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0163762B1 -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762B1
KR0163762B1 KR1019900002902A KR900002902A KR0163762B1 KR 0163762 B1 KR0163762 B1 KR 0163762B1 KR 1019900002902 A KR1019900002902 A KR 1019900002902A KR 900002902 A KR900002902 A KR 900002902A KR 0163762 B1 KR0163762 B1 KR 016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transformer
power suppl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542A (ko
Inventor
미셀레 레오나르디 지오반니
Original Assignee
죠셉 제이. 랙스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98905172A external-priority patent/GB8905172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98905173A external-priority patent/GB8905173D0/en
Application filed by 죠셉 제이. 랙스,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죠셉 제이. 랙스
Publication of KR90001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한 전원 장치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부하 가변시에 제1도의 회로의 가동 모드 동작(run mode operation)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파형도.
제3a도 내지 제3g도는 일정한 부하 조건하에서 제1도의 회로의 가동 모드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또다른 파형도.
제4도는 제1도의 회로에 사용된 절연 변압기(isolation transformers)의 구성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제1도의 전원 장치의 예비 동작(standby operation)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파형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시동(start-up)동안 제1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과도 전류 파형도.
제7도는 출력 전력을 증가하기 위한 변형을 구체화한 제1도의 회로도.
제8도는 비교를 위한 제1도의 회로와 종래의 전원 장치의 성능 데이타의 표.
제9도는 비교를 위한 제1도의 회로와 종래의 전원 장치의 또다른 성능 데이타의 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리지 정류기 102 : 결합 저항기
106, 107 : 다이오드 110 : 블로킹 발진기
120 : 제어 회로 200 : SMPS
222 : 편향 회로
본 발명은 스위치-모드 전원 장치(switch-mode power supply)에 관한 것이다.
어떤 텔레비젼 수상기는 상기 수상기의 공통 컨덕터에 대해 발생되어질 R, G 및 B 입력 신호와 같은 예를들어, 외부 비디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단자를 구비한다. 이러한 신호 단자 및 상기 수상기 공통 컨덕터는, 예를들어 VCR 또는 텔레텍스트(teletext) 디코더와 같이 외부 장치의 대응 신호 단자 및 공통 컨덕터에 결합될 수도 있다.
외부 장치와 텔레비젼 수상기간의 신호의 결합을 단순화하기 위해 상기 수상기와 상기 외부 장치의 공통 컨덕터가 함께 접속되어, 이들 공통 컨덕터가 동일 전위에 있다. 각각의 외부 장치의 신호 라인은 상기 수상기의 대응 신호 단자에 결합된다. 이러한 장치에선,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와 같이, 각 장치의 공통 컨덕터는 플로팅(floating)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대응 AC 주공급원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도 있다. 상기 공통 컨덕터가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공통 컨덕터의 전위에 있는 단자를 터치하는 사용자가 전기 쇼크를 받지 않을 것이다.
플로우팅 공통 컨덕터는 통상 변압기에 의해 전력을 텔레비젼 수상기에 제공하는 AC 주 공급원의 단자의 전위로부터 절연된다. 플로우팅 또는 절연된 공통 컨덕터가 때때로 콜드(cold) 그라운드 컨덕터로서 간주된다.
텔레비젼 수상기의 특유의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switch mode power supply; SMPS)에선, AC 주 공급 전압은 예를들어, 변압기 결합을 사용치 않는 브리지 정류기에 직접 결합된다. 비조절된 직류(DC) 입력 공급 전압이 생성되는데, 그것이 AC 주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전압은 핫(hot) 그라운드로서 간주되는 공통 컨덕터에 관련된다. 펄스폭 변조기는 절연 플라이백 변압기의 1차 권선 양단에 비조절된 공급 전압을 인가하는 초퍼(chopper)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듀티 싸이클(duty cycle)을 제한한다. 변조기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에서, 플라이백 전압이 변압기의 2차 권선에서 발생되고 정류되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평 편향 회로를 작동시키는 B+전압과 같은 DC 출력 공급 전압을 발생한다. 플라이백 변압기의 1차 권선은 예를들어, 핫 그라운드 컨덕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플라이백 변압기의 2차 권선과 B+전압은 변압기에 의해 형성된 핫-콜드 장벽(hot-cold barrier)에 의해 핫 그라운드 컨덕터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도 있다.
몇몇 종래 기술의 회로에선, 플라이백 변압기의 분리 권선에서 변압기 작용에 의해 발생된 전압을 감지하므로 B+전압이 감지된다. 불리하게, 이러한 감지된 전압은 매우 정확히 전압 B+의 변화를 탐지못할 수도 있다. B+전압의 보다 양호한 조절을 제공하기 위해선, B+전압이 발생되는 단자에서 직접 B+전압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하는 SMPS 에선, 출력 공급 전압은 제어가능한 듀티 싸이클을 가진 제어 신호에 따라 발생된다. 제어 전압은 출력 공급 전압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의 듀티 싸이클의 값을 표시하는 레벨에서 발생된다. 출력 공급 전압의 상대적인 변화가 제어 전압의 상대적으로 더 큰 변화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제어 및 출력 공급 전압 양자는 예를들어,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된다. 듀티 싸이클 표시 제어 전압은 스위칭 장치를 통해 절연 변압기의 권선 양단에 인가되고 변압기를 통해 제어 신호의 듀티 싸이클을 변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결합된다. 상기 변압기는 핫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되는 제어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제어 전압 및 출력 공급 전압을 절연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선, 상기 변압기가 블로킹 발진기(blocking oscillator)에 포함된다. 상기 블로킹 발진기의 상기 변압기는 상기 발진기에 재생 신호 경로도 또한 제공한다. 제어 전압의 변화는 발진기 제어 신호의 듀티 싸이클의 대응 변화를 발생시킨다. 발진기 출력 신호는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에서 발생된다. 발진기 제어 신호는 핫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되고 전기적 쇼크 위험에 대해, 블로킹 발진기의 변압기에 의해 출력 공급 전압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펄스폭 변조 신호인 발진기 출력 신호가 초퍼 트랜지스터 스위치에 인가되어 초퍼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듀티 싸이클의 펄스폭 변조를 발생시킨다. 상기 초퍼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출력 공급 전압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출력 공급 전압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는 1차 및 2차 권선을 구비하는 변압기를 포함한다. 제1스위칭 장치는 1차 권선에 1차 전류를 발생하기 위해 1차 권선에 결합되어, 2차 권선을 작동시킨다. 제2스위칭 장치는 2차 권선에 결합되고 캐패시터에 제1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상기 2차 권선으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캐패시터에 결합된다. 상기 제1제어 전압은 상기 제1제어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제2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변압기에 결합된다. 변압기 공칭 값으로부터의 출력 공급 전압의 진폭의 변화가 제2제어 전압의 진폭의 증폭된 변화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제어 전압이 제어된다. 출력 공급 전압은 상기 출력 공급 전압을 조절하는 상기 제2제어 전압의 증폭된 변화에 따라 결정된 타이밍 포인트에서 전환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원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한 스위치-모드 전원 장치(SMPS; 200)를 도시한다. SMPS (200)은 예를들면, 도시되지 않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편향 회로(222)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단자(99)에서 +145 볼트의 출력 B+공급 전압 및, +18 볼트의 출력 공급 전압 V+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전압은 모두 조절된다. 주 공급 전압 VAC이 브리지 정류기(100)에서 정류되어 단자(100a)에서 비조절된 전압 VUR을 발생시킨다. 플라이백 절연 변압기 T1 의 1차 권선 WP이 단자(100a)와 파워 초퍼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Q1)의 드레인 전극간에 결합된다.
제1도의 MOS 트랜지스터 Q1 의 소스 전극은 본원에 핫 그라운드로서 언급된 공통 컨덕터에 결합된다. FET Q1 의 게이트 전극은 결합 저항기(102)를 통해 펄스-폭 변조 신호 V5가 생성되는 단자(104)에 결합된다. 신호 V5에 의해 FET Q1 의 스위칭 동작이 행해진다. 그 양단에 신호 V5가 발생되는 절연 변압기 T2 의 2차 권선 W3이 단자(104)와 핫 그라운드 컨덕터 간에 결합된다. 한쌍의 배면 조합(back-to-back) 제너 다이오드 Z18A 및 Z18B 가 FET Q1 용 게이트를 보호한다. 권선 W3, 권선 WP, FET Q1 및 신호 V5는 핫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되는 전위에 있다.
변압기 T1 및 T2 는 제4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구성된다. 제1도 및 제4도의 유사한 심볼 및 숫자는 유사한 항목 또는 기능을 표시한다.
