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40008287B1 -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287B1
KR940008287B1 KR1019870700686A KR870700686A KR940008287B1 KR 940008287 B1 KR940008287 B1 KR 940008287B1 KR 1019870700686 A KR1019870700686 A KR 1019870700686A KR 870700686 A KR870700686 A KR 870700686A KR 940008287 B1 KR940008287 B1 KR 94000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process according
acid
quino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793A (ko
Inventor
이스트반 헤르메츠
게자 케레스쭈리
렐레 바스바리
아그네스 호르바드
마리아 발로그
카보르 코박스
타마스 스주츠
페테르 리틀리
주디트 시포스
아니코 파조르
Original Assignee
치노인 교기스져 에스 베게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야라알티
기율라 스주크, 타마스 스주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HU854695A external-priority patent/HU196783B/hu
Priority claimed from HU469485A external-priority patent/HU195801B/hu
Application filed by 치노인 교기스져 에스 베게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야라알티, 기율라 스주크, 타마스 스주츠 filed Critical 치노인 교기스져 에스 베게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야라알티
Publication of KR88070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2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22Boron compounds without C-boro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4Esters of bor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1-에틸-6-플루오로-7-(4-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노)-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 유도에 및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그 염에 대한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 구조식(Ⅰ)의 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는 요로의 질병치료 및 전신세균기시에 대한 높은 항균효능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J. Pharm. Sci. 1984, 73, 1379 ; Eur. J. Chemother. Antibiot. 1983, 3, pages 9 and 47 ; J. Antimicrob. Chemother. 1984, 13, Suppl., 99, pages 107 and 113).
Figure kpo00001
구조식(I)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
구조식(I) (식중 R은 수소이다)의 퀴놀린 카복실산은,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을 피페라진(벨기에 특허 명세서 863,429호 및 제870,576호 ; 일본 특허 명세서 제80 33, 543 및 J. Med. Chem. 23, 1358/1980/)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다음 구조식(III)의 에틸-1-에틸-6-플루오로-7-피페라지노-4-옥소-1, 40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를
Figure kpo00002
가수분해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벨기에 특허 명세서 제879,106호 및 890,223호).
상기 공정의 공통적인 결점은 7번 위치의 염소원자를 피페라진으로 치환하는 반응을 격렬한 반응조건, 115-175℃에서 5-19시간동안 임의로 가압하에 반응시키는 것이다.
더군다나 반응은 부(部) 선택적이지 못하다. 즉 상기 반응조건에서 6번 위치의 불소원자도 일부 피레라진과 반응한다(J. Med. Chem. 23, 1358/1980/).
구조식(I) (식중 R은 메틸)의 퀴놀린 카복실산은 다음 구조식(II)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을
Figure kpo00003
1-메틸-피페라진과 반응시키거나(벨기에 특허 제870,576 및 870,917 ;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80 33,453 및 J. Med. Chem. 23, 1358/1980/) 또는 다음 구조식(IV)의 1-에틸-6-플루오로-7-피페라지노-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을 메틸화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벨기에 특허 제870,917 및 FR-OS 제2,424,919호).
Figure kpo00004
상기 반응공정의 공통된 결점은 반응을 격렬한 반응조건, 110-150℃의 온도에서 7-16시간동안 행해야하는 것이다. 수율은 55%-66% 정도이다. 더군다나 반응혼합물은 복잡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식(I) (식중 R는 수소 또는 메틸)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그 염에 대한 신규 제조공정을 제공하며 그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다음 구조식(V)의 화합물을
Figure kpo00005
(식중 R1및 R2는 2-6의 탄소원자로 되고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아실옥시기이거나 ; 또는 7-11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방향족 아실옥시기이다)
다음 구조식(VI)의 아민 또는 그 염과
Figure kpo00006
(식중 R는 전술한 바와 같다)
반응시키고, 이어서 생성된 다음 구조식(VII)의 화합물을
Figure kpo00007
(식중, R, R1및 R2는 전술한 바와 같다)
분리하여, 또는 분리함없이 가수분해하고, 이어서 원한다면 생성된 구조식(I)의 화합물을 그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그 염으로부터 구조식(I)의 화합물을 분리한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의 잇점은 구조식(I)의 화합물을 단순한 방법으로 고수율로 짧은 반응시간에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조식(V)에서, R1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다.
