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60001458B1 -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458B1
KR960001458B1 KR1019920014127A KR920014127A KR960001458B1 KR 960001458 B1 KR960001458 B1 KR 960001458B1 KR 1019920014127 A KR1019920014127 A KR 1019920014127A KR 920014127 A KR920014127 A KR 920014127A KR 960001458 B1 KR960001458 B1 KR 96000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up
unit
coin
dr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497A (ko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광주전자주식회사
이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전자주식회사, 이준식 filed Critical 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458B1/ko
Publication of KR94000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5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닛 10 : 전면도어
15 : 캔음료 디스플레이부 17 : 컵음료 디스플레이부
35 : 코인유니트 45 : 콘트롤박스
50 :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 70 :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
본 발명은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말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판매하는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와 각종 캔음료를 판매하는 캔음료 자동판매 유니트를 하나의 캐비닛 내부에 조합구성시켜서 컵음료와 캔음료를 동시에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현대의 바쁜 일상 생활속에서 소비자의 즉각적인 구매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자동판매기는 현재 널리 보급되었으며, 그 종류도 계속적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판매기의 대표적인 종류를 살펴보면 분말상태로 저장되는 커피와 각종차의 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컵으로 투출하여 판매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와 각종 음료를 담은 캔 또는 병과 같은 밀봉용기(이하에서는 '캔음료'라 칭한다)를 냉동사이클장치를 통하여 냉각시키거나 히터를 통하여 따뜻하게 데워 판매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가 있다.
컵음료 자동판매기는 캐비닛의 내부에는, 물통과, 각종 음료의 원료를 분말상태로 저장하는 원료통과, 물과 분말상태의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시켜 커피 등의 음료를 만드는 볼믹싱과, 볼믹싱에서 혼합된 음료를 컵인출구로 안내하는 노즐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닛의 전면도어에는 컵음료 선택푸시버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코인투입구와 반환레버 및 반환구, 그리고 투입된 동전의 액수와 선택푸시버튼의 선택상황의 비교하여 선택된 음료의 판매룰에 관한 제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가 배치된다. 이 컵음료 자동판매기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하여 냉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될 수도 있다.
캔음료 자동판매기는 캐비닛내부에 다수의 열(熱)로 구성된 캔래크와, 캔래크로부터 캔을 캔인출구로 차례로 방출시키는 이젝트 메카니즘, 그리고 캔음료를 저온으로 보관시키기 위한 냉동사이클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캐비닛 전면도어에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와 유사하게 컵음료 선택푸시버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코인투입구와 반환레버 및 반환구, 그리고 투입된 동전의 액수와 선택푸시버튼의 선택상황의 비교하여 선택된 음료의 판매룰에 관련된 제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들은 컵음료와 캔음료 자동판매기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단일종류의 상품만을 판매하기 때문에 생산자와 설치운영자, 그리고 소비자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점들이 제기되는 것이다.
즉, 생산자의 입장에서 보면, 단일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자동판매기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판매기로 구성할 경우 콘트롤박스, 증발기와 응축기와 압축기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장치, 주화선별 및 반환수단(이하에서는 '코인유니트'라 칭한다), 조명수단, 자동판매기의 기능상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여 자동판매기의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것이다.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여러종류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여러대의 자동판매기를 구입설치해야 하므로 투자비용 및 관리 운용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여러대의 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데는 공간상의 제한이 따르게 되어, 설치공간이 협소할 경우 설치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컵음료와 캔음료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여러대의 자동판매기에 필요한 금액을 각각 공급시킨 후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캐비닛에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와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품을 단일화함으로써 생산비용을 낮추고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며, 여러종류의 상품을 동시에 판매할 수 있는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는, 캐비닛,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그 일측에 컵인출구와 캔음료 인출구가 각각 마련된 전면도어, 물통과, 분말형태의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통과,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를 혼합시켜 음료를 만들어 컵인출구로 배출시키는 볼믹싱을 구비하여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된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 캔음료를 저장하는 캔랙크와, 캔랙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캔랙크에 저장된 캔음료를 캔음료 인출구로 투출시키는 이젝트메카를 구비하여 내부 일측에 마련된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 전면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돈의 금액을 계산하는 코인유니트, 음료나 캔음료를 선택하도록 전면도어의 외측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선택푸시버튼, 코인유니트로부터 계산된 금액과 선택푸시버튼을 통하여 선택된 상품을 비교하여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나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를 작동시켜 선택된 상품이 투출되도록 동작시키는 콘트롤박스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자동판매기의 전면도어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전면에는 캐비닛(1)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도어(10)가 설치되는데, 전면도어(10)의 좌우 하부에는 컵인출구(30)와 캔음료 인출구(40)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며, 좌상부에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투입구(11)가 설치되고, 우상부에는 컵음료나 캔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개의 선택푸시버튼(16), (18)이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닛(1)의 내부 좌우측에는 커피등의 컵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와 캔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70)가 각각 설치되며, 전면도어(10)의 내측에는 복합자동판매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45)가 설치된다.
