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371B1 - 현상제 재충전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 - Google Patents
현상제 재충전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8371B1 KR0158371B1 KR1019940005473A KR19940005473A KR0158371B1 KR 0158371 B1 KR0158371 B1 KR 0158371B1 KR 1019940005473 A KR1019940005473 A KR 1019940005473A KR 19940005473 A KR19940005473 A KR 19940005473A KR 0158371 B1 KR0158371 B1 KR 0158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developer
- toner
- inlet
- developer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로서 현상기구를 재충전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와 여기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상제 용기 또는 토너용기는 그 일측단부에 중공 실린더형 주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입구부를 갖는다.
입구부가 제공된 용기의 단부에는 숄더부가 입구부 가장자리로 일부 돌출된 내부 표면을 갖추어 토너를 퍼올리는 돌기부를 형성한다. 더욱이, 돌기부와 접한 용기 원형벽의 내부표면 일부는 회전할 수 있는 용기의 축으로 돌출되어 다른 상승부를 형성한다.
용기가 용기호울더에 탑재될때, 이는 입구부는 측면으로향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재충전기구에 포함되며 용기는 회전하면 주몸체의 바닥에서 입구부로 토너를 상승시킨다. 그 결과 토너가 부드럽게 입구부를 거쳐 외측으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제1a 및 1b도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복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복사기에 사용되는 현상기구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a 및 3도는 각각 상기 복사기에 사용되는 토너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일부확대도.
제4a 내지 4c도는 토너용기로부터 덮개를 제거하는 단계의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5a도는 상기 덮개의 특정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5b 및 5c 도는 각각 덮개의 다른 특정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d도는 토너 용기의 덮개에 부착되는 얇은 평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e도는 얇은 평탄한 부재가 부착된 덮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된 토너공급 유니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 및 제8도는 각각 상기 토너공급유니트의 특정부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9a 내지 11b도는 각각 상기 토너공급유니트에 포함된 코렛 척(a collet chuck)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2a도는 토너공급유니트의 다른 부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2b도는 토너용기의 일부사시도.
제13a도는 코렛척의 단면도.
제13b 및 13c도는 각각 토너용기의 다른 특정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4a 내지 14e도는 각각 제7도에 도시된 코에에 포함된 특정구성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5도는 토너공급유니트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힘과 토너 용기의 입구 직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포함된 스톱커버(Stop cover)와 코렛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7a 내지 17d도는 상기 변형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18a 내지 18d도는 상기 변형된 실시예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19a도는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9b 또는 19a도는 덮개의 단면도.
제19c도는 덮개가 부착 및 탈착될때 덮개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19d도는 덮개의 다른 특정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0a도는 뚜껑이 부착된 토너용기의 정면도.
제20b 내지 20f는 각각 제20a도의 토너용기를 여러 방면에서 본 구성도.
제20g도는 뚜껑이 제거된 토너용기의 평면도.
제21a도는 20a도의 A-A선 단면도.
제21b도는 토너용기 사시도.
제21c도는 제21a도에 도시된 토너용기의 일부확대 단면도.
제21d도는 제23c도의 A1-A3선 단면도.
제22a도는 토너용기가 그 돌기부와 함께 토너를 안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2b도는 제22a도의 위치로부터 90°회전시킨 토너용기의 정면도.
제22c도는 제22a도에 도시된 토너용기의 우측면도.
제22d도는 제22b도에 도시된 토너용기의 우측면도.
제23a도는 제23b도의 위치로부터 90°회전시킨 토너용기의 정면도.
제23b도는 제23a도의 위치로부터 90°회전시킨 토너용기의 정면도.
제23c도는 제23a도에 도시된 토너용기의 우측면도.
제23d도는 제23b도에 도시된 토너용기의 우측면도.
제24a내지 24c도는 각각 특정 방향에서 본 토너용기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5도는 토너용기의 회전속도와 배출되지 않고 토너용기내에 잔류하는 토너의 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26a 및 26b도는 각각 변형된 코렛척에 사용가능한 특정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27도는 토너 재충전 위치에 지지된 토너공급 유니트의 다른 특정 구성의 정면도.
제28b도는 제27도에 도시된 토너 공급유니트의 평면도.
제29a도는 제27도에 도시된 유니트의 우측면도.
제29b도는 제28도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일부확대도.
제30도는 토너용기를 탑재하기 위한 위치에 지지된 토너공급유니트의 정면도.
제31a도는 제27도의 유니트에 포함된 코렛척과 코어의 분해사시도.
제31b도는 상기 코어의 정면도.
제32a 및 32b도는 각각 제31a도에 도시된 코렛척의 특정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33도는 제27도의 토너공급유니트에 사용하기 위한 토너용기의 일부확대도.
제34a도는 제27도의 토너공급유니트에 사용하기 위한 변형된 토너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4b도는 제34a도에 도시된 토너용기의 우측면도.
제34c도는 상기 토너용기에 연결된 기어링크의 단면도.
제34d도는 제34c도에 도시된 A방향으로 본 도면.
제35a 내지 35e도는 본 발명에 따라 토너용기를 생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36a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포함된 토너용기와 환상링크의 사시도.
제36b도는 상기 환상링크내에 삽입된 토너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제37 및 38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포함된 토너용기와 환상링크를나타내는 사시도.
제39a도는 토너용기의 다른 특정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9b도는 상기 토너용기의 일부 확대도.
제39c도는 상기 토너용기의 평면도.
제40a도는 토너용기의 다른 특정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0b도는 상기 토너용기의 일부확대도.
제40c도는 상기 토너용기의 평면도.
제41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포함된 토너용기와 환상링크의 사시도.
제42a도는 제41도에 나타낸 환상링크의 내부배열도.
제42b도는 상기 환상링크의 단면도.
제42c도는 상기 환상링크에 삽입된 토너용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현상제 용기 21 : 용기호울더
23 : 입구부 24 : 칼라(Collar)
25 : 덮개 26 : 러그(lug)
26a : 환상장애물 30 : 코렛척(a collet chuck)
35 : 나선형부재(a spiral member) 38 : 환상기어링크
39 : 코어(core) 40,93 : 캠기구
52 : 로킹부재(a looking member) 57 : 용기리브
58 : 링크리브 59,60 : 환상밀봉부재
65,66 : 플랜지 73,102 : 돌기부
85 : 제1돌출부 86 : 제2돌출부
106 : 홈 150 : 은폐부재
151b : 슬릿(a slit) 152 : 환상벽
L1: 그립부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기 또는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기구에 포함되는 현상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현상기구에 현상제를 재충전하기 위한 현상제 재충전기구와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감광요소(photoconductive element)에 정전기적으로 정상(latent imape)을 형성하고, 상기 잠상을 대전된 색 입자, 즉, 현상제로 현상한 후, 상기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옮기는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ic) 화상형성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현상제가 소모되면, 이러한 방식의 장치에 새로운 현상제를 보충하는 것은 통상적인 것이다. 현상제 재충전 기구는 예를들면, 일본특허 공개공보(KOKAI)제59-188678 및 60-14626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가 저장된 원통형 중공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실질적으로 그 한쪽 끝을 완전히 열어 현상제 배출구를 형성하며, 그 세로축 둘레를 회전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화상형상 장치의 용기로 현상제 또는 파우더를 연속적으로 배출한다.
상기 용기를 새로운 현상제가 충전된 새로운 용기로 교체하기 위하여는, 화상형성 장치의 몸체에 수평으로 위치한 호울더(holder)를 아래쪽으로 둘려 이들의 한쪽 끝을 수직으로 위치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빈 용기를 호울더에서 제거한 후, 새 용기를 호울더에 탑재한다. 이어서, 호울더를 새용기가 상기 장치에 현상제를 재충전할 수 있는 수평한 위치로 둘린다. 새로운 용기가 수직한 위치로 유지되는 호울더에 탑재되기 전에, 상기 용기는 그 개방구 또는 현상제 배출구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후 열린다. 한편, 뚜껑이 없는 용기는 용기에 장입된 파우더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열린면을 위로하여 호울더에 탑재된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적인 구조의 필수사항은 호울더가 일측단부에 대하여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야 함으로 호울더의 길이는 장치의 높이 이하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구조의 요구에 부응하여 장치는 가능한한 작은 높이로 제공되고, 따라서 호울더 및 용기는 가능한한 짧은 것이 요구된다. 그 결과 하나의 용기에 사용가능한 현상제의 양은 감소되고, 용기의 빈번한 교체가 초래된다. 여하튼, 통상적인 종래의 재충전 기구는 그 크기를 감소시키지 못하고 화상형성장치 내부 구조에 관하여 설계 구조상의 제한이 크게 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호울더를 수평한 위치로 유지하면서 원통형 용기를 고체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련의 연구 및 실험을 행하였다. 그러나, 용기의 일측단부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열림으로서, 그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현상제는 용기가 호울더에 탑재될때 용기의 배출구를 통하여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일본특허공개 공보 제 3-2881에서 용기의 양쪽 단부가 닫혀있고 닫힌 단부의 한쪽에 인접한 원형 벽에 현상제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를 사용하는 현상제 재충전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용기는 배출구를 상부로하여 호울더에 위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보통사람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사용되는 사실을 고려하면, 용기는 배출구를 아래로하여 호울더에 부주의하게 탑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상제는 용기로부터 낙하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배출구의 용기의 결합끝 부분에 무효공간이 생겨, 상기 무효공간을 맞추기 위하여 용기에 추가적인 길이가 제공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함이 없는 새롭고 개선된 현상제 재충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가 수평상태로 놓이더라도 용기에서 현상제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재충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현상제 재충전 기구에 사용되는 새롭고 개선된 현상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현상기구에 저장된 모든 현상제를 재충전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를 지지하여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용기의 입구부(a mouth portion)로 부터 현상제 보충장치내로 배출되도록 하여 주는 호울더(a holder) 및, 상기 호울더에 의해서 고정된 현상제 용기를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니트등을 갖는 현상제 재충전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내에는, 일측 단부에 상기 입구를 갖는 중공실린더형 주몸체부가 제공된다. 상기 입구는 상기 일측단부에 접하여 원주벽을 형성하는 숄더부(a Shoulder Portion)의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다. 안내부가 상기 숄더부의 일부에 제공되어 현상기 용기내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입구로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용기내의 토너가 토너보급장치로 배출되도록 토너용기의 입구가 장착가능한 용기호울더와, 상기 토너용기가 토너재충전장치에 장착될때 토너용기를 회전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유니트를 갖는 토너 재충전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토너용기내에는, 상기 토너용기가 일측단부에 근접하여 제1 직경부를 갖추고, 상기 일측단부에서 배출구를 갖추며, 상기 배출구가 입구와, 상기 제1 직경부보다 크기가 적은 제2 직경부를 갖추는 한편,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일측단부에 주몸체부의 주위표면 형상을 갖추고, 상기 제1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보다 크지 않은 방사위치(a radial position)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경사표면을 갖는 중공형 용기를 포함하는 주몸체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용기내의 토너가 토너재충전장치내로 배출되도록 토너용기의 입구가 장착가능한 용기호울더와, 상기 토너용기가 토너재충전장치에 장착될때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토너용기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니트를 갖는 토너재충전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토너용기내에는, 중공형 용기를 갖는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의 방사상 연장표면상에 형성되고, 용기호울더와 상호 작동하여 용기호울더의 회전을 토너용기에 전달시키는 회전력 전달 돌기 또는 요홈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용기내는 토너가 토너재충전장치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를 갖는 토너재충전장치와, 토너용기가 토너재충전장치내에 장착될때 토너용기를 회전가능하도록 구성시키는 구동유니트와 함께 사용되는 토너용기내에는, 상기 용기의 일측단부에 인접하여 제1 직경부를 갖추고, 상기 일측단부에서 배출구를 갖추며, 상기 배출구가 입구와, 상기 제1 직경부보다 적은 제2 직경부를 갖추는 한편,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일측단부에서 주몸체부의 형상을 갖추고, 제1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보다 크기가 적은 방사위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경사표면을 갖는 중공형 용기를 포함하여 토너용기내의 토너 제어량이 상기 구동유니트에 의해서 토너용기가 회전될때 상기 토너제어량를 배출구로 공급시키기 위하여 제1 직경부에서 제2 직경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상승되는 경사면부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보충하는 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입구를 갖는 현상제 용기와, 상기 입구를 현상제 재충전부로 향하여 위치시키면서 현상제 용기를 지지하도록 현상제 재충전부에 연통되는 호울더를 포함한다. 상기 호울더는 대략 수평면내에서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화상형상장치류에 속하는 전기사진 복사기에 적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에서, 복사기는 상부에 복사하려는 문서를 놓기 위한 유리받침 1을 갖는다. 광학 유니트 2는 유리받침 1 아래에 위치하고 문서를 투광하기 위한 램프 2a, 거울 2b, 및 미도시된 렌즈를 포함한다. 드럼 3 형태인 광전요소는 광학 유니트 2 아래에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드럼 3 주위에 주 충전기 4, 현상유니트 5, 전사대전기 6, 세정유니트 7, 방전기 8 및 전기사진 공정에 사용되는 기타 통상적인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다.
