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10005806B1 -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806B1
KR910005806B1 KR1019840006287A KR840006287A KR910005806B1 KR 910005806 B1 KR910005806 B1 KR 910005806B1 KR 1019840006287 A KR1019840006287 A KR 1019840006287A KR 840006287 A KR840006287 A KR 840006287A KR 910005806 B1 KR910005806 B1 KR 91000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ssembly
tool
rod
ma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270A (ko
Inventor
부네쉬 다니엘
아미에 삐에르
Original Assignee
프라마톰
쎄. 보뤼넹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마톰, 쎄. 보뤼넹고 filed Critical 프라마톰
Publication of KR85000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0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6Arrangements for removing jammed or damaged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Arrangements for moving broken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21Repairing with disassembling
    • Y10T29/4973Replacing of defective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Nuclea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제1도는 현행 경수형 원자로용 연료 조립체의 평면도 및 부분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보수대의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장치에 연결된 틸팅(tilting)기구의 사시도 및 상기 기구의 세부도.
제5도는 연료봉의 이송시 챔버사이에 위치된 도시되지 않은 소자를 점유하는 상대 위치에 도시되었으며, 장치에 사용된 챔버의 사시도.
제6도 및 제7a도는 각각 프레임 Ⅵ 및 Ⅶ로 싸여있는 제5도부분의 확대도.
제7a도는 플러그의 축을 통해 신장하는 평면에서 단면으로 하부챔버의 상부 플러그를 도시한 확대도.
제8도는 프레임 Ⅸ내에 설치된 소자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장치에 사용된 봉 이송 공구의 전체 사시도.
제9a도는 제8도의 프레임 Ⅸ내에 설치된 봉 이송 공구의 부분 확대도.
제9a도는 제8도에 도시된 공구의 이동설비를 도시한 도면.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챔버취급 공구와 조절공구의 사시도.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필밀링 공구 및 그의 부속물들을 간략화한 정면도 및 평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된 밀링공구의 하부를 통한 수직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에서 14도까지 도시된 공구와 협동하는 밀링마스크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원 XVI내에 포함된 부분의 확대 세부도.
제17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분리 드라이버 공구의 정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제18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며, 단부부재를 재조립하기 위한 드라이버 공구의 하부를 도시하는 제17도중 일부와의 유사도.
제19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나사의 스커트 혹은 나선 소켓을 확장하기 위한 공구의 사시도.
제20a도 및 20b도는 각각 확장 전후의 나사의 스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1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측정 공구의 사시도.
제22a도, 22b도 및 22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연속단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부부재에 부착된 결합봉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단부부재와 결합봉을 따라 단부부재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며, 단부부재사이에 잡혀있는 연료봉 더미를 유지하기에 적당한 격자로 형성되는 골격체를 포함하는 종류의 핵연료 조립체의 재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조립체는 거의 대부분이 경수 냉각 및 감속원자로, 특히 가압수로에 사용된다. 몇몇 경우에 조립체가 제거되어야 하며, 그가 간직하고 있는 연료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조립체의 골격소자들이 손상을 입어서 조립체가 봉을 제거하고 새로운 골격체로 대체하여 재구성하게 될 때 일어난다. 또다른 상황은 조립체의 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배열의 새로운 조립체로 이동하거나 봉을 새로운 혹은 다른 봉과 연결할 때이다(예를 들면 산화우라늄을 함유하는 봉과 중성자 흡수체, 비활성물질 또는 플루토늄 농축 연료등을 함유하는 봉과 연결될 때) 또는 또다른 상황은 감속율을 수정한 조립체가 수축되어야 할 때 일어난다.
골격체를 형성하는 소자들을 연결하는 상이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현재 작동중에 있는 대부분의 조립체는 결합봉이 상단부재에 고착되어 있고 하단부재에는 제거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부류에 속하는 몇몇 조립체는 핀에 의해 제위치에 잠겨지는 나선 소켓에 의한 부착을 사용하고, 다른 조립체들은 소켓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변형되는 스커트를 갖는 나선 소켓에 의한 부착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에 대한 설명은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A-2 521 763 호를 참고할 수 있다.
