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WO2010058926A2 -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58926A2
WO2010058926A2 PCT/KR2009/006664 KR2009006664W WO2010058926A2 WO 2010058926 A2 WO2010058926 A2 WO 2010058926A2 KR 2009006664 W KR2009006664 W KR 2009006664W WO 2010058926 A2 WO2010058926 A2 WO 201005892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gaol
ginger
extract
ginger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66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58926A3 (ko
Inventor
김선여
하상근
류종훈
오명숙
정서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1496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5602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185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8881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185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60124A/ko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0980146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15857B/zh
Priority to US13/130,009 priority patent/US9844521B2/en
Publication of WO201005892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58926A2/ko
Publication of WO201005892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5892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earning disorders, memory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alleviating a symptom or symptom-free or learning or memory-enhanc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Memory refers to the process of acquiring new information, learned experiences, and knowledge from the environment, encoding it in specific parts of the brain, storing it, and recalling it (William F Ganong; Ganong's Physiology, Seoul, Hanwoori, p289, p291-). 292, 1999).
  • the process of memory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cquisition, encoding, reinforcement, retention, and recall.
  • Modern society is a complex and specialized trend, and 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learning amount is required, and therefore effective brain activity is required.
  • many people suffer from memory loss due to aging and disease, and high mental activity is required as the life span of human beings is extended. In order to cope with the situation appropriately,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clear the brain, improve memory, and require mental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these functions is required in the art. It is becoming.
  • Parkinson's disease is a chronic progressive neurological disease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refractory diseases. Parkinson's disease is caused by the sudden degeneration or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that produce the neurotransmitter dopamine in the substantia nigra area of the midbrain. The cause is not yet known in detail, but it is known that metabolism due to arteriosclerosis of the brain, carbon monoxide poisoning, drugs, hypoparathyroidism, trauma encephalitis, etc. are involved. Decreased dopamine in neurotransmitters disrupts the balance of the entire neurotransmitter system, resulting in tremor, stiffness, bradykinesia, and postural instability. Back symptoms appear.
  • Drugs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include l-dopa preparations, dopamine receptor agonists, anticholinergic drugs, and eldepryl (delpyl). Most of these drugs control symptoms rather than cause treatment. It requires a constant and continuous medication. However, long-term administration of these drugs causes problems with drug side effects. For example, anticholinergic drugs may show autonomic nervous system abnormalities or mental dysfunctions, and thus are limited to continuous administration to older patien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dopa formulation, the effect gradu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long-term administration, and the side effects such as twisting the body and abnormal movements of the hands or feet are generated. In addition, a surgical treatment such as high frequency nerve stimulation, that is, high frequency destruction or deep brain stimulation is also perform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invasive surgery and also requires a lot of cost.
  •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is a disease in which various types of pathological abnormalities occur in blood vessels supplying blood flow to the brain, thereby causing a disorder of normal cerebral blood flow locally.
  • th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ncludes a 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 a progressive stroke, a complete stroke, and ischemic vascular dementia.
  • TIA Transient Ischemic Attack
  • TIA is a recovery within 24 hours after a local neurological disorder caused by cerebral ischemia, most often within 10 to 15 minutes.
  • 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efers to local ischemic symptoms that can persist for more than 24 hours but recover within three weeks, and are distinguished from TIA because there are definite abnormalities on neurological examination.
  • Progressive stroke refers to the deterioration of focal cerebral ischemia over several hours to several hours, due to the expansion of cerebral ischemia in the brain tissue of the area already involved, which is not the same as that of neurological symptoms caused by ischemic brain edema. different. About 20% of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in the internal carotid artery region develop within the first 48 hours and more often in the vertebrobasilar territory (about 40%).
  • Completed stroke is the absence of neurological changes over days to weeks after the onset of focal cerebral ischemia.
  • Ischemic vascular dementia is a type of vascular dementia that is premised on two or more ischemic cerebral infarctions and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 temporal causal relationship with dementia.
  • ginger is a genus Zingiber (Zingiber) belonging to the plant (Zingiberaceae), widely distributed in Southeast Asia, and has been used as a folk remedy.
  • Starch makes up 40-60% of the whole ingredient, and if it contains aromatic ingredients, resin protein, fiber, pentosan, minerals, etc., the spicy taste of ginger is ginger, ginger, show More than 40 species are known, such as shogaol, dihydrogingerol, and aromatic components such as citral and camphene.
  • Studies on the activity of ginger include antioxidant activity (Masuda et al., Chem.
  •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vity search for safety-protected natural produc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As a result, it was surprisingly found that ginger extract and shogaol, one of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ginger, have excellent learning and / or memory enhancing effects, and also have prophylactic and / or therapeutic activity for Parkinson's disease and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Foun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earning disorders, memory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alleviating symptoms or improving memory or learning disorders, including ginger extract or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ginger extract or shoga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earning disorders, memory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s provided.
  •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alleviating symptoms of learning or memory impairment comprising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a food composition for learning or memory enhancement comprising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ginger extract or shogaol has a prophylactic and / or therapeutic activity for learning disorders, memory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Therefor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learning disorders, memory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the food composition comprising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usefully applied for the improvement or symptom relief and / or learning or memory enhancement of learning disorders or memory disorders.
  • Figure 1 shows the growth length of the nerve axons after treating the conditioned medium obtained by treating the ginger ethanol extract,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in C6 cells to PC12 cells As a result,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neurite outgrowth effect of the ginger extract are shown.
  • FIG. 2 show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nerve growth factors using conditioned media obtained by treating shogaol at 0.1, 1, 5, 10, and 20 ⁇ M concentrations in C6 cell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secretion-inducing effect of growth factor is shown.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growth of neuronal growth factor secretion of Shogaol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growth of nerve axons after treating the condition medium obtained by treatment with Shogaol in C6 cells to PC12 cells. .
  • FIG. 4 is a result of passive avoidance task for measuring cognitive improvement after administering 5 mg / kg of shogaol in ICR mice.
  • FIG. 5 shows the results of a passive avoidance task for measuring cognitive improvement after administering 50 mg / kg of the ginger extract in ICR mice, and i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gnitive improvement effect of the ginger extract.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opaminergic cell protective effect of shogaol in rat fetal brain brains on the neurotoxicity of MPP +.
  • Figure 7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opaminergic cell protective effect of shogaol in rat fetal brain brains on neurotoxicity of 6-OHDA.
  • 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opaminergic cell protective effect of Ginger extract in rat fetal midbrain cells against neurotoxicity of MPP +.
  •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opaminergic cell protective effect of ginger extract in rat fetal midbrain cells against neurotoxicity of 6-OHDA.
  • FIG. 10 shows the results of Shogaol's pole test on C57BL / 6 mice induced with Parkinson's disease by MPTP administration.
  • FIG. 1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Shogaol against optical density reduction of striatum in C57BL / 6 mice induced with Parkinson's disease by MPTP administration.
  • FIG. 13 shows the results of a pole test of ginger extract on C57BL / 6 mice induced with Parkinson's disease by MPTP administration.
  • Figure 1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ginger extract on the decrease in the optical density of the striatum in C57BL / 6 mice induced Parkinson's disease by MPTP administration.
  • Fig. 1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ginger extract on dopamine positive cell reduction in black matter in C57BL / 6 mice induced with Parkinson's disease by MPTP administration.
  • Figure 16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efficacy of the ginger extract on neuronal cell death in the hippocampus induced by ischemia in the 2-vessel occlusion cerebral ischemia model.
  •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iddle portion of CA1 in which neuronal cell death occurred in the hippocampus in the 2-vessel occlusion cerebral ischemia model.
  • Figure 18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ginger extract and fractions in CA1.
  • Figure 19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efficacy of Shogaol on neuronal cell death in the hippocampus induced by ischemia in the 2-vessel occlusion cerebral ischemia model.
  • Fig. 2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cell viability of Shogaol in CA1.
  • learning refers to an ability or behavior that can perceive and change one's own behavior, and includes spatial perception, cognition, concentration, and the like.
  • Training disorder or learning disability refers to “learning disorder or learning disability” due to a variety of causes, regardless of IQ, for example, depression, anxiety,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ailure, poverty, missing family, stress, etc.). "Ability is lowered than normal, and it includes a decrease in spatial perception, a decrease in cognition, a concentration, and a decrease i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 memory refers to the ability to acquire new information, learned experience, and knowledge from the environment, encode it in a specific area of the brain, store it, and recall it.
  • Memory disorder or “memory deficiency”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memory” is lowered than a normal person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trauma, attention deficit, aging, disease, etc., amnesia, concentration disorder, space Loss of perception, slowing learning, loss of cognition.