전사대전기 6에 의하여 드럼 3에서 용지로 전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 유니트 9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 3의 좌측에 위치한다. 용지공급부 10은 복사기의 보다 낮은 부분에 제공되며 용지 10a적재층이 위치되어 있다. 용지 10a는 용지공급부 10에서 드럼 3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종류의 복사기의 조작은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유니트 5는 2 성분 타입 현상제 즉, 토너와 캐리어(carrier) 혼합물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건조공정유니트이다.
현상유니트 5는 케이싱(casing) 5a, 그 내부의 현상로울러 11, 교반을 위한 패들휠(paddle wheel) 12, 혼합 로울러 13, 분리기 14, 교반을 위하여 수평으로 확장된 나사 15등을 갖는다. 호퍼(hopper) 16은 케이싱 5a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현상유니트 5의 구성성분위에 위치한다. 토너는 호퍼 16에서 현상유니트 5로 공급된다. 나사 컨베이어(conveyor) 18은 호퍼 16에 수용되어 있으며 축 34와 축 34에 부착된 나선형 부재(member) 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컨베이어 18는 하기에 자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토너공급유니트 17에서 토너를 교반시키면서 운반한다. 토너공급로울러 19는 호퍼 16가 현상유니트 5에 연결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이는 미도시된 토너 농도 감지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된다.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너공급 유니트 17은 복사기의 상부 정면부에 위치하며 용기 호울더(지지수단)21을 포함한다. 용기호울더 21은 토너용기 또는 현상제용기 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b도는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호울더 21은 유니트 17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a도의 축 22에 탑재된다. 용기호울더 21은 실질적으로 수평면으로 축 22의 Z축 둘레를 약 90°회전할 수 있다.
특히, 용기호울더 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B 두 지점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A위치(제1지점)에서, 용기호울더 21의 좌측부를 복사기의 앞쪽끝으로 당겨서용기 20이 이에 탑제되도록 한다. B 위치(제2지점)에서, 상기 유니트 17전부는 복사기의 전단부와 수평이 된다. 용기 호울더 21은 그 바닥에 개구(opening)가 형성되어 토너가 떨어지도록 한다. 최소한 B 위치에서, 용기 호울더 21의 바닥 개구는 호퍼 16에 포함되어 있으며 복사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도의 토너수신부 16a보다 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토너공급유니트 17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복사기의 전단부를 덮고 있는 정면 커버(front cover)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고; 정면 덮개가 열렸을때, 유니트 17을 A위치로 당길수 있다.
제3a도는 용기 20의 특정구성을 나타내며, 제3b도는 용기의 20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입구부 23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20은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이며, 실질적으로 용기의 일측단부 중심에 입구부 23이 제공된다. 입구부 23은 용기 20을 구성하는 실린더보다 직경이 작으며 원형 단면을 갖는다. 특정구성에서, 입구부 23은 용기 20에서 연장된 칼라(collar) 24의 단부에 형성되며 덮개 25에 의하여 달한다.
버셋같은 러그(lug) 26이 덮개 25의 중심에서 돌출된다. 상기 언급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59-188678에서 제시하고 있는 용기와 같이, 나선형 가이드 요홈(guide groove)(나선형 부재)27이 용기 2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용기 20이 세로축 둘레를 회전할때, 나선형 요홈 27(나선형부재)은 용기 20에 포함되어 있는 토너를 입구부 23으로 운반한다. 환상리브(ribs) 28은 칼라 24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용기 20의 이송도중, 뚜껑 29(제12a도)은 리브 28과 접하여 칼라 24 전체를 덮는다. 이점에서, 리브 28은 결합부(engaging portion)를 형성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뚜껑 29는 그 내부 표면에 리브 28을 보충하는 러그(lugs) 또는 요홈이 제공된다.
제4a-4c도는 용기 20의 입구부 23에서 덮개 25를 제거하는 메커니즘(분리수단)32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커니즘 32는 코렛척(a collet chuck) 또는 유지수단(retaining means) 30과 상기 코렛 척 30을 용기 20의 전후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나타내지 않은 이동수단(moving means)으로 구성된다. 코렛척 30은 팁(tip)에서 처킹부(chucking portion) 33을 가지며, 용기호울더 21의 일부를 형성하는 벽 31에 형성된 구멍(hole) 31a에 의하여 지지된다. 코렛척 30이 자유로운 상태일때, 제4a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처킹부 33은 열려있다. 제4b도는, 용기 20이 용기 호울더 21의 예정된 위치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코렛척 30이 이동수단에 의하여 용기 20에서 탈착될때 코렛척 30 주위의 보다 큰 직경부는 구멍 31a의 벽에 의하여 압착되고 그 결과 처킹부 33이 압착되어 덮개 25의 러그 26를 고정한다. 후속적으로, 제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30이 덮개 25의 러그 26을 고정하여, 용기 20의 입구부가 완전히 열리는 위치로 덮개 25를 이동시킨다.
상기한 매커니즘 32는 토너공급유니트 17에 제공되어 용기 20의 입구부 23이 덮개 25로 밀봉되어 용기 20이 용기호울더 21에 탑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a및 제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이 용기 호울더 21에 실질적으로 수평한 위치로 놓여있더라도 입구부 23에서 토너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용기 20내의 토너가 완전히 소비되었을때, 빈 용기 20이 용기호울더 21에서 제거된다. 이때, 이동수단은 코렛척 30을 용기 20으로 이동시켜 덮개 25를 입구부 23에 고정한다. 그후, 용기 20이 용기호울더 21에서 제거될때, 입구부 23은 덮개 25에 의해 닫힐 것이다. 이는 입구부 23에 적하되어 있는 토너가 떨어져서 용기 20을 교환하는 사람의 손 및 옷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한다.
제5a도는 용기 20의 입구부 23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예를들면 입구부 23의 칼라 24에 고정된 나사 뚜껑 29는 그의 벽 단부에 구멍 29a가 형성된다. 러그 26을 갖는 덮개 25는 뚜껑 29의 구멍 19a내에 탈착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제5b 및 5c도는 각각 제3b 또는 5a도에 나타낸 덮개 25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무경험자는 코렛척 30을 사용하지 않고 덮개 25의 러그 26을 집어냄으로써 새로운 현상제용기 20의 덮개 25를 제거하려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용기 20에서 새로운 토너가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5b 및 5c도에 나타낸 덮개 25에는 각각 러그 26 주위에 환상장애물 26a 또는 핀같은 장애물 26b가 제공된다.
장애물 26a 및 26b는 돌기부 26에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5d도는 장애물 26a 또는 장애물 26b의 특정한 대용물인 커버(은폐부재)(cover) 150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150은 러그 26 주위의 덮개 25를 은폐하기 위한 박판 부재 151로 구성되며, 환상벽(환상부) 152가 박판 부재 15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있다. 구멍 151a가 상기 박판부재 151의 중심에 형성되며 덮개 25의 러그 26보다 직경이 조금 크다. 많은 슬릿(Slits) 151b가 구멍 151a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제5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150이 덮개 25에 고정되었을때, 단지 러그 26의 팁(tip)만이 보인다. 이는 미숙련자가 덮개 25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로서 러그 26의 팁을 잘못 잡는 것을 방지한다.
토너공급유니트 17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기재한다. 제6도는 B위치에 놓여있는 유니트 17을 나타내고 제7 및 8도는 특정하게 변형된 부품을 나타낸다. 유니트 17은 용기 20을 지지하며 토너공급로울러 19의 회전과 일치하여 용기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새로운 토너가 용기 20의 입구부 23을 거쳐 호퍼 16의 토너수신부(toner receiving portion) 16a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수신부 16a에는 상부-열림 트로프(trough)로 공급되며 작동측면에 위치한 호퍼 16의 측벽에서 정면으로 연장된다.
축 34는 호퍼 16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토너 수신부 16a의 충심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용기 20의 입구부 23에서 떨어진 토너를 호퍼 16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나선형 부재, 또는 토너공급플레이트(plate) 35가 축 34에 고정되어 있다. 측 34와 나선형부재 35는 상기한 제2도의 나선컨베이어 18을 구성한다. 용기호울더 21은 복사기의 정면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용기 20을 실질적으로 수평한 위치로 지지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36은 용기 20을 용기 20의 축방향으로 용기 호울더 21에 위치시킨다. 모터 37은 용기호울더 21에 놓여있는 용기 20이 그 축 둘레를 회전하도록 한다. 환상기어링크 38은 모터 37의 회전을 용기 20에 전달한다. 상기한 코렛척 30은 용기호울더 21에 놓여있는 용기 20의 덮개를 고정시킨다.
코어 39는 활강하면서 코렛척 30에 결합된다. 캠 기구(cam device) 40은 고렛척 30을 용기 20전후로 이동시킨다.
제7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호울더 21은 이동가능한 브래킷(bracket)41에 탈재된다. 고정브래킷 42는 복사기의 정면벽에 고정되며 여기에 고정된 제6도의 하부핀 43과 상부핀 44를 갖는다. 이동가능한 브래킷(bracket) 41은 하부핀 4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부핀 4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보유된다.
따라서, 브래킷 41은 상부와 하부핀 43과, 44을 통과하여 연장된 실질적으로 세로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 42는 나사에 의하여 정면벽에 고정된 스테이(Stays) 4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나사 46에 의하여 정면벽에 고정된다.
나아가 용기호울더 21은 용기 20의 입구부 23의 끝을 덮기 위하여 덮개같은 사이트(Seat) 47을 포함한다. 실린더혀 스톱 커버 48은 시이트 47에 위치하여 용기 20의 입구부 23을 기밀한(air-tight) 상태로 덮는다. 스톱커버 48은 기어링크 38을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하는 링크 수신부(link receiving portion)와 코어 39를 조절하는 코어수신부를 갖는다. 코어수신부는 용기 20의 입구부 23보다 조금 큰 내부직경을 갖는다. 코어수신부는 그 바닥벽에, 토너가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6도의 개구(opening) 49와, 코렛척 30을 활강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그 단부벽에 구멍 및 보스(boss) 50를 갖는다.
