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44B1 - Automation drilling m/c - Google Patents
Automation drilling m/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6644B1 KR910006644B1 KR1019890003479A KR890003479A KR910006644B1 KR 910006644 B1 KR910006644 B1 KR 910006644B1 KR 1019890003479 A KR1019890003479 A KR 1019890003479A KR 890003479 A KR890003479 A KR 890003479A KR 910006644 B1 KR910006644 B1 KR 910006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excavator
- excavation
- head
- outer c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4/00—Automatic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operations, i.e. self-operating systems which function to carry out or modify a drilling 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a human operator, e.g. computer-controlled drilling system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drilling variables or cond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4—Bits with helical conveying portion, e.g. screw type bits; Augers with leading portion or with detach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 굴착기의 전체개략도.1 is a schematic overall view of the exca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선 Ⅰ-Ⅰ를 따라 케이싱의 개략 확대단면도.2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ing along line I-I of FIG.
제3도는 작업부하 상태에 따라 굴착기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자동 제어수단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utomatic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xcavator in accordance with the workload status.
제4도는 본 발명 굴착기에 의한 굴착상태도.Figure 4 is an excavation state by the present invention excavator.
제5도는 파일(pile)의 시공완료도.5 is a construction completion diagram of the pile (pi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굴착기 2 : 케이싱1: excavator 2: casing
3 : 선단날 4 : 굴착공구3: Tip 4: Excavation Tool
5 : 복합형 헤드 5' : 경사형 헤드5: Hybrid Head 5 ': Inclined Head
5" : 직선형 헤드 6 : 나선형 날개편5 ": straight head 6: spiral blade
11 : 내부케이싱 12 : 외부케이싱11: inner casing 12: outer casing
13 : 피스톤 14 : 코너부13: piston 14: corner
15 : 벨로즈수단 16 : 분사구멍15: bellows means 16: injection hole
20 : 자동제어수단 21 : 동력원20: automatic control means 21: power source
22 : 부하감지기 23 : 비교회로22: load detector 23: comparison circuit
24 : 제어회로 A : 굴착구멍의 원주벽24: control circuit A: circumferential wall of the excavation hole
B : 굴삭토 M : 모르타르 기둥B: Excavated M: Mortar Column
P : 파일P: file
본 발명은 굴착시 작업부하 저항에 따라 굴착기의 굴착속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면서, 굴착기의 케이싱 외경을 조절하여 굴착구멍의 원주벽을 적절히 다질 수 있는 자동제어식 지반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controlled ground excavator which can properly adjust the outer diameter of the excavator by adjusting the casing outer diameter of the excavator while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xcavation speed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workload resistance during excavation.
최근, 굴착기를 사용하여 굴진과 동시에 굴착구멍의 원주벽을 견고히 다져주어 그 원주벽이 붕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토(排土)량도 적게하여 파일을 소정의 지반에 확실히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that uses a excavator to solidify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excavation hole and not only collapses the circumferential wall but also reduces the amount of soil, thereby ens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ile on the predetermined ground. It is becoming.
그러나, 그와 같은 시공방법에서는 굴착기의 케이싱 외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지반이 약한 경우 굴착구멍의 원주벽의 붕괴위험 때문에 그 원주벽을 좀더 다져주기 위해서 보다 큰 케이싱 외경을 가진 굴착기로 교체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지반의 굳기등에 따라 굴착 저항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굴착기에 항상 일정한 동력을 주어 굴착작업을 하기 때문에 굴착기의 수명을 감안한 굴착작업시간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ing of the excavator is constant. Therefore, if the ground is weak,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xcavator with a larger casing outer diamet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ircumferential wall because of the risk of collaps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rilling hole. Can not be done. In addition, despite the excavation resist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rmness of the ground, the excavation work is always given a constant power to the excavator, so the excavation work time can not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of the excavator.