반대로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 82 19162호에 설명된 또다른 부류의 조립체는 제거가능한 상단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저장 위치와 봉이 제거되는 위치사이에 180°로 조립체를 기울기위한 필요성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단지 간단한 법칙을 사용하고 실수나 파손의 위험을 제한하는 동시에 보통 심하게 조사되고 가끔 손상된 기존의 조립체로부터 취한 연료봉을 골격체로 이송하므로써 핵연료조립체를 재구성 할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한 각종 부류의 연료 조립체에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 융통성이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형태의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연료봉이 추출되어야 하는 조립체가 제1수직 챔버내에 설치되며, 그러한 조립체의 분해가능한 단부부재는 상향으로 되어 있으며; 분해 가능한 단부부재가 제거되며; 새로운 조립체의 골격을 포함하고 유지하는 제2챔버가 제1챔버의 조립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그와 일선상으로 단부챔버위로 이동하며; 조립체에서 추출될봉은 골격체로부터 끌려나오고, 골격체는 단부부재를 제위치에 집어 넣으므로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조립체의 하단부재만이 제거가능하다면, 조립체는 먼저 제1챔버내의 정상위치에 위치되어 그 속에서 위치가 차단되며: 챔버가 회전하고: 새로운 골격체가 골격체를 향해 위로 끌어내도록 제1챔버내에 포함된 조립체로부터 봉을 추출하기 위해 챔버내의 변화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두 개의 챔버는 서로 유지 및 센터링 마스크를 통해 달려있다. 상기 과정의 방법은 봉의 취급을 단순화하고 새로운 골격체의 격자내의 곡선 통로속으로 봉을 삽입하는 위험을 거의 제거하게된다. 왜냐하면 위로 끌어낼 봉을 잡기위해 새 조립체의 격자를 통해 낮아지게 되는 그랩이 안내를 확실히하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골격체는 새로운 봉이 올라올 때 연료봉을 안내하는데 기여하는 핵분열, 분열성, 비활성 또는 흡수체 물질을 함유하는 새로운 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연료,조립체의 제거되어야 할 하단부재로부터, 상단부재의 제거후 봉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조립체 즉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 82 19162호에 서술된 장치를 사용하여 수선될 수 있는 조립체를 재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과정은 새로운 골격의 조립체가 어떠한 성질을 갖던간에 동일하게 남아있는 작동을 연속적으로 시행함으로 시작된다. 손상된 조립체는 수중 푸울에 위치한 하부 챔버내에 침적하여 챔버내에 고정시키고; 나머지를 남겨두고 단지 챔버만을 그의 하부 플러그가 제거되고 안내 마스크가 제위치에 오도록 하는 수준까지 들어 올려지며; 핀을 절단하고 보통의 조립체의 경우 나사를 제거하므로써 손상된 조립체의 하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 생략되며; 하단부재가 없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하부 챔버가 푸울의 바닥으로 내려가며; 안부부재가 없이 변환된 위치에 설치된 새로운 골격체가 이미 위치하여 고정된 상부 챔버의 하부 챔버위로 이동하여 그와 일직선을 이루며; 봉을 이송하기 위한 공구가 챔버위에 위치되며, 상기 공구를 구비한 그랩의 골격체를 통해 추출될 봉의 수준까지 내려오며, 봉을 잡기 위해 작동하며, 봉을 풀어놓을 골격체까지 들어 올리며; 모든 봉이 이송될때까지 작동은 반복되며; 새로운 골격체의 하단부재가 고정되며; 상단부재가 제자리에 위치되기전에 상부 챔버가 철수되어 회전하게 된다.
일단 손상 조립체의 골격체가 비워지면 제거전 하단부재의 교체에 의해 작동은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공정을 시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장치는 또한 장치의 사용 분야를 넓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특별한 실시예를 형성하는 장치와 그러한 장치를 실시하는 방법을 예로든 하기 서술로부터 좀더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부수 도면을 참고로 서술한다.
제1도에 도시된 조립체(10)는 연료봉 다발을 따라 분포된 간격자(12)로 지탱되는 연료봉(11)의 다발로 구성된다. 격자(12)의 대부분은 연료봉(11)이 신장되고, 나머지 부분은 결합봉(15)이 신장되는 통로를 규정하며, 결합봉은 하단부재(13)와 상단부재(14)에 부착되었으며, 상단부재의 상부는 취급 공구에 의해 잡혀지도록 할 수 있는 모양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연료 조립체에서, 조립체의 외측에 소자를 활주하도록 하는 안내관에 의해 형성된 결합봉(15)은 상단부재에 영구히 부착되어 졌다. 그들은 횡방향 핀으로 고정되는 나선 소켓(16)에 의해 하단부재에 부착되었다. 단지 봉(11)의 하부 플러그는 이러한 종래의 조립체에서 그립핑 홈(18)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최근의 조립체에서는 결합공(15)이 그의 하부에 나사 접속을 위한 나선 하부를 갖는 소켓과 단부부재(14)에 대향한 헤드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제거 가능한 수단에 의해 상단부재(14)에 부착되어 있다.
