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자동 수신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외부적으로 제어가능한 스위칭 전원 장치 및 특히, 예를 들어, 대기 상태를 갖는 팩시밀리 장치에 적합한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대기 상태를 갖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전원으로서 스위칭 전원 등을 채택한다. 대기 상태에서 또는 동작중에 스위칭 전원은 항상 엔에이블되어 있다. 또한, 다른 장치는 주 전원 이외에 대기 상태용 보조전원을 갖는다. 이런 형태의 장치에서, 보조 전원만이 대기 상태에서 엔에이블되고, 주 전원은 동작중에만 엔에이블되므로 전력 소모가 낮다.
또한, 주 전원의 1차 측은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호출 신호에 의해 직접 제어되므로, 절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팩시밀리 장치에서와 같이 주 전원의 1차 측이 그 2차 측에 소정의 전력(전기 전력)을 공급하도록 발진하는 장치에서, 약 10W의 전력이 대기 상태에서 소모되고, 자동 수신 기능을 위해 하루 종일 소모되므로 매우 큰 전력 손실이 생긴다. 또한, 전원은 방사 잡음을 발생시켜, 다른 전자 장치들에 나쁜 영향을 준다.
다수의 수단을 사용하는 주 전원의 1차측의 직접 제어에 안전 규격과 관련된 엄격한 제한들이 부과되어, 실질적으로 이러한 제어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부가 기능으로서 인쇄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가 또한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에서, 부가 기능으로서의 인쇄 기능에 있어서, 팩시밀리 모드와 인쇄 모드 사이의 스위칭 제어는 팩시밀리 장치의 중앙 제어 유니트에 의해 실행되므로, 주 전원은 모드 스위칭 제어의 실행시에 엔에이블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주 전원은 항상 엔에이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장치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 상태에서 거의 OW의 전력 소모를 달성할 수 있고, 방사 잡음과 안전 규격에 관련된 문제들이 발생되지 않는 통신 장치용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CPU(1)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ROM(2)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팩시밀리 장치 전체, 즉 RAM(3), 불휘발성 RAM(4), 문자 발생기(CG)(5), 기록기(6), 판독기(7), 모뎀(8), 네트워크 제어 유니트(NCU)(9), 조각 유니트(12), 및 디스플레이 유니트(13)을 제어한다.
RAM(3)은 판독기(7)에 의해 판독되는 2진 화상 데이터 또는 기록기(6)에 의해 기록될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모뎀(8)에 의해 변조되고, NCU(9)를 통해 전화 회선(10)에 출력될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전화 회선(1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파형 신호는 NCU(9) 및 모뎀(8)을 통해 복조된다. RAM(3)은 또한 복조된 2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불휘발성 RAM(4)는 팩시밀리 장치의 전원이 턴오프된 이후에도 저장될 데이터를 저장한다.
CG(5)는 CPU(1)의 제어하에 JIS 코드, ASCⅡ 코드 등과 같은 문자들을 저장하기 위한 ROM이고, 필요한 선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2-바이트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록기(6)은 DMA 제어기, 써멀 헤드,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기록기(6)은 CPU(1)의 제어하에 RAM(3) 내에 저장된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고 하드 카피로서 판독 데이터를 기록한다.
판독기(7)은 DMA 제어기, 화상 처리 IC, 화상 센서,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판독기(7)은 CPU(1)의 제어하에 CCD를 사용함으로써 판독된 데이터를 2진화하고, 2진 데이터를 RAM(3)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판독기(7)에 대한 원고의 로딩 상태는 원고의 이동 경로 중에 배열된 원고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원고 검출 신호는 CPU(1) 및 전원 개시기 유니트(14)에 입력된다.
모뎀(8)은 G3 및 G2 모뎀들, 이 모뎀들에 접속된 클럭 발생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8)은 CPU(1)의 제어하에 RAM(3) 내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NCU(9)를 통해 전화 회선 (10)을 출력한다. 모뎀(8)은 NCU(9)를 통해 전화 회선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2진 데이터를 얻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RAM(3) 내에 2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NCU(9)는 CPU(1)의 제어하에 전화 회선을 모뎀(8) 또는 전화기 셋트(11)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NCU(9)는 호출 신호(CI)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전화기 셋트(11)은 팩시밀리 장치의 주 본체와 통합된 전화기 셋트이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전화기 셋트(11)은 수화기, 음성 네트워크, 다이얼러, 텐-키패드 또는 원-터치 키 등을 포함한다.
조작(console) 유니트(12)는 화상 송신 및 수신 등을 개시하기 위한 키, 송신/수신시 파인(fine) 모드, 표준 모드, 자동 수신 모드 등과 같은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키, 다이얼링에 사용되는 텐-키 패드 등을 포함한다. CPU(1)은 이들 키들의 눌림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들에 따라 상술한 유니트 등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13)은 16-디지트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CPU(1)의 제어하에 선정된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원 개시기 유니트(14)는 팩시밀리 장치의 주 본체 각각의 유니트들에 대한 통전(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2차 전지 등을 포함한다. 전원 개시기 유니트(14)는 NCU(9) 또는 조작 유니트(12)로부터의 개시 신호에 따라 전원 개시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주 전원(15)에 발생된 신호를 공급한다.
주 전원(15)는 AC-입력 스위칭 전원이고, 그 스위칭 동작은 외부적으로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주 전원(15)은 전원 개시기 유니트(1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각의 유니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증단한다.
제2도는 전원 개시기 유니트(14)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4-비트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IC1은 초저 소모 전류로 동작할 수 있는 IC이다.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IC1은 그 구동 전원을 3가지 방식, 즉 주 전원(15), 태양 전지(BAT2), 및 2차 전지(BAT1)로부터 +5V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들 3가지 전원들의 우선 레벨은 그들의 전압 및 다이오드(D1 및 D2)에 의해 결정되고, 주 전원(15)로부터의 전압은 저항(R5) 및 제너 다이오드 (ZD1)에 의해 약 3.5V가 되도록 셋트되고, 태양 전지(BAT2)로부터의 전압은 3V가 되도록 셋트되며, 2차 전지(BAT1)으로부터의 전압은 충전시 전원 전압(3.5V 또는 3V)가 되도록 셋트된다.
주 전원(15)로부터의 시스템 전원 전압이 셋업될 때, 이 전원은 다이오드(D1 및 D2)의 방향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갖고, 2차 전지(BAT1)를 충전시켜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IC1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에, 태양 전지(BAT2)는 낮은 전위로 셋트되고,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IC1)에 어떠한 전류도 공급되지 않는다. 시스템 전원이 차단(shut-down)되고, 태양전지(BAT2)가 셋업될 때, 즉, 광 에너지가 공급될 때, 2차 전지(BAT1)의 전위가 초기에 태양 전지(BAT2)의 전위보다 높으면, 전력은 2차 전지(BAT1)로부터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IC1)에 공급되고, 태양 전지(BAT2)로부터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2차 전지(BAT1)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방전으로 인해 낮아지고, 태양 전지(BAT2)로부터의 전압보다 낮아질 때, 전력은 태양 전지(BAT2)로부터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IC1)에 공급되고, 동시에 2차 전지(BAT1)은 저항 R4를 통해 충전된다.
시스템 전원과 태양 전지(BAT2)가 모두 차단될 때, 전력은 2차 전지(BAT1)로부터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IC1)에 공급된다.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IC1은 내장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고, I/O 포트들을 갖는다. I/O 포트들은 태양 전지(BAT2)의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 저항(R11 및 R14)를 통해 신호 SB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 시스템 전원의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 저항(R15 및 R16)을 통해 신호 SYS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 NCU(9)의 CI 검출기로부터의 IC(회선으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검출하도록 신호 ICstandby(반전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 조작 유니트(12)로부터 2개의 회로를 포함하는 스위치(SW1)의 상태로서 신호 User1(반전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 스위칭 전원의 발진[발진이 중단될 때는, 신호 PS가 Hi(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발진이 계속될 때는 신호 PS는 Lo(로우 레벨)로 유지됨]을 제어하기 위해 주 전원(15)에 공급되는 신호 PS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포트, CPU(1)이 선정된 동작을 완료하고 전원이 발진이 중단될 때 Hi로 셋트된 신호 POFF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를 포함한다.
NCU(9)의 CI 검출기는 신호 CIstandby를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IC1)에 공급하고 동시에 신호 CI를 CPU(1)에 공급한다. 한편, 조작 유니트(12)는 신호 User1을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IC(1)에 공급하고, 동시에 신호 User2를 CPU(1)에 공급한다. 스위치(SW1)은 원고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조작자가 임의 동작을 수행할 때 전환된다.
전원 개시기 유니트(14)는, 제2도내의 광결합기(PU1, PC2 및 PC3), 트랜지스터(TR1, 및 TR2), 및 저항(R1 내지 R3 및 R8 내지 R10)을 포함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제3도는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는 주 전원(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스위치(SW2)를 통해 수신된 AC 입력은 필터 회로(B1), 정류기 회로(B2) 및 평활회로(B3)을 통해 1차 및 2차 권선을 갖는 절연 변압기(T1)에 공급되고, 트랜지스터(FET1)에 의해 스위치된다. 발진 제어 IC의 IC2는 변압기(T1)의 1차 측의 발진 제어를 수행하고, 그 전원 전압 Vcc는 변압기(T1)에 감겨진 보조 권선으로부터 공급된다.
변압기(T1)의 2차 측은 2차 권선으로부터의 +24V 및 +5V의 전원 전압을 정류기/평활 회로(B4 및 B5)를 통해 장치의 주 본체 각 유니트들에 공급한다. 전류 검출 회로(B6) 및 과전압 검출 회로(B7)은 그들의 출력들을 광결합기(PC4 및 PC5)를 경우하여 발진 회로 IC의 IC2로 피드백시킨다. 발진 회로 IC의 IC2는 2차 측의 전류에 기초하여 PWM 제어를 수행한다. 과전압이 검출될 때, 발진 제어 IC의 IC2는 전체 시스템을 차단시킨다.
이 실시예에 고유한 신호로서 신호 PS가 광결합기(PC1)을 통해 발진 제어 IC의 IC2에 입력된다. 신호 PS가 Hi(활성)일 때, 발진 제어 IC의 IC2는 발진을 중단시키고, 변압기(T1)의 2차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이 때에, 역시 변압기의 1차 측에는 전류가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신호 PS가 Lo일 때, 발진 제어 IC의 IC2는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전원이 발진한다). 이 때에, 광결합기(PC1)은 1차 측과 2차 측사이의 절연 및 전류-전압 변환을 수행한다. 저항(R12 및 R13)은 전류를 제한하는데 사용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은 제4도 및 제5도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4도는 CPU(1)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사용자가 단계 S01에서 전원 스위치(SW2)를 턴온시킬 때 시스템 전원 전압으로서 +24V 및 +5V의 전압이 셋업되어 장치의 주 본체에 공급되어 2차 전지(BAT1)의 충전을 개시한다(단계 S02). 단계 S03에서, CPU(1)이 개시된다. 이것은 전원이 단계 S14에서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IC1로부터의 신호 PS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계 S04에서, CPU(1)이 최소 요구 항목들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충전 타이머를 셋트하여 개시시킨다. 단계 S05에서, 신호, CI가 검출되는 지가 체크된다. 단계 S05에서 예(YES)이면, CPU(1)은 단계 S07에서 나머지 항목들의 초기화를 수행하고, 그 다음에, 흐름은 자동-수신 루틴을 실행하도록 단계 S08로 진행한다. 그러나, 단계 S05에서 아니오(NO)이면, 단계 S06에서 신호 User2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단계 S06에서 예이면, CPU(1)은 단계 S09에서 나머지 항목들의 초기화를 수행하고, 그 다음의 흐름은 FAX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단계 S09로 진행한다. 팩스 동작은 송신, 수신, 복사 등을 포함한다.