계속해서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에 대하여 설명하면, 커피 등의 음료를 판매하는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는 캐비닛(1)의 내부 좌측부위에 설치된다.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는 상측에 설치된 물통(51)과 분말상태의 음료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통(53)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말상태의 원료와 물을 공급받아 이를 혼합하여 커피 등의 음료를 만들어 배출하는 볼믹싱(55)을 포함한다. 이때 볼믹싱(55)에서 배출되는 음료를 컵인출부(30)에 수납된 컵으로 안내하는 노즐(56)이 볼믹싱(55)의 하측에 연통설치되며, 원료통(53)과 볼믹싱(55)사이에는 원료통(53)에서 투출되는 분말원료를 볼믹싱(55)으로 안내하는 원료슈트(54)가 설치된다.
그리고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의 우측 캐비닛(1)의 내부에는 캔이나 병등의 미롱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판매하는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70)가 설치되는 데,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70)는 상측으로 캔음료가 투입되어 저장되었다가 하측을 통하여 캔음료 인출구(40)로 투출되어 판매된 것으로, 캔음료 인출구(40)의 상측에 다수열 입설되어 캔음료를 저장하는 캔랙크(71)와 캔랙크(71)의 하측단에 설치되어 한번에 하나씩 캔음료를 하측으로 투출시키는 이젝트메카(77)와 투출된 캔음료를 인출구(40)로 안내하는 상품인출안내판(73)을 포함한다. 이땐 캔랙크(71)에는 다수단의 상품적재용걸림판(72)이 설치되어 캔음료의 적재상태를 지지한다.
한편 캔랙크(71)의 하부에는 저장된 캔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싸이클이 설치되는데, 이는 상품인출안내판(73)의 하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75)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74) 및 이젝트메카(77)의 근방에 설치되어 응축기(74)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냉기를 생성시키는 증발기(7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면도어(10)에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투입구(11)와 동전투입구(11)로 투입된 동전을 계산하는 코인유니트(19)와 코인유니트(19)에서 계산된 동전의 금액을 표시하는 투입금액표시기(13)가 설치된다. 이때 코인유니트(19)의 하측에 대응되는 전면도어(10)에는 동전이 반환되는 동전반환구(31)가 설치되고, 동전 투입구(11)의 좌측방에는 투입된 동전을 반환시키기 위한 반환레버(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도어(10)의 우상부에 설치된 선택푸시버튼(16), (18)은 크게 컵음료 선택푸시버튼(16)과 캔음료 선택푸시버튼(18)으로 구별되는데, 컵음료와 캔음료 선택푸시버튼(16), (18)은 다양한 컵음료 및 캔음료를 판매하기 위하여 다수개 설치되며, 이들의 하측에는 판매가능이나 선택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캔음료 디스플레이부(17)와 컵음료 디스플레이부(15)가 설치된다.
한편 투입금액표시기(13)의 좌상측에는 자동판매기의 판매가부를 표시하는 판매중 표시램프(14)가 설치되고, 캔음료 인출구(40)의 우상측에는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여 조명용 형광등을 점멸시켜 주는 자동점멸장치(41)가 설치된다.
