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30000782Y1 -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 Google Patents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82Y1
KR930000782Y1 KR2019900018517U KR900018517U KR930000782Y1 KR 930000782 Y1 KR930000782 Y1 KR 930000782Y1 KR 2019900018517 U KR2019900018517 U KR 2019900018517U KR 900018517 U KR900018517 U KR 900018517U KR 930000782 Y1 KR930000782 Y1 KR 930000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mask
correction unit
mislanding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332U (ko
Inventor
최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00018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782Y1/ko
Priority to US07/799,250 priority patent/US5252889A/en
Priority to JP3316305A priority patent/JP2716898B2/ja
Priority to CN91111195A priority patent/CN1027843C/zh
Publication of KR920010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새도마스크의 도밍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미스랜딩 및 그 보정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와 관련하여 미스랜딩 보정을 바이메탈에 의해 해결하고 있는 종래기술의 요부 참고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스랜딩 보정유니트의 참고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동작곡선도.
제7도 (a)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알기위한 요부 참고도. (b)는 (a)의 C부 확대도, (c)는 (a)의 D부확대도.
제8도는 본 고안에서 새도마스크의 위치변화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스랜딩보정유니트 11 : 경사면부
12a,12b : 평탄단부
본 고안은 칼라수상관에서 새도마스크의 초기도밍현상에 따른 미스랜딩발생을 보정하는 수단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고정하는 마스크 프레임의 내벽과 새도우마스크의 스커트 외벽 사이에서 간단히 부착되어 새도우 마스크의 초기도밍현상에 따른 미스랜딩 보정을 양호히 이룰수 있도록 한 미스랜딩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성관에 관한 것이다.
칼라수상관은 패널 내측벽에 도포된 형광면에 대응한 전자총측으로 새도마스크가 구비되있고, 이 새도마스크는 그 지지용 마스크 프레임등으로 고정지지되어져 있다.
일예로,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 형태는 제1도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화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21)내측에 형광막(24)이 도포되어 있고, 이 형광막(24)에 대응한 전자총(26)측으로 새도우마스크(25)가 마스크프레임(27), 지자계 차폐용 인너쉴드, 탄성부재(22)등과 함께 지지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새도우마스크(25)는 수십만개의 전자빔통과 구멍을 가지고 있고, 이 구멍들은 새도마스크(25)의 유효면적 1/3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총(26)에선 출사된 전자빔은 그 2/3가량이 상기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구멍을 이루는 인접부위에 부닥쳐서 새도우마스크(25)를 때로는 80℃이상까지 가열하게 되며, 이로인해 새도마스크(25)와 형광체면인 형광막(24)과의 상호이격거리를 변화시키게 되고 소위 미스랜딩 현상을 유발케 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일본국 특허공번 소 제44-3547호 등과 같이 바이메탈을 패널(21) 내벽과 마스크 프레임(27) 외측벽과의 사이에 구비시켜 새도마스크(25)와 형광면(24)과의 상대거리 g값을 소정범위로 변화시키도록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새도마스크(25)의 도밍에 따른 미스랜딩이 바이메탈이 구비된 경우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의 차이를 제2도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1구간에서 새도마스크(25)의 온도상승으로 구멍의 위치변화에 따른 미스랜딩량이고, 2구간은 바이메탈에 의해 보상되어진 구간이다.
또, 상기 미스랜딩량 보정의 경우에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1구간에서 칼라수상관을 온(on) 시킨점(t=0)의 새도마스크(25)위치는 5a이고, 새도마스크(25)가 온도상승으로 위치변화된 위치는 5b이다.
