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20007561B1 - 재봉기의 상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상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61B1
KR920007561B1 KR1019850004342A KR850004342A KR920007561B1 KR 920007561 B1 KR920007561 B1 KR 920007561B1 KR 1019850004342 A KR1019850004342 A KR 1019850004342A KR 850004342 A KR850004342 A KR 850004342A KR 920007561 B1 KR920007561 B1 KR 92000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ng
sliding body
sewing machine
up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434A (ko
Inventor
숄 한스
Original Assignee
콕흐스 아들러 아게
율겐 샥크, 한스 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콕흐스 아들러 아게, 율겐 샥크, 한스 숄 filed Critical 콕흐스 아들러 아게
Publication of KR86000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4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the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상부 이송장치
제1도는 부분적으로 파단표시된 재봉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Ⅱ에 따르며 카버가 제거된 재봉기의 두부의 정면도.
제3도는 카버이외에도 지지 후레임이 제거되었으며 제2도에 대응하는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Ⅳ에서 본 이 발명에 따르는 주요구성부품의 확대된 분해 사시도.
제5a 및 제5b도는 상이한 매개변수와 관련하는 압금(presser feet)의 운동경과의 도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봉기 3 : 아암
7 : 핸들바퀴 8 : 크랭크
13 : 침봉 23, 76, 89 : 축
25 : 회전계수 51 : 고정링
60 : 카버 67 : 스라이드
79 : 롤러 83 : 재료이송치
87 : 루우퍼
이 발명은 이송압금(presser feet)과 이 이송압금과 번갈아 가면서 공동작용을 하는 지지압금을 가지며 전동장치와 그 전동장치에 요동구동장치를 거쳐서 연결되어서 침판(針板)의 방향에 하중을 받는 삼각레버에 의하여 재봉기의 침판에 수직으로 되어 있는 승강운동이 이들의 양방의 압금을 주어지는 그러한 재봉기의 상부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 422 398호에서 이와 같은 상부 이송장치가 공개되었는데 여기서 이송운동을 행하는 압금 및 이것과 교호로 공동작용하는 압금에 다소자(多素子)전동장치에 의해 삼각레바를 걸쳐서 재봉기의 침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는 승강운동이 주어진다.
상기의 승강운동의 속도는 압금의 내려앉는 시기 동안에 0에 접근한다. 전동장치내에서는 운전특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안내봉 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의 변속비가 전동장치에 대하여 2배의 주기를 가지고 작용하는 관절전동장치에 의하여 변경되어질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거의 수선보수를 하지 않고도 높은 재봉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마모가 적은 상부 이송장치에 레버-구동장치가 얻어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관절전동장치는 아암축(arm shaft)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의 편심륜을 가지며 상기의 편심륜은 편심륜봉, 요동편, 연결편 및 요동레버를 거쳐서 안내봉 변속장치에 결합되어서, 연결편과 요동편과의 사이의 관절계수가, 연결편의 신장된 위치와 이것에 결합되는 요동편의 아암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2점의 사이에 요동운동을 행한다.
이 공지된 구성은 가공편의 두께가 변동할 때 2개의 압금의 교대시점도 역시 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나아가서는 재료의 두께가 변할 때 압금의 행정높이도 변한다. 압금의 행정높이가 변할 때 이것은 다시 압금의 교대시점을 변경한다.
행정높이의 설정이 다르면 2개의 압금의 행정의 비도 변한다. 대단히 작은 행정 및 대단히 큰 행정에서는 불리한 전달비가 생기므로 행정높이의 변화의 크기는 가변전동 장치의 기본구상에 의하여 운동학적으로 한정된다. 나아가서는 압금의 교대시점은 서로 무관계하게 선정되어질 수 없다.
또 특히 유리한 운동경과를 얻기 위한 가속도의 자유로운 선택은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수많은 구성부품과 유격없이 구성되는 관절계수가 필요하다.