  •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or “Ischemia” refers to diseases in which various types of pathological abnormalities occur in blood vessels that supply blood flow to the brain, resulting in disorders of normal cerebral blood flow locally.
  • th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ncludes 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 Progressive Stroke, Completed Stroke, and Ischemic Vascular Dementia.
  • ischemic vascular dementia ischemic cerebrovascular dementia
  •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herein includes progressive and / or complete stroke.
  • ginger extracts or shogaol can prevent or treat learning disorders or memory disorders and also enhance learning or memory.
  • a manual avoidance test was performed after administration of ginger extract or shogaol for 3 days, which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learning and / or memory when administered ginger extract or shogaol.
  • ginger extract or shogaol can prevent or treat Parkinson's disease. Protection of dopamine neurons after inducing dopamine neurocytotoxicity with 1-methyl-4-phenylpyridinium (MPP +) and 6-hydroxydopammine (6-OHDA) As a result of the activity test, Shogaol showed a dopamine cell protective activity. In addition, N-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N-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causes Parkinson's disease in mice.
  • MPTP 1-methyl-4-phenylpyridinium
  • MPTP 6-hydroxydopammine
  • Pole test and dopaminergic neuron protective activity tests were performed to restore bradykinesia caused by MPTP when ginger extract or shogaol was administered, and also striatum. It showed excellent protective activity of dopaminergic neuron in and substantia nigra.
  • ginger extract or shogaol can prevent or treat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ginger extract and shogaol showed superior neuronal cell death inhibitory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nger extract or shoga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earning disorders, memory disorders, Parkinson's disease, 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the ginger extract is carried out an extraction process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ginger with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 1 ⁇ C 4 alcohols,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chloroform, and a mixed solvent thereof Can be obtained. More preferably, the ginger extract may be an ethanol-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ginger with ethanol.
  • the amount of the extractan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extractant may be used in a ratio of about 1 to 10 times by volume, preferably about 1 to 5 times by volume, based on 1 weight of ginger powder sample.
  •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y extraction methods such as cold needle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for about 7 to 20 days, preferably about 7 to 10 days.
  •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y cold extraction method at room temperature (about 25 °C), and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ce or multiple times, preferably about three times.
  • the obtained extract can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or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at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at about 20 to 100 ° C., preferably at about 30 to 70 ° C., to obtain a ginger extract in liquid or powder form.
  • the ginger extract may be obtained by performing an additional extraction process to increas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That is, (a) extracting ginger with C 1 ⁇ C 4 alcohol; And (b) extracting by adding water and n-hexane to the extract obtained in step (a) and separating the obtained n-hexane layer (and further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if necessary). By this, a ginger extract having a high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obtained.
  • the further extraction process (ie steps (b), (b '), (c), (c'), and (d)) may be carried out by cold extraction method at room temperature (about 25 ° C.), and also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ce or plural times, preferably about three times.
  • the obtained extract can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at about 20 to 100 ° C., preferably at about 30 to 70 ° C., or lyophilized as necessary to obtain a ginger extract in liquid or powder form. have.
  • fractionation process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f necessary.
  • the ginger extract can also be obtained using supercritical extraction.
  • Supercritical extraction is carried out at a pressure of 60 to 350 bar, more preferably at about 300 bar, for 5 minutes to 24 hours, more preferably at about 6 hours, at 30 to 80 ° C., more preferably at about 50 ° C. Can be performed.
  • the flow rate of the carbon dioxide can be maintained at 10 to 50 g / min, more preferably about 30 g / min,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performed once or multiple times (for example, 2 to 4 times).
  • the carbon dioxide containing the ginger extract is introduced in the middle of the separator and the pressure drops to about 50-60 bar so that the solubility drops rapidly.
  • the separator has a heating jacket of about 40 ° C.
  • a cooling jacket of about 5 ° C. or less at the top and bottom. It is wrapped by the extract at the bottom and separated into liquid carbon dioxide and gaseous carbon dioxide at the top.
  • the gaseous carbon dioxide at the top is liquefied by a cooler across a filter such as a charcoal filter and circulated back to the extractor through a pump.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hogaol is also called 6-shogaol, and its chemical name is ( E ) -1- (4-hydroxy-3-methoxyphenyl) dec-4-en-3-one [( E )- 1- (4-hydroxy-3-methoxyphenyl) dec-4-en-3-one], which has the structure of Formula 1 below.
  • the shogaol may be separated from ginger, and various synthetic methods are known, including, for example, EP EP696958.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in various forms, includin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for example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s.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 solution. Especially preferably, it may be formulated in an oral dosage form.
  •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s.
  •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s.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 solution. Especially preferably, it may be formulated in an oral dosage form.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Also included are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and the like.
  • Oral solid preparations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Gelatin,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lubricant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water, diluents such as liquid paraffin,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 Parenteral preparations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ethyl Injectable esters such as oleate and the like.
  • 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ethyl Injectable esters such as oleate and the like.
  •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dosage of the ginger extract or shogaol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s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shogaol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0.01 to 500 mg / kg, preferably 10 to 200 mg / kg per day, and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 ginger extract may be administered in a dose of 0.01 to 500 mg / kg, preferably 10 to 200 mg / kg per day,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0.001 to 50% by weight of the shogaol or ginger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alleviating symptoms of learning or memory impairment, comprising ginger extract or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composition for learning or memory enhancement, including Shogao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ginger extract can b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ietary supplement.
  • health functional food means a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functional properties useful for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ct No. 6767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and "functionality” refers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nd ingestion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nutrients for function or for obtaining useful effects in health uses such as physiological action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ventional food additives, and the suitability as the "food additiv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corresponding items according to the General Regulations and General Test Methods of the Food Additives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t is determined by the standard and the standard.
  • Food Additive Revolution examples include,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potass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on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color pigments, licorice extracts, crystalline cellulose, high color pigments, guar gum, Mixed preparations, such as a sodium L- glutamate preparation, an addition of an alkali, a preservative preparation, and a tar pigment preparation, are mention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0.01 to 95%, preferably 1 to 1, of ginger extract or shogao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r alleviating symptoms or improving learning or memory impairment. It may include 80% by weight percentage. In addition, it may be prepa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and the lik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r relieving symptoms or improving learning or memory impairm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tablets may be granul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of ginger extract or shogaol,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and mixtures with other additives, followed by compression molding with a lubricant or the like.
  • the mixture may be directly compression molde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tablets may contain a mating agent and the like, if necessary, may be coated with a suitable coating agent.
  • Hard capsules among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form of capsules include ginger extract or shogaol in a conventional hard capsule; And a mixture with an additive such as an excipient, or granules thereof, or a peeled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the soft capsule agent may be a ginger extract or a shogaol; And a mixture with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in a capsule base such as gelatin.
  • the soft capsule agent may contain a plasticizer such as glycerin or sorbitol, a colora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as necessary.
  • Ring-shaped dietary supplements can be prepared by molding ginger extracts or mixtures of shogaols,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etc. by appropriate methods. Or they may be greeted with a suitable substanc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granules may be prepared by granulating the ginger extract or a mixture of shogaol, excipient, binder, disintegrating agent, etc. in a suitable manner, and may contain a flavoring agent, a copper, and the like as necessary.
  •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glidants, copulation agents, flavoring agents,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ocuments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those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Sacrament, Korean College of Pharmacy, 5 revised edition, p33-48, 1989).
  • n-butanol layer was separated by adding 1000 ml of n-butanol to the remaining aqueous layer.
  • the obtained n-butanol layer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solvent, and then completely dried by lyophilization. This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to obtain 18 g of n-butanol fraction.
  • the remaining aqueous layer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solvent and then lyophilized to obtain 43 g of a water fraction.
  • Ginger extract was prepared using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Ginger was ground, 200 g of the dried sample was filled into a supercritical extractor, and extracted twice for 6 hours at 300 bar and 50 ° C.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was maintained at 30 g / min, the pressure in the middle of the separator was set to 50-60 bar,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jacket at the top was set to 40 °C,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jacket at the bottom of 5 °C or less Set to. The gaseous carbon dioxide at the top of the separator was liquefied by the cooler across the charcoal filter and circulated back through the pump to the extractor.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performed as above to obtain 4.32 g of ginger extract.
  • PC12 cells contained 2.0 g / L sodium bicarbonate, 10% horse serum, 5% fetal bovine serum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ntibiotic (10000 U / ml). Cultures were supplemented using supplemented RPMI1640 medium (Gibco BRL, USA). The used fetal bovine serum and horse serum were inactivated at 55 ° C. for 30 minutes before use, and both cells were cultured in a cell incubator maintained at 70% humidity and 37 ° C. and supplied with 5% carbon dioxide.