지금 서술하고자 하는 장치는 연료 조립체가 새로운 골격체로 시작하여 손상된 조립체에 포함되어 있는 봉을 추출하므로서 재구성할 수 있게 해주며, 연료 소자들은 작동자의 생물학적인 방어를 위해 적당한 깊이의 물속에 잠겨져 높은 잔여 방사능을 가지고 있다.
실제 장치는 보통 원자로에서 나온 고갈 연료의 배출 푸울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이후에 연속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다음과 같은 주요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불활성 스위밍 푸울의 저부에 위치한 고정프레임과, 상하부사이에서 조립체 수용 챔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와 제어기구를 갖고 제2도에 도시된 보수대.
-제3도에 전체가 도시되었으며, 제4도에 그의 회전기구가 확대 도시된 조립체를 회전하기 위한 기구.
-회전될 챔버에 작용을 가하는 조종 공구.
-조립체의 하단부재를 제거하기 위한 공구; 특별한 경우, 이들은 종래 조립체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거나 조립체의 성질에 따라 다수의 세트로 분포될 수 있다.
-한 챔버에 포함된 조립체에서 또 다른 챔버에 포함된 골격체로 봉을 전달하기 위한 기구.
-단부부재를 새로운 골격체의 제 위치로 집어 넣는 공구; 제거 가능한 단부부재를 갖는 조립체에 적당한 이들 중 몇몇은 이미 설명된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 82 19162호의 것과 동일한 종류일 수도 있다.
보수대(2)는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 82 19162호에 서술되고 청구된 방법에 의해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봉을 교체하는 것과 조립체를 재구성하는 것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상기대는 불활성 푸울(22)속에 있는 조사 연료 배출격실의 저부에 위치한 평행한 래티스형 작동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있다. 그 취급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프레임은 다수의 조합된 부분으로 형성되어있다.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그의 높이와 위치가 조절되는 구석쪽 다리(24)를 갖는 하부(23)를 포함한다. 조립체에서의 배열과 동일하게 분포된 봉을 갖는 렉(도시안됨)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봉 저장 챔버(26)가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기계적인 설치 및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에 연결된 중간부(25)는 조립체가 보수대에 도입되도록 한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중간부(25)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역시 한측면이 개방된 상부(28)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28)위에 설치된 것은 조립체를 작동하는 공구의 부착을 위한 지지체(29)이다. 또한 상부(28)는 공구의 위치 선정을 위한 한 세트의 캐리지(31)가 주행하는 레일(30)을 가지고 있다.
세부분의 각각은 조립체가 챔버로 도입 및 제거되도록 하는 하부와 정부에 설치된 조립체 단부부재상에 작용을 가하는 상부사이에 연료 챔버를 이동하기에 적당한 리프트(32)의 주행로를 형성하게 된다. 리프트(32)는 챔버의 부착을 위해 하나위에 다른 하나가 설치된 두 개의 포인트(34)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된 리프트(32)는 주행 크레인의 태클과, 같이 외측 부재에 의해 리프트가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상향 기동봉(35)을 가지고 있다. 또한 봉(35)은 리프트가 상부 및 하부지점에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프레임(20)은 공구 안내 마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스탠드(36)를 갖는 캐리지의 이동을 위해 그 중간부(25)에 수직 레일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마스크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탠드(36)는 상부로 돌출된 핀(37)을 가지고 있다. 스탠드(36)는 보통 단부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나선 소켓과 같이 조사된 연료소자용 박스(도시안됨)를 수용하기 위한 지점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크기를 갖는다. 스텐드의 캐리지는 캐리지가 주행크레인의 태클에 의해 이동하고 고정하되도록 하는 절단봉(38)을 가지고 있다.
상부(28)에 달려있는 캐리지(31)의 세트는 X·Y·Z방향으로 직각 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캐리지의 세트는 또한 리프트가 저부에 있을 때 단부부재상에 있을 때 정부에 있을때와 같이 봉상에 작동하는 도중 공구들을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또한 캐리지의 세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조립체 재구성 작동중에 사용되며,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 82 19162호에 설명된 종류의 봉 교체작업을 위해 사용된다.
하부 캐리지(40)는 상부(35)에 부착된 레일(30)상에서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공구를 가지고 일을 할 사람을 그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바닥을 제공해준다. 캐리지(40)는 후술될 봉 이송 공구의 기둥(117)을 수용하는 안내자(42)를 가지고 있다.
