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517B1 -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1517B1 KR950011517B1 KR1019920003918A KR920003918A KR950011517B1 KR 950011517 B1 KR950011517 B1 KR 950011517B1 KR 1019920003918 A KR1019920003918 A KR 1019920003918A KR 920003918 A KR920003918 A KR 920003918A KR 950011517 B1 KR950011517 B1 KR 950011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tray
- bin
- empty
- bin tra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65H39/11—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in superposed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4—Driving mechanisms other
- B65H2403/544—Driving mechanisms other involving rolling up - unrolling of transmission element, e.g. winc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3—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with variable location in space of the bins relative to a stationary in-feed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4—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 B65H2408/114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performing alignment in the totality or a large number of bins at a ti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빈트레이(bin tray)와 인접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에서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을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을 도시하기 위한 확대부분단면도.
제5도는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편향 블럭(divation block)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단면의 수직방향에서 편향블럭과 측면판넬(side panel)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8도는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제9도는 본발명에 따른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빈트레이와, 이에 인접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선 X-X를 따라서 제4실시예의 빈트레이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기 위하여 로울러가 갖춰진 활주캠(slide Cam)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13도는 용지 이송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로울러가 갖춰진 활주캠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4도는 용지 이송방향으로 절단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빈트레이의 활주캠 단면도.
제15도는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을 도시하기 위하여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선 Y-Y을 따른 활주캠의 수직 단면도 제17도는 용지 수납측에서 활주캠주변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17도는 용지 수납측에서 활주캠주변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선 Z-Z을 따른 활주캠의 수직단면도.
제19도는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제20도는 편향영역에서 확대된 상태로 도시된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빈트 레이(bin tray) 12 : 핀
21 : 캠트랙(canr track) 27 : 상승모터
32 : 죠거아암(Jogger arm) 50, 51: 측면판넬
53a : 장요홈 60 : 하부펜스
100 : 로울러요홈 102 : 저면부
ID : 하부 적재층 10a,10b : 활주캠
14 : 후단조정펜스 23 : 회전축
30 : 현수선 104 : 요홈
1U : 상부적재층 θ : 경사각도
Ho : 수평기준면
본발명은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비, 본발명은 다수개 의 빈(bin)을 갖추어 복사기등과 같은 회상형성장치의 외부장치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연속적으로 수납(受納)하도록 된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지분류및 저장장치는 빈트레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용지 배출작동도중에 크게 형성되어 용지저장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특허공보 소57-4855호 (심사 미청구)에는 빈트레이와, 이에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을 개발시켜 주도록 된 제너바 휠(Ge-neva Wheel)을 갖추어 배출되는 용지를 쉽게 받도록 된 용지 정돈 장치/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보 소56-78769호 (심사미청구)에는 상기 특허와 유사하게 빈트레이 사이에서 공간을 개방시키도록 된 핼리컬 캠(helical cam)을 사용하는 개선된 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류 장치중에서 또하나의 방식은 빈트레이 사이에서 공간을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용지수납을 쉽게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일본특허공보 평 2-110075호(심사미청구)에는 배출된 용지를 받도록 서로에 대하여 평행으로 원하는 빈트레이를 이동시킴으로서 빈트레이사이의 공간을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용지 수납입구를 형성하도록 빈트레이의 수직운동을 유발시키는 캠을 갖춘 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용지를 받기 위하여 빈트레이의 공간을 개방시켜 주는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용지 저장 공간이 절약될수 있는데, 그 이유는 용지가 담긴 빈트레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빈트레이가 일반적으로 확대되지 않은 작은 공간을 갖춘 상태에서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간을 개방시켜 주기 위 하여 상기 장치에서 사용되는 제너바휠 또는 헬리컬 캠을 갖춘 기계적 구조 에서는 부드러운 공간 개방 작동이 크게 요구된다. 또한, 공간 개방작용 도중에는 충격소음(shock noise)이 발생되어서도 안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서,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공간 개방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소음 또한 낮아지게 될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가 충분히 크게 용지 수납입구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용지가 절곡되거나 접혀진 경우에는 용지의 분류작업 또는 저장 작업에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상당량의 용지가 빈트레이내에 저장되었다 할지라도, 대부분의 빈트레이사이에 형성된 모든 공간이 크게 넓혀진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점도 초래하는 것이다. 장치의 크기가 과대하여 진다는 것을 경량 소형의 장비를 요구하는 현재의 추세와는 역행하는 것이다. 즉, 상기 후자의 장치는 크기를 소형으로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과, 충분한 양의 용지를 수용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점을 갖춘 거이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매우 간단한 기계구성을 갖추고, 용지수납 작동중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빈트레이 사이의 일정공간이 용지수납 작동에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 정상위치(normal position)에서 원하는 양만큼의 용지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좁게 유지되고, 용지 수납작동 도중에는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되어 용지 저장작동을 쉽게하여 줌으로서 상기 언급된 종래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한 용지 분류 및 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트래이를 갖추고, 각각의 빈트레이 적재면(loading face)이 외부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용지를 수납하며, 상기 빈트레이를 대략 수평으로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배출되는 용지를 받기 위하는 빈트레이에 대하여 적재된 빈트레이의 일부분을 대략 수평으로 편향시켜 빈트레이의 경사방향에서의 일정공간이 상기 원하는 빈트레이와 이에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 사이에서 크게 확대되는 편향장치(divation mechanism)를, 포함하는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상기 구조의 장치는 분류작업도중에, 상기 편향장치가 원하는 빈트레이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용지를 받는 빈트레이와, 이에 인접한 상부 빈트 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공간을 크게 확대시키는 작동으로 용지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다. 본발명에 따른 구성은 용지 수납 작동중에서 빈트레이의 공간열림 작동을 충격소음없이 완만하게 수행하고, 용지를 반지 정상 위치에서는 빈트레이의 공간이 충분히 적게 유지된다. 따라서 용지 저장 효율이 본발명의 구성에 의해서 현저히 개선된다.
상기 편향장치는 용진 배출 방향에 대해서 반대로 경사가 형성된 경사가이드 (inclined guide)를 갖춘 빈트레이 가이드로 이루어진다. 빈트레이의 일부분은 상기 빈트레이 가이드에 의해 대략 수평방향으로 편향되는 역경사(inverted slant)를 따라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이동장치가 또한 제공되어 전체 빈트레이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빈트레이 사이에시 수직 상대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편향장치가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위치에서 편향작동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편향장치는 각각의 빈트레이만을 편향작동시키고, 수직 이동장치에 의해 전체 빈트레이의 수직 이동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편향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제작될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르면, 최상부(uppermost)및 최하부(lowermost)빈트레이를 제외한 각각의 빈트레이들은 지지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지지부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는 평행한 수평지지면을 다수개 갖추어 상부 빈트레이를 지지함으로서 각각의 지지면은 서로 빈트레이가 결합되는 경우 상부 빈트레이의 하중(load)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간단한 지지장치에 의해 편행장치가 빈트레이의 완만한 수평 편향작동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본발명에 따르면, 지지장치가 수평 방향및,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요홈곡선(concave curve)사이에 헝성되는 선을 따라서 연장하는 다수개의 지지면을 갖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상부 빈트레이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지지면들이 빈트레이의 지지부에 연결된다. 상기 편향장치는 빈트레이를 수평으로 편향시키도록 수직으로 이동하여 고정되지 않은 편향위치에서 편향 작동을 수행하도록 된다. 따라서 지지장치와 편향장치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발명에 따르면, 상기 편향장치는 각각의 빈트레이의 일부분에 연결된 빈트레이 가이드로 구성되어 용지 유입측면에서 빈트레이를 대략 수평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편향장치는 현저하게 단순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상기 편향장치가 용지 배출방향에 대하여 역경사를 형성한 경사가이드를 갖춘 빈트레이 가이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편향작동은 상기 편향장치에 의해 매우 완만하고 부드럽게 수행된다. 그리고, 본발명에 의하면 빈트레이가 용지입구로 부터 하부로 경사진 적재면을 갖추고, 용지배출위치는 배출된 용지를 수용하도록 원하는 빈트레이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용지 이송장치를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가능하게 하여주고, 구동을 매우 쉽게 조절하도륵 하여준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가끔씩 발생되는 용지 막힘 현싱이나 용지 배출불능 현상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지지장치가 각각의 빈트레이의 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장착된 로울러를 통해서 빈트레이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편향작동도중에 빈트레이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매우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하여 준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빈트레이가 용지 입구로부터 상부로 경사진 적재면을 갖추고, 편향위치의 하부에 위치된 빈트레이의 단부가 편향위치 상부에 위치된 다른 빈트레이의 단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외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빈트레이의 위치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용지를 받는 빈트레이의 적재면을 작업자가 쉽게 관찰하도록 하여준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지 수납작동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소음이 매우 적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하며, 용지저장 효율이 현저히 개선되는 한편,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좁게 유지되어도 용지 수납작동이 영향을 받지 않는 정상위치에서 원하는 양만큼의 용지를 충분히 저장할수 있고,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용지 수납작동중에는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되어 용지 저장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준다.