단계 S06에서 아니오이거나 선정된 동작이 단계 S08 또는 S10에서 완료되면, 단계 S04에서 개시된 충전 타이머의 충전 종료가 단계 S11에서 체크된다. 충전 종료가 검출될 때까지 단계 S11에서 제어는 대기한다. 이때의 상태는 정상 대기 상태와 동일하고, 제어는 다양한 입력들을 대기한다. 송신/수신 요구, 복사 요구 등이 충전 종료전에 발생될 때, 충전 타이머는 대응하는 동작이 완료된 이후 다시 체크된다.
만일 충전의 종료가 단계 S11에서 검출되면, 단계 S12에서 CPU(1)는 신호 POFF를 활성 상태로 셋트하고, 전원의 발진을 중지시키는 명령을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IC1)에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24V 및 +5V의 시스템 전원 전압들은 단계 S13에서 차단된다.
제5도는 단일칩 마이크로 컴퓨터(IC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22에서 플래그, I/O 포트 등이 초기화된다. 단계 S23에서, 내장 타이머가 개시된다. 이 타이머는 시스템 전원 및 태양 전지(BAT2)로부터의 전원 전압들이 차단될 때 2차 전지(BAT1)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전원 공급이 보장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 다음으로 단계 S24 및 단계S25에서 신호들 CIstandby 및 User1이 검출되는지 체크된다. 만일 이들 신호 중의 하나가 검출되면, 신호 PS가 단계 S32에서 활성화되도록(전원의 발진을 개시하고 유지하도록)셋트된다. 그리고나서, 단계 S33에서 CPU1이 선정된 동작을 완료한 후에 신호POFF를 활성 상태로 셋트할 때까지 제어는 대기한다. 신호 POFF가 활성화될 때, 단계 S34에서 신호 PS는 비활성화되도록(전원의 발진을 정지시키도록) 셋트된다. 단계 S35에서, 신호 POFF가 차단될 때까지 제어는 대기하고, 그 후에 흐름은 단계 S23으로 복귀한다.
만일 단계 S24 및 S 25에서 신호들 CIstandby 및 User1이 모두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S26에서 CPU(1)로부터의 신호 POFF가 활성화되는지를 체크한다. 신호 POFF가 활성화될 때, 단계 S30에서 신호 PS는 비활성화되도록 전원의 발진을 정지시키도록) 셋트된다. 단계 S31에서, 신호 POFF가 차단될 때까지 제어는 대기하고, 흐름은 이후에 단계 S23으로 복귀한다.
만일 단계 S26에서 신호 POFF가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7에서 신호 SB[태양 전지(BAT2)의 개시 신호]가 활성화되는지가 체크된다. 만일 태양 전지(BAT2)가 개시되면, 흐름은 단계 S23으로 복귀한다. 만일 태양 전지(BAT2)가 개시되지 않는다면, 단계 S23에서 셋트된 타이머가 끝났는지가 단계 S28에서 체크된다. 만일 단계 S28에서 아니오이면, 흐름은 단계 S24로 복귀한다. 그러나 만일 단계 S28에서 예이면, 2차 전지는 충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신호 PS가 단계 S29에서 활성화되도록(시스템 전원을 개시하도록) 셋트된다. 그 후에, 시스템 전원이 셋업되고, 단계 S33에서 CPU(1)로부터의 신호 POFF가 활성화될 때까지 제어는 대기한다.
상술된 제1 실시예는 태양 전지(BAT2)를 포함하지만, 종종 어떠한 태양 전지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차 전지(BAT1)은 태양 전지(BAT2)에 의해 충전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은 팩시밀리 장치가 빈번히 사용되지 않을 때 2차 전지를 충전시키는 제1 실시예에서보다 빈번히 강제적으로 셋업되어야 한다.
타이머가 전원 개시기 유니트(14)의 전원 공급으로서 2차 전지(BAT1)을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주 전원이 선정된 시간 주기동안 개시되지 않고, 2차 전지(BAT1)이 충전되지 않을 때, 주 전원(15)가 강제적으로 개시된다. 이와는 다르게는, 전원 개시기 유니트(14)가 2차 전지(BAT1)의 전압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2차 전지(BAT1)으로부터의 전압이 선정된 임계 전압과 동일하거나 낮게 될 때, 주 전원(15)가 강제적으로 셋업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자동 수신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을 거의 0W로 셋업시킬 수 있고, 1일 전력 소모량을 1/10 내지 1/100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의 발진이 대기 상태에서는 정지되기 때문에, 팩시밀리 장치는 방사 잡음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다른 전자 장치들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전원 개시기 유니트(14)는 항상 2차 전지에 의해 동작되기 때문에, 정상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의 1차 측의 제어 라인들의 수가 단지 1개이기 때문에, 안전 규격과 관련한 대응책을 쉽게 채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은 전원 개시기 유니트(14)를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입력된다.
또한, 태양 전지(BAT2)가 사용되기 때문에, 생태학적 문제들에 대한 기여에서도 사용자에게는 장점으로 생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는 팩시밀리 장치의 주 본체 각 유니트에 대한 통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개시기 유니트를 포함하고, 주 전원, 2차 전지 및 (만일 필요할 경우) 태양 전지가 전원 개시기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거의 0W로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이 장치는 방사 잡음 발생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다른 전기 장치들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도 않고, 안전 규격과 관련된 제한도 제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전력이 2차 전지로부터 주 전원을 제어하는 주 전원 제어 유니트로 공급될 때, 전력 소모량은 주 전원이 대기 상태에서는 정지되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주 전원 제어 유니트가 주 전원을 제어하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들이 나타난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주 전원을 정지시키기 위해 AC 입력이 입력되는 동안 주 전원을 셋업하도록 설계되었을 경우, 주 전원 제어 유니트는 대기 상태 주기동안 주 전원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계속 출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2차 전지의 소모가 가속되어 저전력 소모를 저해한다.
또는, 장치가 주 전원이 AC 입력이 개시될 때에만 셋업되는 것이 아니라 주 전원을 셋업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주 전원 제어 유니트로부터 대기 상태의 주 전원으로 공급될 때도 셋업되도록 설계되었을 경우, 2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될 때는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2차 전지가 완전 방전되었을 때는, 주 전원 제어 유니트는 주 전원을 셋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 전원에 제공할 수 없다.
제2 실시예는 상기의 문제들을 고려하여 행해졌고, 저전력 소모를 실현할 수 있고 2차 전지가 완전 방전되었을 때에도 주 전원을 셋업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6도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6도를 참조하면, 절연 변압기(출력 변압기)(39)가 1차 권선(36)의 발진시 2차 권선(38)에 대해 AC 전력을 발생시킨다. 이같은 전원 장치에 대한 AC 입력은 필터 회로(40), 정류 회로(41) 및 평활 회로(42)를 통해 1차 및 2차 권선을 갖는 절연 변압기 (39)에 공급되고,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은 스위치 수단인 FET(43)에 의해 스위치(ON/OFF 제어)된다.
IC(44)가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에서 발진 제어를 제어한다. IC(44)의 입력 포트(IN1)이 로우 레벨인 동안, 출력 포트(OUT1)은 발진을 유지하고, 이 기간동안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은 발진한다. 입력 포트(IN1)이 하이 레벨인 동안, 출력 포트(OUT1)은 로우 레벨을 유지하고, 이 기간동안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은 발진을 정지한다. 이 IC(44)에 대한 전원 전압(Vdd)는 절연 변압기(39)에 감긴 보조 권선(37)로부터 공급된다. 절연 변압기(39)의 2차 측은 2차 권선으로부터의 +24V 및 +5V의 전원 전압을 정류/평활 회로(52 및 53)을 통해 제7도에 도시된 팩시밀리 주 본체(101)로 공급한다.
전류 검출 회로(54) 및 과전압 검출 회로(55)는 각각 광결합기(56 및 57)을 통해 IC(44)로 그 출력들을 피드백한다. IC(44)는 2차 측의 전류에 기초하여 PWM 제어를 수행한다. 과전압이 검출될 때, IC(44)는 전체 시스템을 차단시킨다.
전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PS는 외부 회로로부터 광결합기(45)를 통해 IC(44)로 공급된다. 신호 PS가 하이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46)이 엔에이블되어, 전류가 광결합기(45)로 공급된다. 그 다음에, 광결합기(45)는 전류-전압 변환을 수행하고, IC(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그에 대응하여 IC(44)의 출력 포트(OUT1)이 발진하고, 변환기(39)의 1차 측이 FET(43)을 통해 발진하여 전력을 2차 측에 공급한다. 따라서, 전원 장치가 셋업되어, 동작이 개시된다. 신호 PS가 로우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46)이 디스에이블되고, IC(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된다. 그에 대응하여 IC(44)의 출력 포트(OUT1)이 로우 레벨로 되어, FET(43)이 디스에이블된다. 이로써, 변압기(39)의 1차 측에서의 발진이 정지되어, 2차측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전원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다.
전원 장치는 또한 전류 제한 저항(47, 49, 50 및 51), 역류 방지 다이오드(58) 및 전류 제한 저항(59)를 포함한다. 광결합기(45)는 또한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절연시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지연 회로(35)는 저항(48 및 72) 및 캐패시터(73)에 의해 구성되고, 그 시정수는 저항(48 및 72) 및 캐패시터(73)에 의해 결정된다. 저항(48 및 72)의 저항값 및 캐패시터(73)의 캐패시턴스가 변할 때, 시정수도 변경된다. 스위칭 제어 유니트(74)는 IC(44), 광결합기(45) 및 트랜지스터(46) 등으로 구성되고, 외부 신호에 따라서 FET(43)을 ON/OFF 제어할 수 있다.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개시될 때, 스위칭 제어 유니트(74)는 지연 회로(35)에 의해 결정된 선정 시간 주기동안 FET(43)을 자동적으로 발진시켜,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을 발진시킨다. 선정된 시간 주기의 경과전에, 스위칭 제어 유니트(74)는 외부 명령(신호)에 따라 FET(43)을 ON/OFF 제어하도록 외부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에서의 발진을 제어한다.
절연 변압기(39)의 2차 측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절연 변압기(39)의 1차 측에서의 발진을 정지시키기도록 FET(43)을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한 OFF 신호는 전력을 조금도 소모하지 않는 신호이다.
