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20001181Y1 - 속눈섭 교정구 - Google Patents

속눈섭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181Y1
KR920001181Y1 KR2019890018505U KR890018505U KR920001181Y1 KR 920001181 Y1 KR920001181 Y1 KR 920001181Y1 KR 2019890018505 U KR2019890018505 U KR 2019890018505U KR 890018505 U KR890018505 U KR 890018505U KR 920001181 Y1 KR920001181 Y1 KR 920001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eyelash
heat pipe
corrector
secondary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619U (ko
Inventor
안순석
Original Assignee
안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2019890018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181Y1/ko
Publication of KR910010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18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속눈섭 교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본체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전지수장통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관체에 1차 전열관을 삽착시키고, 히터를 삽착시켜서 바로 원형 교정구를 삽착시킬 수 있도록 대응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관체에 1차 전열관을 삽착시키고, 히터를 삽착시켜서 바로 나선형 고정구를 삽착시킬 수 있도록 대응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연결봉을 이용하여 그 길이를 길게 하여 교정구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예시한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2차 전열관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에 각종의 교정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제4도에 있어서, 히터가 삽입된 원형교정구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의 제5도에 있어서, 히터가 삽입된 나선형교정구를 나타내는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관체
3 : 뚜껑체 4 : 히터
5 : 2차 전열관 6 : 1차 전열관
6a, 6b : 요조 8 : 상부삽입공
8' : 하부 삽입공 8a : 단열재
9 : 투과공 11 : 캡
16 : 잭고정구 18 : 결합공
19 : 단차면 20 : 도전체
21 : 스프링 22 : 전지 수장통
23a : 상부도전체 23b : 전열체
23c : 상부 도전체 24 : 육후부
25 : 삽입공 26 : U자형 교정구
27 : 원형 교정구 28 : 나선형 교정구
29 : W자형 교정구 30 : 인두
31 : 가는 솔 32 : 굵은 솔
33 : 빗 37 : 잭
41, 42, 43, 49 : 삽입대 56 : 전방 외나사부
66 : 스프링이탈 방지판 68 : 전원밀착 스프링
69 : 전원 전달판 75 : 접전부
76 : 연결대
본 고안은 속눈섭을 교정할 수 있는 각종의 교정도구를 필요에 따라서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있는 속눈섭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출원된 출원번호 제88-20353호를 개량 고안한 것으로 상기한 출원번호 제88-20353호가 그 구조를 대폭적으로 간단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켰다고는 하나, 아직까지도 그 결합구조가 복잡하며, 복잡한 구조로 인한 조립인력이 많이 들고 또한 불량발생이 많아서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엇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속눈섭 교정구를 제작할때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속눈섭 교정구를 제공하여 전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시키는데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입공을 가진 본체의 전방부의 중심부위에서 연장 형성된 관체의 내부로 히터가 삽착되고 상기 관체의 선단부에 1차 전열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삽착 고정되며 이에 뚜껑체가 삽착되고 후방부에 잭 고정구가 결합된 속눈섭 교정구에 있어서, 단열재가 피복되고, 투광공, 상부삽입공 및 하부삽입공을 가진 2차 전열관을 상기한 1차 전열관에 삽입시키고, 상기한 하부 삽입공의 외측으로 단열재인 U자형 교정구를 삽입하고, 상기한 2자 전열관의 상부 삽입공에 투광공을 가진 캡을 삽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1차 전열관에 직접 단열재인 원형 교정구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1차 전열관에 단열재인 나선형 교정구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2차 전열관의 하부 삽입공에 가는 솔을 삽착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2차 전열관의 하부 삽입공에 굵은 솔을 삽착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2차 전열관의 하부 삽입공에 단열재인 U자형 교정구가 삽착된 인두를 삽착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2차 전열관의 하부 삽입공에 단열재인 W자형 교정구가 삽착된 인두를 삽착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부와 끼움부에 의해 복수의 연결봉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의 일측의 끝단부에는 뽀족부가 타측의 끝단부에는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어 이 끼움공에 빗 또는 상기 인두 등이 삽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이들의 상기한 본체의 삽입공에 체결 보관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속눈섭 교정구의 결합구조를 종래보다 더욱 간편하게 하여 전술한 제반문제점을 해결시키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속눈썹 교정구의 일 실시예는 본체(1)에 나사 결합된 뚜껑체(3), 잭 고정구(16)와 상기 잭고정구(16)와 교환하여 사용할수 있는 전지수장통(22)과 각종 교정도구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구성 부위별로 설명한다.
