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40007432B1 - 리모콘릴레이 - Google Patents

리모콘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432B1
KR940007432B1 KR1019910006248A KR910006248A KR940007432B1 KR 940007432 B1 KR940007432 B1 KR 940007432B1 KR 1019910006248 A KR1019910006248 A KR 1019910006248A KR 910006248 A KR910006248 A KR 910006248A KR 940007432 B1 KR940007432 B1 KR 94000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witch
lever
state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774A (ko
Inventor
히로아끼 후지히사
마나부 소가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2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22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for bistable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09Polarised relays with rectilinearly movabl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릴레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OFF 상태의 측면도.
제 2 도는 가동접점부, 조작전자석장치, 제어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OFF 상태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평면도.
제 4 도는 OFF 상태의 접속회로도.
제 5 도는 ON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평면도.
제 7 도는 ON 상태의 접속회로도.
제 8 도는 종래의 것의 OFF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ON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것의 접속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4 : 조작전자석장치
5 : 플런저 12 : 링크
15 : 가동접점부 28 : 조작레버
28c : 작동부 28d : 계합부
30, 31 : 마이크로스위치 34 : 작동레버
본 발명은 리모콘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제 8 도는 종래의 리모콘릴레이의 OFF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ON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접속회로도이다.
외각(外殼)은 베이스(1)와 커버(2)로 이루어지며, 저부에 장착금구(도시하지 않음)용 홈(1a) 및 DIN레일(도시하지 않음)장착용 클로(1b)를 가지고, 또한 상부에 개구(1c)가 형성되어 있으며, 4개소의 구멍(1d)으로 리벳(3)에 의해 일체로 조합되어 있다.
조작전자석장치(4)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대략 중앙부에 플런저(5)가 돌출한 측을 상부로 하여, 베이스(1)저부(장착면)에 대해 서 있는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 전자석장치(4)는 2개의 흡착상태를 가진 쌍안정유극형(雙安定有極型)으로서 제 9 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는 전자코일(6)을 감은 보빈(7)을 관통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양단에 흡착면(5a), (5b)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의 요크(8)는 보빈(7)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상부의 면에 플런저(5)의 선단부(5c)가 돌출하는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의 요크(8)의 좌우의 내측면에는 한쌍의 영구자석(9)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동종의 극과 접하고 있다. 이 영구자석(9)의 다른 극에는 각각 한쌍의 ㄷ자형의 제 2 의 요크(10)가 접촉하고, 상기 전자코일(6)을 에워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5)의 동작을 가동접점(11)에 전달하는 링크(12)는 상기 조작전자석장치(4)의 위쪽에 위치하고, 핀(13)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일단(12a)이 플런저선단부(5c)에 핀(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가동접점부(15)는 일단이 상기 링크(12)의 타단(12b)에 핀(16)에 의해 연결된 절연체(17), 이 절연체(17)의 타단부에 형성된 홈(17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계합하여 가동접점(11)이 고착된 가동자(18) 및 가동접점(11)에 작용하여 접점을 누르도록 배치된 압축코일스프링(1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11)은 주회로단자(20)에 고착된 고정접점(21)에 접리(接離)가능하게 대향배치되어 있다. 절연체(17)에 형성된 철부(凸部) (17a)가 베이스(1)의 홈(1d) 및 커버(2)의 홈(도시하지 않음)에 계합하고 있으며, 상기 플런저(5)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접점부(15)가 접점접리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가동자(18)는 선트(22)에 의해 다른 주회로단자(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원격조작용 전선을 접속하는 한쌍의 제어용 단자(24)의 한쪽은 상기 전자코일(6)의 구출선(口出線) (6a)의 하나와, 다른쪽은 다이오드(25)와 제어회로용 스위치(26)를 통해 상기 전자코일(6)의 다른쪽의 구출선(6b)과, 하나의 프린트기판(27)상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8)은 조작레버이고, 상기 플런저(5)에 대해 상기 링크(12)와는 반대측에 핀(29)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일단이 핀(14)에 의해 상기 플런저(5)의 선단부(5c)에 연결되고, 플런저(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링크(1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조작레버(28)는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부(28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것은 상기 베이스(1) 및 커버(2)의 개구(1c)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수동조작부(28a)의 양측에 표시부(28b)가 있고, 접점의 ON, OFF 상태를 상기 개구(1c)를 통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수동조작레버(28)는 상기 제어회로용 스위치(26)의 액튜에이터(26a)에 작용하고, 제어회로용 스위치(26)의 개폐를 행하는 작동부(28c)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9 도는 리모콘릴레이가 OFF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 상태에서는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구자석(9)의 자속(磁束)에 의해, 플런저(5)는 그 흡착면(5a)이 제 1 의 요크(8)의 저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접점도 개리(開離)상태의 안정위치에 있다.