구조식(V) 및 (VII)의 보레이트 유도체류는 신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구조식(VII)의 보레이트 유도체를 분리하지 않고 바로 구조식(I)의 원하는 퀴놀린-3-카복실산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구조식(V)의 보레이트 유도체류는 원한다면 불활성 유기용매 및 산결합제의 존재하에 구조식(VI)의 아민과 반응시킬 수 있다.
불활성 유기용매로는 산 아미드(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케톤(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테르(예를 들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에스테르(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설폭사이드(예를 들면, 디메틸 설폭사이드),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데카놀, 부탄올)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산결합제로는 유기 또는 무기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유기염기로는 트리알킬아민류(예를 들면, 트리에틸 아민, 트리부틸 아민), 사이클릭아민류(예를 들면, 피리딘, 1, 5-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크-5-엔, 1, 5-디아자바이사이클로[4.3.0]는-5-엔, 1, 4-디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등이 사용될 수 있고, 무기염기로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사이드류 또는 알카리 카보네이트류 또는 알카리토금속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산 결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포타슘카보네이트,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과량의 구조식(VI)의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조식(V)의 보론 유도체 및 구조식(VI)의 아민은 사용된 용매에 따라 0-2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으로 또한 반응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반응은 고온에서 행하던 반응시간은 줄일수 있다. 상기 반응조건은 바람직한 예시이며 다른 조건을 취할수도 있다.
구조식(VII)의 보레이트류는 분리된 후 또는 분리되지 않은채로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하에 구조식(I)의 원하는 퀴놀린-3-카복실산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구조식(VII)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냉각등으로 반응혼합물로부터 침전되며 예를 들면 원한다면 여과 또는 원심분리등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염기성 가수분해는 알카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카리금속 카보네이트, 알카리토금속 하이드록사이드등을 수용액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소디움 카보네이트, 포타슘 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유기아민류(예를 들면 트리에틸 아민)등이 가수분해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산 가수분해는 수성광산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식(VII)의 보레이트의 가수분해는, 염산, 하이드로겐브로마이드, 황산, 인산등의 수용액과 함께 가열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는 유기산(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구조식(VII)의 화합물의 가수분해는 수성 매질내에서 물과 혼합될 수 있는 유기용매의 존재하에 행할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예를 들면 알콜류(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케톤(예를 들면, 아세톤), 에테르(예를 들면, 디옥사), 산아미드(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설폭사이드(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피리딘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생성된 구조식(I)의 퀴놀린-3-카복실산은 pH를 적당한 값으로 조절하여 침전결정을 여과시켜 분리하거나, 수성 반응혼합물을 라이오필라이즈 시켜서 원심분리하여 분리할 수 있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그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산 부가염류를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이드로겐 할라이드류, 설폰산류, 황산 또는 유기산류로 형성된 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취화물, 아릴설포네이트류, 메탄설포네이트류, 말레에이트류, 푸마레이트류, 벤조에이트류등이 얻어진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 또는 다른 금속의 이온들과도 염을 형성한다.
따라서 소디움, 포타슘, 마그네슘, 철 구리의 염등을 얻을 수 있다.
구조식(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그 염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화물로 전화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헤미하이드레이트류, 트리하이드레이트류등).
본 발명에는 구조식(VII) (식중 R, R1및 R2는 전술한 바와 같다)의 신규화합물이 제공되어 있다.
구조식(V)의 출발물질은, 구조식(II) (벨기에 특허 제863,429)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산을 보론유도체(예를 들면 다음 구조식(VIII)의 화합물.