우선, 본체(1)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전방부의 중심부에서 약간 길게 형성된 관체(2)의 내부로 전구 고정캡(55)으로 씌워져서 끝단부에 접전부 (75)가 형성된 히터(4)를 삽착시키고, 전방측의 외주연에 외나사부(1')를 형성시키며, 이 본체(1)의 중심부에 삽입공(17)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17)과 상기 관체(2)의 내부와 연통시킨다. 상기 삽입공(17)의 개구부측으로단차면(19)을 형성하여, 이에 결합공(18)을 형성하고, 이를 본체(1)의 후방단부로 개구시키고, 이의 내주연에 내나사부(34)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7)의 저편에 구멍이 천설되고, 플랜지부를 가진 환상의 도전체(20)를 삽착시키며, 이에 스프링(21)을 개재시켜서 긴 전구 형태인 히터(4)를 삽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체(1)에 있어서, 관체의 양측 대향으로 요조(6a)(6b)를 형성하고, 고정공(6')이 형성되어 이탈방지 키이(73)와 결합되는 1차 전열관(6)을 상기 관체(2)에 돌출되게 삽입 고정하며,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8')의 외부에 화상방지 카바(15)가 형성된 단열재인 U자형 교정구(26)가 삽입될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한 1차 전열관(6)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요조(6a)(6b)와 대응되는 돌조(미도시)가 내주면에 형성된, 관체 일부에 투광공(9)이 형성된 2차 전열관(5)을 상기 1차 전열관(6)의 돌출부에 끼우며, 여기에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투광공(9)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광공(10)을 가진 캡(11)을 삽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2차 전열관의 하부삽입공(8')을 형성하는 외연부가 가열됨으로써 이것이 인두의 작용을 하는 것이며 U자형 교정구(26)는 화상방지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한 1차 전열관(6)을 상기 본체(1) 성형 제작시에 상기관체(2)의 선단부위로 위치시켜서 관체(2)와 일체가 되게 제작하여도 되는 것이다.
제2도의 잭 고정구(16)는 전방부에 상기 본체(1)의 결합공(18)의 내나사부 (34)와 나사 결합이 되게 외나사부(35)가 형성되며, 이의 전방부 중심부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이 요입부(36)의 저면에는 통상의 전원 연결용 잭(3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잭 고정구(16)의 요입부(36)에 저면을 가진 하부도전체(23c), 환상의 절연체(23b) 및 플랜지를 가진 환상의 상부 도전체(23a)가 순차적으로 삽착되며, 상기한 하부도전체(23c)는 +극으로 히터(4)의 +극과 접촉시키고, 상기한 상부 도전체(23a)는 -극으로 이의 플랜지가 상기한 본체(1)의 삽입공(17)에 삽착된 도전체(20)의 플랜지와 접촉하여 상기한 히터(4)의 -극과 연결된다.
