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88B1 - 배터리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1688B1 KR940001688B1 KR1019910010546A KR910010546A KR940001688B1 KR 940001688 B1 KR940001688 B1 KR 940001688B1 KR 1019910010546 A KR1019910010546 A KR 1019910010546A KR 910010546 A KR910010546 A KR 910010546A KR 940001688 B1 KR940001688 B1 KR 9400016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pack
- wall
- portable electronic
- base body
- pack accommoda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제2도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키보드를 덮어 씌우는 위치에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제3도는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 및 배터리팩을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휴대용 컴퓨터의 상면도.
제5도는 휴대용 컴퓨터의 후면도.
제6도는 배터리팩의 하면도.
제7도는 베이스 보디의 계합부재와 배터리팩의 계합부와의 조합을 나타낸 측면도.
제8도는 베이스 보디의 계합부재와 배터리팩의 조합을 나타낸 후면도.
제9도는 베이스 보디의 계합부재와 배터리팩의 계합부와의 조합을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배터리팩 수용부에 설치한 판부재를 아래쪽으로 본 사시도.
제11도는 유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제12도는 회로기판의 회로에 태양을 전환하는 수단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컴퓨터 2 : 베이스 보디
3 : 디스플레이 하우징 4 : 보톰 케이스
5 : 톱커버 9 : 프론트 패널
10 : 리어 패널 12 : 액정 표시 장치
15 : 훅 20, 21 : 배터리팩 수용부
22 :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 25, 26 : 배터리팩
30 : 접촉자공 31 : 탄성 접촉자
32 : 관통공 34 : 판부재
38 : 설편 39, 40 : 돌출부
41 : 지지부 43 : 전극
51 : 크랭크 52 : 스프링
54 : 회로기판
본 발명은 랩톱형의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용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배터리팩을 장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 특히 배터리팩을 베이스 보디에 부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키보드와 플래트 패널형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랩톱형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랩톱형의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휴대용 전자 기기는 키보드를 설치한 베이스 보디와, 디스플레이를 수납하여 베이스 보디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닫혔을때에 키보드를 덮도록 되어 있다.
이 종류의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기기 전체를 박형화하기 위해 기기의 전원을 배터리팩에 의해 얻게끔 한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전자팩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베이스 보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전원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베이스 보디에 부착하고, 충전을 할때에는 베이스 보디에서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보디에 베터리팩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보디에 후부 또는 측부에, 베터리팩 수용부를 설치하고, 이 배터리팩 수용부에 있어서의 베이스 보디의 뒷벽 또는 측벽을 향하는 부분을 배터리팩 출납구로서 개방하고 있다. 배터리팩은 베이스 보디의 후방 또는 측방에서 개방부를 통해 배터리팩 수용부에 대해 출납하여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하고 있다.
종래, 배터리팩과, 베이스 보디의 내부에 설치한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해, 배터리팩의 아래벽에 전극을 설치하고,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의 바닥면부의 아래쪽에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접촉자를 설치하고 있다. 배터리팩을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납했을 경우, 배터리팩 수용부에 설치한 접촉자가 배터리팩에 설치한 전극에 접촉한다.
또, 배터리팩 수용부와 배터리팩에는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팩을 유지하고, 수동 조작에 의해 유지의 해제를 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정보의 보존, 호출을 하는 매체로서 플로피 디스크(자기 디스크)가 있고, 이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동 장치가 사용된다.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는 플로피 디스크를 회전하여 자기 헤드로 플로피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기록, 호출을 하는 것이다.
최근, 상기와 같이 배터리팩을 장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는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를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쪽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베이스 보디에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를 설치하면,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쪽 부분에는 배터리팩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자와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를 상하로 겹쳐서 설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쪽 부분의 두께가 커져서 베이스 보디를 두껍게 하게 된다.
