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WO2020171328A1 -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71328A1
WO2020171328A1 PCT/KR2019/011719 KR2019011719W WO2020171328A1 WO 2020171328 A1 WO2020171328 A1 WO 2020171328A1 KR 2019011719 W KR2019011719 W KR 2019011719W WO 2020171328 A1 WO2020171328 A1 WO 20201713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ct
sticker
push rod
rod assembly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7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민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86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675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865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675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JP202154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63530B2/ja
Priority to CN201980092273.4A priority patent/CN113439318A/zh
Priority to EP19915986.4A priority patent/EP3929956B1/en
Priority to US17/431,779 priority patent/US11875956B2/en
Publication of WO20201713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713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015Means for testing or for inspecting contacts, e.g. wear indic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62Testing or measuring non-electrical properties of switches, e.g. contact veloc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01H2071/044Monitoring, detection or measuring systems to establish the end of life of the switching device, can also contain other on-line monitoring systems, e.g. for detecting mechanical fail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and a vacuum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 a vacuum circuit breaker is an electrical protector that protects load devices and lines from accidental currents in case of accidents such as short circuits or ground faults occurring in electric circuits using the dielectric strength of vacuum.
  • the vacuum circuit breaker controls power transport and protects the power system.
  • the vacuum circuit breaker has a large breaking capacity and high reliability and safety. And since the vacuum circuit breaker can be mounted in a small installation space, it can be easily applied from medium voltage to high voltage.
  • the vacuum interrupter includes a vacuum interrupter that blocks current, a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power to the vacuum interrupter, and a push rod that makes a vertical reciprocation motion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close or close a contact in the vacuum interrupter.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60348 (registration date 2018. 05.16) discloses a vacuum interrupter of a vacuum circuit breaker.
  • the conventional vacuum interrupter includes an insulating container, a fixed electrode, a movable electrode, and an arcing shield.
  • the fixed electrode has a fixed contact
  • the movable electrode has a movable contact 170. Then, the movable contact contacts or separates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electro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breaker capable of monitoring the amount of wear of a contact inside a vacuum interrupter and a vacuum breaker including the s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capable of detecting a contact wear amount that is a displac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using a photo sensor having a sensing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acuum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electrode fixed in an insulating container, a fixed contact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xed electrode, a movable electrode installed in the insulating container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isposed at one end of the movable electrode.
  •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breaker having a vacuum interrupter comprising a movable contact contacted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nd a push rod assem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electrode to raise or lower the movable electrode
  • the A vacuum including a discrimination stick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rod housing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a sensor assembly adjacent to the push rod assembly and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having a sens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moving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assembly may b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be disposed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may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having different reflectances.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that are dispos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whose reflectance is changed step by step.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be disposed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may be formed in a gradation shape in which reflectance is gradually changed.
  • the sensor assembly may include a photo sensor modul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the photo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emits light toward the discrimination sticker, the It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a circuit unit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 the sensor assembly is adjacent to the push rod assembly and accommodates the photo sensor module, and one side toward the push rod assembly is opened,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exposed to the opened side, and the main circuit unit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one side to support the sensor holder.
  • the sens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contact wear amount of the vacuum interrupter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ircuit unit with a pre-stored reference value.
  • the determination unit is, if the contact wear amoun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unit is greater than a pre-stored threshold, the contact point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wear is a limit value, and a notification signal can be output.
  • the determination unit is less than a pre-stored threshold amount of contact wea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wear amount is a threshold value, and a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electrode fixed in an insulating container, a fixed contact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xed electrode, a movable electrode installed in the insulating container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movable electrode.
  • a vacuum interrupter disposed on and including a movable contact contacted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 main circuit unit having a housing accommodating the vacuum interrupter, a push ro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electrode and raising or lowering the movable electrode
  • a vacuum circuit breaker including an assembly and a sensor assembly adjacent to the push rod assembly and having a sensing direction different from a moving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assembly may b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 the vacuum breaker further includes a discrimination stick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rod housing of the push rod assembly.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be disposed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may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having different reflectances.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that are dispos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whose reflectance is changed step by step.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be disposed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nd may be formed in a gradation shape in which reflectance is gradually changed.
  • the sensor assembly includes a photo sensor modul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the photo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emits light toward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the discrimination sticker
  • a photo sensor having a light receiving unit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discrimination sticker, and a circuit unit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can determine an appropriate maintenance time by monitoring the wear amount of the contact in real time using a photo sensor.
  •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breaker can determine the contact wear amount before the contact wear amount proceeds above the threshold value using a photo sensor, th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vacuum breaker can be improved.
  •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can detect a wear amount of a contact having a displac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using a photo sensor having a sensing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contact wear amount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maintenance time.
  • 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cuum circuit breaker to which a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hoto sensor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rimination sticker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rimination sticker of a cont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rimination sticker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7.
  •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top (or lower)" of the component or the “top (or lower)” of the component, the arbitrary component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 each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 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cuum circuit breaker to which a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hoto sensor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rimination sticker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B)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main circuit portion (100)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A), the contact wear of the vacuum interrupter (130) Watch.
  • the vacuum circuit breaker (A) includes a main circuit unit 100 including a vacuum interrupter 130, a push rod assembly 200 and a main shaft 300 for transmitting power to a contact point of the vacuum interrupter 130, and a driving force. It generates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300 and includes a mechanism assembly 400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 the main circuit unit 100 has a vacuum interrupter 13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 the vacuum interrupter 130 includes an insulating container 132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a fixed electrode 134 fix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container 132, and a fixed contact 134a provided at an end of the fixed electrode 134. ), and a movable electrode 136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insulating container 132, and a movable contact 136a provided at an end of the movable electrode 136.