코어 39가 용기 20쪽으로 계속하여 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코어수신부내에 나사 송곳(anger)-같은 스프링(편향지지수단) 51이 위치한다.
제7도에 나타낸 코어 39는 변형된 것이고 하기와 같은 잇점을 갖는다.
제7도에서, 참조번호 48a는 용기 20과 마주하는 개구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환상링크를 멈추기 위한 링크 스톱(link stop)을 나타낸다.
상기한 로킹 메커니즘 36은 용기 20을 그 축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메커니즘 36은 로킹부재 52와, 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53을 갖는다. 로킹부재 52는 용기호울더 21에 포함되어 있는 부재, 예를들면, 제6 및 제7도에 나타낸 스톱커버 48에 의하여 그 하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로킹부재 52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는, 결합부 즉, 용기 20의 표면외측에 형성된 돌출부(projection) 또는 홈(recess)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53은 로킹부재 52를 용기 20의 외부 표면쪽으로 계속하여 편향지지한다.
제6도에 나타낸 구성에서, 용기 20의 결합부는 실질적으로 수직접촉면 54a와 상기 접촉면 54a에서 입구부 23으로 연장된 경사면 54b으로 이루어지는 직각 삼각형 교차-부를 갖는 링 54으로 이루어진다. 접촉면 54a는 용기 20의 후단부측으로 경사지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또는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이루는 모터 37은 기어 55와 함께 이동가능한 브래킷 41에 탑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용기 호울더 21이 B위치에 있을때, 모터 37은 기어링크 38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는 복사기 몸체의 고정될 수 있다. 기어링크 38은 모터 37과 결합된 기어 55와 맞물린 톱니(gear teeth) 56으로 구성되며 용기 20의 외부 직경보다 큰 내부직경이 제공된다. 구멍이 기어링크 38의 단부벽에 형성되어 용기 20의 칼라 24가 그곳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기어링크 38의 벽 끝에는 예를들면, 용기 20에 제공된 리브(이하 용기리브라 한다) 57과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리브(이하 링크리브라 한다) 58이 제공된다(제34d도).
제6도에 나타낸 특정구성에서, 스톱 커버 48에는 그 하부에 모터 37의 기어 55가 기어링크 38의 톱니 56과 맞물리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벽의 구멍 주위에 장착된 환상 밀봉장치 59는 용기 20의 칼라 24의 외부표면과 스톱커버 48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여 토너가 위치된 곳에서 입구부 23 밖, 예를들면 용기 20의 외부표면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밀봉장치 59는 용기 20이 새토너용기로 교체될때 칼라 24의 외부표면을 깨끗하게 한다. 밀봉장치 59는 용기 20이 쉽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코렛척 30쪽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휘어져 있다.
또한 제7도에는 스폰지 이와 유사한 부드러운 물체로 만들어졌으며, 기어링크 38의 끝에 부착된 밀봉장치 60, 밀봉장치 60위의 당부에 부착된 유연한 얇은 밀봉장치(예를들면, 두께 0.188mm) 61 및, 토너가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호울더 21의 시이트(seat) 47에 형성된 개구를 닫기 위한 셔터(Shutter) 107를 나타냈다. 통상적으로, 셔터 107은 시이트 47의 개구와 맞춰서 형성된 개구에 위치한다. 이것이 유지되는 한, 수선공(a seaviceman)은 시이트 47의 개구를 닫기 위하여 손잡이 부재(thumb piece) 108를 잡고 셔터 107을 들릴 수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렛척 30은 외부 힘에 의하여 압착되는 처킹부(Chucking portion) 33을 갖는 다수의 슬릿 62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처킹부 33은 덮개 25의 러그 26의 팁 최대 직경 d1보다 긴 거리 D1까지 열려있다. 척 30은 처킹부 33과 접하는 보다 큰 직경부 63과, 보다큰 직경부 63뒤의 보다 작은 직경부 64를 포함한다.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직경이 보다 큰 직경부 63은 직경이 보다 작은 직경부 64의 외부 직경 D2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갖는다.
코어 35는 덮개 25에 제공된 플랜지 65에 접할 수 있는 플랜지 66과, 척 30이 활강할 수 있는 실린더형 슬라이더(Slider) 67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더 67는 척 30의 보다 작은 직경부 64의 외부 직경 D2보다 크고, 직경의 63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의 보다 큰 직경부 63의 외부직경보다 작은 내부직경 D3을 갖는다. 이 구성에서, 코어 39가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으로 삽입되었을때, 제9b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가 보다 큰 직경부 위에 활강하여 처킹부 33의 개구가 작아진다. 처킹부 33의 결과 개구미는 최소한 러그 26의 최대직경 d1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러그 26의 저부(root)의 직경 d2와 같도록 선택된다.
제6도에 나타낸 캠 기구 40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용기 호울더 21이 B위치에서 A위치로 이동될때, 캠기구 40은 척 30을 용기 20에서 제거시킨다. 또한, 용기 호울더 21이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될때, 캠기구 40은 척 30을 용기 20쪽으로 이동시킨다.
일실시예에서, 캠기구 40은 평탄한 캠부재 68과 척축 69에 회전가능하도록 탑재된 로울러 70을 갖는다. 척축 69는 척 30의 후단부에 부착된다.
제10a 및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부재 68은 위치된 용기호울더 21의 회전중심 Z와 접한 면으로부터 로울러 70을 안내하기 위한 제1면 71과, 회전중심 Z에 대한 반대면으로부터 로울러 70을 안내하기 위한 제2면 72을 갖는다.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용기호울더 21이 B 위치에서 A위치로 이동될때, 제1면 71은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과 결합하고 코어 39를 경유하여 스프링 51에 의하여 용기 20쪽으로 편향지지된 척 30이 용기 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로울러 70을 안내한다.
용기 호울더 21이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되었을때, 제1면 71은 스프링 51에 의해서 편향지지된 척 30이 용기 20쪽으로 이동하도록 로울러 70을 안내한다.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용기 호울더 21을 A위치에서 B위치의 이동을 완료하기 직전에, 코어 39는 로킹 메커니즘 36에 의하여 위치 설정된 용기 20의 칼라 24의 가장자리에 접한다.
그 결과, 코어 39가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에서 제거되며, 스프링 51의 힘이 척3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순간부터 B위치로 용기 호울더 21의 이동이 완료될때까지, 캠 부재 68의 제2면 72는 척 30이 용기 20에 접근하도록 로울러 70을 안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캠 기구 40은 용기 호울더 20의 회전축 근처에 위치한다.
따라서, A와 B 위치사이에서 용기 호울더 21을 당기거나 밀어서 용기 20을 교체하고자 할때, 그 결과로 생긴 힘이 작용하는 호울더 21의 지점과 회전중심 Z는 제1면 71 또는 제2면 72와 로울러 70및 회전중심 Z의 결합지정보다 더 큰 간격으로 떨어진다. 이는 용기 호울더 21이 지레대작용을 기초로한 상대적으로 적은 힘에 대하여 이동 되도록 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일반적인 복사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용기 호울더 21을 갖는 토너 공급유니트 17은 B위치에 위치한다. 용기 호울더 21을 B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예를들면 자석을 사용한 로킹 메커니즘이 복사기 및 용기 호울더 21의 정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B위치에서, 용기 호울더 21에 놓여진 용기 20은 로킹 메커니즘 36의 로킹부재 52의 끝에 접한링 54와 함께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20의 용기리브 57은 기어링크 38의 리브 58과 결합된다. 제10A 및 10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렛척 30은 용기 2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보다 큰 직경부 63에 위치한 스프링 51에 의하여 지지되어 처킹부 33을 압착한다. 그 결과, 처킹부 33이 러그 26, 즉 덮개 25를 고정하여 용기 20의 입구부 23이 열린다. 제6도의 호퍼 토너수신부 16a는 스톱커버 48의 개구 49아래에 놓여진다.
반복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현상유니트내에 토너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토너공급 로울러 19는 미도시된 토너농도 감지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회전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모터 37이 회전을 시작한다. 모터 37의 회전을 기어 55와 기어링크 38을 거쳐 용기 20에 전달되고, 용기 20이 회전하게 된다. 용기 2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가이트 요홈 27은 토너가 입구부 23에서 떨어질 때까지 용기 20의 입구부 23으로 토너를 운반한다.
용기 20에서 떨어진 토너는 스톱커버 48의 개구 49를 거쳐 호퍼 16의 토너수신부 16a에 수용된다. 그후, 나사컨베이어 18은 토너를 토너수신부 16a에서 호퍼 16을 거쳐 복사기내의 보다 깊은 쪽으로 운반한다. 이 조작은 유니트내의 토너농도가 예정된 수치, 즉 토너공급로울러 19가 회전을 멈출때까지 계속된다. 다르게는 호퍼 16내의 토너가 감소할때, 용기 20은 충분한 시간동안 회전될 수 있다.
제12a 및 1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projection) 73은 토너 용기 20의 상기한 위치결정 메커니즘(positioning mechanism)의 로킹부재 52의 일부와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그후, 용기 20이 회전될때, 돌출부 73은 로킹부재 52의 일부와 접하여 로킹부재 52가 링 54에서 완전히 해방되지는 않을 정도로 스프링 53(제7도)의 작용에 대하여 상기 부재 52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를 들어올린다. 후속적으로, 돌출부 73이 로킹부재 52에서 이동됨에 따라, 로킹부재 52는 복귀되어 용기 20의 외부표면에 충격을 가하게 되며, 용기 20의 벽이 진동되게 한다. 이는 용기 20내에서 토너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토너가 입구부 23을 거처 용기 20 밖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더욱이, 최소양의 토너만이 용기 20의 내부표면에 접착되게 한다.
제12a 및 12b도에서, 입구부 23 주위의 용기 20의 특성구성은 하기에 자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용기 20에서 토너의 효과적인 배출을 조장한다.
용기 호울더 21에서 용기 20을 교체하거나 또는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제거하는 경우, 용기 호울더 21은 B 위치에서 A 위치로 이동된다.
용기 호울더 21이 이동하는 동안, 캠 기구 40은 제1면을 갖는 로울러 70을, 코렛척 30이 덮개 25을 운반하고 또한, 용기 20의 입구부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한다. 결과적으로 코어 39의 플랜지 66은 덮개 25의 플랜지 65를 거쳐 용기 20의 칼라 24 가장자리에 접히게 된다. 코어 39의 이동이 칼라 24에 의해 제한된 후에도, 캠기구 40은 제2면을 갖는 로울러 70을 안내하여 연속적으로 척 30이 보다 큰 직경부 63이 코어 39에서 분리될때까지 척 3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그결과, 처킹부 33은 척 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열려지고, 덮개 25에서 러그 26이 분리된다. 상기한 절차에 따라서, 덮개 25가 현상제 용기 20의 칼라 24에 삽입되고, 입구부 23이 밀봉된다. 용기 호울더 21이 A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었을때, 제9a, 11a 및 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30의 처킹부 33이 덮개 25의 러그 26의 최대직경 D1보다 크게 열린다.
후속적으로, 용기호울더 21이 A 위치에 놓였을때, 로킹 메커니즘 36의 로킹부재 52를 부재 52가 용기 20의 링 54에서 분리될때까지, 스프링 53의 작용에 반하여 용기 20에서 손으로 당긴다.
그후, 용기 20은 스톱커버 48과 용기호울더 21에서 분리된다.
