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10001076Y1 -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 Google Patents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76Y1
KR910001076Y1 KR2019880005391U KR880005391U KR910001076Y1 KR 910001076 Y1 KR910001076 Y1 KR 910001076Y1 KR 2019880005391 U KR2019880005391 U KR 2019880005391U KR 880005391 U KR880005391 U KR 880005391U KR 910001076 Y1 KR910001076 Y1 KR 910001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ircuit
bias
pop noise
amplifier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926U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 켈
Priority to KR2019880005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76Y1/ko
Publication of KR890021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9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7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4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 H03F3/343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3432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제1도는 종래의 직류앰프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직류앰프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고안의 출력온(ON) 순간의 바이어스전압(B+)(B-)의 시간에 대한 그래프이다.
제4도는 본고안의 팝잡음이 제거되는 전압분배 회로도이다.
제5도는 종래 팝잡음 발생시의 출력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Z : 제너다이오드
본 고안은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압분배회로의 저항에 직렬로 제너다이오드를 연결구성한 직류앰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5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전원스위치(Power Switch)를 온(ON) 접속시키면 그 접속 순간 후 T1시간에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여 출력전압(Vo)을 B-의 전압이 되게한다. 이때 F.E.T(Q1)(Q2) 및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어 있으며 출력(Vo)의 전압 B-은 저항(R4)와 (R3)에 의해 분배되어 F.E.T(Q2)에 가해져 I2의 전류를 줄이고 I1의 점류를 증가시키며 동시에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트랜지스터(Q5)(Q6)도 턴온되어 출력(Vo)의 전압을 부궤환이 되게 형성하므로서 출력전압(Vo)을 +의 방향으로 올려주게 되나, 초기 T1과 T2사이의 시간에는 전류 I1과 I2의 전류합이 B-의 전압에 비례하는 관계로 트랜지스터(Q3)의 전류 또는 적게 흘러 트랜지스터(Q4)의 흐르는 전류보다 클 수가 없기 때문에 실제는 부궤환이 형성되지 못하여 출력전압(Vo)은 O〔V〕로 인정되지 않고 제5도와 같이 순간적인 펄스파형이 발생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팝잡음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T1시간 이후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팝잡음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정시간(T1-T2)동안 제일바이어스(B+)회로의 트랜지스터(Q3.)(Q5.)(Q6)의 턴오프 상태와 함께 제어바이어스(B-)회로의 트랜지스터(Q4.)(Q7.)(Q8)도 턴오프 시켜 출력(Vo)을 O〔V〕로 안정화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원의 접속순간 T1시간이후 출력(Vo)쪽으로 팝잡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어바이어스(B-)회로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된 저항(R)에 제너다이오드(Z)를 접속하므로서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T1에서 T3로 지연토록 하므로서 T1시간 이후의 팝잡음을 제거캐되는 특징이 있다.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F.E.T(Q1)(Q2)의 소오스단을 공통접지하고, 드레인단은 제일 바이어스(B+)에 접속하며 이중 F.E.T(Q1)의 게이트 쪽을 입력단으로 하고, F.E.T(Q1)의 게이트단은 출력단(Vo)으로부터 저항(R3),(R4)과 함께 접속되고, F.E.T(Q1)의 드레인단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에, 트랜지스터(Q5)에 이미터단은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에 각각 접속시키고 트랜지스터(Q5)(Q6)의 콜렉터단과 트랜지스터(Q6)의 이미터단은 위 제일바이어스(B+)에 공통접속하여 제일바이어스(B+)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F.E.T(Q1)(Q2) 의 소오스단은 제일바이어스(B-)단에 접속하면서 트랜지스터(Q4)와 다이오드(D), 저항(Re), 저항(R), 제너다이오드(Z)로 구성된 전압분배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은 제일바이어스(B+)회로에 연결되면서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에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Q7)의 이미터단은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며, 동시에 트랜지스터(Q7)(Q8)의 이미터단은 다시 제일바이어스 회로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과 트랜지스터(Q6)의 이미터 측에 접속구성하여 제이바이어스(B-)회로를 구성한다.