  • an arc shield 132a forming a vacuum is accommodated, and the arc shield 132a is formed between the fixed electrode 134 and the fixed contact 134a, the movable electrode 136 and the movable contact 136a. Wrap around The movable contact 136a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34a by the movable electrode 136 (in the inserted state)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134a (in the cut-off state). The movable electrode 136 is raised or lowered by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push rod assembly 200 inserts or blocks the movable electrode 136.
  • the push rod assembly 200 is composed of several shafts and springs that transmit the power of the main shaft 300 to the movable electrode 136.
  •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ontact monitoring device 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rod housing 210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main shaft 3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main shaft 300 is connected to the mechanism assembly 400 to transmit power generated from the mechanism assembly 400 to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B includes a sensor assembly 500 installed under the main circuit unit 100 and a load housing 210. It includes a discrimination sticker 700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ensor assembly 500 includes a photo sensor module 51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a sensor holder 530 accommodating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nd the sensor holder 530 as a main circuit unit 100 ) And a sensor bracket 550 coupled to the lower side.
  • the sensor assembly 500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 the photosensor module 51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512 and a light receiving unit 514, and a circuit unit 516 processing signals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51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514.
  • the light emitting part 5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514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part 516.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install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5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514 face the housing 110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The meaning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a type of optical sensor that emit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512 and senses the amount of light returned by the emitted light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by the light receiving unit 514.
  • the generated current increases as the amount of reflected and returned light increases. Since the photo sensor module 510 detect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512 is reflected and incident,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and incident to the light receiving unit 514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ncreases. As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decreases, the photocurrent decreases,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photo sensor module 510 can be known.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emits ligh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becomes the sensing direction.
  • the photosensor module 510 may sense a moving displacem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nsing direction.
  • the circuit unit 516 may process the photocurrent and output a signal to the outside.
  • the output signal becomes smaller or larg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sensed, and the amount of light varies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Therefore, i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unit 516 is processed, the resulting displacement can be calculated.
  • the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unit 516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ata process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or an administrator's smart terminal.
  •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or may be provided in an external data processing device or a smart terminal.
  • the determination unit may process the output signal of the circuit unit 516 and compare it with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value, and then determine the contact wear amount of the vacuum interrupter 130.
  • the sensor holder 530 accommodates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sensor holder 530 may have a box shape with one side open.
  • the light emitting part 5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514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re exposed to the open side of the sensor holder 530.
  • the sensor holder 53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532 coupled to the sensor bracket 550 on the open side and the other side or side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
  • the coupling part 53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into which a bolt is inserted.
  • the sensor holder 530 may have a frame shape such as a'b' shape, a'b' shape, and a'c' shape instead of a box shape i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inserted and not separated.
  • the sensor bracket 550 is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ain circuit part 100.
  • the sensor bracket 550 is not limited to its shape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sensor holder 530.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ust face the rod housing 210. Therefore, the sensor bracket 550 has an inverted'L' shape, and the sensor holder 530 is coupled to a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using 110 of the main circuit unit 100.
  •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sensor holder 53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o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sensor bracket 550.
  • the sensor bracket 550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holder 530 and the housing 110 by bolting or the like.
  • the sensor holder 530 and the sensor bracket 550 are separately provided as an example.
  • one fixing means may be used.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nstalled in this way is used to measure a displaceme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nsing direction using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 stick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housing 21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ttach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include a part of one end being white, a part of another end being black, and a region between the white region and the black region having a gray color that gradually darkens or fades. That is,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have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the color (or contrast) is gradually changed from white to gray to black, or from black to gray to white. As described above, regions of different colors or contrasts of the differentiation sticker 700 exhibit different reflectances.
  • the white and black areas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white and black areas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are areas that form a boundary with the surrounding area so that the color of the surrounding area does not affect sensing. Actual sensing may be performed in areas other than the white and black areas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eas whose color is gradually faded from black to white, and the upper part is black and the lower part is white.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used to discriminate the amount of contact wear, which is a displacement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 sticker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fixed contact 134a and the movable contact 136a are worn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o change the eleva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contact wear amount may be defined as a displacement in which the push rod assembly rises due to wear of the fixed contact or the movable contact by input.
  •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the position at which light is emitted and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not made (open state) corresponds to the second lower area of black color among the differentiation sticker 700.
  • Differentiation sticker 700 may be disposed. This position is defined as an open position 710. In the open state, the positions where light emission and light are received are always the same.
  • the initial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n the contact input state is referred to as an initial close position 720.
  • the contact is worn and the push rod assembly 200 gradually rises, so that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also gradually rises. Since the positions of the light-emitting unit 512 and the light-receiving unit 514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re fixed, the light-emitting and light-receiving positions gradually decrease as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rises. Accordingly,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mov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will be determined so that the area just above the white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becomes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 can.
  • the detection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wear amount becomes the preset maximum value is defined as the maximum close position 730.
  •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wear amount is maximized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before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te.
  • the push rod assembly 200 Since the push rod assembly 200 is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2, it always maintains the same position in the open state (refer to the open position 710 of FIG. 4). In the first injection state, the push rod assembly 200 exhibits a certain amount of vertical displacement (refer to the initial insertion position 720 in FIG. 4 ). However, when contact wear occurs, the push rod assembly 200 ris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amount of wear. That is, the increase in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becomes the contact wear amount.
  •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must be sensed.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vertical displacement under the push rod assembly 200. However, since the main shaft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and the lower components of the vacuum breaker A exis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for installing the sensor.