그래서, 이 대책으로서 배터리팩의 앞벽 또는 측벽에 전극을 설치하고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의 주연면벽의 앞벽부 또는 측벽부의 접촉자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벽의 아래쪽 부분에 접촉자를 설치하지 않고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만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배터리팩 수용부의 접촉자가 배터리팩의 전극에 접촉하면, 접촉자가 배터리팩에 대해 배터리팩 수용부에 설치한 개방부에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배터리팩을 배터리팩 수용에서 떼어내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한 배터리팩은 상기 유지수단으로 유지된다. 배터리팩을 배터리팩 수용부에서 꺼낼때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유지수단에 의한 배터리팩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때, 접촉자의 탄력에 밀린 배터리팩이 배터리팩 수용부의 개방부에서 바깥쪽으로 밀려 나오며, 밀려 나온 배터리팩이 베이스 보디에서 낙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수단에 의한 배터리팩의 유지를 해제했을때, 배터리팩의 배터리팩 수용부에서 밀려나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앞벽부, 뒷벽부 및 한쌍의 측벽부를 갖는 주연벽과, 윗벽을 구비한 베이스 보디(이 베이스 보디는 내부에 상기 주연벽에 형성된 개방부를 갖는 배터리팩 수용부를 가지며, 이 배터리팩 수용부는 앞벽부 및 측벽부를 갖는 주연벽과, 아래벽을 구비함)를 구비하고 있다. 또 앞벽부, 뒷벽부 및 한쌍의 측벽부를 갖는 주연벽과, 윗벽과 아래벽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래벽에 계합부를 갖는 배터리팩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팩에는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는 접촉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자는 상기 배터리팩의 전극에 접촉한다. 또,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벽에는 계합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부재는 상기 배터리팩의 계합부에 대해 계합 및 이탈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팩에는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수단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팩을 유지하며, 또 이 유지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보디의 배터리팩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팩은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다. 또, 배터리팩은 배터리팩의 아래벽에 설치한 계합부와,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벽에 설치한 계합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유지수단에 의한 유지를 해제해도, 배터리팩의 계합부와 배터리팩 수용부의 계합부재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배터리팩이 수용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배터리팩 수용부에 설치한 접촉자가 배터리팩에 설치한 전극에 접촉하여, 배터리팩에 대해 배터리팩 수용부의 개방부에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어도, 배터리팩이 배터리팩 수용부에서 바깥쪽으로 밀려 나오는 일이 없다.
또, 배터리팩 수용부에 설치하는 계합부재는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벽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계합부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벽 아래쪽에 있어서의 베이스 보디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베이스 보디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베이스 보디에 있어서의 배터리팩 수용부의 아래쪽에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랩톱형의 휴대용 컴퓨터(1)가 표시되어 있다.
이 휴대용 컴퓨터(1)는 4각의 상자형을 이루는 베이스 보디(2)와 플래트 패널형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하우징(3)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보디(2)는 보톰 케이스(4)와, 톱커버(5)로 구성된다. 베이스 보디(2)의 내부에는 회로기판(도시생략)이 설치되며, 이 회로기판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보톰 케이스(4)는 도시하지 않는 아래벽과, 아래벽에 연속하는 앞벽(4a)과, 아래벽에 연속하는 뒷벽(4b)과 이들 아래벽과 앞벽(4b)과 뒷벽(4b)을 끼는 좌우 한쌍의 측벽(4c)을 갖는다.
