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17B1 -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 Google Patents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4417B1 KR950004417B1 KR1019920008427A KR920008427A KR950004417B1 KR 950004417 B1 KR950004417 B1 KR 950004417B1 KR 1019920008427 A KR1019920008427 A KR 1019920008427A KR 920008427 A KR920008427 A KR 920008427A KR 950004417 B1 KR950004417 B1 KR 950004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ignal
- repeater
- terminal device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2선식 전송방식을 갖는 일반적인 무선 PBX시스템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에 LE(Loop Extender)부를 추가설치한 종래의 무선 PBX시스템의 개략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LE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중계기를 채용한 무선 PBX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를 복수개 설치한 접속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 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중계기의 상세한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인터페이스유니트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제9도는 DNIC에 의한 신호변환과 그에 따른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의 파형도.
제10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접속장치인터페이스유니트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NIC : 디지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콘트롤러 LE : Loop Extender
T1∼T6 : 트랜스포머 DA1∼DA3 : 다이오드어레이
TC : 타이밍제어회로 D1∼D3 : 다이오드
FI : 접속장치인터페이스(FixedSet Interface).
본 발명은 무선 PBX시스템의 본체와 그 단말장치간의 통신신호 및 단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동작전원을 전송하는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중계기구동용 전원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시스템으로부터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무선 PBX 시스테용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PBX시스템의 본체와 단말장치는 2선식 접속에 의해서로 연결되는데, 이때 전송되어질신호 및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은 트랜스포머에 의해 중첩되어 함께 전송되게 된다. 제1도는 이러한 전송방식을 갖는 일반적인 무선 PBX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로서, 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신호가 먼 거리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변환시켜주는 DNIC(Digital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및 그 변환된 통신신호를 단말장치구동용 전원과 중첩시킴과 더불어 연결라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켜주는트랜스포머가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 양쪽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선PBX시스템의 최대 신호전송거리는 약 2km정도이다.
또, 신호전송거리를 좀 더 확장시키기 위해 제2도와 같이 구성할 수 도 있는데, 이 제2도에 도시한 무선 PBX시스템은 DNIC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LE(Loop Extender)부가 시스템 본체와 단말장치내의 상기 DNIC와 트랜스포머 사이에 추가설치된 구성으로서, 상기 LE부가 입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적으로 증폭시킴으로써 좀 더 먼거리에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신호전송방식보다 약 1km정도 더 먼 거리까지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LE부는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DNI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필터와 그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라인종단기저항 등으로 구성된 송신부와, 트랜스포머로부터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잡음·반향제거부 등으로 구성된 수신부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 PBX시스템의 신호전송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에 도시한 일반적인 무선 PBX시스템의 구성에서 시스템 본체쪽에 설치된 접속장치인터페이스유니트내의 CPU(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DNIC에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면, DNIC는 그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시켜 트랜스포머로 출력한다. 한편, 트랜스포머의 다른 쪽 입력단에는 시스템의공급전원이 입력되어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전류가 호르게 되고, 따라서 상기 DNIC로부터 트랜스포머에 입력된 변환신호는 트랜스포머에서 상기 공급전원과 중첩되어 통신선로를 지나게 된다. 이때, 통신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로 자체의 저항이 증가하므로, 상기 중첩되어 전송되는 신호와 전원이 감쇠하게 된다.
그런데, 선로장체의 저항으로 인한 이러한 감쇠는 어쩔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송신단에서 전송할 신호의 레벨을 높이고 또 수신단에서의 신호의 증폭, 잡음의 제거 등로 신호를 가능한 한 멀리까지 전송할 수있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는바, 제2도에 도시된 LE(Loop Extender)를 이용한 신호전송방식이 그것이다. 이 제2도의 신호전송방식에서는 송신단의 필터와 증폭기에 의해 DNI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높인 후 통신선로로 신호를 전송하고, 또 수신단에서 다시 통신선로를 지나면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함과 더불어 잡음·반향 등을 제거하여 DNIC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1도의 방식보다는 좀 더 먼거리(약 3km)까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2도의 방식에 있어서도 통신선로 자체의 저항으로 인한신호의 손실을 피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가능한 신호전송거리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 제2도의 구성에따르면,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 양쪽 모두에 LE부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시스템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지게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만약 단말장치가 시스템 본체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제1도의구성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이때 제2도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PBX시스템의 신호전송방식은 통신선로 장체의 저항으로 인한 신호손실때문에 신호전송거리에 제한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 사이 즉, 시스템본체내의 접속장치 인터페이스유니트와 단말장치 사이에 중계기를 설치하고, 그 중계기에 의해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 상호간의 통신신호 및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이 재전송되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중계기를 이용한 신호전송방식에 따르면 신호전송거리 즉,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거리가 상기 제1도의 경우에 비해 두배 정도로확장되지만, 중계기 자체가 전원을 소모하기 때문에 전원감쇠가 심해지게 되어 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된다. 따라서, 중계기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면 시스템전체의 크기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비싸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가 서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고 신뢰성 높은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해줌과 더불어 별도의 중계기구동용 전원장치가 필요없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는 중첩되어 입력되는 통신신호및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입력받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통신신호와 전원이 중첩된 신호로부터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분리시키는 전원분리회로,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전원을 수신하여 중계기 구동전원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후단의 중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신/공급부, 상기 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재전송해주기 위한 DNIC, 이 DNIC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제어회로,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 및 상기 통신신호와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중첩시켜 전송하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가 서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신뢰성 높은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별도의 중계기구동용 전원장치가 필요없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무선 PBX시스템 본체와 단말장치사이, 즉 시스템 본체내의 접속장치인더페이스유니트와 단말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시스템본체와 단말장치 상호간의 통신신호 및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재전송해주는 중계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자체에 필요한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없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구동전원을 공급받음과 더불어 그선원을 후단의 중계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중계기 자체가 소모하는 전원을 고려하더라도 상당히 먼 거리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를 복수개 설치하면 시스템본체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에 설치된 단말장치까지 통신신호 및 단말장치 구동용 전원을 전송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8도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PBX시스템의 접속장치인터페이스유니트에 대해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인터페이스유니트의 개략적인 회로구성도이고, 제10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접속장치인터페이스유니트의 개략적인 회로구성도이다.
