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80010593A - 렌즈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렌즈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593A
KR980010593A KR1019970001874A KR19970001874A KR980010593A KR 980010593 A KR980010593 A KR 980010593A KR 1019970001874 A KR1019970001874 A KR 1019970001874A KR 19970001874 A KR19970001874 A KR 19970001874A KR 980010593 A KR980010593 A KR 98001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optical axis
lens group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774B1 (ko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가즈요시 아제가미
다카미츠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도오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479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9047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도오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도오루
Publication of KR98001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7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both exposure time and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4Adjusting size of aperture formed by members when fully open so as to constitute a virtual diaphragm that i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배럴내에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지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렌즈지지구조는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 렌즈프레임의 외주에 형성된 외부플랜지; 외부플랜지의 바로 뒤에 렌즈프레임상에 위치된 환형탄성부재; 내부플랜지의 내부원주에지는 렌즈그룹의 광축과 동심인 중심을 가지고 있는 원형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렌즈프레임은 환형탄성부재가 외부플랜지와 내부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되는 상태로 렌즈배럴내에 위치되어지도록 원형구멍을 통하여 렌즈배럴안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배럴의 내부상에 안쪽으로 뻗어서 형성된 내부플랜지;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내부플랜지의 내부에지중의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 및 렌즈배럴에 렌즈프레임을 체결하도록 복수의 돌출부와 각각 맞물리고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내부플랜지의 내부에지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렌즈지지구조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영렌즈의 렌즈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줌밍을 달성하도록 광축을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되는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이 구비되어 있는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종래의 줌렌즈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줌렌즈는 전방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다. 렌즈프레임은 접착제 또는 멈춤나사에 의해서 줌밍작동이 달성될 때 카메라본체로부터 전진하거나 거기로 수축하도록 구동되는 이동배럴(렌즈프레임 지지배럴)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그러한 줌렌즈에서 조립동안 후방렌즈그룹에 대한 전방렌즈그룹의 위치, 즉 이동배럴에 대한 렌즈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가 이동배럴에 렌즈프레임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때 일단 접착제가 정착하면 후방렌즈그룹에 대하여 전방렌즈그룹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이 렌즈프레임으로부터 별개로 제공된 렌즈배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렌즈프레임의 위치가 렌즈배럴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는 렌즈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확대개략사시도.
제2도는 맞물림상태로 도 1에서 도시된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사시도.
제3도는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의 확대분해사시도.
제4도는 줌렌즈배럴의 AF/AE 셔터유니트가 제1이동배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개략사시도.
제5도는 도 1, 도 2,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줌렌즈배럴의 AF/AE 셔터유니트의 주부분을 예시하고 있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줌렌즈배럴의 제3이동배럴의 확대개략사시도.
제7도는 줌렌즈배럴의 고정렌즈배럴블록의 정면도.
제8도는 최대신장상태의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제9도는 수용된 상태의 필수구성요소를 예시하고 있는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제10도는 최대신장상태로 도 9에서 도시된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제11도는 수용된 상태의 줌렌즈배럴의 상부분의 단면도.
제12도는 줌렌즈배럴의 전체구조의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줌렌즈배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14도는 렌즈지지배럴, O링, 제1이동배럴 및 AF/AE 셔터유니트의 분해사시도.
제15도는 14에서 도시된 렌즈지지배럴의 확대사시도.
제16도는 제1이동배럴상의 렌즈지지배럴의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의 개략단면도.
제17도는 도 15에서 도시된 렌즈지지배럴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이동배럴의 정면도.
제19도는 도 15에서 도시된 렌즈지지배럴의 외주의 전개도.
제20도는 도 12에서 도시된 선형안내배럴의 확대사시도.
제21도는 15에서 도시된 렌즈지지배럴의 상부부분과, 렌즈지지배럴과 나사맞물림결합되어지는 렌즈고정링의 단면도.
제22도는 21에서 도시된 렌즈고정링의 일부분의 확대단면도.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렌즈배럴(20)에서 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렌즈지지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이 렌즈지지구조는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34); 렌즈프레임의 외주에 형성된 외부플랜지(34j); 외부플랜지의 바로 뒤에 렌즈프레임상에 위치된 환형탄성부재(81); 내부플랜지의 내부원주에지는 렌즈그룹의 광축과 동심인 중심을 가지고 있는 원형구멍(20e)을 형성하고 있고 렌즈프레임은 환형탄성부재가 외부플랜지와 내부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되는 상태로 렌즈배럴내에 위치되어지도록 원형구멍을 통하여 렌즈배럴안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배럴의 내주상에 안쪽으로 뻗어서 형성된 내부플랜지(206);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내부플랜지의 내부에지중의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20c);및 렌즈배럴에 렌즈프레임을 체결하도록 복수의 돌출부와 각각 맞물리고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내부플랜지의 내부에지증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34f, 34h)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형탄성부재는 O링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돌출부와 복수의 오목부는 광축을 중심으로 등각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복수의 오목부는 복수의 돌출부중의 대응하는 하나가 광축방향으로 삽입되거나 꺼내지도록 하는 제1오목부분(34f)과, 복수의 돌출부중의 대응하는 하나가 거기로부터 맞물림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오목부분(34b)을 포함하고 있고 제2오목부분은 광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제1연결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오목부분내에 위치된 복수의 돌출부중의 대응하는 하나는 렌즈프레임이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렌즈배럴에 대하여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2오목부분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돌출부(20c)와 복수의 오목부는 제2오목부분(34h)의 폭이 광축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20c)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폭보다 큰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렌즈배럴(20)내에 촬영렌즈시스템의 전방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렌즈지지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렌즈지지구조는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34); 렌즈프레임의 외주에 형성된 외부플랜지(34j); 외부플랜지의 바로 뒤에 렌즈프레임상에 위치된 환형탄성부재(81); 내부플랜지의 내부원주에지는 렌즈그룹의 광축과 동심인 중심을 가지고 있는 원형구멍(20e)을 형성하고 있고 렌즈프레임은 환형탄성부재가 외부플랜지와 내부 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되는 상태로 렌즈배럴내에 위치되어지도록 원형구멍을 통하여 렌즈배럴안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배럴의 내주상에 안쪽으로 뻗어서 형성된 내부플랜지(20b); 후방렌즈그룹이 초점조정을 위하여 광축을 따라서 유니트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정도로 거기에 지지된 후방렌즈그룹(L2), 렌즈배럴이 위치되어 있는 광축을 따라서 형성된 원통형공간, 및 렌즈프레임의 후방끝을 지지하는 지지부 재(4Of)를 포함하고 있는, 내부플랜지의 뒤에 렌즈배럴내에 위치된 유니트(21); 외부플랜지의 바로 뒤에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내부플랜지의 내부에지중의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20c); 및 렌즈배럴에 렌즈 프레임을 체결하도록 복수의 돌출부와 각각 맞물리고 외부플랜지의 바로 뒤에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내부 플랜지의 내부에지증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34f, 34h)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형탄성부재는 0링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구성요소가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서 표시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줌렌즈카메라의 바람직한 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줌렌즈카메라의 개념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줌 렌즈카메라는 3개의 이동배럴, 즉 광축(0)으로 부터 순서대로 동심으로 배열된 제1이동배럴(렌즈프레임지지배럴)(20), 제2이동배럴 (19) 및, 제3이동배럴(16)을 가진 3단계 딜리버리 타입(망원경타입)의 줌렌즈배럴(줌렌즈)(10)을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배럴(10)에 있어서 2개의 렌즈그룹은 촬영광학시스템, 즉 포지티브 파워를 가진 전방렌즈그룹(L1)과 네가티브 파워를 가진 후방렌즈그룹(L2)으로서 제공된다. 카메라 본체에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 모터제어기(60),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 줌작동장치(62), 초점작동장치(63), 대물거리측정장치(64), 광측정장치(65), 및 AE(즉, 자동노출) 모터제어기(66)가 제공된다.