제3a도 내지 제3g도는 일정한 부하 조건하에서 제1도의 SMPS 의 정상 예비 상태 동작 또는 가동 모드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파형을 도시한다. 제1도 및 제3a도 내지 제3g도의 유사한 심볼 및 숫자는 유사한 항목 또는 기능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주어진 대응 싸이클 또는 주기중 제3b도의 간격 t0내지 t1동안, 펄스 신호 V5의 전압은 제3b도의 간격 t0내지 t1동안 제1도의 FET Q1 을 전도성이 있게 유지하는 한 핫 그라운드 컨덕터에 비해 포지티브이다. 따라서, 제1도의 권선 WP의 전류 i1는 제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t0내지 t1동안 업램핑(upramping)한다. 그러므로, 유도 에너지가 제1도의 변압기 T1 에 저장된다. 제3d도의 시간 t1에서, 제1도의 FET Q1은 비전도된다.
FET Q1 이 비전도된 후, 권선 WP에 저장된 유도 에너지가 플라이백 변압기 작용에 의해 변압기 T1 의 2차 권선 WS으로 전송된다. 권선 WS의 대응 단자(108 및 109) 에서 발생된 플라이백 펄스는 다이오드(106 및 107)에 의해 각기 정류되고, DC 전압 B+및 V+를 각기 발생하는 캐패시터(121 및 122)에 의해 각기 필터화되는데, 상기 DC 전압 B+및 V+는 모두가 본원에선 콜드 그라운드로서 언급되는 제2공통 컨덕터에 관련된다. 상기 콜드 그라운드는 변압기 T1 및 T2 에 의해 전기적 쇼크 위험에 대해 핫 그라운드 컨덕터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FET Q1, 변압기 T1 및, 다이오드(106 및 107)가 SMPS 의 출력단을 형성한다.
SMPS (200)의 펄스폭 변조기는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하며, FET Q1 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 V5를 발생하는 블로킹 발진기(110)를 포함한다. 발진기(110)는 신호 V5에 의해 제어 또는 전환되는 베이스 전극을 가진 스위칭 트랜지스터 Q2 를 포함한다. 변압기 T2 의 권선 W3은 신호 V5를 발생함에 의해 발진기(110)에 포지티브 피이드백을 제공한다. 변압기 T2 는 권선 W1이 핫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되도록 전압 VUR과 트랜지스터 Q2 의 콜렉터간에 결합되는 1차 권선 W1을 구비한다.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되는 변압기 T2 의 2차 권선 W2은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을 실시하며, 상기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에 또한 관련되는 제어 회로(120)의 다이오드 D3 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다이오드 D3 의 캐소드는 캐패시터 C4 를 통해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에 결합된다. 추후 설명되어질 바와 같이, 캐패시터 C4 양단에 발생된 DC 제어 전압 V4이 비도전 시간을 변화시키며 따라서 각각의 주기동안 트랜지스터 Q2 의 듀티 싸이클도 변화시킨다.
캐패시터 C2 는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 전극과 단자(104a)간에 결합된다. 저항기 R2 는 신호 V5가 발생되는 단자(104a)와 단자(104)간에 결합된다. 제3b도의 간격 t0내지 t1동안, 제3c도의 전류 i5는 단자(104 와 104a)간에 결합되는 제1도의 저항기 R2 에 발생된다. 제3b도의 신호 V5에 의해 발생되는 제3c도의 전류 i5는 제3d도의 간격 t0내지 t1동안 트랜지스터 Q2 를 턴온시키는 방식으로 제1도의 캐패시터 C2 를 충전한다.
정상 동작동안, 제1도의 트랜지스터 Q2 가 전도할 시에 에미터 저항기 R4 양단에 발생되는 트랜지스터 Q2 의 에미터 전압이 트랜지스터 Q2 의 급속한 턴-오프 동작을 개시시키기에 충분히 높을 때 까지, 제1도의 권선 W1에 제3d도의 전류 i2가 선형으로 증가한다. 피이드백 저항기 R4 는 트랜지스터 Q2 의 에미터와 핫 그라운드 컨덕터간에 결합된다. 제1도의 트랜지스터 Q2 가 전도할 시에, 트랜지스터 Q2 가 제3c도의 시간 t1에서 전도를 멈출때 까지, 저항기 R4 는 제3c도의 전류 i5의 점진적인 감소를 야기시킨다. 제1도의 저항기 R4 는 또한 스위칭 조건을 최적화하고 트랜지스터 Q2 용 전류를 보호한다. 그 결과, 권선 W1양단의 전압의 극성이 반대가 된다. 신호 V5발생시에 권선 W3에 의해 야기된 포지티브 피이드백 때문에 턴-오프 동작이 빠르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권선 W3은 FET Q1 을 또한 제어하는 펄스 구동 신호 V5를 제공한다. FET Q1 과 트랜지스터 Q2 의 각각의 싸이클의 전도 간격은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부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리하게, 트랜지스터 Q1 가 비전도 될 시에, 변압기 T1 에 저장된 에너지는 전압 VUR의 주어진 레벨에 대해 실제로 일정하다. 그러나, 전압 VUR에 변화가 발생할시에 전도 간격이 변화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 Q2 가 전도를 중지할시에, 제3e도의 다운램핑(downramping) 전류 i4가 제1도의 변압기 T2 의 권선 W2에 발생된다. 전류 i4가 제1도의 다이오드 D3 를 전도시키고 제3e도의 간격 t1내지 t4동안 캐패시터 C4 를 충전한다. 제1도의 전압 VUR의 주어진 레벨과, 트랜지스터 Q2 의 주어진 듀티 싸이클에 대해, 캐패시터 C4 에 부가된 전하는 각각의 싸이클에서 동일하다. 간격 t1내지 t4동안, 다이오드 D3 의 포워드 전압 강하(forward voltage drop)를 제외하곤, 제1도의 제어 전압 V4은 권선 W2양단에 실제로 발생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압 V4은 제1도의 변압기 T2 에 저장된 자기 에너지를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제3e도의 간격 t1내지 t4의 길이를 결정한다. 제3e도의 시간 t4에서, 전류 i4가 제로가 될 시에, 제3b도의 신호 V5의 극성은 변압기 T2 의 권선의 공명 진동의 결과로서 변화한다. 그러므로, 제3c도의 포지티브 전류 i5가 발생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류 i5가 포지티브일시에, 그것이 트랜지스터 Q1 및 Q2 를 전도시킨다.
제1도의 트랜지스터 Q1 및 Q2 의 제3b도의 전술된 비전도 간격 t1내지 t4동안, 제3b도의 간격 t1내지 t4동안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V5가 네거티브이다. 따라서,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극성의 전류가 제3c도의 간격 t1내지 t2동안 제1도의 캐패시터 C2 를 통해 흐르고 제3c도의 간격 t2내지 t4동안 다이오드 D1 를 통해 흐른다. 캐패시터 C2 에 생긴 전하는, 제3b도의 시간 t4에서, 신호 V5가 극성이 반대가 될 시에, 트랜지스터 Q2 를 급하게 턴온시키는 이러한 극성으로 캐패시터 C2 에 전압을 발생시킨다.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에 관련되는 제1도의 제어 회로(120)는 캐패시터 C4 양단의 제어 전압 V4을 가변하므로 발진기(110)의 듀티 싸이클을 제한한다. 회로(120)의 트랜지스터 Q4 는 공통 베이스 증폭기 구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4 의 베이스 전압은 +12V 전압 조절기 VR1 로부터 온도 보상 포워드 바이어스 다이오드(temperature compensating forward biased diode; D5)를 통해 획득된다. 조절기 VR1 는 전압 V+에 의해 작동된다.
저항기 R51 는 트랜지스터 Q4 의 에미터와 단자(99)간에 결합된다. 공통 베이스는 동작의 결과로서, 저항기 R51 의 전류 i8가 전압 B+에 비례한다. 전압 B+의 레벨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정가능한 저항기 R5 는 트랜지스터 Q4 의 에미터와 저항기 R51 간의 접합 단자와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간에 결합된다. 저항기 R51 는 트랜지스터 Q4 의 전류 레벨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류 i8의 조정가능한 프리세트 부분이 저항기 R5 를 통해 콜드 그라운드 컨덕터로 흐르고 전류 i8의 에러 성분은 트랜지스터 Q4 의 에미터를 통해 흐른다.
트랜지스터 Q4 의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 Q3 의 콜렉터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Q3 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고출력 임피던스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Q3 의 콜렉터는 캐패시터 C4 와 다이오드 D3 간의 접합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2 가 비전도될 시에,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변압기 T2 에 저장된 에너지는 전류 i4가 다이오드 D3 를 통해 캐패시터 C4 로 흐르게 한다. 전원 장치의 조절은 제어 전압 V4를 제어하므로 획득된다. 트랜지스터 Q3 에 의해 변압기 T2 의 권선 W2양단의 부하를 제어하므로 전압 V4이 제어된다.