로킹부재 52는 스프링 53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용기 20쪽으로 편향지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로킹부재 52를 손으로 당겨서 분리하였을때,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부는 떨어져서 용기 20의 링 54와 재결합된다. 따라서, 용기 20이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에 상승위치로 로킹부재 52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로킹부재 52가 용기 20으로부터 들어올려 졌을때 용기 20이 자동적으로 교체된다.
제13도는 용기 20이 로킹 메커니즘 36에서 분리될때 스프링 51이 코어 39를 거쳐 토너용기 20을 밀어내는 특정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24의 높이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는 로킹메커니즘 36에 의하여 용기 20이 위치되었을때, 칼라 24의 가장자리가 스톱커버 48에서 예정된 양 S를 밀어내도록 선택된다. 이 구성에서, 로킹부재 52가 용기 20의 링 54에서 들어올려졌을때, 코어 39는 플랜지 66이 기어링크 38에 접할때까지 스프링 51에 의하여 이동된다. 그 결과, 용기 20은 예정된 양 S를 밀어낸다.
코어 39의 초기 이동상태와 덮개 25의 러그 26이 코렛척 30의 처킹부 33에서 완전히 제거되기 전을 가정할때, 코어 39는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과 결합하여 처킹부 33을 압착한다. 그후, 덮개 25는 척 30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즉, 용기 20이 빼내어진 경우에도 20의 입구부 23는 열려있다. 그 결과, 입구부 23의 내부표면에 침적된 토너가 떨어져 손과 옷을 더럽힌다. 더욱이, 처킹부 33이 너무 압착될 경우, 새 토너 용기 20이 장착될때, 덮개 25의 러그 26은 처킹부 33에 삽입되지 않을 것이다.
이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 S는 코어 39의 플랜지 66이 기어 링크 38에 접한 후에도, 코어 39가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과 접하지 않으므로서 처킹부 33이 열린채로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어링크 38은 용이 20이 로킹메커니즘 36에서 분리되었을때, 코어 39가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과 결합하기 전에 기어링크 38에 접할 수 있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기어링크 38은 코어 39의 이동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나, 전형적인 제한부재로 대치될 수 있다.
A 위치에서, 빈용기 20은 새용기 20으로 대체된다. 특히, 새용기 20은 새토너로 채워져 있으며, 입구부 23이 밀봉장치 25로 밀봉되어 있다. 새용기 20을 그 머리부(head portion)가 스톱커버 48로 향하도록 하여 용기호울더 21에 탑재한다. 그후, 용기 20의 머리부를 스톱커버 28에 삽입한다. 이때, 로킹메커니즘 36의 로킹부재 52는 스톱커버 48로 이동된 용기 20의 링(결합부) 54를 고정시킨다. 그결과, 토너용기 20이 용기호울더 21에 위치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20이 스톱커버 48내로 보다 깊이 이동하는 동안, 로킹부재 52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부는 링 54의 경사면 54b에 삽입된다.
링 54가 부재 52의 경사진 표면을 들어올린다는 사실에 관련하여 로킹부재 52를 손으로 들어 올릴필요가 없다.
상기한 바와같이, 스톱커버 48내에서 코어 39는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에 접하지 않는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척 30의 처킹부 33은 열려진채로 있게 된다. 이는 덮개 25의 러그 26이 처킹부 33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20이 코어 39에 의하여 밀려나왔을 때의 구성을 가정하면, 척 30의 처킹부 33은 덮개 25의 러그 26이 처킹부 33에서 제거된 후에 닫힌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덮개 25의 플랜지 65가 러그 26이상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덮개 25가 구성되어야 한다. 그후, 새용기 20이 스톱커버 48에 삽입된 경우, 칼라 24의 가장자리는 덮개의 플랜지 65를 거쳐 코어 39의 플랜지 66을 밀어서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에서 코어 39가 분리되도록 하며, 따라서 처킹부 33은 열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 25의 러그 26은 개방되어 있는 처킹부 33에 삽입된다.
그후, 용기 호울더 21은 A 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캠기구 40은 제1 캠면을 갖는 로울러 70을 척 30이 덮개 25를 운반하여 용기 20의 입구부에서 제거하도록 안내한다.
이동 초기상태에서,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은 코어 39와 결합하게 되며 처킹부 33은 압착된다. 그 결과, 처킹부 33이 덮개 25의 러그 26을 고정한다. 이후에도, 코어 39와 보다 큰 직경부 63은 스프링 51의 힘에 의하여 계속하여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처킹부 33은 덮개 25를 계속적으로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덮개 25가 입구부 23에서 제거되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6, 10a도 및 10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호울더 21은 B위치로 완전히 이동된다. B위치에서, 용기 20이 회전하면서 용기 20로부터 새토너가 계속적으로 보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7의 토너공급유니트 17에 의하여, 단지 용기호울더 21을 이동시킨 후 용기 20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토너가 용기 20의 입구부 23에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3b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덮개 25의 플랜지 65에 칼라 24의 외부직경 d3보다 작은 외부직경 d2가 제공된다.
반면에, 용기 20이 스톱커버 38의 내부 밑 외부로 이동할때, 플랜지 65는 스톱커버 38의 내부 측면에 장착된 밀봉장치 59와 접하여, 덮개 25가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제1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29는 용기 20위의 덮개 25에 장착되어 있다. 뚜껑 29는 용기 20이 특히, 고지(highland) 또는 항공기에 의하여 운반될때 용기 20에서 덮개 25가 칼라 24와 고정되도록 결합될 필요가 없고, 자동덮개 부착 및 탈락 메커니즘에 필요한 힘이 감소된다.
제7도에 나타낸 코어 39의 변형된 형태는 제14a-14e도와 관련하여 기재한다. 제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39는 스톱커버 48의 내부직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을 갖는 실린더형 드럼부 74를 갖는다. 플랜지가 드럼부 74의 원둘레 표면에 제공되어 다수의 환상 홈(recess)을 형성한다. 제14b도 및 14c도에 도시된 환상 밀봉장치 부재 75, 드럼부 74의 각각이 환상홈에 고정되어 있고 드럼부 74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역되어 있다. 밀봉부재 75는 코어 39의 외부표면과 스톱커버 48의 내부 표면간의 틈을 밀봉한다.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밀봉장치 부재 75는 접착층 75a와 서로 접하는 양끝을 갖는 신장된 부재(elongate member)로서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 75는 링으로 공급되고 드럼부 74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4b도에 나타낸 형태를 갖는 밀봉부재 75는 맞은편 끝과 접촉된 이들의 부분이 코어 39의 축방향에서 어긋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또한, 제14c도에 나타낸 환상밀봉 부재 75는 바람직하게는 주로 원주방향으로 탄성이 강화된 제1 탄성부재 75b, 예를들면 무-기포 탄청체와, 상기 탄성부재 75b에 제공되며 주로 두께 방향으로 탄성이 보강된 제2 탄성부재 75c, 예를들면 기포탄성체로 구성된다.
제14a도에 나타낸 코어 39는 그 단부에 덮개 25이 플랜지 65에 접하는 보스 77이 형성된다. 상기 부스 77에 코어 39를 통하여 코렛처 30이 연장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보스 77은 밀봉장치 78이 접착하여 플랜지 끝에 장착될때 제14d 또는 14e도에 나타낸 평탄한 환상단부 밀봉장치 78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단부 밀봉장치 78은 제14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물로 또는 서로 접착된 다수의 환상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최소한 상기 단부 밀봉장치 78의 앞쪽 단부 78a는 토너가 여기에 쉽게 침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은 표면에너지를 갖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플루오로 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용기호울더 21상에 수작업(manually)으로 가해지는 작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된 구성을 제15도 내지 18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토너가 용기 20의 칼라 24의 내부표면에 침적되고 덮개부 25가 이와 접한다고 가정한다. 그때, 덮개 25를 용기 20의 입구부 23으로 삽입하거나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한다.
그 결과, 용기 호울더 21을 A 위치에서 B위치로 미는데(덮개 25가 입구부 23에서 제거되도록 한다) 필요한 힘과 B위치에서 A위치로 당기는데(덮개 25가 입구부 23에 삽입되도록 한다) 필요한 힘이 증가된다.
상기한 미는 힘과 당기는 힘은 코렛척 30과 코어 39의 모양이 다른 세가지 다른 타입의 토너공급유니트 17(이하 타입 1-3이라 한다)와 다양한 입구 직경을 갖는 토니용기 20에 따라 측정된다. 예를들면 이러한 용기 20의 칼라 24의 내부표면에 토너가 침적된다. 제15도는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5도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은 각각 용기 20의 입구부 23의 직경과 용기호울더 21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나타낸다. 그래프는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일점점선을 포함한다. 그중, 화살표가 되어있는 일점점선과 점이 표시되어 있는 일점점선은 각각 타입 1과 2에 관한 것이며; 십자표가 되어 있는 일점점선은 타입 3에 관한 것이다.
중괄호로 나타낸 타입 1로 측정된 미는 힘은 A1지역에서 분포하고, 또한 타입 1로 측정된 당기는 힘은 B1지역에 분포한다. 타입 2로 측정된 미는 힘은 A2지역에 분포하고 타입 2로 측정된 당기는 힘은 B2지역에 분포한다. 타입 3으로 측정된 분포는 그래프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측정된 미는 힘은 A1과 A2지역에 위치하고, 당기는 힘은 B1과 B2지역 및 그 아래에 위치한다. C지역에 음영(hatching)(2200g의 힘을 나타내는 수평선과 A2지역의 상한점을 나타내는 사선으로 둘러싸인)으로 나타낸 부분에서 결합삽입(Defective insertion)이 발생하였다.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구되는 미는 힘은 요구되는 당기는 힘보다 크고 예를들면 2kg 이상일 것이다. 또한, 당기는 힘이 클 경우, 예를들면 2.2kg, 입구부 23이 직경과 코렛처 30과 코어 39의 형태, 덮개 25가 불완전하게 삽입된다.
제16도는 덮개 25가 용기 20의 입구부 23에 부착되거나 또는 탈착될때 덮개 25가 그 둘레를 회전하도록 하는 개선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그 결과 미는 힘과 당기는 힘이 감소되어, 부드럽게 덮개 25가 입구부 23에 부착되거나 탈착된다. 덮개 25가 그 축 둘레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척 30이 활강하는 스톱커버 48의 보스 50에는 척 30이 용기 20 전후로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캠 슬릿 79가 형성된다. 핀 80이 척 30의 척 축 69에 고정되어 있어 이동가능하게 캠 슬릿 79로 수용된다.
제10a 및 10b도에 상응하는 제17a 및 17b도는 각각 용기 호울더 21이 B위치에서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개선된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제17c도는 제17b도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에서 본 메커니즘의 확대도이다. 제17d도는 제17b도에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에서 본 메커니즘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 80은 제17c도에 일점쇄선 L1으로 나타낸 보스 50의 원주의 최저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캠 슬릿 79의 최외각부에 위치한다. 캠 슬릿 79의 최내각부 끝은 L1위치로부터 예정된 각 α, 예를들면 90°벗어난 제17c도의 일점쇄선 L2으로 나타낸 위치로 추정된다. 제17c도에 이점쇄선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핀 80이 캠 슬릿 79의 최외각부에서 최내각부로 이동하는 동안, 제17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슬릿 79는 핀 80이 보스 50의 축둘레를 예정된 각 α 만큼 회전하도록 한다. 제11a 및 11b도에 상응하는 제18a 및 18b도는 각각, 용기 호울더 21이 A지점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제18c도는 제18b도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확대도이다. 제18d도는 제18b도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확대도이다.
