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66Y1 - 화분용 장식판 - Google Patents
화분용 장식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0866Y1 KR930000866Y1 KR2019900016823U KR900016823U KR930000866Y1 KR 930000866 Y1 KR930000866 Y1 KR 930000866Y1 KR 2019900016823 U KR2019900016823 U KR 2019900016823U KR 900016823 U KR900016823 U KR 900016823U KR 930000866 Y1 KR930000866 Y1 KR 9300008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t
- soil
- main body
- stone
- decorat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부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1'" : 본체 2 : 괘합돌조
3 : 괘합요조 4 : 통공
5 : 통수공 6 : 장식돌기
7 : 톱니부 8 : 톱니형절취선
9 : 화분 10 : 흙 또는 돌
11 : 식물
본 고안은 각종 관상식물을 식재키 위한 화분의 흙 또는 돌의 표면을 덮어서 외관을 아릅답게 장식함과 동시에 돌이나 흙이 화분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분용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엽식물등을 식재키 위하여는 부엽토등을 사용케 되고, 난초등을 식재키 위하여는 이른바 난석이라 지칭하는 작은돌등을 사용케 되는바, 전자의 경우는 흙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관상을 목적으로 하는 본래의 취지에 반하여 오히려 아름다움을 반감시키게 되었음은 물론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주는 과정에서 흙이 파여져 화분밖으로 흙이 넘쳐 흐르는 경우가 빈번하여 화분을 더럽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우가 반복됨에 따라 파여진 자리가 깊어져 식물의 뿌리가 노출될 경우 식물의 생장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결함을 가지게 되었고, 후자의 경우는 흙과는 달리 응결력이 없으므로 화분을 운반하는 과정이나 충격으로 화분을 넘어뜨릴 경우 많은 양의 돌을 유실하게 되기 때문에 고가로 제공되는 돌을 추가로 구입하여 충족시켜주여야 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였으며, 특히 이와 같은 돌에는 상당한 고가의 식물인 난초등을 식재케됨에도 불구하고 화분이 넘어지게 되면 많은 양의 돌이 유실되며 이에 식재된 난초까지 함께 충격을 받게 되어 자칫 생멍력을 잃게 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흙이나 돌의 표면에 흔히 이끼를 덮어주고 있었으나 화분에 이끼를 덮어주는 것은 그 채취에 따른 장소, 물량 및 자연훼손에 따른 법률적 제재등으로 인해 채취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화분에 덮어주더라도 생명력이 약하여 쉽게 고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자주 교체하여 주어야 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이끼 자체가 흙이나 돌등에 혼합된 영향분을 소비하며 생장하게 되므로 정작 영양분을 필요로 하는 관상식물의 생장을 저해하게 되는 등의 중대한 결함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에 화분에 덮어주던 이끼에 갈음할 수 있는 장식용 덮개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판향의 본체(1)(1')(1')(1'")를 분할하여 이들을 각기 앙단에 형성시킨 괘합돌조(2) 및 괘합요조(3)로서 서로 결합되게 하되 중앙에 통공(4)이 형성되도록 하며, 본체(1)(1')(1")(1'")에는 각각 다수의 통수공(5)과 장식돌기(6)를 형성시키고, 본체(1)(1')(1")(1'")의 연부에는 톱니부(7)를 형성시키며 그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어 다시 톱니형 절취선(8)을 형성시킨다.
다만 본체(1) (1') (1") (1'")에 형성시키는 장식돌기(6)는 다수개를 가능한한 조밀하게 형성시키므로서 마치 이끼를 덮은 것과 같이 그 표면에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화분을 나타낸 것이고, 10은 흙 또는 돌을 나타낸 것이며, 11은 식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의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쪽의 본체(1)(1')(1")를 괘합돌조(2)와 괘합요조(3)로써 상호 결합한 다음 통공(4)의 개방된 측으로 식물(11)이 위치되도록 삽입하여 나머지 1쪽의 본체(1'")를 역시 괘합돌조(2)와 괘합요조(3)로 결합한후 본체(1) (1') (1")(1'")를 하방으로 밀어내려 흙 또는 돌(10)의 표면에 접면시키게 되면 연부에 형성된 톱니부(7)가 화분(9)의 내경에 적절히 대응하여 절곡되면서 간밀히 삽입되는 것으로, 화분(9)에 물을 주더라고 톱니부(7)가 화분(9)의 내벽에 긴밀히 탄지된 상태이므로 부력으로 떠오를 우려가 없으며, 본체(1) (1')(1")(1'")에 부어지는 물은 통공(4)과 통수공(5)을 통하여 화분 내부에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비교적 대형의 화분을 운반할 때 화분의 표면에 씌우므로서 특히 커다란 장점을 발휘한다.