  • the photosensor module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housing 210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parallel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or module 510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photosensor module 510 is installed at a portion close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10 of the main circuit portion 100.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can be used by generating the same effect as conver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into a horizontal displacement by applying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To be.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ttach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housing 210 in a direction facing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art 5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514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n the position before the loading of the rod housing 210 is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710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 the open position 710 becomes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sensor module 510 in the state before the input. Even if the contact wear amount gradually increases as the contact is repeatedly inserted,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higher than the maximum close position 730 when the contact wear amount is gradually increased.
  • the rod housing 210 gradually rises as shown in FIG. 5.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also rises. Since the positions of the light-emitting unit 512 and the light-receiving unit 514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re fixed, the light-emitting and light-receiving positions gradually decrease as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rises.
  • the rod housing 210 gradually rises, and when the contact wear amount reaches a preset threshold,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becomes the maximum close position 730.
  • the reflected light emitted again by emitting light at the open position 710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has a very small amount of light than the reflected light re-incident at the maximum closed position 730. This is because black is a color that absorbs light.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photocurrent generated when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located in the maximum closed position 730 than when the sensing position is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710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rapidly increased. Accordingly, since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photosensor module 510 is different, the determination unit can determine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load housing 210 by analyzing the output signal. Since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rod housing 210 is the contact wear amount, the determination unit can know whether the contact wear amount has reached a preset limit value by analyz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upper end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black and the lower end is whit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whose color gradually fades from black to white.
  • the determination unit may compare the contact wear amoun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unit with a reference value, determine that the contact wear amount has reached a limit value when the contact wear amount is greater than a pre-stored threshold value, and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in which the upper part is white and the lower part is black, and the color gradually increases from white to black. In this case, as the sensing area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gradually descends, the amount of light gradually decreases.
  • the determination unit may compare the contact wear amoun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unit with a reference value, and if the contact wear amount is less than a pre-stored threshold value, determine that the contact wear amount has reached a threshold value, and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cannot directly detect a vertical displacement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direction, but a change in reflec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contrast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exhibits an effect of converting a vertical displacement into a horizontal displacement. Therefore, by applying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monitor and detect the amount of contact wear.
  • the contact wear amount monitored by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ay be monitored in real time or at a preset time perio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wear of the contact before the amount of wear of the contac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so that an appropriate maintenance time can be know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 the discrimination sticker is composed of two areas having contrasts with each other.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have other forms.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ifferentiation sticker of a cont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 of the cont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 a gradation form without clearly dividing the area.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 is configured in a gradation form, since the reflectance is gradually changed, the current value of the reflected light also gradually changes.
  • the gradation step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the blocking state (open position, 710') before the initial input, and the maximum close position 720' indicating the maximum contact wear amount of the rod housing 210 according to the contact wear amount for each predetermined step. It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scent distance.
  • the photosensor module is installed in a position parallel to the rod housing of the push rod assembly.
  • it may be installed under the push rod assembly.
  •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re the same, the amount of contact wear, which is a vertical moving displacement, can be directly detected through the photo sensor without a discrimination sticker.
  • the discrimination sticker may include only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reflectances.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rimination sticker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7.
  •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ac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FIG. 7.
  •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ncludes two areas,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below. do.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 stick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d housing 21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predetermined. It is a square shape with a size.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ttach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have a partial area of white and a partial area of black.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have a black upper area and a white lower area.
  • the upper region divided into two may be white and the lower region may be black. Since black is a color that absorbs light, and white is a color that reflects light, the reflectance of each divided area is different. That is,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formed so that the reflectance in a certain area is different from the reflectance in other areas so that the photo sensor module 510 can distinguish and sense it.
  • An upper region is defined as a first region 740 and a lower region is defined as a second region 750.
  • the white and black areas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7. As shown in FIG. 8,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has a first area 740 in black and a second area ( 750) may be white, or conversely, the first area 740 may be white and the second area 750 may be black.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used to discriminate the amount of contact wear, which is a displacement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 sticker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fixed contact 134a and the movable contact 136a are worn by a certain amount or more and the elevation heigh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is changed.
  •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a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first region 740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 the open state the positions where light emission and light are received are always the same.
  •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determined by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t moves toward the bottom of ").
  •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continues to be located within the first area 740 of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located below the first region 740 rather than the open position.
  •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ay be set to pass to the second region 750. That is, when the contact wear amount exceeds a pre-stored threshold value,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so that the reflectance is different, the amount of light sensed by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ay be changed. Therefore, the photo sensor module 510 Since the output signal of)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contact wear amount has exceeded the threshold value.
  • the threshold value of the contact wear amount may b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amount of wear that may cause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by lowering the contact pressure according to the contact wear.
  •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lways maintains the same position in the open state.
  • the push rod assembly 200 In the first input state, the push rod assembly 200 exhibits a certain amount of vertical displacement within the first region 740. Thereafter, when the contact is repeatedly inserted, the push rod assembly 200 ris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amount of wear. That is, the increase in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becomes the contact wear amount.
  •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must be sensed.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vertical displacement under the push rod assembly 200. However, since the main shaft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and the lower components of the vacuum breaker A exis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for installing the sensor.
  • the photosensor module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housing 210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parallel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or module 510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 the photosensor module 510 is installed at a portion close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10 of the main circuit portion 100.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used by generating the same effect as conver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ush rod assembly 200 int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by applying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To be able to.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attach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housing 210 in a direction facing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t this time, at a position before the load housing 210 is inserted.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740 of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In addition, even if the contact wear amount gradually increases as the contact is repeatedly inserted, the sensing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located within the first area 740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when it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position when contact wear occurs is located below the sensing position in the open state.
  • the rod housing 210 gradually rises.
  •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also rises. Since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part 512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514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re fixed,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As it rises, the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positions gradually fall.