캐리지(40)는 X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반 및 안내 캐리지(44)용 소자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케리지(46)는 캐리지(44)위에서 Z방향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캐리지는 X방향으로 제공된 짧은 축을 따라 이동한다. 그것은 위치될 공구를 수용하는 지지판(48)을 포함하고 있다. 그가 제공하는 수직 주행의 결과로 안내소자를 사용되는 공구 및 공구에 의해 조정되는 소자상으로 들어올려진다. 예를 들어 수직 주행은 추출공구(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 82 19162호의 제26도에서 제28도까지 도시된 공구와 같은)를 장비한 저부핀을 공구 지지용 주행 크레인을 사용할 필요없이 조립체 유지 챔버의 안내 스트립까지 가져올 수 있게 해준다.
리프트(32)는 제5도에 도시된 배열에서 두 개의 부과된 챔버를 수용하기에 적당하다. 상부 챔버(AS)는 먼저 단부부재가 없는 골격체를 포함하고 있다. 하부챔버(AI)는 하단부재가 없이 그의 봉이 추출된 조립체를 수용한다.
두 개의 챔버는 보통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리프트(32)에 부착되며, 제3도와 4도에 도시된 회전기구에 의해 180°경사지게 할 수 있다. 각 챔버는 벨트로 지탱되는 4개의 앵글 철을 갖는 기계적 용접구조물을 갖는다. 각 챔버의 중심에 부착된 것은 두 개의 보강부재(54)이며, 이들 각각의 반선회체(56)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핀이 보울트에 의해 각 챔버구조물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5도에서 상부 챔버용으로 이들판은(ASS) 및 (ASI)로 표시되어 있다(하나의 판은 챔버에 포함된 조립체의 하단부재의 측면에 설치될 경우 하부판으로 간주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유사하게 하부 챔버의 판은 참고 문자(AII) 및 (AIS)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판은 챔버를 취급할 수 있게 해주어 제위치에 넣고, 제5도 7a도 및 7b도에 도시된 플러그(BIS) 및 (BSI)와 같은 플러그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판들은 조립체 또는 골격체가 중심위치에 오게 해주며, 공구가 위치될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실제 하부 조립체 단부부재의 측면에서 하부 챔버(AI)상에 설치된 판(AII)은 (제6도)챔버가 후술될 공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홈진 기둥(58)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둥(58)은 대응 단부 플러그(도면에 도시안됨)를 위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세 개의 다른 기둥(60)들은 챔버(AI)에 포함된 조립체상에 작용을 가할 공구가 중심에 오도록 해준다. 봉에 의해 조종되는 사각체(64)로부터 무단 나사 기구와 휘일에 의해 함께 혹은 떨어져 이동할 수 있는 4개의 슈우즈(62)는 조립체를 챔버내로 집어 넣고 꺼내기 위해 제공되었다. 판에 의해 지탱되는 두 개의 센터링 링(66)은 챔버(AI)이 제2도에 도시된 보수대에 부착되도록 해준다. 판의 가장자리에 용법되었으며 구멍과 일직선에 형성되어 있는 평탄한 바아(68)는 끼워진 판들이 보수 및 재구성을 제외한 작동을 위해 취급될 수 있게 해준다.
챔버(AI)에 포함된 조립체의 상단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판(AIS)(제7b도)은 판(AII)과 동일한 부속물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속물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표시되어 있지만 판(AIS)는 조립체를 센터링 하기 위한 슈우즈를 가지고 있지 않다.
판들은 하부 챔버상에 플러그(BIS) 및 (BII)를 수용하기에 적당하다. 이들 플러그는 조립체를 포함한 챔버(AI)가 회전될 때 조사된 조립체를 유지하게 된다. 하단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플러그(BII)는 그 중앙에 연료 조립체와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비조종 슈우즈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두 개의 홈파진 기둥을 가지고 있어서 취급될 수 있게 해주며, 판(AI)의 기둥상에 두 개의 위치잡이 구멍을 가지고 현상되어 있다.
하나를 전진하는 경우에는 처럼 상단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플러그(BIS)는 두 개의 조정기둥, 두 개의 부착 나사(67) 및 두 개의 위치잡이 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의 슈우(69)는 수중에서 봉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나사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조립체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으며 우연한 축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는다.
상부 챔버(AS)는 하부판(AI)의 것과 조금 다른 단부판을 가지고 있다. 판(ASI)(제7a도)가 사각 개구의 양측면상에 설치된 두 개의 스트립(70)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판(AII)와는 다르며, 이들 스트립은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FR82 19162호의 제26도에서 제28도까지 도시된 봉을 추출 및 교체하기 위한 공구의 하부 캐리지의 기둥을 위치시키는데 적당하다. 또한 판(ASI)은 봉 이송 공구의 위치 선정을 위해 세 개의 핀(72)과 두 개의 홈진 기둥(71)을 포함하고 있다. 대응 플러그(BSI)는 그의 중앙 슈우(74)가 종방향으로 조정될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플러그(BII)와 동일하다(제7a도).