상기와같은 본발명의 목적은,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트레이를 갖추고, 각각의 빈트레이의 적재면 이 용지 배출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용지를 수납하며, 빈트레이 적재층을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장치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에 의한 수직 이 동작동과 함께 빈트레이의 일부분을 대략 수평으로 편향시켜 빈트레이의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 상기 용지 배출장치의 고정된 용지 배출 위치에서 및 그 상부의 2개의 빈트레이사이에서 확대되는 편향장치및, 각각의 빈트레이 양측에 위치되고, 서로 평행한 지지면을 갖추며, 인접한 상부의 빈트레이에 갖춰진 지지장치를 각각의 지지면으로 지지하여 인접한 2개의 가빈트레이의 지지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지장치를 갖춘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마련함에 의한다. 상기 수직 이동장치는 전체적으로 빈트레이 적재층을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원하는 빈트레이가 편향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편향장치는 빈트레이의 수직 이동과 함께 빈트레이를 대략 수평으로 편향시켜 고정된 용지 배출위치에서 및 그 상부에서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확대되어 배출된 용지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지지면으로 인접한 상부의 빈트레이를 지지하여 빈트레이와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의 2개의 지지면 사이에서 공간을 유지한다. 본발명에 따른 상기의 구성으로서,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충격 소음이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 개방작동중에 현저히 감소되며, 기구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고, 생산단가가 저렴하며, 용지 저장효율이 현저히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재가 인접한 벤트레이에 갖춰진 지지장치의 2개의 지지면사이에 위치되어 빈트레이의 지지장치가 상기 회전부재를 통해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의 지지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의 수평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2개의 빈트레이에 갖춰진 지지장치의 2개의 지지면 사이에 회전부재가 위치된다. 따라서 편향 위치에서 빈트레이의 편향작동 도중에 마찰력은 현저히 감소되어 편향장치의 구동하중(drive load)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본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마주한 인접 지지부중의 어느하나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저면부(hottom)는 지지면으로서 사용된다. 편향 작동도중에 상기 회전부재는 요홈 내에서 회전되어 빈트레이의 편향 작동이 별도의 가이드 수단없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회전 축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빈트레이의 회전작동도중에 마찰력이 회전부재의 마찰력이기 때문에 편향장치의 구동부 하가 현저히 감소된다. 그리고, 본발명에 의하면, 상기 요홈과 회전 부재가 접촉영역(Contact Area)에서 대략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접촉영역이 회전부재와 상기 요홈사이에서 최대로 되어 접촉압력을 감소시키고, 따라시 탄성 변형 또는 마모가 접촉영역에서 최소화되어 장치의 안정성과 수명을 현저히 개선한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상기 요홈이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경우 V-형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V-형 요홈에 회전 부재가 작용하는 경우 자체 중심조절기능을 갖추고, 회전 부재와 요홈사이에서 접촉영역을 적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장치의 안정성을 개선하여 편향장치의 구동부하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지지장치가 또한, 상기 요홈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위치된 스토퍼(stopper)를 갖추어 부분적으로 개방부를 폐쇄시키고 회전부재를 요홈내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빈트레이의 조립과정이나 해체과정에서 빈트레이로부터 회전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기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을 안내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편향장치의 과도한 구동부하가 편향작도중에 빈트레이와 상기 가이드 부재사이의 접촉으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불쾌한 충격소음을 최소화하고, 용지 수납 작동중에 빈트레이로부터 용지 돌출현상(sheet leaping-out)을 방지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접혀진 또는 구겨진 용지도 효과적으로 수납하는 한편, 빈트 레이 사이의 공간이 좁게 유지되어도 용지 수납작동이 영향을 받지 않는 정상위치에서 위하는 양 만큼의 용지를 충분히 저장할수 있고, 용지 수납작동 중에는 빈트레이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개방되어 용지 저장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된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상기 목적은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트레이를 갖추고, 각각의 빈트레이의 적제면이 용지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출되는 용지를 받으며; 전체적으로 빈트레이 적재층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장치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에 의한 수직 이동작동과 함께 빈트레이의 일부분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빈트레이의 경사방향에서 형성되는 공간이 용지 배출위치와 그 상부에 형성되는 2개의 빈트레이사이에서 확대되는 편향장치및, 빈트레이의 용지 유입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는 해당빈트레이가 용지 수납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직립(upright)상태로 유지되며, 그밖의 다른 위치에 있을때는 빈트레이의 적재 면을 향해 누워 있게 되는 용지 압압부재(shreet press member)를 포함 하는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상기 구성으로는 수직 이동장치가 수직이동하여 용지 수납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편향장치는 용지 수납 위치에서 빈트레이를 대략 수평으로 편향시켜 용지 배출위치에서 또한 그상부에 위치된 2개의 빈트레이사이의 공간을 확대시킴으로서 원하는 빈트레이에 용지 수납을 가능토록 한다. 상기 용지 압압부재는 인접한 상부빈트레이의 후면부와 접촉하고, 따라서 빈트레이의 적재면을 향해 압압된다. 상기 용지압입부재의 선단부는 용지수납위치의 상부및 하부의 정상위치에서 접혀져 누워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지의 굽음 현상(bending)이 수정되어 용지는 빈트레이에 평편한 상태로 적재 된다. 상기 용 수납위치에서, 용지 압압부재의 선단부는 직립되어 빈트레이의 용지가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륵 하여 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빈트레이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부드럽게 확대되고, 빈트레이의 공간확대작동도중에도 충격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용지 압압부재가 효과적으로 수납작동 도중에 용지의 낙하현상을 방지하고, 트레이의 적재면에 위치된 용지의 굽음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 에 따르면, 빈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용지 저장효율이 매우 높게 된다. 상기 용지 압압부재는 탄성재료로된 가요성 박판(flexible film)으로 구성가능하다. 이러한 용지 압압부재가 매우 간단한 형태를 가지고 생산단가측면에서도 저렴한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작용효과는 참조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발명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제1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상기 장치의 빈트레이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3도는 상기 장치에서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을 도시하기 위한 빈트레이의 측면도이고, 제4도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는 복사기등과 같은 화상형성 장치로 부터 배출된 화상이 기록된 용지들을 철()하여 다수매의 복사된 용지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후처리장치(afher-proce ssing -apparatus)이다. 상기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는 화상 형성장치에 매우 인접하여 위치된 상태로 보통 사용된다. 상기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구조는 제1도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참조 번호(1)는 용지 수납입구로 향해 용지적재면이 하부로 경사져서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이송되는 화상기록 용지(P)를 수납하는 빈트레이를 지칭한다. 참조부호(10a)(l0b)는 수평상태로 상, 하부면을 갖추어 빈트레이(1)를 적재된 상태로 지지하는 활주캠(slide cam)을 나타낸다. 한쌍의 활주캠 (10a)이 상기 장치의 용지 입구측에서 하나의 빈트레이의 양측에 위치되고, 다른 한쌍의 활주캠(10b)이 자유단부(free end)부근에서 상기 빈트레이의 양측에 위치된다. 다수개의 빈트레이가 수직으로 적제되고, 상기와같이 적재된 상태로 수직이동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함께 이동가능하다. 수직이동작동중에는, 각각의 빈트레이(1)가 이후에 설명될 캠트랙(cam track)을 포함하는 수평활주 장치에 의해 하나씩 용지 이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함으로서 상부 적재층(lU) 또는 하부적재층(ID)로 이동하게 된다. 용지 묶음 장치(5)와 용지 이동유니트(6)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적재층(lU)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빈트레이의 단부 근방에 고정 장착된다. 분류작동후에, 용지 묶음 장치 (5)는 빈트레이(1)에 적재된 용지(P)의 단부를 묶는다. 용지 이동유니트(6)는 빈트레이 상부에 적재된 용지(P)를 집어서 용지묶음 장치(5)의 묶음 위치로 용지를 이동시키고, 다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집음 장치(pinch mechanism)을 갖추고 있다. 빈트레이(1) 에서는, 참조부호(11)가 활주캠(10)의 상, 하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반-원통형(semi-cylindrical shape)의 하부요홈을 지정하고, 참조부호(13)은 활주캠 (10a)이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핀(12)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되는 트러니언(trunn nion)을 나타내며, 참조부호부(14)는 빈트레이(1)의 용지 수납측면에 위치되어 장입된 용지의 후단부를 조정하는 후단조정 펜스(rear end aligning fence)이고, 참조부호 (15)는 뒤에 기술될 죠지(Jogger)(4)의 죠지선(Jogger wire)이 관통하는 개구부이며, 참조부호(16)는 용지 이동 장치(6)의 잡음장치가 위치되는 절단부이다. 롤러(31)는 2개의 인접 빈트레이(1)의 활주캠(10)사이에 형성된 롤러 요홈(11)내에 장착된다. 이하, 빈트레이(1)의 수직이동에 사용되는 상승장치(3)와, 빈트레이(1)의 수평활주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활주 장치는 상승장치(3)의 수직 구동력을 사용하여 활주캠(10)을 따라 빈트레이(1)를 이동시킨다. 참조부호(2f)(2r)는 전, 후 프레임을 구성한다.