  • poly-D-lysine (Sigma) was diluted in PBS buffer (pH 7.2) at a concentration of 50 ⁇ g / ml, and then surface coated for 1 hour before PBS buffer Incubated in a culture vessel washed three times.
  • Shogaol was purchased from WAKO (Japan).
  • the serum was exchanged with 10 ml of DMEM medium, and cultured again for 24 hours to obtain a medium.
  • the obtained medium was centrifuged at 1500 rpm for 10 minutes, only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gain, and this medium (conditioned medium) was used for PC12 cell treatment.
  • PC12 cells were aliquoted to contain 10 5 cells per well in a 6 well dish.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2 ng / ml of neural growth factor diluted in PBS buffer and conditioned medium obtained from C6 cells were treated together and exchanged with new neural growth factor and conditioned medium every 2 day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while incubated for days. After four days of conditioned media, 10 cells per well were randomly selected and micrographed, zero if no axons were seen in the cells, 1 if the length of the axons wer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ell body, and cell bodies. When grown to twice the diameter, the product of the axon length to the diameter of the cell body in the form of 2 was quantified. The test was repeated three times and the results are expressed as mean ⁇ error as shown in FIG. 1.
  • the nerve growth factor secreted by C6 cells by Shogaol was quantified by treating the growth medium in a neuronal growth factor measurement kit (DY556, R & D system, USA).
  • nerve growth factor was quantitatively analyzed in the culture medium obtained by treatment with Shogaol on C6 cell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PC12 cells were dispensed and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1, and after 24 hours of culture, nerve growth factors and medium were treated to PC12 cell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PC12 cells under the microscope 4 days after the treatment are shown in FIG. 3.
  • the results of FIG. 3 when 20 ⁇ M of Shogaol was treated, the growth of neuroaxaxes of PC12 cells increased, indicating that Shogaol had excellent neuronal growth factor secretion activity.
  • mice were divided into 2 groups, 10 of each group.
  • the first group (control) was orally administered 10% dimethyl sulfoxide (5mL / kg mouse weight) for 3 days, and the second group received 5 mg / kg of shogaol dissolved in 10% dimethyl sulfoxide. Orally administered for 3 days. Once a day orally for 3 days and a passive avoidance task (1 hour after the last oral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as follows.
  • the control group showed 165.50 ⁇ 23.39 seconds to maintain memory due to electric shock, while the Shogaol 5 mg / kg group showed 240.63 ⁇ 24.14 seconds to increase the retention time significantly (p ⁇ 0.05).
  • mice were divided into 2 groups, 10 of each group.
  • the first group control was orally administered 10% dimethyl sulfoxide (5 mL per kg body weight of the mouse) for 3 days
  • the second group was ginger extract dissolved in 10% dimethyl sulfoxide (Ginger prepared in Example 2)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50 mg / kg for 3 days.
  • passive avoidance task passive avoidance task 1 hour after the last oral administr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est Example 2-1. The result is shown in FIG.
  • the control group showed 165.50 ⁇ 23.39 seconds to maintain memory due to electric shock, and the ginger extract 50 mg / kg group showed 237.43 ⁇ 17.35 seconds to increase the retention time significantly (p ⁇ 0.05).
  • Figure 6 shows the dopaminergic protective effect of shogaol on neurotoxicity by MPP +.
  • the number of dopamine-positive cells was 44.25 ⁇ 7.6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dopamine cells (p ⁇ 0.01), and when treated with shogaol, the concentration was 91.50 ⁇ 3.38% at 0.01 ⁇ M.
  • the dopamine cell protection effect was significant (p ⁇ 0.05).
  • FIG. 7 shows the dopaminergic cytoprotective effect of shogaol on neurotoxicity by 6-OHDA.
  • 6-OHDA group showed 34.00 ⁇ 5.77% dopamine-positive cell cou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dopamine cells (p ⁇ 0.001).
  • the Shogaol-treated group was 57.25 ⁇ 0.01 ⁇ M.
  • the number of dopamine positive cells was increased by 5.65% compared to 6-OHDA group.
  • FIG. 9 shows the dopaminergic cell protective effect of the ginger fraction on neurotoxicity by 6-OHDA.
  • 6-OHDA group showed 34.00 ⁇ 5.77% dopamine-positive cell cou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dopamine cells (p ⁇ 0.001).
  • Ginger extract ethanol extract
  • hexane fraction hexane fraction
  •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were treated at 100 ug / ml with 54.20 ⁇ 4.31%, 62.50 ⁇ 6.94%, 64.54 ⁇ 4.67%, 49.61 ⁇ 5.64% and 45.11 ⁇ 5.21%, respectively, compared with 6-OHDA group.
  • the tendency was to increase.
  •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6 of each group.
  • Group 1 (control) and group 2 (MPTP) received 10% dimethyl sulfoxide orally once daily for 5 days at 5 mL / kg of mouse, and group 3 (shogaol group) received 10% dimethyl sulfoxide.
  • Shogaol dissolved in the side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for 5 days in an amount of 10 mg / kg.
  • the first group (control group)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saline solution at 5 mL per kg body weight for 5 days, and the second and third groups were dissolved in salin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30 mg / kg MPTP for 5 day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 mice of each group who completed the pole test were killed, brain tissues (striatum and substantia nigra) were separated. Dehydrated brain tissue was dehydrated with hydrogen peroxide, followed by overnight reaction with Tyrosine hydroxylase (TH, millipore, rabbit origin 1: 2000) as a primary antibody, and then biotinylated anti-rabbit (vector, goat origin) as a secondary antibody. After the ABC reaction (ABC kit, vector) was developed using Diaminobenzidine (Diaminobenzidine). Dopamine cell protec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optical density in the striatum and counting the number of TH positive cells in the black matt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1 and 12.
  •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10 of each group.
  • Group 1 (control) and group 2 (MPTP) received 10% dimethyl sulfoxide orally once daily for 5 days at 5 mL / kg of mouse, and group 3 (shogaol group) received 10% dimethyl sulfoxide.
  • Ginger extract dissolved in the side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for 5 days in an amount of 50 mg / kg.
  • the first group (control group)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saline solution at 5 mL per kg body weight for 5 days, and the second and third groups were dissolved in salin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30 mg / kg MPTP for 5 day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 FIGS. 14 and 15 After the mice of each group who completed the pole test were killed, brain tissues (striatum and substantia nigra) were separated. The activity of the isolated brain tissues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1-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4 and 15. As can be seen from FIG. 14 and FIG. 15, when the ginger extract was administered, the optical density in the striatum was 84.21 ⁇ 1.48% compared to the control, indicating that the dopamine cells showed significantly more protective activity than the MPTP-administered group. (p ⁇ 0.01), the percentage of TH-positive cells in black matter was 62.20 ⁇ 3.6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s a result, the ginger extract can be seen to show the protective activity of dopamine cells in striatum and substantia nigra.
  • mice Seven-week-old C57BL / 6 male mice (20-25 g) were fed and reared for more than a week in the animal breeding room of th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The water and feed were freely ingested. 2 ° C.), humidity (53 ⁇ 3%) and contrast cycle (12 hours) were automatically adjusted.
  •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10 of each group. Anesthesia was induced in anesthesia gas (O 2 : 30%, N 2 O: 70%, Isoflurane: 2.0%) chamber, and then each group of mice was placed on the operating table with the back on the floor. The skin was incised approximately 1.5 cm above the point where the upper limb and midline met, and the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were exposed to prevent tissue damage. Tissues and nerves attached to the carotid artery were separated and wired for 25 minutes with aneurism clip. At this tim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mouse was measured with a rectal thermometer and maintained at 37 ⁇ 0.5 °C.
  • the Sham control group refers to the group that did the experiment as above but did not ligation the carotid artery. Drug administration takes place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2VO procedure, followed by a total of 3 days once daily.
  • 10% tween 80 was administered, and the ginger extract and each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were dissolved in 10% tween 80 and administered at 25 mg / kg.
  •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pentobarbital sodium (60 mg / kg, i.p.) and perfused with 4% paraformaldehyde. Brains were extracted and fixed in 4% paraformaldehyde and soaked in 30% sucrose solution for one day.
  • the brain was frozen and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size of 30 ⁇ m.
  • the cut tissues were transferred to gelatin coated slides and stained with 0.5% cresyl violet.
  • the number of neurons was observed in the middle part of the hippocampus, which is the most susceptible to delayed neuronal cell death. Observation of the cell number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tained cells at high magnification ( ⁇ 400).
  • the result of staining hippocampus obtained from each group of mice is shown in FIG. 16.
  • the hippocampus after the 2VO procedure can confirm that apoptosis occurred in the CA1 por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poptosis of the CA1 portion by the ginger extract.
  • the result of enlarging the middle portion of CA1 of the hippocampus is as shown in Figure 17,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ell viability in CA1 is shown in Figure 18.