  •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made so that the light-emitting and light-receiving positions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become the first area 740 from the state before the initial input is made until the contact wear amount reaches a preset threshold. The same is the case where the sticker 700" is attached. Therefore, even if the load housing 210 gradually rises until the contact wear amount reaches a preset threshold, the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positions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ar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740.
  • the contact wear amount gradually increases and the load housing 210 gradually rises, and when the contact wear amount reaches a preset threshold,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oves from the first area 740 to the second area 750. Will go.
  •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ack by emitting light to the first region 740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is much less than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ack from the second region 750.
  • Black is black. This is because it is a color that absorbs light. Therefore,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generated when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750 than when it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740 of the identification sticker 700". The magnitude of the photocurrent increases rapidly.
  •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rod housing 210 can be known based on this output signal. Since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rod housing 210 is the contact wear amount, it can be known whether the contact wear amount has reached a preset limit value by analyz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 sensor module 510.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act wear amount may be determined by an operator, a manager, or a device receiv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motor sensor module 510.
  • the photo sensor module 510 cannot directly detect a vertical displacement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direction, but a change in reflec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contrast of the discrimination sticker 700" has an effect of conver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into a horizontal displacement. Therefore, by applying the photo sensor module 510,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monitor and detect the amount of contact wear.
  • the contact wear amount monitored by the photo sensor module 510 may be monitored in real time or at a preset time perio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wear of the contact before the amount of wear of the contac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so that an appropriate maintenance time can be know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 the photosensor module is installed in a position parallel to the rod housing of the push rod assembly.
  • it may be installed under the push rod assembly.
  •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photo sensor modul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are the same, the amount of contact wear, which is a vertical moving displacement, can be directly detected through the photo sensor without a discrimination s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절연용기 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전극과, 상기 가동전극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와,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위한 접점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접점 감시 장치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 및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고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변위와 다른 센싱 방향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는 진공의 절연 내력을 이용해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단락이나 지락 등의 사고 시 사고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 보호기이다.
진공차단기는 전력 수송제어 및 전력계통의 보호 역할을 한다. 진공차단기는 차단용량이 크고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다. 그리고 진공차단기는 작은 설치 공간에도 거치할 수 있으므로 중전압에서부터 고전압에 이르기까지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진공차단기는 전류를 차단하는 진공 인터럽터와, 진공 인터럽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여 진공 인터럽터 내의 접점을 투입 또는 차단하는 푸시로드를 포함한다. 일 예로, 한국특허등록 제10-1860348(등록일 2018. 05.16)는 진공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를 개시한다.
종래의 진공 인터럽터는 절연용기, 고정전극, 가동전극 및 아킹쉴드를 포함한다. 고정전극은 고정접점을 구비하고, 가동전극은 가동접점(170)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동전극의 상하이동에 따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거나 분리된다.
그런데, 진공 인터럽터의 전류 차단 동작이 반복되면, 고정접점 또는 가동접점(이하, "접점"으로 통칭함)이 점차 마모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임계 이상으로 마모된 접점은 진공 인터럽터의 단시간 성능, 단락 성능 및 통전 성능의 저하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임계 이상으로 마모된 접점의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접점의 마모 상태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접점 마모량을 감시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방향의 센싱 방향을 갖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수직 방향의 변위인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는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절연용기 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전극과, 상기 가동전극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와,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위한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 및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고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변위와 다른 센싱 방향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센싱 방향은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서로 상이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와 인접하고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노출되는 센서 홀더, 및 주회로부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 홀더를 지지하는 센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회로부의 출력 신호를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해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마모량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 스티커가 상단이 검정색이고 하단이 흰색이며 상기 상단에서 상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옅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회로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따른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라고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별 스티커가 상단이 흰색이고 하단이 검정색이며 상기 상단에서 상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진해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회로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따른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라고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는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절연용기 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전극과, 상기 가동전극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진공 인터럽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주회로부,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 및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변위와 다른 센싱 방향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센싱 방향은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진공차단기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서로 상이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접점의 마모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 이상 진행되기 전에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진공차단기의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수평 방향의 센싱 방향을 갖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수직 방향의 변위를 갖는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마모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가 적용된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포토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지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가 적용된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포토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B)는 진공차단기(A)의 주회로부(100) 하측에 설치되어 진공 인터럽터(130)의 접점 마모를 감시한다.
먼저, 진공차단기(A)의 주요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연관되는 진공차단기의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설명한다.
진공차단기(A)는 진공 인터럽터(130)를 포함하는 주회로부(100)와, 진공 인터럽터(130)의 접점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 및 메인 샤프트(300)와, 구동력을 발생하며 메인 샤프트(30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주회로부(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진공 인터럽터(130)가 설치된다. 진공 인터럽터(130)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절연용기(132)와, 절연용기(13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전극(134)과, 고정전극(134)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접점(134a)과, 절연용기(132)의 내측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전극(136)과, 가동전극(136)의 단부에 구비된 가동접점(136a)을 구비한다. 절연용기(132)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하는 아크 실드(132a)가 수용되며, 아크 실드(132a)는 고정전극(134)과 고정접점(134a), 가동전극(136)과 가동접점(136a)의 주변을 감싼다. 가동접점(136a)은 가동전극(136)에 의해 고정접점(134a)에 접촉(투입 상태)되거나 고정접점(134a)으로부터 분리(차단 상태)된다. 가동전극(136)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가동전극(136)을 투입 또는 차단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메인 샤프트(300)의 동력을 가동전극(136)에 전달하는 여러 축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로드 하우징(210) 상에 후술할 접점 감시 장치(B)의 일부 구성이 설치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단에 메인 샤프트(300)가 연결된다.