톱커버(5)는 앞벽(5a)과, 뒷벽(4b)과, 앞벽(5a)과 뒷벽(5b)을 끼는 좌우 한쌍의 측벽(5c)과, 이들 앞벽(5a), 뒷벽(5b) 및 측벽(5c)에 연속하는 윗벽(5d)을 갖는다. 톱커버(5)는 앞부분(front portion)(5A)과 뒷부분(back portion)(5B)으로 구분되어 있다. 톱커버(5)의 앞부분(5A)은 윗벽이 개방되어 키보드(6)가 부착되어 있다. 톱커버(5)의 윗벽(5d)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3)을 지지하는 한쌍의 주지부(7, 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톱커버(5)의 윗벽(5d)은 베이스 보디(2)의 윗벽을 구성한다. 보톰 케이스(4)의 아래벽은 베이스 보디(2)의 아래벽을 구성한다. 보톰 케이스(4)의 앞벽(4a)과 뒷벽(4b)과 좌우의 측벽(4c)과, 톱커버(5)의 앞벽(5a)과 뒷벽(5b)과 좌우의 측벽(5c)은 베이스 보디(1)의 주연벽을 구성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은 프론트패널(9)과 리어패널(10)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의 내부에는 평탄한 액정 표시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9)의 개구부(9a)가 형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1)의 표시 화면은 프론트 패널(9)을 개구부(9a)에서 노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은 한쌍의 다리부(12, 13)을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의 다리부(12, 13)는 톱커버(5)의 추지부(7, 8)에 삽입되며, 각기 추지부(7, 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에 의해 디스플레이 하우징(3)은 키보드(6)를 덮는 닫힘 위치와 키보드(6)를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이 키보드(6)를 덮는 닫힘 위치에 있을때에는 리어패널(11)이 톱커버(5)의 윗벽(5d)과 면밀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보디(2)의 앞벽(5a)에는 요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의 앞면부에는 훅(15)이 설치되고, 이 훅부(15)는 탄성을 지니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이 닫힘 위치에 있을때에는 훅(15)이 요부(14)에 계합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3)을 고정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12)와 회로기판은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보디(2)의 톱커버(5)의 후부(5B)에는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0, 21)가 좌우 방향으로 가지런히 설치되어 있다. 또, 제2도,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 보디(2)의 보톰 케이스(4)의 후부의 내부에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쪽에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22)는 플로피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장치와, 플로피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기록, 호출을 하는 자기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22)는 플로피 디스크를 출납하는 플로피 디스크 출납부(23)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피 디스크 출납부(23)는 베이스 보디(2)의 측벽에 위치하고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0, 21)는 좌우 방향으로 길쭉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고, 톱커버(5)의 뒷벽(5b)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0, 21)는 톱커버(5)의 윗벽(5d)에서 개방되어 있다. 톱커버(5)에는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0, 21) 사이에 전후방향에 따라서 간막이벽(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0, 21)는 간막이벽(2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0, 21)에는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25, 26)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25, 26)은 각 배터리팩 수용부(20, 21)의 형상에 합치한 직방 체형을 이루고 있다. 제1 및 제2의 배터리팩(25, 26)은 충전식의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고, 휴대용 컴퓨터(1)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와, 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부착되는 제1의 배터리팩(2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는 앞벽(20a), 앞벽(20a)에 연속하는 아래벽(20b) 톱커버(5)의 측벽(5c), 간막이벽(24)의 4면으로 둘러싸인 직방체 형상의 공간부를 이루고 있다. 앞벽(20a)과 톱커버(5)의 측벽(5c)과 간막이벽(24)으로 주연벽을 구성하고 있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후부는 톱커버(5)의 뒷벽(5b)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 개방부(27)는 배터리팩 출납구로서 사용된다.
이 개방부(27)는 톱커버(5)의 뒷벽(5b)에서 톱커버(5)의 (5d)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 개방부(28)는 보조용으로 배터리팩 출납을 위해 사용된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각 측벽을 구성하는 톱커버(5)의 측벽(5c) 및 간막이 벽(24)의 내면 후부에는 각기 누름 단부(29)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누름 단부(29)는 각 측벽(5c, 19)의 내면에서 패이는 동시에 하반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것이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의 내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접촉자공(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접촉자공(30)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제3도, 제7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커버(5)의 내부에는 한쌍의 접촉자(31)가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접촉자(31)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15a)의 외부에 있어서 각 접촉자공(30)에 대향하여 각기 배치되어 있다. 각 탄성 접촉자(31)는 도전성 금속의 판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지니고 있다.
각 탄성 접촉자(31)는 베이스 보디(2)의 내부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있다. 각 탄성 접촉자(31)의 일단은 회로기판에 부착되며, 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탄성 접촉자(31)의 타단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의 각 접촉자공(30)에 들어가서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 내부에 돌출하고 있다. 이처럼 설치된 각 접촉자(31)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에는 한쌍의 관통공(32)이 한쌍의 접촉자공(30) 보다도 큰 좌우방향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관통공(32)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한다.
또, 제3도, 제7도 내지 제1도에 표시한 것처럼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는 구멍(33)이 형성되며, 이 구멍(33)에는 판부재(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판부재(34)는 예를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구멍(33)과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판부재(34)의 하면에는 부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35)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의 하면에 형성된 보스(36)에 당접된다. 그리고, 나사(37)를 부착부(35)와 보스(36)에 통하게 함으로써, 판부재(34)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고정되어 있다.