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굴착기의 헤드 형상을 경사형상과 직선형상의 복합구조로 하여 굴착작업을 보다 원활히 하여 작업 능률을 올릴 수 있고, 일정 직경의 구멍만을 다져주게 되어 있는 종래 기술 대신에 케이싱의 외경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의해 굴착구멍의 원주벽을 좀더 강고히 다져줄 수 있고, 지반의 상태등에 따른 순간 순간의 굴착 부하저항에 응하여 굴착기의 회전속도 및 이송속도를 자동제어하여 굴착기의 수명을 감안한 굴착 작업시간의 조절을 도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the prior art in which the head shape of the excavator is a complex structure of the inclined shape and linear shape to facilitate the excavation work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and to compact only holes of a certain diameter. Instead,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ing can be adjusted to make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excavation hole more firmly,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feed speed of the excavator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excavation load resistance at the mom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It aims at adjusting the excavation work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of the excav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 굴착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굴착기(1)는 굴착깊이에 따라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케이싱(2)과, 선단날(3)이 있는 굴착공구(4)를 포함하고 있다. 굴착공구(4)는 경사형 헤드(5')와 직선형 헤드(5")로 된 복합형 헤드(5)와, 직선형 헤드(5")의 선단부분에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진 선단날(3)과, 상기 복합형 헤드(5)의 외주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나선형 날개편(6)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헤드를 복합형 구조로 하고 있는 것은 종래의 완전 경사형이나 완전 직선형만의 구조보다 훨씬 작업 능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exca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선단날(3)의 경사각도와 나선형 날개편(6)의 두께등을 굴착구멍의 원주벽의 압축강도를 감안해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ip 3 and 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조의 굴착기(1)를 사용하여 기초 파일시공을 위한 굴착작업을 행하는 것으로서, 우선 굴착공구(4)를 케이싱(2)의 하부에 연접시키고, 동력원(21)에 의해 선단날(3)이 흙을 굴삭하면서 케이싱(2)과 굴착공구(4)가 동시에 땅속을 굴진하게 된다(제4도 참조). 이 굴진과 동시에 굴착구멍의 원주벽(A)은 헤드(5)의 경사형 헤드(5')에서 외측으로 확개되고 이것이 나선형 날개편(6)에 의해 다져지며, 동시에 굴삭토(B)도 상기 구멍의 원주벽(A)면에 자동적으로 압착되며 이것이 구멍 원주벽면을 일차로 강고하게 다져준다. 계속 굴진되면서 케이싱(2)의 코너부(14)(제2도 참조)에 의해서 구멍 원주 벽면을 더욱 강고하게 다져주므로 작업중에 있어서 구멍 원주벽(A)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excavation work for the foundation pile construction using the
이 케이싱(2)에 대해서는, 굴착깊이에 따라 제1도와 같이 중방향으로 복수개씩 접속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케이싱(2)의 단면구조가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케이싱(2)의 구조는 삼각형, 사각형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상 제2도와 같이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The
제2도에서, 케이싱(2)은 내부케이싱(11) 및 여러 개로 분할된 외부케이싱(12)을 포함한다. 내부케이싱(11)의 외측에는 외부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기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피스톤(13)이 방사상으로 장착되고, 이 피스 톤 (13)은 케이싱(2)의 양단부 근방에 각각 1세트씩 설치된다. 또 이 피스톤(13)은 외부케이싱(12)의 코너부(14)와 접속된다. 또, 분할된 각 외부케이싱(12)간에는 피스톤 (13)이 신축함에 따라 신축될 수 있는 벨로즈수단(15)이 구비된다. 이러한 벨로즈수단(15)을 각 외부케이싱(12)간에 구비시켰으므로, 굴착시 외부케이싱(12)의 코너부(14)가 그리는 회전원이 벨로즈수단(15)이 그리는 회전원보다 크므로 벨로즈수단은 구멍 원주벽과의 마찰 저항을 적게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저항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구비한 벨로즈수단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참고번호(16)은 모르타르가 분사될 수 있는 분사구멍으로서, 굴착공구(4)속의 분사구멍과 연통된다.In FIG. 2, the
그외, 케이싱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계가능하나,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계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asing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it is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싱(2)의 외경은 필요에 따라 확대될 수 있으므로 구멍원주벽(A)을 보다 확실히 다져줄 수 있고, 이러한 외경상의 가변범위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렇게 외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것이므로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구성으로 변경가능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다음, 본 발명의 굴착작업시 제어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력원에 의한 굴착기의 회전시, 지반의 굳기등에 따라 굴착기의 회전수가 수시로 달라짐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이러한 순간순간의 굴착기의 회전수에 관계없이 항상 굴착기를 일정한 동력으로 작동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공구의 수명을 감안한 굴착 작업시간면에서의 조절이 불가능하다.Next, the control operation during the excavation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eedless to say, when the excavator is rotated by a power sour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cavator varies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firmness of the ground. In the related art, however, the excavator was always operated at a constant power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cavator at such a moment. Therefore, adjustment in terms of excavation work time considering the tool life is impossible.
이러한 결점에 비추어, 본 발명에서는 일단 정상 작업이라 할 수 있는 범위를 미리 설정해 두고, 굴착기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회전수와 설정치와를 비교한 다음 동력원을 차단 또는 더 강력한 동력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지반에 따라 굴착기의 회전상태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이다.In view of this drawba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that can be called normal operation is set in advanc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excavator is detected, the detected rotation speed is compared with the set value, and then the power source is cut off or a more powerful power source is supplied. Depending on the ground, the rotation of the excavator is automatically adjusted.