전, 후프레임(2f)(2r)은 용지 입구부근에서 신장된 캠 트랙(cam track)(21)과, 빈트레이의 자유단부에서 수직으로 신장된 가이드 요홈(22)을 갖는다. 각각의 캠 트랙(21)은 상부 수직부(21U), 하부 수직부(21D)및 그사이를 연결하는 편향부(21B)로 구성된다. 상기 편향부(21B)는 상기 상, 하부수직부(21U) (21D)를 연결하면서 상기 용지 수납측면으로 부터 하부로 점차로 기울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한다. 빈트레이(1)의 트러니언(13)과, 제1빈구동바(후술예정)의 지지변재에 갖춰진 트러니언은 캠트랙 (21)에 끼워져서 안내된다. 회전축(rotation shaft)(23)이 캠트랙(21)의 하부수직부 (21D)상부에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권취풀리(wind-up pulley)(24)가 전, 후 프레임 (2f)(2r)의 외측에서 회전축(23)의 양단부 장치된다. 권취기어(wind-up gear)(25)가 제2도에 도시된 측면에서 권취 풀리(24)의 외측으로 회전축(23)에 장착된다. 권취기어(25)가 감속기어(26)와 나사결합하여 기어 군(群)을 형성한다. 상승모터(27)가 상승장치(3)의 동력원으로서 후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승모터와 구동력은 기어 맞물림으로 권취기어 (25)에 전달되고, 제1및 제2방향전환 풀리(28)(29)는 캠트랙 (21)의 하부 수직부(21d)의 하부와 가이드 요홈(22)의 상부에서 각각 전,후프레임 (21f)(21r)의 외측에 저어널(Journal)결합된다. 참조부호(17a)(17b)는 제1및 제2반구동바이고, (30)은 현수선(suspension wire)이다. 각각의 현수선(30)의 일측단부는 권취풀리(24)주위에 권선된다. 현수선은 제1 및 제2 방향전환 풀리(28)(29)를 통해 연장되어, 제2반구동바(17b)의 양측단부(19b)에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현수선(30)은 권취풀리(24)와 제1방향전환풀리(28)사이에서 제1빈구동바(17a)의 양측단부 (19a)에 고정된다. 현수선(30)은 제1및 제2구동바(17a)(17b)를 통해 빈트레이(1)의 적재층에서 상, 하로 이동가능토록 매달린다. 제1및 제2지지부재(18a)(18b)가 제1및 제2구동바(17a)(17b)의 양측단부에 고정되어 빈트레이(1)를 이송시킨다. 또한, 제1및 제2지지부재(18a)(l0b)는 제1도 및 제3도에서 우측으로 부터 좌측으로 연장하는 상부 면위에 복수개의 롤러요홈(11)을 갖는다. 지지부재(18a)(18b)는 상기 롤러 요홈 (11)에 장착된 폴러(31)를 통해 빈트레이(1)를 지지한다. 제1지지부재(18a)는 트러니언 (13)이 회전가능토록 장착되는 핀(20)을 갖는다. 제1지지부재(18a)는 트러니언 (13)은 빈트레이(1)의 트러니언(13)으로서 캠트랙(21)내에 장작되어 수직이동도중에 캠트팩(21)을 따라 함께 이동한다. 참조부호(32)는 미도시된 구동장치의 구동으로 반시계방향에서 회전가능한 죠거아암(Jogger arm)을 나타내고, (33)은, 죠거아암(32)사이에서 연장되어 빈트레이(1)에 저장된 용지(P)의 후단부를 침으로서 빈트레이(1)의 타측모서리와 작용하여 용지 밀음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죠거 아암(32)과 죠거선 (33)은 용지 정렬장치 또는 죠거(Jogger)(4)를 구동장치와 함께 구성한다. 참조부호 (36)는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전방에 설치된 화상처리 장치에 갖춰진 한쌍의 용지 배출로울러를 나타내고, (38)은 화상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안내하도록 용지 배출로울러 쌍(36)의 바로전에, 위치된 상, 하부 용지 이송가이드 플레이트이다. 상기 용지 배출로울러 쌍(36)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편향영역(B)에서 빈트레이(1)의 용지 유입측에 위치된다. 로울러(36)는 용지 배출 모터(37)에 의해 구동되어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용지 이송 가이드플레이트(38)를 통해 예정된 빈트레이(1)(제1도참조)로 배출시킨다. 이하,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복사시작버튼이 미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 눌리워지게 되면, 화상이 전사용지(P)에 기록된다. 화상이 기록된 용지(P)는 한쌍의 용지 배출로울러(36)를 통해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로 이동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로 인가되어 빈트레이(1)를 선택결정한다. 상기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가 상기 신호를 받으면, 상승모터(27)가 일정횟수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어 상기에서 계정된 빈트레이 (1)를 편향영역(B)으로 위치시키며, 현수선(30)에 의해 빈트레이들을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다수개의 빈트레이(1)들은 활주캠(10)에 장착된 트러니언(13)의 가이드에 의해 캠트랙(21)을 따라서 수직으로, 상, 하 이동한다. 어느 하나의 빈트레이(1)가 최하부 적재층(ID)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현수선(30)은 제1및 제2빈구동바 (17a) (17b)의 제1및 제2지지부재(18a)(18b)에 의해 이송되는 빈트레이(1)를 필요한 거리만큼 상승시켜 이동시킨다. 빈트레이(1)가 트러니언(13)의 회전에 의해 안내되어 캠트랙(21)의 편향부(21)에 도달하게 되면, 빈트레이의 수직상승작동이 용지 수납측을 향해 기울어진 편향부(21B)에 의해 멈추어지게 된다. 다음, 트러니언(13)은 편향부(21B)의 경사면을 따라서 용지 수납측으로 이동한다. 빈트레이(1)는 트러니언(13)의 상기와 같은 이동에 따라서 로울러 요홈(11)내에서 회전하는 로울러(31)의 지지를 받아 용지 수납측으로 수평으로 활주한다. 빈트레이(1)의 트러니언(13)이 편향부(21B)의 우측 상단부에 도달하면, 캠트랙(21)의 상부 수직부(21U)를 따라서 다시 수직으로 안내된다. 이와같은 작동으로, 빈트레이(1)의 트러니언(13)은 하부 수직부(21D)로 부터 상부 수직부(21U)를 향해 하나씩 이동하면서 빈트레이(1)를 편향영역(13)으로 수평이동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정된 빈트레이(1)는 편향영역(B)으로 도달하게 되고, 상승모터(27)는 회전이 정지되며, 따라서, 빈트레이(1)는 화상이 기록된 용지를 받을 준비가 된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후에, 편향영역(B)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된 빈트레이(1)의 상부적재층 자유단부는 상기 편향 영역(B)하부에 위치된 빈트레이(1)의 하부 적재층 자유단부로 부터 수평거리(H)만큼 위치이동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빈트레이(1)의 적재면 상태가 편향영역(B)내에서 용지를 받을수 있는지를 쉽게 관찰할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용지(P)의 화상형성 상태나 또는 적재상태를 쉽게 검사할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향 영역(B)에서 빈트레이(1)사이의 공간 확대 작동이 빈트레이(1)의 수직 이동과 관련되어 캠트랙(21)을 통한 트러니언(13)의 안내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빈트레이(1)의 수평이동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상기 빈트레이(1)들의 수직관계는 편향후에도 변함없이 지속된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수직 공간(G)은 빈트레이(1)사이에서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활주 캠(10)이 서로 결코 분리되지 않고, 빈트레이사이의 지지부재로서 활용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빈트레이(1)가 하부적재층(1D)으로부터 상부적재층 (lU)으로 수평거리(H)만큼 이동하기때문에, 편향영역(B)에서 공간(GB)은 빈트레이 (1)의 수직 이동거리만큼, 또한 캠트랙(21)의 편향부분(21B)의 경사량 만큼, 상부적재층(1U)과 하부적재층(1D)에 위치된 다른 빈트레이(1)사이의 공간(GV)과 비교할때, 크게 확대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한쌍의 용지 배출 로울러(36)는 편향 영역(B)에서 빈트레이(1)의 용지 수납 단부를 향해 장착되고, 용지(P)는 빈트레이(1)의 확대된 공간(G8)를 통해 배출된다. 로울러(36)로 부터 배출된 용지는 자중 (own weight)에 의해 후단 조정 펜스(14)로 밀리게 되어 후단부가 정렬된다. 비록, 빈트레이(1)의 공간(GB)이 크게 되어도 편향 부분(21B)의 경사각도가 보다 작게 되면, 보다 적은 상기 경사각도가 하부및 상부 수직부(21D)(21U)사이에서 트러니언(13)의 이동을 어렵게 하여준다. 이와는 반대로, 편향부 (21B)의 경사각도가 너무 크게 되면, 빈트레이(1)의 공간(GB)이 편향영역(B)내에서 충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경사각도는 상기 2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만 한다. 