판부재(34)에는 계합부재로서 한쌍의 설편(3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설편(38)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의 각 접촉자공(30)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설편(38)은 판부재(34)에 파고드는 선(38a)을 형성하여 전후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각 설편(35)은 후단이 판부재(34)에 연속되며, 다른 주위 부분이 판부재(34)에 절리되고, 전체로서 상하 방향에 따르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다. 각 설편(38)의 상면에는 돌출부(39)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9)의 후부는 전방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면(39a)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39)의 앞부분은 수직면(39b)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39a)과 수직면(39b)에 낀 중앙부는 수평면(39c)으로 되어 있다.
판부재(34)는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과 면일하게 설치되며, 설편(38)은 판부재(34)에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편(38)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설편(38)을 설치하기 위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의 아래쪽의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베이스 보디(2)를 두껍게 하는일 없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쪽의 스페이스에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22)를 설치할 수 있다.
제3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의 중앙에는 돌출부(40)가 윗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0)의 후부는 전방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면(40a)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40)의 앞부분은 수직면(40b)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40a)과 수직면(40b)에 낀 중앙부는 수평면(40c)으로 되어 있다.
제1도의 배터리팩(35)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배터리팩(25)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와 같은 크기의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앞벽(25a), 뒷벽(25d), 좌우의 측벽(25c), 윗벽(25d) 및 아래벽(25e)을 가지고 있다. 앞벽(25a), 뒷벽(25b), 좌우의 측벽(25c)으로 주연벽이 구성된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좌우측벽(25c)의 후부에는 각기 지지단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단부(41)는 제1의 배터리팩(25)의 각 측벽(25c)의 표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반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지지부(41)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누름단부(29)와 상하방향으로 조합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했을때, 각 지지부(41)가 누름단부(29)에 조합되어 누름단부(29)에 윗쪽에서 눌린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앞벽(25a)에는 4각형을 이루는 한쌍의 전극용 요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용 요부(42)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각 접촉자공(30)의 접촉자(31)에 대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기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용 요부(42)의 내부에는 각기 전극(43)이 부착되어 있다. 각 전극(43)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앞벽(25a)에는 돌출제로서 한쌍의 돌편(4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돌편(44)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5)의 한쌍의 관통공(32)에 대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돌편(44)은 제1의 배터리팩(25)의 앞벽(25a)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이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아래벽(25e)에는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4각형을 이루는 한쌍의 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부(45)는 판부재(34)의 각 설편(38)의 돌출부(39)에 대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요부(45)의 내부에는 각기 전극(4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극(46)은 제1의 배터리팩(25)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요부(45)에 전극(46)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10)의 아래벽(20b)에 접촉자(31)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접촉자를 설치하는 일이 있고, 이 접촉자와 접촉시키기 위해서이다.
또 제3도, 제6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배터리팩(25)의 중앙부에는 크랭크(51)와, 이 크랭크(51)를 부세하는 스프링(52)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51)는 ㄴ자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중앙부에는 회동중심으로 되는 축부(51a)을 가지고 있다.