메인 샤프트(300)는 메커니즘 어셈블리(400)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어셈블리(40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로 전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B)는 주회로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센서 어셈블리(500)와,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700)를 포함한다.
센서 어셈블리(500)는 감별 스티커(700)의 위치 감지를 위한 포토 센서 모듈(510)과, 포토 센서 모듈(510)을 수용하는 센서 홀더(530)와, 센서 홀더(530)를 주회로부(100)의 하측에 결합시키는 센서 브라켓(550)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센서 어셈블리(500)는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토 센서 모듈(510)은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와,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516)를 포함한다.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는 회로부(516)의 일면에 나란히 설치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은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우징(11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설치 방향의 의미는 후술하기로 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은 발광부(512)에서 빛을 방사하고, 방사된 빛이 감별 스티커(700)의 표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광량을 수광부(514)에서 감지하는 타입의 광센서이다.
회로부(516)는 수광부(514)에서 감지한 빛의 세기에 비례하는 광전류가 흐르므로, 반사되어 되돌아온 광량이 클수록 발생하는 전류량이 커지게 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이 발광부(512)에서 발광한 빛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므로,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멀어질수록 반사되어 수광부(514)로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한다.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하면 광전류가 약해지므로 포토 센서 모듈(510)로부터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은 빛을 발광하고 반사광이 반사되는 방향이 센싱 방향이 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은 센싱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이동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회로부(516)에서는 광전류를 처리해 외부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센싱한 광량에 따라 작아지거나 커지며, 광량은 변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회로부(516)에서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면 결과적으로 이동 변위를 계산할 수 있다. 회로부(516)에서 출력된 신호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외부 데이터 처리장치나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기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판단부는 회로부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외부 데이터 처리장치나 스마트 단말기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판단부에서 회로부(516)의 출력 신호를 처리해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한 뒤 진공 인터럽터(130)의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다.
센서 홀더(53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을 수용한다. 센서 홀더(53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센서 홀더(530)의 개방된 일측으로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가 노출된다. 센서 홀더(530)는 개방된 일측과 반대쪽 타측 또는 측면부에 센서 브라켓(550)에 결합되는 결합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532)는 볼트가 삽입되는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 홀더(53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는다면 박스 형태가 아닌 'ㄱ'자나 'ㄴ'자, 'ㄷ'자 형태 등의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센서 브라켓(550)은 주회로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장착된다. 센서 브라켓(550)은 센서 홀더(530)를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설치 위치가 로드 하우징(210)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센서 브라켓(550)은 역'ㄱ'자 형상을 가지며,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 하측으로 연장된 면에 센서 홀더(530)가 결합된다. 센서 브라켓(550)의 판면에는 센서 홀더(530)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과, 하우징(110)과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라켓(550)은 볼팅 결합 등으로 센서 홀더(530) 및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센서 홀더(530)와 센서 브라켓(550)이 별도로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토 센서 모듈(510)을 수용해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하나의 고정 수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렇게 설치된 포토 센서 모듈(510)은 감별 스티커(700)를 이용해 센싱 방향과 상이한 방향의 변위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는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티커이다. 감별 스티커(7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형상이다.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을 향하는 방향에 부착된다. 감별 스티커(700)는 일단의 일부 영역이 흰색이고, 다른 일단의 일부 영역이 검정색이며, 흰색 영역과 검정색 영역 사이의 영역은 명암이 점차 짙어지거나 옅어지는 회색인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별 스티커(700)는 흰색에서 회색을 거쳐 검정색으로, 또는 검정색에서 회색을 거쳐 흰색으로 색상(또는 명암)이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의 색상 또는 명암이 다른 영역은 각기 다른 반사율을 나타낸다.
감별 스티커(700)의 흰색과 검정색 영역은 도 2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감별 스티커(700)의 흰색과 검정색 영역은 주변 부위의 색이 센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변 부위와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이다. 실제 센싱은 감별 스티커(700)의 흰색과 검정색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감별 스티커(70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단이 검정색이고 하단이 흰색이며, 검정색에서 흰색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옅어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변위인 접점 마모량을 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감별 스티커(700)는 고정접점(134a) 및 가동접점(136a)이 일정량 이상 마모되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상승 높이가 달라지는지의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스티커이다. 여기서 접점 마모량은 고정 접점 또는 가동 접점이 투입에 의해 마모되어 푸시 로드 어셈블리가 상승하는 변위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오픈 상태)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어 반사되는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 중 검정색의 두번째 아래 영역에 대응하도록, 감별 스티커(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위치를 오픈 위치(710)라고 정의한다. 오픈 상태에서 발광 및 수광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항상 동일하다.
또한, 접점 투입 상태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최초 감지 위치를 초기 클로즈 위치(720)라고 한다. 그 후 접점 투입이 이루어질 때마다 접점이 마모되면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가 점차 상승하므로 감별 스티커(700)도 점차 상승하게 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별 스티커(700)의 상승에 따라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점차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하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접점 마모량 이상으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가 상승하는 경우, 감별 스티커(700)의 흰색 바로 위의 영역이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되도록 감별 스티커(700)의 부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값이 되는 감지 위치를 최대 클로즈 위치(730)로 정의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 및 접점 마모량이 최대가 되는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어느 부위가 될지는 현장에 접점 감시 장치가 설치되기 전에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포토 센서 모듈을 이용해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도 2의 상하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작동되므로 오픈 상태에서는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도 4의 오픈 위치 710 참조). 최초 1회 투입 상태에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일정량의 수직 방향 변위를 나타낸다(도 4의 초기 투입 위치 720 참조). 그러나 접점 마모가 발생하면 마모량만큼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의 증가량이 접점 마모량이 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를 감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측에 수직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측에는 메인 샤프트(300)가 결합되고, 진공차단기(A)의 하부 구성품들이 존재하므로 센서를 설치할만한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토 센서 모듈(510)은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되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이동 방향에 평행한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방향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주변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포토 센서 모듈(510)은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 하단에서 외측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만 가질 뿐, 수평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일측에 포토 센서 모듈(510)을 설치하더라도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를 감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감별 스티커(700)를 적용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를 수평 방향 변위로 변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포토 센서 모듈(5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과 마주보는 방향의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다. 이때, 로드 하우징(210)의 투입 전 위치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의 위치는 감별 스티커(700)의 오픈 위치(710)에 위치한다. 오픈 위치(710)가 투입 전 상태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가 된다. 접점 투입이 반복되면서 접점 마모량이 점차 증가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하일 때에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최대 클로즈 위치(730) 보다 위쪽이 된다.