이 발명의 목적은 압금이 가장 적합하게 구동가능하도록 최초에 주어진 종류의 상부이송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라서 전동장치는 삼각형 레바에 연결된 요동전동장치와 공동작용하는 켐기어에 의하여 형성된다. 켐기어의 상응하는 고안에 의하여 최적의 가속도와 이로서 예를 들면 압금의 특히 부드러운 내려앉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켐기어의 특별히 조용한 가동과 높은 안정성이 얻어진다.
요동구동장치가 병진운동이 가능한 접동체(Slilder)를 가진다면 그리고 접동체가 압금의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움직일수가 있다면 대단히 유리할 것이다.
더구나 압금의 변경시점이 영향받는 일이 없이 압금의 변동가능한 행정높이를 얻기 위한 조처들이 있다.
근본적으로 이들 조처들은 삼각 레바에 연결된 요동구동장치와 공동작용하는 켐기어에 의하여 형성된 구동장치와 무관하게 역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랭크 전동장치가 켐기어 대신에 역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가공편에 관련하여 압금의 행정높이가 변동되는 일이 없이 그리고 변경시점이나 또는 부드러운 운동에 영향을 하는 일이 없이 가공편의 상이한 두께에 따라 자동적인 조정을 허용하는 특징들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제 설명되어질 우선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나타난 것이다. 도면에 의하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베드(bed)(2)와 아암(3)을 가지는 재봉기(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아암(3)은 한편으로는 지주(4)를 거쳐서 베드(2)에 결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두부(5)에서 끝나고 있다. 아암(3)내에는 아암축(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아암축의 단부에는 지주(4)축을 향하여 핸들바퀴(7)가 고정되어 있다. 두부(5)의 범위에는 아암축(6)에 크랭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크랭크는 연결봉(10)을 회전가능하게 끼우기 위하여 크랭크핀(9)를 갖는다.
연결봉(10)의 자유단은 침봉체부(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침봉체부편은 수직으로 배열된 침봉(13)에 고정나사(12)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침봉(13)의 하단에 침봉(13)은 바늘(14)을 가지고 있다. 침봉(13)은 그의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요동후레임(15)에 지지되어 있다. 침봉 요동 후레임(15)은 아암축(6)에 대하여 평행한 지지핀(16)을 사용하여 두부(5)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체(17)에 요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지지핀(16)과 지지체(17)는 침봉(13)의 상부에 그리고 이 침봉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요동후레임(15)은 침봉체부편(11)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침봉지지체(18)과 하부침봉지지체(19)를 가지고 있으며 하부침봉지지체(19)에는 침봉(13)이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침봉요동후레임(15)의 하부범위에는 지지핀(20)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핀 위에는 인장봉(21)이 요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인장봉(21)의 타단에는 레바(22)가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레바의 자유단은 다시 축(23)에 회전이 안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이 축은 아암(3)에 있는 아암축(6)에 관하여 축이 평평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3)의 내부에는 축(23)에 레바(24)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레바는 회전계수(25)를 거쳐서 또다른 인장봉(26)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계수(25)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는 인장봉(26)이 링(27)을 가지고 있으며 이 링은 아암축(6)에 상대회전이 안되게 결합된 편심륜(28)의 둘레에 끼워져 있다. 편심륜(28)으로부터 인장봉(26), 레바(24) 및 (22) 그리고 인장봉(21)을 거쳐서 요동후레임(15) 따라서 침봉(13)의 요동운동이 침봉(13)의 승강운동에 동기가 되어 행하여 진다.
하부침봉지지체(19)에 인접해서 요동 후레임(15)의 하부 범위에는 침봉(13)에 대하여 평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재료압봉(30)을 지지하기 위한 접동지지체(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재료압봉(30)의 하단에는 나사(32)를 사용하여 압금(31)이 고정되어 있다. 이 압금(31)은 바늘(14)의 통과를 위한 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움직일 수 있는 압금(31)은 그의 하측에 예를 들면 톱니의 형태로 되어 있는 형상부(34)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바늘(14)과 움직일 수 있는 압금(31)은 요동후레임(15)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규정하여진 요동평면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3도에서는 이 요동평면이 화살표(35)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두부(5)에는 두부(5)에 고정하여 배열된 지지부시(37)에 또다른 재압봉(36)이 지지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재료압봉(36)은 다만 그의 종방향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재료압봉(36)으로 불리어진다.