이러한 자동 제어수단(20)의 구성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동력원(21)에 의해 굴착기(1)가 회전되고, 이 굴착기(1)에는 부하감지기(22)가 부착되어 있어 굴착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검출된 회전수는 비교회로(23)에 입력되며, 이 비교회로(23)에서는 통상의 정상 작업 조건하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범위의 기준설정치와 검출된 회전수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회로(23)의 출력을 제어회로(24)에 입력시키며, 그 입력은 제어회로(24)에 의해 동력원(21)을 다시 제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 작업상태 범위내에서 굴착작업을 할 경우, 보다 굳은 지반등에 의해 굴착기에 부하 저항이 많이 걸려 더 많은 동력이 요구되면 그에 따라 굴착기에 많은 동력 즉 센속도를 부여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므로 굴착기의 수명을 감안한 굴착 작업시간을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utomatic control means 20 is shown in FIG. That is, the
또, 정상 작업범위내가 아닌 큰 부하가 걸리는 특별한 경우에 대해서도 비교회로에서는 매 순간의 굴착기의 회전수와 기준 설정치 범위외의 것을 비교하고 그 차가 정상 작업시의 것보다는 훨씬 크므로 이때는 동력원(21)을 차단, 굴착작업을 정지시킨다.Also, in the special case where a large load is applied, not within the normal working range, the comparison circuit compa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cavator at every moment with a value outside the standard setting range, and at this time, since the difference is much larger than that in the normal working, the
결국, 본 발명 제어수단(20)에 의해서, 정상 작업범위내인가 아니면 비정상 작업인가에 따라 적절히 굴착작업의 자동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 mea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control of the excavation work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within the normal working range or abnormal work.
이러한 본 발명 자동제어수단(20)이 연결된 굴착기(1)에 의해 굴착작업을 하고, 이러한 굴착이 소정깊이에 달하면 굴착기의 케이싱(2)의 중앙 및 굴착공구(4)의 중앙에 뚫려 있는 분산구멍(16)내로 모르타르등을 분사시키고, 굴착기 전체를 지상으로 빼내면서 파일 구멍내에 소정의 모르타르 기둥(M)을 만들며, 이 모르타르 경화전에 종래와 같이 파일(P), 심재등을 삽입함으로써 구멍 원주벽과 모르타르를 일체적으로 경화시키는 강고한 지지 파일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제5도 참조).The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b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자동제어식 지반 굴착기는 헤드(5)를 경사형과 직선형의 복합 구조로 형성하고, 헤드의 외주부에 나선형 날개편(6)을 일체적으로 하였으므로, 굴착작업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구멍 원주벽을 일차적으로 다져주고 있으며, 케이싱(2)은 굴착깊이에 따라 연접됨은 물론이고 그 외경도 확대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구멍 원주벽을 보다 강고하게 다져줄 수 있으며, 자동제어수단(20)에 의해 굴착기(1)의 회전 및 이송속도의 조절이나 굴착작업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regulating ground exca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mplex structure of the inclined and straight type, and th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03479A KR910006644B1 (en) | 1989-03-21 | 1989-03-21 | Automation drilling m/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03479A KR910006644B1 (en) | 1989-03-21 | 1989-03-21 | Automation drilling m/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4713A KR900014713A (en) | 1990-10-24 |
KR910006644B1 true KR910006644B1 (en) | 1991-08-29 |
Family
ID=1928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3479A Expired KR910006644B1 (en) | 1989-03-21 | 1989-03-21 | Automation drilling m/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66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6309A (en) * | 2017-05-17 | 2018-11-27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Saving of Hydraulic Drill |
-
1989
- 1989-03-21 KR KR1019890003479A patent/KR910006644B1/en not_active Expir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6309A (en) * | 2017-05-17 | 2018-11-27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Saving of Hydraulic Dri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4713A (en) | 1990-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19246A (en) | Drills for piles and soil stabilization, and drilling method | |
CN109853524B (en) | Construction method of expanded head stiff cement soil composite special-shaped pile | |
CN109736715B (en) | Variable-section spiral drilling tool and construction method of variable-section bored pile | |
US11085284B2 (en) | Vertical drilling system of auger type provided with a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 |
KR102445352B1 (en) | Casing coupler for micro pile | |
KR910006644B1 (en) | Automation drilling m/c | |
KR101726229B1 (en) | Vibration hammer of a boring machine and bo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040630B1 (en) | Soft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ground drilling device and reinforcement device | |
EP1041240A3 (en) | Auger drill | |
HK1040538A1 (en) | Excavation apparatus for forming piles in the ground | |
JPH11350473A (en) | Execution method for steel pipe pile | |
WO1998013554A1 (en) | Bearing capacity enhancement for piling applications | |
JPH03212506A (en) | Auger for constructing soil cement synthetic pile | |
CN212716411U (en) | Device for forming soft soil foundation rotary excavating pile mud retaining wall | |
CN110952535B (en) |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 |
JPH02213515A (en) | Device for applying base pile | |
JP672990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oil cement continuous wall | |
JPH02176093A (en) | Vertical shaft for shield construction | |
JP2017110383A (en) | Foundation file | |
KR101699938B1 (en) | Construction machine for underground wall us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331933A (en) | Guncreting pile construction is bored with half soil compaction and its foundation pile bore forming method | |
CN112878899B (en) | Drilling tool for penetrating pebble stratum | |
JPH10220165A (en) | Method for reinforcing unconsolidated ground and apparatus for forming reinforcing body | |
CN113152561B (en) | Manual hole digging mechanical auxiliary device and using method | |
JPH07268877A (en) | Reinforcement method of cut slo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73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1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5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