Figure kpo00008
식중, R2, R4및 R5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거나 또는 6-10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아릴기이다)와 임의로 유기매질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니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9.5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보론-디(프로피오닐옥시)-무수물 및 11.9g의 피페라진을 110℃에서 한시간동안 72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내에서 반에틸으시킨다. 반응혼합물을 90℃로 냉각시키고 116ml의 6중량/부피% 수성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가한다.
수성반응혼합물을 한시간동안 가볍게 비등시키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96중량%/부피% 아세트산으로 용액의 pH가 7이 되도록 조절한다. 반응혼합물을 냉장고속에서 하룻밤동안 결정화시킨다. 다음날 아침 침전된 결정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에 진공하 90-95℃에서 무게가 일정해질때까지 건조시킨다.
이렇게 하여 14.0g의 1-에틸-6-플루오로-4-옥소-1', 4-디하이드로-7-피페라지노-퀴놀린-3-카복실산이 얻어진다.
수율은 95.9%이다. 생성물은 221-222℃에서 분해된다(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의 혼합물로부터)
C16H18FN3O3에 대한 원소분석
이론치 C ; 60.18%, H ; 5.68%, N ; 13.16%.
실측치 C ; 60.07%, H ; 5.74%, N ; 13.18%.
출발물질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9.3g의 붕산 및 70g의 프로피온 무수물의 혼합물을 100℃에서 15분간 교반한 다음 반응혼합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한다.
30분후에 온도를 110℃로 낮춘다음 29.8g의 에틸-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를 가한다. 수분내에 진한 현탁액으로 변하는 반응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물 300ml로 희석시킨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침전결정을 여과시킨다. 이렇게 하여 41.5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보론-디(프로피오닐옥시)-무수물을 얻는다. 수율은 97.7%이다. 생성물은 252℃에서 분해한다.
C18H18BFClNO7에 대한 원소분석
이론치 C ; 50.79%, H ; 4.26%, N ; 4.29%.
실측치 C ; 50.94%, H ; 4.15%, N ; 3.41%.
[실시예 2]
19.5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보론-디(프로피오닐옥시)-무수물 및 13.3g의 4-메틸-피페라진을 72ml의 디메틸 설폭사이드내에서 110℃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혼합물을 90℃로 냉각시키고 116ml의 6중량/부피% 수성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가한다. 수성반응혼합물을 한시간동안 가볍게 비등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용액의 pH를 96중량/부피%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7로 조절한다.
반응혼합물을 냉장고에서 결정화시키고 5시간후에 침전된 결정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무게가 일정해질때까지 85℃, 진공하에서 건조시킨다. 따라서 13.9g의 1-에틸-6-플루오로-7-(4-메틸-피페라지노)-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이 얻어진다.
수율은 269-271℃이다(생성물은 269-271℃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메탄올의 혼합물로부터 분해된다).
C17H20FN3O3에 대한 원소분석
이론치 C ; 61.25%, H ; 6.05%, N ; 12.60%.
실측치 C ; 61.37%, H ; 5.91%, N ; 12.47%
2g의 1-에틸-6-플루오로-7-(4-메틸-피페라지노)-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을 무수에탄올 30ml내에서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비등용액에 0.61g의 메탄설폰산을 가한다.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수분내에 결정의 침전이 시작된다. 10분후에 반응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냉장고에서 하룻밤동안 결정화시킨다. 다음날 침전결정을 여과하고 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무게가 일정해질때까지 90-95℃, 진공하에 건조시킨다.
1-에틸-6-플루오로-7-(4-메틸-1-피페라지노)-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의 메탄설폰산염 2.3g이 얻어진다. 수율은 89.3%이다.
생성물은 285-287℃에서 분해한다.
C18H24FN3O6S에 대한 원소분석
이론치 C ; 50.34%, H ; 5.63%, N ; 9.78%
실측치 C ; 50.12%, H ; 5.81%, N ; 9.79
출발물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9.3g의 붕산 및 70g의 프로피온 무수물의 혼합물을 100℃에서 15분간 교반시킨다음, 온도를 비등점까지 높인다.