작동시, 용기 호울더 21이 B지점에서 A 지점으로 이동할때, 척 30의 척 축 69는 스톱커버 48의 보스 50내로 활강하면서 토너용기 20쪽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핀 80은 제17c도에 이점쇄선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슬릿 79의 안내에 의하여 스톱커버 48의 보스 50의 축둘레를 예정된 각 α만큼 회전한다.
그 결과, 보스 50의 축둘레를 회전하는 동안 척 30에 의하여 지지되는 덮개 25는 연속적으로 용기 20의 칼라 24에 삽입된다.
역으로, 용기 호울더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할때, 척 축 69는 스톱커버 48의 보스 50내로 활강하면서 용기 20에서 제거된다. 이순간, 핀 80은 캠슬릿 79에 의하여 안내되는 반대 방향에서 보스 50의 축둘레를 각 α만큼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보스 50의 축둘레를 회전하는 동안 척 30에 의하여 지지되는 덮개 25는 용기 20의 칼라 24에서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톱커버 48의 보스 50의 축둘레를 회전하는 동안 덮개 25는 용기 20이 입구부 23에 삽입되고 제거된다.
이는 입구부 23에 덮개 25가 유연하게 삽입 및 분리되도록 하고 따라서, 덮개 25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용기 호울더 21을 밀거나 당기는데 필요한 힘이 감소된다.
용기 호울더 21을 밀거나 당기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다른 개선된 메커니즘을 제19a-19d도와 관련하여 기재한다. 제19a도 및 19b도는 토너용기 20의 입구부 23에 덮개 25를 쉽게 접착 및 탈착되게 하는 덮개 25의 특정한 형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25는 칼라 24의 내부 표면과 접하는 환상벽부 81, 바닥벽부 82, 및 두 벽부 81과 82를 연결하는 경사진 벽부(연결부) 83을 갖는다. 벽부 83은 예정된 각, 바람직하게는 45°미만으로 경사져 있다. 바닥벽부 82는 환상벽부 81의 외부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벽 83은 바닥벽 82의 두께 T보다 작은, 예를들어 두께 T의 절반(t 1/2·T)인 두께 t를 갖는다. 그 결과, 코렛 척 30이 입구부 23으로 덮개를 삽입할때, 두께 t와 T가 같은 경우에 비하여 덮개 25의 원형벽을 칼라 24로 삽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 f1과 f1'(제19c도)가 감소된다. 또한, 척 30이 입구부 23에서 덮개 25를 분리시킬때, 덮개 25의 원형벽에 대한 칼라 24에 의한 힘 f2과 f2'도 감소한다. 이는 변형에 의해서 덮개 25가 입구부 23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결함을 방지한다.
만약 필요하면, 토너와 접하는 덮개 25의 바닥벽부 82의 표면은 파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가 저장도중 응결된다 하더라도, 덮개 25가 제거될때 쉽게 유출된다. 상기 파형은 상기한 바닥벽부 82의 표면에 형성된 파형의 리브(wavy ribs)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9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벽부 81의 외면에 톱날(Saw-toothed)부 84가 제공될 수 있다. 덮개 25가 입구부 23로 삽입될때, 톱날부 84는 용기 20의 칼라 24의 내부표면에 침적된 토너를 긁어서 용기 20으로 밀어낸다. 그 결과, 덮개 25를 칼라 24에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덮개 25를 입구부 23에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이 칼라 24의 내부표면에 침적된 토너에 기인하여 1.5배 증가하는 것을 제거한다. 예를들면, 척 30과 덮개 25의 결합을 입구부 23의 직경이 39.90mm인 경우, 토너가 침적되지 않았을때 덮개 25를 당기기 위한 힘을 최대 950g까지, 토너가 침적된 경우라도 최대 1570g까지 감소시키도록 선택된다. 또한, 이와같은 결합은 덮개 25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을 토너가 침적되지 않았을 경우1370g으로, 그리고 토너가 침적된 경우에는 1770g으로 감소시킨다.
제20a-24c도에 관하여, 토너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입구부 23에 인접하는 용기 20의 일부에 대한 특정한 구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면에서, 용기 리브 57은 미도시된 링으로부터 회전력을 받는다(제34a 및 34b도).
간단히, 도면에 나타낸 용기 20은 입구부 23은 측면으로 위치하면서, 용기 호울더 21에 실질적으로 수평한 위치로 놓었을때, 용기 20의 실린더형 몸체의 낮은 부분에 위치하는 토너가 용기 20의 회전에 의하여 입구부 23으로 올려진 후, 입구부 23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토너가 용기 20의 원통형 몸체보다 직경이 작은 입구부 23을 경유하여 용기 20 밖으로 배출된다. 특히, 입구부 23이 제공된 용기 20의 끝또는 숄더는 입구부 23의 가장자리로 부분적으로 돌출된 내부표면을 가지며, 음영(hatching)으로 나타낸 부분(portion) 85를 형성한다. 돌기부 85는 하기에 상세히 기재한 바와 같이, 용기 20이 회전될때 토너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제2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의 단부과 원형벽은 실질적으로 두께가 같으므로, 용기 20의 내부 구성은 또한 외부표면에 직접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도면(예를들면, 제20e도)에서, 용기 20의 내부 표면에 부여된 참조번호는 외부표면의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데 또한 사용된다.
나아가, 용기 20은 제21b도에서 86으로 나타낸 음영부분과 다른 방향의 음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방향으로 돌기부 85와 접하는 다른 돌기부 86을 갖는다. 특히 제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방향으로 돌기부 85와 접하는 원통형 벽의 내부표면부는 입구부 23의 가장자리에 걸쳐있는 용기 20의 축 또는 회전중심선 L로 돌출되어 있다. 제20g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과 덮개를 제거하고 용기 20을 축방향, 즉 중심선 L을 따라 외부에서 보았을때, 돌기부 86은 입구부 23내에서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돌기부 85와 86은 입구부 23으로부터 그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축 L쪽으로 보다 더 돌출되는 경사면 형태가 제공된다. 또한, 제21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 85와 86에 곡면 중심 C1이 축 L에 근접하는 곡선(a curve)으로 L축을 포함하는 단면(section)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이는 요면이 제공된다. 제21d도는 제23c도의 A4-A2선부에 따른 단면도며 돌기부 85를 나타낸다. 제21c도는 제21a도의 단면확대도이며 제23c의 A1-A3선부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21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돌기부 86은 곡면 중심 C2이 축 L에서 떨어진 곡선으로서, 축 L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보이는 볼록면이 제공된 단부를 갖는다. 곡면 중심 C2를 갖는 커브는 토너를 부드럽게 칼라 24 밖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더욱이, 돌기부 85가 나선형 가이드 요홈 27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넓이를 갖는 가이드 요홈 27을 따라서 입구부 23 근처로 안내된 토너는 입구부 23의 가장자리로 연속적으로 상승된 후 돌기부 86으로 안내된다.
제24a도는 용기 20의 가이드 요홈 27을 형성하는 벽 a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벽 a는 화살표 A로 나타낸 안내방향(즉, 입구부 23)으로 토너를 안내하기 위한 b부(제2 경사벽)를 포함한다.
상기 b부는 용기 20의 평탄한 내부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 θ1, 예를들면 80-90°로 용기 20의 축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토너가 거쳐서 운반되는 벽 a의 다른 부 c(제1경사벽)는 용기 20의 축에 작은 각 θ2, 예를들면 30미만, 바람직하게는 10-30°로 그리고 안내방향 A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벽 a는 용기 20이 회전하는 동안 내부표면에서 토너가 쉽게 떨어지도록 하여, 용기 20에 남아있는 토너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제22a-22d 및 23a-23d도를 참고로 하여 돌기부 85 및 86이 토너를 안내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한다. 제22c 및 23c는 각각 제22a 및 23a에 정면도로 나타낸 용기 20의 우측면도이다.
제22d 및 23d는 각각 제22b 및 23b에 정면도로 나타낸 용기 20의 우측면도이다. 제22b 및 23b도는 제22a 및 23a에 나타낸 위치에서 90°회전시킨 위치에서의 용기 20을 나타낸다. 화살표 K는 토너공급유니트 17에 의하여 용기 20이 회전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2a 및 22c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숄더의 최대직경부는 수직방향으로 바닥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이드 요홈 27은 토너를 용기 20의 헤드부의 최대직경부 바닥으로 안내한다. 제22b 및 22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이 K 방향으로 90°회전하였을때 숄더의 최대직경부와 돌기부 85간의 경계는 수직방향으로 바닥에 위치하며; 토너는 가이드 요홈 27에서 돌기부 85로 부분적으로 탑재된다. 제23a 및 2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이 제23a 및 23c도의 상태에서 K 방향으로 90°이상 회전되는 동안, 돌기부 85는 수푼(Spoon)처럼 토너를 입구부 23의 가장자리로 들어올린다. 용기 20이 제23b 및 23d도 상태에서 둘레를 K 방향으로 90°이상 회전될때, 토너는 부분적으로 돌기부 85에서 경사진 돌기부 86으로 운반된다. 그 결과, 토너는 돌기부 86에 의하여 L방향으로 용기 20의 외부로 안내된 후 입구부 23을 경유하여 배출된다.
제23c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 85 자체가 수푼(Spoon) 같은 오목한 형태로 제공된다. 용기 20이 입구부 23과 인접하는 형태를 갖을때 토너 분말은 입구부 23에서 과량으로 떨어지는 것과 호퍼 16에서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토너 분말이 용기 20에서 느슨한 상태로 조금씩 배출된다. 게다가 조금의 토너도 용기에 남아있지 않는다.
더욱이, 용기 20이 회전하는 동안, 소위 소량의 토너만이 입구부 23으로 퍼올려진다. 그 결과, 항상 일정한 양의 토너가 입구부 23에서 배출된다.
제2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쌍의 돌기부 85와 86은 용기 20 숄더의 내부표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토너는 용기 20의 회전양이 같을때 한쌍의 돌기부 85와 86로서 사용가능한 양의 2배가 방출될 것이다.
나아가, 제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의 외부표면은 추가적으로 다른 부분의 직경 ψ0(100mm 이상) 보다 작은 직경 ψ1을 갖는 그립부(grip gortion) L1의 외부직경 ψ1은 80-100mm인 것이 유익하며; 길이는 80-100mm인 것이 유익하다. 제24c도에서 가이드 요홈 27을 형성하는 벽 a는 제24a도에 나타낸 형태와 같은 내부표면 형태를 갖는다. 제24c도에서, 화살표 a는 용기 20의 회전에 기인하여 용기 20의 내부표면에 의하여 토너가 위쪽으로 운반됨을 나타내는 것이고, 화살표 b는 이에 따라 토너가 떨어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5도는 토너가 공급되는 동안 용기 20의 회전속도(분당 회전수)와, 배출되지 않고 용기 20내에 잔류하는 토너 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20내에 잔류하는 토너의 양은 회전 속도에 따른다. 예를들면, 용기 20내에 잔류하는 허용가능한 토너의 양이 최대 50g라고 가정하면, 용기 20이 1분동안 30-40번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잔류 토너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기 20의 적절한 회전속도는 예를들면, 입구부 23의 직경과 돌기부 85와 86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실제로 적절한 회전속도는 예비실험에 의하여 결정되며, 용기 20은 이 속도로 회전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공급유니트 17은 코렛 척의 끝이 압착될때 척 30이 덮개 25의 러그 26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2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30은 그 팁이 덮개 25의 환상벽의 내부표면에 접하도록 하여 열려진 덮개 25가 유지되도록 한다. 제26b도는 압착된 척 30의 팁이 덮개 25를 해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26a 및 26b에 나타낸 척 30에서, 슬릿(Slit)은 전면 또는 팁부 보다 넓은 후면부 87을 갖는다. 핀 88은 예정된 위치, 예를들면 스톱커버 48에 고정되어 있다. 척 30은 핀 88이 슬릿의 보다 좁은 팁부, 즉 열려진 슬릿의 팁부로 삽입되도록 핀 88에 대하여 움직인다. 핀 88이 슬릿의 후면부 87로 삽입되도록 척 30을 이동시킬때, 척 30의 팁은 덮개 25와 접하지 않는다. 제26a 및 26b도는 각각 용기 호울더 21의 B위치와의 결합위치와 A위치와의 결합위치를 나타낸다.