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구성은 1쌍의 트랜스포머로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데 반해, 제8도의 구성에서는 2쌍의 트랜스포머로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8도에 도시한 구성에서는전원 전위(-48V)와 접지전위(GND9가 4라인을 통해 전송되는데, 트랜스포머(T5)에 전원전위(-48V)와접지전위(GND)가 4라인을 통해 전송되는데, 트랜스포머(T5)에 전원전위(-48)가 공급되므로 트랜스포머(T5)에 의해 통신신호와 전원이 중첩되게 되고, 전류는 트랜스포머(T6)에서의 화살표방향으로 흘러 중계기(또는 단말장치)를 거쳐 트랜스포머(T5)로 흐르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다이어그램으로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계기는 중첩되어 입력되는 통신신호 및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입력받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통신신호와 전원이 중첩된 신호로부터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분리시키는 전원분리회로,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전원을 수신하여 중계기구동전원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후단의 중계기에 전원을공급하는 전원수신/공급부, 상기 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재전송해주기 위한 DNIC, 이 DNIC동작을 제어하는타이밍제어회로,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 및 상기 통신신호와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중첩시켜 전송하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중계기의 상세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 제 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따른 중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단자(c,d)로부터 입력되는 중첩된 통신신호 및 전원은 트랜스포머(T2)에 의해 분리된 후, 통신신호는 DNIC(2)에 입력되는 한편 전원은 다이오드어레이(DA1)에 입력된다. 이 다이오드어레이(DA1)는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중첩된 전원의 전원의 극성이 바뀌어도 중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주면서, 그 출력단이 다이오드(D1) 및 트랜스포머(T3)의 입력단(i)에 접속되어 전원을 후단의 중계기(또는 단말장치)로 전송해 주게 된다.
이때, 전류의 흐름은 단자(C,d)로부터 트랜스포머(T2)를 매개하여 다이 오드어레이(DA1) 및 트랜스포머(T1)를 거쳐 단자(a,b)로 흐르며, 반대쪽은 트랜스포머(T4)를 거쳐 후단의 중계기 또는 단말장치로 공급된다.
한편, 단자(e,f)를 통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전송된 전원전위(-48V)와 접지전위(GND)는 다이오드어레이(DA2)를 매개하여 다이오드(D2)에 입력되고, 단자(g,h)를 통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전송된 전원전위및 접지 전위는 다이오드어레이(DA3)를 매개하여 다이오드(D3)로 입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다이오드(D1,D2,D3)는 상기 트랜스포머(T2)를 통해 공급된 전원전위와 시스템으로부터직접 공급된 전원들 중에서, 시스템으로부터 전류가 더 많이 공급되는 쪽의 전원이 DC-DC컨버터(CONV)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각 단자(a,b,c,d,e,f)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보다 단자(g,h)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더 크다면 다이오드(D3)는 온되는 한편 다이오드(D1,D2)는 오프로 되어 상기 다이오드(D3)로부터 DC-DC컨버터(CONV)로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DC-DC컨버터(CONV)는 DNIC 및 타이밍제어회(TC)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이때상기(e,f,g,h)로 입력된 전원은 다시 단자(e',f' : g',h')를 통해 후단의 중계기로 전송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동작시에 전원을 소비하기는 하지만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공급되는 전원중에서 가장 큰 전원만을 소비하며, 더욱이 이때 DNIC와 타이밍제어회로만이 전원을 소비하게 되어 전원소비량이 매우 적고, 따라서 중계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계속 후단의 중계기에 전송할 수가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중계기를 추가로 접속하면 상당히 먼 거리까지전원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계기를 지나치게 많이 접속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중계기용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무선 PBX시스템에서 10개 이상의 중계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본발명에 따른 중계기를 실용화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머(T2)를 거쳐 수신단의 DNIC(2)에 입력된 통신신호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DNIC(2)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후 그 신호의 기준클럭신호와 동기신호가 추출된다. 그후, 상기 추출된 기준클럭신호와 동기신호는 타이밍제어회로(TC)에 의해 다시 송신단의 DNIC(4)에 입력된다. 