피사체 대 카머라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대물거리측정장치(64)의 특정초점시스템이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적당한 시스템은 1996년 2월 22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 08/605,75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의 전체상세는 참고문헌으로 제출되었다.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08/605,759호에 개시된 초점시스템은 소위 "수동"타입이며 다른 알려진 자동초점시스템(예친대, 적외선 빛과 삼각측량에 기초한 시스템과 같은 작동범위 파인딩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08/605,759호에 개시된 광측정 시스템은 광측정장치(65)로서 실행될 수 있다. 줌작동장치(62)는 카메라 본체상에 제공된 수동식 줌작동레버(도시안됨) 또는 카메라 본체상에 제공된 한쌍의 줌버튼, 예컨대 "광각" 줌버튼과 "망원" 줌버튼(도시안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줌작동장치(62)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켜 초점길이 및 초점지점에 관계없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모터(25))에 의한 렌즈그룹(L1, L2)의 전방 및 후방운동은 줌작동장치(62)가 "망원"과 "광각"위치로 작동될 때 렌즈그룹(L1, L2)의 전방 및 후방운동이 발생되므로 "망원"을 향한 운동과 "광각"을 향한 운동으로 각각 칭한다.
카메라 본체내에 제공된 줌파인더(67)의 시야의 상 배율은 줌작동장치(62)의 작동을 통하여 초점변화와 연속하여 변화한다. 그러므로, 촬영자는 파인더의 시야의 상배율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초점길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줌작동장치(62)의 작동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도시안됨)등 상에 표시된 값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초점작동장치(63)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킨다.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의 구동으로 인해,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은 설정된 초점길이와 검출된 대물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따라 줌렌즈는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다. 특히, 초점작동장치(63)는 카메라 본체의 상부벽 상에 제공된 릴리즈버튼(도시안됨)을 구비하고 있다.
광측정스위치와 릴리즈 스위치(둘다 도시안됨)는 릴리즈 버튼과 동조된다. 릴리즈 버튼이 절반눌러지면(절반단계), 초점작동장치(63)는 광측정스위치가 ON되도록 하고 대물거리측정과 광측정명령은 각각 대물거리측정장치(64)와 광측정장치(65)에 각각 입력된다. 릴리즈 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면(완전단계), 초점작동장치(63)는 릴리즈 스위치가 ON되도록 하며 대물거리측정명령 및 설정된 초점길이의 결과에 따라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구동되며,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초점위치로 이동하는 초점작동이 실행된다. 더욱이, AF/AE (즉, 자동초점/자동노출) 셔터 유니트(전기 유니트)(21)(도 11)의 AE모터(29)는 셔터(27)를 작동시키도록 AE 모터제어기(66)를 통하여 구동된다.
셔터작동중에, AE 모터제어기(66)는 AE 모터(29)를 구동시켜 광측정장치(65)로부터의 광측정 정보출력에 따라 특정주기의 시간동안에 셔터(27)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개방시킨다. 줌작동장치(62)가 작동되면, 줌작동장치(62)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켜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을 전체로서 함께 광축(O)의 방향(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운동과 동시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또한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한 후방 이동시키도록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초점길이가 초점지점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줌밍의 종래개념하에서 실행되지 않는다. 줌작동장치(62)가 작동되면, 다음의 2 모드는 이용할 수 있다. 1.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으며 단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킴으로써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드; 및 2.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며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를 구동시킴으로써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드.
모드(1)에 있어서, 줌밍작동동안 초점맞춤상태는 특정거리에 위치된 피사체에 대해 항상 얻어질 수 없다. 하지만, 피사체의 상이 촬영광학시스템을 통하여 관찰되지 않고 촬영광학시스템으로부터의 분리를 제공하는 파인더 광학시스템을 통하여 관찰되므로 이것은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에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으며 셔터가 릴리즈될 때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은 충분하다.
모드(2)에 있어서, 줌밍작동동안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초점지점이 이동하던지에 상관없이 이동되며, 셔터가 릴리즈되면, 초점작동(초점조정작동)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초점작동장치(63)가 줌작동장치(62)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범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작동되면, 전체 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구동되어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한 각 렌즈그룹(L1 또는 L2)의 이동량은 대물거리측 정장치(64)로부터 제공된 피사체 거리정보를 사용할 뿐아니라 줌작동장치(62)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초점작동장치(63)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그룹(L1, L2)의 위치는 캠으로 제어되는 렌즈와 비교하여 볼 때 유연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줌렌즈카메라는 또한 줌작동장치(62)의 작동동안에 줌파인더(67)의 배율과 초점길이정보만 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 또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중의 하나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변화되는 상이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초점작동장치(63)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 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대물거리측정장치(64)에 의해서 얻어진 초점길이정보와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초점길이 및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결정된 각각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개념에 따른 줌렌즈배럴의 실시예는 주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줌렌즈배럴(10)의 전체구조가 먼저 설명된다. 줌렌즈배럴(10)은, 제1이동배럴(20), 제2이동배럴(19), 제3이동배럴(16) 및 고정렌즈배럴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제3이동배럴(16)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원통형부분(12p)과 맞물리고 그리고 회전함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이동배럴(16)은 그 내주상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선형안내배럴(17)을 구비하고 있다.
선형안내배럴(17)과 제3이동배럴(16)은 전체로서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제3이동배럴(16)은 선형안내배럴(17)에 대해 회전한다.
제1이동배럴(20)은 그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배럴(19)은 선형안내배럴(17)과 제1이동배럴(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에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는 고정 렌즈배럴블록(12)에 체결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제1이동배럴(20)에 체결된다. AE 모터(29)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셔터 장착스테이지(40) 상에 장착된다.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렌즈지지배럴(렌즈프레임)(34)과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각각 지지된다.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0링(환형탄성부재)(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 근처에 있는 렌즈지지배럴(34)의 외주원주표면과 그 전방끝 근처에 있고 제1이동 배럴(20)과 일체로 형성된 내부 플랜지 부분(20b)의 내주 원주표면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0링 (81)은 물이 제1이동배럴(20)과 렌즈지지배럴(34) 사이의 선단 끝에서 줌렌즈배럴(10)을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렌즈그룹(L1)은 5개의 렌즈, 즉 대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이러한 순서로 제1렌즈(전단렌즈)(L1a), 제2렌즈(L1b), 제3렌즈(L1c), 제4렌즈(L1d), 및 제5렌즈(L1e)로 이루어진다. 제2렌즈(L1b)와 제3렌즈(L1c)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전방위치조정링(36)은 제2렌즈(L1b)와 제3렌즈(L1c) 사이에서 위치되어 유지된다.
위치조정링(36)의 외주표면은 렌즈지지배럴(34)의 내주표면상에 끼워진다. 또한, 제3렌즈(L1c)와 제4렌즈(L1d)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후방위치조정링(37)은 제3렌즈(L1c)와 제4렌즈(L1d) 사이에서 위치되고 유지된다. 위치조정링(37)의 외주표면은 렌즈지지배럴(34)의 내주표면상에 끼워진다.
제4렌즈(L1d)의 후방표면과 제5렌즈(L1e)의 전방표면이 서로 접합되어 제4 및 제5렌즈(L1d, L1e)가 접합 또는 합성렌즈로 형성된다. 그 원주에지를 따라 제2렌즈(L1b)의 전방원주에지(L1f)는 제1렌즈(L1a)의 후방표면과 접촉한다.
그 원주에지를 따라 제5렌즈(L1e)의 후방원주에 지(L1g)는 렌즈지지배럴(34)의 후방 끝과 일체로 형성된 내측돌출플랜지(34b)와 접촉한다. 암나사부(34i)는 도 15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지지배럴(34)의 전방부분의 내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렌즈(L1a)를 렌즈지지배럴(34)에 고정하기 위한 렌즈고정링(80)은 렌즈지지배럴(34)과 맞물린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렌즈고정링(80)의 외주표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72a)는 암나사부(34i)와 정합한다. 원형맞닿음표면(80b)은 렌즈고정링(80)상에서 그 내주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맞닿음표면(80b)은 렌즈고정링(80)이 렌즈지지배럴(34)과 적당하게 나사결합될 때의 상태에서 제1렌즈(L1a)의 전방표면의 원주부분(fp)과 접촉한다.