그리고, 이때 새도마스크(25)의 구멍을 통해 형광막(24)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경로는 C1에서 C2로 변하고 결과적으로 형광막(24)에 도달하는 전자빔은 △X만큼 변화된 미스랜딩 현상을 유발케 되는 것이며, 이를 바이메탈에 의해 보상할때는 새도마스크(25)→마스크프레임(27)→바이메탈의 경로 열전도시켜 제2도와 같이 t=T이후에서 그 보정이 행해지므로서 바이메탈에 의한 보정시간을 길게 할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즉, 상기 바이메탈에 의한 보정을 초기새도마스크의 동작시 즉각적이며 순응적으로 보상하는데에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져 안출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새도마스크의 초기동작시 미스랜딩보정을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이룰수 있도록 마스크프레임과 새도마스크 스커트 사이에 새도마스크의 스커트측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삽입한 구성의 칼라수상관을 제공코져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과 함께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보므로서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들이 이해되어질수 있을 것이다.
즉,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스랜딩 보정유니트(1)를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일정한 경사면부(11)와, 이 경사면부(11) 단부로 부터 이어져서 평형되어 대칭된 평탄단부(12a, 12b)를 이루고 있는 금속부재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금속부재의 미스랜딩 보정유니트(1)는 적어도 새도마스크(25)의 스커트부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질로 되야한다. 또, 상기 미스랜딩보정유니트(1)는 새도마스크(25)의 스커트부 외벽과 마스크 프레임(27)의 내벽 사이에서 상기 평단부(12a,12b)가 각기 이들 벽면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그 작용 및 효과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미스랜딩 보정유니트(1)는 새도마스크(25)의 스커트부 외벽과 마스크 프레임(27)의 내벽 사이에 구비되어있으므로 상기 새도마스크(25)가 칼라수상관의 초기동작시 열팽창될때 스커트부를 통해 소정열을 전도받는다.
이때, 상기 미스랜딩보정유니트(1)는 상기 스커트부의 열팽창계수보다 훨씬 큰 열팽창 계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7도 (b)와 같이 d2방향으로 U의 크기만큼 이동되며(미스랜딩 보정유니트(1)의 열팽창력-스커트부의 열팽창력), 그 결과 새도마스크(2F)의 하부는 U의 크기만큼 이동되어지고 그 상부는 제7도(a)의 G점을 기점으로 (b)와 같이, Z에서 Z'로 이동된다.
또, 그결과 새도마스크(25)의 주면은 관측방향으로 눌려퍼지는 제7도(c)의 K2형태로 유지된다.
즉, 여기서는 최초상태 K1에서의 구멍위치 0에서 K3의 구멍위치 P로 이동된후 상기 미스랜딩 보정유느트(1)로 K2의 구멍위치 0로 눌림 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미스랜딩보정유니트(1)에 의해 새도우마스크(25) 구멍이 Q로 이동되면 제6도와 같이 초기미스랜딩량을 △X라 할때 △K로 감소하는 것이다.
또, 제6도예의 제2구간에서는 (t=T이후) 종래의 바이메탈에 의한 보상과 동일작용을 하므로서 미스랜딩량을 t=T점부터 화살표 방향(r) 만큼씩 평행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미스랜딩보정유니트(1)의 열팽창 계수를 적절히 조절하므로서 최적으로 미스랜딩이 제거되는 칼라수상관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제8도에는 상기 본 고안에서의 한 중합적인 작용을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최초의의 새도마스크(25)위치가 Kl, 초기상태의 새도마스크위치 K2, 미스랜딩 보정유니트(1)에 의해 보정된 K2, 마스크 프레임(27)의 열팽창으로 변화는 Kl, 바이메탈로 보상된 위치 K5로 되고 그 변화는 K1∼K5의 순서로 보정이 이뤄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칼라수상관의 초기새도마스크 도밍으로 미스랜딩을 야기하는 현상을 보정하는 수단에 있어서, 미스랜딩을 보정하기 위한 바이메탈 수단외에 초기 새도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즉각적이며 신속히 대응하는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새도마스크의 스커트와 마스크프레임 사이에 구비시키므로서 이러한 칼라수상관의 고품위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패널(21) 내벽과 마스크 프레임(27) 사이에 바이메탈을 구비하여 새도마스크(25)의 열팽창에 의한 미스랜딩 보정이 가능케된 칼라수상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마스크(25)의 스커트부 외벽과 마스크 프레임(27) 내벽 사이에는 그의 열팽창 계수가 새도마스크(25)의 스커트부 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미스랜딩 보정유니트(1)를 구비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KR2019900018517U 1990-11-29 1990-11-29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Expired - Fee Related KR930000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517U KR930000782Y1 (ko) 1990-11-29 1990-11-29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US07/799,250 US5252889A (en) 1990-11-29 1991-11-27 Color CRT with means for correcting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JP3316305A JP2716898B2 (ja) 1990-11-29 1991-11-29 ミスランディング補正手段を備えたカラー受像管
CN91111195A CN1027843C (zh) 1990-11-29 1991-11-29 具有误击校正单元的彩色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517U KR930000782Y1 (ko) 1990-11-29 1990-11-29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332U KR920010332U (ko) 1992-06-17