고정재료압봉(36)의 하단에는 나사(39)를 사용하여 압금(38)이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다. 이 압금(38)은 2개의 웨브(40)을 가지고 형성되며 이 웨브들을 개구(33)과 형상부(34)를 가지는 움직일 수 있는 압금(31)의 하부범위(41)를 유격을 가지고 그 웨브들 사이에서 수용되어 있다.
침봉 요동 후레임(15)에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이 요동후레임과 함께 움직일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재료압봉(30)은 접동지지체(29)의 바로 상부에 위치한 재료압봉의 상단에 부가편(付加片)(42)를 가지고 있다. 이 부가편(42)에는 지지핀(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핀에는 관절레바(44)가 요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관절레바(44)의 타단은 각형레버(47)의 일단(46)에 핀(45)을 거쳐서 관절연결되어 있다. 고정재료압봉(36)에는 지지불록(48)이 멈춤나사(49)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불록(48)에는 지지핀(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핀(50)에는 강형레바(47)가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고정륜(51)을 사용하여 축선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재료압봉(36)은 상방에로 두부(5)의 벽을 관통하여 뻗치고 있다. 여기서 이 재료압봉(36)은 상방에로 두부(5)의 벽을 관통하여 뻗치고 있다. 여기서 이 재료압봉(36)은 두부(5)에 죄어져 있는 조절나사(52)에 의하여 안내되어 있다. 조절나사의 하부전면(53)에는 압축스프링(54)가 지지되어 있으며 이 압축스프링은 재료압봉(36)을 둘러싸고 있다.
압축스프링(54)의 자유단은 지지불록(48)의 상부전면(55)에 지지되고 있다. 압축스프링(54)의 예하중은 조정나사(52)를 두부(5)내로 상이한 깊이로 나사돌림에 의하여 변동될 수가 있다.
특히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형레버(47)는 대체로 수평으로 뻗쳐진 일단(46)이외에 대체로 상방으로 뻗치고 있는 타단(56)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타단(56)에는 스라이드불록(58)이 힌지점으로서의 핀(57)에 의하여 힌지연결되어 있다. 이 스라이드불록(58)은 안내부재로서 수직으로 뻗어있는 안내부(59)에 이동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두부(5)의 전면은 착탈가능한 카버(60)에 의하여 덮혀있다. 이 카버(60)에 바로 이어서 나사(62)에 의하여 지지후레임(61)이 두부(5)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축(6)의 하부범위에는 베어링후레임(61)에 내측으로 뻗고 있으며 서로 일적선을 이루고 있는 2개의 돌기(63),(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63),(64)에는 나사(66)를 사용하여 안내부분(65)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안내부분에는 안내웨브(68),(69)를 사용하여 접동체(67)가 제2도에 따르는 평면에서 수평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수직으로 뻗치고 있는 안내부(59)는 접동체(67)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라이드불록(58)이 그 안에서 거의 유격이 없이 이동할수 있게 안내되도록 하는 칫수를 가지고 있다.
접동체(67)에는 안내부(59)에 평행하게 뻗쳐있으며 하나의 홈으로서 형성된 또다른 안내부(70)가 배열되어 있다. 이 안내부(70)는 거의 유격이 없이 가능하도록 스라이드 불록(71)을 수용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스라이드불록(71)은 레바(73)의 표면(72)상에 회전할수 있고 종방향으로 조정할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바(73)에는 부가나사(75)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장방형구멍(7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견부나사(75)는 표시되지 않은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질수 있다. 레바(73)에서 스라이드불록(71)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하는 것에 의해, 이 레바의 유효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레버(73)는 축(76)의 일단에 회전이 안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이 축은 아암축(6)이 평행하게 뻗쳐 있으며 아암(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축(76)의 타단은 핸들바퀴(7)의 범위에서 아암(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축(76)의 이 단부에는 레바(77)가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레바(77)는 롤러(79)를 수용하기 위한 핀(7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79)는 핸들바퀴(7)에 보지되는 곡선판(81)의 폐곡선통로(80)에 유격을 가지고 안내되어지고 있다.