원형맞닿음표면(80b)은 원주부분(fp)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원형맞닿음표면(80b)과 원주부분(fp)은 렌즈고정링(80)이 렌즈지지배럴(34)과 적당하게 나사결합될 때에 서로 단단하게 접촉한다. 지지링 부분(34n)은 렌즈지지배럴(34)과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링부분(34n)은 암나사부(34i)로부터 렌즈지지배럴(34)의 방사상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된다.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링부분(34n)의 내주표면은 제1렌즈(L1a)의 외주에지 또는 표면(op)과 접촉한다. 광축(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환형의 위치조정표면(34d)은 렌즈지지배럴(34) 상에서 지지링부분(34n) 바로 뒤에 형성된다. 제1렌즈(L1a)의 후방표면의 원주에지는 위치조정표면(34d)과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제1렌즈(L1a)는 원형맞닿음표면(80b)과 위치조정표면(34d)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며 제1렌즈(L1a)는 지지링부분(34n)에 의해서 광축(O)에 수직인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80e)은 원형맞닿음표면(80b) 상에 피복된다. 코팅(80e)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방수코팅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Fantas Coat SF-6(Origin Denki Kabushiki Kaisha"의 일본회사에 의해서 제조된 코팅의 상표명)은 코팅(80e)으로서 사용된다. 제1렌즈(L1a)의 전방표면은 대단히 매끄럽게 형성된 반면에 렌즈고정링(80)의 원형맞닿음표면(80b)은 제1렌즈(L1a)의 전방표면과 같이 매끄럽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즉, 거친 다듬질을 하였음). 이것은 제1렌즈(L1a)가 정밀한 광학요소이므로 제1렌즈(L1a)가 렌즈고정링(80)보다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코팅(80e)이 원형맞닿음표면(80b)상에 형성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갭은 원형맞닿음 표면(80b)이 렌즈고정링(80)을 암나사부(34i)와 적당하게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원주부분(fp)과 적당하고 단단하게 접촉하더라도 원형맞닿음표면(80b)과 원주부분(fp) 사이에 형성되어진다. 그 결과, 물 또는 습기는 실질적인 갭을 통하여 렌즈지지배럴(34)내로 침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 코팅(80e)은 원형맞닿음표면(80b)이 원주부분(fp)과 적당하게 접촉할 때 그 표면이 원형맞닿음표면(80b)과 원주부분(fp) 사이의 이러한 갭을 형성하지 않게 하는 매끄러운 표면을 이룰 수 있도록 원형맞닿음표면(80b)에 도포된다.
따라서, 원형맞닿음표면(80b)과 원주부분(fp) 사이에 위치되고 유지되는 코팅(80e)은 원형맞닿음표면(80b)이 렌즈고정링(80)을 암나사부(34i)와 적당하게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원주부분(fp)과 적당하고 단단하게 접촉하는 상태하에서 물 또는 습기가 원형맞닿음표면(8Ob)과 원주부분(fp) 사이의 렌즈지지배럴(34)을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원형표면(80c)은 렌즈고정링(80)상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표면(80c)은 원형맞닿음표면(80b)에 연결되어 있고 방사상 방향으로 원형맞닿음표면(80b)으로부터 바로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렌즈(L1a)의 외부원주표면(op)의 전방부분(즉, 제1렌즈(L1a)의 원주에지)은 렌즈고정링(80)이 암나사부(34i)와 적당하게 맞물리면 원형표면(80c)과 접촉한다. 외부원주표면(op)과 접촉하는 원형표면(80c)으로 인해, 코팅(80e)에 의해서 실현되는 원형맞닿음표면(80b)과 원주부분(fp) 사이의 방수구조는 향상된다.
즉, 제1렌즈(L1a)와 렌즈고정링(80) 사이의 고효율의 방수연결은 코팅(80e)과 원형표면(80c) 양자에 렌즈고정링(80)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된다. 환형의 오목부분(34m)은 암나사부(34i)와 지지링부분(34n) 사이의 렌즈지지배럴(34)상에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고정링(80)이 암나사부(34i)와 적당하 게 나사결합되는 상태에 있어서, 렌즈고정링(80)의 후방 끝(80d)은 환형의 오목부분(34m)내에서 후방끝(80d)이 오목부분(34m)의 바닥(즉, 후단 끝)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위치되며 즉, 환형의 공간은 환형의 오목부분(34m)내에서 후방 끝(80d)과 오목부분(34m)의 바닥사이에 형성되어진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은 카메라 본체에 고정된 구멍판(14)의 전방에 고정된다. 구멍판(14)은 그 중심상에서 노출된 각 프레임의 제한부를 형성하는 장방형 구멍(14a)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은 원통형부분(12p)의 내주상에서 암나선체(12a)와 또한 각각이 광축(0)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즉,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2b)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선형안내흠(l2b, 즉 12b')의 바닥에는 소정의 코드 패턴을 가진 코드판(13a)이 고정되어 있다. 코드판(13a)은 광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실질적으로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전체길이를 따라 뻗어있다. 코드판(13a)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외측에 위치된 가요성 프린트회로판(13)의 부분이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있어서, 방사상 방향으로 고정렌즈배럴블럭(12)의 원통형부분(12p)의 내주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기어하우징(12c)이 도 7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기어하우징(12c)내에는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구동피니언(15)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구동 피니언(15)의 축방향 축(7)의 양 끝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내에 제공된 지지중공부(4)와 멈춤나사(도시안됨) 각각에 의해서 고정렌즈배럴블록(12)상에 고정된 기어지지판(31)상에서 제공되는 지지중공부(31a)에 의해서 회전되게 지지된다.
구동피니언(15)의 톱니부분이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원통형부분(12p)의 내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구동피니언(15)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이동배럴(16)의 외주기어(16b)와 정합한다. 제3이동배럴(16)의 내주상에는 각각이 광축(0)에 평행하게 각각 뻗어있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6c)이 형성된다. 제3이동배럴(16)의 후방 끝의 외주에는 수나선체(16a)와 상술된 외주기어(16b)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수나선체(16a)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암나선체(12a)와 맞물린다.
외주기어(16b)는 구동피니언(15)과 맞물린다. 구동 피니언(15)은 광축방향으로의 제3이동배럴의 전체범위를 통하여 외주기어(16b)와 맞물릴수 있는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안내배럴(17)은 그 외주의 후방부분 상에서 후방끝플랜지(17d)를 구비한다. 후방끝플랜지(17d)는 광축(0)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떨어져서 각각 돌출한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7c)를 가지고 있다.
선형안내배럴(17)은 후방끝플랜지(17d)의 전방에서 유지플랜지(17e)를 더 구비하고 있다. 원주홈(17g)은 후방끝플랜지(17d)와 유지플랜지(17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플랜지(17e)는 후방끝플랜지(17d) 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지고 있다. 유지플랜지(17e)는 복수의 절취부분(17f)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절취부분(17f)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맞물림 돌출부(16d)가 원주홈(17g)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3이동배럴(16)은 그 후방 끝의 내주상에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6d)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맞물림 돌출부(16d)는 광축(0)을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대응절취부분(17f)을 통하여 맞물림 돌출부(16d)를 원주홈(17g)에 끼움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6d)는 플랜지(17d, 17e) 사이의 원주홈(17g) 내에 위치된다(도 11 참조).
제3이동배럴(16)을 선형안내배럴(17)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6d)는 선형안내배럴(17)과 맞물려진다. 선형안내배럴(17)의 후방 끝 상에는 구멍(14a)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한 장방형 구멍(23a)을 가진 구멍판(23)이 고정된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배럴(17)의 상대회전은 광축(0)에 평행하게 형성된 대응선형안내홈(12b)과의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7c)의 미끄럼이동가능한 맞물림에 의해서 제한된다. 접촉단자(9)는 하나의 맞물림 돌출부(17c, 즉 17c')에 고정된다.
접촉단자(9)는 선형안내홈(12b')의 바닥에 고정된 코드판(13a)과 미끄럼이동가능한 접촉상태로 되어 있어서 줌밍동안에 초점길이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선형안내배럴(17a)의 내주상에는 광축(0)으로 평행하게 각각 뻗어있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리드슬롯(17b)은 도 12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안내배럴(17) 상에 형성되어 있다.