즉, 대형의 화분은 이를 운반할 때 주로 9인 또는 12인승 승용차에 실어 운반하는바 차량의 실내높이가 낮으므로 인하여 화분을 옆으로 비스듬히 뉘워서 운반하는게 보통이어서 운반도중 화분 흙이나 돌의 유실이 많은 불편이 있었던바 본 고안의 장식판을 사용하므로 인하여 화분에 담은 흙이나 돌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막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그 표면에 다수의 장식돌기(6)를 형성시키므로서 이끼를 덮은 것과 같은 느낌을 주게할 뿐 아니라 고사된 이끼와 같이 그 색이 변하지 아니하여 항상 청량감을 느끼게 하므로서 화분의 고품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의 주연부에 형성시킨 톱니형 절취선(8)은 이에 따라 외방부를 잘라내므로서 소형의 화분에도 사용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 중앙에 통공(4)을 가지며, 얇은 판체로 된 본체를 화분의 상부 내면에 내접하도록 형성시키고 본체에 다수의 장식돌기(6)와 통수공(5)을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장식판.
- 제1항의 것에 있어서, 본체(1) (1') (1")(1'")를 4등분시키고 분할부에 각각 괘합돌조(2)와 괘합요조(3)를 형성시켜서 된 화분용 장식판.
- 제l항 또는 제2항의 것에 있어서, 본체의 주연부에 톱니부(7)를 형성시켜서 된 화분용 장식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6823U KR930000866Y1 (ko) | 1990-11-02 | 1990-11-02 | 화분용 장식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6823U KR930000866Y1 (ko) | 1990-11-02 | 1990-11-02 | 화분용 장식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8690U KR920008690U (ko) | 1992-06-16 |
KR930000866Y1 true KR930000866Y1 (ko) | 1993-02-27 |
Family
ID=1930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16823U KR930000866Y1 (ko) | 1990-11-02 | 1990-11-02 | 화분용 장식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086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479Y1 (ko) * | 2011-05-17 | 2013-10-15 | 김성문 | 화분 보호 덮개 |
-
1990
- 1990-11-02 KR KR2019900016823U patent/KR930000866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479Y1 (ko) * | 2011-05-17 | 2013-10-15 | 김성문 | 화분 보호 덮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8690U (ko) | 1992-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014B1 (ko) |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 |
KR930000866Y1 (ko) | 화분용 장식판 | |
KR200288835Y1 (ko) | 배수구가 없는 투명화분 | |
KR950008640Y1 (ko) | 배수 및 통풍 촉진 화분 | |
KR0139861Y1 (ko) | 화분용 흙덮개 | |
JPH062530Y2 (ja) | 植木鉢 | |
KR200195623Y1 (ko) | 화분 | |
JP2572198B2 (ja) | 岩石景観体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成育方法 | |
KR200177987Y1 (ko) | 심지가 결합된 화분 | |
KR200170395Y1 (ko) | 관상식물용 화분 | |
JPH0427313Y2 (ko) | ||
KR890004267Y1 (ko) | 정원수나 화분의 덮개판 | |
KR960001056Y1 (ko) | 분리식 화분 | |
KR200303993Y1 (ko) | 수경화분 | |
KR200238295Y1 (ko) | 만능화분 | |
JPH0514769Y2 (ko) | ||
JPH052650U (ja) | 植木鉢 | |
JPH07132027A (ja) | 植木鉢 | |
GB2320882A (en) | Plant pot | |
JPH0453734Y2 (ko) | ||
KR200234550Y1 (ko) | 주전자 입구 화분 | |
JP3027493U (ja) | 側壁からも植え込み可能な植木鉢 | |
JP3105019U (ja) | 盆栽用造形物 | |
JP3070890U (ja) | 植木鉢 | |
KR920004620Y1 (ko) | 화 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