특히 본 고안은 제4도에서 표현하고 있는 바와같이 상기 전압분배회로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일측은 제너다이오드(Z)와 저항(R)을 직렬로 접속시켜 접지시키고, 타측은 복수다이오드(D)로서 제이바이어스(B-)단에 연결 구성하며, 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단은 저항(Re)으로 제이바이어스(B-)단에 접속하여서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T1시간과 T2시간 사이에는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7)(Q8)도 오프되며, 출력(Vo)은 저항(R3),(R4)를 통해 입력으로 가해지므로 F.E.T(Q2)가 도통되어 저항(R2)쪽으로 제일바이어스(B+)의 전류가 흘러 전류(I1)보다 전류(I2)가 커지면서 (I2〉I1)F.E.T(Q2)가 턴온되므로 저항(R1)양단은 저전위가 되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5)(Q6)도 오프된다.
한편, 이와같은 T1시간과 T2시간 사이에 제이바이어스(B-)회로(특히, 전압 분배회로)의 트랜지스터(Q4)도 제너다이오드(Z)의 턴온 전위까지 이르지 못하여 오프상태이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Q7),(Q8)도 턴오프되게 출력(Vo)는 O〔V〕로안정상태를 유지하여 종래 T1시간에 발생되던 순간 펄스파형의 최대치가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T2시간부터 T3시간까지는 트랜지스터(Q4),(Q7),(Q8)는 턴오프(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키는 T3시간이 되어야 도통함)되나, 트랜지스터(Q3.)(Q5.)(Q6)는 턴온되어 출력(Vo)에는 제일바이어스(B+)전압이 걸려 부궤환이 형성되므로 출력(Vo)은 제5도의 T2와 T3사이의 파형처럼 어느정도로 안정되어 T1과 T2사이의 최대펄스폭 발생시의 팝잡음이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전원스위치(Power S.W)오프시에도 위의 반대 과정을 거쳐 팝잡음이 제거 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직류앰프회로의 회로자체에서 전원스위치 온,오프시 발생되는 팝잡음을 제거하므로서 종래 직류앰프회로 자체가 아닌 다른 부분에서 별도의 장치나 회로를 구성할 경우 발생되던 구조의복잡성, 제조공정의 추구, 제조비용의 증가를 개선할 수 있게 되므로 간단화한 구조에 의하여 제조단가, 공정이 줄어들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직류앰프회로의 집적회로화에도 유용하게 된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3.)(Q5.)(Q6)로 이루어진 제1(B+)바이어스 회로와, 전압분배회로(R, D) 및 트랜지스터(Q4.)(Q7.)(Q8)로 이루어진 제2(B-)바이어스 회로로 구성된 직류 앰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회로(R, D)의 저항(R)에 직렬로 제너다이오드(Z)를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KR2019880005391U 1988-04-14 1988-04-14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Expired KR910001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391U KR910001076Y1 (ko) 1988-04-14 1988-04-14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391U KR910001076Y1 (ko) 1988-04-14 1988-04-14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926U KR890021926U (ko) 1989-11-03
KR910001076Y1 true KR910001076Y1 (ko) 1991-02-21

Family

ID=1927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391U Expired KR910001076Y1 (ko) 1988-04-14 1988-04-14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926U (ko) 198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701469A (ko) 모오스(mos) 전께효과 트랜지스터의 구동회로(drive circuitry for a mos field effect tranststor)
KR890001268A (ko) 완화 발진기
JP2527875B2 (ja) 誘導性負荷の電流検出回路
US4645999A (en) Current mirror transient speed up circuit
KR910001076Y1 (ko)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US4764688A (en) Output current darlington transistor driver circuit
JPH11234108A (ja) 誘導負荷をスイッチングするためのスイッチング装置
JP3355197B2 (ja) デジタル出力回路
JP2805349B2 (ja) スイッチング回路
JPH0349419A (ja) スイッチ回路
JP3194798B2 (ja) クランプ機能付きスイッチ回路
KR100271288B1 (ko) 모터용인버터의게이트구동장치
JP2776034B2 (ja) 定電流回路
JP2944337B2 (ja) レベル変換回路
RU1815757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иловым транзистором
KR900019538A (ko) 구동기 회로
JP2535402Y2 (ja) 電源リップルフィルター回路
JP3273744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
KR860003483Y1 (ko) 전원개폐시의 충격 잡음 제거회로
JPH06236812A (ja) 駆動回路
EP0913930A3 (en) BTL amplifying circuit
JP3113062B2 (ja) スイッチ回路
SU1647873A1 (ru) Гистерезисное звено
SU1748242A1 (ru) Усилитель-ограничитель
KR930004716Y1 (ko) 바이폴라 티티엘의 출력속도 개선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4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4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825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8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8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