이때,타이밍제어회로(TC)는 상기 DNIC(2) 및 DNIC(4)간의 신호전송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 다이밍제어회로(TC)를 없애고 직접 DNIC끼리를 접속하여 기준클럭신호와 동기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별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DNIC는 통신선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적으로 증폭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신호를일단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킨 후 그 신호를 다시 통신선로로 출력함으로써 앞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에러없이 확실하게 재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수신단의 DNIC(2)의 단자(ST ; Signal Transmit)로부터의 전송신호는 송신단의 DNIC(4)의 단자(SR ; Signal Receive)로 입력됨과 더불어 상기 수신단의 DNIC(2)에 의해 추출된 기준클럭신호와 동기신호가 송신단의 DNIC(4)에 입력되고, 송신단의 DNIC(4)는 단자(SR)로입력된 신호를 다시 변환시켜 트랜스포머(T4)로 출력함으로써 통신선로를 통해 신호를 재전송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PBX시스템의 본체와 단말장치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더라도 신뢰성있게 전원과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고, 또 별도의 중계기용 전원장치가 필요없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중계기용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전체의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제조비용도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 중첩되어 입력되는 통신신호 및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입력받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통신신호와 전원이 중첩된 신호로부터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분리시키는 전원분리회로와,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입력되는전원을 수신하여 중계기구동전원으로서 공급함과 더불어 후단의 중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신/공급부와, 상기 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재전송해주기 위한 DNIC와, 이 DNIC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회로와,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 및 상기 통신신호와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을 중첩시켜 전송하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시스템 본체와 단말장치가 서로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신뢰성 높은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중계기구동용 전원장치가 필요없이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BV 시스템용 중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신/공급부가 복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공급되는 전원중 가장 큰 전원을 선택하여 그 전원을 중계기구동용 전원으로써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 제1항에 있어서, 통신신호와 단말장치구동용 전원이 중첩된 신호를 2쌍의 트랜스포머로 공급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8427A KR950004417B1 (ko) | 1992-05-19 | 1992-05-19 |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8427A KR950004417B1 (ko) | 1992-05-19 | 1992-05-19 |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4525A KR930024525A (ko) | 1993-12-22 |
KR950004417B1 true KR950004417B1 (ko) | 1995-04-28 |
Family
ID=1933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8427A KR950004417B1 (ko) | 1992-05-19 | 1992-05-19 |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44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422B1 (ko) * | 2000-12-18 | 2007-02-16 | 주식회사 케이티 | 디지털 교환기에서 다중 주파수 신호의 패킷 호 처리방법 |
-
1992
- 1992-05-19 KR KR1019920008427A patent/KR9500044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4525A (ko) | 1993-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81440A (en) | Bus coupler | |
US5631757A (en) | Full-duplex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fferent transmit and receive data symbol lengths | |
CA2245676A1 (en) | Repeater for transmission system for controlling and determining the status of electrical devices from remote locations | |
US7859427B2 (en) | Bidirectional, DC-isolated transmission channel | |
US4443786A (en) | Data transmission system employing wire and wireless transmission paths | |
CN1083646C (zh) | 具有改进的收发间隔的数据存取装置 | |
US4149030A (en) | Multi-drop communications device | |
US4727535A (en) | Telephone network coupler | |
KR950004417B1 (ko) | 무선 pbx시스템용 중계기 | |
JPH0851495A (ja) | 直接電流供給される電話線側増幅器を有する変成器なしのハイブリッド回路 | |
US20050243983A1 (en) | Modems | |
WO1988006386A1 (en) | Telephone network coupler | |
JPH06338778A (ja) | 双方向光カプラ | |
KR100201624B1 (ko) | 제어된 직류 전원을 이용한 정전시 국선, 내선 전화기 접속 장치 | |
JPS61208928A (ja) | 2線式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 | |
JP3963132B2 (ja) | 通信システム | |
KR940005230Y1 (ko) | 양방향 국중계용 유니트 | |
JPS61208929A (ja) | 2線式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 | |
JPH07221679A (ja) | 差動信号伝送システムの断線検出装置 | |
KR20030039081A (ko) | 반이중 통신 시스템 | |
KR900001531B1 (ko) | 시간압축 전송시 데이타 적응증폭회로 | |
WO2001099324A3 (en) | Communication bus system | |
JPH05211480A (ja) | 光ループバック方法 | |
WO1999016219A3 (de) | Datenübertragung für ein digitales steuersignal | |
JPH08265806A (ja) | 回線収容装置及びメタリックリターン通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40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