리드슬롯(17b)은 광축(0)에 대해 비스듬히(경사지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이동배릴(19)은 선형안내 배럴(17)의 내주와 맞물린다. 제2이동배럴(19)의 내주상에는 복수의 리드홈(19c)이 리드슬롯(17b)에 대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2이동배럴(19)의 후방 끝의 외주상에는 복수의 종동자 돌출부 (19a)가 제공된다.
각각의 종동자 돌출부(19a)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0)에서 떨어져서 돌출한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종동자핀(18)은 종동자 돌출부(19a)에 위치되어 있다. 각각의 종동자핀(18)은 링부재(18a) 및 대응 종동자 돌출부(19a) 상에 링부재(18a)를 지지하는 중심고정나사(18b)로 이루어진다. 종동자 돌출부(19a)는 선형안내배럴(17)의 리드슬롯(17b)과의 미끄럼이동가능한 맞물림 상태로 되어 있으며 종동자핀(18)은 제3이동배릴(16)의 선형안내홈(16c)과의 미끄럼이동 맞물림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제3이동배럴(16)이 회전하면, 제2이동배럴(19)은 회전하는 동안에 광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배럴(19)의 내주상에는 제1이동배럴(20)이 맞물린다. 제1이동배럴(20)은 그 후방의 외주상에서 대응내부리드흠(19c)과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자핀(24)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시에 제1이동배럴(20)은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서 직선적으로 안내된다. 제1이동배럴(20)은 그 전방 끝에서 거기에 체결되는 장식판(41)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안내부재(22)는 환형의 부재(22a), 한쌍의 안내레그(22b) 및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28)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안내레그(22b)는 광축방향으로 환형의 부재(22a)로부터 돌출한다.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28) 각각은 방사상방향으로 광축(0)으로부터 떨어진 환형의 부재(22a)로부터 돌출한다. 맞물림 돌출부(28)는 선형안내홈(17a)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안내레그(22b)는 제1이동배럴(20)의 내주표면과 AF/AE 셔터 유니트(21) 사이의 선형안내부(40c)내로 각각 삽입된다.
선형안내부재(22)의 환형의 부재(22a)는 선형안내부재(22)와 제2이동배럴(19)이 전체로서 광축(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광축(0)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이동배럴(19)의 후방에 연결된다. 선형안내부재(22)는 후방 끝의 외주상에 후방끝플랜지(22d)를 더 구비하고 있다.
선형안내부재(22)는 후방끝플랜지(22d)의 전방에 유지플랜지(22c)를 더 구비한다. 원주홈(22f)은 후방끝플랜지(22d)와 유지플랜지(22c) 사이에 형성된다. 유지플랜지(22c)는 후방끝플랜지(22d)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지고 있다. 유지플랜지(22c)는, 각각이 대응 맞물림 돌출부(19b)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홈(22f)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절취부분(22e)을 구비하고 있다.
제2이동배럴(19)은 그 후방 끝의 내주상에서 각각이 광축(0)을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9b)를 구비하고 있다. 대응절취부분(22e)을 통하여 맞물림 돌출부(19b)를 원주홈(22f)내로 삽입시킴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9b)는 플랜지(22c, 22d) 사이의 원주홈(22f)내에 위치된다. 제2이동배럴(19)을 선형안내부재(2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9b)는 선형안내부재(22)와 맞물린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제2이동배럴(19)이 전방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이동배럴(20)은 광축(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지만 회전이 제한된다.
제1이동배럴의 전방에는 배리어 블레이드(48a, 49b)를 가진 배리어 장치(35)가 장치된다. 제1이동배럴(20)의 내주면 상에는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로 이루어진 셔터(27)를 가지고 있는 AF/AE 셔터 유니트(2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려서 고정된다. AF/AE 셔터 유니트(21)는 등각 간격으로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외주상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구멍(40a)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구멍(40a) 중의 단지 하나만이 도 1 내지 도 5의 각각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리드홈(19c)과 맞물리는 상술된 복수의 종동자핀(24)은 AF/AE 셔터 유니트(21)를 제1이동배럴(20)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된다. 종동자핀(24)은 제1이동배럴(20)상에 형성된 구멍(20a)내에 삽입되고 고정구멍(40a)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AF/AE 셔터 유니트(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배럴(20)에 체결된다. 도 4에 있어서 이동배럴(20)은 가상선으로 표시된다. 종동자핀(24)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종동자핀(24)은 고정구멍(40a)내에서 나사결합되는 나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5도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AE 셔터 유니트(21)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O),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내측에 위치되도록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상에 고정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및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는 렌즈지지배럴(50)을 구비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O) 상에는 렌즈지지배럴(34), AE 모터(29), 및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지지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원형구멍(40d)을 가진 환형의 부재(40f)를 구비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환형의 부재(40f)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3개의 레그(4Ob)를 또한 구비한다. 3개의 슬릿은 3개의 레그(4Ob) 사이에 형성된다. 2개의 슬릿은 선형안내부재(22)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선형안내부재(22)의 각쌍의 안내레그(22b)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상술된 선형안내부(40c)를 포함하고 있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AE 모터(29)의 회전을 셔터(27)에 전달하는 AE 기어열(45),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을 나사축(43)에 전달하는 렌즈구동기어열(42), 가요성 프린트 회로판(6)에 연결된 광차 단기(56, 57), 원주방향으로 제공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진 회전 디스크(58, 59)를 지지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회전하는지를 검출하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인코더는 광차단기(57)와 회전디스크(59)로 이루어진다. AE 모터(29)가 회전하는지를 검출하고 AE 모터(29)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AE 모터 인코더는 광차단기(56)와 회전디스크(58)로 이루어졌다.
셔터(27), 셔터(27)의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7), 및 회전동력을 셔터 블레이드(27a)에 전달하는 원형구동부재(49)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체결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사이에 위치된다. 원형구동부재(49)는 등각간격으로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각각에 각각 맞물리는 3개의 작동 돌출부(49a)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은 그 전방 끝에 원형구멍(46a)과 원형구멍(46a) 둘레에서 등각간격으로 위치된 3개의 지지구멍(46b)을 구비한다. 2개의 편향제한표면(46c)은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외주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편향제한표면(46c)은 대응선형안내부(40c)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대응안내레그(22b)의 내주면을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전방에 위치된 지지부재(47)는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원형구멍(46a)과 정렬된 원형구멍(47a)과 3개의지지구멍(46b)에 대향한 각각의 위치에 있는 3개의 피벗축(47b)(이 피벗축중의 단지 하나만 도 5에 도시되어 있음)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그 한쪽끝에서 대응 피벗축(47b)이 삽입되는 구멍(27b)을 구비하여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가 대응 피벗축(47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피벗 끝으로부터 광축(0)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주부분은 광차단부분으로 형성된다.
셔터 블레이드(27a)의 3개의 광차단부분 모두는 셔터 블레이드(27a)가 폐쇄될 때 전방렌즈그룹(L1)에 들어가는 주위의 빛이 원형구멍(46a, 47a)에 들어가는 것을 함께 방지한다.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구멍(27b)과 그 광차단부분 사이에서 대응작동돌출부(49a)가 삽입되는 슬롯(27c)을 더 구비한다. 지지부재(47)는 대응 셔터 블레이드(27a)를 지지하는 각각의 축(47b)이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대응지지구멍(46b)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에 고정된다.
기어부분(49b)은 원형구동부재(49)의 외주의 일부분상에 형성된다. 기어부분(49b)은 기어열(45)내의 복수의 기어중의 하나와 정합하여 기어열(45)에서의 회전을 수용한다. 지지부재(47)는 3개의 피벗축(47b)에 가까운 각각의 위치에서 원주방향에 따라 각각 아치형으로된 3개의 아치형홈(47c)을 구비하고 있다.