제7도는 상술된 전원 장치를 주 전원(116)으로 사용한 팩시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7도를 참조하면, 팩시밀리 장치의 주 본체(101)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CPU(102)를 포함한다. CPU(102)는 ROM(103)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팩시밀리 장치의 시스템을 제어한다. CPU(102)는 데이터를 판독/기록할 수 있는 RAM(104), 불휘발성 RAM(105), 문자 발생기(CG)(106), 원고 판독기(107), 기록기(108), 모뎀(109), 네트워크 제어 유니트(NCU)(110), 조작 유니트(113) 및 디스플레이 유니트(114)를 제어한다.
RAM(104)는 판독기(107)에 의해 판독되는 2진 화상 데이터 또는 기록기(108)에 의해 기록될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104)는 또한 모뎀(109)에 의해 변조될 2진 화상 데이터 또는 NCU(110)을 통해 전화 회선(111)상으로 출력될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RAM(104)는 NCU(110) 및 모뎀(109)를 통해 전화 회선(111)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파형 데이터를 복조시킴으로써 얻어진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불휘발성 RAM(105)는 장치 본체(101)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도 단축 다이알 번호 데이터와 같은 보존될 데이터를 확실하게 저장한다. ROM(103)은 CPU(102)의 제어하에서 JIS 코드 및 ASCⅡ 코드등과 같은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2-바이트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판독기(107)은 DMA 제어기, 화상 처리 IC, 화상 센서 및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판독기(107)은 CPU(102)의 제어하에서 접촉 센서(CS)를 사용하여 판독된 데이터를 2진화하여 2진 데이터를 RAM(104)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판독기(107)상의 원고 용지의 셋트 상태는 원고 용지의 전달 경로에 배열된 기계적인 원고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센서로부터의 원고 검출 신호는 주 전원(116)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와 CPU(102)로 입력된다.
기록기(108)은 DMA 제어기, 잉크-제트 기록 장치 및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기록기는 CPU(102)의 제어하에서 RAM(104) 내에 저장된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하드 카피로서 판독된 데이터를 기록한다. 모뎀(109)는 G3 및 G2 모뎀과 이들 모뎀들에 접속된 클럭 발생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109)는 CPU(102)의 제어하에서 RAM(104)내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NCU(110)을 통해 전화 회선(111)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109)는 NCU(110)을 통해 전화 회선(111)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시킴으로써 얻어진 2진 데이타를 RAM(104)내에 저장한다.
NCU(110)은 CPU(102)의 제어하에서 전화 회선(111)을 모뎀(109) 또는 전화기 셋트(112)로 선택적으로 스위치시킨다. NCU(110)은 호출 신호(CI)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가진다. 호출 신호의 검출시, NCU(110)은 인입 호출 신호를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 및 CPU(102)에 공급한다.
전화기 셋트(112)는 장치 본체(101)와 통합되고, 수화기, 음성 네트워크, 다이얼러(dialer), 텐-키 패드(ten-key pad) 또는 원-터치(one-touch) 키 등을 포함한다. 조작 유니트(113)은 화상 송신 및 수신 등을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키, 송신/수신시 파인 모드, 표준 모드, 자동 수신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모드 선택 키, 다이얼링 등을 위한 텐-키 패드 또는 원-터치 키를 포함한다. 이들 키들 중의 1개가 눌러질 때, 해당 키의 ON 신호가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 및 CPU(102)로 공급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114)는 16-디지트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CPU(102)의 제어하에서 선정된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는 장치 본체(101)의 각각의 구성 유니트들에 대한 통전(전력공급)을 제어하고,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및 캐패시터형 2차 전지 등을 포함한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는 2차 전지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서만 구동될 수 있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는 판독기(107)로부터의 원고 검출 신호, NCU(110)으로부터의 인입 호출 신호, 또는 조작 유니트(113)으로부터의 ON 신호 수신시 주 전원(116)을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신호를 출력한다. 주 전원(116)은 AC-입력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고, 그 스위칭 동작은 외부적으로 ON/OFF 제어될 수 있다. 주 전원(116)은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로부터의 개시 또는 정지 신호에 따라 전력 공급을 개시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제8도는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제9a도 내지 제9c도는 장치 본체(101)내의 CPU(102)의 여러 스위치 유니트 및 주변 회로들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8도 내지 제9c도를 참조하면, 전원 라인 Vcc는 3개의 다른 전원 공급원 즉, 주 전원(116), 태양 전지(23) 및 상기 캐패시터형 2차 전지(19)로부터의 +5V 라인을 연결한다. 이들 3개의 전원 공급원들의 우선 레벨은 그들의 전압, 역류 방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22) 및 역류 방지 다이오드(26)에 의해 결정되고, 주 전원(116)으로부터의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18) 및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22)에 의해 약 4.8V로 셋트되고, 태양 전지(23)으로부터의 전압은 4.6V로 셋트되며, 2차 전지(19)로부터의 전압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4.5V로 셋트된다.
주 전원(116)이 셋업될 때, 주 전원이 다이오드(22 및 26)의 방향성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우선도를 가지고, 주 전원(116)은 2차 전지(19)를 충전시켜서 라인 Vcc상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태양 전지(23)은 저전위로 셋트되고 어떠한 전류도 공급되지 않는다. 주 전원(116)이 동작되지 않고 태양 전지(23)이 전력을 공급중일 때, 즉, 광 에너지가 비록 주 전원(116)이 동작되지 않더라도 공급되고 있을 때, 만일 2차 전지(19)의 전위가 태양 전지(23)의 전위보다 높다면, 전력은 태양 전지(23)으로부터 공급되지 않고 2차 전지(19)로부터 라인 Vcc상으로 공급된다. 2차 전지(19)의 전위가 태양 전지(23)의 전위보다 낮을 때는, 태양 전지(23)는 라인 Vcc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저항(20)을 통해 2차 전지(19)를 충전시킨다. 주 전원(116) 및 태양 전지가 모두 동작중이지 않을 때는 2차 전지(19)는 라인 Vcc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제8도를 참조하면, 4-비트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17)은 초저전력 소모로 동작할 수 있고, 내장 타이머 수단을 포함한다. 태양 전지(23)이 전력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는 저항(24 및 25)에 의해 태양 전지 전위를 분압하고, 분압된 값을 마이크로컴퓨터의 입력 포트(IN2)로 입력시키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2차 전지(19)로부터의 전압은 비교기(27)에 의해 이 전압을 전압 안정화 저항(21)을 통해 RAM(105)를 백업하는 1차 전지(28)로부터의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검출된다. 비교기(27)로부터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17)의 출력 포트(IN4)로 공급된다. 저항(29 및 30)은 1차 전지로부터의 전압을 분압하는데 사용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IC(31)은 주 전원(116)의 2차 측의 전압 Vac, 주 전원(116)으로부터의 +5V 전압 Vcc1 및 2차 전지(19)로부터의 전압 Vcc2를 비교한다. 전압 Vcc1이 2V 이상일 때, IC(31)의 C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로 된다. 전압 Vac가 2V이거나 그보다 작을 때, CE 출력 포트는 로우 레벨로 된다. CE 출력 포트로부터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17)의 입력 포트(IN1)로 공급된다. 전압 Vcc2가 3V이거나 그보다 작을 때, IC(31)의 R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리셋트 신호는 출력을 유지한다. 전압 Vcc2가 3V 이상이 될 때, R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RE 출력 포트로부터의 출력은 인버터 IC(32) 및 OR 게이트 IC(34)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7)의 RESET 포트로 공급된다. 이 출력은 또한 AND 게이트 IC(71)(제9a도)를 통해 CPU(102)의 RESET 포트로 공급된다.
NAND 게이트 IC(33)은 훅킹(hooking) 스위치(60), 기계적 원고 검출 스위치(또는 판독 스위치)(61)(제9b도), 호출 신호 검출 스위치(광결합기)(64) 또는 수화기(제9c도)용 오프-훅크 검출 스위치(광결합기)(65)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IC(33)으로부터의 출력은 IC(34)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7)의 RESET 포트로 공급된다. 제9b도 및 제9c도에서의 전압 조정 저항(62, 63, 66 및 67)이 각각 스위치(60, 61, 64 및 65)에 접속되고, 제9c도의 모듈 잭(modular jack)들이 각각 스위치(64 및 65)에 접속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마이크로컴퓨터(17)의 입력 포트(IN3)이 하이 레벨일 때, CPU(102)는 활성화 상태이다. 마이크로컴퓨터(17)의 출력 포트(OUT1)으로부터의 출력은 IC(34)를 통해 주 전원(116)으로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17)의 출력 포트(OUT2)는 AND 게이트 IC(71)을 통해 CPU(102)로 리셋트 신호를 출력한다. 저항(75)가 전압 조정용으로 사용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제9a도 내지 제9c도는 제7도의 각 유니트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제9a도는 CPU(102)의 주변 회로들을 도시하고, 제9b도는 조작 유니트(11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며, 제9c도는 NCU(1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제9a도 내지 제9c도를 참조하면, 지연 회로(68)은 저항 및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CPU(102)의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만큼 입력 포트(I1 내지 I4)로 입력되는 신호를 지연시키고, 출력 포트(O1 내지 O4) 각각으로부터 지연된 신호를 출력시킨다.
제10도 내지 제13도는 이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실시예의 동작은 제10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제10도는 주 전원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AC 입력이 개시될 때(단계 101), IC(44)의 입력 포트(IN1)이 지연 회로(35)에 의해 로우 레벨로 셋트되기 때문에(단계 103), IC(44)의 출력 포트(OUT1)는 그에 대응하여 발진하고(단계 103), 변압기(39)의 1차 측은 FET(43)을 통해 발진하므로, 전력이 2차 측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 전원(116)이 개시된다(단계 104). 이 전원이 개시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7)은 초기화된다(단계 105). 초기화의 완료시, 마이크로컴퓨터(17)은 출력 포트(OUT1)로부터 하이 레벨을 출력시키고, 하이 레벨 신호가 IC(34)를 통해 주 전원(116)으로 신호 PS로서 공급된다(단계 106).
트랜지스터(46)이 신호 PS에 의해 엔에이블될 때, 전류는 광결합기(45)를 통해 흘러, 광결합기(45)는 턴온된다(단계 107). IC(44)의 입력 포트(IN1)이 로우 레벨로 되기 때문에(단계 108), IC(44)의 출력 포트(OUT1)는 그에 대응하여 발진하고(단계 109), 변압기(39)의 1차 측이 FET(43)을 통해 발진하므로, 전력이 2차 측에 공급된다. 그 다음에, 이 상태가 유지되고, 주 전원(116)은 계속적으로 전원 공급을 수행한다(단계 110). 지연 회로(35)의 시정수가 셋트되어, IC(44)의 입력 포트(IN1)이 AC 입력이 개시될 때부터 광결합기(45)가 마이크로컴퓨터(17)로부터의 신호 PS에 의해 턴온 될 때까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신호 PS가 로우 레벨로 될 때(단계 111), 트랜지스터(46)은 디스에이블되고, 광결합기(45)는 턴오프 된다. 그러므로, IC(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되고(단계 112), IC(44)는 그에 대응하여 출력 포트(OUT1)을 로우 레벨로 셋트한다(단계 113). 이렇게 하여 FET(43)가 디스에이블되어, 변압기(39)의 1차 측은 발진을 중지하여 2차 측으로의 전원 공급이 주안된다. 결과적으로, 주 전원(116)의 동작은 정지된다(단계 114). 이 상태에서 신호 PS가 하이 레벨로 될 때(단계 115), 트랜지스터(46)은 엔에이블되어, 광결합기(45)가 턴온된다(단계 116). 따라서, IC(44)의 입력 포트 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단계 117). 그에 대응하여 IC(44)의 출력 포트 OUT1이 발진하고(단계 118), FET(43)을 통해 변압기(39)의 1차 측이 발진하므로, 2차 측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주 전원(116)이 개시된다(단계 119). 그 다음에, 이 상태가 유지되고, 주 전원(116)은 계속적으로 전원 공급을 수행한다.