  • the ginger extract (ethanol extract) and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treatment group can be seen that inhibit the neuronal cell death of the CA1 portion.
  • Ginger extract,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were 24.6 ⁇ 13.1%, 30.2 ⁇ 11.5%, 37.5 ⁇ 8.5%, 15.6 ⁇ 5.3%, and 12.5 ⁇ 4.7%, respectively, compared to 2VO group.
  • Neuronal cell death inhibitory effect was shown.
  •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10 of each group.
  • the 2VO procedure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est Example 1.
  • the Sham control group refers to the group that did the experiment as above but did not ligation the carotid artery.
  • Drug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2VO procedure, and then administered once a day for a total of three days. Sham and 2VO groups received 10% Tween 80 and shogaol was dissolved in 10% Tween 80 at 1, 3 and 10 mg / kg.
  • Shogaol showed 29.5 ⁇ 15.4% neuronal cell death inhibition at a concentration of 10 mg / kg compared to the 2VO group (see FIGS. 19, 20, and 21).
  • Ginger extract and Shogaol obtained in Examples 1 and 2 were sequentially administered to SD rats (3 cancers, 3 males, respectively) at doses of 0.1 mg / 10ml / kg to 5000mg / 10ml / kg, Mortality, general symptoms, body weight and autopsy findings were observed for 2 weeks. As a result, no dead animals were observed during the test period. In the general symptoms, no abnormalities caused by the test substance were observed, and no weight change or changes by the test substance were observed. In addition, in the visual necropsy findings, abnormal findings by the test substance were not observed. Thus, both ginger extract and shogaol are believed to be safe at a dose of at least 5 g / k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억이란 주위환경으로부터 얻은 새로운 정보나 학습된 경험, 지식을 습득하여 이를 뇌의 특정부위에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이를 다시 회상하는 과정을 말한다(William F Ganong; Ganong's 생리학, 서울, 한우리, p289, p291-292, 1999). 기억의 과정은 습득, 부호화, 강화, 유지, 회상의 여러 단계로 구분된다.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전문화되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많은 정보량과 학습량이 요구되므로 효과적인 두뇌활동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노화 및 질병에 의한 기억력의 감퇴로 고통받고 있으며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어 감에 따라 고도의 정신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하기 위하여 두뇌를 맑게 하고 기억력을 증진시켜 정신활동을 필요로 하는 등의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파킨슨 질환(Parkinson's disease)은 만성 진행성 신경 질환으로서,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 중 하나이다. 파킨슨 질환은 중뇌의 흑질(substantia nigra) 부위에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만들어 내는 세포가 갑자기 퇴화되거나 그 수가 크게 감소하여 발생한다. 그 원인은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으나, 뇌의 동맥경화증, 일산화탄소 중독, 약물,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등에 의한 대사성, 외상성 뇌염 후유증 등이 관여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물질의 도파민이 감소함으로써 신경전달체계 전체의 균형이 무너지고, 그 결과로서 파킨슨병의 대표적인 증상인 떨림증(tremor), 경직(rigidity), 운동완서(bradykinesia), 자세의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파킨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로서, 엘도파(l-dopa) 제제,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 항콜린 약제, 엘데프릴(Eldepryl=depreyl)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약물들 대부분은 원인적인 치료가 아니라 증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따라서 꾸준하게 지속적인 약물의 복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의 장기 투여는 약물 부작용의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항콜린 약제들은 자율신경계 이상이나 정신기능의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어 고령의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엘도파 제제의 경우 장기간 동안의 복용에 따라 점차적으로 효과가 떨어지고, 몸이 뒤틀리고 손이나 발이 저절로 움직이는 이상운동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기타, 고주파를 이용한 신경자극술 즉, 고주파 파괴술 또는 심부 뇌자극술 등의 수술치료도 행해지고 있으나, 침습적인 수술을 필요로 하고 또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허혈성 뇌혈관 질환(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또는 ischemia)은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에 다양한 형태의 병리학적 이상이 발생되어, 국소적으로 정상적 뇌혈류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일과성 뇌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가역성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 진행성 뇌졸중(progressing stroke), 완전 뇌졸중(completed stroke), 및 허혈성 혈관성 치매(ischemic vascular dementia)을 포함한다. 일과성 뇌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은 뇌허혈에 의해 국소적인 신경장애가 발생한 후 24시간 이내에 회복되는 것을 말하며, 대부분은 10∼15분 이내에 회복된다. 가역성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은 국소적 허혈증상이 24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으나 3주 내에 회복되는 것을 말하며, 신경학적 검사상 확실한 이상소견이 있기 때문에 TIA 와 구분된다. 진행성 뇌졸중(progressing stroke)은 국소적 뇌허혈증상이 수분에서 수시간에 걸쳐 악화되는 것을 말하며, 원인은 이미 연관된 부위의 뇌조직에 뇌허혈이 확장되기 때문이며 이것은 허헐성 뇌부종에 의해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되는 것과는 다르다. 내경동맥영역의 뇌경색환자 중 약 20%에서 첫 48시간 이내에 진행되며, 추골기저동맥영역(vertebrobasilar territory)에서는 약 40% 정도로 더 많이 발생한다. 완전 뇌졸중(completed stroke)은 국소적 뇌허혈증상이 발병한 후 수일∼수주에 걸쳐 신경학적 변화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허혈성 혈관성 치매(ischemic vascular dementia)는 혈관성 치매의 일종으로서, 2회 이상의 허혈성 뇌경색을 전제로 하며, 치매와의 시간적 인과관계를 꼭 요구하지는 않는다.
한편,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Zingiberaceae) 식물에 속하는 진지버(Zingiber)속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생강의 성분으로는 전분이 전체의 40~60%를 차지하고, 방향신미성분, 수지 단백질, 섬유소, 펜토산, 무기질 등이 있으면, 생강의 매운 맛은 진저론(gingeron), 진저롤(gingerol), 쇼가올(shogaol), 디하이드로진저롤(dihydrogingerol), 방향성분은 시트랄(citral), 캄펜(camphene) 등 4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생강의 활성에 관한 연구로서는 항산화 작용(Masuda et al., Chem. Lett., 1, pp189-192, 1993; Jitoe et al., Tetrahedron Lett., 35, pp981-984, 1994), 항염증 작용(Ozaki et al., Chem. Pharm. Bull., 39, pp2353-2356, 1991; Jeenapongsa et al., J. Ethnopharmacol., 87, pp143-148, 2003), 살충작용(Nugroho et al., Phytochemistry, 41, pp129-132, 1996) 및 자궁 이완 작용 (Kanjanapothi et al., Planta Med., 53,pp329-332, 1987)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추출물 또는 천연물 유래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약리 활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생강 추출물 및 생강에 함유된 성분 중 하나인 쇼가올이 우수한 학습 능력 및/또는 기억력 증진 효과를 가지며, 또한 파킨슨 질환 및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이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약학 조성물은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 및/또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C6 세포에서 생강의 에탄올 추출물,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처리하여 얻은 조건배지를 PC12 세포에 처리한 후, 신경축색돌기의 성장길이를 관찰한 결과로서, 생강 추출물의 신경돌기 성장(neurite outgrowth)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C6 세포에서 쇼가올을 0.1, 1, 5, 10, 그리고 20 μM 농도로 처리하여 얻은 조건배지(conditioned media)를 이용하여 신경성장인자를 정량분석한 결과로서, 쇼가올의 신경성장인자의 분비 유도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C6 세포에서 쇼가올을 처리하여 얻은 조건배지를 PC12 세포에 처리한 후, 신경축색돌기의 성장을 관찰한 결과로서, 쇼가올의 신경성장인자 분비 유도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ICR mice에서 쇼가올을 5mg/kg을 투여한 후 인지능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한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ask)의 결과로서, 쇼가올의 인지능력 향상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ICR mice에서 생강 추출물을 50mg/kg을 투여한 후 인지능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한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ask)의 결과로서, 생강 추출물의 인지능력 향상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MPP+의 신경독성에 대한 흰쥐태아중뇌세포에서 쇼가올의 도파민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6-OHDA의 신경독성에 대한 흰쥐태아중뇌세포에서 쇼가올의 도파민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MPP+의 신경독성에 대한 흰쥐태아중뇌세포에서 생강 추출물의 도파민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6-OHDA의 신경독성에 대한 흰쥐태아중뇌세포에서 생강 추출물의 도파민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MPTP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 대한 쇼가올의 행동시험(pole test)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MPTP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서 선조체(striatum)의 광학밀도(optical density) 감소에 대한 쇼가올의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MPTP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서 흑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양성 세포 (tyrosine hydroxylase positive cell) 감소에 대한 쇼가올의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MPTP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 대한 생강추출물의 행동시험(pole test)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MPTP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서 선조체의 광학밀도 감소에 대한 생강추출물의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MPTP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서 흑질의 도파민 양성 세포 감소에 대한 생강추출물의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 허혈에 의해 유도된 해마부분의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생강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 해마 중 신경세포 사멸이 일어난 CA1의 중간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8은 생강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CA1 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9는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 허혈에 의해 유도된 해마부분의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쇼가올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0은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 해마 중 신경세포 사멸이 일어난 CA1의 중간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1은 쇼가올의 CA1 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learning)" 이라 함은 자신의 행동을 지각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 또는 행동을 말하며, 공간지각력, 인지력, 집중력 등을 포함한다.