이 축부(51a)는 제1의 배터리팩에 회동 자재로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51)는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랭크(51)의 일단부(51b)는 제1의 배터리팩(25)의 뒷벽(25b)에서 윗벽(25d)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크랭크(51)의 타단부(51c)에는 클릭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릭부(51d)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돌출부(40)에 접촉해서 계합한다. 스프링(52)은 비틀림 코일이 사용되고 있다. 스프링(52)은 제1의 배터리팩(25)의 내부에 설치되어 축(52a)에 지지되어 있다. 이 스프링(52)은 일단이 제1의 배터리팩(25)의 윗벽(25d)의 내면에 당접하며, 타단이 크랭크(51)의 타단부(51c)의 상면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52)은 크랭크(51)의 타단부(51c)에 대해 하향의 부세력을 가하고 있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아래벽(25e)에는 크랭크(51)의 타단부(51c)를 노출시키는 개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부(53)의 가장 자리부(53a)에는 스프링(52)에 눌린 크랭크(51)의 타단부(51c)가 압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크랭크(51)는 아래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크랭크(51)와 스프링(52)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돌출부(40)를 조합하여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에 수용한 제1의 배터리팩(25)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제1의 배터리팩(25)을 베이스 보디(20)의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손으로 제1의 배터리팩(25)을 든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베이스 보디(2)의 후방에서 제3도의 화살표 방향, 즉 베이스 보디(2)의 앞부분을 향해 이동하고,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개방부(27)를 통해 그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에 삽입해서 수용한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의 배터리팩(25)의 아래벽(25b)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에 실려서 접접한다. 동시에 제1의 배터리팩(25)의 측벽(25c)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간막이 벽(19) 및 톱커버(5)의 측벽(5c)에 접접한다. 그리고, 제1의 배터리팩(25)의 앞벽(25a)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에 당접하면 제1의 배터리팩(25)의 이동이 정지되어 제1의 배터리팩(25)의 수용이 종료된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25)의 아래벽(25e)에 형성한 각 요부(45)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판부재(34)에 형성한 각 설편(38)의 돌출부(39)와 계합한다. 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삽입하면 제1의 배터리팩(25)의 각 요부(45)의 앞 가장자리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각 설편(38)의 돌출부(39)의 경사면(39a)상을 이동하여 평판한 수평면(39c)에 도달한다. 각 설편(39)이 제1의 배터리팩(25)의 아래벽(25e)에 눌려서 아래쪽을 향해 탄성변위한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25)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 요부(45)의 앞 가장자리가 각 돌출부(39)의 평면(39c)을 넘으면 각 설편(38)이 윗쪽을 향해 탄성 변형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각 설편(38)의 돌출부(39)가 각 요부(45)에 들어간다. 각 요부(45)의 내부면의 앞부분이 각 돌출부(39)의 수직면(39b)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된 제1의 배터리팩(25)이 베이스 보디(2)의 후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서 퇴출하는 것을 저지한다.
각 설편(38)의 돌출부(39)의 높이는 다음 조건에 의해 결정한다.
제1은 돌출부(39)와 요부(45)가 가볍게 계합하고, 제1의 배터리팩(25)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서 퇴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점이다.
제2는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바깥쪽을 향해 잡아 당기면 돌출부(39)와 요부(45)와의 계합이 벗겨져서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를 퇴출시키는 점이다.
또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삽입함으로써 유지수단의 크랭크(51)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돌출부(40)에 계합한다. 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삽입하면 제1의 배터리팩(25)에 설치한 크랭크(51)의 타단부(51c)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돌출부(40)의 경사면 상을 이동하여 평탄한 수평면(40c)에 도달한다. 크랭크(51)의 타단부(51c)는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항거하여 축부(51a)를 중심으로 하여 윗쪽을 향해 회동한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25)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크랭크(51)의 타단부(51c)가 돌출부(40)의 평면(40c)을 넘으면, 타단부(51c)가 스프링에 눌려서 아래쪽을 향해 회동하며, 타단부(51c)의 클릭부(51d)가 돌출부(40)의 수직면(40b)에 계합한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된 제1의 배터리팩(25)은 베이스 보디(2)의 후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하면 제1의 배터리팩(25)에 형성된 각 지지단부(41)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형성된 각 누름단부(29)의 아래쪽에 조합된다. 즉, 누름단부(29)가 지지단부(41)를 윗쪽에서 누른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25)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연장 개방부(28)에서 윗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저지된다.