상기한 잭 고정구(16)의 공간부(13a)에는 복수개의 다이오드(51), 슬라이드스위치(52)에 부착된 조작용놉(53), 잭 삽입공(38)을 가진 잭(37)을 내설하여 이를 통상의 방식으로 배선(도시는 생략했음)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뚜껑체(3)는 후방단부를 개구시키서 이의 내주연에 내나사부(13')를 형성시켜서, 상기 본체(1)의 전방측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나사부(1')와 나사결합이 되게 하고, 이 뚜껑체(3)의 내부에 상기 관체(2)를 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공간부(14)가 형성된다. 본체(1)의 전방측으로 육후부(24)를 두고, 이의 전방측에 중심부위에 상기 관체(2)를 돌설시키며 상기 육후부(24)의 전방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삽입공 (25)이 형성된다. 여기에 일측이 개구되고 내주연에 내나사부(13')가 형성된 상기 뚜껑부(3)를 상기 본체(1)의 육후부(24)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외나사부(1')와 나사결합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전지 수장통(22)은 상기한 잭 고정구(16)대신에 상기 본체(1)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지 수장통(22)의 전방측의 외주면에 전방외나사부(56)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환상턱(57)을 형성시키며, 이 환상턱(57)의 직후방 측으로 후방 외나사부(63)를 형성시키고, 이의 내부로 연통되는 공간부(58)를 형성시켜서, 상기 공간부(58)에는 복수개의 다이오드(74), 슬라이드 스위치(61)가 부착된 조작용 놉(62), 삽입공(64)을 가진 잭(37)등을 내설시키며, 또한 전지수장통(2)의 전방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잭 고정구(16)의 전방측의 요입부(36)에 삽착되는 것과 동일한 하부도전체(23c), 절연체(23b), 및 상부도전체(23a)를 역시 순차적으로 삽착시키며, 상기한 하부도전체 (23c)는 +극으로 전지(67)의 +극과 접촉시키고 상기한 상부도전체(23a)는 -극으로 이의 플랜지가 상기한 본체(1)의 삽입공(17)에 삽착된 도전체(20)의 플랜지와 접촉하여, 상기한 전지(67)의 -극과 상기한 공간부(58)에 내설된 것들을 통상의 방식으로 배선(도시는 생략했음)시키고, 상기 외나사부(63)와 나사결합이 되게 이 내주연에 후방 내나사부(59)가 형성된 후방뚜껑(60)을 형성시키며, 상기한 전지수장통(22)이 상단부에 슬라이드 스위치(6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용 놉(62)이 표출되게 하며 상기한 슬라이 스위치(6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쌍의 슬라이드 스위치 고정볼트(65)(65')롤 고정시키며, 상기 전지수장통(22)의 하단부에 삽입공(64)이 형성된 잭을 설치하며, 상기 전지 수장통(22)의 내부에 스프링 이탈 방지판(66)을 형성시켜서, 전지(97)가 부세력을 갖도록 전원밀착스프링(68)을 상기 상기 스프링 이탈방지판(66)에 탄접시키며, 상기한 전지(67)의 끝단부에 전원전달판(69)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전원전달판(69)을 전원 전달판 고정볼트(70)로 후방뚜껑(60)과 함께 고정시키며 후방에 통상의 제조원 라벨(71)이 붙여진다.
또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것은, 상기 본체(1)의 관체(2)의 선단부에 삽착된 1차 전열관(6)에 상기 2차 전열관 대신 바로 원형교정구(27), 나선형 교정구(28)를 삽착시켜서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를 길게하여 사용할때 쓸수 있는 연결대(76)에 관한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봉(44)(45)은 이들이 서로 겉돌아 가는 것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걸림부(46)과 끼움부(47)에 의해 체결되는에 연결봉(44)의 끝단부에는 사각형태의 끼움공(48)이 형성되어 있어서 약간 가는 솔(31)의 삽입대(42), 약간 굵은 솔(32)의 삽입대(43), 인두(30)의 삽입대 (42), 빗(33)의 삽입대(49)가 이 끼움부(48)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의 연결봉(45)에는 끝단부에 뾰족부(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본체(1)의 육후부(24)의 전방단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수개의 삽입공(25)에 삽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본체(1)의 관체(2)의 선단부로 표출된 2차 전열관(5)에 호환성을 가지면서 삽입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의 교정도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한 본체(1)의 관체(2)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12)에 외주면상에 반대방향으로 두개의 요조(6a)(6b)가 형성된 1차 전열관(6)을 돌출되게 삽입하고, 상기한 1차 전열관(6)의 돌출부에 상기한 1차 전열관(6)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조(6a)(6b)와 대등되는 돌주(미도시)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관체 일부에 투광공(9)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사각형태의 하부삽입공(8')이 일체로 형성된 2차 전열관을 삽입하며, 여기에 상기한 2차 전열관의 투광공(9)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광공(10)을 가진 캡(11)이 삽착된다.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각형태의 하부 삽입공(8')에는 삽입대(41)(42)(43)가 부착된 가는 솔(31), 굵은 솔(32) 또는 인두(30)가 교체 가능하게 삽착되며 이때 상기 인두(30)에는 화상방지를 위해 단열재로 구성된 U자형 교정구(26) 또는 W자형 교정구(29)가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2차 전열관은 화상방지를 위해 외주면이 단열재(8a)로 코팅되어 있다.