"학습 장애(learning disorder 혹은 learning disability)"라 함은 지능 지수와 관계없이 다양한 원인, 예를 들어 우울증, 불안증, 강박증, 사회환경적 요인(가정불화, 빈곤, 결손가정, 스트레스) 등에 의해 "학습" 능력이 정상인에 비해 낮아진 상태를 말하며, 공간지각력 저하, 인지력 저하, 집중력 저하, 아동 등의 학업 성취도 저하 등을 포함한다.
"기억" 또는 "기억력" 이라 함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얻은 새로운 정보나 학습된 경험, 지식을 습득하여 뇌의 특정부위에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이를 다시 회상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기억력 장애(memory disorder 혹은 memory deficiency)" 라 함은 외상, 주의력 결핍, 노화, 질병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상기 "기억력"이 정상인에 비해 낮아진 상태를 말하며, 건망증(amnesia), 집중력 장애, 공간지각력 손실, 학습능력의 둔화, 인지력 상실 등을 포함한다.
"허혈성 뇌혈관 질환(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또는 Ischemia)" 이라 함은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에 다양한 형태의 병리학적 이상이 발생되어, 국소적으로 정상적 뇌혈류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일과성 뇌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가역성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 진행성 뇌졸중(progressing stroke), 완전 뇌졸중(completed stroke), 및 허혈성 혈관성 치매(ischemic vascular dementia)을 포함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진행성 및/또는 완전 뇌졸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이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또한 학습 또는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3일간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투여 후 수동 회피 시험을 수행한 결과,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투여한 경우 현저히 증가된 학습 및/또는 기억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이 파킨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1-메틸-4-페닐피리디니움(1-methyl-4- phenylpyridinium, MPP+) 및 6-하이드록시도파민(6-hydroxydopammine, 6-OHDA)로 도파민신경세포 독성을 야기한 후, 도파민신경세포의 보호활성을 시험을 수행한 결과 쇼가올의 도파민 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N-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N-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로 마우스에 파킨슨 병을 유발시킨 후, 행동시험(pole test) 및 도파민 세포(dopaminergic neuron) 보호 활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생강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투여한 경우 MPTP에 의해 야기되는 서동(bradykinesia)을 복원시켰으며 또한 선조체(striatum)와 흑질(substantia nigra)에서 우수한 도파민 세포(dopaminergic neuron)의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이 허혈성 뇌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 생강 추출물 및 쇼가올이 우수한 신경세포 사멸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생강을 C1∼C4 의 알콜, n-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강 추출물은 생강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생강의 분말 시료 1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10배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약 7일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약 7일 내지 10일 동안,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실온(약 25 ℃)에서 냉침 추출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추출과정은 단회 또는 복수회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회 정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약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하거나 감압 건조함으로써,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생강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의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즉, (a) 생강을 C1∼C4 의 알콜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단계(a)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물 및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n-헥산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공정)을 행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생강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a) 생강을 C1∼C4 의 알콜로 추출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물 및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얻어진 수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공정)을 수행하거나, 혹은 (a) 생강을 C1∼C4 의 알콜로 추출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물 및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 (c') 단계(b')에서 얻어진 수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단계(c')에서 얻어진 수층에 n-부탄올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n-부탄올층 또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생강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 즉,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추출공정[즉, 단계(b), (b'), (c), (c'), 및 (d)]는 실온(약 25 ℃)에서 냉침 추출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추출과정은 단회 또는 복수회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회 정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약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하거나, 필요에 따라 동결건조함으로써,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생강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의 추출공정을 수행한 이후, 필요에 따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획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분획은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 (Hexane : EtOAc = 30:1→→1:11)와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 혼합용매(EtOAc : MeOH = 25:1→→1:2)를 단계적으로 극성을 높여가는 용출용매 시스템으로 용출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또한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초임계 추출은 60∼350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bar의 압력에서, 5 분 ∼ 24 시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 시간 동안, 30∼80 ℃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10∼50 g/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g/분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나,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단회 혹은 복수회(예를 들어, 2∼4 회) 수행할 수 있다.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는 분리기의 중간부에 도입되어 압력이 약 50-60 bar로 강하되어 용해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며, 분리기는 상단과 하단에 약 40 ℃의 히팅자켓과 약 5 ℃ 이하의 냉각자켓에 의해 감싸여 하단의 추출물과 액체 이산화탄소와 상단의 기체 이산화탄소로 분리된다. 상단의 기체 이산화탄소는 챠콜 필터 등의 필터를 걸쳐 냉각기에 의해 액화되어 다시 펌프를 통해 추출기로 순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쇼가올은 6-쇼가올로도 칭해지며, 그 화학명이 (E)-1-(4-히드록시-3-메톡시페닐)덱-4-엔-3-온[(E)-1-(4-hydroxy-3-methoxyphenyl)dec-4-en-3-one]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09006664-appb-C000001
상기 쇼가올은 생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유럽특허 제EP1506958호 등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용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한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함유되는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쇼가올은 1일 0.01 내지 500 mg/k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생강 추출물은 1일 0.01 내지 500 mg/k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쇼가올 또는 생강 추출물을 0.001 내지 5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생강 추출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또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을 목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또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강 추출물의 제조
생강 1 kg을 갈아서 5 리터의 에탄올을 넣고 초음파 추출을 1시간 동안 수행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여과에 의해 얻어진 고형물을 다시 에탄올에 넣고 초음파 추출을 1시간 동안 수행한 후, 여과하여 다시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과정을 2회 더 반복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모두 합하여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 동결건조를 통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생강 추출물 200 g 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에탄올-추출물 200 g을 증류수 1000 ml을 가하여 균일하게 잘 현탁한 후 n-헥산 1000 ml을 가하고, 분획 과정을 거쳐 n-헥산층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n-헥산층을 감압농축하여 헥산을 제거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건조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 수행하여 헥산 분획물 60 g을 얻었다. 또한, 남은 수층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0 ml을 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 동결건조를 통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 수행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0 g 을 얻었다. 또한, 남은 수층에 n-부탄올 1000 ml를 가하여 n-부탄올층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n-부탄올층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 동결건조를 통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 수행하여 n-부탄올 분획물 18 g을 얻었다. 또한 남은 수층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 43 g을 얻었다.
실시예 2. 생강 추출물의 제조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생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생강을 갈아, 건조시킨 시료 200g을 초임계 추출기 내부에 충진시키고 300 bar 및 50 ℃의 조건에서 6 시간씩 2회 추출하였다. 이때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30 g/분으로 유지시켰고, 분리기의 중간부 압력은 50-60 bar로 설정하였고, 상단의 히팅자켓의 온도는 40 ℃로 설정하였으며, 하단의 냉각자켓의 온도는 5 ℃ 이하로 설정하였다. 분리기 상단의 기체 이산화탄소는 챠콜필터를 걸쳐 냉각기에 의해 액화되어 다시 펌프를 통해 추출기로 순환시켰다. 상기와 같이 초임계 추출을 수행하여 생강 추출물 4.32 g을 얻었다.
