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051Y1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5051Y1 KR940005051Y1 KR2019910012329U KR910012329U KR940005051Y1 KR 940005051 Y1 KR940005051 Y1 KR 940005051Y1 KR 2019910012329 U KR2019910012329 U KR 2019910012329U KR 910012329 U KR910012329 U KR 910012329U KR 940005051 Y1 KR940005051 Y1 KR 9400050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lection yoke
- vcr
- field
- phenomenon
- cor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a)도, 제1(b)도는 종래의 편향요크에 VCR현상 보정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제2(a)도, 제2(b)도는 이 고안에 따른 VCR현상 보정장치가 장착된 편향요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VCR현상 보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편향요크 12 : 네크부
12a : 전자총 삽입구 12b : 안내편
13 : 스크린부 14 : 코일세퍼레이터
15 : 수직편향코일 16 : 페라이트코어
16a : 분할면 17 : 코어클램프
18 : 보정부재 19 : 필드 컬렉터(Field Collector)
20 : 안내홈 21a, 21b : 필드 세이퍼(Field Shaper)
이 고안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전자총 인-라인(In-Line Gun)배열방식의 음극선관(CRT)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셀프-콘버젼스형(Self-Convergence Type) 편향요크에 의해 화면상에 발생되는 버티컬 센터 라스터(Vertical Center Raster)현상을 보정하여 화면의 특성이 향상되도록 한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현상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T.V수상기 또는 모니터등의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1)는 제1(a)도, 제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크부(2)와 스크린부(3)로 이루어지는 코일세퍼레이트(4)의 내측에 수평편향코일(도시하지 않음)이 감겨져 장착되고, 외측으로는 수직편향코일(5)이 감겨진 페라이트코어(6)가 코어클램프(7)에 의해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5)에 톱니파 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전자빔을 주사시켜 화면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인-라인 배열방식의 전자총에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G빔의 강도가 양측에 위치하는 R빔과 B빔보다 낮게되어 화면상의 상, 하측으로 G빔은 R과 B빔보다 내측에 주사되는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현상의 일종인 버티컬 센터 라스터(이하, VCR이라함)현상이 발생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는 고투자율을 갖는 자성체의 필드 콘트롤러(Field Controller)를 설치하여 G빔의 감도를 높여주고 있으나, 현재 음극선관이 고정세화 및 고주파수화되는 추세에 따라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설치되는 필드 콘트롤러가 발열문제로 성능이 열화되거나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누설자속의 영향을 받게되어 에디 칼런트(Eddy Current) 현상이 발생되므로 전자총에서 필드 콘트롤러가 제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전자총에서 필드 콘트롤러의 성능이 열화되거나 제거된 경우에 G빔의 감도가 떨어져 화면상에 발생되는 VCR 현상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자성편(8a)(8b)이 연결편(9)에 의해 연결되는 4개의 보정부재(10)를 코일세퍼레이터(4)의 네크부(2)에 소정간격으로 대향되도록 장착하는 것이나, 이는 보정부재(10)의 연결편(9)이 네크부(2)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네트부(2)의 4부위에 장착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져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부품수의 증가로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정부재(10)의 제2자성편(8b)에 의해 형성되는 핀쿠션(Pincushion)자계의 세기를 상호 균형있게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일단 보정부재(10)의 연결편(9)이 접착제로 부착되면 화면상의 VCR현상을 미세하게 조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화면의 특성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필드 세이퍼(Field Shaper)가 필드 컬렉터(Field Collector)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보정부재가 편향요크의 네크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로 작업시간이 줄어들어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정부재의 장착위치가 네크부 상면에 형성된 안내편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이동되므로 필드세이퍼에 의해 형성되는 핀쿠션 자계의 세기를 상호 균형있게 조정하기가 용이해짐과 동시에 VCR현상이 미세하게 조정되면서 화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편향요크의 VCR현상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화면상에 발생되는 VCR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편향요크의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의 네크부 상면에는 한쌍의 보정부재가 대향되어 장착되도록 안내편이 형성되고, 상기 보정부재는 네크부의 안내편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홈을 갖는 필드 세이퍼가 필드 컬렉터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편향요크의 VCR 현상 보정장치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VCR 현상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a)도, 제2(b)도 및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VCR현상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3전자총 인-라인 배열방식의 음극선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셀프-콘버젼스형 편향요크(11)는 상면에 전자총 삽입구(12a)가 형성된 네크부(12)와, 스크린부(13)로 이루어지는 코일세퍼레이터(14)의 내측에 수평편향코일(도시하지 않음)이 감겨져 장착되며,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4)의 외측으로는 수직편향코일(15)이 감겨진 한쌍의 페라이트코어(16)가 분할면(16a)을 기준으로 대향되도록 맞대어져 코어클램프(17)에 의해 조립된다.
