의 선단으로 부터 직진상을 포함하는 무상(霧狀)의 살수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노즐본체(10)를 조금 후퇴시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구(23)와 노즐두부(40)와의 사이에 간극이 조금생겨, 내부유통로(18)의 종단이 조금개방되기 때문에, 노즐두부(40)의 선단으로 부터의 직진상의 살수를 포함한 무상(霧狀)의 살수가 행하여진다.
한편으로, 이때, 무상살수(霧狀撒水)의 중심에는 노즐두부(40)선단으로 부터의 직진상의 방수가 함꼐 포함되어지므로, 먼거리까지 나가고, 더불어 살수시의 공동화(空洞化)를 방지한다.
이어서, 더욱기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고,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구(23)의 프레이트면(23a)이 노즐두부(40)의선단외주와 상대한 위치에 오면, 그 간극으로 부터는 직진의 봉상의 살수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 제14도에 나타나있는 바와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이 전단후단내통(17c)의 외주면에서 완전히 폐색되어 살수가 정지된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 제1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은 연통로(19b)를 사이에 두고 외부유통로(21)와 연통해, 살수판(22)의 제2의 살수구(22c)(외주공)으로 부터 환상의 살수가 행하여진다.
또, 노즐본체(10)를 후퇴시켜면 제1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이 후방후단내통(17d)의 외주면으로 완전히 폐색되어, 살수가 또다시 정지되어진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 제1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에 연통로(19a)를 사이에 두고 중간부유통로(12)와 연통해, 연통간극을 적게하면, 살수판(22)의 제1의 살수구(22b)(살수소공)으로 부터, 죠오로상의 살수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서, 제18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투공(13)과 중간부유통로(12)와의 연통간극을 크게하면, 살수판(22)의 제1의 살수구(22b)(살수소공)으로 부터 샤워 살수가 행하여진다.
또, 후되시킨 노즐본체(10)를 적당히 전진시켜도, 상기의 각 살수형태를 선택할 수가 있다.
제23도∼제32도는 제3 실시예로서의 살수노즐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23도∼제31도에 있어서, 살수노즐의 선단부분은 제32도의 Ⅱ-Ⅱ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3도는, 제3 실시예로서의 살수노즐의 단면도로,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살수노즐의 선단에 부착한 살수판(22)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상기 제2 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살수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량조정기구(52)는 설치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살수판(22)을 사용하고 있고, 동 살수판(22)은, 다수의 살수소공을 대략 전면에 천설한 원판상의 다공판의 중심부에, 내측내통(17e)의 선단에 형성된 노즐구(23)에 연통하는 연통공(22a)을 천설함과 동시에 동 연통공(22a)을 중심으로하여 대칭위치로 경사시킨 세장수상(細長手狀)의 선형용공(扇形用孔)을 2개 천설하고 있다.
또, 양 선형용공의 세장수 방향중심선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통공(22a)은 내부유통로(18)와 연통하고, 제1의 살수구(22b)로서의 선형용공은 중간부 유통로(12)에 연통하고, 제2의 살수구(22c)로서의 살수소공은 외부유통로(21)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수도꼭지로부터 노즐본체(10)안에 물을 유입시켜, 최외측통부(20)를 회동 조작하여 노즐본체(10)를 진퇴이동시킴에 따라, 이하에 설명하는 형태의 살수가 행하여진다.
즉, 제24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구(23)의 내주면에 노즐두부(40)의 외주면을 당접시켜 내부유통로(18)종단을 폐색하면, 물은 투공(13)으 로부터 내부유통로(18)를 사이에 두고 수류입공(41)에 유입되어, 노즐두부(40)의 선단으로부터 직진상의 살수를 포함한 무상의 살수가 행하진다.
이어서, 노즐본체(10)를 조금 후퇴시키면,제2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구(23)와 노즐본체(40)와의 사이에 간극이 조금 발생해서, 내부유통로(18)의 종단이 조금씩 개방되기 때문에. 노즐두부(40)의 선단으로 부터 직진상의 살수를 포함한 무상의 살수가 행하여진다.
또, 이때에, 무상살수(霧狀撒水)의 중심에는 노즐두부(40)선단으로 부터의 직진상의 방수가 함께 포함되어져, 먼거리까지 나가고, 또 살수시의 공동화를 방지한다.
이어서,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켜, 제2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구(23)의 프레이트면(23a)이 노즐두부(40)의 선단외주와 상대한 위치에 오면, 그 간극으로 부터는 직진의 봉상의 살수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 제2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이 전방후단내통(17c)의 외주면으로 완전히 폐색되어, 살수가 정지되어진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후퇴시키면, 제28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본체에(10)의 투공(13)은 연통로(19b)를 사이에 두고 외부유통로(21)와 연통시켜, 연통간극을 적게하면, 살수판(22)의 제1의 살수구(22b)(살수소공)으로부터 죠오로살수가 행하여진다.
더욱이, 노즐본체(10)를 후퇴시켜, 제29도에 투공(13)과 외부유통로(21)와의 연통간극을 크게하면, 살수판(22)의 제1의 살수구(22b)(살수소공)으로부터 샤워살수가 행하여진다.