시험예 1.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를 분비한다고 알려져 있는 쥐의 신경교종세포(glioma) C6 세포주와, 신경성장인자에 대하여 신경세포(neuron)와 유사하게 신경축색돌기(neurite)를 성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쥐의 크롬친화성세포종(pheochromocytoma) PC12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C6 세포와 PC12 세포는 모두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각각 KCLB No. 10107 및 21721). C6 세포는 3.4 g/L 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sodium bicarbonate),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10000 U/ml) 1%가 보충된 DMEM 배지(Gibco BRL, 미국)를 사용하여 배양하였으며, PC12 세포는 2.0 g/L 의 탄산수소나트륨, 10% 말혈청(horse serum), 5% 우태혈청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10000 U/ml) 1%가 보충된 RPMI1640 배지(Gibco BRL, 미국)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사용한 소태아혈청 및 말혈청은 사용하기 전 55℃에서 30분간 비활성시켜 사용하였고, 양 세포 모두 70%의 습도와 37℃의 온도가 유지되고, 5%의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PC12 세포의 경우, 폴리-디-라이신(Poly-D-lysine, Sigma)을 PBS 완충용액(pH 7.2)에 50 μg/ml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1시간 동안 표면을 코팅한 후 PBS 완충용액으로 세 번 세척한 배양용기에서 배양하였다. 쇼가올은 WAKO사 (일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 C6 세포에서 생강 추출물의 신경성장인자 분비유도에 미치는 효과
0.25% 트립신(Trypsin)-EDTA(Gibco BRL, 미국)를 처리하여 100 mm 배양용기에 부착된 C6 세포를 이탈시킨 후, 10 ml 의 신선한 배지를 첨가하여 세포현탁액을 만든 후, 세포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측정 및 계산하였다. 계산한 값을 바탕으로 100 mm 배양접시에 2 X 106개의 세포가 포함되도록 분주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기존의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각각 100 ug/ml의 농도로 첨가한 2% 우태혈청의 DMEM 배지 10 ml으로 교환해주었으며,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각각 얻었다. 얻은 배지를 1500 rpm 에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만을 다시 모았으며, 이 배지(조건배지, conditioned media)를 PC12 세포 처리에 사용하였다.
PC12 세포는 6 well 배양접시에 well 당 105개의 세포가 포함되도록 분주하였다. 배양한지 24시간 후, PBS 완충용액에 희석한 2 ng/ml 의 신경성장인자와 C6 세포에서 얻은 조건배지를 함께 처리하였고, 2일에 한번 씩 새로운 신경성장인자와 조건배지로 교환해주었으며, 6일 동안 배양하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조건배지를 4일간 처리한 후, 웰당 10개의 세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고, 세포에서 신경축색돌기가 보이지 않으면 0으로, 신경축색돌기의 길이가 세포체의 지름과 같으면 1로, 그리고 세포체 지름의 2배 길이로 성장하면 2로 하는 형식으로 세포체의 지름에 대한 신경축색돌기 길이의 곱을 수치화하였다. 상기 시험을 3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평균±오차 로 나타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체의 길이에 대하여 2.21±0.13 배, n-헥산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2.35±0.38 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3.24±0.34 배, n-부탄올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0.93±0.17 배, 그리고 물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0.81±0.19 배의 신경축색돌기의 성장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생강 추출물이 성장인자 분비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큰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C6 세포에서 쇼가올의 신경성장인자 분비유도에 미치는 효과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C6 세포를 분주한 후, 0.1, 1, 5, 10, 및 20 μM 의 쇼가올을 처리하여 조건배지를 만들었다.
쇼가올에 의해 C6 세포에서 분비된 신경성장인자는 신경성장인자 측정 kit(DY556, R&D system, 미국)에 조건배지를 처리하여 정량하였다. 쇼가올이 신경성장인자 분비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6 세포에 쇼가올을 처리한 후 배양하여 얻은 조건배지에서 신경성장인자를 정량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 과 비교하여 쇼가올을 0.1 μM 처리하였을 때 105.46±7.27 %, 1 μM 처리하였을 때 112.72±3.67 %, 5 μM을 처리하였을 때 112.97±4.97 %, 10 μM 을 처리하였을 때 119.44±5.18 %, 그리고 20 μM 을 처리하였을 때는 124.81±5.61 %의 신경성장인자 분비를 보였다. 쇼가올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신경성장인자의 분비량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 μM에서 가장 다량을 분비함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는 세 번의 반복실험 결과를 평균±오차 로 나타낸 것이다.
(3) PC12 세포에서 쇼가올의 신경축색돌기 성장에 미치는 효과
PC12 세포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주 및 배양하였으며, 배양한지 24시간 후, 역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신경성장인자 및 조건배지를 PC12 세포에 처리하였다. 처리 후 4일 째에 현미경으로 PC12 세포를 관찰한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가올을 20 μM 처리하였을 때, PC12 세포의 신경축색돌기의 성장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쇼가올이 우수한 신경성장인자 분비 활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시험예 2.
수컷 ICR 마우스 25-28g를 분양받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의 동물 사육실에서 7일 간 사육하여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2±2 ℃), 습도 (53±3 %) 및 명암주기 (12 시간)는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쇼가올은 WAKO사 (일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 쇼가올의 인지능력 향상 효과
마우스를 각 군당 10 마리씩 2 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대조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를 마우스 체중 kg당 5mL로 3일간 경구 투여하였고, 제2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녹인 쇼가올을 5 mg/kg의 양으로 3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1일 1회로 3일간 경구투여하고 마지막 경구투여 1 시간 후 수동 회피 시험(passive avoidance task)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수동 회피 시험은 내부구조가 두 개의 동일한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시험 장치에서 첫째 날 가운데에 문을 사이에 두고 한쪽은 불을 켜놓고 다른 한쪽은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쪽에서 먼저 10초간 머무르게 한 후 사의의 문을 열어주고 시험동물이 어두운 공간으로 이동할 때 발바닥에 0.25 mA의 전기 자극을 주었다. 24 시간 후 같은 방법으로 수동 회피 시험을 진행하고 이때 밝은 곳에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대조군은 165.50±23.39초를 나타내어 전기충격으로 인한 기억력이 유지되었고 쇼가올 5 mg/kg 투여군은 240.63±24.14초를 나타내어 체류시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p<0.05).
(2) 생강 추출물의 인지능력 개선 효과
마우스를 각 군당 10 마리씩 2 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대조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를 마우스 체중 kg당 5mL로 3일간 경구 투여하였고, 제2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녹인 생강추출물(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강 추출물)을 50 mg/kg의 양으로 3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1일 1회로 3일간 경구투여하고 마지막 경구투여 1 시간 후 수동 회피 시험(passive avoidance task)을 시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대조군은 165.50±23.39초를 나타내어 전기충격으로 인한 기억력이 유지되었고 생강추출물 50 mg/kg 투여군은 237.43±17.35초를 나타내어 체류시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p<0.05).
시험예 3. MPP+(1-methyl-4-phenylpyridinium) 및 6-OHDA(6-hydroxy- dopamine)의 신경독성에 의한 흰쥐태아중뇌세포에서의 쇼가올 및 생강 추출물의 보호 효과 평가
암컷 Sprague-Dawley 랫트(2주령)을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쇼가올은 WAKO사 (일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Sprague-Dawley 랫트(2주령) 태아의 중뇌 조직을 박리하여, 포셉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분리(dissociation)하였다. 조직에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 숫자를 세고 폴리-엘-라이신(poly-L-Lysine, PLL)로 미리 코팅한 커버슬립에 시딩(seeding)한 후 5% CO2, 95% air의 37 ℃ 배양기에서 5 일 동안 증식시켰다.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없는 배지에 쇼가올 0.01μM, 0.1μM을 희석하여 처리하거나 생강 추출물(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 헥산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부탄올분획물, 물분획물)을 희석하여 처리하였고, MPP+는 쇼가올 처리 1시간 후 10μM을 23시간 동안, 6-OHDA는 쇼가올 처리 6시간 후 10μM를 1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로 고정하고 인산 완충 식염수(PBS)로 세척하였다.
(1) 쇼가올의 보호 활성 평가 -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4% PFA로 고정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15분간 1% 과산화수소로 탈수과정을 거친 후 PBS와 3% 트리톤 X-100, normal goat serum이 포함된 Tyrosine hydroxylase(TH, millipore, rabbit origin 1:2000)을 세포와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2차 항체로 biotinylated anti-rabbit(vector, goat origin)을 반응시키고, ABC 반응(ABC kit, vector)을 거쳐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 DAB)을 이용하여 발색시켰다 DAB에 발색시킨 후 슬라이드에 커버슬립을 떼어 gel mount를 이용하여 mounting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6 및 도 7과 같다.
도 6은 MPP+에 의한 신경독성에 대한 쇼가올의 도파민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MPP+군은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44.25±7.61%을 나타내어 도파민 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p<0.01) 쇼가올을 처리한 경우 0.01μM농도에서 91.50±3.38%로 유의적으로 도파민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도 7은 6-OHDA에 의한 신경독성에 대한 쇼가올의 도파민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6-OHDA군은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34.00±5.77%을 나타내어 도파민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p<0.001) 쇼가올을 처리한 군은 0.01μM농도에서 57.25±5.65%로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6-OHDA군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생강 추출물의 보호 활성 평가 -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역조직화학법으로 발색시킨 후,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8 및 도 9와 같다.