상기의 곡선판(81)은 나사(82)에 의하여 핸들바퀴(7)에 고정적으로, 다만 교환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베드(2)에는 압금(31)의 하부범위(41)에 대하여 대칭으로 하부의 재료이송치(移送齒)가 설치되어 있다. 재료이송치(83)는 베드(2)에 형성된 침판(85)에 있는 절결홈(84)을 통하여 돌출하고 있다. 나아가서는 재료이송치(83)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봉(86)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봉은 공지된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는 이송전동장치에 의해 왕복 및 승강운동되어지므로 그 결과로 재료이송치(83)는 재봉기(1)의 운전시에 장방형운동이라고 불리우나 실제는 타원형운동을 행한다.
바늘(14)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쇄선으로 도시된 가공편(88)에서의 봉합선을 생성하기 위하여 침판(85)의 밑에 베드(2)내에 설치되어있는 루우퍼(87)와 협동작업을 한다.
왕복운동을 하면서 구동할수 있는 압금(31)의 하부범위(41)는 재료이송치(83)에 대응하여, 이들의 사이에 가공편(88)이 끼워져 있다. 이에 반하여 요동할수 없는 압금(38)의 웨브들(40)은 다만 침판(85)내지 이 핌판에 놓여있는 가공핀(88)과만 접촉한다.
루우퍼(87)구동은 베드(2)에 지지되어 있는 축(89)을 거쳐서 행하여 지며, 이축(89)은 치차부 전동벨트(90)에 의해 아암축(6)으로부터 구동가능하다. 이들로부터 이송치(83)용의 도시되지 않은 이송전동장치의 구동도 유도된다.
진술한 재봉기(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핸들바퀴(7)가 회전하면 침봉(13)이 승강구동된다. 편심륜(28), 인장봉(26), 레바(24), 축(23), 레바(22) 및 인장봉(21)을 거쳐서 요동후레임(15)이 제2도 및 3도에 의한 도면의 면내에서 요동구동되며, 이 요동운동은 재료이송치(83)의 이송운동에 정확하게 상응한다. 요동 후레임(15)이 화살표(35)의 방향으로 요동을 시작하는 순간에 바늘(14)은 가공편(88)에 들어간다. 재료압봉(30)은 압금(31)과 동시에 요동후레임(15)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공편(88)내에서 바늘(14)이 그 바늘의 하사점을 통과하는 동안에 가공편(88)은 압금(31)과 재료이송치(83)에 의하여 화살표(35)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한 이송장치는 소위 바늘 이송 장치로서 알려져 있다.
압금(31)은 동일한 이송운동을 수행하므로 이것은 이송압금(31)으로 불리우며 부속하는 재료압봉(30)도 역시 재료압봉으로 불리운다. 가공편(88)이 화살표(35)의 방향으로 전진하는 동안에 가공편(88)에 계속적으로 마찰력이 가해지지 않게하기 위하여 두부(5)에 지지되는 압금(38)을 가공편(88)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압금(38)과 부속하는 재료압봉(36)은 베드(21)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는 이 상승운동을 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베드(2)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이들은 유지압금(38) 및 유지재료압봉(36)으로 불리우고 있다.
가공편(38)의 이송운동이 종료된후, 즉 바늘(14)는 이미 상부를 향하여 가공편(88)로부터 인출되고 있는 시점에 재료이송치(83)는 하부로 침하한다. 동시에 이송압금(31)은 올려진다. 이송압금(31)의 상승은 유지압금(38)이 이미 침판(85)에 대하여 가공편(88)을 눌러서 그 결과로 상응하는 마찰력에 기인하여 가공편(88)이 베드(2)에 관련하여 이송되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때에 일어난다.