용지의 후단부가 정돈되면, 죠거(4)가 작동을 시작한다. 죠거아암(32)은 제2도에서 화살표(S)로 도시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죠거선(33)이 개구부(15)내에서 수평으로 이동되고, 아아치 (arch)(s)를 그리면서 빈트레이(1)에 저장된 용지(P)의 단부를 침으로서 용지 정렬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같은 정돈 작동에 의해, 용지는 빈트레이(1)의 일측단부로 밀리게되어 용지의 단부가 정돈된다. 만일 다른 신호가 용지 분류 및 저장장치로 인가되어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다음 용지(P)에 따른 다음 빈트레이를 할당하게 되면, 상승 모터(27)는 일정횟수만큼 회전되어 제1및 제2빈구동바(17a)(17b)를 상승시켜 하부 적재층(1D)의 최상단 빈트레이를 상부 적재층(1U)의 최하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같이 상승장치 에 의한 빈트레이의 상승작동으로 인하여, 확대된 공간(GB)이 바로전에 하부적재충(ID)의 최상단에 위치되었던 빈트레이와 그아래의 인접한 빈트레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바로전에 하부적재층(1D)에서 최상단에 위치되었던 빈트레이와, 바로전에 상부적재층(1U)에서 최하부에 위치되었던 빈트레이 사이에 헝성되는 공간은 좁은 공간(GB)으로 된다. 만일 용지가 휘어졌거나 또는 빈트레이(1)위에 상당량의 용지가 적재된 상태라며는, 바로전에 상부 적재층(1U)에서 최하단부에 위치되었던 빈트레이는 다음 빈트레이의 용지를 압압하여 휘어진 부분을 바로 잡거나 또는 적재된 용지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분류작동은 상승장치(3)에 의한 빈트레이(1)의 간헐적인 상승작동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빈트레이(1)로의 용지 수납작동에 의해 종료된다. 분류작동후에는, 만일, 용지분류및 저장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용지를 묶으라는 지령을 받게되면,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 묶음 장치(5)에 의해 묶음 작동을 진행한다. 먼저, 승상모터(27)는 빈트레이(1)를 상, 하로 이동시켜 용지(P)를 이송하는 최상부의 빈트레이를 상부적재층(1U)의 최하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위치에서, 용지 이동유니트(6)의 집음부재(pinch piece)(34)가 용지 이동모터(35)에 의해 작동되어 자유단부가 열리면서 빈트레이(1)의 절단부 (16)로 진입한다. 다음, 집음부재(34)는 자유단부를 닫아서 용지를 그사이에 집고, 묶음장치(5)로 이송시켜 용지를 집은상태에서 용지의 모서리를 철(綴)한다. 용지의 묶음 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용지 이동모터(35)가 반대로 회전되어 용지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묶음 장치(5)와 용지 이동유니트(6)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가능하다. 따라서, 묶음장치(5)와 용지이동유니트(6)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수선이 빈트레이(1)의 상승 장치에 사용되었으나, 다른 상승장치가 사용될수 있다. 또한 로울러(31)도 필수적인 구성품은 아니다. 한쌍의 요홈과 돌기부가 사용되어 캠프랙(10)의 상, 하면 사이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수 있게 된다. 또한, 로울러 (31)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볼(ball)구조를 가졌지만, 실린더(cylinder)로 대체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죠거선이 봉(rod)형태의 죠거바로 대체되어 빈트레이(1)의 용지정렬 작동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용지입구로 향해 기울어진 빈트레이(1)적재층이 편향영역(B)에서 수평으로 편향되어 장상위치에서 빈트레이(1)사이의 공간을 보다 큰 공간(GB)으로 확대시킨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각각의 빈트레이(1)들이 단지 수평으로만 이동하고, 빈트레이(1)의 편향작동이 빈트레이의 용지유입측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편향블럭에 의해 실행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제5도는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제6도는 빈트레이(1)를 편향시키는 편향블럭의 주요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하며, 제7도는 상기 장치의 편향블럭과 측면판넬(side panel)을 편향블럭의 가이드요홈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제2실시예에 부여하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같은 참조부호는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어 설명을 간략하게 할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를 참조되면 제5도내지 제7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참조부호(50)(51)는 제5도의 이쪽, 저쪽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우측및 좌측판넬을 지정한다. 4개의 편(12a)(12b)이 각각의 빈트레이(1)의 측면모서리에서 돌출된다. 상기 측면판넬 (50)(51)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신장된 요흠(53a)(53b)을 갖추고 있다. 또한 반대쪽의 측면판넬(50)(51)로 동일한수의 장요흠을 갖는다. 핀(12a)(12b)이 상기 장요흠(53a)(53b)에 헐거운상태로 끼워짐으로서 장요홈(53a)(53b)의 하단모서리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빈트레이(1)가 핀(12a)(12b)을 통해 장요흠(53a)(53b)의 하단 모서리에 지지된다. 핀(12a)(12b)이 장요흠(53a)(53b)에 지지되기 때문에, 빈트레이 (1)는 수평외력이 상기 빈트레이에 가해지는 경우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편향블럭(40)이 선(wire)(45)에 의해 빈트레이(1)의 용지 유입측면에서 상, 하로 이동가능토록 매달리어 이쪽및 저쪽 측면(this and that sides)에서 측면판넬(50)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편향블럭(40)은 제5도의 이쪽및 저쪽 측면에서 2개의 측면부를 갖추어 좌측 측면 판넬(50)을 덮는다. 편향블럭(40)의 측면부는 각각 가이드 요흠(41)을 갖추어 핀(12a)을 내부에 수용한다. 가이드요흠 (41)은 빈트레이(1)의 핀(12)을 안내하여 빈트레이를 편향시킨다. 한쌍의 용지 배출로울러(36)가 용지(P)를 배출시키도록 편향블럭(40)의 측면부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권취 로울러(42)가 편향블럭(47)의 측면부사이에 위치된다. 권취로울러(42)는 상, 하부 구동로울러(49)사이에 형성된 용지 이송벨트(47)와 함께 작동한다. 이송벨트(47)는 구동로울러(49)사이에서 회전되어 용지를 이송한다. 권취로울러(42)는 폴리에스터 (polyester)와 같은 가요성재료로된 안내용지(guide sheet)를 가감아서 용지를 안내하면서 이송벨트(47)에 접촉하거나 접근하게 된다. 감겨진 안내용지(46)의 일측단부가 미도시된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권취로울러(42)의 원주에 고정된다. 권취로울러(42)는 지지축에 저어널(Journal)결합되고, 미도시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안내용지(46)의 권취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4)가 권취로울러(42)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송벨트(47)에 의해 이동된 용지를 분리시키고, 상기와 같이 분리된 용지를 용지 배출로울러 (36)의 집음부(nip part)로 안내한다. 참조부호(48)는 안내용지(46)를 향하여 이송벨트(47)를 밀어주어 용지의 이동을 도와주는 편심로울러(bi-asing roller)이다. 복사시작버튼이 눌리워지면, 화상형성장치가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용지를 용지분류및 저장장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분류시작신화 시작빈트레이 할당신호(a start bin tray assigning signal)를 용지분류및 저장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용지분류및 저장장치는 상기 신호를 받아 분류작동을 시작한다. 