또한,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4)의 네크부(12) 상면에는 안내편(12b)이 형성되어 한쌍의 보정부재(18)가 대향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보정부재(18)는 필드 컬렉터(19)의 양측에 안내홈(20)을 갖는 필드 세이퍼(21a)(21b)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드 세이퍼(21a)(21b)의 안내홈(20)은 네크부(12)의 안내편(12b)에 끼워져 보정부재(18)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필드 세이퍼(21a)(21b)의 끝단은 네크부(12)에 헝성된 전자총 삽입구(12a)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고안에 따른 보정부재(18)가 장착된 편향요크(11)를 T.V 수상기 또는 모니터등의 음극선관에 장착한 후에, 상기 편향요크(11)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15)에 톱니파 펄스를 인가시키게 되면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R. G. B의 전자빔을 편향시켜 화면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편향요크(11)의 수직편향코일(15)에 형성되는 바렐(Barrel)자계는 페라이트코어(16)의 분할면(16a)을 통해 내, 외부로 호르면서 누설자속을 발생시키고, 상기 수직편향코일(15)에 의해 발생되는 누설과속은 보정부재(18)의 필드 컬렉터(19)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정부재(18)의 필드 컬렉터(19)에 누설자속이 집속되면, 상기 필드 컬렉터(19)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필드 세이퍼(21a)(21b)가 자화되면서 네크부(12)의 전자총 삽입구(12a)주위에 핀쿠션 자계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핀쿠션 자계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R과 B빔의 편향력(F1)보다 G힘의 편향력(F2)을 화살표 방향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라인 배열방식의 전자총에서 G빔의 감도가 R과 B빔 보다 낮게되어 화면상에 발생되는 VCR현상은 보정부재(18)에 의해 G빔의 편향력(F2)을 증가시켜 R, G, B의 전자빔을 화면상을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주사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보정된다.
또한, 보정부재(18)를 네크부(12)의 상면에서 전자총 삽입구(12a)방향으로 가깝게 되거나 혹은 멀게되도록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보정부재(18)의 필드 세이퍼(21a)(21b)에 형성된 안내홈(20)이 네크부(12)의 안내편(12b)을 따라 안내되면서 장착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이동되므로 필드 세이퍼(21a)(21b)에 의해 형성되는 핀쿠션 자계의 세기가 상호 균형있게 조정되고, 상기 핀쿠션 자계의 세기 조정에 의해 G빔의 편향력(F2)은 증가되거나 혹은 감소되면서 VCR현상을 미세하게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정부재(18)는 종래의 편향요크(1)에 사용된 보정부재(10)보다 부품수가 감소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G빔의 편향력(F2)을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대형 광각용 편향요크에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VCR현상 보정장치는, 필드 세이퍼가 필드 컬렉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조정부재가 편향요크의 네크부 상면에 일정하게 유지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필드 세이퍼에 의해 형성되는 핀쿠션 자계의 세기가 상호 균형있게 조정되므로 VCR현상이 미세하게 조정되어 화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화면상에 발생되는 버티컬 센터 라스터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편향요크의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11)의 네크부(12)상면에는 한쌍의 보정부재(18)가 대향되어 장착되도록 안내편(12b)이 형성되고, 상기 보정부재(18)는 네크부(12)의 안내편(12b)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홈(29)을 갖는 필드 세이퍼(21a)(21b)가 필드 컬렉터(19)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현상 보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2329U KR940005051Y1 (ko) | 1991-07-31 | 1991-07-31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2329U KR940005051Y1 (ko) | 1991-07-31 | 1991-07-31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3559U KR930003559U (ko) | 1993-02-26 |
KR940005051Y1 true KR940005051Y1 (ko) | 1994-07-27 |
Family
ID=1931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2329U KR940005051Y1 (ko) | 1991-07-31 | 1991-07-31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5051Y1 (ko) |
-
1991
- 1991-07-31 KR KR2019910012329U patent/KR94000505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3559U (ko) | 1993-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5051Y1 (ko)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 |
CA1269694A (en) |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 |
US4972519A (en) | Vertical coma correction arrangement | |
US5274308A (en) | Convergence correcting device | |
KR970002423Y1 (ko)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현상 보정장치 | |
KR940004072Y1 (ko) |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현상 보정장치 | |
KR950004321Y1 (ko) | 편향요크의 보정장치 | |
KR100334670B1 (ko) | 편향요크의그린빔드롭현상방지장치 | |
KR940004792Y1 (ko) | 편향요크 | |
KR200158849Y1 (ko) | 편향요크의 코마프리 보정편 고정장치 | |
KR960006528Y1 (ko) | 편향요크의 코마프리 보정편 이송장치 | |
JPH02204947A (ja) | インライン型カラー偏向ヨーク装置 | |
KR100193611B1 (ko)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KR930005829Y1 (ko) |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 |
KR930006444Y1 (ko) | 편향요크의 마그네트요크 | |
KR950003108Y1 (ko)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KR100356962B1 (ko) | 편향요크 | |
KR960010473B1 (ko)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KR960004553Y1 (ko) |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KR100338033B1 (ko) |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 |
KR0118015Y1 (ko) | 음극선관의 트릴레마 가변장치 | |
KR20030061510A (ko) | 편향요크 | |
KR100361836B1 (ko) | 편향요크 | |
KR100356297B1 (ko) | 편향요크 | |
KR950001329Y1 (ko) | 정렬홈을 가지는 편향요크의 보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