압금(31) 및 (38)의 교호적인 상승과 하강은 곡선판(81)에 있는 곡선통로(80)의 상응한 구조에 의하여 생기는 요동축(76)의 회전 요동운동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이 축(76)의 회전 요동운동은 요동레바(73)를 거쳐서 유지재료압봉(36)의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향하고 재료압봉(30,36)에 의하여 설정된 평면에 관하여 평행으로 지나가는 접동체(67)의 수평의 병진요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접동체(67)는 스라이드불록(58)을 거쳐서 각형레바(47)에게 멈춤나사(49)주위로 요동운동을 부여하며 그 결과로 각형레버(47)의 수평으로 뻗쳐있는 일단(46)은 양방의 재료압봉(30),(36)에게 고호하면서 반대로 향하여진 승강운동을 부여한다. 양방의 재료압봉(30),(38)과 관절레바(44)를 가지는 각형레바(47)로 되어있는 전체의 시스템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압축스프링(54)에 의하여 베드(2) 내지 침판(85)에 향한 방향으로 눌려지므로 2개의 압금(31),(38)의 이교호의 승강운동시에, 그의 일방이 가공편(88)위에 지지되고 그결과 타방의 압금이 떨어진다.
상기한 시스템은 접동체(67)의 안내부(59)내에서 스라이드불록(58)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할수 있으므로 가공편(88)의 두께의 자동적인 보정이 이루어지며 즉 재봉기에 의하여 미리 주어진 조정의 범위내에서 가공편의 두께를 보정할 필요가 없다.
가공편의 상이한 두께의 경우에도 압금(31) 및 (38)의 행정높이는 가공편의 상부표면에 관련하여 일정하게 머무른다. 역시 교체시점 즉 한편의 압금이 가공편(88)상에 올려지든가 또는 타방이 이것으로 떨어지든가 또는 그의 역의 시점도 불변한다. 재료압봉(30) 및 (36)의 행정높이의 변화는 레바(73)상에 있는 스라이드불록(7)의 조절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그러한 조절은 장방형구멍(74)에 겹쳐있는 접동체(67)의 절결홈(91)을 통과한 나사드라버에 의하여 쉽게 이를 수 있다. 그러한 행정높이의 조절 즉 재료압봉(30),(36)의 행정의 그러한 설정의 때에도 그들의 교대시점은 변하지 않는다.
곡선통로(80)를 가지는 곡선판(81)와 축(76)에 고정되어 있으며 롤러(79)를 가지는 레바(77)는 곡선전동장치를 형성한다. 곡선통로(80)의 적당한 형상에 의해 압금(31) 내지 (38)은 비교적 부드럽게 가공편(88)상에 올려지며 그래서 소위 충돌완화가 이루어진다.
곡선통로(80)의 적당한 구성과 핸들바퀴(7)에의 곡선판(81)의 적당하게 정확한 각도배치에 의하여 재봉기의 기타의 운동경과에 압금(31) 및 (38)의 상승 및 하강을 운동학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게 한다.
나아가서는 곡선통로(80)의 적당한 윤곽형성에 의해 가속도의 갑작스런 변동을 피할수 있게하며 그 결과로 재봉기의 부드러운 운전과 곡선전동장치의 높은 하중 안정성이 얻어진다.
다만 직선적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접동체(67)와 스라이드불록(71) 및 (58)을 가지는 안내부(70) 및 (59)에 의하여 형성된 직선안내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이한 가공편 두께와 상이한 행정에서도 역시 전술한 변경시점의 불변성이 얻어진다.
양압금(31) 내지 (38)의 상이한 행정이 곡선통로(80)의 적당한 구성에 의해 얻어진다고 할지라도 전체로서 행정변화가 행하여지더라도 행정비는 일정하다.