제 27-30도에 따라서, 토너공급유니트 17의 변형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같거나 유사한 부품 또는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부품을 동일번호로 나타냈다.
변형예에서, 토너 공급유니트 17은 제1b도의 회전중심 Z 둘레를 위치 A와 B사이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실질적으로 또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중심 Z둘레를 용기 호울더 21이 회전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메커니즘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토너공급유니트 17은 용기호울더 21에 용기 20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로킹메커니즘, 용기 20이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 37, 모터 37의 회전을 용기 2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링크 38, 용기 20에 덮개 25가 보유되도록 하기 위한 코렛척 30, 상기 척 30에 활강가능하게 탑재된 코어 39, 및 척 30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기구를 갖는다.
상기한 실시예와 다른 변형에는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서, 척 30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기구는 용기호울더 21의 회전중심 Z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변형예에서, 캠기구는 용기 호울더 21의 수직방향으로 회전 중심 Z에서 비교적 떨어진 자리에 위치한다.
특히, 제27 및 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캠기구 93은 호울더 21이 B위치에 놓여있을대 회전중심 Z에서 떨어진 용기호울더 21의 단부(이하 이동가능한 단부라 한다)와 마주할 수 있는 복사기 정면벽 96에 고정된다. 더욱이, 캠기구 93은 용기호울더 21의 이동가능한 단부에 탑재된 로울러 95를 가지며, 플랜지가 공급된다. 특히, 로울러 95는 브래킷 89에 차례로 고정된 플레이트 94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다. 브래킷 89는 용기 20의 후단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용기 호울더 21 또는 용기 20의 후미(입구부 23이 위치하는 끝의 반대) 근처의 이동가능한 브래킷 41에 고정된다. 브래킷 89과 암부재(arm member) 99는 용기호울더 21의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축 100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 나사 98에 의하여 척 30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캠 부재 97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쌍의 안내부재(fence member)로 구성된다. 안내부재 97a와 97b는 측면에서 로울러 95를 안내하고 로울러 95 아래에서 로울러 95의 플랜지를 지지한다. 안내부재 97a와 97b는 정면벽 96까지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회전중심 Z로 부터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제2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재 97a의 전단부는 용기호울더 21이 A위치에서 B위치로 완전히 이동하기 전에 부드럽게 접촉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부로 기울어져 있다.
브래킷 89는 그 수직벽에 보스 89a를 갖는다. 로드(rod) 90은 브래킷 89의 보스 89a로 둘러싸여진 구멍(hole)에 활강하면서 삽입된다. 받침대(abutment) 91은 로드 90에 부착되며, 용기 20의 후단부에 접한다. 스트립은 브래킷 89의 수직벽과 받침대 91 사이에 놓여 계속하여 이들이 서로 떨어져서 경사지도록 한다.
작동시, 용기 호울더 21이 B위치에 놓였을때, 플랜지와 로울러 95는 제27 및 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부재 97에 의하여 용기호울더 21의 바닥끝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여진다. 축 100에 의하여 로울러 95에 연결되어 있는 코렛척 30 또한 용기 호울더 21의 바닥끝의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척 30은 덮개 25를 용기 20의 입구부 23의 떨어진 지점에 지지하여, 토너가 입구부 23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용기 20은 받침대 91와 스프링 92에 대하여 후단부가 지지되어 용기 호울더 21의 바닥끝으로 향하게 된다.
입구부 23을 갖는 용기 20의 끝은 스톱커버 48의 끝에 접한다. 따라서, 용기 20은 용기호울더 2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점에서, 받침대 91 뿐만 아니라 이에 결합된 부재는 용기 20을 용기 호울더 21에 위치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용기호울더 21이 B지점에서 A지점으로 이동될때, 로울러 95는 용기호울더 21의 고정되지 않은 끝쪽으로 캠부재 97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와동시에, 척 30은 용기 20의 입구부 23쪽으로 이동된다. 로울러 95가 캠부재 97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안내되는 동안, 브래킷 89와 스톱커버 48 사이의 거리가 용기 20의 길이와 힘이 가하여지지 않는 스프링 92의 길이의 합보다 짧으며 받침대 91이 용기 20을 위치 시킬때, 척 30에 의하여 지지되는 덮개 25는 입구부 23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만약에 필요하면 용기호울더 21이 B지점에서 A지점으로 이동될때 덮개 25를 삽입하기 위한 충분한 힘이 발생되도록 미도시된 캠부재가 로드 90의 후단부에 제공될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 89에 비하여 로드 90이 계속하여 척 30쪽으로 압력이 가하여지고 용기 20의 후단부가 로드 90의 받침대 91에 접하게 된다.
용기 호울더 21이 더욱더 A지점으로 향함에 따라, 로울러 95는 캠부재 97에서 분리된다. 제30도는 용기호울더 21이 A지점에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용기 20의 입구부 23은 덮개 25로 완전히 밀봉되어 있고, 척 30의 처킹부는 덮개 25의 러그 26이 분리되는데 충분한 넓이로 열려있고, 받침대 91은 용기 20의 후단부에서 분리되어 있다.
로울러 95가 캠부재 97에서 분리된 후, 척 30이 우발적으로 용기 호울더 21의 바닥 단부측으로 삽입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척 30의 보다 큰 직경부 63(제 31a도)는 덮개 25의 러그 26을 고정하는 스톱커버 48로 다혀진 코어 39와 결합되고 압착된다. 이점을 고려하여, 제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캠부재 101이 회전중심 Z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특정한 캠 표면이 제공된다. 특히, 로울러 95와 캠부재 97이 서로 분리되는 동안, 캠부재 101의 캠표면은 척 30이 용기호울더 21의 바닥단부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척 30의 후단부를 제한한다. 만약 필요하면, 캡부재 101은 척 30과 그의 처킹부 33을 열기 위한 코어 39의 적합한 지점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용기호울더 21이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했을때, 로울러 95가 캠부재 97과 접하게 된다. 연속하여, 브래킷 89과 척 30은 각각 용기호울더 21의 바닥 단부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용기 20은 용기호울더 21에 위치되고 덮개 25는 용기 20에서 제거된다. 그 결과의 상태는 제27 및 28도에 나타냈다.
상기 설명한 토너공급유니트 17과 토너공급유니트 17의 다른 차이는 하기와 같다. 상술한 토너공급유니트 17은 부분 33을 압착하려는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척 30의 처킹부 33을 충분히 열려있도록 유지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토너공급유니트 17은 처킹부 33을 열려는 외부힘이 부분 33으로 가해지도록 사용된다.
특히, 제3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30은 부분 30a와 접하는 슬릿부 30b의 뒤쪽에 위치하는 슬릿부 30a를 가지며, 상기 30b는 부분 30a보다 넓은 넓이를 갖는다. 척 30은 코어 39에 형성된 구멍(bore)에 활강가능한 것이다. 제3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39의 내부표면에는 척 30의 각각의(이 경우 3개) 스릿에 삽입되는 돌출부 102이 형성된다. 나아가, 척 30은 큰 직경부 63보다 직경이 큰 103부와 상기 부분 103 및 부분 63 사이에서 거의 수직인 받침대 또는 숄더 104를 갖는다.
제31a도에 나타낸 코어 39는 돌출부 102를 제외하고는 제14a도의 코어 3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제31a도에서, 참고번호 105는 서로 접하는 각 밀봉부재의 반대측 단부를 나타낸다.
제32a 및 32b도는 상기 척 32, 코어 39와 처킹부 33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제32a도는 예를 들면 용기호울더 21의 A지점에 위치할때, 코어 39가 스톱커버 48(미도시)에 접하여 닫힘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코어 39의 돌출부 102는 각각의 좁은 슬릿부 30a에 위치하여, 이들을 고정시켜 처킹부 33이 확실히 열리도록 한다. 한편, 제32b도는 예를들면, 용기호울더 21이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였을때, 로울러 95와 캠부재 97가 접하여 코렛척 33이 일정한 거리로 후퇴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코어 39의 보스는 척 30의 숄더부 104에 의해서 막인 스프링 51에 의하여 편향지지되어 처킹부 33을 압착한다.
또한, 상기 토너공급유니트 17은 입구부 23을 갖는 용기 20의 단부에 용기 리브(돌기부) 57을 형상하고 기어링크 38 단부에 링크리브 58을 형성하여 기어링크 38의 회전을 용기 20에 전달한다. 한편, 제3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된 토너공급유니트 17은 용기 20의 용기리브 57위치에 요홈(recess) 106을 제공하여 링크리브 58이 홈 106과 결합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34a-34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 실시예의 메커니즘과 유사한 전달메커니즘(transmission mechanism)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34d도는 제34c도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기어링크 38의 내부표면 구조를 나타낸다.
제34a 및 3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리브(돌기부)57이 용기 20의 외부표면에 형성되고, 용기 20은 수지(resin)를 사용하여 주조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35a-34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리브 57이 주형(mold) 부품 사이의 분리선부(a parting line portion)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리브 57이 기타 다른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기 20이 리브 57이 위치하는 지점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벽을 갖도록 한다. 만약 이들이 동공 주형부의 분리부품에 제공된다면, 어떠한 필요한 수의 리브 57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35a-3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로 나누어진 주형 부품을 갖는 두개의 분리선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 20에 형성된 제33도의 홈 106은 기어링크 38의 회전을 용기 20에 전달하기 위한 특정한 기구이다. 다르게는, 실시예로서 제36a 및 36b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기 20의 숄더부에, 링크리브 58 또는 이와 유사한 기어링크 38에 결합하도록 내부표면돌기부 85에 상응하는 외부표면 부재가 사용된다.
제3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링크 38은 내부돌기부 85에 상응하는 용기 20의 외부표면(결합부)85a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200을 갖는다. 용기 20의 헤드부가 기어링크 38에 삽입되었을때, 결합부 200은 용기 20의 부분 85a외 결합한다. 제36b도는 서로 결합한 용기 20의 부분 85a와 기어링크 38의 부분 200을 나타낸다. 제36b도에서, 참조번호 200a는 부분85a와 직접 접한 부분 200의 표면을 나타낸다. 부분 85a와 200가 회전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을 맞물려 결합될때, 용기 20은 기어링크 38과 함께 그 축 둘레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동전달은 용기 20상에 용기리브 57 또는 유사한 돌기부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용기 20의 생산가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기어링크 38의 결합부 200이 용기 20의 부분 85a에 접하므로 구동전달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20 단부에 두개의 접촉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 201은 상기한 부분 85a에서 용기 20의 회전방향으로 180°간격으로 떨어진 일정지점에서 형성된다. 기어링크 38에는 용기 20의 표면 85a와 201과 각각 결합하는 두개의 결합부 200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부가적인 접촉면 201에 상응하는 용기 20의 내부표면 또한 토너를 상승시키기 위한 돌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38 및 39a-39c도는 용기 20의 다른 특정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20을 용기 20의 회전방향에서 180°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용기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두개의 돌기부 85(외부표면부 85a가 서로 상응하는 것으로 도시됨)를 갖는다. 도면에서, 이전의 특정구성의 부분과 일치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번호로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 용기 20이 일 회전하는 동안, 토너는 돌기부 85를 따라서 입구부 23으로 두번 안내된다. 따라서, 단지 적은 양의 토너가 용기 20에 잔류할때, 이는 입구부 23에서 보다 확실히 배출된다. 더욱이, 용기 20과 기어링크 38이 간격을 둔 두 지점에서 서로 결합하므로, 링크 38에서 용기 20으로의 구동전달이 더욱 촉진된다.