제11도는 FAX 대기 상태 중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AC 입력이 개시될 때(단계 201), 주 전원(116)이 턴온되어 개시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초기화되고(단계 203), CPU(102)가 초기화 되고(단계 204)과 동시에 2차 전지(19)의 충전이 개시된다(단계 205). 마이크로컴퓨터(17)의 초기화 완료시, 팩시밀리 장치는 대기 상태로 셋트되고, 이 대기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2차 전지는 계속 충전된다.
2차 전지의 충전 완료시(단계 206) 즉, 비교기(27)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거나 마이크로컴퓨터의 내장 타이머가 1시간 경과를 측정할 때, 주 전원(116)은 정지된다. 이때, 전자의 경우에서 마이크로컴퓨터(17)의 포트(IN4)가 하이 레벨로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17)은 그에 대응하여 CPU(102)를 리셋트하고(단계 207), 주 전원(1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208). 그 다음에는, 2차 전지(19) 및 태양 전지(23)에 의해서만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209). 동일하게, 후자의 경우에서, 마이크로컴퓨터(17)은 내부 타이머의 내용에 따라 CPU(102)를 리셋트하고, 주 전원(1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 다음에는, 2차 전지(19) 및 태양 전지(23)에 의해서만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210). 어느 경우이든 2차 전지(19)는 태양 전지(2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잉여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단계 211).
태양 전지(2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이 감소하여 전압이 2.8V이거나 그 이하가 될 때(단계 212), 2차 전지(19)는 방전을 개시한다. 2차 전지(19)로부터의 전압이 3V이거나 그보다 작을 때(단계 213), IC(31)의 RE 출력 포트는 로우 레벨로 되고, 상기 신호 PS는 하이 레벨로 된다. 그러므로, 광결합기(45)가 턴온 되어, IC(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입력 포트(IN1)으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IC(44)의 포트(OUT1)이 발진하고 FET(43)을 통해 변압기(39)의 1차 측이 발진하므로, 2차 측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16)이 개시된다(단계 214). 이 동작 중에, CPU(102)는 초기화되고, 2차 전지(19)의 충전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차 전지(19)는 FAX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충전된다. 그 다음에, 이러한 싸이클이 반복된다.
제12도는 FAX 대기 상태시 FAX 송신 인터럽션 루틴을 도시한다. 원고용지가 FAX 대기 상태에서 검출될 때(단계 301), 훅킹 버튼이 눌러질 때(단계 302),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 될 때(단계 303), 스위치(61, 60 및 65) 중의 해당 스위치가 턴온 되고, ON 신호가 지연 회로(68)을 통해 CPU(102)로 공급된다. 또한, ON 신호는 IC(33, 32 및 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304).
광결합기(45)가 턴온될 때, IC(44)는 FET(43)을 통해 1차 측을 발진시켜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16)이 개시된다(단계 305). 주 전원(116)이 활성화되는 동안, 2차 전지(19)는 계속 충전된다(단계 311). 이러한 상태에서, 수신지 팩시밀리 장치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고(단계 306), 회선이 연결되고(단계 307), 정상적인 팩시밀리 송신을 수행할 준비를 한다(단계 308). 송신이 종료되고(단계 309) 회선이 단절될 때(단계 310), CPU(102)의 포트 OUT1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7)의 포트 IN3로 입력될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마이크로컴퓨터(17)은 그에 대응하여 CPU(102)를 리셋트하고,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주 전원(1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312). 이러한 인터럽션의 완료시(단계 313), FAX 대기 상태가 셋트되고, 흐름은 제11도의 코넥터 A로 복귀한다.
제13도는 FAX 대기 상태시의 FAX 수신 인터럽션 루틴을 도시한다. FAX 대기 상태에서 훅킹 버튼이 눌러질 때(단계 401),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 될 때(단계 402), 스위치(60 및 65) 중의 해당 스위치가 턴온 되어, ON 신호가 지연 회로(68)을 통해 CPU(102)로 입력된다. 또한, ON 신호는 IC(33, 32 및 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404).
광결합기(45)가 턴온 될 때, IC(44)는 FET(43)을 통해 변압기(39)의 1차 측을 발진시키므로,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16)이 개시된다(단계 405). 한편, 호출 신호(CI)가 검출 될 때(단계 403), 스위치(64)가 턴온 되고, ON 신호가 지연 회로(68)을 통해 CPU(102)로 공급된다. 또한, ON 신호는 동일하게 IC(33, 32 및 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407). 광결합기(45)가 턴온 될 때, IC(44)는 FET(43)을 통해 변압기(39)의 1차 측을 발진시키므로,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로써, 주 전원(116)이 개시된다(단계 408). 어느 경우이든, 주 전원(116)이 활성화인 동안, 2차 전지(19)는 계속 충전된다(단계 413).
훅킹 버튼이 눌러질 때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 될 때, 수신지 팩시밀리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고(단계 406), 회선이 연결될 때(단계 409), 정상적인 팩시밀리 수신이 수행된다(단계 410). 호출 신호가 검출될 때, NCU(110)은 회선을 연결하고, 자동 수신 모드로 팩시밀리 수신을 수행한다.
수신 종료시(단계 411), 회선이 단절될 때(단계 412), CPU(102)의 출력 포트(OUT1)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7)의 포트(IN3)으로 입력된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된다. 이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7)은 CPU(102)를 리셋트하고,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시켜 주 전원(116)의 동작이 정지된다(단계 414).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의 완료시(단계 415), FAX 대기 상태가 셋트되고, 플로우는 제11도의 코넥터 A로 복귀한다.
제6도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주 전원(116)을 사용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각각의 상태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 주 전원(116)은 지연 회로(35)를 포함하기 때문에 AC 입력이 개시될 때, 주 전원(116)이 개시되고, 선정된 시간 주기의 경과후에, 주 전원(116)의 동작은 정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는 대기 상태의 주 전원(116)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필요가 없고 2차 전지(19)의 소모도 줄일 수 있어 저 전력 소모가 달성된다.
AC 입력이 개시될 때, 주 전원(116)이 개시되기 때문에, 주 전원 제어 유니트(115)는 2차 전지가 완전 방전되었을 때에도 주 전원을 개시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 전원(116)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연 회로(35)는 저항과 캐패시터로 간단히 구성되기 때문에 저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변압기의 1차 측의 스위칭 동작은 외부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지연 회로가 배열되므로, 출력 변압기의 1차 측은 전원이 개시될 때 선정된 시간 주기동안 발진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 전원의 정지 신호가 대기 상태에서 계속 출력될 필요가 없고, 저전력 소모도 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2차 전지가 완전 방전되었을 때에도, 주 전원이 개시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4도를 참조하면, 팩시밀리 장치의 주 본체(1001)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CPU(중앙 처리 장치)(1002)를 포함한다. CPU(1002)는 ROM(1003)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팩시밀리 장치의 시스템을 제어한다. 즉, CPU(1002)는 데이터를 판독/기록할 수 있는 RAM(1004), 불휘발성 RAM(1005), 문자 발생기(CG)(1006), 원고 판독기(1007), 기록기(1008), 모뎀(1009), 네트워크 제어 유니트(NCU)(1010), 조작 유니트(1013) 및 디스플레이 유니트(1014)를 제어한다.
RAM(1004)는 판독기(1007)에 의해 판독되는 2진 화상 데이터 또는 기록기(1008)에 의해 기록될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1004)내에 저장된 2진 화상 데이터는 모뎀(1009)에 의해 변조되고, 변조된 데이터는 NCU(110)을 통해 전화 회선(1011)상으로 출력된다. 또한, 전화 회선(101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파형 신호는 2진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도록 NCU(1010) 및 모뎀(1009)를 통해 복조되고, 복조된 2진 화상 데이터 또는 RAM(1004) 내에 저장된다.
불휘발성 RAM(1005)는 장치의 주 본체(1001)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도 단축 다이알 번호 데이터와 같은 보존될 데이터를 확실하게 저장한다. ROM(1003)은 CPU(1002)의 제어하에서 JIS 코드 및 ASCⅡ 코드등과 같은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2-바이트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판독기(1007)은 DMA 제어기, 화상 처리 IC, 화상 센서 및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판독기(1007)은 CPU(102)의 제어하에서 접촉 센서(CS)를 사용하여 판독된 데이터를 2진화하고, 2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RAM(1004)로 공급한다. 판독기(1007)상의 원고 용지의 셋트 상태는 원고 용지의 전달 경로에 배열된 기계적인 원고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센서로부터의 원고 검출 신호는 주 전원(1016)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와 CPU(1002)로 입력된다.
기록기(1008)은 DMA 제어기, 잉크-제트 기록 장치 및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기록기는 CPU(1002)의 제어하에서 RAM(1004)내에 저장된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하드 카피로서 기록한다. 모뎀(1009)는 G3 및 G2 모뎀과 이들 모뎀들에 접속된 클럭 발생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1009)는 CPU(1002)의 제어하에서 RAM(1004)내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NCU(1010)을 통해 전화 회선(1011)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1009)는 NCU(1010)을 통해 전화 회선(1011)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시킴으로써 얻어진 2진 데이터를 RAM(1004)내에 저장한다.
NCU(1010)은 CPU(1002)의 제어하에서 전화 회선(1011)을 모뎀(1009) 또는 전화기 셋트(1012)로 선택적으로 스위치시킨다. NCU(1010)은 호출 신호(CI)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가진다. 호출 신호의 검출시, NCU(1010)은 인입 호출 신호를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 및 CPU(1002)에 공급한다.
전화기 셋트(1012)는 장치의 주 본체(1001)과 통합되고, 수화기, 음성 네트워크, 다이얼러, 텐-키 패드 또는 원-터치 키 등을 포함한다. 조작 유니트(1013)은 화상 전송 및 수신 등을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키, 송신/수신시 파인 모드, 표준 모드, 자동 수신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모드 선택 키, 다이얼링을 위한 텐-키 패드 또는 원-터치 키를 포함한다. 이들 키들 중의 1개가 눌러질 때, 해당 키의 ON 신호가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 및 CPU(1002)로 공급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1014)는 16-디지트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CPU(1002)의 제어하에서 선정된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는 장치의 주 본체(1001)의 각 유니트들에 대한 통전(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캐패시터형 2차 전지 등을 포함한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는 2차 전지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서만 구동될 수 있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는 판독기(1007)로부터의 원고 검출 신호, NCU(1010)으로부터의 인입 호출 신호, 또는 조작 유니트(1013)으로부터의 ON 신호 수신시 주 전원(1016)을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신호를 출력한다. 주 전원(1016)은 AC-입력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고, 스위칭 동작은 외부적으로 ON/OFF 제어될 수 있다. 주 전원(1016)은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로부터의 개시 또는 정지 신호에 따라서 전원을 개시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제15도는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제16도는 주 전원(1016)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 제17a도 내지 제17c도는 장치의 주 본체(1001)내의 CPU(1002)의 여러 스위치 유니트 및 주변 회로들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15도 내지 제17c도를 참조하면, 전원 라인 Vcc는 3개의 다른 전원 공급원 즉, 주 전원(1016), 태양 전지(1023) 및 상기 캐패시터형 2차 전지(1019)로부터의 +5V 라인을 연결한다. 이들 3개의 전원 공급원들의 우선 레벨은 그들의 전압, 역류 방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1022) 및 역류 방지 다이오드(1026)에 의해 결정되고, 주 전원(1016)으로부터의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1018) 및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1022)에 의해 약 48V로 셋트되고, 태양 전지(1023)으로부터의 전압은 4.6V로 셋트되며, 2차 전지(1019)로부터의 전압은(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4.5V로 셋트된다.