고 출력 임피던스를 가진 전류원을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Q3 의 콜렉터 전류는 플라이휘일(flywheel)로서 동작하는 캐패시터 C4 에 결합된다. 안정 상태에선, 제3e도의 간격 t1내지 t4동안 캐패시터 C4 에 부가되는 전하량은 주어진 주기 t0내지 t4에 캐패시터 C4 로부터 트랜지스터 Q3 에 의해 제거되는 전하량과 같다.
제2a도 내지 제2d도는 상이한 부하 조건하에서 제1도의 SMPS 의 조절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파형을 도시한다. 제1도, 제2a도 내지 제2d도 및, 제3a도 내지 제3g도의 유사한 심볼 및 숫자는 유사한 항목 및 기능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제2a도 내지 제2d도의 시간 tA후에, 제1도의 캐패시터(121) 양단의 전원 장치 전류 부하는 감소하고 전압 B+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전압 B+의 증가의 결과로서, 트랜지스터 Q3 는 고레벨의 콜렉터 전류를 전도한다. 그러므로, 제1도의 캐패시터 C4 양단의 제2c도의 전압 V4이 보다 작게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2 가 비전도된 후에는, 블로킹 발진기(110)의 변압기 T2 에서 저장된 유도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주기에선 더 긴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제1도의 발진기(110)의 트랜지스터 Q2 가 비전도될시에, 주어진 싸이클에서, 제2a도의 간격 tA내지 tB의 길이는 감소된 부하 조건하에서 증가한다. 그 결과로, 적당한 조절을 위해 요구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1 의 온 시간 대 오프 시간간의 비율인 듀티 싸이클이 감소한다.
안정 상태에선, 전압 V4은 캐패시터 C4 의 충전 및 방전 전류간에 평형을 야기시키는 레벨로 안정화 된다. 캐패시터 C4 에서 트랜지스터 Q3 의 콜렉터 전류의 증폭 및 전류 통합의 결과로서, 전압 B+의 증가는 유리하게 전압 V4에 비례하게 더 큰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과도 전류 상태에선, 예를들면, 전압 B+이 +145 볼트 이상인한, 전압 V4이 감소할 것이다.
그 결과, 제1도의 전압 V4은 감소된 부하 조건하에서 증가할 앞서 언급된 경향의 전압 B+을 무효화하는 방식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조절이 네가티브 피이드백 방식으로 획득된다. 극단의 경우에는, 권선 W2양단의 단락 회로는 발진기(110)의 발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리하게, 나중에 기술될 바와 같이, 고유의 안전한 불이행 특징을 제공한다.
역으로, 감소하는 경향의 전압 B+은 조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트랜지스터 Q1 및 Q2 의 듀티 싸이클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 의 비전도 간격은 전압 B+이 발생되는 단자에 부하된 전류에 따라 변한다.
제어 전압 V4을 발생하는 전압 B+의 처리는 유리하게, 에러 감지를 개선하기 위한 DC 결합 신호 통로에서 실행된다. 또한, 전압 B+의 변화는 전압 V4에 비례하게 더 큰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어, 에러 감도를 개선시킨다. 전압 B+의 에러가 증폭된 후에만, DC 결합된 전압 V4에 포함된 증폭된 에러는 펄스폭 변조를 실행하도록 결합된 변압기 또는 AC 이다. 이러한 특징의 조화가 전압 B+의 조절을 개선한다.
제어 회로(120)와 유사한 장치가 조절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또다른 방식은 Leonardi 명의의 A SYNCHRONIZED SWITCH-MODE POWER SUPPLY 로 명명된 1989년 10월 19일에 출원된 대응 미국 특허출원 제424,353호에 도시 및 설명되었다. 여기선, 제1도의 전압 V4과 유사하게 발생되는 전압은 톱니파 발생기(sawtooth generator)에 결합된 변압기이다. 상기 변압기 결합 전압은 펄스-폭 변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톱니파 신호를 가변한다.
제너 다이오드 D4 는 트랜지스터 Q3 의 베이스와 콜렉터 전극간의 저항기 RD4와 직렬로 결합된다. 유리하게, 제너 다이오드 D4 는 전압 V4을 약 39 볼트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너 다이오드 D4 는 발진기(110)의 주파수 또는 트랜지스터 Q2 및 Q1 의 최소 차단 시간을 제한한다. 상기 방식으로, 부하에 전송된 최대 전력이 유리하게, 과도-전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제한된다.
안전한 작동을 위해, 트랜지스터가 재차 턴온되기 전에 권선 W3의 2차 전류 i3를 제로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전류 i3의 감소 시간이 블로킹 발진기(110)의 전류 i4의 최소 감소 시간보다 오히려 더 짧아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조건은 변압기 T2의 1차 인덕턴스의 적당한 선택과 제너 다이오드 D4 의 값에 의해 만족될 수 있다.
예비 동작은 저 전력 동작 모드에서 SMPS (200)를 동작시키므로 개시된다. SMPS 로부터 요구된 전력이 20 내지 30 와트 이하로 떨어질시에, 상기 저 전력 동작 모드가 발생한다. 예를들면, 원격 제어 유닛(333)에 의해 제어되는 도시되지 않은 수평 발진기가 동작을 중지할 시에, 전압 B+에 의해 작동되는 수평 편향 회로(222)도 또한 동작을 중지한다. 그러므로, 전압 B+이 발생되는 단자(99)에서의 부하가 감소된다. 따라서, 전압 B+과 트랜지스터 Q4 의 에러 전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Q3 는 V4을 대략 제로가 되게 하는 변압기 T2 의 권선 W2양단에 이웃한 단락 회로를 포화시킨다. 따라서, 가동-모드의 동작에서와는 달리, 신호 V5의 포지티브 펄스는 변압기 T2 의 공명 발진에 의해 발생될 수 없다. 그 결과, 재생 피이드 백 루프는 트랜지스터 Q2 가 턴온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연속 발진이 계속될 수 없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Q2 는 신호 V7의 반파 정류 전압의 업램핑(upramping) 부분에 의해 버스트 모드에서 스위칭으로 주기적으로 트리거된다. 신호 V7는 50㎐ 와 같은 메인 주파수로 발행한다. 신호 V7는 브리지 정류(100)로부터 구동되고 저항기 R1 과 캐패시터 C1 의 직렬 장치를 통해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상기 직렬 장치는 전류 i7를 발생하는 미분기로서 동작한다.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신호 V5의 어떠한 트리거 펄스도 블로킹 발진기에 나타나지 않을시에, 지연 시간 간격 t12내지 t13에 앞선 간격 t10내지 t12동안 발진기(110)의 버스트(burst) 모드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표시하는 예비 동작 동안의 파형을 도시한다. 제1도 및 제5a도 내지 제5d도의 유사한 심볼 및 숫자는 유사한 항목 및 기능을 나타낸다.
제1도의 캐패시터 C3 와 저항기 R3 의 병렬 장치가 다이오드 D2 와 직렬로 결합되어 핫 그라운드 컨덕터와 캐패시터 C2 및 저항기 R2 간의 접합 단자(104a) 간에 결합되는 장치를 형성한다. 다이오드 D1 는 캐패시터 C2 와 병렬로 결합된다.
정상 가동 모드 동작동안, 트랜지스터 Q2 가 도전할 때마다 권선 W3에 발생되는 신호 V5의 포지티브 전압 펄스에 의해 캐패시터 C3 가 일정한 전압 V6으로 충전된다. 그러므로, 정상 가동 모드 동작동안, 캐패시터 C3 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다. 예비 동작 동안, 캐패시터 C3 는 제5b도의 시간 t12내지 t13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비활동 주기 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동안 방전한다.
주어진 간격 t10내지 t13의 제5a도의 시간 t10직후에, 전압 분화에 의해 캐패시터 C1 에 발생된 제1도의 전류 i7가 제로에서 최대 포지티브 값으로 증가한다. 결과로서, 트랜지스터 Q2 에 발생된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 Q2 를 전도시킨다. 트랜지스터 Q2 가 전도되면, 신호 V5의 포지티브 펄스가 권선 W3에 발생되어 트랜지스터 Q1 및 Q2 가 전도되게 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정상 가동 모드 동작과 유사하게, 콜렉터 전류 i2가 업램핑할 시에,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 전류의 크기가 트랜지스터 Q2 를 포화시키기에 불충분할 때까지, 트랜지스터 Q2 가 전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콜렉터 전압 V2이 증가하고 신호 V5가 감소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Q2 가 턴-오프된다.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다이오드 D7 를 통해 캐패시터 C2 를 방전하고 트랜지스터 Q2 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는 네거티브 전류 i5를 발생한다. 네거티브 전류 i5의 진폭이 포지티브 전류 i7의 진폭보다 더 큰 한,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 전류가 제로이고 트랜지스터 Q2 가 비전도 상태를 유지한다. 제1도의 네거티브 전류의 진폭이 전류 i7의 진폭보다 더 작게될 시에, 트랜지스터 Q2 가 재차 턴온되고 포지티브 전류 i5가 발생된다.