원형구동링(49)의 3개의 작동 돌출부(49a)는 각각의 아치형홈(47c)을 통하여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슬롯(27c)과 맞물린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원형구동링(49), 지지부재(47) 및 셔터(27)를 지지하며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상에 제공된 구멍(46x)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는 멈춤나사(90)에 의해서 셔터 장착 스페이지(4O)상에 고정된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뒤에는 안내축(51, 52)을 통하여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렌즈지지배럴(50)이 위치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상에 끼워진 코일스프링(3)에 의해서 서로 떨어진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며 그러므로 셔터 장착 스테이지(4O)와 렌즈지지배럴(50) 사이의 틈은 감소된다. 또한, 기어열(42)내의 기어중의 하나로서 제공되는 구동기어(42a)는 그 축방향 중심에 암나사부 구멍(도시안됨)을 구비하고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공한다. 한쪽 끝이 렌즈지지배럴(50)에 고정되는 나사축(43)은 암나사부 구멍과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기어(42a)와 나사축(43)은 이송나사기구를 함께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구동기어(42a)가 후방렌즈그룹 구동 모터(30)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인해 전방 또는 역으로 회전되면, 나사축(43)은 구동기어(42a)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러므로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50)은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해 이동한다.
유지부재(53)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의 전방에 고정된다. 유지부재(53)는 유지부재(53)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사이에서 모터(29, 30)를 유지한다. 유지부재(53)는 멈춤나사(99)에 의해서 그 전방 끝에 고정된 금속유지판(55)을 가진다. 모터(29, 30)와 광차단기(56, 57)는 가요성 프린트 회로판(6)에 연결된다.
가요성 프린트 회로판(6)의 한쪽 끝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고정된다. 제1, 제2 및 제3이동배럴(20, 19, 16)과 AF/AE 셔터 유니트(21) 등이 조립된 후, 구멍판(23)은 선형안내배럴(17)의 후방에 고정되며 환형의 유지부재(33)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전방에 고정된다.
제1이동배럴(20)에 렌즈지지배럴(34)을 지지하는 구조의 상세는 도 1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이하에 논의될 것이다. 전방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34)은 눌러돌리는 기구와 유사한 연결기구를 통하여 제1이동배럴(20)에 고정된다. 렌즈지지배럴(34)의 진방 및 후방끝은 제1이동배럴(20)과 AF/AE 셔터유니트(21)의 셔터장착스테이지(40) 각각에 의해서 지지된다. 눌러돌리는 기구는 SLR 카메라의 렌즈장착부에 교환가능한 렌즈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채택된다.
내부플랜지부분(20b)의 원형구멍(20e)의 증심은 광축(0)과 동심이다. 렌즈지지프레임(34)의 전방끝은 내부플랜지부분(2Ob)과 맞물리게 되므로 렌즈지지프레임(34)의 전방끝은 광축(0)에 수직인 방사상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3개의 맞물림돌출부(20c)는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각간격으로 내부플랜지부분(20b)의 내부원주에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렌즈배럴(20) 내부에 렌즈지지프레임(34)을 체결하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맞물림돌출부(20c)는 렌즈지지배럴(34)에 형성된 3개의 맞물림오목부(34f)의 대응하는 하나내로 삽입된다.
그 후, 렌즈지지배럴(34)은 제1이동배럴(20)에 대하여 소정량으로 광축(0)을 따라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맞물림돌출부(20c)는 대응맞물림오목부(34f)에 각각 인접한 렌즈지지배럴(34)에 형성된 잠금오목부(34h)와 맞물림상태가 된다.
각각의 잠금오목부(34h)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방향(도 17에서 도시된 수평방향)으로 소정량으로 대응맞물림돌출부(20c)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O링(81)은 환형오목부(20d)와 외부플랜지(34j) 사이에서 위치된다. 0링(81)은 고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환형오목부(20d)는 진방부분에서 내부플랜지부분(20h)의 내부원주에지를 따라서 형성된다. 외부플랜지(34j)는 전방끝부근에서 렌즈지지배럴(34)의 외주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지지배럴(34)은 그 후방끝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환형부재(40f)에 의해서 지지되어지도록 원형구멍(40d)내에 끼워지는 후방맞물림부분(34a)이 구비되어 있다. 이런 배열로 렌즈지지배럴(34)의 후방 끝은 광축(0)에 수직인 방사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 결과, 렌즈지지배럴(34)의 전방 및 후방끝은 내부플랜지부분(20b)과, 제1이동배럴(20)에 대하여, 즉 후방렌즈그룹(L2)에 대하여 전방렌즈그룹(L1)의 방사상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환형부재 각각에 의해서 지지된다. 렌즈지지배럴(34)은 전방맞물림부분(34e)이 전방끝에 구비되어 있다. 전방맞물림부분(34e)은 내부플랜지부분(20b)에 의해서 지지되어지도록 원형구멍(20e)내에 끼워진다. 렌즈지지배럴(34)은 전방과 후방맞물림부분(34e, 34a) 사이에서 중간부분(34c)이 구비되어 있다. 증간부분(34c)의 외경은 AF/AE 셔터유니트(21)의 실질적으로 원통형공간내에 위치되어지도록 전방맞물림부분(34e)의 외경보다 더 작다.
렌즈지지배럴(34)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그 최후방끝에서 광축(0)을 향하여 뻗어 있는 안쪽으로 돌출한 플랜지(34b)가 구비되어 있다. 안쪽으로 돌출한 플랜지(34b)는 후방렌즈그룹(L2)의 후방끝의 원주에지와 접촉하여 후방렌즈그룹(L2)이 거기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원주홈(34g)은 외부플랜지(34j) 바로 뒤에 렌즈지지배럴(34)상에 형성된다. 0링(81)은 원주홈(34g)에 위치된다. 앞서 언급된 3개의 맞물림오목부(34f)와 3개의 잠금오목부(34h)는 전방맞물림부분(34e)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해 있는 각각의 맞물림오목부(34f)와, 잠금오목부(34h)의 대응하는 하나는 도 15, 도 17 또는 도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맞물림부분(34e)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연결된다. 0링(81)이 외부플랜지(34j)와 환형오목부(20d)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렌즈지지배럴(34)이 제1렌즈배럴(2O)에서 적당하게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0링(81)은 그 사이에서 압축되므로 외부플랜지(34j)는 내부플랜지부분(20b)으로부터 떨어져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맞물림돌출부(20c)는 잠금오목부(34h)와 확실하게 맞물린다.
이것은 확실하게 맞물림돌출부(20c)가 잠금오목부(34h)와 맞물리게 하면서 또한 전방에서 제1이동배럴(20)과 렌즈지지배럴(34) 사이에서 수밀연결상태를 확실하게 한다. 복수의 방사상 오목부(34k)는 등각간격으로 렌즈지지배럴(34)의 최전방끝에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배럴(10)의 조립동안 렌즈지지배럴(34)이 제1이동배럴(20)내에 위치되기 전에 전방렌즈그룹(L1)은 렌즈지지배럴(34)안에 삽입되고 나서 미리 암나사부(34i)와 렌즈고정링(80)을 나사맞물림결합시킴으로써 렌즈지지배럴(34)에 체결된다. AF/AE 셔터유니트(21)가 종동자핀(24)을 통하여 제1이동배럴(20)내부에 고정된 후 전방렌즈그룹(L1)이 그 안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렌즈지지배릴(34)은 원형구멍(20e)을 통하여 제1이동배럴(20)내로 후방끝으로부터 삽입된다.
이에 따라, 후방맞물림부분(34a)은 각각의 맞물림돌출부(20c)가 대응하는 맞물림오목부(34f)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원형구멍(40d)내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전방맞물림부분(34e)을 원형구멍(20e)과 맞물린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지지배럴(34)은 그후 렌즈지지배럴(34)이 소정의 공구(도시안됨)를 사용함으로써 후방렌즈그룹(L2)을 향하여 0링의 가압력에 대하여 후방으로 압축되는 상태로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제1이동배럴(20)에 대하여 광축(0)을 중심으로 소정량으로 회전된다. 소정의 공구는 렌즈지지배릴(34)의 복수의 방사상방향의 오목부(34k)와 각각 맞물림가능한 복수의 핀이 구비되어 있다.
소정의 공구는 렌즈지지배럴(34)이 앞서 언급된 소정량, 즉 대응하는 잠금오목부(34h)와 맞물림돌출부(20c)를 각각 맞물리게 하는 양에 의해서 회전되어진후 렌즈지지배럴(34)로부터 해제된다. 공구가 렌즈지지배럴(34)로부터 해제되어진후 렌즈지지배럴(34)은 0링(81)의 가압력에 의해서 광축(0)을 따라서 전방으로 가압된다.