투입이 반복되면서 접점 마모량이 늘어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로드 하우징(210)의 상승에 따라 감별 스티커(700) 역시 함께 상승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별 스티커(700)의 상승에 따라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점차 하강하게 된다.
접점 마모량이 점차 증가해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고,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이르면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최대 클로즈 위치(730)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감별 스티커(700)의 오픈 위치(710)에 빛을 발광해 재입사되는 반사광은 최대 클로즈 위치(730)에서 재입사되는 반사광보다 광량이 매우 적다. 검정색은 빛을 흡수하는 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오픈 위치(710)에 위치할 때보다 최대 클로즈 위치(730)에 위치할 때 발생되는 광전류의 크기가 급격하게 커지게 된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가 달라지므로, 판단부에서는 이 출력 신호를 분석해 로드 하우징(210)의 수직 변위를 알 수 있다. 로드 하우징(210)의 수직 변위가 곧 접점 마모량이므로, 판단부는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의 상단이 검정색이고 하단이 흰색이며 검정색에서 흰색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옅어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는 회로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따른 접점 마모량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상이면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해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감별 스티커(700)의 상단이 흰색이고 하단이 검정색이며 흰색에서 검정색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진해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영역이 점차 하강함에 따라 광량이 점차 작아진다. 이때, 판단부는 회로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따른 접점 마모량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하이면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해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포토 센서 모듈(510)은 센싱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직 방향 변위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없으나, 감별 스티커(700)의 명암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가 수직 변위를 수평 변위로 전환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을 적용해 접점 마모량을 간접적으로 감시 및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 모듈(510)에 의해 감시되는 접점 마모량은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감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 이상 진행되기 전에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진공차단기의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감별 스티커가 서로 대비되는 명암을 갖는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감별 스티커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다른 접점 감지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지 장치의 감별 스티커(700')는 영역을 분명하게 분할하지 않고 그라데이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감별 스티커(700')를 그라데이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반사율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므로 반사광의 전류값 역시 점진적으로 변하게 된다.
감별 스티커(700')의 그라데이션 단계는 최초 투입 이전 차단 상태(오픈 위치, 710'), 최대 접점 마모량을 나타내는 최대 클로즈 위치(720')이 미리 설정된 단계 별 접점 마모량에 따른 로드 하우징(210)의 상승 거리를 고려해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포토 센서 모듈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로드 하우징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변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토 센서 모듈의 센싱 방향과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므로 감별 스티커 없이도 수직 방향의 이동 변위인 접점 마모량을 포토 센서를 통해 직접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별 스티커는 반사율이 서로 다른 단지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감별 스티커(700")가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감별 스티커(700")는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티커이다. 감별 스티커(7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형상이다.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을 향하는 방향에 부착된다.
감별 스티커(700")는 일부 영역이 흰색으로, 일부 영역이 검정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별 스티커(700")는 2분할된 상부 영역이 검정색, 하부 영역이 흰색일 수 있다. 또는, 반대로 2분할된 상부 영역이 흰색, 하부 영역이 검정색일 수 있다. 검정색은 빛을 흡수하는 색이고, 흰색은 빛을 반사하는 색이므로 2분할된 각 영역의 반사율이 상이하다. 즉, 감별 스티커(700")는 일정 영역에서의 반사율이 다른 영역에서의 반사율과 차이가 있어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이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감별 스티커(700")의 상부 영역을 제1 영역(740), 하부 영역을 제2 영역(750)으로 정의한다.
감별 스티커(700")의 흰색과 검정색 영역은 도 7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감별 스티커(700")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 영역(740)이 검정색이고 제2 영역(750)이 흰색이거나, 반대로 제1 영역(740)이 흰색이고 제2 영역(750)이 검정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변위인 접점 마모량을 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감별 스티커(700")는 고정접점(134a) 및 가동접점(136a)이 일정량 이상 마모되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상승 높이가 달라지는지의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스티커이다
따라서, 접점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오픈 상태)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감별 스티커(700")의 제1 영역(740) 중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오픈 상태에서 발광 및 수광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항상 동일하다.
그 후 접점 투입이 이루어질 때마다 접점이 마모되면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가 점차 상승하므로 감별 스티커(700")도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하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계속 감별 스티커(700")의 제1 영역(74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다만,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오픈 위치보다는 제1 영역(740)의 하부에 위치한다.