주 전원(1016)이 셋업될 때, 주 전원은 다이오드(1022 및 1026)의 방향성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우선도를 가지고, 주 전원(1016)은 2차 전지(1019)를 충전시키며, 라인 Vcc상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태양 전지(1023)은 저전위로 셋트되어 어떠한 전류도 공급하지 않는다. 주 전원(1016)이 동작중이지 않고 태양 전지(1023)이 전력을 공급중일 때, 즉, 광 에너지가 비록 주 전원(1016)이 동작중이지 않더라도 공급되고 있을 때, 만일 2차 전지(1019)의 전위가 태양 전지(1023)의 전위보다 높다면, 전력은 태양 전지(1023)으로부터 공급되지 않고 2차 전지(1019)로부터 라인 Vcc상으로 공급된다. 2차 전지(1019)의 전위가 태양 전지(1023)의 전위보다 낮을 때는, 태양 전지(1023)이 라인 Vcc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저항(1020)을 통해 2차 전지(1019)를 충전시킨다. 주 전원(1016) 및 태양 전지(1023)가 모두 동작중이지 않을 때는, 2차 전지(1019)가 라인 Vcc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제15도를 참조하면, 4-비트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1017)은 초저전력 소모로 동작할 수 있고, 내장 타이머 수단을 포함한다. 태양 전지(1023)이 전력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는 저항(1024 및 1025)에 의해 태양 전지 전위를 분압하고, 분압된 값을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2)로 입력시키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2차 전지(1019)로부터의 전압은 비교기(1027)에 의해 이 전압을 전압 안정 저항(1021)을 통해 RAM(1005)를 백업하는 1차 전지(1028)로부터의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검출된다. 비교기(1027)로부터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4)로 공급된다. 저항(1029 및 1030)이 1차 전지(1028)로부터의 전압을 분압하는데 사용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IC(1031)은 주 전원(1016)의 2차 측의 전압 Vac, 주 전원(1016)으로부터의 +5V의 전압 Vcc1 및 2차 전지(1019)로부터의 전압 Vcc2를 비교한다. 전압 Vcc1이 2V 이상일 때, IC(1031)의 C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로 된다. 전압 Vac가 2V 이거나 그보다 작아질 때, CE 출력 포트는 로우 레벨로 된다. CE 출력 포트로부터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1)로 공급된다. 전압 Vcc2가 3V이거나 그보다 작아질 때, IC(1031)의 R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리셋트 신호는 출력을 유지한다. 전압 Vcc2가 3V 이상이 될 때, R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RE 출력 포트로부터의 출력은 인버터 IC(1032) 및 OR 게이트 IC(1034)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RESET 포트로 공급된다. 이 출력은 또한 AND 게이트 IC(1071)(제17a도)를 통해 CPU(1002)의 RESET 포트로 공급된다.
NAND 게이트 IC(1033)은 훅킹 스위치(1060), 기계적 원고 검출 스위치(또는 판독 스위치)(1061)(제17b도), 호출 신호 검출 스위치(광결합기)(1064) 또는 수화기(제17c도)용 오프-훅 검출 스위치(광결합기)(1065)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IC(1033)으로부터의 출력은 IC(1034)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RESET 포트로 인가된다. 제17b도 및 제17c도의 전압 조정 저항(1062, 1063, 1066 및 1067)은 각각 스위치(1060, 1061, 1064 및 1065)에 접속되고, 제17c도의 모듈 잭(1069 및 1070)은 각각 스위치(1064 및 1065)에 접속된다.
시계 회로(timepiece circuit)(1035)는 시간을 셋트할 수 있고, RTC(Real-Time Clock; 실시간 클럭, 클럭 발생 수단의 명칭)를 포함한다. 시계 회로(1035)은 CPU(1002) 또는 마이크로컴퓨터(1017)에서 신호를 교환시킬 수 있고, 소정의 셋트 시간에 마이크로컴퓨터(1017)에 계획된 시간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3)이 하이 레벨일 때, 그것은 CPU(1002)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출력 포트(OUT1)로부터의 출력은 IC(1034)를 통해 주 전원(1016)에 인가된다.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출력 포트(OUT2)는 AND 게이트 IC(1071)을 통해 CPU(1002)에 리셋트 신호를 출력한다. 저항(1072)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주목하자.
제16도를 참조하면, AC 입력은 필터 회로(1040), 정류 회로(1041) 및 평활 회로(1042)를 통해 1차 및 2차 권선(1036 및 1038)을 갖는 절연 변압기(1039)에 인가되고, FET(1043)에 의해 스위치된다. IC(1044)는 변압기(1039)의 1차 측에서의 발진 제어를 수행하는데, 그 전원 전압 Vdd는 변압기(1039)에 감긴 보조 권선(1037)으로부터 공급된다. 변압기(1039)의 2차 측은 정류/평활 회로(1052 및 1053)을 통해 권선(1038)로부터의 +24V 및 +5V 의 전원 전압을 장치의 주 본체(1001)내에 있는 각각의 구성 유니트들에게 공급한다.
전류 검출 회로(1054) 및 과전압 검출 회로(1055)는 각각 광결합기(1056 및 1057)을 통해 그들의 출력을 IC(1044)에 피드백한다. IC(1044)는 2차 측에서의 전류에 기초하여 PWM 제어를 수행하고, 과전압이 검출될 때 IC(1044)는 전체 시스템을 차단시킨다.
제3 실시예에 사용되는 신호인 신호 PS는 광결합기(1045)를 통해 IC(1044)에 공급된다. 신호 PS가 하이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1046)가 엔에이블되어, 전류가 광결합기(1045)에 공급된다. 그 후, 광결합기(1045)는 전류-전압 변환을 수행하고, IC(10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이에 대응하여 IC(1044)의 출력 포트(OUT1)이 발진하고, 변압기(1039)의 1차 측이 FET(1043)을 통해 발진하여,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해서, 주 전원(1016)이 셋업되고, 그 동작이 개시된다. 신호 PS가 로우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1046)가 디스에이블되고, IC(1044)의 입력 포트(IN1)이 하이 레벨로 된다. 이에 따라 IC(1044)의 출력 포트(OUT1)이 로우 레벨로 되어, FET(1043)이 디스에이블된다. 이로써, 변압기(1039)의 1차 측에서의 발진이 중단되어 주 전원(1016)의 동작이 정지된다. 전원 장치는 또한 전류 제한 저항(1047, 1048, 1049, 1050 및 1051), 역류 방지 다이오드(1058) 및 전류 제한 저항(1059)를 포함한다. 광결합기(1045)는 또한 1차 및 2차 측 사이의 절연을 수행한다.
제17a도 내지 제17c도는 제14도의 각 유니트들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제17a도는 CPU(1002)의 주변 회로들을 도시하고, 제17b도는 조작 유니트(1013)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17c도는 NCU(10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제17a도 내지 제17c도를 참조하면, 지연 회로(1068)은 저항과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CPU(1002)의 초기화를 위해 필요한 시간만큼 그 입력 포트(I1 내지 I4)로 입력되는 신호를 지연시키고, 각각의 출력 포트(O1 내지 O4)로부터 지연 신호를 출력시킨다.
제18도 내지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은 제18도 내지 제21도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제18도는 FAX 대기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AC 입력이 개시될 때(단계 1101), 주 전원(1016)이 턴온 및 개시되어(단계 1102)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초기화를 개시시키고(단계 1103), CPU(1002)를 초기화시키고(단계 1104), 동시에, 2차 전지(1019)의 충전을 개시시킨다(단계 1105).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팩시밀리 장치는 대기 상태로 되고, 이 대기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2차 전지(2019)는 충전이 지속된다.
2차 전지(1019)의 충전의 완료시(단계 1106), 즉, 비교기(1027)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거나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내장 타이머가 1시간 경과를 측정하는 경우에 주 전원(1016)이 정지한다. 이 때, 전자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4)가 하이 레벨로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1017)은 그에 따라 CPU(1002)를 리셋트하고(단계 1107), 주 전원(1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1108). 그 후, 2차 전지(1019)와 태양 전지(1023)에 의해서만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1109). 동일하게, 후자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017)은 내장 타이머의 내용에 따라 CPU(1002)를 리셋트하고(단계 1109), 주 전원(1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 후, 2차 전지(1019) 및 태양 전지(1023)에 의해서만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1110). 어느 경우이든, 2차 전지(1019)는 태양 전지(1023)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잉여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단계 1111).
태양 전지(1023)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감소되고, 그 전압이 2.8 V와 같아지거나 그보다 낮아질 때(단계 1112), 2차 전지(1019)는 방전을 개시한다. 2차 전지(1019)로부터의 전압이 3V와 같아지거나 그보다 낮아질 때(단계 1113), IC(1031)의 RE 출력 포트는 로우 레벨로 되고, 상술된 신호 PS는 하이 레벨로 된다. 그러므로, 광결합기(1045)는 턴온되고, IC(10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입력포트(IN1)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IC(1044)의 출력 포트(OUT1)이 발진하고, 변압기(1039)의 1차 측이 FET(1043)을 통해 발진해서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016)이 개시된다(단계 1114). 이 동작 동안 CPU(1002)는 초기화되고, 2차 전지(1019)의 충전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차 전지(1019)는 FAX 대기 상태를 지속하면서 다시 충전된다. 그런 다음, 이 싸이클이 반복된다.
제19도는 FAX 대기 상태에서의 송신 인터럽트 루틴을 도시한다. 원고가 FAX 대기 상태에서 검출될 때(단계 1201), 훅킹 버튼(hooking button)이 눌러질 때(단계 1202),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될 때(단계 1203), 스위치(1061, 1060 및 1065)중의 해당 스위치가 턴온되고, 그 ON 신호가 지연 회로(1068)을 통해 CPU(1002)에 인가된다. 또한, ON 신호는 IC(1033, 1032 및 10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1017)를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인터럽트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1204).