KR930000782Y1 true KR930000782Y1 (ko) 1993-02-25

Family

ID=1930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517U Expired - Fee Related KR930000782Y1 (ko) 1990-11-29 1990-11-29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52889A (ko)
JP (1) JP2716898B2 (ko)
KR (1) KR930000782Y1 (ko)
CN (1) CN102784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5859B2 (en) 2006-06-01 2008-12-16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Headblock and fingerboard sup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0004A (en) * 1995-12-28 1997-10-2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to-frame connection
JP2001185043A (ja) * 1999-12-28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
KR20010096031A (ko) * 2000-04-17 2001-11-07 김순택 칼라 브라운관의 마스크 프레임 지지체
JP3760731B2 (ja) * 2000-07-11 2006-03-29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バンプ付き配線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3246A1 (de) * 1977-03-25 1978-10-05 Licentia Gmbh Farbwahlmaskenanordnung fuer eine farbbildkathodenstrahlroehre
JPS54859A (en) * 1977-06-03 1979-01-06 Matsushita Electronics Corp Color picture tube
US4565945A (en) * 1983-05-11 1986-01-21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Deflection limiting means for CRT mask support means
FR2555808B1 (fr) * 1983-11-25 1986-10-10 Videocolor Masque d'ombre pour tube d'image en couleurs et tube d'image le comportant
US5063325A (en) * 1990-03-16 1991-11-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5859B2 (en) 2006-06-01 2008-12-16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Headblock and fingerboard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332U (ko) 1992-06-17
JP2716898B2 (ja) 1998-02-18
JPH0513017A (ja) 1993-01-22
CN1061868A (zh) 1992-06-10
CN1027843C (zh) 1995-03-08
US5252889A (en) 199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782Y1 (ko) 미스랜딩 보정유니트를 가진 칼라수상관
JPS59141150A (ja) シヤドウマスク式カラ−受像管
KR100319085B1 (ko) 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의훅스프링및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KR9500035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06268B1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열변형보상방법 및 이에 따른 새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KR930009359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19092B1 (ko)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KR930006845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42041B1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음극선관
KR100489608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940005266Y1 (ko) 음극선관 내의 마스크프레임
KR19980037983A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
KR200193433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0177123B1 (ko) 섀도우 마스크
US4524298A (en) Color cathode ray tube incorporating improved thermal compensation type aperture mask supporting means
KR920008708Y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72516B1 (ko) 음극선관
KR100217135B1 (ko) 칼라수상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200882Y1 (ko) 도우밍현상에대응하는음극선관의패널구조
KR10021377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JPH0729502A (ja) 陰極線管用の内部ビーム遮蔽板及び色選別機構組立体
KR19980043256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910003942Y1 (ko) 섀도우마스크 열변형시의 보상구조
KR013193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0780Y1 (ko) 칼라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1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2082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1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5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52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