또, 제1의 배터리팩(25)에 설치된 각 돌편(44)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설치한 각 관통공(32)에 삽통하여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25)은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의 배터리팩(25)의 앞벽(25a)의 각 요부(42)에 설치한 각 전극(43)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의 각 접촉자공(30)에 위치하는 각 접촉자(31)와 접촉한다. 각 접촉자(31)는 각 전극(43)에 탄성력을 가지고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25)과 베이스 보디(2)의 내부에 설치한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각 접촉자(31)는 제1의 배터리팩(25)에 대해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후부를 향해 밀어내도록 힘을 가한다. 각 접촉자(31)를 각 접촉자공(30)을 통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에 돌출하는 구성이므로 각 접촉자(31)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내부의 스페이스를 넓게 이용할 수 있다. 접촉자(31)는 제1의 배터리팩(25)의 요부(42)에 들어감으로써 전극(43)에 대한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전극(43)에 안정되게 접촉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1의 배터리팩(25)의 윗벽(25d) 및 뒷벽(25b)의 각 외면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각 개방부(27), (28)을 닫는다. 그리고, 제1의 배터리팩(25)의 윗벽(25d) 및 뒷벽(25b)의 각 외면은 톱커버(5)의 후부(5B)의 윗벽(5d) 및 뒷벽(5b)의 각 외면과 면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하면, 톱커버(5)와 후부(5B)의 외면이 평탄해지고, 컴퓨터 전체를 평탄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의 배터리팩(25)에 설치한 돌편(44)은 베이스 보디(2)에 설치한 전기 회로의 사양을, 제1의 베터리팩(25)의 사양에 따라 전환하는 역할도 가지고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커버(5)의 후부(5B)의 내부에는 회로기판(54)에는 접촉자(55)가 부착되어 있다. 접촉자(55)는 탄성을 지니고 있다. 접촉자(55)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에 형성한 한쌍의 관통공(32)의 양쪽 또는 한쪽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접촉자(58)는 일단이 회로기판(54)에 설치된 회로의 부품에 접속 고정되고, 타단이 회로기판(54)의 회로에 설치한 접점(56)에 대해 접리하도록 되어 있다. 접촉자(58)는 평상시는 접점(56)에서 떨어져 있다. 회로기판(54)의 회로는 예를들어 접촉자(55)가 접점(56)에서 떨어져 있을때에는 1700mA의 전류에 대응하여, 접촉자(55)가 접점(56)에 접촉하고 있을때에는 2000mA의 전류에 대응하도록 전환된다. 제1의 배터리팩(25)은 그 용량에 따라서 전류치가 다르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돌편(44)은 제1의 배터리팩(25)의 전류치의 크기에 따라서 길이가 다르다. 예를들면 전류치가 클수록 돌편(44)이 길어진다. 제1의 배터리팩(25)의 전류치를 2000mA로 한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하여, 돌편(44)을 관통공(32)을 통해서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외부에 돌출한다. 이때, 돌편(44)이 접촉자(55)를 누르고, 접촉자(55)를 회로기판(54)의 접점(56)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54)의 회로는 제1의 배터리팩(25)의 사양에 따른 태양으로 전환된다.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서 떼어내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의 배터리팩(25)의 크랭크(51)을 Y 방향으로 회동시켜, 크랭크(51)의 타단부(51c)의 클릭부(51d)를,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돌출부(40)에서 벗긴다. 이것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된 제1의 배터리팩(25)의 유지를 해제한다.
그러나 제1의 배터리팩(25)의 요부(45)가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설편(38)의 돌출부(39)에 계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개방부(27)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설치한 각 접촉자(31)가 제1의 배터리팩(25)에 대해 밀어내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25)은 제1의 베터리팩 수용부(20)의 개량부(27)를 향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지수단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25)을 해제한 다음에 제1의 배터리팩(25)이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개방부(27)에서 바깥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는 유지수단에 의한 제1의 배터리팩(25)의 유지를 해제하면,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유지해둘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각 접촉자(31)의 힘에 의해 제1의 배터리팩(25)이 이동하여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개방부(27)에서 낙하하여 파손되는 사고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유지수단에 의한 제1의 배터리팩(25)의 이동을 저지하므로, 제1의 배터리팩(25)을 안심해서 취급할 수 있어서 신뢰성과 안정성이 더 높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접촉자(31)를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a)에 설치하여 제1의 배터리팩(25)에 대해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제1의 배터리팩(25)의 낙하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촉자(31)를,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벽(20b)의 아래쪽의 스페이스에 설치하지 않고 앞벽(20a)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쪽의 스페이스에 플로피 디스크 구동장치(22)만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아래쪽의 스페이스에 플로피 디스크 구동 장치(22)와 접촉자(31)의 양쪽을 설치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베이스 보디(2)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의 배터리팩(25)을 그 후부를 약간 윗쪽으로 향해 경사지게 해서 후방으로 강하게 당기면, 각 요부(45)와 각 설편(38)의 돌출부(39)와의 계합이 벗겨진다. 