광결합기(1045)가 턴온될 때, IC(1044)는 FET(1043)을 통해 1차 측을 발전시켜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016)이 개시된다(단계 1205). 주 전원(1016)이 활성화되는 동안, 2차 전지(1019)는 항상 충전된다(단계 1211). 이런 상태에서, 수신지 팩시밀리 장치에 호출이 이루어지고(단계 1206), 회선이 연결되면(단계 1207), 정상 팩시밀리 송신을 수행하도록 준비된다(단계 1208). 송신이 종료되고(단계 1209), 회선이 단절되면(단계 1210), CPU(1002)의 입력 포트(OUT1)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3)으로 입력될 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마이크로컴퓨터(1017)은 이에 따라 CPU(1002)를 리셋트하고,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세트시켜 주 전원(1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1212). 이러한 인터럽트의 완료시(단계 1213), FAX 대기 상태가 셋트되어, 흐름은 제18도의 코넥터 A로 복귀한다.
제20도는 FAX 대기 상태의 FAX 수신 인터럽트 루틴을 도시한다. 훅킹 버튼이 FAX 대기 상태에서 눌러질 때(단계 1301)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될 때(단계 1302), 스위치(1060 및 1065) 중의 해당 스위치가 턴온되어, 그 ON 신호는 지연 회로(1068)을 통해 CPU(1002)에 입력된다. 또한, ON 신호는 IC(1033, 1032 및 10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10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10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인터럽트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1304).
광결합기(1045)가 턴온되면, IC(1044)는 변압기(1039)의 1차 측을 FET(10
43)을 통해 발진시키고, 이에 의해 전력을 2차 측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016)이 개시된다(단계 1035). 반면, 호출 신호(CI)가 검출될 때(단계 1303), 스위치(1064)가 턴온되어, 그 ON 신호가 지연 회로(1068)을 통해 CPU(1002)에 인가된다. 또한, 동일하게 ON 신호는 IC(1033, 1032 및 10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10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10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인터럽트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1307). 광결합기(1045)가 턴온되면, IC(1044)가 FET(1043)을 통해 변압기(1039)의 1차 측을 발진시키고, 이에 의해 2차 측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1019)이 개시된다(단계 1308). 어느 경우이든 주 전원(1016)이 활성화되면, 2차 전지(1019)가가 항상 충전된다(단계 1313).
훅킹 버튼이 눌러지거나 수화기가 훅 오프되면, 수신지 팩시밀리 장치에 호출이 이루어지고(단계 1306), 회선이 연결되면(단계 1309) 정상 팩시밀리 송신이 수행된다(단계 1310). 호출 신호가 검출되면, NUC(1010)이 회선을 연결하여 자동 수신 모드로 팩시밀리 수신을 수행한다.
수신의 완료시(단계 1311), 회선이 단절되면(단계 1312), CPU(1002)의 출력 포트(OUT1)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3)에 입력될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된다. 이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017)은 CPU(1002)를 리셋트하고,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주 전원(1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1314). 이 인터럽트 동작의 완료시(단계 1315), FAX 대기 상태가 셋트되어, 흐름은 제18도의 코넥터 A로 복귀한다.
제21도는 FAX 대기 상태의 야간 충전 인터럽트 루틴을 도시한다. FAX 대기 상태에서, 제15도의 시계 회로(1035)에 의해 프리셋트된 시간(단계 1401), 즉, 오전 2:00(야간)에 시계 회로(1035)의 출력 포트(OUT)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되고,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5)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되어서 이러한 인터럽트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1402).
그후,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출력 포트(OUT1)이 하이 레벨로 되고, 신호 PS는 하이 레벨로 되며, 광결합기(1045)가 턴온된다. 이렇게 하여, IC(1044)의 출력 포트(OUT1)이 발진되고, 변압기(1039)의 1차 측은 FET(1043)를 통해 발진하여서 2차 측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런 다음, 주 전원(1016)이 개시된다(단계 1403). 이때, 2차 전지(1019)의 충전이 개시되고(단계 1404), CPU(1002)가 초기화된다(단계 1405). 이 기간 동안 FAX 대기 상태가 지속된다.
2차 전지(1019)의 충전이 상술한 대기 상태가 지속될 동안 완료되는 경우(단계 1406), 즉, 비교기(1027)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거나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내장 타이머가 1시간 경과를 측정하는 경우, CPU(1002)가 리셋트되어(단계 1407) 전원(1016)이 턴오프된다(단계 1408). 전자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017)의 입력 포트(IN4)가 하이 레벨로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1017)는 이에 따라 CPU(1002)을 리셋트하고, 주 전원(1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렇게하여 2차 전지(1019)와 태양 전지(1023)에 의해서만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나중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017)은 그 내장 타이머의 내용에 따라 CPU(1002)를 리셋트하여 주 전원(1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렇게하여 2차 전지(1019)와 태양 전지(1023)에 의해서만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이러한 인터럽트 동작은 종료되고(단계 1409), 흐름은 제18도의 코넥터 A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의 각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해 기술되었다. 제3 실시예는 전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장치의 주 본체(1001)내의 각 부분들의 에너지화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제어 장치(1015), 주 전원 제어 유니트(101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원(1016), 2차 전지(1019) 및 (필요하다면) 태양 전지(1023)을 포함하기 때문에,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의 0 W가 되게 셋트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이 자동 수신 기능을 위해 하루 종일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방사 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주 전원(1016)의 1차 측이 다수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이 실시예는 안전 규격에 관련된 제한과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가 시계 회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주 전원(1016)은 2차 전지(1019)를 충전하기 위한 소정의 셋트 시간 즉, 야간에 셋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주 전원(1016)의 셋업 동작에 관여할 필요가 없고, 2차 전지(1019)는 적은 전력 소모량으로 시간 범위내에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장치 본체내의 각 유니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원, 주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제어 유니트, 주 전원 제어 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차 전지와 태양 전지 및 시간을 셋트할 수 있는 시간 회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주 전원은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호출 신호, 외부 스위치 수단으로부터의 ON 신호 또는 시간 회로부터 계획된 시간 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1) 대기 상태시의 전력 소모는 거의 0 W로 셋트될 수 있고, 전력이 자동 수신 기능을 위해 하루 종일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극도로 감소될 수 있다.
(2) 방사 잡음의 발생이 효과 (1)에 의하여 방지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유해한 간섭이 방지된다.
(3) 주 전원이 1차 측이 다수의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안전 규격과 관련된 제한과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4) 사용자는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주 전원의 셋업 동작에 관여할 필요가 없다.
(5) 2차 전지는 적은 전력 소모량으로 시간 범위내에 충전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22도는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2도를 참조하면, 팩시밀리 장치의 장치 본체(200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CPU(중앙 처리 유니트)(2002)를 포함한다. CPU(2002)는 ROM(2003)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 장치의 시스템을 제어한다. 즉, 데이터를 판독/기록할 수 있는 RAM(2004), 불휘발성 RAM(2005), 문자 발생기(CG)(2006), 원고 판독기(2007), 기록기(2008), 모뎀(2009), 네트워크 제어 유니트(NCU)(2010), 조작 유니트(2013) 및 디스플레이 유니트(2014)를 제어한다.
RAM(2004)는 판독기(2007)에 의해 판독되는 2진 화상 데이터 또는 기록기(2008)에 의해 기록될 2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2004)에 저장된 2진 화상 데이터는 모뎀(2009)에 의해 변조되고, 변조된 데이터는 NCU(2010)를 통해 전화 회선(2011)상으로 출력된다. 또한, 전화 회선(201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파형 신호는 2진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 NCU(2010) 및 모뎀(2009)를 통해 복조되고, 복조된 2진 화상 데이터는 또한 RAM(2004)내에 저장된다.
불휘발성 RAM(2005)는 장치의 주 본체(2001)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도 단축된 다이얼 번호 데이터와 같은 보존될 데이터를 확실하게 저장한다. ROM(2003)은 CPU(2002)의 제어하에 JIS 코드, ASCⅡ 코드 등과 같은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선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2-바이트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판독기(2007)은 DAM 제어기, 화상 처리 IC, 화상 센서,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판독기(2007)은 CPU(2002)의 제어하에 접촉 센서(CS0를 이용함으로써 판독된 데이터를 2진화하고, 이 2진 데이터를 RAM(2004)에 순차적적으로 공급한다. 판독기(2007)상의 원고의 셋트 상태는 원고의 전달 경로에 설치된 기계적 원고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센서로부터의 원고 검출 신호는 주 전원(2016)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 및 CPU(2002)에 입력된다.
기록기(2008)은 DAM제어기, 잉크-제트 기록 장치, CMOS 논리 IC 등을 포함한다. 기록기는 CPU(2002)의 제어하에 RAM(2004) 내에 저장된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 데이터를 하드 카피로서 기록한다. 모뎀(2009)은 G3 및 G2 모뎀, 이들 모뎀에 접속된 클럭 발생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2009)은 G3 및 G2 모뎀, 이들 모뎀에 접속된 클럭 발생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2009)는 CPU(2002)의 제어하에 RAM(2004)내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NCU(2010)를 통해 전화 회선(2011)상으로 변조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모뎀(2009)는 NCU(2010)을 통해 전화 회선(2011)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얻어진 2진 데이터를 RAM(2004)에 저장한다.
NCU(2010)은 CPU(2002)의 제어하에 모뎀(2009) 또는 전화기 셋트(2012)로 전화 회선(2011)을 선택적으로 스위치한다. NCU(2010)은 호출 신호(CI)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갖는다. 호출 신호의 검출시, NCU(2010)은 인입 호출 신호를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 및 CPU(2002)에 공급한다.
전화기 셋트(2012)는 장치의 주 본체(2001)과 일체로 되고, 수화기, 음성 네트워크, 다이얼러, 텐-키 패드 또는 원-터치 키 등을 포함한다. 조작 유니트(2013)은 화상 송신, 수신 등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키, 송신/수신시 파인 모드, 표준 모드, 자동 수신 모드 등과 같은 동작을 지정하는 모드 선택 키, 다이얼링을 위한 텐-키 패드 또는 원-터치 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들 중 하나가 눌러지면, 해당 키의 ON 신호가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 및 CPU(2002)에 인가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2014)는 CPU(2002)의 제어하에 16-디지트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선정된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는 장치의 주 본체(2001)의 각 유니들에 통전(전력 공급)를 제어하고,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캐패시터형 2차 전지 등을 포함한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는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서만 구동될 수 있다.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는 판독기(2007)로부터의 원고 검출 신호, NCU(2010)으로부터 인입 호출 신호 또는 조작 유니트(2013)로부터의 ON 신호의 수신시 주 전원(2016)을 개시하기 위해 개시 신호를 출력한다. 주 전원(2016)은 AC-입력 스위칭 전원을 포함하고, 그 스위칭 동작은 외부적으로 ON/OFF 제어될 수 있다. 주 전원(2016)은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로부터의 개시 또는 정지 신호에 따라 전원을 개시 또는 정지한다.