트랜지스터 Q2 의 주어진 전도 간격의 실제 일부동안, 전류 i5는 전적으로 캐패시터 C2 를 통해 흘러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 전류를 형성한다. 콜렉터 전류 i2가 업램핑하기 때문에, 다이오드 D2 의 애노드에서의 전압이 증가하는 업램핑 방식으로, 트랜지스터 Q2 의 에미터 전압이 증가한다. 다이오드 D2 의 애노드에서의 전압이 충분히 포지티브가 될시에, 다이오드 D2 가 전도를 시작한다. 그러므로, 전류 i5의 실제 일부가 캐패시터 C3 에 의해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로부터 전환된다. 그 결과, 베이스 전류가 트랜지스터 Q2 의 콜렉터 전류를 유지하기에 충분치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포지티브 피이드백 신호 통로는 트랜지스터 Q2 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전류 i2의 피크 진폭이 캐패시터 C3 양단의 전압 V6의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제5a도 내지 제5d도의 간격 t10내지 t12동안, 제1도의 캐패시터 C3 는 포지티브 전류 i5에 의해 충전된다. 그러므로, 제5b도의 전압 V6이 점진적으로 더 크게된다. 제5a도 내지 제5d도의 간격 t10내지 t12에 발생하는 각각의 싸이클동안 점진적으로 더 크게 되는 전압 V6은 전도 간격이 점진적으로 더 길게 되게 한다.
간격 t10내지 t12에 발생하는 각각의 싸이클의 대응 비전도 부분동안, 제1도의 캐패시터 C2 가 방전된다. 각각의 싸이클에서 트랜지스터 Q2 의 비전도 간격의 길이는 네거티브 전류 i5의 크기가 포지티브 전류 i7의 크기보다 작게되게 하는 레벨로 캐패시터 C2 를 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캐패시터 C2 가 점진적으로 더 높은 전압으로 충전되고, 또한 전류 i7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더 작게 되기 때문에, 상기 비전도 간격은 점진적으로 더 길게 된다. 그러므로, 점진적으로 더 긴 비전도 간격후에, 포지티브 베이스 전류가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에 흐르기 시작할 것이다.
제5a도의 시간 t12에서, 전류 i7는 제로이다. 그러므로, 간격 t10내지 t12동안 발생된 버스트 모드 동작은 계속될 수 없고 더 긴 전류가 통하지 않는 시간 간격 t12내지 t13이 발생하는데 상기 간격동안 어떠한 스위칭 동작도 일어나지 않는다. 시간 t13에서, 포지티브 전류 i7가 재차 발생되고 후속의 버스트 모드 스위칭 간격이 트랜지스터 Q1 및 Q2 에 발생한다.
제5d도의 버스트 모드 간격 t10내지 t12동안, 각각의 싸이클에서의 전도 간격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동작이 소프트 스타트 동작(soft start operation)이란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소프트 스타트 동작때문에, 예를들면, SMPS(200)의 캐패시터(121)는 서서히 충전 또는 방전된다. 가동 모드 동작동안 보다 더 낮아진 전압 V6은 제5a도의 간격 t10내지 t12에 걸쳐 제1도의 SMPS(200)의 청취가능한 범위 이상으로 제1도의 트랜지스터 Q1 및 Q2 의 스위칭 주파수를 유지한다. 소프트 스타트 동작과 예비 동작 동안의 고스위칭 주파수의 결과로서, 인덕터와 제1도의 SMPS(200)의 변압기의 기생 기계적 진동에 의해 발생된 잡음이 유리하게 실제로 감소된다.
제5c도의 간격 t10내지 t12동안 버스트 모드 동작은 예비 동작동안 제1도의 원격 제어 유닛(333)의 동작을 인에이블하기에 충분한 레벨로 제1도의 전압 Vt 을 발생한다. 버스트 모드 동작때문에, SMPS(200)에서 소모된 에너지가 정상 가동 모드 동작동안 보다 실제로 더 낮게, 약 6 와트로 유지된다.
원격 제어 유닛(333)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레벨로 전압 Vt 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동 모드동안 보다 실제로 더 낮은 트랜지스터 Q1 및 Q2 의 대응 평균 듀티 싸이클이 요구된다. 예를들면, 트랜지스터 Q1 의 전도 간격의 길이는 트랜지스터 Q1 의 저장 시간보다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예비 동작동안 연속한 스위칭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보다 더 낮게 요구된 듀티 싸이클을 얻기 위해선 각각의 싸이클에서의 트랜지스터 Q1 의 전도 간격이 더 길게 유지될 수 있다. 제5d도의 간격 t12내지 t13과 같이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 시간 간격이 발생할시에, 트랜지스터 Q1 및 Q2 의 이러한 연속 스위칭 동작은 정상 가동 모드 동작동안 발생한다.
제6a도 내지 제6d도의 파형의 도움을 빌어 이제 설명되어질 바와 같이, SMPS 는 또한 소프트 스타트-업 특징을 갖는다. 제1도, 제5a도 내지 제5d도, 제6a도 내지 제6d도의 유사한 심볼 및 숫자는 유사한 항목 또는 기능을 표시한다. 스타트-업 모드는 예비 동작과 유사하다. 전원 장치가 최초로 턴온될시에, 캐패시터 C3 및 C4 가 방전되고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상에 어떠한 포워드 바이어스도 존재하지 않는다. 정류된 AC 공급 신호 V7의 일부분을 트랜지스터 Q2 의 베이스에 제공하므로 발진이 개시된다. 제6d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T2 의 권선 W2 이 방전된 캐패시터 C4 에 의해 무겁게 부하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2 가 길게 비전도하면, 발진기 듀티 싸이클은 초기에 매우 짧거나 또는, 각각의 싸이클에서의 간격이 길다. 캐패시터 C3 및 C4 상의 전하와 전압 B+은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5msec 의 주기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진된다.
예를들면, 제1도의 단자(99)에서의 단락 회로의 경우에, SMPS(200)는 예비 동작 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불연속 모드 동작으로 진행한다. 예를들면, 제1도의 캐패시터 C121 가 단락 회로이면, 변압기 T1 의 2 차 권선 Ws 을 통해 흐르는 전류 i3의 증가는 더 높은 네거티브 바이어스가 트랜지스터 Q3 의 에미터에 결합되는 레지스터 R6 양단에 발생되게 한다. 이때 베이스 전류가 다이오드 D55 를 통해 트랜지스터 Q3 로 흘러, 트랜지스터 Q3 를 포화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압 V4을 그라운드로 클램프시킨다. 변압기 T2 의 상기 부하는 예비 모드 동작을 위해 기술된 바와 같이 SMPS(200)를 불연속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시킨다.
전압 V+을 발생하는 SMPS(200)의 저 전압 공급 부분은, 예를들면, 고 오디오 전력 조건의 경우에 포워드 변환기로서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제7도는 포워드 변환기 동작을 얻기 위한 제1도의 회로의 변경을 도시한다. 제7도의 저항기 Rx 및 다이오드 Dy 는 추후 설명될 바와 같이, 과부하 보호로서 작용한다. 제1도와 제7도의 유사한 심볼 및 숫자는 유사한 항목 및 기능을 표시한다. 제7도에 도시된 변경이 고 전력 오디오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시에, 과부하가 발생한다면, 저항기 Rx 가 초과 전류를 감지하고 트랜지스터 Q3 의 에미터에 네거티브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제8도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텔레비젼 수상기의 얼터(ultor) 전극에 흐르는 빔 전류의 대응 변화에 의해 야기된 전압 B+의 변화를 표 형태로 도시한다. 전압 V+은 도시되지 않은 초전압 및 빔전류를 생성하는 편향 회로 출력단을 작동시켜, 얼터 전극 및 빔전류를 발생시킨다. 제9도는 주 공급 전압 VAC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전압 B+의 변화를 표 형태로 도시한다.
비교 목적을 위해, 제8도 및 제9도의 각각의 표의 첫번째 열은 집적 회로(TDA4601 제어 회로)와 전력 변압기(Orega No. V4937700)를 사용한 종래 기술의 SMPS 가 사용될시에 획득된 데이타를 제공한다. 제8도 및 제9도의 각각의 표의 2 번째 열은, 제1도의 비변조된 SMPS 가 사용될시에 획득된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의 SMPS(200)의 성능은 우수하다.