이 운동의 그 이상의 상세는 제5a도 및 5b도의 선도에 의해 설명한다. 여기서 "행정"이란 행정최대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도시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양방의 압금(31) 및 (38)의 바라는 바의 행정이 같은 크기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제5a도에서 아암축(6)의 회전각도(W)에 관하여 압금(31) 및 (38)의 행정운동(H)이 표현되었으며 이때에 이들의 행정최대치를 (H1)으로 표시되었다. 유지압금(38)의 행정은 실선(38a)에서 표시되며 한편 이송압금(31)의 행정은 파선(31a)에 의하여 그려졌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각(W1)을 통과한 후에 이송압금(31)이 떨어지며, 그것으로부터 또 회전각(W2)에 걸쳐서 상승되어 있을 때 유지압금(38)은 가공편(88)의 상면에 하강하고 있다. 이 경우 W1+W2=360°이다. 가공편(88)이 두께 "a" 혹은 "b"를 갖는가에 무관하게 동일한 행정(H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단순화를 위하여 제5a도에서는 가공편의 상부표면이 횡좌표축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제5b도에서는 아암축(6)의 회전각도(W)에 대하여 행정의 운동(H)이 각각 압금(31),(38)의 각각 상이한 최대치(H2),(H3)에 대하여 도해되었으며 이들 최대치는 레바(73)에 위치된 스라이드불록(71)의 조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지압금(38)의 변위는 행정(H2)에 대해서는 실선 38b에 의하여 그려져 있으며 다른 행정(H3)에 대하여는 실선 38c에 의하여 그려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송압금(31)의 변위는 행정(H2)에 대해서는 파선(31b)에 의하여 그려지며 행정(H3)에 대하여는 파선 31c에 의하여 그려졌다. 이것으로부터 행정비와 역시 회전각도(W3) 및 (W4)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서는 제5a도 및 5b의 선도에 의하여 압금(31),(38)은 가공편(88)위에서 기의 "영"에 가까운 속도로서 올려진다는 것이 도해로부터 명백하다.

Claims (8)

  1. 이송압금 및 이것과 교호적으로 공동작용하는 유지압금을 가지며, 전동장치와 이것에 요동구동장치를 거쳐서 연결된 침판의 방향에 하중을 받는 삼각레버에 의하여 재봉기의 침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는 승강운동이 양방의 압금에 주어지는 재봉기에서의 상부이송장치에 있어서, 요동구동장치는 하나의 접동체(67)를 가지며 이접동체는 압금(31,38)의 운동방향에 평행한 접동체(67)내에 설치된 안내부를 거쳐서 삼각레버(각도레버 47)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상부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요동구동장치는 접동체(67)를 가지며 이접동체와는 구동장치가 하나의 요동레버(73)을 가지는 요동축(76)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요동축은 접동체 안내부(70,71)를 거쳐서 접동체(67)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요동축(76)으로부터의 접동체(71)의 거리는 변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접동체안내부(58,59)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접동체(71)는 요동레버(73)의 장공(74)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접동체안내부(70,71)는 압금들(31,38)의 교환의 시점에 장공(74)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이송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동체(67)는 안내부(65)를 사용하여 직선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이송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동체(67)는 압금(31,38)의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구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부이송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곡선전동장치(77-8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삼각레버(각도레버 47)의 하중부하는 압금(5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이송장치.