일반적으로, 토너의 특성 예를들면, 대전성(chargeability) 및 색은 인화유니트에 따른다.
따라서, 기대한 토너특성과 다른 토너를 포함하는 용기 20가 토너공급유니트 17에 장착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38 및 39a-39c에 나타낸 용기 20에는 칼라 24의 원형 가장자리에서 숄더 205로 연장된 지점에서 러그(돌기부)204가 제공된다.
러그 204는 용기 20에 함유된 토너의 특성에 따라서 그 크기와 위치가 정해진다. 기어링크 38의 단부벽은 그 내부표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용기 20이 링크 38로 삽입될때, 기대한 토너를 함유하는 용기 20의 러그 204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예기치 않은(Unexpected) 토너를 함유하는 용기가 토너공급유니트 17에 놓일때, 이는 크기나 위치에서 러그 204가 링크 38의 홈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기어링크 38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다. 만약 필요하면, 용기 20과 기어링크 38 각각에는 홈과 러그가 제공될 수 있다.
용기 20에 기어링크 38과 결합할 수 있는 세(three) 또는 그 이상의 결합부, 또는 링크 38의 회전을 용기 20에 보다 확실히 전달하거나 또는 용기 20에 잔류하는 적은 양의 토너 배출을 보다 촉진하기 위한 셋 또는 그 이상의 돌기부 85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결합부 또는 돌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용기 20의 회전방향으로 동일한 간격 지점에 위치한다. 특히, 제 40a-40c도는 돌기부(이에 상응하는 외부표면 85a로 도시됨)(제1돌출부)와, 90°의 환상간격으로 서로 엇갈린 결합부(제2돌출부) 203을 갖는 용기 20을 나타낸다. 이들 구성에서, 상기 특정용기 구조의 부분과 동일 부분은 같은 참조번호로 나타낸다.
기어링크 38에는 용기의 선단부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20보다 많은 수의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41도의 용기 20은 제3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약 180°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룬 두개의 돌기 85; 와 각각 결합면으로사용되는 돌기 85의 외부표면 85a를 갖는다.
기어링크 38의 단부벽에는 내부표면에 4개의 호형 림(rims) 202이 형성된다. 상기 림 202는 황단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어링크 38의 축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링크 38의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된다. 제4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 202는 기어링크 38의 용기입구와 마주하는 상부 모서리 202b에서 각도 α만큼 기울어져 있다. 용기 20이 기어링크 38로 삽입되었을때, 칼라 24의 원형가장자리와 숄더 205 사이의용기 20 부분이 림 202의 상부 모서리 202b와 접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이와같은 용기 20의 부분은 그 축둘레를 회전하면서 기울기 α를 따라 림 202로 활강한다. 그 결과, 용기 20이 기어링크 38에 부드럽게 삽입된다.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30°미만이어야 한다. 각 림 202는 기어링크 38의 축과 마주하는표면 202a를 갖는다. 이와 같은 림 202의 표면 202a는 용기의 외부표면 85a 접하여 기어링크 38의 회전을 용기 20에 전달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하기에 열거된 많은 예기치 못한 이점을 갖는다.
(1) 현상기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holding means)은 형상제 용기를 교체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수평면으로 회전가능하다.
이는, 특히 지지수단이 수평, 수직으로 모두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는 통상적인 시스템에서, 지지수단 및 인화제 용기의 길이가 각각 화상형성장치 높이보다 짧아야 하는 조건을 해소시킨다. 따라서, 충분히 길이를 갖는 현상제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2) 덮개는 현상제 용기내에 포함되어 있는 입구부에 자동적으로 탈착된다.
따라서, 단지 현상제 용기를 지지수단에 탑재하기만 하면, 현상제는 계속공급될 수 있다. 이는 현상제 용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현상제 용기의 입구부에서 현상제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예를들어 입구부의 내부표면에 침적되어 있는 현상제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3) 지지수단이 현상제 용기를 탑재하기 위한 지점에 놓여있는 동안, 덮개가 입구부를 밀봉시킨 상태로 용기가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입구부의 내부 표면에 침적되어 있는 현상제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4) 현상제는 입구부를 거쳐 현상제 용기에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더욱이, 용기 내부 표면에 사용되지 않는 채 남아있게 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된다.
(5)현상제 용기의 구동전달이 확실해진다.
(6) 현상제 용기 교체시, 지지수단은 최소의 힘으로서 상기 적재 위치와 토너 재충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모터, 솔레노이드 또는 이와 유사한 작동기가 지지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될때, 소형작동기가 사용 가능하다.
(7) 현상제 용기가 완전하게 잠겨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될 수 있음으로서, 지지수단으로부터 확실히 분리될 수 있다.
(8) 입구부의 직경이 숄더 내부표면의 최대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통상적인 용기에 비하여, 현상제 용기의 입구부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크기가 작은 입구부는 그 내부표면에 최소량이 현상제가 침적되게 하고 가능한한 우발적으로 현상제가 날리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가 운반될때, 예를들면 용기의 입구부를 막는 덮개는 입구부만큼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덮개는 적은 힘으로 탈착될 수 있고 수동탈착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는 또한 현상제 재충전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는 자동적으로 탈착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에도 적용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기구의 크기도 감소된다.
(9) 현상제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고 입구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숄더는 입구부 가장자리로 부분적을 돌출된 내부표면을 갖는다. 용기 회전시, 돌기된 부위의 내부표면은 숄더 주위의 현상제를 입구부로 상승시키고, 입구부를 거쳐 토너가 낙하되도록 한다. 그결과, 용기내에 장입되어 있는 모든 현상제가 현상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입구부를 경유하는 현상제 배출 속도는 예를들면, 돌출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됨으로서 현상제는 입구부를 거쳐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다.
(10) 현상제 용기를 교체하고자 하는 사람이 우연히 현상제 용기의 덮개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지 않다면, 용기에서 현상제가 떨어져 주위를 더럽힐 것이다.
Claims (79)
- 현상제가 입구부(23)에서 현상제 재충전 기구로 배출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21)과, 상기 지지수단(2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축(L)둘레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갖는 현상제 재충전 기구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에 있어서, 일측단부에 입구부(23)를 갖추고, 상기 입구부(23)의 직경이 상기 일측단부에 인접한 원형벽을 형성하는 숄더부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는 중공형 실린더형 주몸체부; 와 상기 숄더부의 일부에 제공되어 상기 주 몸체부가 회전될때 주몸체부의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입구부(23)로 안내시키는 안내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숄더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서 상기 입구부(23) 가장자리로 돌출한 최소하나의 제1돌기부(85); 및, 상기 숄더부의 일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85)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23) 가장자리에 걸쳐서 형성되며, 회전중심을 이루는 축(L)을 향하여 돌출한 최소 하나의 제2돌기부(8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85, 86)는 각각 상기 입구부(23)로부터 거리가 증가할수록 축(L)방향으로 각각 보다 높아지는 제1 및 제2경사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부는 상기 축(L)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서 최소한 그 일부가 곡면중심(center of curvature)(C1)이 상기 축(L)에 가까운 곡선으로 보이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부는 상기 평면을 따른 단면에서, 곡면중심(C2)이 상기 축(L)에서 멀리 위치한 곡선으로 보이는 돌출 단부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숄더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서 입구부(23)가장자리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방향으로 서로 180°간격으로 떨어진 2지점에서 상기 숄더부에 형성되는 2개의 제1돌기부(85);와 상기 숄더부 부품으로 상기 2개의 제 1돌출부(85)와 각각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23)가장자리에 걸쳐서 축(L)을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회전방향으로 서로 180°간격으로 떨어진 2지점에서 상기 숄더부에 형성되는 2개의 제2돌기부(86);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L)은 상기 입구부(23)의 축과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23)는 원형단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5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나선형 가이드 요홈(guide groove)(27)이 상기 현상제를 상기 제1 및 제2경사면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벽 내부표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홈(27)은, 상기 현상제가 건네지는 제 1 경사벽(C); 및 상기 현상제를 상기 제1경사벽에서 상기 제1 및 제2경사면부로 운반하기 위한 제2경사벽(b);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에는 상기 숄더부보다 직경이 작은 그립부(grip portion)(L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부(drive portion)에 결합할 수 있는 피동부(driven portion)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포함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돌기부(projection)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주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포함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요홈(recess)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포함되어 있는 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상기 제1돌기부(85)의 외부표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고,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돌기부(85)의 외부표면에서 180°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숄더부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를 입구부(23)로 안내하는 접촉면을 추가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holding means)에 포함되어 있는 로킹부재(52)에 의하여 상기 지지수단에 위치되는 위치설정부(positioning portion)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주몸체부의 원형벽 외부표면의 예정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재(locking member)(52)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5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4)는 돌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4)는 오목하게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벽의 외부표면에서 상기 위치설정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48)의 로킹부재(52)를 상기 원형벽의 외부표면에 부딪히도록 하는 돌출부(projection)(7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23)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환상칼라(24)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24)의 원형벽의 외부펴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2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23)를 닫기 위한 덮개(25)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는 상기 입구부(23)를 밀봉하기 위한 바닥벽부와, 상기 입구부(23)에 장착되는 원형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는 실질적으로 상기 바닥벽부의 중심에서 돌출하여 상기 덮개(25)가 탈착될 때 고정되는 러그(2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는 사용자가 상기 러그(26)를 집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 벽의 내부표면과 상기 러그(26)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방지수단(preventing means)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러그(26)를 둘러싸는 환상장애물(an annular obstruction)(26a)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러그(26)주위에 고정된 다수의 신장된 핀-형 장애물(26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러그(26)를 은폐하기 위한 은폐부재(concealing member)(1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부재(150)는 상기 러그(26)주변을 은폐하기 위한 박판 부재(151)와 상기 박판 부재(151)의 외부표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환상부(15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151)는 그 중심에서 상기 러그(26)직경보다 조금 큰 구멍(151a)과, 상기 구멍(151a)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슬릿(slits)(15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덥개(25)는 상기 바닥벽부(82)와 상기 환상벽부(81)를 연결하고 상기 덮개(25)가 제거될 방향으로 경사진 연결부(8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3)는 상기 바닥벽부(82)보다 얇음을 특징으로 하는현상제 용기.