Claims (35)

1 차 및 2 차 권선을 가진 변압기와, 상기 1 차 권선에 결합되어 상기 2 차 권선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1 차 권선에 1 차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칭 수단과;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2 차 권선(W2)과 상기 캐패시터(C4)에 결합되어 상기 캐패시터(C4)에 제1제어 전압(V4)에 따라 변하는 제2제어 전압(V5)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변압기(T2)에 결합되어진 상기 제1제어 전압(V4)을 발생시키는 상기 2 차 권선(W2)으로부터 정류된 전류(i4)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D3)과; 출력 공급 전압(B+)에 응답하고 상기 캐패시터(C4)에 결합되어 공칭값에서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의 진폭의 변화가 상기 제2제어 전압(V5)의 진폭의 증폭된 변화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1제어 전압(V4)을 제어하는 수단(Q3)과; 입력 공급 전압(VUR)의 소스(100) 및;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변압기(T2)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2제어 전압(V5)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으로부터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발생시키며,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제어 전압(V5)의 상기 증폭된 변화에 따라 결정된 타이밍 포인트에 전환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출력 공급 전압 발생 수단(Q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V4)은 상기 2 차 권선에 흐르는 상기 정류된 전류(i4)를 정류하는 상기 제2스위칭 수단(D3)을 통해 상기 제2차 권선(W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의 상기 변화는 상기 출력 공급 전압이 발생되는 단자(99)로부터 상기 2 차 권선(W2)으로 DC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전류(i2)가 주어진 주기의 제1부분동안 상기 변압기(T2)에 유도 에너지를 저장시키며, 상기 저장된 에너지가 상기 주어진 주기의 제2부분동안 상기 변압기(T2)의 플라이백 모드의 동작시 상기 제2권선(W2)에 흐르는 상기 정류된 전류(i4)에 의해 상기 변압기(T2)로부터 제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전압(V5)의 상기 증폭된 변화가 상기 변압기(T2)로부터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제거하는데 필요로 하는 상기 주어진 주기의 상기 제2부분의 길이의 대응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은 다이오드(D3)에 상기 정류된 전류(i4)를 발생시키기 위해 주어진 주기의 제1부분동안 상기 정류된 전류(i4)에 의해 포워드 바이어스되고 상기 주어진 주기의 제2부분동안 역바이어스되는 다이오드(D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공급 전압 발생 수단은 펄스폭 변조되는 제1제어 신호(V2)를 발생시키는 블로킹 발진기(110)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T2)는 상기 블로킹 발진기(110)에 재생 피이드백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V4)제어 수단(Q3)은 상기 캐패시터(C4)에 결합된 상기 정류된 전류(i4) 및 제2전류 둘다가 상기 캐패시터(C4)에 역방향으로 흐르는 DC 전류이도록 상기 캐패시터(C4)에 제2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V4) 제어 수단(Q3)은 상기 출력 공급 전압에 따라 가변하며, 상기 정류된 전류(i4)에 역방향으로 상기 캐패시터(C4)에 흐르는 제2전류를 주 전류 전도 전극에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V4) 제어 수단(Q3)은 부하 전류(i8)에 응답하여 과전류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V4) 제어 수단(Q3)은 가동 모드/예비 모드 제어 신호(333 으로부터)에 응답하여 예비 모드 동작동안 스위칭 동작이 상기 출력 공급 전압 발생 수단(Q1)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벨로 상기 제1제어 전압(V4)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이 다이오드(D3)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D3)가 전도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전류(i2)의 플라이백 간격동안 상기 정류된 전류(i4)가 상기 다이오드(D3)를 포워드 바이어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공급 전압(Bt)에 의해 결정되는 길이를 가진 주어진 주기의 플라이백 부분에 앞서 상기 변압기(T2)에 저장된 자기 에너지가 상기 주어진 주기의 상기 플라이백 부분동안 제거되도록, 램핑 방법으로 상기 정류된 전류(i4)가 상기 제1제어 전압 (V4)에 따라 변하는 변화율로 상기 2 차 권선(W2)에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공급 전압 발생 수단(Q1)은 제1제어 신호(i5)의 듀티 싸이클이 상기 정류된 전류(i4)의 상기 변화율의 변화에 따라 가변하도록 상기 변압기(T2)의 권선(W3)에 발생되는 상기 제1제어 신호(i5)에 응답하는 초퍼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Q2)은 상기 1 차 권선(W1)에 결합되는 주전류 전도 전극(콜렉터) 및, 상기 변압기(T2)의 3 차 권선(W3)에 결합되는 제어 전극(베이스)을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T2)가 발진기(110)에 발진을 유지하는 재생 포지티브 피이드백 신호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2) 및 상기 변압기(T2)가 상기 발진기(1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예비 동작동안 청취가능한 범위 이상으로 상기 발진기(110)의 발진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수단(D1, D2, C2, C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 제어 수단(Q3)은 캐패시터(C4)에 결합되는 고 출력 임피던스를 가진 전류원을 형성하는 전극(콜렉터)를 구비한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 공급 전압 발생 수단(Q1)에 스위칭 동작의 필요한 듀티 싸이클을 표시하는 레벨로 상기 제1제어 전압(V4)을 상기 캐패시터(C4)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따라 결정되는 변화율로 상기 캐패시터(C4)를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T2)는 전기적 쇼크 위험에 대해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으로부터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1 차 및 2 차 권선을 가진 변압기와; 상기 1 차 권선에 결합되어 주어진 주기의 제1간격동안 상기 변압기에 자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스위칭 전류를 발생하는 제1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2 차 권선(W2)에 결합되어 상기 주어진 주기의 플라이백 간격동안 상기 변압기(T2)로부터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상기 2 차 권선(W2)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에 제2스위칭 전류(i4)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D3)과; 입력 공급 전압(VUR)의 소스(100)와;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에 결합되고 상기 발진기 출력 신호(V5)에 응답하여, 상기 발진기 출력 신호(V5)의 타이밍 변조에 따라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으로부터 출력 공급 전압(B+)을 발생시키는 수단(Q1) 및;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응답하고 상기 변압기(T2)의 2 차 권선(W2)에 결합되어 상기 2 차 권선(W2)의 상기 전류 경로에 결합되는 2 개의 단자간에 상기 저장된 에너지의 감소율을 변화시키는 제어 전압(V4)을 발생시켜,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발진기(110) 출력 신호(V5)를 변조시키는 수단(Q4, Q5)를 포함하는데, 상기 변압기(T2) 및 제1스위칭 수단(Q2)이 상기 저장된 에너지의 감소에 따라 변조되는 출력 신호(V5)를 발생하는 블로킹 발진기(110)를 형성하는 재생 포지티브 피이드백 신호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발생 수단(Q4, Q5)은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이 발생되는 단자(99)와 상기 2 차 권선(W2)간에 DC 결합 신호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110) 출력 신호(V5)는 전기적 쇼크 위험에 대해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비절연되며, 상기 변압기(T2)는 전기적 쇼크 위험에 대해 상기 발진기(110) 출력 신호(V5)와 상기 입력 공급 전압(VUR)으로부터 상기 제어 전압(V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T2)의 3 차 권선(W3)이 상기 제1스위칭 수단(Q2)의 제어 단자(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재생 포지티브 피이드백 신호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출력 신호(V5)는 상기 3 차 권선(W3)에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V4) 발생 수단은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의 변화가 상기 제어 전압(V4)에 비례하여 더 큰 변화를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상기 발진기(110) 출력 신호(V5)의 듀티 싸이클을 표시하는 값을 가진 상기 캐패시터(C4)에 상기 제어 전압(V4)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2 개의 단자간에 결합된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수단(D3)이 상기 캐패시터(C4)를 상기 2 차 권선(W2)에 결합시키는 상기 제2스위칭 전류(i4)에 응답하여 상기 주어진 주기의 상기 플라이백 간격동안 상기 캐패시터(C4)의 제어 전압(V4)을 상기 2 차 권선(W2)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C4)는, 상기 주어진 주기의 상기 플라이백 간격동안 주어진 방향으로, 상기 2 차 권선(W2)에 발생되는 상기 제2스위칭 전류(i4)에 의하여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발생 수단(Q4, Q5)은 소프트 스타트 동작 및 과전압 보호중 적어도 한가지를 상기 전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발생 수단이 캐패시터(C4)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수단(D3)은 상기 제2스위칭 수단(D3)이 상기 제어 전압(V4)을 상기 2 차 권선(W2)에 인가하도록 상기 캐패시터(C4)에 흐르고 상기 캐패시터(C4)에 상기 제어 전압(V4)을 발생시키는 정류된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2 차 권선(W2)에 결합되고 상기 2 차 권선(W2)의 상기 제2스위칭 전류(i4)를 정류하기 위해 상기 캐패시터(C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발생 수단은 상기 캐패시터(C4)에 결합된 주 전류 전도 전극(콜렉터)과,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의 희망값과 실제값간의 차이에 비례하는 트랜지스터(Q3)에 주 전류 전도 전극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결합되는 제어 전극(베이스)을 구비한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Q3)는 과전류 조건이 발생할시에 상기 발진기(110)의 발진을 억제하는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예비 모드의 동작동안 청취가능한 범위 이상으로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발진기(110)에 결합된 수단(D1, D2, C2, C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어가능한 듀티 싸이클을 가진 제1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입력 공급 전압의 소스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공급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1제어 신호의 듀티 싸이클에 따라 조절되는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는 수단과; 1 차 및 2 차 권선을 구비한 변압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1 차 권선(W1)에 결합되고 상기 2 차 권선(W2)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1 차 권선(W1)에 의해 스위칭 전류(i2)를 발생시키기 위해 주어진 주파수로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 수단(Q2)과;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응답하여 출력 공급 전압(B+)의 진폭의 변화가 상기 제1제어 전압(V4)에 비례하여 더 큰 변화를 발생하도록,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따라 변화하는 제1제어 전압(V4)을 발생하는 수단(Q3, Q4) 및; 상기 제1제어 전압(V4)을 상기 2 차 권선(W2)에 결합시키는 주어진 주기의 플라이백 부분동안 상기 2 차 권선(W2)에 흐르는 스위칭 전류(i4)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 신호(V5)의 듀티 싸이클이 상기 제1제어 전압(V4)에 따라 변하게 상기 2 차 권선(W2)에 제2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D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수단(D3)이 정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권선(W1)의 