도 8은 MPP+에 의한 신경독성에 대한 생강 추출물의 도파민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MPP+군은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44.25±7.61%을 나타내어 도파민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p<0.01), 생강 추출물(에탄올 추출물), 헥산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부탄올분획물, 물분획물을 100 ug/ml로 처리한 경우 각각 65.20±3.45%, 71.41±6.32%, 76.60±6.15%, 58.32±7.22%, 57.17±5.33%로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MPP+군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9는 6-OHDA에 의한 신경독성에 대한 생강분획물의 도파민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6-OHDA군은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34.00±5.77%을 나타내어 도파민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p<0.001) 생강 추출물(에탄올 추출물), 헥산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부탄올분획물, 물분획물을 100 ug/ml로 처리한 경우 각각 54.20±4.31%, 62.50±6.94%, 64.54±4.67%, 49.61±5.64%, 45.11±5.21%로 도파민 양성세포수가 6-OHDA군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MPTP(N-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투여에 의해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을 유도시킨 C57BL/6 마우스에서의 생강추출물 및 쇼가올의 보호 효과 평가
7주령의 C57BL/6계 수컷 마우스(19-22 g)를 분양받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의 동물 사육실에서 1 주일 이상 사육하여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2±2 ℃), 습도(53±3 %) 및 명암주기(12 시간)는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쇼가올은 WAKO사(일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 MPTP 투여에 의한 파킨슨병 모델에서 쇼가올의 보호효과
마우스를 각 군당 6마리씩 3 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대조군) 및 제2(MPTP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마우스 체중 kg당 5mL로 5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고, 제3군(쇼가올 투여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킨 쇼가올을 10 mg/kg의 양으로 5일 동안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2시간 후 제1군(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마우스 체중 kg당 5mL로 5일간 복강 투여하였으며, 제2군 및 제 3군은 MPTP 30mg/kg 체중의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5일간 복강 투여하였다.
(1-1) 행동시험 (pole test)
상기 5일간의 투여 종료 다음 날, 높이 50cm, 지름 1cm의 막대에서 행동시험(pole test)을 수행하였다. 막대 위에 C57bl/6 마우스를 머리가 위로 향하게 놓고, 마우스가 꼭대기를 180° 돌아서 네 다리가 땅에 닿을 때 까지 내려오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마우스를 3회씩 연습시킨 후 5번 본 실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0과 같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가올을 투여한 경우 T-la [대조군 대비 %(% of control)]가 99.10±8.11초로서, MPTP가 투여되지 않은 대조군 수준과 비슷한 수준이며, 쇼가올은 MPTP에 의해 야기되는 서동(bradykinesia)을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p<0.05)
(1-2) 도파민 세포의 보호 활성 평가
상기 행동시험(pole test)이 완료된 각군의 마우스를 치사시킨 후, 뇌 조직[선조체(striatum) 및 흑질(substantia nigra)]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뇌 조직을 과산화수소로 탈수한 후 1차 항체로 Tyrosine hydroxylase(TH, millipore, rabbit origin 1:2000)을 하룻밤 반응시킨 후 2차 항체로 biotinylated anti-rabbit(vector, goat origin)을 사용하고, ABC 반응(ABC kit, vector)을 거쳐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을 이용하여 발색시켰다. 도파민 세포 보호효과는 선조체에서 광학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고 흑질에서 TH 양성 세포 숫자를 세어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 및 도 12와 같다.
도 11 및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가올을 투여한 경우 선조체에서 광학밀도가 control 대비 %가 80.11±1.97%로서, MPTP 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도파민 세포의 보호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5), 흑질에서 TH 양성세포 수가 쇼가올을 투여한 경우 control 대비 %가 70.30±4.86로 MPTP 투여군보다 TH 양성 세포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이 결과로서 쇼가올은 선조체(striatum) 및 흑질(substantia nigra)에서 우수한 도파민 세포의 보호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2) MPTP 투여에 의한 파킨슨병 모델에서 생강추출물의 보호효과
마우스를 각 군당 10마리씩 3 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대조군) 및 제2(MPTP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마우스 체중 kg당 5mL로 5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고, 제3군(쇼가올 투여군)은 10%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킨 생강추출물(실시예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50 mg/kg의 양으로 5일 동안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2시간 후 제1군(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마우스 체중 kg당 5mL로 5일간 복강 투여하였으며, 제2군 및 제 3군은 MPTP 30mg/kg 체중의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5일간 복강 투여하였다.
(2-1) 행동시험 (pole test)
상기 5일간의 투여 종료 다음 날, 행동시험을 상기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3과 같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강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T-la 가 107.48±7.32초로서, 생강추출물은 MPTP에 의해 야기되는 서동(bradykinesia)을 회복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2-2) 도파민 세포의 보호 활성 평가
상기 행동시험(pole test)이 완료된 각군의 마우스를 치사시킨 후, 뇌 조직[선조체(striatum) 및 흑질(substantia nigra)]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뇌 조직에 대하여 상기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4 및 도 15와 같다. 도 14 및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강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선조체에서 광학밀도가 control 대비 %가 84.21±1.48%로서, MPTP 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도파민 세포의 보호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1), 흑질에서 TH 양성세포 수가 생강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control 대비 %가 62.20±3.67%로 MPTP 투여군보다 TH 양성 세포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이 결과로서 생강추출물은 선조체(striatum) 및 흑질(substantia nigra)에서 도파민 세포의 보호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의 생강 추출물의 활성 평가
7주령의 C57BL/6계 수컷 마우스(20-25 g)를 분양받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의 동물 사육실에서 1 주일 이상 사육하여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2±2 ℃), 습도 (53±3 %) 및 명암주기 (12 시간)는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마우스를 각 군당 10 마리씩 3 군으로 나누었다. 마취가스 (O2: 30%, N2O: 70%, 이소플루란(Isoflurane): 2.0%) 챔버에서 마취를 유도한 다음, 각군의 마우스를 수술대에 등이 바닥에 닿게 위치시켰다. 상지와 중앙선이 만나는 지점부터 위로 약 1.5 cm 피부를 절개한 뒤 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양측 총경동맥을 노출시켰다. 경동맥에 붙어있는 조직 및 신경을 분리하고 aneurism clip으로 25분간 결철하였다. 이때, 직장 체온계로 마우스의 체온을 측정하고 37 ± 0.5 ℃로 유지시켰다.
Sham control군은 위와 같이 실험하되 총경동맥을 결찰하지 않은 군을 말한다. 약물 투여는 2VO 시술이 끝난 즉시 이루어지며, 이후 1일 1회 총 3일 동안 투여를 실시하였다. Sham 군과 2VO 시술 군은 10% tween 80을 투여하였고 생강추출물과 각 분획물(실시예 1에서 얻어짐)은 10% tween 80에 녹여서 25mg/kg으로 투여하였다. 수술 7일 후에 동물을 페노바비탈 소듐(pentobarbital sodium) (60 mg/kg, i.p.)로 마취시킨다음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관류시켰다. 뇌를 적출한 다음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30% 수크로오스 용액에 하루 동안 담궈두었다. 이 후 뇌를 얼린 다음에 30 μm 크기로 수직방향으로 잘라주었다. 잘라진 조직은 젤라틴 코팅된 슬라이드에 옮기고 0.5%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하였다. 해마 중 CA1 부분 중 가장 지연성 신경원세포 사망에 손상받기 쉬운 부분인 중간대의 부분에서 신경세포 수를 관찰하였다. 세포수의 관찰은 고배율(×400)에서 염색된 세포의 수를 세어서 측정하였다.
각군의 마우스로부터 얻은 해마를 염색한 결과는 도 16과 같다. 도 16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2VO 시술을 한 해마는 CA1 부분에 세포사멸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강추출물에 의해 CA1 부분의 세포사멸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마의 CA1의 중간 부분을 확대한 결과는 도 17과 같으며, CA1 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18과 같다.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강 추출물(에탄올 추출물)과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처리 군은 CA1 부분의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강 추출물과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은 각각 2VO 시술군에 비해 24.6±13.1%, 30.2±11.5%, 37.5±8.5%, 15.6±5.3%, 12.5±4.7%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효능을 보여주었다.
시험예 6. 2-vessel occlusion 뇌허혈 모델에서의 쇼가올의 활성 평가
마우스를 각 군당 10 마리씩 3 군으로 나누었다. 2VO 시술은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Sham control군은 위와 같이 실험하되 총경동맥을 결찰하지 않은 군을 말한다. 약물 투여는 2VO 시술이 끝난 즉시 이루어졌으며, 이후 1일 1회 총 3일 동안 투여를 실시하였다. Sham 군과 2VO 시술 군은 10% 트윈 80을 투여하였고 쇼가올은 10% 트윈 80에 녹여서 1, 3, 10 mg/kg으로 투여하였다. 쇼가올은 2VO 시술군에 비해 10 mg/kg의 농도에서 29.5±15.4%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효능을 보여주었다 (도 19, 도 20, 및 도 21 참조).