이송벨트(47)는 순회작동(circulating)을 시작하고, 편심로울러(48)는 이송벨트(47)를 향해 치우치게 되며, 용지배출코너(43)는 한쌍의 용지 배출로울러를 구동하도록 회전되는 한편, 편심블럭(40)은 상기 시작 빈트레이이 할당신호에 따라서 한쌍의 로울러(36)를 마주하는 위치로 상기 할당된 빈트레이(1)를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을 시작한다. 상기 빈트레이의 수직이동은 빈트레이의 후속편향작동을 초래한다. 편향블럭 (40)은 하부 대기위치(lower standby position)로 부터 상승작동을 시작하고, 최하부에 위치된 빈트레이(1)의 좌측핀(12a)이 끼워지는 장효옴(53)의 위치로 이동한다. 장요홈(53a)의 좌측단에 안치된 핀(12a)은 편심블럭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내요홈(41) 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안내요홈(41)의 상부개구부로 부터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상부 가이드요홈 (41a)통해 연장되고, 상기 상부안내요홈(41a)의 하단부로 부터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안내요홈(편향영역 B)(41b)으로 통과되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안내요홈(41B)의 하단부로 부터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하부안내요홈(41c)을 다시 통과하게된다. 가이드요홈(41)을 통한 핀(12a)의 안내작용으로, 핀(12a)은 장요홈(53a)의 좌측단부로 부터 우측단부로 활주이동하여 핀(12a)이 고정된 빈트레이 (1)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으로 우측에 편향된다. 상기와 같이 할당된 빈트레이가 시작빈트레이 할당신호에 의해서 용지 배출로울러(36)의 용지배출부, 즉, 후단부 조정펜스(14)가 상기 로울러(36) 와 마주하는 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편향블럭(40)의 상승수직이동작동이 중단되어 유입구를 통한 용지의 이송을 기다리게 된다. 용지(p)는 안내용지(46)의 안내를 받아 이송벨트(47)레 의해 이동됨으로서 정지하고 있는 편향블럭(40)에 도달되고, 가이드벨트(44)에 의해 이송벨트(47)로 부터 분리되어 용지 배출로울러(36)의 집음부(nip part)로 이동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효홈(41)에 의한 핀(12a)의 안내작동으로 얻어진 빈트레이의 편향작동이 상기 할당된 빈트레이와 인접한 상부빈트레이 사이의 정상위치에서 공간(GV)을 제1실시에에서와 같이 편향영역 (B)내의 공간(GB)으로 확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용지배출로울러(36)를 통하여 다소 접혀지거나 또는 만곡된 용지(P)가 상기와 갈이 확대된 공간으 로 인하여 인접한 상부의 빈트레이와 후단부 조정펜스(14)의 방해없이 할당된 빈트레이 위에 적재가능하다. 그후에 발생되는 반복되는 반복적인 분류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유사하게, 편향블럭 (4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피(12a)은 안내요홈(41)내에서 후방(backwar d)으로 이동하고, 편향영역(B) 내의 빈트레이와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 사이에서 확대된 공간(GB)을 유지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빈트레이(1)의 편향작동은 전체빈트레이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편향블럭(40)의 수직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은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편향장치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생산단가가 저렴하게 되고 형상이 소형으로 되며, 소음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게 제작될 수 있다. 측면판넬(50)(51)에 형성된 장요홈(53a)(53b)은 수평으로 형성된 상, 하부모서리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장요홈(53a)(53b)은 만곡되어 좌측및 우측단부가 요홈의 중앙에서 홈을 형성하여 핀(12a)(12b)을 안정되게 고정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핀(12a)(12b)이 장요홈(53a)(53b)의 좌, 우측단부 사이에서 활주이동 가능하다. 또한, 로울러등이 핀(12a)(12b)에 장착되어 이동중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로울러가 장요홈(53a)(53b)내에서 회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빈트레이(1)의 적쟁이 편향영역(B)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2개의 빈트레이(1)사이에 형성된 공간(GV)(정상위치)이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편향영역(B)내에서 공간(GB)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빈트레이(1)는 제1및 제2실시예와는 반대로 용지유입구로부터 경사가 형성된다. 용지배출로울러(36)로부터 배출될때의 용지초기속도는 제1및 제2실시예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3실시예를 간단하게 도시한 구조도이다. 제3실시예의 구조및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에는, 용지가 본장치에 인접한 복사기(미도시)로 부터 배출되어 용지유입구(E)로 인입된다. 용지는 상부 가으드플레이트(56)에 의해 안내되어 장치부로 인입되면서 구동로울러 (49)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47)와 압압로울러(55)사이에 잡혀지게 된다. 다음, 용지는 안내용지(46)에 의해 하부로 안내되고, 이송벨트(47)에 의해 이동되어 쌍을 이루는 용지배출 로울러(36)의 집음부로 안내된다. 회전하는 이송벨트(47)는 용지배출로울러(36)사이를 통과하고,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하부 로울러에 부분적으로 감기면서 진행하는 통로를 수평으로 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벨트편심로울러(beltbiasin g roller)(54)와 접촉하게 된다. 편향블럭(40)은 용지배출로울러(36)와 벨트편심로울러(54)를 지지하면서 미도시된 전, 후측 프레임(59)사이를 연결하며, 철선(wire)(4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매달린다. 편상블럭(40)은 제8도에서 이쪽 및 저쪽측면에 형성된 전, 후측프레임(59)을 마주하는 2개의 측면을 갖추고 있다. 상기 편향블럭(40)의 측면들은 빈트레이(1)헤 형성된 좌측빈 가이드로울러(57a)와 연결된 가이드요홈(41)을 각각 갖추어 빈트레이(1)의 편향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안내용지(46)를 감아주는 권취로울러(42)가 전,후측 프레임(59)사이에 저어널(Journal)결합되고, 안내용지(46)의 감긴단부가 편향블럭(40)의 스토퍼(57)에 고정된다. 빈트레이(1)는 자유단부를 향해 경사가 형성된 주적재면(main loading faces)과, 각각의 단부에서 단부벽(endwalls)을 형성하는 상부 펜스(61)와 하부펜스(60)를 갖추고 있다. 직립 (standing)한 상, 하부펜스(61)(60)는 상부 모서리의 양측면에서 좌, 우측 빈가이드 로울러(57a)(57b)를 갖추고, 상기 좌, 우측 빈가이드 로울러(57a)(57b)는 펜스 (60) (61)로 부터 돌출된 핀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된다. 상기 전, 후측 프레임은 수평으로 연장하는 요홈, 또는 상기 좌, 우측 핀가이드 로울러(57a)(57b)와 일치 하는 좌, 우측 가이드요홈(53a)(53b)을 갖추고 있다. 상기 좌, 우측 핀가이드로울러(57a)(57b)는 좌, 우측 가이드요홈(53a)(53b)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지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각각의 빈트레이(1)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주적재면이 일정경사를 유지하면서 로울러(57a)(57b)는 좌, 우측 가이드요홈(53a)(53b)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지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각각의 빈트레이(1)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주적재면이 일정경사를 유지하면서 로울러(57a)(57b)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참조부호(58)는 빈트레이(1)로부터 배출된 용지(P)가 빈트레이(1)의 적재면을 향해 낙하하는 과정에서 하부펜스(60)를 넘어 하부로 돌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방지기를 나타낸다.