투입 회수가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접점 마모량 이상으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가 상승하는 경우,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제2 영역(750)으로 넘어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상이 되면 반사율이 달라지도록 감별 스티커(700")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센싱되는 광량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출력 신호가 달라지므로 접점 마모량이 임계값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접점 마모량의 임계값은 접점마모에 따라서 접압력이 낮아져 기기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정도의 마모량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포토 센서 모듈을 이용해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도 7의 상하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작동되므로 오픈 상태에서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 최초 1회 투입 상태에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제1 영역(740) 내에서 일정량의 수직 방향 변위를 나타낸다. 그 후 접점 투입이 반복되면 마모량만큼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의 증가량이 접점 마모량이 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를 감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측에 수직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측에는 메인 샤프트(300)가 결합되고, 진공차단기(A)의 하부 구성품들이 존재하므로 센서를 설치할만한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토 센서 모듈(510)은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되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이동 방향에 평행한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방향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주변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포토 센서 모듈(510)은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 하단에서 외측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만 가질 뿐, 수평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일측에 포토 센서 모듈(510)을 설치하더라도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를 감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감별 스티커(700")를 적용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를 수평 방향 변위로 변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포토 센서 모듈(5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과 마주보는 방향의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다. 이때, 로드 하우징(210)의 투입 전 위치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감별 스티커(700")의 제1 영역(740)에 위치한다. 감지 위치 또한, 접점 투입이 반복되면서 접점 마모량이 점차 증가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때에는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감별 스티커(700")의 제1 영역(740) 내에 위치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 마모가 발생할 때의 감지 위치는 오픈 상태에서의 감지 위치 보다는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이 반복되면서 접점 마모량이 늘어나면,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로드 하우징(210)의 상승에 따라 감별 스티커(700") 역시 함께 상승한다.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부(512) 및 수광부(514)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별 스티커(700")의 상승에 따라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점차 하강하게 된다.
감별 스티커(700")는 최초 투입이 이루어지기 이전 상태에서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다다르기 전의 상태까지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제1 영역(740)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감별 스티커(700")의 부착 위치 역시 마찬가지다. 따라서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이르기 전까지는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더라도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제1 영역(740)에 위치한다.
접점 마모량이 점차 증가해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고,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이르면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제1 영역(740)에서 제2 영역(750)으로 넘어가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감별 스티커(700")의 제1 영역(740)에 빛을 발광해 재입사되는 반사광은 제2 영역(750)에서 재입사되는 반사광보다 광량이 매우 적다. 검정색은 빛을 흡수하는 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제1 영역(740)에 위치할 때보다 제2 영역(750)에 위치할 때 발생되는 광전류의 크기가 급격하게 커지게 된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가 달라지므로, 이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로드 하우징(210)의 수직 변위를 알 수 있다. 로드 하우징(210)의 수직 변위가 곧 접점 마모량이므로,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다. 접점 마모량의 판단은 작업자나 관리자, 또는 모토 센서 모듈(51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등에서 판단할 수 있다.
포토 센서 모듈(510)은 센싱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직 방향 변위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없으나, 감별 스티커(700")의 명암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가 수직 변위를 수평 변위로 전환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포토 센서 모듈(510)을 적용해 접점 마모량을 간접적으로 감시 및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 모듈(510)에 의해 감시되는 접점 마모량은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감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 이상 진행되기 전에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진공차단기의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포토 센서 모듈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로드 하우징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변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토 센서 모듈의 센싱 방향과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므로 감별 스티커 없이도 수직 방향의 이동 변위인 접점 마모량을 포토 센서를 통해 직접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절연용기 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전극과, 상기 가동전극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와,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공차단기를 위한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변위와 다른 센싱 방향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센싱 방향은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서로 상이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이루어지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
    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노출되는 센서 홀더; 및
    주회로부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 홀더를 지지하는 센서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회로부의 출력 신호를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마모량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가 상단이 검정색이고 하단이 흰색이며 상기 상단에서 상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옅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회로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따른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라고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에 있어서 상단이 흰색이고 하단이 검정색이며 상기 상단에서 상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이 진해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회로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따른 접점 마모량이 미리 저장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라고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2.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의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절연용기 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전극과, 상기 가동전극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진공 인터럽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주회로부;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 및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변위와 다른 센싱 방향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센싱 방향은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는
    진공차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서로 상이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스티커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이루어지는