상기 스위칭 전류(i2)가 제1극성에 있을시에, 상기 스위칭 전류(i2)가 정류기(D3)에 상기 정류기(D3)를 전도되게 하기 위해 포워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압(V4) 발생 수단(Q3, Q4)은 부하 전류에 응답하여 과-전류 보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 전압(V4)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T2)가 블로킹 발진기(110)의 재생 피이드백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발진기(100)의 출력 신호(V5)의 듀티 싸이클이 상기 출력 공급 전압(B+)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1 차 및 2 차 권선을 구비한 변압기와; 스위칭 싸이클의 제1간격동안 상기 변압기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1 차 권선에 결합된 제1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2 차 권선(W2)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칭 싸이클의 플라이백 간격동안 상기 변압기(T2)로부터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이백 변환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스위칭 수단(D3)과; 상기 변압기(T2)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제1스위칭 수단(Q2)의 듀티 싸이클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W3)과; 입력 전압(VUR)의 소스(100)와; 상기 제1스위칭 수단(Q2)의 주기적인 스위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압(VUR)으로부터 출력 전압(B+)을 발생시키는 수단(Q1) 및; 상기 출력 전압(B+)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에너지의 감소율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플라이백 간격동안 상기 변압기(T2)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출력 전압(B+)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듀티 싸이클을 변화시키는 네거티브 피이드백 회로(Q3, Q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KR1019900002902A 1989-03-07 1990-03-06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KR0163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8905172A GB8905172D0 (en) 1989-03-07 1989-03-07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secondary to primary control and fixed frequency
GB8905172.6 1989-03-07
GB898905173A GB8905173D0 (en) 1989-03-07 1989-03-07 An economical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secondary side regulation
GB8905173.4 1989-03-07
US07/424,354 US4937727A (en) 1989-03-07 1989-10-19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transformer-coupled feedback
US424,354 1989-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42A KR900015542A (ko) 1990-10-27
KR0163762B1 true KR0163762B1 (ko) 1999-01-15

Family

ID=262950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801A KR0163766B1 (ko) 1989-03-07 1990-03-05 동기식 스위치 모드 전원 회로
KR1019900002902A KR0163762B1 (ko) 1989-03-07 1990-03-06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KR1019900002901A KR0147285B1 (ko) 1989-03-07 1990-03-06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801A KR0163766B1 (ko) 1989-03-07 1990-03-05 동기식 스위치 모드 전원 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901A KR0147285B1 (ko) 1989-03-07 1990-03-06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4941078A (ko)
KR (3) KR0163766B1 (ko)
DE (1) DE4007213A1 (ko)
FR (1) FR2647607B1 (ko)
IN (1) IN174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2755B4 (de) * 1989-03-07 2008-02-07 Rca Licensing Corp.(N.D.Ges.D.Staates Delaware) Geschaltete Stromversorgungsschaltung
DE4021940A1 (de) * 1990-07-10 1992-01-16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JPH04364363A (ja) * 1991-06-07 1992-12-16 Sony Corp 電源回路
US5142206A (en) * 1991-07-15 1992-08-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low turn-on in a deflection circuit
US5142432A (en) * 1991-10-21 1992-08-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ault detection apparatus for a transformer isolated transistor drive circuit for a power device
GB9219663D0 (en) * 1992-09-17 1992-10-28 Rca Thomson Licensing Corp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low input current distortion
DE4403731C1 (de) * 1994-02-07 1995-06-29 Siemens Ag Schaltnetzteil für stromsparenden Stand-by-Betrieb
JPH07298627A (ja) * 1994-04-27 1995-11-10 Toshiba Corp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DE4420528C1 (de) * 1994-06-13 1995-06-22 Siemens Ag Schaltnetzteil mit niedriger Verlustleistung im Standby-Betriebszustand
CA2142644C (en) * 1995-02-16 1996-11-26 Marc Etienne Bonneville Standby power circuit arrangement
DE69609681T2 (de) * 1995-04-05 2001-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indhoven Schaltnetzteil
DE69631435T2 (de) * 1995-05-10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Stromversorgung
DE19518863A1 (de) * 1995-05-23 1996-11-28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mit Bereitschaftsbetrieb
KR0154797B1 (ko) * 1995-07-27 1998-12-15 김광호 펄스 폭 변조 제어 회로
US5694310A (en) * 1995-08-14 1997-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ree phase input boost converter
US5615092A (en) * 1995-09-28 1997-03-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witching power supply regulator with an inductive pulse circuit
JP3512540B2 (ja) * 1995-11-22 2004-03-29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及びその制御方法
FR2742954A1 (fr) * 1995-12-20 1997-06-27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d'affichage d'images sur un tube ecran, muni d'une alimentation a decoupage auto-oscillante
US5850335A (en) * 1996-04-05 1998-12-15 Toko, Inc. Isolation-type switching power supply
US5602724A (en) * 1996-04-23 1997-02-11 Power Integrations, Inc. Low-cost, high-voltage, flyback power supply
JP2974967B2 (ja) * 1996-04-27 1999-11-1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コンバータトランス
US5959851A (en) * 1996-09-13 1999-09-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witched-mod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US5883478A (en) * 1996-10-11 1999-03-16 Ts Enginee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ng equipment
US5949154A (en) * 1996-11-15 1999-09-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uxiliary power supply control
JP3492882B2 (ja) * 1997-04-07 2004-0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DE69805940T2 (de) * 1997-05-14 200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indhoven Schaltnetzteil, elektrischer rasierapparat und gleichspannungswandlungsverfahren
US5982639A (en) * 1997-11-04 1999-11-09 Power Integrations, Inc. Two switch off-line switching converter
US6876181B1 (en) * 1998-02-27 2005-04-05 Power Integrations, Inc. Off-line converter with digital control
US6226190B1 (en) 1998-02-27 2001-05-01 Power Integrations, Inc. Off-line converter with digital control
JP3228215B2 (ja) * 1998-03-11 2001-11-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263031B1 (ko) * 1998-05-16 2000-08-01 김덕중 대기 모드를 가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6107851A (en) * 1998-05-18 2000-08-22 Power Integrations, Inc. Offline converter with integrated softstart and frequency jitter
US6295217B1 (en) * 1999-03-26 2001-09-25 Sarnoff Corporation Low power dissipation power supply and controller
JP3173503B2 (ja) * 1999-06-09 2001-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057607A (en) * 1999-07-16 2000-05-02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ion in multi-output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US6462971B1 (en) * 1999-09-24 2002-10-08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 multi-function terminal for a power supply controller
US6157549A (en) * 1999-10-22 2000-12-05 Thomson Licensing S.A. Power supply with multiple mode operation
US6538419B1 (en) 2000-01-11 2003-03-25 Thomson Licensing S.A. Power supply with synchronized power on transition
JP2001218461A (ja) * 2000-01-31 2001-08-10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456511B1 (en) 2000-02-17 2002-09-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art-up circuit for flyback converter having secondary pulse width modulation
US6324082B1 (en) * 2000-06-06 2001-11-27 Thomson Licensing, S.A. Mains frequency synchronous burst mode power supply
US6525514B1 (en) * 2000-08-08 2003-02-25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udio noise in a switching regulator
US20040183769A1 (en) * 2000-09-08 2004-09-23 Earl Schreyer Graphics digitizer
US6869361B2 (en) * 2001-11-29 2005-03-22 Ig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controller for play of shared bonus games
KR100856900B1 (ko) * 2001-12-21 2008-09-0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버스트 모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EP1331722B1 (en) * 2002-01-26 2010-01-20 Thomson Licens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6775164B2 (en) 2002-03-14 2004-08-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terminal, low voltag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IC