상기한 인두(30)의 삽입대(41), 가는솔(31)의 삽입대(42), 굵은 솔(32)의 삽입대(43)는 보관시 상기한 본체 육후부(24)의 삽입공(25)에 삽입되어져 보관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를 가정용 전원으로 사용할때에는, 제2도에 나타낸 상태로 본체(1)의 후방측에 형성된 결합공(18)의 내나사부(34)와잭고정구(16)의 전방측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나사부(35)를 나사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1)의 삽입공(17)에 삽착된 도전체(20)의 플랜지과 잭 고정구(16)의 전방측의 요입부(36)에 삽착된 상부 도전체(23a)의 플랜지는 접촉되어 통전상태로 되고, 상기한 상부 도전체(23a)의 후방에 삽착된 절연체(23b)를 사이에 두고 삽착된 하부 도전체(23c)의 저면과 히터(4)의 끝단부를 전원차단판(54)으로 덮고, 상기 히터(4)의 끝단부에 전구 고정캡(55)을 씌운 접전부(75)가 접촉이 되며, 이때에 스프링(21)의 부세력으로 더욱 접촉이 확실해지며, 또한 상기 도전체(20)와 상부 도전체(23a)와 접촉되고, 이것이 히터(4)의 후방의 접전부(75)의 측방과 접촉이 되고, 또한 상부 도전체(23a)와 하부 도전체(23c)와는 각각 도선(도시는 생략)을 통하여, 잭(37)의 대응되는 단자와 연결되고, 이 잭(37)의 후방측으로 형성된 통상의 삽입공(38)에 DC어댑터(도시는 생략)의 단자를 꽂고, 어댑터의 플러그를 가정용 전원에 꽂으면, 전술한 경로를 통하여 히터(4)에 전원이 공급되어 히터(4)는 가열상태로 된다. 이 히터(4)는 본체(1)의 전방단부 중심부에서 연장 형성된 관체(2)의 내부에 삽입되었지만, 이 히터(4)의 가장 발열량이 많은 선단부위에는 1차 전열관(6)과 직접 접촉되어, 이 히터(4)의 열은 손쉽게 1차 전열관(6)을 거쳐서 전도되므로 1차 전열관에 바로 원형 교정구(27), 나선형 교정구(28)를 바로 삽입시켜서, 사용자가 최대로 높은 온도인 상태에서 사용하고 싶을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관체(2)에 중심부로 히터(40가 삽착되고 상기 관체(2)의 선단부에 1차 전열관(6)을 삽착한후, 다시 2차 전열관(5)을 삽착한 다음 캡(11)으로 씌운 관체(2)에 있어서는, 상기한 1차 전열관(6)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조(6a)(6b)와 대등되는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조(미도시)는 전도효과의 증진 및 상기한 1차 전열관(6)과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회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각형태의 하부삽입공(8')에 각종의 속눈섭 교정도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관체(2)와 1차 전열관(6)은 일체로 제작해도 된다.