시험예 7. 독성시험
(1) 급성독성시험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생강 추출물 및 쇼가올을 0.1 mg/10ml/kg부터 5000mg/10ml/kg의 용량으로 SD 랫트(각각 암: 3 마리, 수: 3 마리)에 순차적으로 투여한 후, 2주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기간 동안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일반증상에 있어서 시험물질에 의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변화 또한 시험물질에 의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육안적 부검소견에 있어서도, 시험물질에 의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생강 추출물 및 쇼가올 모두 적어도 5g/kg의 용량에서 안전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복귀돌연변 시험
세균에서의 유전독성 평가를 위해,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TA 100, TA 1535, TA 98, 및 TA 1537)와 대장균주(E. coli WP2 uvrA)를 이용하여 복귀돌연변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집락수가 현저히 증가한 반면, 모든 균주의 시험물질 처리군(즉,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 및 쇼가올 처리군)에서는 집락수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생강 추출물 및 쇼가올 모두 유전독성시험에서 안전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14)

  1. 유효성분으로서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파킨슨 질환, 또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쇼가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생강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생강을 C1∼C4 의 알콜, n-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생강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a) 생강을 C1∼C4 의 알콜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단계(a)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물 및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n-헥산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a) 생강을 C1∼C4 의 알콜로 추출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물 및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얻어진 수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a) 생강을 C1∼C4 의 알콜로 추출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물 및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 (c') 단계(b')에서 얻어진 수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단계(c')에서 얻어진 수층에 n-부탄올을 가하여 추출하고, 얻어지는 n-부탄올층 또는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60∼350 bar의 압력에서 5 분 ∼ 24 시간 동안 30∼80 ℃에서 초임계 추출을 통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이 약 300 bar의 압력 및 약 50 ℃에서 약 6 시간씩 2∼4 회 초임계 추출을 통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이 일과성 뇌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가역성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진행성 뇌졸중(progressing stroke), 완전 뇌졸중(completed stroke), 또는 허혈성 혈관성 치매(ischemic vascular dement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dosage form)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및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경구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3.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 또는 증상완화용 식품 조성물.
  14.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PCT/KR2009/006664 2008-11-19 2009-11-13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0058926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46308.4A CN102215857B (zh) 2008-11-19 2009-11-13 包含生姜提取物或姜烯酚的药物组合物
US13/130,009 US9844521B2 (en) 2008-11-19 2009-11-13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inger extract or shoga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64 2008-11-19
KR1020080114964A KR20100056020A (ko) 2008-11-19 2008-11-19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학습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KR1020080118582A KR101288814B1 (ko) 2008-11-27 2008-11-27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80118585A KR20100060124A (ko) 2008-11-27 2008-11-27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8-0118585 2008-11-27
KR10-2008-0118582 2008-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8926A2 true WO2010058926A2 (ko) 2010-05-27
WO2010058926A3 WO2010058926A3 (ko) 2010-09-23

Family

ID=4219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6664 WO2010058926A2 (ko) 2008-11-19 2009-11-13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44521B2 (ko)
CN (1) CN102215857B (ko)
WO (1) WO201005892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841A (zh) * 2012-06-08 2012-09-12 桂林三金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生姜酚类提取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583027A (zh) * 2017-11-01 2018-01-16 周杰 疏经通络的中药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WO2024101890A1 (ko) * 2022-11-09 2024-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추출물, 쇼가올 및 레보도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 또는 도파민 유발 이상운동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757B (zh) * 2012-05-18 2014-06-04 广州军区广州总医院 对羟基苄叉丙酮在制备预防和/或治疗脑病药物中的应用
ES2919874T3 (es) * 2014-09-24 2022-07-28 Vital Beverages Global Inc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el suministro selectivo en el tubo gastrointestinal
BR112018072141B8 (pt) * 2016-04-27 2022-12-20 Badmaev Vladimir Método para manter homeostase de ferro com shogaóis
CN106187727A (zh) * 2016-07-27 2016-12-07 陕西嘉禾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从天堂椒果实中提取6‑姜酮酚的方法
WO2018129315A1 (en) * 2017-01-06 2018-07-12 Flex Pharm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EP3570861A4 (en) 2017-01-23 2020-11-18 Flex Pharma, Inc. COMPOSITIONS AND PROCEDURES EFFECTING SPORTING PERFORMANCE
KR102176033B1 (ko) * 2020-05-28 2020-11-06 주식회사 하나모아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강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5424A1 (fr) * 2002-05-13 2003-11-20 Toagosei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e shogaol et produits intermediaires servant a la synthese de shogaol
KR20080041625A (ko) * 2005-06-15 2008-05-13 대릭 에스. 에치. 엘. 김 세이지 및 로즈마리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유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유용한 상승 작용성 약학 조성물
US20080193574A1 (en) * 2006-09-29 2008-08-14 Rishton Gilbert M Inhibitors Of Cognitive Decl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3909A (ja) * 1985-05-20 1986-11-2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S6372625A (ja) 1986-09-12 1988-04-02 Tsumura & Co 血小板凝集抑制剤
JPH02193930A (ja) * 1989-01-19 1990-07-31 Tsumura & Co ラジカル消去剤
US6518315B1 (en) * 1997-10-21 2003-02-11 The University Of Sydney Medicinal uses of phenylaikanols and derivatives
US6887898B1 (en) 1999-10-22 2005-05-03 Darrick S. H. L. Ki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disease
US7728043B2 (en) 1999-10-22 2010-06-01 Kim Darrick S H L Methods for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ocular disease
DE10320560A1 (de) * 2003-05-07 2004-01-29 Brosig, Stefan, Dr. Mittel zur Bekämpfung der Alzheimer Erkrankung und/oder der Parkinson Krankheit
WO2005112965A2 (en) * 2004-05-20 2005-12-0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otan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US7455860B2 (en) * 2004-08-11 2008-11-25 Laila Nutraceuticals Dietary supplement formulation for controlling inflammation and cancer
CN1692924A (zh) * 2005-02-25 2005-11-09 广州中医药大学 姜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017162B2 (en) * 2005-10-26 2011-09-13 Oryza Oil & Fat Chemical Co., Ltd. Anti-inflammatory agent
JP2008156297A (ja) * 2006-12-25 2008-07-10 Hokkaido Univ セロトニン2bおよび/または2c受容体拮抗剤
CA2761971A1 (en) * 2008-05-18 2009-11-26 Rice Science, Llc Rice bran extracts for inflamm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659046B1 (ko) * 2008-06-03 2016-09-22 라일라 뉴트라슈티칼스 보스웰리아 세라타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5424A1 (fr) * 2002-05-13 2003-11-20 Toagosei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e shogaol et produits intermediaires servant a la synthese de shogaol
KR20080041625A (ko) * 2005-06-15 2008-05-13 대릭 에스. 에치. 엘. 김 세이지 및 로즈마리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유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유용한 상승 작용성 약학 조성물
US20080193574A1 (en) * 2006-09-29 2008-08-14 Rishton Gilbert M Inhibitors Of Cognitive Decli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RRICK S.H.L.KIM ET AL.: 'Side-chain length is important for shogaols in protecting neuronal cells from beta-amyloid insult'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 14, 2004, pages 1287 - 128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841A (zh) * 2012-06-08 2012-09-12 桂林三金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生姜酚类提取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583027A (zh) * 2017-11-01 2018-01-16 周杰 疏经通络的中药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WO2024101890A1 (ko) * 2022-11-09 2024-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추출물, 쇼가올 및 레보도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 또는 도파민 유발 이상운동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5857A (zh) 2011-10-12
US20110229590A1 (en) 2011-09-22
CN102215857B (zh) 2015-06-17
WO2010058926A3 (ko) 2010-09-23
US9844521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8926A2 (ko)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JP6773821B2 (ja) 桑椹子およびブクリョウ皮の混合抽出物を含有する退行性神経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2124887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WO2010036052A2 (ko)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7213306A1 (ko) 머위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WO2013100340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288814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025202A1 (ko) 작약, 건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1126322A2 (ko) 검정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4084616A1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6659749B (zh) 包含葎草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退行性脑疾病的组合物
WO2017176001A1 (ko)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21033994A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3613A2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24854A1 (ko)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230942A1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211396A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03497A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6133B1 (ko) 백단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71620A1 (ko) 참당귀 추출물 또는 참당귀 및 브로콜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0107150A1 (ko)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3055198A1 (ko) 반하, 대추, 감초, 인삼, 건강,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료용 조성물
WO2024172529A1 (ko) Cndh106 벼 품종 유래 미강 및 쌀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054918A1 (ko) 네프릴라이신을 과발현하는 줄기세포, 이의 배양액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46308.4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76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3000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276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