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13B1 - Corresponding record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compact disc prayer - Google Patents
Corresponding record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compact disc pra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7513B1 KR920007513B1 KR1019890016422A KR890016422A KR920007513B1 KR 920007513 B1 KR920007513 B1 KR 920007513B1 KR 1019890016422 A KR1019890016422 A KR 1019890016422A KR 890016422 A KR890016422 A KR 890016422A KR 920007513 B1 KR920007513 B1 KR 9200075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ct disc
- signal
- digital audio
- audio tape
- tape record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녹음회로도.1 is a synchronous recording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이다.2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동기녹음키이 2 : 녹음회로1: Synchronous recording key 2: Recording circuit
3, 13 :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 4, 14 : 발진기3, 13:
5, 6, 15, 16 : 버퍼 7, 17 : 대역필터5, 6, 15, 16: Buffer 7, 17: Band filter
8, 18 : 파형정형기 11 : 재생키이8, 18: waveform shaper 11: play key
12 : 오디오 출력회로 19, 20 : 증폭기12: audio output circuit 19, 20: amplifier
100 : 동기녹음 개시신호 송신부 200 : 동기녹음 개시신호 수신부100: sync recording start signal transmitter 200: sync recording start signal receiver
300 : 재생개시완료 송신부 400 : 재생개시완료 인지부300: playback start completion transmitter 400: playback start completion recognition unit
본 발명은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동기녹음키이를 누르므로써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을 개시함과 동시에 컴팩트 디스크음이 출력되는 시점에서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동기녹음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recording circuit for starting playback of a compact disc player by pressing a synchronous recording key of a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simultaneously starting a recording operation of a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t the time when a compact disc sound is output.
컴팩트 디스트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디스크음을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에 녹음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동기 입출력 회로가 필요한 바, 이러한 동기 입출력 회로의 구성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실용화 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In order to record the disc sound played on the compact disc player to the digital audio tape, a separate synchronous I / O circuit is require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ynchronous I / O circuit is very expensive, there is a drawback that has not been put to practical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간단한 회로구성으로서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에 컴팩트 디스크음을 녹음시키기 위한 동기녹음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nchronous recording circuit for recording a compact disc sound on a digital audio tape with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구성도인바, 이는 라인 입력단자(Lin)를 통해 컴팩트 디스크음을 수신하는 이를 녹음하는 녹음회로(2)를 구비한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와, 마이컴의 제어하에서 컴팩트 디스크음을 라인 출력단자(Lout)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회로(12)를 구비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의 동기녹음회로이다.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igital audio tape recorder (DAT) having a recording circuit (2) for recording a compact disc sound through a line input terminal (Lin) and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he synchronous recording circuit of the compact disc player (CDP) having the audio output circuit 12 for outputting the compact disc sound through the line output terminal Lout.
본 발명에 따른 동기녹음회로는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측에 내장되어 동기녹음키이(1)의 작동시 한개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와, 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를 입력하열 발진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진기(4) 및 버퍼(5)로 구성되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라인 입력단자(Lin)를 통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측에 동기녹음 개시신호를 전송하는 동시녹음 개시신호 송신부(100)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측에 내장되며 송신부(100)에서 출력되어 라인 출력단자(Lout)를 통해 입력된 동기녹음 개시신호를 수신하는 버퍼(6)와, 발진기(4)에서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가 통과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되도록한 대역 필터(7)와, 대역 필터링된 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파형정형기(8), 및 직류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개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10)로된 동기녹음 개시신호 수신부(200)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측에 내장되어 동기녹음 개시신호의 수신시 마이컴에서 발생된 재생개시완료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3)와,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발진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발진기(14), 및 버퍼(5)로 구성되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의 라인 출력단자(Lout)와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의 라인 입력단자(Lin)를 통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측에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개시완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생개시완료 송신부(300); 및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측에 내장되어 재생개시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버퍼(16)와, 발진기(14)에서 출력된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대역필터(17) 및, 대역필터(17)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파형정형기(18)로 구성되어 컴팩트 디스크음을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에 녹음하기 위한 재생 개시완료 인지부(400)로 구성된다.The synchronous record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nostable multivibrator (3) which is built in the digital audio tape recorder (DAT) side and generates one pulse signal when the
우선 컴팩트 디스크음을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에 녹음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측의 라인 입력단자(Lin)와 컴팸트 디스크 플레이어측의 라인 출력단자(Lout)를 상호연결해두어야 한다.First, in order to record a compact disc sound on a digital audio tape, the line input terminal Lin on the digital audio tape recorder side and the line output terminal Lout on the spam disk player side must be interconnected.