30분후에 온도를 110℃로 낮추고 29.8g의 에틸-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를 가한다. 수분내에 진한 현탁액으로 되는 반응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음 물 300ml로 희석시킨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침전결정을 여과한다.
41.5g의 1-에틸-6-플루오로-7-퀴놀린-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보론-디(프로피오닐옥시)-무수물을 얻으며 수율은 97.7%이다.
생성물은 252℃에서 분해한다.
C18H18BFClNO7에 대한 원소분석
이론치 C ; 50.79%, H ; 4.26%, N ; 3.29%.
실측치 C ; 50.94%, H ; 4.15%, N ; 3.41%.
[실시예 3]
19.9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O3, O4)-비스(아세테이트-O)-보론 및 15.0g의 1-메틸피페라진을 10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 내에서 110-115℃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혼합물을 80-90℃까지냉각하고 126ml의 6%W/V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을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1시간반동안 온화하게 비등시키고 그후에 활성탄을 가한다음 여과한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96%(W/V) 아세트산을 가하여 pH를 6.5로 조절한다. 반응혼합물을 반나절동안 0℃로 유지한후에 침전결정을 여과한 후에 물 및 메탄올로 세척한다. 14.3g(85.8%)의 1-에틸-6-플루오로-7-(4-메틸-4-피페라지노)-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이 얻어진다.
268-270℃에서 분해(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메탄올의 혼합물로부터), 생성물을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화합물과 혼합하여도 융점강하는 없다.
출발물질의 제조 :
9.3g의 붕산 및 54.1g의 아세트산 무수물(95%)을 혼합시키고 천천히 가열하여 30분간 100℃를 유지한다.
29.8g의 에틸-(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를 반응혼합물에 가한다. 수분내에 최초 결정이 침전되며, 현탁액을 2시간동안 교반하고 10℃로 냉각한 후 냉수 100ml를 가한다음 침전된 결정을 여과한다.
38.7g(97.5%)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3-퀴놀린-카복실레이트-O3, O4)-비스(아세테이트-O)-보론이 얻어진다. 278℃에서 분해된다.
C16H14BClFNO7에 대한 원소분석
이론치 C ; 48.35%, H ; 3.55%, N ; 3.52%.
실측치 C ; 48.49%, H ; 3.46%, N ; 3.71%.
[실시예 4]
3.97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O3, O4)-비스(아세테이트-O)-보론 및 3.00g의 1-메틸-피페라진을 디메틸설폭사이드 40ml내 25℃에서 250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혼합물에 20ml의 6%(W/V)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을 가하고 반응온도를 30분내에 110℃로 높인다. 혼합물을 온화하게 30분간 더 비등시키고 뜨거운 상태에서 여과시켜서 냉각시킨다.
96%(W/V) 아세트산을 가해소 pH를 7로 조절한다.
반응혼합물을 냉장고에서 하룻밤동안 결정화시킨 다음 침전결정을 여과하고 소량의 물로 세척한다. 베이지색의 결정이 얻어진다(2.8g, 84%).
디메틸 포름아미드 및 메탄올의 혼합물로 재결정한 후에 진공하, 90-95℃에서 무게가 일정할때까지 건조시켜서 1-에틸-6-플루오로-4-옥소-7-(1-메틸-피페라지노)-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267-269℃에서 분해)이 얻어진다.
실시예 2의 화합물과 본 생성물을 어떤 비율로 혼합해도 융점강하는 없다.
[실시예 5]
7.95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3-퀴놀린-카복실레이트-O3, O4)-비스(아세테이트-O)-보론 및 5.17g의 피페라진을 3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내, 110℃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은 90℃로 냉각시키고 6%(W/V)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30ml) 수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30분내에서 110℃로 가열한 다음 이어서 그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한다. 혼합물을 뜨거운 상태로 여과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다음 96%(W/V) 아세트산을 가해소 pH를 6.5로 조절한다. 생성물을 하룻밤동안 정지시키고 침전결정을 여과한 다음 물로 세척한다. 1-에틸-6-플루오로-7-피페라지노-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 3-카복실산이 얻어진다(4.2g, 66%).