좌측핀 가이드로울러(57a)는 편향블럭(40)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동안 좌측가이드요홈(53a)에 끼워지고, 편향블럭(40)의 가이드요홈(41)으로 진입하도록 된 축방향의 일정길이를 갖추고있다. 로울러(57a)는 편향블럭(40)의 수직이동중에 안내요홈 (41)으로 진입하여 안내됨으로서 좌측가이드요홈(41)으로 수평으로 진행하여 빈트레이(1)를 편향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향블럭(40)에 형성된 용지배출로울러(36)의 용지배출부가 편향영역(B)에서 확대된 공간(GB)을 갖춘 하부적재측(10)의 최상부위치에서 빈트레이(1)상부에 위치된다. 또한, 로울러(36)의 용지배출부는 상부펜스 (61)넘이에 위치된다. 제1및 제2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먼 빈트레이 (1)로 용지(P)를 고속배출시키기 위하여 용지배출로울러(3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용지(P)에 빠른 초기속도를 부여하도록 된것이다. 그러나,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안정된 용지배출작동을 위하여 빠른 초기속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의 용지 배출로울러(36)는 이송벨트(47)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돌 유지되는 회전속도를 갖추어 용지이송장치의 구동제어를 보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용지이송에 사용되는 장치의 구성도 간단하게 되어 용지막힘 또는 용지배출불능등의 돌발사고가 최소한 된다. 이하,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제1도내지 제4도참조)와 동일한 구성품에 대해서는 동일참조 부호르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제9도는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제10도는 상기 장치에 갖춰진 빈트레이의 평면도이며,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선(X-X)을 따라 절단한 상기 장치의 빈트레이 단면도이다. 빈트레이(1)에서, 참조부호(100)는 각각의 활주캠(10)이 상, 하부면에 형성되고, 제9도에서 우측으로 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로울러 요홈을 나타내고, (13)은 용지유입부 측면의 활주캠 (10a)양측단부에서 돌출한 핀(12)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트러니언(trunnion)을 나타내며, (14)는 빈트레이(1)의 용지수납단부에서 직립되어 배출된 용지(P)의 후단부를 정렬하는 후단부 조정펜스를 나타내고, (15)는 죠거(4)의 죠거선이 수직으로 통과하는 빈 트레이(1)의 개구부이며, (16)은 용지이동유니트(6)가 위치되는 절단부이다. 구형로울러(31)가 상,하부 빈트레이(1)의 활주캠(10)사이에서 로울러 요홈(100)내에 끼워짐으로서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가 4개의 활주캠(10)의 로울러요홈(100)에 갖춰진 반-실린더형 저면부(semi-cylindrical bottom faces)에 지지 될 수 있다. 제11도는 제10도의 선(X-X)을 따르 수직단면도이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러 요홈 (100a)의 단면은 반원형(semi-circular)이다. 적재된 상태의 빈트레이(1)에 가로방향의 힘이 가해지게되면, 로울러(31)의 구형표면은 로울러요홈(100a)에 밀착되어 빈트레이(1)의 가로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비록 빈트레이(1)가 가로방향으로 다소이동한다 하여도, 상부 빈트레이의 중량(weight)은 구형 로울러(31)와 실린더형 로울러요홈 (l00a)사이에서의 접촉을 안정화 시킨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빈트레이가 자체중심 조절기능을 갖추어 자동적으로 보조의 지지수단없이 가로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빈트레이는 편향영역(B)에서 용지수납위치로의 이동도중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다음, 이동된 빈트레이드 가이드판넬(11)과 접촉되어 빈트레이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큰 마찰력을 발생시켜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승장치(3)의 상승모터(27)에 과도한 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요홈(11a)이 상기와 같은 접촉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향영역(B)부근 가이드플레이트(11)에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상승장치(3)와, 상기 상승장치(3)의 수직활주력을 이용하여 활주캠(10)을 따라 빈트레이(1)를 이동시키는 수평활주장치는 제1실시예와 내부분이 동일하기 때문에, 단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및 제2지지부재(18a)(18b)가 제1및 제2빈구동바 (17a)(17b)의 양단부 부근에 고정되어 빈트레이(1)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은 제9도에서 우측으로 부터 좌측으로 연장하는 로울러 요홈(100)을 갖추어 로울러요홈(100)내에 장착된 로울러(31)를 통해 빈트레이(1)를 지지한다. 본 장치의 다른 구성과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도내지 제14도는 제4실시예를 수정하는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제12도와 제13도는 로울러(31)가 갖춰진 활주캠(10)의 수직단면도이고, 제14도는 편향영역(B)부근의 빈트레이(1)에 갖춰진 활주캠(10a)의 중심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2도에 도시한 수정부분에는, 로울러요홈(100)의 가로방향 단면이 V-형을 갖추어 2점 (two points)에서 로울러(31)와 접촉됨으로서 회전 작동에 따른 회전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되어있다. 제13도의 수정부분에서는, 활주캠(10)의 상부면이 V요홈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스토퍼(Stopper)(101)를 갖추고 있다. 상기 스토퍼(101)는 약한 탄성력으로 로울러(31)와 접촉한다. 스토퍼(101)는 빈트레이외 적재층을 조립허가나 또는 해체하는 작업도중에 로울러(31)가 로울러요홈(100)으로 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4도에 도시된 수정부분에는, 2개의 로울러요홈(100)의 한세트(set)가 활주캠 (10)에 제공된다. 상기 로울러(31)는 로울러요홈(100)내에 장착되어 상부 빈트레이이 중량을 분담하여 각각의 로울러(31)와 활주캠(10)에 가해지는 압력(Stress)를 감소시킨다. 활주캠(10)의 탄성변형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빈트레이(1)의 부드러운 편향작동을 초래하고, 전체적인 회전마찰력을 감소시키며, 로울러(31)와 활주캠(10)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5실시예서는, 빈트레이 (1)의 적재층이 상, 하부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평방향에 대하여 다소경사가 형성된 로울러요홈 (100)의 저면부를 갖춘 활주캠(10)을 포함하고 있다. 제15도는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5실시예에서 평향작동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설명도이고, 제16도는 제15도의 선Y-Y을 따른 활주캠(10)의 수직단면도이며, 제17도는 용지유입부측에 위치된 활주캠(10a)과 인접부재의 확대사시도이고, 제18도는 제17도의 선Z-Z을 따른 활주캠(10a)의 수직단면도이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빈트레이(1)는 활주캠 (10)의 상, 하부면이 수평기준면(Ho)에 대하여 경사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된다. 따라서, 각각의 빈트레이(1)는 상부에 적재된 빈트레이의 중량 * Sinθ 의 성분에 해당하는 힘을 받아서 활주캠(10)의 상부면을 따라서 용지유입부측으로 밀리게된다. 만일, 캠트랙(21)의 편향부(21B)에 형성된 경사각도가 θ라고 가정하면, 빈트레이(1)는 하부적재층(ID)의 최상부위치로 부터 상부적재층(lU)의 최하부위치까지 상승장치의 상승작동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경사 각도(θ-θ)의 기울기(a slope)만큼 상승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승모터(27)에 부하를 감소시켜 준다. 한편, 빈트레이(1) 사이에서 확대된 공간(GB)은 경사각도(θ)만큼 좁아진다. 따라서 경사각도(θ)는 적재된 용지량(an amount), 상승모터의 구동출력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만 한다. 만일, 활주캠의 상,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각도가 수평기준면(Ho)에 대하여 반대로 형성된다면, 상기 조건들도 반대로 된다. 제17도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러요홈(107)의 단면은 사각형을 이루고, 그 저면부(102)는 활주캠(10)의 상부면과 평행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울러요홈(100)에 장착된 로울러(31)는 원통형이고, 일측평면의 중심에서 로울러축(311)을 갖는다. 활주캠(10)의 하부로울러요홈(100D)에 형성된 깊이(depth)는 상부로울러요홈(100U)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그내부에 로울러(31)의 중요부분을 수용한다. 요홈(104)이 로울러요홈(10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요홈(100)의 일측에서 상부 저면부(102U)와 하부저면부(102D)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요홈(104)축에서 하부로올러요홈(100D)의 개방모서리에는 로울러 멈춤돌기(roller stop protrusion)(103)가 제공되어 요홈(100)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개구부의 일부분을 약간 덮고 있다. 상기 돌기(103)의 상부면은 하부로울러요홈(100D)의 마주하는 측벽으로 부터 로울러 (31)의 2개의 측면사이의 두께와 대략일치하는 거리에 형성된다. 로올러(31)가 로올러요홈 (100D)에 장착되는 경우, 작업자는 요홈(104)의 도움으로 하부요흠(100D)의 하단부를 열 수 있다. 상기 요홈(104) 의 측면에서 하부개구부를 열어 로울러(31)를 로울러 축(311)이 개구부를 통과하도륵 요홈내에 장착하는 것은 매우쉽다. 일단, 로울러(31)가 하부로울러 요홈(100D)에 장착되면, 로울러 축(311)은 로울러 멈춤돌기(103)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로울러(31)는 빈트레이(1)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하부로울러요홈(100D)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게된다. 상기 실시에서는, 로울러(31)가 상, 하부 로울러요홈(100U)(100D)의 저면부(102U)(102D)사이에 위치된다. 다음, 로울러는 상, 하부로울러 요홈 (100U)(100D)의 양측면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5실시예의 구성은 제4실시예에서 얻어진 자체 중심조절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다. 이하, 븐 발명에 따른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6실시예에서는 빈트레이의 적재면이 용지유입구로 부터 하부로 경사가 형성된다. 제19도는 상기 제6실시예의 개략구성으 도시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트랙 (21)의 편향부(21B)가 빈트레이(1)의 용지적재면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된다. 하부적재층 (ID)의 빈트레이가 상승장치(3)의 상승작동에 의해 상부적재층(1U)으로 이동되는 경우, 빈트레이(1)는 편향영역(B)내에서 트러니언 (13)이 캠트랙(21)에 의해 안내된 상태로 자유단부를 향해 편향된다.