그리고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의 좌측에 설치된 콘트롤박스(45)는 자동 판매기의 전반적인 상황을 체크하여 판매중 램프(14)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코인유니트(19)에 계산된 금액에 따라서 판매가능한 상품의 선택푸시버튼(16), (18)의 디스플레이부(15), (17)를 점등시켜 판매가능을 표시하며, 판매가능한 선택푸시버튼(16), (18)이 눌렸을때 그에 해당하는 자동판매유니트(50), (70)의 작동을 지시하여 선택된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21"은 전면도어(10)의 손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와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70)가 판매준비가 완료되면 콘트롤박스(45)가 이를 감지하여 판매중 표시램프(14)를 점등시켜 판매가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토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비자가 동전투입구(11)로 투입된 동전을 코인유니트(19)가 계산하여 투입금액표시기(13)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콘트롤박스(45)는 투입된 금액 이하로 판매되는 음료의 선택푸시버튼 디스플레이부(15), (17)를 점등시켜 판매가능한 상품을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소비자가 판매가능 표시가 점등된 선택푸시버튼(16), (18)을 누르면 이를 콘트롤박스(45)가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자동판매유니트(50), (70)의 작동을 명하여 선택된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먼저 소비자가 컵음료 구입하는 경우를 설명하겠다. 소비자가 동전투입구(11)에 동전을 투입한 후 디스플레이부(15)에 판매가능 표시가 점등된 컵음료 선택푸시버튼(16)을 누르면, 콘트롤박스(45)가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허락하면, 물통(51)의 물과 원료통(53)의 원료는 볼믹싱(55)으로 투출된다. 원료와 물이 공급된 볼믹싱(55)은 이들을 혼합하여 노즐(56)을 통하여 컵인출부(30)에 수납된 컵으로 배출함으로써 컵음료를 판매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소비자가 캔음료를 선택하여 콘트롤박스(45)에서 캔음료의 판매가 허락되면, 이젝트메타(77)가 작동하여 캔랙크(71)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캔음료 하나를 하측으로 투출시킨다. 투출된 캔음료는 상품인출안내판(73)으로 따라 캔음료 인출구(40)로 투출됨으로써 판매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전을 투입한 후 상품을 구입할 의사가 없을 경우에는 반환레버(12)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투입된 동전을 동전반환구(31)로 반환되며, 모든 상품이 매진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상품을 판매할 수 없을 경우에는 콘트롤박스(45)가 이를 감지하여 판매를 중지시키면 판매중 표시램프(14)가 소등되어 이를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전투입구(11)로 투입된 동전은 동전반환구(31)로 반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는, 각 자동판매기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품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크기로도 여러 종류의 상품을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작비용을 절감시킬수 있으며 작은 공간에 여러대의 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는 한 장소에 취향에 따라 여러 종류의 상품을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자동판매기는 다양한 상품들을 진열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 하여금 특정상품 이외의 다른 상품의 구매를 유도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의 일측에 마련되며 그 일측에 컵인출구(30)와 캔음료 인출구(40)가 각각 마련된 전면도어(10), 물통(51)과, 분말형태의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통(53)과,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를 혼합시켜 음료를 만들어 상기 컵인출구(30)로 배출시키는 볼믹싱(55)을 구비하여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마련된 컵음료 자동판매기유니트(50), 캔음료를 저장하는 캔랙크(71)와, 상기 캔랙트(7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캔랙크(71)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캔음료 인출구(40)로 투출시키는 이젝트메카(77)를 구비하여 상기 캐비닛(1)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70), 상기 전면도어(10)의 일측에 마련된 동전투입구(11)로 투입된 돈의 금액을 계산하는 코인유니트(19), 컵음료나 캔음료를 선택하도록 상기 전면도어(10)의 외측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선택푸시버튼(16), (18), 상기 코인유니트(19)로부터 계산된 금액과 상기 선택푸시버튼(16), (18)을 통하여 선택된 상품을 비교하여 상기 컵음료 자동판매유니트(50)나 상기 캔음료 자동판매유니트(70)를 작동시켜 선택된 상품이 투출되도록 동작시키는 콘트롤박스(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자동판매기.
KR1019920014127A 1992-08-06 1992-08-06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127A KR960001458B1 (ko) 1992-08-06 1992-08-06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127A KR960001458B1 (ko) 1992-08-06 1992-08-06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97A KR940004497A (ko) 1994-03-15
KR960001458B1 true KR960001458B1 (ko) 1996-01-30

Family

ID=1933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127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458B1 (ko) 1992-08-06 1992-08-06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4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97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419B2 (en) Refrigerator
KR102114955B1 (ko) 동시 반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1262A (ko) 복합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960001458B1 (ko) 컵음료와 캔음료 복합 자동판매기
KR20120031301A (ko) 자동판매기
KR960001457B1 (ko) 컵 및 캔음료와 일용품 복합 자동판매기
KR102114945B1 (ko) 아이스 파우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83255Y1 (ko) 자동판매기
KR200162568Y1 (ko) 패트병음료의 자판기용 앗세이랙크
JP2560737Y2 (ja) カップ飲料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KR950004794B1 (ko)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복합 자동판매기
KR20020051331A (ko)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방법
KR940005831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방법
KR200294636Y1 (ko) 복합자동판매기
JPH03201182A (ja) 自動販売機
KR20020029569A (ko) 캔음료와 구슬형 아이스크림의 복합자동판매기
KR19980082186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재고량 감지장치
JPH1055484A (ja) 自動販売機
KR19980082188A (ko)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H03201184A (ja) 自動販売機
KR20010095372A (ko) 보너스 게임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
JP2003141614A (ja) 自動販売機
JP2002042215A (ja) 自動販売機のボタン表示制御装置
KR20030044416A (ko) 자동판매기의 판매현황 표시방법
KR20020029568A (ko) 커피와 차 및 구슬형 아이스크림의 복합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5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60416

Appeal identifier: 1995201001021

Request date: 19950516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5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503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104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604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7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