인터페이스[센트로닉스(Centronics) I/F](2071)은 예를 들어, 외부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인가된 제어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들은 인터페이스(2071)을 통해 기록기(2008)에 인가되고, 기록기(2008)은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출력(print-out)(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제23도는 주 전원 제어 유니트(2015)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제24도는 주 전원(2016)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제25도는 장치의 주 본체(2001)에서 CPU(2002)의 다양한 스위치 유니트 및 주변 회로들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23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하면, 전원 라인 Vcc는 3개의 다른 전원 소스, 즉, 주 전원(2016), 태양 전지(2023) 및 상술 캐패시터형 2차 전지(2019)로부터의 +5V 라인을 접속한다. 이들 3개의 전원의 우선 레벨은 그들의 전압, 역류 방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2022) 및 역류 방지 다이오드(2026)에 의해 결정되고, 주 전원(2016)으로부터의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2018) 및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2022)에 의해 약 4,8V로 셋트되고, 태양 전지(2023)으로부터의 전압은 4.6 V로 셋트되며, 2차 전지(2019)로부터의 전압은 (완전히 충전된 경우) 4.5 V로 셋트된다.
주 전원(2016)이 셋업될 때, 이들 전원은 다이오드(2022 및 2026)의 방향성에 기인한 최우선 레벨을 갖고, 주 전원(2016)은 2차 전지(2019)를 충전시켜 라인 Vcc상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태양 전지(2023)은 저전위로 셋트되어, 어떤 전류도 공급하지 않는다. 주 전원(2016)이 동작하지 않고 태양 전지(2023)이 전력을 공급중일 때, 즉, 광 에너지가 비록 주 전원(2016)이 동작중이지 않더라도 공급되고 있을 때, 만일 2차 전지(2019)의 전위가 태양 전지(2023)의 전위보다 높다면, 전력은 태양 전지(2023)으로부터 공급되지 않고, 2차 전지(2019)로부터 라인 Vcc상에 공급된다. 2차 전지(2019)의 전위가 태양 전지(2023)의 전위보다 낮을 때, 태양 전지(2023)은 라인 Vcc상에 전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저항(2020)을 통해 2차 전지(2019)를 충전시킨다. 주 전원(2016) 및 태양 전지(2023)이 모두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2차 전지(2019)가 라인 Vcc상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23도를 참조하면, 4-비트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2017)이 초저전력 소모로 동작할 수 있고, 내장 타이머 수단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sI/O 터미널을 통해 CPU(2002)와 직렬 데이터를 교환한다. 태양 전지(2023)이 전력을 공급하는 지의 여부는 저항(2024 및 2025)에 의해 태양 전지(2023)의 전위를 분압하고,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2)에 분압값을 입력함으로써 결정된다. 2차 전지(2019)로부터의 전압은 전압 안정화 저항(2021)을 통해 비교기(2027)에서 RAM(2005)를 백업하는 1차 전지(2028)로부터의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검출된다. 비교기(2027)로부터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4)에 인가된다. 저항(2029 및 2030)은 1차 전지(2028)로부터 전압을 분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IC(2031)은 주 전원(2016)의 2차 측에서 전압 Vac, 주 전원(2016)으로부터의 +5V 전압 Vcc1 및 2차 전지(2019)로부터의 전압 Vcc2를 비교한다. 전압 Vcc1이 2V 보다 높아질 때에는, IC(2031)의 CE 출력 포트가 하이 레벨로 된다. 전압 Vac가 약 2V보다 낮거나 동일하게 될 때에는 CE 출력 포트가 로우 레벨로 된다. CE 포트로부터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1)에 인가된다. 전압 Vcc2가 3V보다 낮거나 동일하게 될 때에는 IC(2031)의 RE 출력 포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리셋트 신호 출력이 계속된다. 전압 Vcc2가 3V보다 높아질 때, RE 출력 포트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RE 출력 포트로부터의 출력은 인버터 IC(2032) 및 OR 게이트 IC(2034)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RESET 포트에 인가된다. 이 출력은 또한 AND 게이트 IC(2072)(제25도)를 통해 CPU(2002)의 RESET 포트에 인가된다.
NAND 게이트(2033)은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킹 스위치(2060), 기계적 원고 검출 스위치(또는 판독 스위치)(2061), 호출 신호 검출 스위치(광결합기)(2064) 또는 수화기를 위한 오프-훅 검출 스위치(광결합기)(2065)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IC(2033)으로부터의 출력은 IC(2034)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RESET 포트에 인가된다. 제25도의 전압 조정 저항(2062, 2063, 2066, 2067 및 2074)는 각각 제25도의 스위치(2060, 2061, 2064 및 2065) 및 스위치(2073)에 접속되고, 제25도의 모듈 잭(2069 및 2070)은 각각 스위치(2064 및 2065)에 접속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3)이 하이 레벨이면, 그것은 CPU(2002)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출력 포트(OUT1)로부터의 출력은 IC(2034)를 통해 주 전원(2016)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출력 포트(OUT2)는 AND 게이트 IC(2072)를 통해 CPU(2002)에 리셋트 신호를 출력한다. 저항(2035)가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24도를 참조하면, AC 입력은 필터 회로(2040), 정류 회로(2041) 및 평활 회로(2042)를 통해 1차 및 2차 권선(2036 및 2038)을 갖는 절연 변압기(2039)에 인가되고, FET(2043)을 통해 스위치된다. AC IC(2044)는 변압기(2039)의 1차 측에서 발진 제어를 수행하는데, 그 전원 전압 Vdd는 변압기(2039)에 감긴 보조 권선(2037)으로부터 공급된다. 변압기(2039)의 2차 측은 정류/평활 회로(2052 및 2053)을 통해 권선(2038)로부터의 +24V 및 +5V의 전원 전압을 장치의 주 본체(2001)내에 있는 각각의 유니트들에 공급한다.
전류 검출 회로(2054) 및 과전압 검출 회로(2055)는 그들의 출력을 각각 광결합기(2056 및 2057)을 통해 IC(2044)로 피드백한다. IC(2044)는 2차 측의 전류에 기초하여 PWM 제어를 수행하고, 과전압이 검출될 때 IC(2044)는 전체 시스템을 차단시킨다.
제4 실시예에 사용될 신호인 신호 PS 는 광결합기(2045)를 통해 IC(2044)에 인가된다. 신호 PS가 하이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2046)이 엔이블되고, 전류는 광결합기(2045)에 공급된다. 그 후, 광결합기(2045)는 전류-전압 변환을 수행하고,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이에 따라 IC(2044)의 출력 포트 OUT1이 발진하고, 변압기(1039)의 1차 측이 FET(2043)을 통해 발진하여 2차 측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하여, 주 전원(2016)이 셋업되고, 동작이 개시된다. 신호 PS가 로우 레벨이면, 트랜지스터(2046)은 디스에이블되고,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된다. IC(2044)의 출력 포트(OUT1)은 이에 따라 로우 레벨로 되므로, FET(2043)은 디스에이블된다. 이렇게 하여, 변압기(2039)의 1차 측에서의 발진이 중지되어, 주 전원(2016)은 그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전원 장치는 전류 제한 저항(2047, 2048, 2049. 2050, 2051)들, 역류 방지 다이오드(2058), 및 전류 제한 저항(2059)를 포함한다. 광결합기(2045)는 또한 1차 측과 2차 측 사이의 절연을 수행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25도를 참조하면, 지연 회로(2068)은 저항과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입력 포트(I1 내지 I4)들에 입력된 신호들을 CPU(2002)의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신호들을 출력 포트(O1 내지 O4)들로부터 각각 출력시킨다. 모드 선택 스위치(2073)은 FAX 모드와 인쇄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데 사용된다. 동작시, 즉 스위치가 눌려지면,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6)에 입력되어,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FAX 모드와 인쇄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를 스위칭시킨다. 퍼스널 컴퓨터(2075)는 상기 외부 터미널 장치로서 인터페이스(2071)을 통해 기록기(2008)에 접속된다.
제26도 내지 제29b도는 이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이 실시예의 동작에 대한 제26도 내지 제29b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하기로 한다.
제26도는 FAX 대기 상태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AC 입력이 개시되면(단계 2101), 주 전원(2016)은 턴온되고 개시되어(단계 2102), 마이크로컴퓨터(2017)을 초기화시키며(단계 2103), CPU(2002)를 초기화시키고(단계 2104), 동시에 2차 전지(2019)를 충전시킨다(단계 2105).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초기화가 완료시에, 팩시밀리 장치는 FAX 또는 인쇄 대기 상태로 셋트되고, 이러한 대기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에, 2차 전지(2019)는 계속 충전된다.
2차 전지(2019)의 충전 완료시에(단계 2106), 즉 비교기(2027)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거나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내부 타이머가 1시간 경과를 측정하면, 주 전원(2016)은 정지된다. 이 시점에서,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4)가 하이 레벨로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출력 포트(OUT20를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이에 따라 CPU(2002)가 리셋트되고(단계 2107), 출력 포트(OUT1)을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신호 PS가 로우 레벨로 셋트된다. 이렇게 하여, 트랜지스터(2046)은 디스에이블 되고, 광결합기(2045)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되고, IC(2044)는 출력 포트(OUT1)의 발진을 중지시켜 2차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시키므로, 주 전원(2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2108). 이렇게 하여, 2차 전지(2019)와 태양 전지(2023)만에 의해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2109)
동일하게, 후자의 경우에,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내부 타이머(2107)의 내용에 따라 CPU(2002)를 리셋트하고, 출력 포트(OUT1)를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트랜지스터(2046)이 디스에이블되고, 광결합기(2045)가 턴오프된다. 그 결과,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되고, IC(2044)는 출력 포트(OUT1)의 발진을 중지시켜 2차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시키므로, 주 전원(20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2108). 그 다음에 2차 전지(2019)와 태양 전지(2023)만에 의해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2109 및 2110). 어느 경우에든, 2차 전지(2019)는 태양 전지(2023)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잉여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태양 전지(202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이 감소하여 전압이 2.8 V이거나 그 이하가 될 때(단계 2112), 2차 전지(2019)는 방전을 개시한다. 2차 전지(2019)로부터의 전압이 3V이거나 그보다 작아질 때(단계 2113), IC(2031)의 RE 출력 포트는 로우 레벨로 되고, 상기 신호 PS는 하이 레벨로 된다. 그러므로, 광결합기(2045)가 턴온되고,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입력 포트(IN1)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IC(2044)의 출력 포트(OUT1)이 발진하고, FET(2043)을 통해 변압기(2039)의 1차 측이 발진하므로, 2차 측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2016)이 개시된다(단계 2114). 이 동작 동안에, CPU(2002)는 초기화되고(단계 2104), 2차 전지(2019)의 충전이 개시된다(단계 2105). 이러한 방식으로, 2차 전지(2019)는 FAX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안 다시 충전된다. 그 다음에, 이러한 싸이클이 반복된다.
제27도는 FAX 대기 상태에서의 FAX 송신 인터럽션 루틴을 도시한다. 원고 용지가 FAX 대기 상태에서 검출될 때(단계 2201), 훅킹 버튼이 눌러질 때(단계 2202),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될 때(단계 2203), 스위치(2061, 2060 및 2065)들 중의 해당 스위치가 턴온되고, ON 신호가 지연 회로(2068)을 통해 CPU(2002)로 공급된다. 또한, ON 신호는 IC(2033, 2032 및 20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20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20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하여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2204).