이 때문에 제1의 배터리팩(25)을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서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 접촉자(31)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벽(20)에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 간막이 판(24)이나 톱커버(5)의 측벽(5c)에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전극(43)과 접촉자(31)를 설치하는 위치는 제1의 배터리팩(25) 및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앞부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43)과 접촉자(31)를 설치하는 위치는 제1의 배터리팩(25) 및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측부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제1의 배터리팩(25)을 출납하는 개방부(27)를,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후부에서 상부로 연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 연장 개방부(28)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설치하는 제1의 배터리팩 출납용의 개방부는 베이스 보디(2)의 주연벽의 뒷벽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제1의 팩출납용의 개방부는 베이스 보디(2)의 주연벽의 측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의 배터리팩(26) 및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배터리팩(26)은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에 수용한다.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는 상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된 직방체의 공간부를 이루고 있다.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앞벽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구멍(57)이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앞벽의 전방의 스페이스에는 한쌍의 접촉자(58)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자(58)는 앞벽의 구멍(57)을 통해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뒷벽에는 나사구멍(5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의 배터리팩(26)은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와 같은 크기의 직방체를 이루고 있다. 제2의 배터리팩(26)의 앞벽에는 한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극은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앞벽의 외부에 설치한 각 접촉자(58)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의 배터리팩(26)의 뒷벽에는 돌편(6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편(60)에는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편(60)은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나사공(59)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배터리팩(26)은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에 수용한다. 제2의 배터리팩(26)의 각 전극은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각 접촉자(58)에 접촉한다. 또, 나사(61)를 제2의 배터리팩(26)의 나사멈치편(60)의 구멍(60a)에서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의 나사구멍(59)에 끼워서 체착한다. 이것에 의해 제2의 배터리팩(26)을 제2의 배터리팩 수용부(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보디(2)에 제1의 배터리팩(20)과 제2의 배터리팩(21)을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 제1의 배터리팩(20)을 설치해 두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기는 휴대용 컴퓨터에 특정되지 않으며, 워드프로세서나 액정 텔레비젼과 같은 그밖의 기기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됨이 없이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6)
- 내부에 베이스 보디(2)의 주연벽에 형성된 개방부(27)를 잦는 배터리팩 수용부(20)를 구비한 베이스 보디(2)와; 하부벽에 계합부(45)를 갖고 있는 상기 개방부(27)를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팩(25)과; 상기 배터리팩(25)에 설치된 전극(43)과,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25)의 전극(43)에 접촉하는 접촉자(31)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하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25)의 계합부(45)에 대해 계합 및 이탈하는 계합부재(38)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와 상기 배터리팩(25)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팩(25)을 유지하며 이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개방부(27)는 상기 베이스 보디(2)의 주연벽의 후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개방부(27)는 상기 베이스 보디(2)의 상벽부에 형성된 연장부(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25)의 주연벽의 후벽부 및 상부벽은 상기 배터리팩(25)를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보디(2)의 주연벽의 후벽부 및 상부벽과 면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25)의 계합부(45)는 요부이며,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하부벽에 설치된 상기 계합부재(38)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가 가능한 동시에, 이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요부(45)에 계합 및 이탈하는 돌출부(3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재(38)의 돌출부(39)는 상기 배터리팩(25)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면(39a)과, 상기 배터리팩(25)의 요부(45)와 계합해서 상기 배터리팩(25)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서 퇴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면(39b)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하부벽에 구멍(33)이 형성되며, 이 구멍(33)에 판부재(34)가 수용되고, 이 판부재(34)에 편상을 이루는 결합부재(3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43)은 상기 배터리팩(25)의 주연벽의 앞벽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자(31)는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주연벽의 앞벽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주연벽의 앞벽부에, 상기 접촉자(31)가 노출하는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25)의 주연벽의 앞벽부에 요부(42)가 형성되고, 이 요부(42)내에 상기 전극(43)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에 설치된 돌출부(49)와, 상기 배터리팩(25)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40)에 대해 계합 및 이탈하는 유지부재(51)와, 이 유지부재(51)에 계합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는 