0링(81)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맞물림돌출부(20c)와 잠금오목부(34h)는 전방맞물림부분(34e)이 원형구멍(20e)안에 끼워진 상태로 서로 확실하게 맞물린다. 맞물림돌출부(20c)가 0링(81)의 가압력을 통하여 잠금 오목부(34h)와 타이트하게 맞물려져 있고 광축방향으로의 제1이동배럴(20)에 대한 렌즈지지배럴(34)의 정확한 축방향위치는 0링(81)과 같은 가압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방법보다 더욱 쉬운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맞물림돌출부(20c)와 맞물림오목부(34h)는 모두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등각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배열상태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34)은 렌즈지지배럴(34)이 부착될 때 제1이동배럴(20)에 대하여 렌즈지지배럴(34)의 각 위치에 대하여 조심하지 않아도 제1이동배럴(20)과 쉽게 맞물림될 수 있다. 게다가, 렌즈지지배럴(34)은 맞물림돌출부(20c)가 잠금돌출부(34h)와 맞물리는 것에 상관없이 0링(81)으로부터 균일한 가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전방렌즈그룹(L1)은 제1이동배럴(20)내에 렌즈지지배럴(34)을 지지하는 이 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후방렌즈그룹(L2)에 대하여 쉽고 정확하게 위치된다.
게다가, 렌즈지지배럴(34)은 제1이동배럴(20)에 지지하는 이 실시예의 구조는 또다른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렌즈지지배럴(34)이 제1이동배럴(20)에 적당하게 부착되더라도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광축(0)을 따라서 적당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 줌렌즈배럴(10)의 구성요소의 부정확한 조립, 줌렌즈배럴(10)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부정확한 크기 등으로 인하여 후방렌즈그룹(L2)에 대하여 전방렌즈그룹(L1)의 축방향위치는 제1이동배럴(20)에 대하여 렌즈지지배럴(34)의 맞물림의 각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즉 잠금오목부(34h)와 맞물림돌출부(20c)의 맞물림의 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의 적당한 정렬상태를 얻기 위하여 약간 정도로 조정될 수 있다.
잠금오목부(34h)와 맞물림돌출부(20c)의 맞물림의 결합이 변화되더라도 적당한 정렬이 얻어질 수 없는 경우에 부적당한 정렬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이는 줌렌즈배럴(10)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은 조정되어야 하고 잠금오목부(34h)와 맞물림돌출부(20c)의 맞물림은 결합과 동시에 변화될 수도 있어 전방 및 후방 렌즈그룹(L1 및 L2)의 적당한 정렬을 생기게 한다.
광축(0)을 따라서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시키는 상술된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 외에 AF/AE 셔터유니트(21)도 또한 후방렌즈그룹(L2)이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소정의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초점조정작동에서 후방렌즈그룹(L2)은 그 초기위치로부터 초점조정에 필요한 양만큼 광축(0)을 따라서 제1렌즈그룹(L1)으로부터 떨어져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먼저 구동된다.
그 결과, 후방렌즈그룹(L2)은 셔터릴리즈작동이 완료되어진후 초기위치로 되돌려지도록 구동된다. 후방렌즈그룹(L2)은 각각의 다음상태에서, 다시 말해서 카메라의 메인스위치가 ON으로 된 직후, 셔터릴리즈작동이 완료되어진 직후, 그리고 카메라의 메인스위치가 OFF 상태로 있을 때 초기위치로 위치 되어지도록 제어된다. 후방렌즈그룹(L2)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논의될 것이다.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 52)을 통하여 광축(0)을 따라서 안내된다. 안내축(51, 52)의 후방끝은 각각 렌즈지지배럴(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스(50b, 50c)내에 고정된다. 안내축(51)은 광축방향으로 안내되어지도록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고정된 베어링(51a)내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안내축(52)의 전방끝은 프리상태로 있고, 그리고 안내축(52)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형성되고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방사상의 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지지홈(40i)(도 5, 도 16 및 도 17 참조)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안내축(52)이 지지홈(4Oi)내에 위치되어 있는 그러한 구조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이동하면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안내축(52)이 없다면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이 나사축(43)에 평행하게 제공되더라도 나사축(43)이 구동기어(42a)의 회전에 의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은 나사축(43) 및 안내축(51)이 서로 평행하게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안내축(51, 52), 나사축(43), 구동기어(42a) 등은 셔터장착스테이지(4O)에 대하여, 즉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안에서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50)을 안내하는 렌즈안내기구를 구성한다.
나사축(43)의 후방끝은 보스(50b)의 부근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형성된 보스(50a)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축방향중심에서 암나사구멍(도시안됨)을 가지고 있는 구동기어(42a)는 암나사구멍이 나사축(43)에 형성된 수나사와 맞물리는 상태로 나사축(4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나사축(43)을 따라서 구동기어(42a)의 후진운동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의해서 제한된다. 한편 나사축(43)을 따라서 구동기어(42a)의 전진운동은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부재(53)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링(53a)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런 구조로 인하여, 구동기어(42a)가 셔터장착스테이지(4O)에 대하여 나사축(43)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기어(42a)와 셔터장착스테이지(40)간의 거리는 일정하다. 구동기어(42a)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동되면 나사축(43)은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지지된 후방렌즈그룹(L2)이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구동기어(42a)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즉, 광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나사축(43)과 구동기어(42a)간의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3)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1a)과 보스(50b) 사이의 안내축(51)에 끼워진다. 코일스프링(3)으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50)은 항상 광축(0)을 따라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로부터 떨어져서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것은 나사축(43)과 구동기어(42a) 사이에서 백래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광차단기(301)와 광차단부재(302)는 금속유지판(55)의 부근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전방끝에서 서로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있다. 광차단기(301)와 광차단부재(302) 모두는 후방렌즈그룹(L2)인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하여 앞서 언급된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성한다. 광차단기(301)는 가요성회로판(6)의 일부분에 장착 되어 있고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고정되어 있다.
광차단부재(302)는 원통형몸체를 가지고 그 후방끝 및 전방끝에는 광차단판(302a)과 맞물림돌출부(302b)가 각각 거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차단부재(302)는 축(303)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축(303)의 전방 및 후방끝은 도 16 또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지지판(55)과 유지부재(53)각각에 의해서 지지된다. 코일스프링(가압압축스프링)(304)은 금속유지판(55)과 광차단부재(302)의 전방끝 사이에서 유지되어지도록 축(303)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차단부재(302)는 항상 광축방향으로 셔터장착스테이지(40)를 향하여 후방으로 가압된다.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릿(301a)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차단기(301)에 형성되어 있다. 광차단판(302a)은 슬릿(301a)의 거의 중간에서 형성된 광진로(OP)를 차단하도록 슬릿(301a)에서 이동가능하다. 즉, 광차단판(302a)의 전방부분은 코일스프링(304)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광차단부재(302)가 수축위치 (도 17에 도시된 위치)에서 위치될 때 광진로(OP)의 바깥쪽을 제외한 슬릿(301a)의 안쪽에 위치된다. 그런데, 광차단판(302a)의 전방부분은 광차단부재(302)가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04)의 가압력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 광진로(OP)를 차단하도록 슬릿(301a) 안쪽에 위치된다.
스토퍼판(306)은 와셔(305)를 통하여 각각의 나사축(43)과 안내축(51)의 전방끝에 체결되어 있다. 맞물림핀(306b)은 스토퍼판(306)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핀(306a)은 광차단부재(302)의 맞물림돌출부(302b)와 맞물림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렌즈지지배럴(50)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전방말단에 근접한 소정의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맞물림핀(306a)은 맞물림돌출부(302b)와 맞물린다. 그후 렌즈지지배럴(50)이 한층 더 전방으로 이동하면 맞물림핀(306a)은 코일스프링(304)의 가압력에 대하여 전방으로 맞물림돌출부(302b)를 이동시키도록 한층 더 전진한다.