상기 2차 전열관이 사용된 경우의 작동의 일례를 좀더 상술한다면, 인두(30)의 삽입대(41)를 상기 2차 전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각형태의 하부 삽입공(8')을 꽂으면, 이 인두(30)가 가열되어 상기한 인두(30)를 속눈섭에 살짝 대어 속눈섭을 상향으로 커어링하게 되는데 이때 속눈섭에 로션이나 물을 적당량 바르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한 인두(30)의 단부에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있어서, U자형 교정구(26)나 W자형 교정구(29)를 상기한 인두(30)에 꽂아서 사용할때에도, U자형 교정구(26)나 W자형 교정구(29)가 회동이나 이탈이 되지 않도록 확실한 고정이 되게 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속눈섭에 마스카라를 사각형태의 삽입대(42)(43)가 달린 가는 솔(31)이나 굵은 솔(32)로 찍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방법으로 칠한다. 즉 사용자의 속눈섭에 따라 인두(30), 가는솔(31), 또는 굵은솔(32)을 선택하여 그 삽입대(41)(42)(43)을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부 삽입공(8')에 삽입시키면 상기한 삽입대(41)(42)(43)와 상기한 하부삽입공(8')의 단면이 사각형태가 되어 상기한 인두(30), 가는솔(31), 굵은솔(32)은 회동이 되지 않고 소정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빗(33)의 삽입대(49)를 상기 2차전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각형태의 하부삽입공(8')에 삽입시키도 회동이 되지 않고 소정위치에 정지하게 되며,상기한 빗(33)의 삽입대(49)가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부 삽입공(8')을 통하여 가열을 받게 되어 적당 온도로 상승하면 마스카라칠을 한 속눈섭을 상향으로 빗어올릴때 속눈섭은 자연스럽게 커어링이 되는 것이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난 것처럼, 연결봉(44)의 끝단부가 걸림부(46)를 형성하고, 연결봉(45)의 상단부에 상기 연결봉(44)의 걸림부(46)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47)을 형성시켜서, 상기 걸림부(46)를 상기 끼움부(47)에 삽입하여 연결봉(44)(45)들이 회동하지 않고, 이탈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봉(45)의 하단부에 형성된 뽀족부(50)는 속눈섭이 마스카라에 의하여 상보 붙어 있는 부위를 우산살처럴 갈라놓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방식을 한두번 반복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결봉(44)에는 역시 스스 각형태의 끼움공(4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인두(30), 가는 솔(31), 굵은 솔(32) 및 빗(38)등의 삽입대(41)(42)(43) (49)가 회동이 되지 않고, 소정위치에 정치할 수 있도록 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속눈섭을 교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속눈섭 교정구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상단부에 형성된 투광공(9)으로부터 상기한 히터(4)의 빛이 사용자의 속눈섭 부위로 투사되어 더욱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그리고 외출시나 또한 여행시에는 전지수장통(22)을 본체(1)의 상기한 결합공(18)의 내나사부(34)에 전지수장통(22)의 전방외나사부(56)를 나사결합시키면, 전술한 잭 고정구(16)의 경우와 동일하게 통전상태가 되므로 휴대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종 교정도구는 본체(1)의 전방측으로 형성된 육후부(24)주위에 형성된 수개의 삽입공(25)에 상기한 인두(30), 가는 솔(31), 굵은 솔(32), 빗(33)등을 삽입시킨 후에 상기한 본체(1)룰 뚜껑체(3)에 나사 결합시켜서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효과는, 속눈섭 교정구의 결합구조를 종전보다 더욱 간편하게 하여 제작시의 불량을 줄일 수 있어서,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져올수 있으며, 또한 결합구조를 간편하게 함으로서 가볍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건전지와 일반 가정용 전원을 사용할 때에는 이를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혼돈을 제거시킨 것이며, 특히 본체(1)의 관체(2)의 선단부에 삽착된 2차 전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각형태의 하부삽입공(8')에 각종의 교정도구를 삽입시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손쉽게 자기의 속눈섭을 가장 맵시있게 교정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사용중에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는 안전성을 가진 것이고, 또한, 각종 교정도구 중의 어느 하나가 파손 또는 분실시에 이것만 교체하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사용상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개선시킨 속눈섭 교정구인 것이다.