KR100467594B1 (ko) * 2002-07-23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상의 파워 서플라이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70593B1 (ko) * 2002-09-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오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DE10338189A1 (de) * 2003-08-20 2005-04-0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chutzschaltung für ein Netzteil, sowie Netzteil mit diesbezüglicher Schutzschaltung
JP4872254B2 (ja) * 2005-07-11 2012-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力調節方法
US7233504B2 (en) 2005-08-26 2007-06-19 Power Integr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rol of a switching regulator
US20070085574A1 (en) * 2005-10-11 2007-04-19 Atron Lo Audio signal detection utilizing low power standby power supply
KR100692567B1 (ko) * 2005-10-28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US7471530B2 (en) * 2006-10-04 2008-12-30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audio frequencies in a switching power supply
US20080106917A1 (en) * 2006-11-02 2008-05-08 James Holt Variable edge modulation in a switching regulator
KR101274214B1 (ko) * 2006-11-30 2013-06-14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구동 방법
US7855899B2 (en) * 2007-01-23 2010-12-21 System Genreal Corp. Controller with loop impedance modulation for power converter
US8018694B1 (en) 2007-02-16 2011-09-13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Over-current protection for a power converter
US8018171B1 (en) 2007-03-12 2011-09-13 Cirrus Logic, Inc. Multi-function duty cycle modifier
US7667408B2 (en) * 2007-03-12 2010-02-23 Cirrus Logic, Inc. Lighting system with lighting dimmer output mapping
US7852017B1 (en) * 2007-03-12 2010-12-14 Cirrus Logic, Inc. Ballast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s
US8723438B2 (en) * 2007-03-12 2014-05-13 Cirrus Logic, Inc. Switch power converter control with spread spectrum bas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US8076920B1 (en) 2007-03-12 2011-12-13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and control system
KR101365753B1 (ko) * 2007-04-23 2014-02-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US7554473B2 (en) * 2007-05-02 2009-06-30 Cirrus Logic, Inc. Control system using a nonlinear delta-sigma modulator with nonlinear process modeling
US8102127B2 (en) 2007-06-24 2012-01-24 Cirrus Logic, Inc. Hybrid gas discharge lamp-LED lighting system
KR101727290B1 (ko) * 2007-07-27 2017-04-27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US7719243B1 (en) 2007-11-21 2010-05-1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oft-start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verter
US7872883B1 (en) 2008-01-29 2011-01-1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ynchronous buck power converter with free-running oscillator
US8576589B2 (en) * 2008-01-30 2013-11-05 Cirrus Logic, Inc. Switch state controller with a sense current generated operating voltage
US8022683B2 (en) * 2008-01-30 2011-09-20 Cirrus Logic, Inc. Powering a power supply integrated circuit with sense current
US8008898B2 (en) * 2008-01-30 2011-08-30 Cirrus Logic, Inc. Switching regulator with boosted auxiliary winding supply
US7723972B1 (en) 2008-03-19 2010-05-25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Reducing soft start delay and providing soft recovery in power system controllers
US8344707B2 (en) 2008-07-25 2013-01-01 Cirrus Logic, Inc. Current sensing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8330434B2 (en) * 2008-07-25 2012-12-11 Cirrus Logic, Inc. Power supply that determines energy consumption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ve of energy consumption
US8212491B2 (en) * 2008-07-25 2012-07-03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control with triac-based leading edge dimmer compatibility
KR101431143B1 (ko) 2008-08-13 2014-08-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력 변환기, 그 스위칭 제어 장치 및 구동 방법
US8487546B2 (en) * 2008-08-29 2013-07-16 Cirrus Logic, Inc. LED lighting system with accurate current control
US8179110B2 (en) 2008-09-30 2012-05-15 Cirrus Logic Inc. Adjustable constant current source with continuous conduction mode (“CCM”) and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operation
US8222872B1 (en) 2008-09-30 2012-07-17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selectable mode auxiliary power supply
US8288954B2 (en) * 2008-12-07 2012-10-16 Cirrus Logic, Inc. Primary-side based control of secondary-side current for a transformer
US8362707B2 (en) * 2008-12-12 2013-01-29 Cirrus Logic, Inc. Light emitting diode based lighting system with time division ambient light feedback response
US8299722B2 (en) 2008-12-12 2012-10-30 Cirrus Logic, Inc. Time division light output sensing and brightness adjustment for different spectra of light emitting diodes
JP5277952B2 (ja) * 2008-12-25 2013-08-28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7994863B2 (en) * 2008-12-31 2011-08-09 Cirrus Logic, Inc. Electronic system having common mode voltage range enhancement
JP2010220293A (ja) * 2009-03-13 2010-09-30 Canon Inc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482223B2 (en) * 2009-04-30 2013-07-09 Cirrus Logic, Inc. Calibration of lamps
US8198874B2 (en) 2009-06-30 2012-06-12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current sensing transformer auxiliary power supply
US8248145B2 (en) * 2009-06-30 2012-08-21 Cirrus Logic, Inc. Cascode configured switching using at least one low breakdown voltage internal, integrated circuit switch to control at least one high breakdown voltage external switch
US8212493B2 (en) * 2009-06-30 2012-07-03 Cirrus Logic, Inc. Low energy transfer mode for auxiliary power supply operation in a cascaded switching power converter
US8963535B1 (en) 2009-06-30 2015-02-24 Cirrus Logic, Inc. Switch controlled current sensing using a hall effect sensor
KR101661951B1 (ko) * 2009-07-31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US9155174B2 (en) * 2009-09-30 2015-10-06 Cirrus Logic, Inc. Phase control dimming compatible lighting systems
US9178415B1 (en) 2009-10-15 2015-11-03 Cirrus Logic, Inc. Inductor over-current protection using a volt-second value representing an input voltage to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8487591B1 (en) 2009-12-31 2013-07-16 Cirrus Logic, Inc. Power control system with power drop out immunity and uncompromised startup time
US20110101885A1 (en) * 2009-11-02 2011-05-05 Eric Yang Led backlight circuit for lcd panels
US8654483B2 (en) 2009-11-09 2014-02-18 Cirrus Logic, Inc. Power system having voltage-based monitoring for over current protection
US8222772B1 (en) 2010-02-08 2012-07-17 VI Chip, Inc. Power supply system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nd efficient low power operation
US9087656B1 (en) 2010-02-08 2015-07-21 VI Chip, Inc. Power supply system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nd efficient low power operation
US8400789B2 (en) 2010-04-27 2013-03-19 Power Integrations, Inc. Power supply with input filter-controlled switch clamp circuit
US8536799B1 (en) 2010-07-30 2013-09-17 Cirrus Logic, Inc. Dimmer detection
US8912781B2 (en) 2010-07-30 2014-12-16 Cirrus Logic, Inc. Integrated circuit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with selectable buck mode operation
US8569972B2 (en) 2010-08-17 2013-10-29 Cirrus Logic, Inc. Dimmer output emulation
US8866452B1 (en) 2010-08-11 2014-10-21 Cirrus Logic, Inc. Variable minimum input voltage based switching in an electronic power control system
US9510401B1 (en) 2010-08-24 2016-11-29 Cirrus Logic, Inc. Reduced standby power in an electronic power control system
US8760894B2 (en) * 2011-01-10 2014-06-24 Microsemi Corporation Feedback of output voltage error via current sense winding
CN102364859B (zh) * 2011-05-31 2014-11-26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开关电源控制装置及包含该控制装置的反激式开关电源
CN103636109B (zh) 2011-06-03 2016-08-17 塞瑞斯逻辑公司 用于操作开关电力转换器的方法和装置以及电力分配系统
CN103583082B (zh) 2011-06-03 2016-11-0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控制开关功率变换器的方法和设备以及功率变换设备
DE102011104441A1 (de) * 2011-06-16 2012-12-20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Schaltnetzteil, Betriebsverfahren und Verwendung eines Schaltnetzteils in einem Computer
US8693217B2 (en) 2011-09-23 2014-04-08 Power Integrations, Inc. Power supply controller with minimum-sum multi-cycle modulation
EP2792060A2 (en) 2011-12-14 2014-10-22 Cirrus Logic, Inc. Adaptive current control timing and responsive current control for interfacing with a dimmer
US9152193B2 (en) * 2012-06-06 2015-10-06 Apple Inc. Power supply acoustic noise mitigation
US9071152B2 (en) 2012-07-03 2015-06-30 Cognipower, Llc Power converter with demand pulse isolation