광결합기(2045)가 턴온될 때, IC(2044)는 FET(2043)을 통해 1차 측을 발진시켜 2차 측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2016)이 셋업되어 2차 측의 충전이 개시된다(단계 2205). 주 전원(2016)이 활성 상태인 동안에, 2차 전지(2019)는 항상 충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신지 팩시밀리 장치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고(단계 2206), 회선이 연결되면(단계 2207), 정상적인 팩시밀리 송신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단계 2208). 송신이 종료되고(단계 2209) 회선이 단절될 때(단계 2210), CPU(2002)의 출력 포트(OUT1)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3)으로 입력된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그에 대응하여 CPU(2002)를 리셋트하고, 출력 포트(OUT1)을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트랜지스터(2046)은 디스에이블되고, 광결합기(2045)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되고, IC(2044)는 출력 포트(OUT1)의 발진은 중지되어 2차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시키므로, 주 전원(2016)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2차 전지의 충전을 종료시킨다(단계 2212). 이러한 인터럽션의 완료시에(단계 2213), FAX 대기 상태가 셋트되고, 흐름은 제26도의 코넥터 A로 복귀된다.
제28도는 FAX 대기 상태에서의 FAX 수신 인터럽션 루틴을 도시한다. FAX 대기 상태에서 훅킹 버튼이 눌러질 때(단계 2301),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될 때(단계 2302), 스위치(2060 및 2065) 중 해당 스위치가 턴온되고, ON 신호가 지연 회로(2068)을 통해 CPU(2002)로 입력된다. 또한 ON 신호는 IC(2033, 2032 및 20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20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20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이 개시된다(단계 2304).
광결합기(2045)가 턴온될 때, IC(2044)는 FET(2043)을 통해 변압기(2039)의 1차 측을 발진시키므로, 2차 측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2016)이 셋업되고, 2차 측의 충전도 개시된다(단계 2305). 한편, 호출 신호(CI)가 검출될 때(단계 2303), 스위치(2064)가 턴온되고, ON 신호가 지연 회로(2068)을 통해 CPU(2002)로 공급된다. 또한, ON 신호는 동일하게 IC(2033, 2032 및 2034)를 통해 신호 PS로서 광결합기(2045)를 턴온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2017)을 리셋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이 개시된다(단계2307). 광결합기(2045)가 턴온될 때, IC(2044)는 FET(2043)을 통해 변압기(2039)의 1차 측을 발진시키므로, 2차 측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주 전원(2016)이 셋업되고, 2차 측의 충전도 개시된다(단계 2308). 어느 경우이든, 주 전원(2016)이 활성 상태 동안, 2차 전지(2019)는 계속 충전된다.
훅킹 버튼이 눌러질 때 또는 수화기가 훅 오프될 때, 수신지 팩시밀리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고(단계 2306), 회선이 연결될 때(단계 2309), 정상적인 팩시밀리 수신이 수행된다(단계 2310). 호출 신호가 검출될 때 NCU(2010)은 회선을 포착하고, 자동 수신 모드로 팩시밀리 수신을 수행한다.
수신 종료시(단계 2311), 회선이 연결되지 않을 때(단계 2312), CPU(2002)의 출력 포트(OUT1)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입력 포트(IN3)으로 입력될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된다. 이 신호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CPU(2002)를 리셋트하고,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주 전원 장치(2016)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2차 전지의 충전을 종료시킨다(단계 2314). 이러한 인터럽션 동작의 완료시(단계 2315), FAX 대기 상태가 셋트되고, 흐름은 제26도의 코넥터 A로 되돌아 간다.
제29a도 및 제29b도는 FAX 대기 상태의 인쇄 모드와 관련된 인터럽션 루틴을 도시한다. 퍼스널 컴퓨터(2075)는 이 실시예의 장치에 연결되고, 이 장치는 FAX 모드의 대기 상태로 셋트되며, 만약 인쇄 명령이 퍼스널 컴퓨터(2075)에 의해 실행되면, 인터페이스(2071)(제25도)의 INT 포트로부터의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단계 2401), 인터럽션이 개시된다(단계 2402). 이렇게 하여, 장치의 주 본체(2001)은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명령에 따라 인쇄 모드로 시프트된다(단계 2403).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출력 포트(OUT1)을 하이 레벨로 셋트하여 광결합기(2045)를 턴온시키고,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입력 포트(IN1)은 레벨에 따라, IC(2044)의 출력 포트(OUT1)은 발진되고, 변압기(2039)의 1차 측은 FET(2043)을 통해 발진되므로, 전력을 2차 측에 공급한다. 그 결과, 주 전원(2016)은 셋업되고, 2차 전지의 충전은 개시된다(단계 2404).
주 전원(2016)은 셋업되고, CPU(2002)는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출력 포트(OUT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초기화된다(2405). 이러한 초기화의 완료시에,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인쇄 명령이 퍼스널 컴퓨터(2075)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sI/O 포트로부터 CPU(2002)로 공급한다. 그러므로 CPU(2002)는 기록기(2008)을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207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들을 기록한다(단계 2406 및 단계 2407). 기록의 완료시에(단계 2408), CPU(2002)는 퍼스널 컴퓨터(207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인쇄 동작이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sI/O 포트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2017)로 공급한다. CPU(2002)는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출력 포트(OUT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리셋트되고(단계 2409),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출력 포트(OUT1)을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신호 PS를 로우 레벨로 셋트한다. 그 결과, 광결합기(2045)는 터오프되고,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된다. 입력 포트(IN1)의 레벨에 따라, IC(2044)는 출력 포트 OUT1의 발진을 중지시키고, 1차 측은 FET(2043)을 통해 발진을 중지시키므로, 2차 측으로의 전력 공급을 중지한다. 그 다음에, 주 전원(2016)은 동작이 정지되고, 2차 전지의 충전은 종료된다(단계 2410). 장치의 주 본체(2001)은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명령에 따라 FAX 모드로 시프트되고(단계 2411), FAX 대기 상태로 셋트된다(단계 2412). 이러한 인터럽션의 완료시에 (단계2413), 흐름은 제26도의 코넥터 A로 복귀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2073)이 FAX 모드의 FAX 대기상태로 눌러지면(단계 2414), 인터럽션은 개시되고(단계 2415), 장치의 주 본체(2001)은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명령에 따라 인쇄 모드로 시프트된다(단계 2416). 이렇게 하여, 장치 본체(2001)은 인쇄 대기 상태로 셋트된다(단계 2417). 인쇄 명령이 인쇄 대기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2075)에 의해 실행되면, 인터페이스(2071) INIT 포트로부터의 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단계 2418),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출력 포트(OUT1)을 하이 레벨로 셋트하여 광결합기(2045)을 턴온시킨다. 그 결과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로우 레벨로 된다. 입력 포트(IN1)의 레벨에 따라, IC(2044)의 출력 포트(OUT1)은 발진하고, 변압기(2039)의 1차 측은 FET(2043)을 통해 발진되므로, 전력을 2차 측에 공급한다. 그 다음에 주 전원(2016)은 셋업되고, 2차 전지(2019)의 충전은 개시된다(단계 2419).
주 전원(2016)은 셋업되고, CPU(2002)는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출력 포트(OUT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초기화된다(2420). 이러한 초기화의 완료시에,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인쇄 명령이 퍼스널 컴퓨터(2075)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sI/O 포트로부터 CPU(2002)로 공급한다. 그러므로, CPU(2002)는 기록기(2008)을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207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들에 따라 기록을 수행한다(단계 2421 및 단계 2422). 기록의 완료시에(단계 2423), CPU(200
2)는 퍼스널 컴퓨터(207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인쇄 동작이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sI/O 포트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2017)로 공급한다. CPU(2002)는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출력 포트(OUT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리셋트되고(단계 2424), 마이크로컴퓨터(2017)은 출력 포트(OUT1)을 로우 레벨로 셋트하여 광결합기(2045)를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IC(2044)의 입력 포트(IN1)은 하이 레벨로 된다. 입력 포트(IN1)의 레벨에 따라, IC(2044)는 출력 포트(OUT1)의 발진을 중지시키고, 변압기(2039)의 1차 측은 FET(2043)을 통해 발진을 중지시키므로, 2차 측으로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킨다. 그 다음에 주 전원(2016)은 동작이 정지되고, 2차 전지의 충전이 종료된다(단계 2425). 장치의 주 본체는 인쇄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2073)이 인쇄 대기 상태로 눌러지면(단계 2426), 장치의 주 본체(2001)은 마이크로컴퓨터(2017)의 명령에 따라 FAX 모드로 시프트되고, FAX 대기 모드로 셋트된다. 인터럽션은 종료되고, 흐름은 제26도의 코넥터 A로 복귀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주 전원(2016)이 활성 상태인 동안에 2차 전지(2019)은 동시에 충전된다.
이 실시예의 장치의 각각의 상태들의 동작이 기술된다. 제4 실시예는 전력 공급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장치의 주 본체(2001)내의 각각의 유니트들에 대한 통전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공급 제어 유니트(2015), 이 주 전원 공급 제어 유니트(201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원(2016), 2차 전지(2019), 및 (가능하다면) 태양 전지(2023)을 포함하기 때문에, 대기 상태시의 전력 소모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0W로 셋트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이 자동 수신 기능을 위해 하루 종일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고, 방사 잡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주 전원(2016)의 1차 측이 다수의 수단들에 의해 직접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이 실시예는 안전 규격과 관련된 제한에 상관없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인쇄 기능에 대해서는, 주 전원 공급 제어 유니트(2015)가 FAX 모드와 인쇄 모드 사이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동작 모드는 주 전원(2016)이 활성 상태가 아닐 때에도 스위칭될 수 있다.
더욱이, 인터페이스(2071)이 배열되기 때문에, 모드 스위칭 제어는 퍼스널 컴퓨터(2075)와 같은 외부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기록기(2008)은 입력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장치의 주 본체의 각각의 구성 유니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원, 이 주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전원 제어 유니트, 이 주 전원 제어 유니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차 전지 및 태양 전지, 그리고 외부 터미널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주 전원은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호출 신호, 외부 스위치 수단으로부터의 ON 신호, 또는 외부 터미널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의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1) 대기 상태시의 전력 소모가 거의 0W로 셋트될 수 있고, 전력이 자동 수신 기능을 위해 하루 종일 소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2) 방사 잡음의 발생이 효과 (1)로 인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나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3) 주 전원의 1차 측이 다수의 수단들에 의해 직접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이 실시예는 안전 규격과 관련된 제한에 상관없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추가 기능으로서의 인쇄 기능에 대해서는, 다음의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4) 주 전원 제어 유니트가 FAX 모드와 인쇄 모드 사이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동작 모드는 주 전원이 활성 상태가 아닐 때에도 스위칭될 수 있다.
(5). 제4 실시예의 장치는 주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기록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터미널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FAX 모드로부터 인쇄 모드로 시프트되고, 기록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터미널 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을 수행하며, 장치는 기록의 완료시에 인쇄 모드에서 FAX 모드로 시피트도어 대기 상태로 셋트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치가 FAX 대기 상태일 때에도, 기록은 외부 터미널 장치의 명령에 의해서만 개시될 수 있다.
(6) 인쇄 모드에서 대기 상태시의 전력 소모가 거의 0W 이기 때문에, 전력이 인쇄 대기 상태시에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력 손실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7) 방사 잡음의 발생이 효과 (6)으로 인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전자 장치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