그후, 후방렌즈그룹(L2)이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하여 초기위치에 도달하면, 즉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초기위치에 도달하면 광차단판(302a)은 광진로(OP)를 차단한다. 후방렌즈그룹(L2)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즉 렌즈지지배럴(50)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광차단기(301)의 출력을 모니터함으로써 다양한 작동(초점조정작동, 광측정작동 등)을 제어하는 카메라에 제공된 CPU(도시안됨)에 의해서 검출된다. CPU가 후방렌즈그룹(L2)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면 CPU는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전방으로 후방렌즈그룹(L2)을 한층 더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하게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를 제어한다.
고무같은 탄성부재로 만들어진 0-링(충격흡수부재)(307)은 스토퍼판(306)과 베어링(51a) 사이에서 안내축(51)에 끼워진다. 또한, 0-링(307)은 다른 타입의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렌즈지지배럴(50)을 지지하는 앞서 연급된 렌즈안내기구의 상세는 주로 도 16과 도 17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논의될 것이다. 중심에서 촬영구멍을 가지고 있는 셔터장착스테이지(40)는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차단기(56, 57)는 광차단기(56)의 슬릿(56a)과 광차단기(57)의 슬릿(57a)이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는 상태로 광축(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서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디스크(58)는 그것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축(58a)이 제공되어 있다. 회전축(58a)은 회전디스크(58)가 슬릿(56a)안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광차단기(5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광축(0)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디스크(59)는 그것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축(59a)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축(59a)은 회전디스크(59)가 슬릿(57a)안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광차단기(57)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광축(0)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런 배열로 인하여, 광차단기(56, 57) 및 회전디스크(58, 59)는 AF/AE 셔터유니트(21)에 공간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로 평행하게 근접하게 배일된 나사축(43) 및 안내축(51)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구멍(40d)에 대하여 광차단기(56,57)에 대해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안내축(51)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구동피니언(42a)의 회전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 나사축(43)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렌즈지지배럴(50)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안정하게 구동된다.
안내축(52)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지지홈(40i)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지지홈(40i)의 폭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축(5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그 직경보다 약간 더 크고), 그리고 지지홈(4Oi)의 깊이는 안내축(52)의 직경보다 더 깊다.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는 지지홈(40i)으로 인하여 안내축(52)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홈(40i)을 따라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방사상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런 구조로,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이동하면 렌즈지지배럴(50)은 AF/AE 셔터유니트(21)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셔터장착스테이지(4O), 렌즈지지배럴(50), 유지부재(53) 등의 크기가 정확하게 형성(성형)되지 않더라도, 및/또는 안내축(51, 52)이 서로 평행하게 정확하게 뻗지 않더라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안내축(52)이 지지홈(40i)내에 위치되어 있는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이동하면 렌즈지지배럴(50)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안내축(52)이 없다면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이 나사축(43)에 평행하게 제공되더라도 나사축(43)이 구동기어(42a)의 회전에 의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것은 나사축(43) 및 안내축(51)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서 로 평행하게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40i)은 안내축(52)이 회전디스크(58, 59) 사이에서 뻗도록 광축(0)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디스크(58, 59) 사이의 위치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형성된다.
이 배열은 안내축(52)에 회전디스크(58, 59) 사이의 좁은 공간내에 배치되므로 공간효율적이고 작은 크기의 AF/AE 셔터유니트(21)의 실현에 기여한다. 룸즈배럴(10)의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줌렌즈광학시스템이 2개의 이동가능한 렌즈그룹, 즉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은 상술된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또한 하나 또는 그이상의 고정렌즈그룹을 포함하는 줌렌즈광학시스템의 다른 타입에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렌즈그룹(L1)은 AF/AE 셔터의 구성요소로 제공되며 AE 모터(29)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AF/AE 셔터 유니트(21)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후방렌즈그룹(L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둘다 간단화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는 대신에, 줌렌즈배럴(10)은 또한 후방렌즈그룹(L2)을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환형구동부재(49), 지지부재(47), 셔터 블레이드(27),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등을 구비한 AF/AE 셔터유니트(2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후방렌즈그룹(L2)이 AF/AE 셔터 유니트(21)와는 다른 어떤 지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줌렌즈카메라에 있어서,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에 의한 작동은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 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10)이 가장 수축(후퇴)된 위치, 즉 렌즈수납상태에 있을 때, 파워스위치가 ON일 때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는 그 구동축을 작은 양만큼 전방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된다. 모터(25)의 이러한 회전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32)에 의해서 지지되는 기어열(26)을 통하여 구동피니언(15)에 전달되어 광축(0)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제3이동배럴(16)을 하나의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제2이동배럴(19)과 제1이동배럴(20)은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작은 양만큼 광축방향으로 각각 전진한다. 그 결과, 카메라는 줌렌즈가 최대광각위치, 즉 광각 끝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배럴의 운동량이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 사이의 상대적인 미끄럼이동을 통해 검출되는 사실로 인해, 줌렌즈배럴(10), 즉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의 초점길이는 검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촬영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상술된 줌작동레버가 "망원" 측을 향하여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망원" 줌버튼이 ON되도록 수동으로 눌러지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를 통하여 그 구동축을 전방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어 제3이동배럴(16)이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피니언(15)과 외주기어(16b)를 통하여 광축(0)을 따라 전진한다.
그러므로, 제3이동배럴(16)은 암나선체(12a)와 수나선체(16a) 사이의 관계에 따라 고정렌즈배럴블록(12)으로부터 전진된다. 동시에, 선형안내배릴(17)은 맞물림 돌출부(17c)와 선형안내홈(12b) 사이의 관계에 따라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없이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각각의 리드슬롯(17b)과 선형안내홈(16c)과의 종동자핀(18)의 동시 맞물림은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해 동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2이동배럴(19)이 제3이동배럴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이동배릴(20)은 제1이동배럴(20)이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서 직선적으로 안내되고 종동자핀(24)이 리드홈(19c)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술된 구조로 인해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없이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제2이동배럴(19)로부터 광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중에,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배럴(17)의 이동위치가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 사이에서 상대적인 미끄럼이동을 통하여 검출되는 사실에 따라 줌작동장치(62)에 의해 설정된 초점길이가 검출된다. 역으로, 줌작동레버가 "광각"측을 향하여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광각" 줌버튼이 ON되도록 수동으로 눌러지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를 통하여 그 구동축을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제3이동배럴(16)이 선형안내배럴(17)과 함께 고정렌즈배럴블록(12)내로 수축하도록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제2이동배럴(19)은 제3이동배럴(16)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3이동배럴(16)내로 수축되며 제1이동배럴(20)은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회전 제2이동배럴(19)내로 수축된다. 상기 수축구동중에, 상술된 바와 같이 전진구동의 경우에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는다. 줌렌즈배럴(10)이 줌작동중에 구동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체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전체로서 이동하고 도 8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줌코드판(13a)과 접촉단자(9)를 통하여 입력된 초점길이는 카메라 본체상에 제공된 LCD 패널(도시안됨)상에 표시된다. 줌작동장치(62)에 의한 어떤 초점길이설정에 있어서, 릴리즈 버튼이 절반단계만큼 눌러지면, 대물거리측정장치(64)는 현재의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도록 작동된다. 동시에 광측정장치(65)는 현재의 피사체 광도를 측정하도록 작동된다.