US9520794B2 (en) 2012-07-25 2016-12-1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cceleration of output energy provision for a load during start-up of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9246383B2 (en) 2012-10-05 2016-01-2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put voltage regulation of switch mode supplies implementing burst mode operation
WO2014138629A1 (en) 2013-03-07 2014-09-12 Cirrus Logic, Inc. Utilizing secondary-side conduction time parameters of a switching power converter to provide energy to a load
WO2014186776A1 (en) 2013-05-17 2014-11-20 Cirrus Logic, Inc. Charge pump-based circuitry for bjt power supply
US9253833B2 (en) 2013-05-17 2016-02-02 Cirrus Logic, Inc. Single pin control of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based power stage
US9496855B2 (en) 2013-07-29 2016-11-15 Cirrus Logic, Inc. Two terminal drive of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based bulb
WO2015017315A1 (en) 2013-07-29 2015-02-05 Cirrus Logic, Inc. Compensating for a reverse recovery time period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in switch-mode operation of a light-emitting diode (led)-based bulb
US9214862B2 (en) 2014-04-17 2015-12-15 Philips International, B.V. Systems and methods for valley switching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EP2996231B1 (en) 2014-09-12 2019-03-20 Nxp B.V. A controller for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and associated methods
US9325236B1 (en) 2014-11-12 2016-04-26 Koninklijke Philips N.V. Controlling power factor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operating in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CN105763032B (zh) 2014-12-15 2018-07-0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9504118B2 (en) 2015-02-17 2016-11-22 Cirrus Logic, Inc. Resistance measurement of a resistor in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based power stage
US9609701B2 (en) 2015-02-27 2017-03-28 Cirrus Logic, Inc. Switch-mode drive sensing of reverse recovery in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based power converters
US9603206B2 (en) 2015-02-27 2017-03-21 Cirrus Logic, Inc. Detection and control mechanism for tail current in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based power stage
US9966865B2 (en) * 2015-06-30 2018-05-0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825543B1 (en) * 2016-08-04 2017-11-2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for fault event occurrence
CN106531420B (zh) * 2016-11-30 2018-09-07 李会朋 高稳定性变压器
US10554206B2 (en) 2018-02-27 2020-02-04 Cognipower, Llc Trigger circuitry for fast, low-power state transitions
US10892755B2 (en) 2018-02-27 2021-01-12 Cognipower, Llc Driver circuitry for fast, efficient state transitions
EP3667884B1 (en) 2018-12-14 2022-11-16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 Ltd. Burst mode routine for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US11165334B2 (en) * 2019-03-19 2021-11-02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Enhancing high-voltage startup voltage rating for PWM controllers with internal high voltage startup circuit
JP6807983B2 (ja) * 2019-06-06 2021-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TWI722595B (zh) * 2019-10-09 2021-03-21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應用於電源轉換器的二次側的次級控制器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6428A (fr) * 1969-09-24 1971-03-01 Western Electric Co Convertisseur continu-continu avec regulation de tension a noyau a saturation simulee commandee
US3818314A (en) * 1973-06-11 1974-06-18 Bell Telephone Labor Inc Frequency controlled inverter
US4073003A (en) * 1974-06-12 1978-02-07 Raytheon Company High efficiency low-loss power supply
DE2458302C3 (de) * 1974-12-10 1981-06-04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Sperrwandler-Netzteil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mit Ultraschall-Fernbedienung
US3989995A (en) * 1975-05-05 1976-11-0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Frequency stabilized single-ended regulated converter circuit
DK141060B (da) * 1976-06-10 1979-12-31 Rovsing As Christian Spændingsreguleringskreds for en jævnstrømsomformer.
JPS5364745A (en) * 1976-11-20 1978-06-09 Toko Inc Switching power supply
FR2413710A1 (fr) * 1977-12-29 1979-07-27 Thomson Csf Circuit de commande de puissance et alimentation a decoupage l'utilisant
DE2960230D1 (en) * 1978-05-02 1981-04-23 Thomson Brandt Stabilized-power supply device for a line deflection circuit in a television receiver
JPS5838071B2 (ja) * 1978-08-25 1983-08-20 東光株式会社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
JPS5936151Y2 (ja) * 1979-09-18 1984-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源回路
US4499530A (en) * 1981-09-30 1985-02-12 Hitachi, Ltd.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4453206A (en) * 1981-12-14 1984-06-05 Voight William C Switching-mode power supply regulator
US4481564A (en) * 1982-09-09 1984-11-0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US4524411A (en) * 1982-09-29 1985-06-18 Rca Corporation Regulated power supply circuit
US4466051A (en) * 1982-10-25 1984-08-14 Rca Corporation Regulated power supply incorporating a power transformer having a tightly coupled supplemental power transfer winding
FR2537744A1 (fr) * 1982-12-10 1984-06-15 Radiotechnique Procede pour modifier dans des rapports differents diverses tensions d'une alimentation, et alimentation a decoupage a deux etats
DE3330039A1 (de) * 1983-08-19 1985-02-2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perrwandler-schaltnetzteil
DE3341074A1 (de) * 1983-11-12 1985-05-23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chaltnetzteil, insbesondere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mit einer schutzschaltung zur begrenzung des primaerstroms
DE3568673D1 (en) * 1984-07-20 1989-04-13 Sanyo Electric Co Power supply circuit of switching regulator type
US4631652A (en) * 1984-11-30 1986-12-23 Rca Corporation Frequency controlled resonant regulator
FR2577359B1 (fr) * 1985-02-08 1987-03-06 Thomson Csf Circuit de commande d'alimentation a decoupage a demarrage progressif
US4683528A (en) * 1985-07-22 1987-07-28 Intersil, Inc. Pulse position modulated regulation for power supplies
NL8502339A (nl) * 1985-08-26 1987-03-16 Philips Nv Geschakelde voedingsspanningsschakeling met een vermogensschakelaar.
NL8502338A (nl) * 1985-08-26 1987-03-16 Philips Nv Geschakelde voedingsspanningsschakeling met twee toestanden.
KR890001259B1 (ko) * 1986-06-20 1989-04-28 주식회사 금성사 스위칭모드 전원공급회로의 안정화회로
US4692852A (en) * 1986-06-25 1987-09-08 Rca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CA1317369C (en) * 1988-03-10 1993-05-04 Giovanni Michele Leonardi Switch-mod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1078A (en) 1990-07-10
US4937727A (en) 1990-06-26
US4937728A (en) 1990-06-26
KR0163766B1 (ko) 1999-01-15
KR900015459A (ko) 1990-10-27
DE4007213A1 (de) 1990-09-13
KR900015542A (ko) 1990-10-27
FR2647607B1 (fr) 1993-06-04
FR2647607A1 (fr) 1990-11-30
IN174872B (ko) 1995-03-25
KR900015425A (ko) 1990-10-26
KR0147285B1 (ko)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762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US72057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that generates a high pulse width modulation gain while maintaining low noise sensitivity
EP0188839B1 (en) Self-oscillating power-supply circuit
US4630186A (en) Power source circuit
JPH01103158A (ja) スイツチング電源回路
JPH02273072A (ja) 電源回路
US4079294A (en) Control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 voltage converter
US4031453A (en) Triggered transistor switching regulator
EP0386989B1 (en) A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burst mode standby operation
US5013980A (en) Voltage regulator in a television apparatus
US4709321A (en) Regulator protection circuit for video apparatus
US4930060A (en) Switch-mode power supply
EP0332095A2 (en) A switch-mode power supply
JP2721925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JP3657715B2 (ja) 同調スイッチ・モード電源装置
US4301394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with regulation by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urn-off delay control
US5032967A (en) SMPS apparatus having a demagnetization circuit
FI70104B (fi) Reglerad linjeavlaenkningsapparat
US5047698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US4163926A (en) Switching regulator for a television apparatus
KR0136876B1 (ko) 텔레비젼 전원 장치
US4916366A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US5933333A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4209732A (en) Regulated deflection circuit
KR890005239B1 (ko) 절연형 자동 정전압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