스프링(5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의 돌출부(40)는 상기 배터리팩(25)의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진입을 허용하는 경사면(40a)과, 상기 유지부재(51)가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팩(25)이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로 퇴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면(40b)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25) 수용부(20)의 주연벽에 누름부(29)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팩(25)의 주연벽에 상기 누름부에 윗쪽에서 누를 수 있는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3항에 있어서, 누름부(29)는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주연벽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배터리팩(25)의 주연벽의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25)의 주연벽의 앞벽부에 돌출체(44)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주연벽의 앞벽부에, 상기 돌출체(44)가 삽통하여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외부에 돌출하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보디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팩 수용부(20)의 외부에 회로기판(54)과, 상기 돌출체(44)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회로기판(37)에 형성된 태양을 전환하는 회로전환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2-166221 | 1990-06-25 | ||
JP90-166221 | 1990-06-25 | ||
JP2166221A JPH0462896A (ja) | 1990-06-25 | 1990-06-25 | 小型電子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1299A KR920001299A (ko) | 1992-01-30 |
KR940001688B1 true KR940001688B1 (ko) | 1994-03-05 |
Family
ID=1582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10546A KR940001688B1 (ko) | 1990-06-25 | 1991-06-25 | 배터리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H0462896A (ko) |
KR (1) | KR940001688B1 (ko) |
DE (1) | DE412096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27496Y1 (it) * | 1992-03-12 | 1997-12-15 | Olivetti & Co Spa | "calcolatore portatile autoalimentato" |
US6190795B1 (en) | 1998-02-09 | 2001-02-20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nap-in battery mounting base |
JP4845252B2 (ja) * | 2000-08-23 | 2011-12-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情報機器 |
JP4989107B2 (ja) * | 2006-05-19 | 2012-08-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池結合装置 |
DE102007033876B4 (de) | 2007-07-20 | 2012-04-19 |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 Hörvorrichtung mit linearem Schalter |
JP4783457B2 (ja) | 2009-12-25 | 2011-09-28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KR102028172B1 (ko) * | 2013-06-25 | 2019-10-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WO2019204561A1 (en) * | 2018-04-18 | 2019-10-24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Tool circuitry for series-type connected battery packs |
CN118922991A (zh) * | 2022-04-04 | 2024-11-08 |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 蓄电单元 |
-
1990
- 1990-06-25 JP JP2166221A patent/JPH0462896A/ja active Pending
-
1991
- 1991-06-25 KR KR1019910010546A patent/KR9400016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1991-06-25 DE DE4120968A patent/DE4120968A1/de active Gra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462896A (ja) | 1992-02-27 |
DE4120968C2 (ko) | 1993-02-25 |
DE4120968A1 (de) | 1992-01-09 |
KR920001299A (ko) | 1992-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51105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battery pack with a mechanism for latching and an independent mechanism for temporarily preventing detachment | |
JP3297251B2 (ja) | 携帯形電子機器 | |
JP3405633B2 (ja) | 携帯用装置及びバッテリロック機構 | |
US5768098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eceptacle for detachably storing card-type electronic component | |
US5111361A (en) | Device having a slider portion and a stand portion for titling a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 |
KR940001688B1 (ko) | 배터리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 |
US5608612A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fail-safe system for memory backup | |
US6115243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JPH04144056A (ja) | 電子機器 | |
JP3003509U (ja) | 電池収納機構 | |
US6203363B1 (en) | Electronic equipment with removable battery terminal | |
US4635225A (en) | Magnetic bubble cassette | |
JPH08255604A (ja) | 蓋体のロック機構 | |
KR100804803B1 (ko) | 바테리 팩 및 그것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 |
JPH07230343A (ja) | 携帯形電子機器 | |
JP3395231B2 (ja) | 電子機器における電池収納装置 | |
JP2005018995A (ja) |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用パック電池 | |
JP2000260405A (ja) | 電池収納構造 | |
JPH06110579A (ja) | 小型電子機器 | |
JP3348286B2 (ja) | 電子機器 | |
JP3346801B2 (ja) | 電子機器 | |
JPH0528984A (ja) | バツテリー | |
JPS6123599B2 (ko) | ||
JP3579235B2 (ja) | 小型電子機器システム | |
JP2000021149A (ja) | 記録媒体装置の取り出し構造、及びその構造に用いられる機器本体又はアダプ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