이것을 실시예 1의 생성물과 혼합해도 융점의 강하는 없었다.
[실시예 6]
3.97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레이트-O3, O4)-비스(아세테이트-O)-보론을 2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내, 25℃에서 180시간동안 2.58g의 피페라진과 반응시킨다.
반응혼합물에 6%(W/V)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20ml)을 가하고, 30분내에 반응온도를 110℃로 높인다. 이어서 혼합물을 30분간 온화하게 비등시키고 뜨거운 상태에서 여과하고 이어서 냉각시킨다. 96%(W/V) 아세트산을 가해서 용액의 pH를 7로 조절한다.
반응혼합물을 하룻밤동안 냉장고에서 결정화시키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엷은 베이지색 결정을 얻는다(3.0g, 94%)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재결정한 후에 1-에틸-6-플루오로-4-옥소-7-피페라지노-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을 얻는다. 진공하 90-95℃에서 무게가 일정할때까지 건조시킨 후 융점을 측정하며 220-222℃이다.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된 물질과 어떤 비율로 생성물을 혼합해도 융점강하는 없었다.
[실시예 7]
2.0g의 (1-에틸-6-플루오로-7-클로로-4-옥소-1, 4-디하이드로-3-퀴놀린-카복실레이트-O3, O4)-비스(아세테이트-O)-보론 및 1.3g의 피페라진을 수용액상에서 10일간 무수메탄올 40ml내에서 환류하에 가열한다.
반응혼합물에 6%(W/V)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12ml를 가하고 환류하에 2시간동안 가열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에 96%(W/V) 아세트산을 가해서 용액의 pH를 6.5로 조절한 다음 생성된 노란색의 결정물을 여과한다.
생성된 1-에틸-6-플루오로-4-옥소-7-피페라지노-1, 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1.55g, 97%)을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혼합액으로 재결정한 후 융점을 측정하면 220-222℃이다. 이 생성물을 실시예 1의 생성물과 혼합해도 융점의 강하는 없었다.

Claims (9)

  1. 다음 구조식(V)의 화합물을
    Figure kpo00009
    (식중 R1및 R2는 2-6개의 탄소원자를 갖고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아실옥시기이거나 ; 또는 7-11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아실옥시기이다.) 다음 구조식(VI)의 아민 또는 그 염과 반응시키고,
    Figure kpo00010
    (식중, R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생성된 다음 구조식(VII)의 화합물을
    Figure kpo00011
    (식중, R은 후술하는 바와 같고, R1및 R2는 전술한 바와 같다.) 분리한 후에 또는 분리하지 않고 가수분해시키며, 이어서 생성된 구조식(I) 화합물을 그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그 염으로부터 구조식(I) 화합물을 분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다음 구조식(I)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그 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2
    (식중, R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식(V)의 화합물을 유기용매, 특히 산아미드, 설폭사이드, 케톤, 알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의 존재하에 구조식(VI)의 아민과 반응시키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로서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구조식(V)의 화합물과 구조식(VI)의 화합물과의 반응을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산 결합제로 아민 또는 과량의 구조식(VI)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서, 가수분해반응을 산성매질내에서 행하는 제조방법.
  7. 제6항에서, 유기산 또는 무기산, 특히, 염산, 황산 또는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행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에서, 가수분해 반응을 알카리매질내에서 행하는 제조방법.