이와같은 편향작동으로, 정상위치에서 2개의 적재면 사이의 공간(GV)이 편향영역(B)내의 공간(GB)으로 확대된다. 다음, 한쌍의 용지배출로울러(36)를 통해 이송된 용지(P)는 공간(GB)을 통해 빈트레이의 적재면으로 배출된다. 용지가 자중(own weight)에 의해 빈트레이의 적재면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로울러(36)에 의한 용지(P)의 배출속도는 다른 실시예의 속도보다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6실시예의 다른 구성과 작용효과는 제4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0도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류및 저장장치의 제7실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이 제7실시예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 관련되어 이미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0도에는, 참조부호(39)가 빈트레이(1)의 용지유입모서리에 수직으로 장착된 용지압압부재(sheet press piece)를 나타낸다. 상기 용지압압부재(39)는 가요성을 갖춘 플라스틱 박판(Plastic Film)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빈트레이(1)로 배출된 용지(P)가 접혀졌거나 굽혀진 경우에는 용지압압부재(39)가 굽혀진 부분을 수정하여 용지(P)를 빈트레이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용지가 굽혀진 경우, 용지압압부재(39)의 자유단부는 상부적재층(1U)의 최하부위치에 놓여진 빈트레이의 후면부와 접촉되어 휘어짐으로서 적재된 용지위에 평평한상태로 눕게된다. 따라서 용지압압부재(39)의 자유단부가 굽혀진 용지를 하부로 눌러줌으로서 용지의 휘어진 부분을 수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당량의 용지가 빈트레이 위에 적재된 다음에는, 용지의 전체면이 인접한 상부 빈트레이 (1)의 후면부에 눌리워지게 되어 굽힌부분이 수정된다. 용지압압부재(39)가 용지유입부측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굽혀진 용지라도 빈트레이(1)로 부터 튀어나가 낙하됨이 방지되고 평편한 상태로 저장되어 용지 저장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요지내에서 제작가능하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4)
-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 트레이를 갖추고, 각각의 빈 트레이 적재면 이 외부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배출된 용지를 받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수단; 과, 상기 배출된 용지를 받기 위한 빈트레이에 대하여 상기 반 트레이의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 용지를 받고자 하는 빈트레이와, 이에 인접한 상부 빈 트레이 사이에서 확대되도록 적재된 빈트레이의 일부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각각의 빈 트레이 사이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상대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하면서 전체 빈트레이를 수직으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전체 빈 트레이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편향수단이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위치에서 편향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된 빈 트레이를 제외한 각각의 상기 빈 트레이들은 상기 지지수단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지지부는 평행으로 수펑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을 갖추어 상부 빈 트레이들을 지지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면들은 서로 결합됨으로서 상부 빈트이들이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수평방향과, 상기 수평방향에 대하여 만곡된 곡선부사이에 형성되는 선을 따라 연장한 다수개의 지지면을 갖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면들의 빈트레이들의 지지부와 결합 되어 상부 빈 트레이들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편향수단은 빈트레이들을 수평으로 편향시키도록 수직으로 이동하여 고정되지 않는 편향위치에서 편향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용지유입부 측면에서 상기 빈트레이를 수평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각각의 빈 트레이의 일부분에 연결된 빈 트레이 가이드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용지배출방향에 대하여 역경사(inverted slant)를 형성한 경사진가이드를 갖춘 빈 트레이 가이드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들은 용지유입부로 부터 하부로 기울어진 적재면을 갖추고, 상기 용지배출위치는 배출되는 용지를 받기 위한 빈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각각의 빈트레이의 지지부를 그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장착된 로울러를 통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륵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들은 용지유입부로 부터 상부로 기울어진 적재면을 갖추고, 편향위치의 하부에 위치된 빈 트레이의 단부는 상기 편향위치의 상부에 위치된 다른 빈 트레이의 단부보다 수평항향으로 외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 트레이를 갖추고, 각각의 빈트레이 적재면이 용지배출 수단으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용지를 받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 적재층을 수직방향에서 전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 수단; 상기 수직이동수단에 의한 수직이동과 관련하여 상기 빈 트레이의 일부분을 수평으로 편향시켜 빈 트레이의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 상기 용지 배출수단의 고정된 용지배출 위치와, 그 상부에 위치된 2개의 빈트레이 사이에서 확대되는 편향수단; 및, 각각의 빈 트레이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서로 평행한 지지면을 갖추며, 어느 하나의 빈 트레이의 지지수단이 각각의 지지면을 통하여 인접한 상부 빈 트레이의 지지수단을 지지하여 인접되는 2개의 빈 트레이의지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지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인접한 빈 트레이의 지지수단에 형성된 2개의 평행한 지지면 사이에 위치된 회전부재를 통하여 인접한 상부 빈 트레이의 지지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마주하여 인접한 2개의 지지수단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저면부가 지지면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회전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과 회전부재는 접촉영역에서 서로 일치하는 단면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경우 V-형 단면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요홈의 측면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스터퍼를 갖추어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닫고, 상기 회전부재를 그 내부에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시 편향수단이 요홈형상으로 제공되어 빈 트레이의 편향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 트레이를 갖추고, 각각의 빈 트레이의 적재면이 외부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배출된 용지를 받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 적재층을 수직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 수단; 상기 수직이동수단의 수직이동과 관련하여 상기 빈 트레이의 일부분을 수평으로 편향시켜 빈 트레이의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 용지배출위치와, 그 상부에 위치된 2개의 빈 트레이 사이에서 확대되는 편향 수단; 및, 상기 빈 트레이의 용지 유입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고, 해당 빈 트레이가 용지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선단부가 직립(upright)하여 위치되며, 상기 빈 트레이가 그 밖의 다른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재면을 향하여 누운 상태로 위치되는 용지압압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분류 및 저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압압수단은 용지수납위치를 제외한 위치에서 인접한 상부빈 트레이의 후면부에 눌리워짐으로서 용지압압 수단의 선단부가 휘어져서 빈 트레이의 적재면을 향하여 눕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압압수단은 탄성재료로 된 가요성 박판(flexible film)임을 특징으로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다수개의 빈 트레이를 갖추고, 외부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연속적으로 수납하도륵 한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에 있어서, 적재면을 각각 갖추고,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개의 빈 트레이; 와 수직이동하도록 상기 빈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과 상기 용지를 수납하도록 선택된 빈 트레이의 인계 (take-over)위치를 정하고, 상기 인계위치의 상방에 위치한 빈 트레이들이 제1군(群)을 형성하며, 상기 인계 위치의 하방에 위치한 빈 트레이들이 재2군을 형성하고, 상기 제2군의 상부 빈 트레이가 상기의 선택된 빈 트레이가 되도록 빈 트레이를 수직 정렬하는 