-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는 나아가 톱날 부(84)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23)에 장착되도록 상기 환상벽부(81) 표면에 형성된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 토너재충전기구에 탑재되었을 때, 내부의 토너를 상기 토너 재충전기구로 배출시키는데 적합한 입구부가 삽입되는 용기 호울더와, 회전용 구동유니트가 갖춰진 토너재충전 기구에 사용되는 토너용기에 있어서, 일측단부에 인접하여 제1직경부를 갖는 중공형구조를 포함하는 주몸체부;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입구부(23)를형성하며, 상기 제1직경부보다 적은 제2직경부를 갖는 배출구; 및,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단부에서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보다 크지 않은 방사상 지점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원주 및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경사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입구부(23)로 유입되어야 하는 측정된 토너의 양을 넘어서는 측정경계(a meterin edge)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방사상 지점으로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원주방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토너지지 스푼부(spoon portion)를 이루기 위하여 오목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토너재충전 기구에 탑재될 때, 내부의 토너를 상기 토너 재충전기구로 배출하도록 된 입구부가 장착된 용기 호울더(21)와,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를 갖는 토너재충전기구에 사용되는 토너용기에 있어서, 대략적으로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주몸체부; 및, 상기 주몸체부의 방사상 연장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호울더(21)와 상호 작용하여 용기호울더(21)의 회전을 전달시키는 회전력 전달 돌기부(57)혹은 요홈(106);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토너재충전 기구에 탑재되었을 때, 내부의 토너를 상기 토너 재충전기구로 배출하기 위한 입구부와, 회전용 구동유니트를 갖는 토너재충전기구에 사용되는 토너용기에 있어서, 일측단부에 근접하여 제1직경부를 갖는 대략적으로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주몸체부;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단부에서 입구부(23)를 형성하며 상기 제1직경부 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제2직경부를 갖는 배출구; 및,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단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1직경부와 상기 제2직경부보다 크지 않은 방사상 지점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구동유니트에 의해서 주몸체부가 회전되는 경우 내부의 제어가능한 토너량이 상기 제1직경부에서 상기 제2직경부로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상승되고, 상기 배출구에 제어가능한 토너량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원주 및 방사상 연장 경사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토너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부에 인접한 상기 주몸체부의 방사상 연장표면상에 위치한 회전방지 돌기부(204)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를 상기 입구부(23)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주몸체부에 형성된 나선형 부재(27)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부재(27)는 상기 경사면 구조의 모서리(edge)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용기.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구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기구에 있어서, 현상제를 수용하며 입구부(23)를 갖는 현상제 용기(20); 및 상기 입구부(23)가 상기 현상제 재충전부(section)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면서 상기 현상제 용기(20)를 지지하도록 현상제 재충전부에 연결되는 지지수단(21);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21)은 수평평면내에서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에 의하여 지지되고, 덮개(25)로 닫힌 입구부(23)를 갖는 상기현상제 용기(20)로부터 덮개(25)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입구부(23)에 상기 덮개(25)를 부착시킴으로서 상기 입구부(23)가 밀봉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 기구.
-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은 상기 현상제 용기(20)가 상기 지지수단(21)에 쉽게 탑재될 수 있는 제1지점(A)과, 상기 지지수단(21)이 상기 현상제 재충전부(section)에 연결될 수 있는 제2지점(B)사이에서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49항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 지지수단(21)이 상기 제1지점(A)에 위치할 때, 상기 덮개(25)가 입구부(23)에 완전히 결합되고, 최소한 상기 지지수단(21)이 상기 제2지점(B)에 위치할 때, 상기 덮개(25)가 상기 입구부(23)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상기 분리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 및 상기 부착수단은 각각, 덮개(25)를 지지하기 위한 작동지점 또는 상기 덮개(25)를 분리하기 위한 비작동지점을 선별적으로 취하는 보유수단; 및, 상기 보유수단 및 상기 현상제 용기(20)중의 최소하나를 나머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전후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이동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20)를 상기 보유수단 또는 상기 현상제 용기(2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49)측으로 현상제 용기(20)를 밀어주기 위한 밀음(urging)수단; 및 상기 현상제 용기(20)가 상기 개구(49)와 접히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 을 추가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기 현상제 용기(20)가 그 길이 방향축 둘레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37)와, 상기 모터(37)의 회전을 상기 현상제 용기(2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축둘레를 회전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중공실린더현 주몸체부의 상기 입구부(23)와 인접한 일측단부의 숄더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맞물릴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 환상기어링크(3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링크(38)의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가 제공된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일측 단부상에 현성된 용기 리브(rib)(57)와 결합할 수 있는 링크리브(5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링크(38)의 결합부는 상기 숄더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몸체부의 숄더부에서 상기 입구부(23) 가장자리로 돌출된 최소 하나의 돌출부(85)의 외부표면(85a)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링크(38)의 결합부는 상기 숄더부에서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돌출부(85) 외부표면(85a)에서 180°간격으로 떨어진 지점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를 상기 입구부(23)로 안내하는 접촉면(201)과 결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링크(38)의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회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180°간격으로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숄더부에 제공된 두 개의 돌출부(85)의 외부표면(85a)과 결합할 수 있는 두 개의 결합부(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가 입구부(23)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경우, 상기 보유수단을 현상제 용기(23)의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지지수단(21)의 사전에 결정된 부분이 상기 제1지점(A) 및 제2지점(B)사이에서 서로 대하여 이동될 때, 상기 이동수단을 움직이도록 하는 캠기구(40)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이 상기 입구부(23)에 대하여 상기 덮개(25)를 밀어주도록 상기 제1지점(A)에서 상기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1항에 있어서, 상지 지지수단(21)은 일측단부에 결합하는 축(Z)둘레를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캠기구(40)는 상기 축(Z)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덮개(25)에서 돌출한 러그(26)를 고정하여 상기 덮개(25)를 지지하기 위한 코렛척(30); 상기 코렛척(30) 및 상기 현상제용기(20)중의 최소하나를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전후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이동수단; 및 상기 코렛척(30)과 상기 현상제용기(20)가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지면 상기 코렛척(30)의 처킹부(33)가 개방되어 상기 러그(26)가 유입되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서 거리가 증가되면 상기 처킹부(33)를 압착하여 덮개(25)의 러그(26)를 고정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코렛척(30) 외면의 큰 지경부(63); 상기 큰 직경부(63)에 관하여 상기 처킹부(33)에 대향하여 상기 코렛척(30)의 적은 직경부(64)를 활강하면서 결합하는 코어(39);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입구부(23)측으로 상기 코어(39)를 계속하여 편향지지하기 위한 편향지지수단(biasing mea ns)(51); 상기 코렛척(30)의 처킹부(33)를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39)에 위치한 결합부;및 상기 편향지지수단(51)의 힘에 대하여 상기 코어 39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지지 수단의 힘에 대향하여 상기 제한수단으로서 입구부(23)가장자리 지점이 작용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수단(2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현상제 용기(20)를 위치시키는 위치설정수단; 및 상기 현상제 용기(20)가 상기 지지수단(21)에서 제거되었을 때, 상기 위치설정수단에 의하여 위치되는 현상제 용기(20)의 입구부(23)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코어(39)의 이동을 제한시킴으로서 제한수단으로 작용하는 제한부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원형벽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수단은 상기현상제 용기(20) 결합부와 결합시키는 작동위치와, 상기 작동위치보다 상기 원형벽에서 멀리 떨어진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코렛척(30)이 상기 지지수단(C1)의 예정된 지점에 놓인 현상제 용기(20)의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코렛척(30)이 연장하여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단부벽과 상기 코렛척(30)을 둘러싸는 원형벽을 포함하는 스톱커버(48); 상기 코렛척(30)에 활강하여 결합되며, 계속하여 현상제 용기(20)측으로 편항지지하며, 상기 덮개(25)에 포함된 플랜지(65)에 접할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하는 코어(39); 및 상기 단부와 덮개(25)의 플랜지(65)사이의 간격을 밀봉하기 위한 단부밀봉장치(78);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는 다단계(multi-stage)밀봉구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는 코어(39)를 에워싸면서 서로에 대하여 접하는 양측단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신장된 직사각형 밀봉부재(75)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39)의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상기 밀봉부재(75)들은 코어(39)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양측단부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어긋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의 적어도 한면은 4-플루오로 에틸렌 중합체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는 주로 원주방향을 탄성력이 풍부한 제1탄성부재(75b)와, 상기 제1탄성부재(75b)상에서 주로 두께 방향으로 탄성력이 풍부한 제2탄성부재(75c)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39)의 원형표면에 장착되는 환상 밀봉부재(7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덮개(25)에서 돌출한 러그(26)를 고정하기 위한 코렛척(30); 상기 코렛척(30) 및 상기 현상제 용기(20)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전후로 움직이도록 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코렛척(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덮개(25)에 의하여 상기 입구부(23)가 완전히 밀봉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의하여 코렛척(30)과 현상제 용기(20)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때, 또는 전(before)또는 후(after)에 상기 코렛척(30)의 처킹부(33)를 열어서 러그(26)를 해방시키는 분리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코렛척(30)에 활강하도록 탑재되고, 편향지지 수단(51)에 의하여 상기 현상제 용기(20)의 입구부(23)로 계속하여 편향지지되는 코어(39); 상기 코어(39)상에 형성되고, 코렛척(30)내의 슬릿부(30a)내에 수용되며, 상기 슬릿부(30a)의 후방 좁은 부분으로 이동될때 코렛척(30)을 지지하여 코렛척(30)의 처킹부(33)를 개방시키는 돌출부(102); 및, 상기 덮개(25)가 상기 입구부(23)를 완정히 닫을때까지 또는 그 전, 후에서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편향지지 수단(5)의 힘에 대하여 상기 코어(39)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돌출부(102)가 상기 덮개(25)의 넓은 부에서 좁은 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한 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코렛척(30)이 상기 지지수단의 예정된 지점에 놓인 현상제 용기(20)전후로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코렛척(30)이 연장하여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단부벽과 상기 코렛척(30)을 둘러싸는 원형벽을 포함하는 스톱커버(48); 상기 코렛척(30)에 활강하여 결합되며 계속하여 현상제 용기(20)측으로 편향지지되며 상기 덮개(25)에 포함되어 있는 플랜지(65)에 접할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하는 코어(39); 및, 상기 단부와 상기 덮개(25)의 플랜지(65)사이의 간격을 밀봉하기 위한 단부밀봉장치(78);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는 다단계 밀봉구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는 상기 코어(39)를 에워싸면서 서로 대하여 접하는 양측단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신장된 직사각형 밀봉부재(75)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39)의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상기 밀봉부재(75)는 양측단부가 접한 위치에서 상기 코어(39)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하여 어긋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78)의 적어도 한면은 4-플루오로 에틸렌 중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봉장치는 주로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의 풍부한 제1탄성부재(75b)와, 상기 제1탄성부재(75b)상에서 주로 두께방향으로 탄성력이 풍부한 제2탄성부재(75c)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39)의 원주표면에 장착되는 환상밀봉부재(7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재충전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5473A KR0158371B1 (ko) | 1994-03-18 | 1994-03-18 | 현상제 재충전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5473A KR0158371B1 (ko) | 1994-03-18 | 1994-03-18 | 현상제 재충전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7520A KR950027520A (ko) | 1995-10-18 |
KR0158371B1 true KR0158371B1 (ko) | 1999-03-20 |
Family
ID=1937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5473A KR0158371B1 (ko) | 1994-03-18 | 1994-03-18 | 현상제 재충전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83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83954B2 (ja) * | 2011-06-06 | 2017-02-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
1994
- 1994-03-18 KR KR1019940005473A patent/KR01583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7520A (ko) | 1995-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27631A (en) |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for use therewith | |
JP3347201B2 (ja)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220798B2 (ja) | 粉体収納容器 | |
KR0158371B1 (ko) | 현상제 재충전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 | |
JP3692364B2 (ja) | 現像剤補給装置 | |
JP3468514B2 (ja) | 現像剤補給装置 | |
JPH08211719A (ja) | トナー補給装置 | |
JP3692359B2 (ja) | 現像剤補給装置 | |
JP3692366B2 (ja) | 現像剤収容器及び現像剤補給装置 | |
JP3411028B2 (ja)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990729A (ja) | 現像剤補給装置 | |
JP3442070B2 (ja)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83008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411029B2 (ja)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411030B2 (ja)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8220861A (ja) | 現像剤収納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6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