    진공차단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감별 스티커의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PCT/KR2019/011719 2019-02-18 2019-09-10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WO20201713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47782A JP7263530B2 (ja) 2019-02-18 2019-09-10 真空遮断器用接点監視装置、及びこれを含む真空遮断器
CN201980092273.4A CN113439318A (zh) 2019-02-18 2019-09-10 真空断路器用触头监测装置及包括该装置的真空断路器
EP19915986.4A EP3929956B1 (en) 2019-02-18 2019-09-10 Contact poin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US17/431,779 US11875956B2 (en) 2019-02-18 2019-09-10 Contact poin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81A KR102186753B1 (ko) 2019-02-18 2019-02-18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2019-0018681 2019-02-18
KR1020190018651A KR102186756B1 (ko) 2019-02-18 2019-02-18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2019-0018651 2019-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328A1 true WO2020171328A1 (ko) 2020-08-27

Family

ID=7214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719 WO2020171328A1 (ko) 2019-02-18 2019-09-10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75956B2 (ko)
EP (1) EP3929956B1 (ko)
JP (1) JP7263530B2 (ko)
CN (1) CN113439318A (ko)
WO (1) WO2020171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89B1 (ko) * 2020-04-03 2022-03-24 엘에스일렉트릭(주)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TR2022009361A2 (tr) * 2022-06-07 2022-06-21 Europower Enerji Ve Otomasyon Teknolojileri Sanayi Ticaret Anonim Sirketi Hava ve gaz i̇zoleli̇ hücrelerde kullanilan kesi̇ci̇lerde kontak aşinma toleransinin ölçülmesi̇ i̇çi̇n kullanilan mekani̇k ölçüm mekani̇zmasi
CN117393375B (zh) * 2023-12-08 2024-02-02 陕西四方华能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高压真空断路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669A (ja) * 1993-01-13 1994-08-05 Fuji Electric Co Ltd 直流真空遮断器
JPH1187937A (ja) * 1997-09-02 1999-03-30 Omron Corp 検出器の取付け具、検出器の取付け構造および検出器
JP4685609B2 (ja) * 2005-11-24 2011-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特性測定方法及び装置
JP4876233B2 (ja) * 2004-03-22 2012-02-15 多摩川精機株式会社 位置検出器および被検出体
KR101323310B1 (ko) * 2012-08-23 2013-10-29 한국전기연구원 계통연계형 고체절연 차단장치
KR101860348B1 (ko) 2014-08-18 2018-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5722A (en) * 1972-05-01 1975-12-09 Gen Electric Wear indicator for vacuum circuit interrupter
JPS5925146U (ja) * 1982-08-09 1984-02-16 株式会社高岳製作所 真空しや断器の接点消耗量検出装置
JP2917958B2 (ja) * 1997-03-31 1999-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JP3077899B2 (ja) * 1997-07-10 2000-08-21 茨城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ーブによる通電測定方法及び装置
US6002560A (en) * 1998-09-02 1999-12-14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contact wear indicator
US6150625A (en) * 1999-10-12 2000-11-21 Eaton Corporation Vacuum circuit breaker with contact wear indicator tool
DE10260248B4 (de) * 2002-12-20 2005-07-21 Siemens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Restlebensdauer eines Schaltgerätes und zugehörige Anordnung
JP2006310133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遮断器およびその接点のスロークローズ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点の摩耗量測定方法および接点間のギャップ長さ設定方法
CN201130015Y (zh) * 2007-12-26 2008-10-08 上海西屋开关有限公司 真空断路器触头磨损量检测装置
JP2012089368A (ja) * 2010-10-20 2012-05-10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WO2012072810A1 (de) * 2010-12-02 2012-06-07 Abb Research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schaltgeräten
JP5796295B2 (ja) 2011-01-19 2015-10-21 株式会社大林組 変位計測装置
KR101279061B1 (ko)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전력용 차단기
KR101903743B1 (ko) * 2012-05-22 2018-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CN104428860B (zh) * 2012-06-12 2018-01-26 豪倍公司 中压或高压开关衬套
EP2682971B1 (en) * 2012-07-03 2016-11-30 ABB Schweiz AG A device for indicating the state of a switching apparatus
US8952826B2 (en) * 2012-10-03 2015-02-10 Eaton Corporation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a linear transducer to monitor contact erosion
US9633808B2 (en) * 2014-10-06 2017-04-25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interruption apparatus with wear indicator
US9378901B2 (en) * 2014-11-13 2016-06-28 Eaton Corporation Mechanical wear, wipe and stroke measurement system for circuit breakers
US9329238B1 (en) * 2014-11-14 2016-05-03 Schneider Electric USA, Inc. Contact wear detection by spectral analysis shift
CN104701064B (zh) 2015-03-26 2015-12-09 江苏现代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柔性分合闸技术的智能集成中压交流真空开关设备
CN105374622A (zh) * 2015-12-23 2016-03-02 戴顿(重庆)高压开关有限公司 绝缘拉杆、具有该绝缘拉杆的真空断路器以及监测该真空断路器动静触头磨损量的方法
CN107180728B (zh) * 2016-03-11 2020-08-25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固封极柱及其组装方法
CN107976684B (zh) * 2016-10-25 2023-08-04 日立能源瑞士股份公司 用于监测电路断路器的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669A (ja) * 1993-01-13 1994-08-05 Fuji Electric Co Ltd 直流真空遮断器
JPH1187937A (ja) * 1997-09-02 1999-03-30 Omron Corp 検出器の取付け具、検出器の取付け構造および検出器
JP4876233B2 (ja) * 2004-03-22 2012-02-15 多摩川精機株式会社 位置検出器および被検出体
JP4685609B2 (ja) * 2005-11-24 2011-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特性測定方法及び装置
KR101323310B1 (ko) * 2012-08-23 2013-10-29 한국전기연구원 계통연계형 고체절연 차단장치
KR101860348B1 (ko) 2014-08-18 2018-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2995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9956A4 (en) 2022-04-27
CN113439318A (zh) 2021-09-24
JP2022520272A (ja) 2022-03-29
EP3929956A1 (en) 2021-12-29
US11875956B2 (en) 2024-01-16
JP7263530B2 (ja) 2023-04-24
US20220115197A1 (en) 2022-04-14
EP3929956B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377A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WO2020171328A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WO2018230818A1 (ko) 고압선 점검용 무인비행체 및 그 제어방법
US5286933A (en) Vacuum circuit-breaker equipped with self-diagnosis means
WO2020209507A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모듈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WO2020171327A1 (ko) 진공차단기용 동작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WO2021045576A1 (ko) 가스 센서를 이용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
WO2021201537A1 (ko)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201369A1 (ko) 화재발생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71669A1 (ko) 청소로봇이 지면의 단차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방법 및 청소로봇
WO2014148742A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WO2020204397A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그에 따른 보정 방법
WO2011021831A2 (ko) 코로나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21201539A1 (ko) 전력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049733A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2186753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WO2020209508A1 (ko) 진공차단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2186756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WO201923102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83378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그에 따른 보정 방법
WO2021201538A1 (ko)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2683644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2683643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WO2023013830A1 (ko) 진공차단기
WO2024214950A1 (ko) 전력 장치 및 전력 장치용 차단기 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59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4778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159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