이렇게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는 동기녹음키이(1)를 한번 누르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회로(2)는 인에이블됨과 동시에 키이(1)의 동작상태에 따라 제2a도에 도시한 펄스신호가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에 인가된다. 이때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는 제2b도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여 발진기(4)에 인가시키고, 발진기(4)는 제2c도와 같은 발진 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여기서 발진기(4)의 출력은 음성대역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를 선택함으로써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라인 출력단자(Lout)와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라인 입력단자(Lin)사이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음성대역 주파수와 구분토록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발진기(4)의 출력은 버퍼(5)를 경유하여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라인 입력단자(Lin)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라인 출력단자(Lout)를 통해 버퍼(6)에 입력된다. 버퍼(6)를 통과한 신호는 대역필터(7)의 파형정형기(8)를 거쳐 다시 제2b도와 같은 신호로 변환된다.The output of the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대역필터(7)의 통과대역은 발진기(4)에서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가 통과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되도록 한다.It is important here that the pass band of the band pass filter 7 allow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파형정형기(8)에서 파형정형된 신호는 저항(9)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10)를 턴온시킨다. 트랜지스터(10)가 턴온되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키이(11)를 누른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는 바, 이러한 동작은 마이컴에 전달되고, 마이컴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 동작을 개시한다.The waveform shaped signal in the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가 재생동작을 개시하게 되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부에서는 우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를 정상속도로 회전시키고, 포커싱 및 트랙킹을 안정화 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공 받게 된다.When the compact disc player starts playing, the inside of the compact disc player is first given the time required to rotate a disc (not shown) at normal speed and stabilize focusing and tracking.
그다음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오디오 신호 출력회로(12)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 완료상태가 로킹 되어야만 한다. 즉,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이 완료되면 바로 음이 출력되기 시작하므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킹 신호를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실제녹음 개시점으로 사용하기 위해 재생 개시완료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Then, in order for the audio signal output circuit 12 of the compact disc player to operate, the reproduction completion state of the compact disc player must be locked. That is, since the sound starts to be output as soon as the playback of the compact disc player is completed, the playback start completion status is notified in order to use the locking signal of the compact disc player as the actual recording start point of the digital audio tape recorder.
이를 위해 제2d도와 같은 재생 개시완료 신호를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13)를 통해 제2e도와 같은 펄스신호로 만든 다음 발진기(14)에서 제2f도와 같은 신호를 만들어 준다. 발진기(14)의 출력은 버퍼(15)를 통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전송된다. 그런데, 발진기(14)의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발진기(4)의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를 선택함으로써 발진기(4)의 출력과의 혼선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 reproduction start completion signal such as 2d as shown in FIG. 2 is made into a pulse signal as shown in FIG. 2e through the mono
제2f도의 파형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라인 출력단자(Lout)를 통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라인 입력단자(Lin)로 입력되어 버퍼(16)를 통하여 대역필터(17)에 입력된다. 대역필터(17)의 출력은 파형정형기(18)를 경우하여 다시 제2e도의 파형으로 변환된 뒤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회로(2)에 입력된다.The waveform of Fig. 2f is input to the line input terminal Lin of the digital audio tape recorder through the line output terminal Lout of the compact disc player, and is input to the
이러한 제2e도의 파형이 녹음회로(2)에 입력될 경우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출력회로(12)에서 출력되어 출력증폭기(19)를 거친 디스크음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전치증폭기(20)를 통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의 녹음회로(2)에 인가 됨으로써 컴팩트 디스크음이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에 녹음 될 수가 있다.When the waveform of FIG. 2e is input to the recording circuit 2, the disc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circuit 12 of the compact disc player and passed through the output amplifier 19 is digitally transmitted through the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는 동기녹음 키이(1)가 눌려질 때 녹음준비상태로 대기 하다가 파형정형기(18)의 출력을 통해 제2e도의 파형이 입력될 경우 실제의 녹음 상태로 돌입하게 되므로 별도의 동기 녹음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더라도 컴팩트음을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에 동기녹음 시킬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in this manner waits for a recording ready state when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6422A KR920007513B1 (en) | 1989-11-13 | 1989-11-13 | Corresponding record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compact disc pra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6422A KR920007513B1 (en) | 1989-11-13 | 1989-11-13 | Corresponding record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compact disc pra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0494A KR910010494A (en) | 1991-06-29 |
KR920007513B1 true KR920007513B1 (en) | 1992-09-04 |
Family
ID=1929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6422A KR920007513B1 (en) | 1989-11-13 | 1989-11-13 | Corresponding record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compact disc pra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7513B1 (en) |
-
1989
- 1989-11-13 KR KR1019890016422A patent/KR92000751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0494A (en) | 199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19002A (en) |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at least two devices | |
KR920007513B1 (en) | Corresponding record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compact disc prayer | |
JPH0196870A (en)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US5299180A (en) | Sound repeater unit adapted for use with an audio input and audio output equipment | |
JP2625802B2 (en) |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 |
JPS60109044A (en) | Intermusic space detection system | |
KR920013296A (en) |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ous recording of video tape recorder | |
JP2702040B2 (en) | 8mm VCR audio editing device | |
JP2695167B2 (en) |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 |
JPH0528598Y2 (en) | ||
KR840001041Y1 (en) | Control circuit for sound and characters signal | |
KR840001213Y1 (en) | Tape recorder | |
JP2526794Y2 (en) | Magnetic tape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KR960007131Y1 (en) | Repeating player of digital voice information signal | |
KR930009686B1 (en) | Track jump circuit of laser disk player | |
JPH01122047A (en) | Digital audio tape recorder | |
SU1755323A1 (en) | Automatic music select system | |
JPS63282961A (en) | Adding device for tape recorder | |
JPS61292267A (en) |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JPS5979410A (en) | Tape recorder | |
JPS60129902A (en) | Sound recorder | |
JPS5922296B2 (en) | Automatic stop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machines | |
JPH03245340A (en) | Tape player | |
JPH10341401A (en) | Audio character signal reproducing devic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video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udio signal receiv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video audio signal receiv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JPS61109389A (en) | Record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80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3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