  9. 제8항에서, 알카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알카리토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유기염기 특히 수성 트리에틸아민 용액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KR1019870700686A 1985-12-09 1986-12-09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4000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4694/85 1985-12-09
HU854695A HU196783B (en) 1985-12-09 1985-12-09 Process for production of quinoline carbonic acid
HU4695/85 1985-12-09
HU469485A HU195801B (en) 1985-12-09 1985-12-09 Process for producing 1-ethyl-6-fluoro-7-piperazino-4-oxo-1,4-dihydro-quinoline-3-carboxylic acid
PCT/HU1986/000069 WO1987003587A1 (en) 1985-12-09 1986-12-09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793A KR880700793A (ko) 1988-04-12
KR940008287B1 true KR940008287B1 (ko) 1994-09-10

Family

ID=2631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686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8287B1 (ko) 1985-12-09 1986-12-09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981966A (ko)
EP (2) EP0351889B1 (ko)
JP (1) JPH0768219B2 (ko)
KR (1) KR940008287B1 (ko)
AT (2) ATE107920T1 (ko)
CA (1) CA1306750C (ko)
CS (1) CS264345B2 (ko)
DK (2) DK412287A (ko)
FI (1) FI86419C (ko)
NO (1) NO170154C (ko)
SU (1) SU1722228A3 (ko)
WO (1) WO1987003587A1 (ko)
YU (1) YU458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712A (en) * 1985-12-09 1994-03-15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mekek Gyara R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s
SI8810667A8 (en) * 1987-04-08 1996-04-30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Anhydride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of boron acid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5380845A (en) * 1987-06-24 1995-01-10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mekek Gyara R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HU203746B (en) * 1988-12-22 1991-09-30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KR900014383A (ko) * 1989-03-29 1990-10-23 원본미기재 피롤로퀴놀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항균제
ES2049636B1 (es) * 1992-04-15 1994-12-16 Genesis Para La Investigacion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derivados de acidos quinolincarboxilicos.
WO1993025545A1 (en) * 1992-06-09 1993-12-2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Novel quinolin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ES2077490B1 (es) * 1992-11-18 1996-10-16 Marga Investigacion Esteres trimetilsililicos y solvatos de quelatos de acidos quinolin-3-carboxilicos. preparacion y aplicacion al proceso de quinolonas.
US5440061A (en) * 1994-03-29 1995-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lysis of methyl esters in dimethylsulfoxide for production of fatty acids
ES2092963B1 (es) * 1995-04-12 1997-12-16 Sint Quimica Sa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l acido 1-ciclopropil-6-fluoro-1, 4-dihidro-7-(1s,4s)-5-metil-2,5-diazabiciclo(2.2.1) hept-2-il)-4-oxo-3-quinolincarboxilico y sus sales.
CN113135854A (zh) * 2021-04-23 2021-07-20 海南通用三洋药业有限公司 甲磺酸培氟沙星的合成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1286A (en) 1977-05-16 1978-12-08 Kyorin Seiyaku Kk Novel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JPS54138582A (en) 1978-04-19 1979-10-27 Kyorin Seiyaku Kk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FR2424919B1 (fr) 1978-05-03 1980-10-31 Kyorin Seiyaku Kk Acide quinoleinecarboxylique substitue et ses derives et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antibacteriens
JPS5533543A (en) 1978-08-31 1980-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iner for preservation under reduced pressure
JPS5533453A (en) 1978-08-31 1980-03-08 Dainippon Pharmaceut Co Ltd Preventive and remedy for infectious disease of fish
JPS5845426B2 (ja) 1978-09-29 1983-10-08 杏林製薬株式会社 置換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S5560906A (en) * 1978-10-31 1980-05-08 Fujitsu Ltd Luminous flux matching device
JPS5746986A (en) 1980-09-02 1982-03-17 Dai Ichi Seiyaku Co Ltd Pyrido(1,2,3-de)(1,4)benzoxazine derivative