Claims (8)

  1. 삽입공(25)을 가진 본체(1)의 전방부의 중심부위에서 연장 형성된 관체(2)의 내부로 히터(4)가 삽착되고, 상기 관체(2)의 선단부에 1차 전열관(6)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삽착 고정되며, 이에 뚜껑체(3)가 삽착되고, 후방부에 잭 고정구(16)가 결합된 속눈섭 교정구에 있어서, 투광공(9)과 상부삽입공(8) 및 하부삽입공(8')을 가지며 내주면에 상기 1차 전열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조(6a)(6b)와 결합하는 돌조를 가지며 단열재(8a)에 의해 피복된 2차 전열관(5)이 상기 1차 전열관(6)의 돌출부에 삽착되며, 상기한 하부삽입공(8')의 외측으로 단열재인 U자형 교정구(26)가 삽입되고,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투광공(9)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광공(10)을 가진 캡(11)을 상기 2차 전열관의 상부 삽입공(8)에 삽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2. 삽입공(25)을 가진 본체(1)의 전방부의 중심부위에서 연장 형성된 관체(2)의 내부로 히터(4)가 삽착되고, 상기 관체(2)의 선단부에 1차 전열관(6)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삽착고정되며, 이에 뚜껑체(3)가 삽착되고, 후방부에 잭 고정구(16)가 결합된 속눈섭 교정구에 있어서, 상기한 1차 전열관(6)에 단열재인 원형교정구(27)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1차 전열관(6)에 단열재인 나선형 교정구(28)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부 삽입공(8')에 가는 솔(31)의 삽입대(42)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부 삽입공(8')에 굵은 솔(32)의 삽입대(43)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부 삽입공(8')에 단열재인 U자형 교정구(26)가 삽착된 인두(30)의 삽입대(41)를 삽착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2차 전열관(5)의 하부 삽입공(8')에 단열재인 W자형 교정구(29)가 삽착된 인두(30)의 삽입대(41)를 삽착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1)의 육후부(24)에 원주방햐으로 다수개의 삽입공(25)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에 상기 인두(30), 가는솔(42), 굵은솔(32)의 각 삽입대 (41)(42)(43), 또는 걸림부(46)와 끼움부(46)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일측 단부에 뾰족부(50)을 갖고 타측 단부에 사각 끼움공(48)을 갖는 연결봉(44)(45)이 삽입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섭 교정구.
KR2019890018505U 1989-12-06 1989-12-06 속눈섭 교정구 Expired KR920001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505U KR920001181Y1 (ko) 1989-12-06 1989-12-06 속눈섭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505U KR920001181Y1 (ko) 1989-12-06 1989-12-06 속눈섭 교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619U KR910010619U (ko) 1991-07-29
KR920001181Y1 true KR920001181Y1 (ko) 1992-02-14

Family

ID=1929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505U Expired KR920001181Y1 (ko) 1989-12-06 1989-12-06 속눈섭 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1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619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3396B2 (ja) まつげの成形具
US4298913A (en) Illuminating apparatus
US8563904B2 (en) Heated eyelash curler
CA2114814C (en) Turn knob lampholder
JP2002537870A (ja) まつげ美容器具
JPS633807A (ja) 電熱型カ−ルアイロン
US2104888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920001181Y1 (ko) 속눈섭 교정구
US3581055A (en) Curling bobbin and heater
US2292038A (en) Combined attachment cap and lamp holder
KR910002682Y1 (ko) 속눈섭 교정구
JPS631827Y2 (ko)
US1702135A (e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ion
US2302031A (en) Photographic apparatus
US1938039A (en) Electric fitting
US2164529A (en) Portable electric head lamp
US2667550A (en) Electric light flasher
KR970004258Y1 (ko) 회전식 콘센트
KR900009652Y1 (ko) 다목적 속눈썹 교정구
US1536246A (en) Assembly for curling irons
US1992140A (en) Flash light
US2541941A (en) Dry cell container and lamp holding clip combined
US1607049A (en) Socket-plug switch
US1927293A (en) Electric socket
KR200290438Y1 (ko) 모발 셋팅용 핀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12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9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7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72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