수직 정렬수단; 과 상기 제1군의 빈 트레이와 상기 제2군의 빈트레이 사이에서 이송방향으로 수직이동을 하게 한 편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군 및 제2군와 빈 트레이의 적재면이 수평의 이송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지며, 선택된 빈 트레이의 적재면과 제1군의 하부 빈 트레이의 적재면 사이에 형성된 적재면 거리가 제1군 및 제2군 내의 빈 트레이의 적재면 사이의 적재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제1군으로 부터 상기 인계 위치를 통하여 제2군에 이르기까지 및 그 반대(vice versa)로 이동하는 동안, 전체 빈 트레이의 적재면의 경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빈 트레이의 상호간 지지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분류 및 저장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빈 트레이 상에 각각 일체화 되어 위치한 다수개의 지지 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상부 인접 빈 트레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하부 인접 빈 트레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수평의 상하부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분류 및 저장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빈 트레이의 하나와 상기 상부 인접 빈 트레이 사이에서 정렬된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빈 트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상부 인접 빈 트레이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분류 및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70428 | 1991-03-12 | ||
JP91-070428 | 1991-03-12 | ||
JP7042891 | 1991-03-12 | ||
JP91/126475 | 1991-05-01 | ||
JP12647591 | 1991-05-01 | ||
JP91-126475 | 1991-05-01 | ||
JP91-157451 | 1991-06-03 | ||
JP15745191 | 1991-06-03 | ||
JP91/157451 | 1991-06-03 | ||
JP91-276417 | 1991-09-30 | ||
JP27641791A JP3155578B2 (ja) | 1991-09-30 | 1991-09-30 | シート分配収納装置 |
JP91/276417 | 1991-09-30 | ||
JP91/354324 | 1991-12-20 | ||
JP35432491A JP3277465B2 (ja) | 1991-03-12 | 1991-12-20 | シート分配収納装置 |
JP91-354324 | 1991-12-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8535A KR920018535A (ko) | 1992-10-22 |
KR950011517B1 true KR950011517B1 (ko) | 1995-10-05 |
Family
ID=2752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3918A KR950011517B1 (ko) | 1991-03-12 | 1992-03-10 |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431390A (ko) |
KR (1) | KR950011517B1 (ko) |
DE (1) | DE4207765C2 (ko) |
GB (1) | GB22536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84143A (en) * | 1991-03-12 | 1996-01-16 | Ricoh Company Ltd. | Sheet sorting and storing apparatus |
US5845901A (en) * | 1995-11-13 | 1998-12-08 | Gradco (Japan) Ltd. | Parallel moving tray sorter |
JPH09286535A (ja) * | 1996-02-19 | 1997-11-04 | Ricoh Co Ltd | 原稿自動給紙装置の原稿分離機構 |
JPH10291724A (ja) * | 1997-04-18 | 1998-11-04 | Omron Corp | シート仕分け装置及びシート仕分け装置の制御方法 |
DE10049181B4 (de) * | 1999-11-05 | 2014-12-18 |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 Vorrichtung zum Ausschleusen von Probe-und Fehlerbogen aus einer Bogen verarbeitenden Maschine |
JP2004043178A (ja) * | 2002-05-23 | 2004-02-12 | Ricoh Co Ltd |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
JP4722767B2 (ja) | 2006-04-28 | 2011-07-13 | 株式会社リコー |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95748A (en) * | 1975-07-21 | 1976-12-07 | Xerox Corporation | Sorter apparatus |
US4343463A (en) * | 1979-11-27 | 1982-08-10 | Gradco/Dendoki, Inc. | Compact sorter |
US4433837A (en) * | 1981-01-21 | 1984-02-28 | Salvatore Latone | Sheet sorter apparatus |
JPS57137263A (en) * | 1981-02-13 | 1982-08-24 | Canon Inc | Handling device for sheet material |
JPS6144787A (ja) * | 1984-08-09 | 1986-03-04 | Sony Corp | 半導体単結晶薄膜の製造方法 |
GB2168037B (en) * | 1984-12-06 | 1988-06-02 | Gradco Systems Inc | Sheet sorting apparatus |
US4842264A (en) * | 1986-09-09 | 1989-06-27 | Ikegami Tsushinki Co., Ltd. | Sorting machine |
DE3855374T2 (de) * | 1987-07-30 | 1997-01-09 | Canon Kk | Mit einer Heftvorrichtung versehenes Blattsortiergerät |
US5035412A (en) * | 1988-02-03 | 1991-07-30 | Canon Kabushiki Kaisha | Control method for a sorter |
JP2641482B2 (ja) * | 1988-03-18 | 1997-08-13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蓄積性蛍光体シート用スタッカ |
US4872663A (en) * | 1988-03-21 | 1989-10-10 | M.T.S.L. Associates | Sheet sorter apparatus |
US5092509A (en) * | 1988-08-19 | 1992-03-03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stapling apparatus |
US4925171A (en) * | 1988-09-08 | 1990-05-15 | Xerox Corporation | Sorter/stapler with horizontal bin opening |
US4982948A (en) * | 1990-01-02 | 1991-01-08 | Xerox Corporation | Sorter with rocking trays |
JP2695026B2 (ja) * | 1990-01-16 | 1997-12-24 | 池上通信機株式会社 | スティプラ付ソータ |
KR920004353B1 (ko) * | 1990-01-25 | 1992-06-04 | 주식회사 신도리코 | 콤팩트소터(Compact Sorter) |
-
1992
- 1992-03-10 KR KR1019920003918A patent/KR9500115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3-11 GB GB9205397A patent/GB225361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3-11 DE DE4207765A patent/DE4207765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3-31 US US08/220,467 patent/US543139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4207765C2 (de) | 1996-02-15 |
US5431390A (en) | 1995-07-11 |
GB9205397D0 (en) | 1992-04-22 |
GB2253617A (en) | 1992-09-16 |
DE4207765A1 (de) | 1992-09-17 |
KR920018535A (ko) | 1992-10-22 |
GB2253617B (en) | 1994-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050923A (en) | Sorter apparatus | |
KR950011517B1 (ko) | 용지 분류및 저장장치 | |
US8177227B2 (en) | Sheet ejection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st-processing apparatus | |
US4055339A (en) | Sorter apparatus | |
JPS62201769A (ja) | シ−ト類仕分け装置 | |
GB2168037A (en) | Sheet sorting apparatus | |
JPH08198509A (ja) | シート収納装置及び、シート収納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 |
US4378110A (en) | Continuous paper sorting machine | |
JP4508399B2 (ja) |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38867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413058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4778171A (en) | Tray assembly for sorting machine | |
US5484143A (en) | Sheet sorting and storing apparatus | |
JP3155578B2 (ja) | シート分配収納装置 | |
JP3297065B2 (ja) | シート材分配収納装置 | |
CA1131582A (en) | Paper sheet deflecting system for sorter mechanism | |
JP3273449B2 (ja) | 用紙後処理装置 | |
KR0153733B1 (ko) | 용지분류장치 | |
JP3395510B2 (ja) | 画像形成装置のハガキ収容装置 | |
JP3434506B2 (ja) | シート材分配収納装置 | |
JPS6236948B2 (ko) | ||
JP3373537B2 (ja) | ブック原稿のページめくり装置 | |
JP3371117B2 (ja) | 排紙処理装置 | |
JP3373539B2 (ja) | ブック原稿のページめくり装置 | |
JPS61136865A (ja) | シ−ト丁合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