이 주회로개로(開路)상태에 있어서, 제어회로단자(24)에 접속된 ON 조작스위치(제11도 참조)를 투입하여 전자코일(6)을 여자(勵磁)하면, 플런저흡착면(5a)에서의 영구자석(9)에 의한 흡착력을 감소시키고, 다른쪽의 흡착면(5b)에서의 흡착력을 증가시키도록 자속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플런저(5)는 제 9 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구동되어, 링크(12)에 의해 가동접점(11)이 고정접점(21)의 방향으로 밀어내려 주회로가 폐로(閉路)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런저(5)의 흡착면(5b)이 제 1 의 요크(8)의 상부면에 흡착유지된다. 이때, 조작레버(28)는 플런저(5)에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표시는 「OFF」로부터 「ON」으로 변한다. 이 일련의 동작중에서, 조작레버(28)는 제어회로용 스위치(26)의 액튜에이터(26a)를 작동시켜 제어회로용 스위치(26)를 전환한다.
한편, 이 주회로폐로상태에 있어서, OFF 조작스위치를 투입하면 전자코일(6)은 플런저흡착면(5b)에서의 영구자석(9)에 의한 흡착력을 감소시키고, 다른쪽의 흡착면(5a)에서의 흡착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플런저(5)는 제10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구동되어, 링크(12)에 의해 가동접점(11)이 고정접점(21)으로부터 개리된다. 이로써, 주회로는 개로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플런저(5)의 흡착면(5a)이 제 1 의 요크(8)의 저면에 흡착된 초기의 안정상태이다. 이때 조작레버(28)는 플런저(5)에 연동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를 「ON」으로부터 「OFF」로 변화시키는 동시에 제어회로용 스위치(26)도 전환시킨다.
다음에, 수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주접점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조작레버(28)의 수동조작부(28a)를 조작함으로써, 직접 플런저(5)를 구동시킴으로써 접점을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조작은 플런저(5)의 흡착력이상의 박리력을 수동으로 인한 직접 플런저(5)에 가하여 강제적으로 흡착을 박리하고, 다른 안정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때의 가동접점부(15)의 동작 및 제어회로용 스위치(26)의 작동은 전술한 전기조작의 일련의 동작과 전혀 동일하게 된다.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두가지 흡착상태를 가진 쌍안정유극전자석 장치에서는, 그 구조상 플런저스트로크의 중간에 분극점(分極点)이 있으며, 흡인력도 이 점을 0으로 하여, 흡착면에 가까워지면 급격히 강해진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것과 같이 조작전류의 전환을 하나의 C 접점스위치로 행하는 리모콘릴레이에서는 이 전환포인트의 미세한 조정이 필요한 동시에, 이너셔를 기대하여 조작전류를 크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전류가 작고 또한 전환포인트의 조정이 무조정으로 되는 생산성이 높은 소형, 고효율의 리모콘릴레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리모콘릴레이는 제어스위치로서 ON 조작용과 OFF 조작용의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가지며, 이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는 동일지지핀으로 베이스, 커버에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또한 마이크로스위치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와, 플런저와 연동하여 다른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조작레버와 계합시켜서, 플런저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시에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모콘릴레이는 ON 조작 및 OFF 조작에 의해 전자석장치의 플런저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고, 이로써 플런저에 연결된 조작레버가 마이크로스위치의 하나를 작동하는 동시에, 이 조작레버에 연결된 작동레버가 다른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OFF 상태를 나타낸 리모콘릴레이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제 2 도의 평면도, 제 4 도는 OFF 상태의 접속회로도, 제 5 도는 ON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평면도, 제 7 도는 ON 상태의 접속회로도이며, 상기 종래의 것과 동일 또는 상단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30), (31)은 제어회로용 스위치로서의 마이크로스위치이고, 동일위치결정용 핀(32), (33)에 의해 베이스(1)와 커버(2)로 고정되어 있다. (34)는 작동레버이고, 마이크로스위치(30), (31)의 위치결정용 핀의 한쪽(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일단에 조작레버(28)의 계합부(28d)와 계합하는 홈부(34a)와, 타단에 마이크로스위치의 한쪽(31)의 액튜에이터(31a)를 작동하는 철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레버(28)는 직접 마이크로스위치의 다른쪽(30)의 액튜에이터(30a)를 작동하는 작동부(28c)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 2 도의 OFF 상태에서 제어단자(24)를 통해 ON 조작전류가 흐르면, 플런저(5)는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로써 링크(1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접점(11)을 폐로(閉路)한다. 이때, 조작레버(28)는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부(28c)로 마이크로스위치(30)의 액튜에이터(30a)를 작동하여 마이크로스위치(30)를 전환하는 동시에, 작동레버(34)를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작동레버(34)는 액튜에이터(31a)를 작동시켜 마이크로스위치(31)를 전환한다. 이 일련의 전환동작은 동시에 병행하여 행해진다.