KR1019850004342A 1984-06-28 1985-06-19 재봉기의 상부 이송장치 KR920007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42384.33 1984-06-28
DEP3423843.3 1984-06-28
DE3423843A DE3423843C2 (de) 1984-06-28 1984-06-28 Obertransportvorrichtung an einer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434A KR860000434A (ko) 1986-01-28
KR920007561B1 true KR920007561B1 (ko) 1992-09-07

Family

ID=623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342A KR920007561B1 (ko) 1984-06-28 1985-06-19 재봉기의 상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16586A (ko)
JP (1) JPS6112959A (ko)
KR (1) KR920007561B1 (ko)
DE (3) DE3423843C2 (ko)
IT (1) IT11851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4004A1 (de) * 1987-07-21 1989-02-02 Kochs Adler Ag Naehmaschine mit nadelstangen-schwingrahmen
DE3724788A1 (de) * 1987-07-27 1989-02-16 Pfaff Ind Masch Obertransporteinrichtung an naehmaschinen
JPH07114864B2 (ja) * 1988-01-29 1995-12-13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上送り機構
JPH01305990A (ja) * 1988-06-03 1989-12-1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ミシンの布押え装置
US5074231A (en) * 1990-12-19 1991-12-24 Thompson Elmer R Sewing machine and synchronizing attachment therefor
JPH04259486A (ja) * 1991-02-14 1992-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H04314493A (ja) * 1991-04-12 1992-11-05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上送り装置
DE29809192U1 (de) 1998-05-20 1998-07-23 KSL Keilmann Sondermaschinenbau GmbH, 64653 Lorsch Nähmaschine
DE10234251C1 (de) 2002-07-27 2003-10-09 Duerkopp Adler Ag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ähgutteils auf dessen Unterseite und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185393B2 (ja) * 2003-04-16 2008-11-26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プレッサ装置
JP4921093B2 (ja) * 2006-01-16 2012-04-18 Juki株式会社 ミシン
BR112013019308A2 (pt) 2011-02-01 2020-10-27 3M Innovative Propereties Company interface passiva para um dispositivo eletrônico de memória
DE102012207257B4 (de) * 2012-05-02 2014-01-16 Minerva Boskovice A.S. Näh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2731C2 (de) * 1973-10-20 1975-12-04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Nähmaschine mit Stoffschieberantrieb
DE2620209C3 (de) * 1976-05-07 1979-01-04 Due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Nähmaschinenobertransportvorrichtung
US4341172A (en) * 1979-10-03 1982-07-27 Thompson Elmer R Sewing machine conversion apparatus
EP0046814B1 (de) * 1980-08-22 1985-08-14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Obertransporteinrichtung an einer Nähmaschine
DE3043141C2 (de) * 1980-11-15 1983-12-15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Nähmaschinen-Obertransportvorrichtung
DE3119716C1 (de) * 1981-05-18 1982-11-04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Obertransporteinrichtung an einer Nae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23843C2 (de) 1987-04-30
JPS6112959A (ja) 1986-01-21
DE3448021A1 (de) 1986-04-24
US4616586A (en) 1986-10-14
IT8521327A0 (it) 1985-06-27
KR860000434A (ko) 1986-01-28
DE3448022A1 (de) 1986-04-24
JPS6331236B2 (ko) 1988-06-22
IT1185126B (it) 1987-11-04
DE3423843A1 (de) 198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561B1 (ko) 재봉기의 상부 이송장치
US4116145A (en) Upper fabric feed device for sewing machines
EP0427872B1 (en) Lever having a fulcrum freely movable along a translation axis and mechan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2560C (zh) 缝纫机的压脚高度调节装置
US4160409A (en) Drive for the movable work component, such as the ram of a press, stamping machine or the like
JP2501963B2 (ja) 加工機械
KR920003621B1 (ko) 긴 플레이트 부재 형성 장치
JPH06114599A (ja) プレス機の動力伝達装置
CZ3390A3 (en) Tool spindle driving device
US6477945B1 (en) Double-action mechanical press
US6405576B1 (en) Linear slide press machine
US6247399B1 (en) Press machine
JPH0240351B2 (ko)
US4508043A (en) Presser foot device on a sewing machine
US4728253A (en) Apparatus for advancing and returning feed bars for a transfer press
JP4291896B2 (ja) プレス機
JPH11245096A (ja) スライダリンクプレス
JP5481692B2 (ja) 材料送り装置
US2823446A (en) Filing machine
JP4274629B2 (ja) プレス機
KR960001822B1 (ko)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바늘대를 구비한 재봉기
JP2729411B2 (ja) プレス機の送り調整装置
JP4184541B2 (ja) グリッパフィード装置
JPS646000B2 (ko)
JPS6268628A (ja) 材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