더욱,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 제3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이 후방후단내통(17b)의 외주면으로 완전히 폐색되어, 살수가 다시 정지된다.
더욱더, 노즐본체(10)를 후퇴시키면, 제3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투공(13)은 연통로(19a)를 사이에두고 중간부유통로(12)와 연통해서, 살수판(22)의 제2의 살수구(22c)(細目形孔)으로 부터, 선상(扇狀)의 살수가 행해진다.
또 후퇴시킨 노즐본체(10)를 적당히 전진시켜도, 상기의 각 살수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이 발명에 의하면, 노즐본체의 외주측방을 내통으로 둘러싸고, 내통의 내외주측방에 내부유통로 및 외부유통로를 형성해서, 내통의 주벽에 천설한 투공의 위치를, 내통의 진퇴조작에 의해, 내부유통로 혹은 내부유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고, 더욱이 노즐본체의 폐색선단에, 주벽에 수류입공을 가진 노즐두부를 연설함과 동시에 동 수류입공을 내통내의 내부유통로와 연통시키므로서, 내통의 조작으로서 콘상, 무상, 직진봉상, 죠오로상, 샤워상 등의 각종 살수형태를 얻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무상이나 콘상의 살수형태를 행할때에 살수중심부에 내부유통로로부터 수류입공에 유입한 물이, 노즐두부의 선단으로부터 중심공동부분을 메우는 상태로 분사되어지므로서, 중심부의 공동화가 없어지고, 또한 직진상의 수세(水勢)에 동반하여 그 주변의 살수도 살수거리가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 노즐본체의 외주측방을 내통으로 둘러쌈과 동시에, 동 내통을, 노즐본체의 외주측방에 내부유통로를 보유하는 내측내통과, 동 내측내통의 외주측방에 중간부유통로를 보유하는 외주내통으로 구성하고, 거기에, 동 외측내통의 외주측방에 외부유통로를 형성하여, 노즐본체의 진퇴조작에 의해 노즐본체에 내부유통로, 중간부유통로 또는 외부유통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고, 게다가, 노즐본체의 폐색선단에, 주벽에 수류입공을 가지고 있는 노즐두부를 연설함과 동시에 동 수류입공을 내통내의 내부 유통로와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노즐본체의 진퇴조작에 의해, 상기 콘상, 무상 봉상, 죠오로상, 샤워상의 각종 살수형태에 추가하여, 환상 또는 선상(扇狀)등의 살수형태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내통을 2분할하여 전단내통을 자유로이 뗄수 있기 때문에, 노즐본체의 선단부의 눈막힘, 파손등의 경우에도 내통의 전단내통을 떼어서, 노즐두부를 노출시켜 소정의 정비를 쉽게 할 수 있고, 정비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내부유통로, 중간부유통로의 각종통로의 구분이 명확히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형태의 살수를 가능하게 한 노즐이면서, 살수방향에 흐르는 유수부하를 가급적 감소시켜, 원활한 살수가 행하여 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7)

  1. 기단을 호스연결부(2)와 연통시킨 통형의 중공상의 노즐본체(10)를 구성하고, 동 노즐본체(10)는 선단부를 폐색함과 동시에, 노즐본체(10)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水流空間)으로서의 내부유통로(18)를 유지하고 내통(17)을 진퇴자재하게 둘러싸고, 동 노즐본체(10)의 폐색부(10b) 앞부분에는, 선단을 협착상으로 짜여나오게 통상의 노즐두부(40)를 돌설하며, 노즐두부(40)의 주벽에는 내부유통로(18)에 연통시킨 수류입공(水流入孔)(41)을 소요개수로 설치하고, 내부유통로(18)의 종단은, 내통(17)의 선단에 설치한 노즐구(23)에 연통시키고, 노즐구(23)은 내주면을 프레이트면(23a)과 테이퍼면(23b)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내통(17)의 진퇴작동에 의해, 노즐두부(40)의 외주면과 노즐구(23)와의 간극을 폐쇠 및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더불어, 노즐본체(10)의 중도부 주벽에 내통(17)의 진퇴에 동반하는 내부유통로(18)와 연통해야할 투공(13)을 천설하고, 동 투공(13)의전후 외주측면에 제1실 부재(14) 및 제2 실부재(150를 설치하여, 동부재(143,15)는 진퇴 자재하게 내통(17)의내주벽면에 압착자재하게 하며, 더욱이, 내통(17)의 외주측방에는 수류공간으로서의 외부유통로(21)를 유지하고, 최외측통부(20)를 둘려싼 상태에서 일체로 연설하고, 동 외부유통로(21)는 내통(17)의 진퇴에 의해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게다가, 동 외부유통로(21)의 종단은 최외측통부(20)의 선단에 형성된 살수판(22)과 연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기단을 호스 연결부(2)와 연통시킨 통형의 중공상의 노즐본체(10)를 구성하고, 동 노즐본체(10)는 선단부를 폐색하고, 중도부 주벽에 투공(13)을 천설함과 동시에, 노즐본체(10)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으로서의 내부유통로(18)를 유지하고 내통(17)을 둘려싸며, 거기에, 노즐본체(10)는 내통(17)의 내부에, 상기 투공(13)의 전후외주측면에 설치한 제1실 부재(14) 및 제2실 부재(15)를 개재하여 진퇴자재하게 삽통하고, 노즐본체(10)의 폐색부(10b) 선방에는, 선단을 협착상으로 좁힌 통상의 노즐두부(40)를 돌설하고, 동 노즐두부(40)의 주벽에는 내부유통로(18)에 연통할 수유입공(41)을 소요량 설치하며, 내부유통로(18)의 종단은, 내통(17)의선단에 설치한 노즐구(23)에 연통하고, 노즐구(23)는 내주면을 프레이면(23a)과 