한편, OFF 조작의 경우, 제 5 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플런저(5)가 구동되고, 이로써 마이크로스위치(30), (31)가 상기 ON 조작의 경우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 전환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30), (31)의 고정을 동일위치결정용 핀(32), (33)으로 행하고, 또한 그 하나에 작동레버(34)를 축지지하였으나, 이것들을 별개로 배설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ON 조작, OFF 조작용의 별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배설하고, 이들 스위치의 전환을 하나의 조작으로 동시에 병행하여 전환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각각의 조작에 대한 전환포인트를 흡착포인트에 가까운 안전위치에 설정할 수 있고, 무조정으로 또한 소형, 고효율의 리모콘릴레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부하회로를 개폐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이 가동접점을 구동하는 것이며, 또한 두가지 흡착상태를 가진 쌍안정유극(雙安定有極) 전자석장치, 이 전자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스위치 및 상기 전자석장치중에서 정역운동을 행하는 플런저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스위치를 개폐하는 조작레버를 구비한 리모콘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위치를 구성하는 ON 조작용 및 OFF 조작용의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 및 축지지되어 상기 조작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구비하고, 축지지되어 일단이 상기 전자석장치의 플런저에 연결된 상기 조작레버에는, 다른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외에, 상기 작동레버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배설하고, 상기 플런저의 정역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릴레이.
KR1019910006248A 1990-05-23 1991-04-19 리모콘릴레이 KR940007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33,026 1990-05-23
JP90-133026 1990-05-23
JP2133026A JPH0428134A (ja) 1990-05-23 1990-05-23 リモコンリレ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74A KR910020774A (ko) 1991-12-20
KR940007432B1 true KR940007432B1 (ko) 1994-08-18

Family

ID=1509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248A KR940007432B1 (ko) 1990-05-23 1991-04-19 리모콘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72086A (ko)
EP (1) EP0458302B1 (ko)
JP (1) JPH0428134A (ko)
KR (1) KR940007432B1 (ko)
DE (1) DE69118437T2 (ko)
ZA (1) ZA913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920A (en) * 1991-11-29 1993-10-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led relay
GB9318876D0 (en) * 1993-09-11 1993-10-27 Mckean Brian A bistable permanent magnet actuator for operation of circuit breakers
US6724284B2 (en) * 2001-02-02 2004-04-20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US7342474B2 (en) * 2004-03-29 2008-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be remotely operated
JP6312021B2 (ja) * 2014-01-30 2018-04-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モコンリレー
US10679811B2 (en) * 2017-09-12 2020-06-09 Littelfuse, Inc. Wide operating range relay controll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7519A (en) * 1963-12-26 1968-04-09 Allen Bradley Co Magnetically latched switch
JPS58131636A (ja) * 1982-01-29 1983-08-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や断器
USRE32882E (en) * 1982-01-01 1989-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 control system circuit breaker
DE3576428D1 (de) * 1984-12-24 1990-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ernsteuerbares relais.
US4774484A (en) * 1985-04-09 1988-09-27 Square D Company Auxiliary electrical contact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US4623859A (en) * 1985-08-13 1986-11-18 Square D Company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JP2538991B2 (ja) * 1988-06-09 1996-10-02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ゃ断器
KR920003958B1 (ko) * 1988-10-06 1992-05-18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74A (ko) 1991-12-20
EP0458302A3 (en) 1992-09-23
DE69118437T2 (de) 1996-08-08
US5172086A (en) 1992-12-15
ZA913911B (en) 1992-02-26
DE69118437D1 (de) 1996-05-09
EP0458302B1 (en) 1996-04-03
JPH0428134A (ja) 1992-01-30
EP0458302A2 (en) 199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02816A (ja) 電磁保護スイッチ
KR940007432B1 (ko) 리모콘릴레이
KR102374581B1 (ko)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US5200723A (en) Remotely-controlled relay
US5248951A (en) Remote controlled relay
KR940003718Y1 (ko) 리모콘릴레이
US5181001A (en) Remotely-controlled relay
JP2530990Y2 (ja) リモコンリレー
JP3845247B2 (ja) 電子機器
JP2000331588A (ja) リモコンリレー
JPH065184A (ja) リモコンリレー
CN113711324B (zh) 按钮开关
JPH06162902A (ja) リモコンリレー
JPH05109525A (ja) 電磁石装置
JPH0428131A (ja) リモコンリレー
CN113574625B (zh) 电子开关
JP200900975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JPH065185A (ja) リモコンリレー
JP429309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JP4206990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JPH056637U (ja) リモコンリレー
JP420698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JPH089872Y2 (ja) 遠隔制御式回路しや断器
JPH0428133A (ja) リモコンリレー
JP4354628B2 (ja) リモコン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