JPS5762259A (en) 1980-09-05 1982-04-15 Kyorin Pharmaceut Co Ltd Preparation of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
JPS5932767B2 (ja) * 1980-10-27 1984-08-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アイバv溝接続器
JPS57139711A (en) * 1981-02-25 1982-08-28 Mitsubishi Rayon Co Ltd Flat plate optical waveguide
JPS5829789A (ja) 1981-08-17 1983-02-22 Dai Ichi Seiyaku Co Ltd ピリドベンズオキサジン誘導体
JPS5843977A (ja) 1981-09-09 1983-03-14 Dai Ichi Seiyaku Co Ltd ピリドベンズオキサジン誘導体の製法
JPS58184817A (ja) * 1982-02-26 1983-10-28 Yokogawa Hewlett Packard Ltd 遅延回路
EP0090424B1 (en) * 1982-03-31 1986-05-28 Sterling Drug Inc. New quinolone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JPS5921528A (ja) * 1982-07-27 1984-02-03 Sankyo Kasei Kk 二硫化鉄の製造方法
JPS5980683A (ja) * 1982-10-30 1984-05-10 Koei Chem Co Ltd 6−フルオロ−1,8−ナフチリ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S59122470A (ja) 1982-12-27 1984-07-14 Dai Ichi Seiyaku Co Ltd キノリン−3−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法
DE3475229D1 (en) * 1983-03-28 1988-12-22 Polaroid Corp An optical component for use in fiber optic communication systems
AU553415B2 (en) * 1983-09-19 1986-07-17 Abbott Japan Co., Ltd. 6-fluoro-1-4-dihydro-4-oxo-7-substituted piperazinyl- quinoline-3-carboxylic acids
JPS6078986A (ja) 1983-10-07 1985-05-04 Dai Ichi Seiyaku Co Ltd オキサジン誘導体の製法
HU196415B (en) * 1985-12-09 1988-11-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Process for preparing quinoline carboxylic acid boric acid anhydr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6419C (fi) 1992-08-25
CS264345B2 (en) 1989-07-12
NO170154B (no) 1992-06-09
EP0351889A1 (en) 1990-01-24
YU45810B (sh) 1992-07-20
WO1987003587A1 (en) 1987-06-18
DK412287D0 (da) 1987-08-07
JPH0768219B2 (ja) 1995-07-26
FI873380A7 (fi) 1987-08-04
ATE107920T1 (de) 1994-07-15
CA1306750C (en) 1992-08-25
NO170154C (no) 1992-09-16
DK568389D0 (da) 1989-11-13
DK412287A (da) 1987-08-07
US4981966A (en) 1991-01-01
NO873248D0 (no) 1987-08-03
DK568389A (da) 1989-11-13
NO873248L (no) 1987-08-03
YU210686A (en) 1987-12-31
SU1722228A3 (ru) 1992-03-23
EP0249620A1 (en) 1987-12-23
ATE82569T1 (de) 1992-12-15
EP0351889B1 (en) 1994-06-29
JPS63502428A (ja) 1988-09-14
KR880700793A (ko) 1988-04-12
EP0249620B1 (en) 1992-11-19
FI86419B (fi) 1992-05-15
FI873380A0 (fi) 1987-08-04
CS909186A2 (en) 198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273B1 (ko) (6,7-치환된-8-알콕시-1-사이클로프로필-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o³,o⁴)비스(아실옥시-o)보레이트, 이의 염, 이의 수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40008287B1 (ko)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KR970005911B1 (ko) 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JP2693987B2 (ja) キノリン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5914401A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quinolone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of
KR940008304B1 (ko) 1-메틸아미노-퀴놀린-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70005910B1 (ko)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US529471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s
US528495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olic acids
RU204978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хинолин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ил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х солей
HK1003996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s
WO1987003594A1 (en) Amifloxacine intermediate
US538084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KR890002639B1 (ko)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HU198728B (hu) Eljárás kinolinkarbonsavszármazékok előállítására
HU195801B (en) Process for producing 1-ethyl-6-fluoro-7-piperazino-4-oxo-1,4-dihydro-quinoline-3-carboxylic acid
HU196783B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quinoline carbon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8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8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