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0147149B1 -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149B1
KR0147149B1 KR1019950018258A KR19950018258A KR0147149B1 KR 0147149 B1 KR0147149 B1 KR 0147149B1 KR 1019950018258 A KR1019950018258 A KR 1019950018258A KR 19950018258 A KR19950018258 A KR 19950018258A KR 0147149 B1 KR0147149 B1 KR 014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ing
optical system
inner housing
system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897A (ko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1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149B1/ko
Publication of KR97000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1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충돌 위험시 각종 전자센서를 이용하여 차내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여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자동차 충돌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레이저와 광학계의 광축을 전방차량의 영역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상하 각도 조절수단과 좌우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에 과한것으로, 종래의 장치는 좌우의 각도 조절장치가 없어 광축을 정렬하는데 정확한 조정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상하각도 조절수단은 물론 좌우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각 방향에 대한 조절을 정확하고 쉽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제1도 (a)는 종래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의 평면도.
(b)는 종래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의 정면도.
제2도 (a)는 본 발명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의 평면도.
(b)는 본 발명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수광부 2 : 광학발광부
3 : 상,하 각도 조절핀 4 : 좌,우 각도 조절핀
5,6 :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 7,8 : 상하각도 조절용 기구볼
9 : 전자 회로부 10 : 내부하우징
11 : 장착판 12 : 판넬
20 : 외부하우징
본 발명은 차량충돌 위험시 각종 전자센서를 이용하여 차내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여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자동차 충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와 광학계의 광축을 전방차량의 영역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상하각도 조절수단과 좌우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충돌방지장치는 자동차 운전자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경보음을 통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예고하는 시스템이며,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레이저 다이어드와 각종 광학부품을 사용하고 전자회로를 통하여 주행시에 위험한 근접거리에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여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자동차 전방 광학계 시스템의 조립상태는 제1도(a,b)로 나타낼 수 있는바, 내부하우징(10)은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광학발광부(1) 및 광학수광부(2)와 전자회로부(9)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그 외각으로 상하각도 조절을 위한 상하각도 조절용 판넬(12')이 부착한다. 또한 내부하우징(10)과 상하각도 조절용 판넬(12')은 상하각도 조절핀(3')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각도조절은 내부하우징(10)의 좌우측면에 장착된 상하각도 조절핀(3')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좌우의 각도 조절장치가 없어 광축을 정렬하는데 정확한 조정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상하각도 조절수단은 물론 좌우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토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광학발광부 및 광학수광부와 후면에 전자회로부를 포함한 내부하우징의 상하에는 내부하우징을 회전지지하는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을 형성하고, 외각에 형성된 판넬의 좌우양측에는 외부하우징에 끼움결착되어 내부하우징을 회전지지하는 상하각도 조절용 기구볼을 형성하며, 외부하우징의 평면과 좌측면에는 내부하우징과 나사결합되어 상하 및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상하각도 조절핀 및 좌우각도 조절핀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a,b)는 본 발명의 평면도 및 정면도로써,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광학발광부(1) 및 광학수광부(2)와 후면에 전자회로부(9)를 포함한 내부하우징(10)의 상하에는 내부하우징을 회전지지하는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5,6)을 형성하고, 외각에 형성된 판넬(12)의 좌우양측에는 외부하우징(20)에 끼움결착되어 내부하우징을 회전지지하는 상하각도 조절용 기구볼(7,8)을 형성하며, 외부하우징(20)의 평면과 좌측면에는 내부하우징(10)과 나사결합되어 상하 및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상하각도 조절핀(3) 및 좌우각도 조절핀(4)을 형성하며, 외부하우징(20)은 장착판(11)을 통해 본체와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먼저 내부하우징(10)에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광학발광부(1)와 광학수광부(2)를 탑제하고 그 후면에 상기 발광광학부(1) 및 광학수광부(2)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부(9)를 장착시킨다. 한편 외부하우징(20)에는 상하에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7,8)을 형성하고 판넬(12)을 사이에 두고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5,6)이 외부하우징(20)에 끼움결착되어 있으며, 평면상에는 상하각도 조절핀(3)에 결합되고, 좌측면에는 좌우각도 조절핀(4)을 형성시킨다. 이후 내부하우징(10)을 외부하우징(20)에 결합시켜 본 발명의 구성을 완성한다.
이어 동작방법을 살펴보면,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5,6)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하우징(10)이 좌우로 회전토록 좌우각도 조절핀(4)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우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하의 각도조절은 상하각도 조절용 기구볼(7,8)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하우징(10)이 상하로 회전토록 상하각도 조절핀(3)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의 각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좌우각도 조절핀은 수직방향으로, 상하각도 조절핀은 수평방향으로 약간의 흠이 형성되 있어 상호 회전에 대한 움직임을 보정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하각도 조절수단은 물론 좌우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각 방향에 대한 조절을 정확하고 쉽게할 수 있다.

Claims (1)

  1.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광학발광부 및 광학수광부와, 후면에 전자회로부를 포함한 자동차용 전방광학계 조절장치에 있어서, 내부하우징(10)의 상하에는 내부하우징을 회전지지하는 좌우각도 조절용 기구볼(5,6)을 형성하고, 외각에 형성된 판넬(12)의 좌우양측에는 외부하우징(20)에 끼움결착되어 내부하우징을 회전지지하는 상하각도 조절용 기구볼(7,8)을 형성하며, 외부하우징(20)의 평면과 좌측면에는 내부하우징(10)과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및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상하각도 조절핀(3) 및 좌우 각도 조절핀(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KR1019950018258A 1995-06-29 1995-06-29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4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258A KR0147149B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258A KR0147149B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97A KR970000897A (ko) 1997-01-21
KR0147149B1 true KR0147149B1 (ko) 1998-10-01

Family

ID=1941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258A Expired - Fee Related KR0147149B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1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97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6563A (en) Side view mirror attachment for motor vehicle
US4760499A (en) Adjustable automobile headlight assembly
US6275145B1 (en) Apparatus to help prevent temporary blinding of drivers
US5237458A (en) Device for adjusting automobile side view mirror
JPH09506059A (ja) 歪みなし死角確認ミラー
JP3191699B2 (ja) レーザレーダの取付け構造
KR0147149B1 (ko) 자동차 충돌방지장치의 광학계 조절장치
JP2003104126A (ja) 車両室内監視装置
JPH0715789Y2 (ja) 車両用表示装置
KR930000116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170089660A (ko) 자전거용 백미러
JP2021102402A (ja) 作業車両
KR200142453Y1 (ko) 신호확인장치
JP3605864B2 (ja) 産業車両のランプ取付構造
KR0143924B1 (ko) 광파이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사이드미러 반사각 자동 조정장치
JPS5828925Y2 (ja) 自動車用視認装置
KR100210940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JP2001063464A (ja) 建設機械
JP3049192U (ja) 固定式サイドミラー
EP0443990A1 (en) Driving mirror for motor vehicles, and generally transportation means, with a two-face surface for dual viewing purposes
JPH0226085Y2 (ko)
JPS62981Y2 (ko)
JPH044485Y2 (ko)
JPH02258471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S63431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