테이퍼면(23b)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노즐본체(10)의 진퇴작동에 의해, 노즐두부(40)의 외주면과 노즐구(23)와의 간극을 폐쇠 및 조절가능하게 구성하며, 더욱이, 내통(17)은 노즐본체(10)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으로의 내부유통로(18)을 가지는 내측내통(17e)과, 동 내측내통(17e)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으로의 중간부유통로(12)를 가지는 외측내통(17f)으로 구성하고, 동 중간부유통로(12)는 노즐본체(10)의 진퇴에 따라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되게 구성하며, 동 중간부 유통로(12)의 종단은 외측내통(17f)의 선단에 형성된 살수판(22)의 제1 살수구(22b)와 연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3. 제2항에 있어서,내통(17)의 외주측방에 수류공간으로서의 외부유통로(21)을 가지고, 최외측통부(20)를 둘러싸고, 동 외부유통로(21)는 노즐본체(10)의 진퇴에 의해 노즐본체(10)의 투공(13)과 연통되게 구성하며, 더욱이, 동 외부유통로(21)의 종단은 최외측통부(20)의 선단에 형성된 살수판(22)의제2의 살수구(22c)와 연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제1의 살수구(22b)는, 살수판(22)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다수천설한 살수소공으로 함과 동시에,제2 살수구(22c)는 살수판(22)의 주연부에 배설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5. 제3항에 있어서, 제1의 살수구(22b)는, 살수판(22)의 중심으로부터 대칭위치에 복수개 배설하고, 선형살수를 형성되게 구성한 선형용공으로 함과 동시에, 제2의 살수구(22)는 살수판(22)의 대략전면에 돌설한 다수의 살수소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통(17)은, 전단내통(17a)과 후단내통(17b)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통(17)은, 전단내통(17a)과 후단내통(17b)으로 분할하고, 전단내통(17a)의 내주측면에 주방향(周方向)으로 일정간극을 두고 설치한 리브(25)를 돌설하며, 동리브(25)와 제1실 부재(14)와를 당접상태로 함과 동시에, 각 리브간의 간극을 내부유통로(18)로 하고, 더욱이 후단내통(17b)의 선단 개구연부에, 전후내통(17a)의 리브(25)에 끼워넣는 요부(凹部)(27)를 형성하며, 전단내통(17a)을 들어내기가 자재하게 후단내통(17b)에 일체 조립할 때, 리브(25)가 후단내통(17b)의 요부(凹部)(27)에 끼워넣어 일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노즐.
KR1019970005164A 1997-02-20 1997-02-20 살수노즐 KR10020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164A KR100200373B1 (ko) 1997-02-20 1997-02-20 살수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164A KR100200373B1 (ko) 1997-02-20 1997-02-20 살수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21A KR19980068521A (ko) 1998-10-26
KR100200373B1 true KR100200373B1 (ko) 1999-06-15

Family

ID=1949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164A KR100200373B1 (ko) 1997-02-20 1997-02-20 살수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4568A (zh) * 2018-10-31 2019-03-01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抽拉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4568A (zh) * 2018-10-31 2019-03-01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抽拉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21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4382B2 (ja) 散水ノズル
US4909443A (en) Water spraying nozzle
DE69422361T2 (de) Brausekopf mit Mehrfachfunktion
US4785998A (en) Water spraying nozzle
US10086390B2 (en) Multi-function sprayhead
KR100200373B1 (ko) 살수노즐
JP2001149817A (ja) 散水器
KR0149383B1 (ko) 살수 노즐
JPH0626366Y2 (ja) 散水ノズル
JPH051319Y2 (ko)
JP2510409B2 (ja) 散水用ノズル
JPH0439386B2 (ko)
JP2003155763A (ja) サーモ型湯水混合水栓
EP3564450B1 (de) Brausekopf mit fluiddruckbetätigtem ventil
JPH0640977B2 (ja) 散水用ノズル
JP2001179137A (ja) 多様式出水制御装置
JP3601695B2 (ja) 散水用ノズル
JP2650361B2 (ja) 散水ノズル
JPS607427Y2 (ja) 集中吐水シヤワ−吐水切換具
KR960008950Y1 (ko) 산수(散水)노즐
JPH0439388B2 (ko)
JP2668522B2 (ja) 散水用ノズル
JPH05200331A (ja) 散水用ノズル
JPH0621569Y2 (ja) 散水ノズル
JPH09103711A (ja) 散水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