그후, 릴리즈 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사전에 설정된 초점길이정보와 대물거리측정장치(64)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표시된 각각의 양만큼 각각 구동되어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이 특정초점길이를 얻도록 특정위치로 각각 이동되며 이에따라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다. AE 모터제어기(66)를 통하여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 직후, AE 모터(29)가 광측정장치(65)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광도에 대응하는 양만큼 원형구동부재(49)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셔터(27)가 필요한 노출에 만족하는 특정양만큼 셔터 블레이드(27a)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가 개방되고 그다음에 폐쇄되는 이러한 셔터 릴리즈 작동이 완료된 직후,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는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이 셔터 릴리즈 이전에 있는 각각의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이 실시예의 줌렌즈배럴(10)에서 맞물림돌출부(20c)와 잠금오목부(34h)는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제1이동배럴(20)과 렌즈지지배럴(34)에 등각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맞물림돌출부(20c)와 잠금오목부(34h)는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렌즈지지배럴(34)과 제1이동(20)에 등각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배열은 또한 동일한 효과가 예상된다. 렌즈배럴(10)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Fantas Coat SF-6"는 코팅(72e)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타입의 코팅은 방수가 되고 원형맞닿음표면(72b)이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갭을 없게 형성하도록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는한 코팅(72e)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명백한 변화는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청구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있다. 여기에서 포함된 모든 사항은 실례가 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Claims (8)

  1. 렌즈지지배럴(20)내에서 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렌즈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34);상기 렌즈프레임의 외주에 형성된 외부플랜지(34j); 상기 외부플랜지의 바로 뒤에 렌즈프레임상에 위치된 환형탄성부재(81); 내부플랜지의 내부원주에지는 상기 렌즈그룹의 광축과 동심인 중심을 가지고 있는 원형구멍(20e)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렌즈프레임은 상기 환형탄성부재가 상기 외부플랜지와 내부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되는 상태로 렌즈배럴내에 위치되어지도록 상기 원형구멍을 통하여 상기 렌즈배럴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렌즈배럴의 내주상에 안쪽으로 뻗어서 형성된 내부플랜지(20b); 상기 렌즈프레임의 외주와 상기 내부플랜지의 상기 내부에지중의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20c); 및 상기 렌즈배럴에 렌즈프레임을 체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톨출부와 각각 맞물리고 상기 렌즈프레임의 상기 외와 상기 내부플랜지의 상기 내부에지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34f, 34h)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탄성부재는 0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등각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다른 배럴로 전진 또는 수축하도록 구동되는 이동배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플랜지는 전방부분에서 상기 내부플랜지부분(20b)의 상기 내부원주에지를 따라서 형성된 환형오목부(20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환형탄성부재는 상기 환형오목부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등각간격으로 최전방끝에서 형성된 복수의 방사상방향의 오목부(34k)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중의 대응하는 하나가 상기 광축방향으로 삽입되거나 꺼내지도록 하는 제1오목부분(34f)과 상기 복수의 돌출부중의 대응하는 하나가 거기로부터 맞물림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오목부분(34h)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오목부분은 광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오목부분내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돌출부중의 상기 대응하는 하나는 상기 렌즈프레임이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렌즈배럴에 대하여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2오목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20c)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제2오목부분(34h)의 폭이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돌출부(20c)중의 상기대응하는 하나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지지구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1874A 1996-01-26 1997-01-23 렌즈지지구조 KR100371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317 1996-01-26
JP1231796 1996-01-26
JP3412396 1996-02-21
JP96-34123 1996-02-21
JP18479296A JP3249047B2 (ja) 1996-02-21 1996-07-15 レンズの支持構造
JP96-184792 1996-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593A true KR980010593A (ko) 1998-04-30
KR100371774B1 KR100371774B1 (ko) 2003-04-11

Family

ID=272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874A KR100371774B1 (ko) 1996-01-26 1997-01-23 렌즈지지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2887A (ko)
KR (1) KR100371774B1 (ko)
DE (1) DE19702499B4 (ko)
FR (1) FR2744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505B1 (ko) * 1996-01-26 2002-07-18 마츠모토 도루 선형가이드메카니즘을구비한렌즈배럴
TW411404B (en) 1998-11-25 2000-11-11 Fuji Photo Film Co Ltd Film unit with waterproof lens and waterproof ring
JP3787298B2 (ja) * 2001-10-31 2006-06-2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3798967B2 (ja) * 2001-10-31 2006-07-1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06276689A (ja) * 2005-03-30 2006-10-12 Olympus Corp 対物レンズユニット、生体観察装置およびアダプタ
JP4722567B2 (ja) * 2005-05-31 2011-07-13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ばね張設構造
JP4727300B2 (ja) * 2005-05-31 2011-07-20 Hoya株式会社 可動部材の支持構造およびレンズ鏡筒の可動部材支持構造
JP4744939B2 (ja) * 2005-06-01 2011-08-10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537892B2 (ja) * 2005-06-01 2010-09-08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537896B2 (ja) * 2005-06-27 2010-09-0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003970A (ja) * 2005-06-27 2007-01-11 Pentax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偏光フィルタ回転制御方法
JP4744964B2 (ja) * 2005-07-22 2011-08-10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4744963B2 (ja) * 2005-07-22 2011-08-10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065588B2 (ja) * 2005-11-22 2012-11-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レンズ鏡筒システム
US7766562B2 (en) * 2006-07-13 2010-08-03 Michael Dowell Support cradle and strap for large camera lens
DE102018130629B3 (de) 2018-12-03 2020-04-23 Carl Mahr Holding Gmbh Objektivhalterung und Verbindungseinrichtung für das auswechselbare Anbringen eines Objektiv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006A (en) * 1979-04-04 1980-10-16 Asahi Optical Co Ltd Close-up photographing changeover device of zoom lens barrel
US4944030B1 (en) * 1986-05-12 1993-05-25 Asahi Optical Co Ltd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4974949B1 (en) * 1987-12-21 1996-06-04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JP2792032B2 (ja) * 1988-05-14 1998-08-27 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US5231449A (en) * 1988-06-03 1993-07-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US5262898A (en) * 1988-06-03 1993-11-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US5255124A (en) * 1989-03-09 1993-10-1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 ring of lens barr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5245476A (en) * 1989-03-14 1993-09-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JPH04136908A (ja) * 1990-09-28 1992-05-1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の初期焦点調整機構
JP3193405B2 (ja) * 1991-05-20 2001-07-3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の光軸方向位置調整装置
JP2562095Y2 (ja) * 1991-07-04 1998-02-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レンズ
US5386740A (en) * 1991-09-30 1995-02-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Rotary feed mechanism
JP3367166B2 (ja) * 1993-10-25 2003-01-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位置調整機構
US5661609A (en) * 1993-07-06 1997-08-26 Olympus Optical Co., Ltd. Lens mount
JP3240758B2 (ja) * 1993-07-15 2001-12-25 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
GB2281407B (en) * 1993-08-27 1997-05-07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US5604638A (en) * 1993-12-01 1997-02-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nti-reflection structure for zoom lens barrel
JP3249002B2 (ja) * 1993-12-03 2002-01-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駆動装置
US5543971A (en) * 1993-12-06 1996-08-0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acklash removing device for stowed lens barrel
JP2597356Y2 (ja) * 1993-12-06 1999-07-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直進案内装置
US5636064A (en) * 1994-07-05 1997-06-0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with flat faced helicoid threading
DE19521654C2 (de) * 1995-06-14 1999-01-07 Wolf Gmbh Richard Optische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774B1 (ko) 2003-04-11
DE19702499A1 (de) 1997-07-31
FR2744227B1 (fr) 2005-04-15
DE19702499B4 (de) 2008-10-02
US5812887A (en) 1998-09-22
FR2744227A1 (fr) 199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449B1 (ko)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US5991097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KR100371774B1 (ko) 렌즈지지구조
US6023376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KR100334700B1 (ko) 렌즈구동기구
US5765048A (en) Telescoping type of zoom lens and cam mechanism therefor
KR100364151B1 (ko) 셔터가설치된렌즈배럴
KR100276164B1 (ko) 가요성 인쇄회로보드
US5812325A (en) Telescoping-type of zoom lens
GB2344661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KR100370813B1 (ko) 렌즈셔터 타입 카메라
US5784206A (en) Moving lens position detecting device
GB2344662A (en) Lens cam mechanism with tapered slot and follower and stopper
GB2309551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groove
KR100371769B1 (ko) 카메라용렌즈셔터형의광차단장치
US5809348A (en) Zoom compact camera
KR100371770B1 (ko) 방수구조를가진렌즈배럴
KR100383694B1 (ko)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JP3260290B2 (ja) レンズ鏡筒の防水構造
GB2309543A (en) Moving lens extreme position detecting device
GB2309547A (en) Lens drive mechanism with impact absorber
GB2309546A (en) Connection of a lens barrel and a lens frame of a zoom lens
JP3249047B2 (ja) レンズの支持構造
KR100300821B1 (ko) 렌즈셔터타입의카메라
GB2309542A (en) Lens barrel having a watertigh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