마지막으로 상단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판(ASS)(제6도)은 판(ASI)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것은 스트립을 가지고 있지 않고, 하부 챔버(AI)상에 상부 챔버(AS)를 위치하기 위해 세기둥(77)의 각각에 조정가능한 접합링(76)을 가지고 있다. 링들은 이들이 보수대에 위치하고 있을 때 챔버의 상대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챔버(AS)를 위해 아무런 플러그가 상단부(즉, 조립체의 상부측)에 구비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한편 챔버는 유지 마스크(MR)(제5도 및6도)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마스크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회전할때의 챔버(AS)에 포함된 조립체 골격을 위해 축방향 접속을 형성해 준다.
-재구성 그랩이 하부챔버(AI)에 포함된 모든 봉으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면 조립체가 재구성될 때 골격체로 삽입될 봉과 골격체의 무게를 전달한다.
-상부 챔버(AS)에 포함된 골격체에 하부와 하부 챔버(AI)에 포함된 골격체를 정교하게 일선상에 놓이게 한다.
마스크(MR)(제6도)는 그를 챔버(AS)의 두조정 기둥(82)상으로 센터링하는 두 개의 구멍(79)을 형성하고 있는 작은 판(78)을 포함하고 있다. 작은판은 두 개의 나사(80)에 의해 주된 판에 부착되어 있다. 두 개의 홈파진 조정기둥(83)이 플러그조정 기둥과 동일한 간격으로 작은판(78)에 부착되어 있다. 작은판(78)의 중심에 있는 정방형 구멍은 하부 챔버(AI)에 포함된 조립체의 중앙에 설치된 봉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정방형 중앙 구멍(84)근처에는 챔버(AS)내에 포함된 조립체 골격의 결합봉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띠(86)에 의해 분리된 사각구멍이 있다. 작은판에 부착된 핀(88)들이 그 양측에서 있다. 그들은 재구성 작동시 조립체의 안내관으로 형성되는 결합봉을 주변에 속박하는데 적당하다. 작은판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구멍(90)은 판(AII)의 클램 핌 슈우즈(62)를 조정하기 위한 사각체(64)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제3도와 4도에 도시된 조립체 회전기구는 전술한 종류의 챔버를 수용하기에 적당하다. 간단히하기 위해 예로서 주어진 기구는 주동 제어되며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할 수 있다.
-조사된 연료 조립체를 포함하는 챔버를 수위 아래에 보존하여 작동자를 보호하며,
-챔버를 초기 및 최종위치에서 수직으로 하면서 수평축 주위에 180°로 챔버를 경사지게 한다.
제3도에 도시된 기구는 두 개의 조립된 부분으로 되어 있어서 저장을 용이하게 하고 상이한 깊이에 있도록 해준다. 더우기 그것은 연료 배출 피트로 접근하게 해주는 네크속으로 삽일될 수 있는 분해 가능한 조립체를 형성한다.
기구의 하부는 주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슈우즈(94)를 통해 목의 저부에 달려있는 기계적으로 용접된 프레임(92)을 가지고 있다. 슈우즈(94)는 그가 장치된 조정 사각체상에 작용하는 봉을 사용하여 푸울위에 설치된 작동 마루에서 조정된다. 프레임은 경사질 챔버의 선화체를 수용하는 두 개의 횡방향 지지체(95)를 포함하고 있다. 각 지지체(95)는 선회체를 미리 경사지게 할 수 있는 두 개의 로울러(96)(제4도)를 가지고 있으며, 선회체는 나사(99)로 구동되는 휘일(98)이 핀으로 접속된 축(96)에 의해 구동된다. 봉은 나사(99)가 장치된 조종 사각체를 작동바닥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프레임(92)은 교수대형 부재(102)의 직립재(101)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두 개의 상부로 뻗어있는 수직관형 안내자(100)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 기구를 조종하는데 적당한 교수대형 부재(102)는 핀(103)에 의해 여러 위치로 이동시키는 안내자(100)에 부착될 수 있는 직립재(101)와 직립재에 용접된 가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핀들은 푸울 외부에서 취급될 때 회전기구의 전체높이를 낮게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두 개의 포오크가 가로 부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목을 결합하는 벽(106)의 양측상에 달려있기에 적당한 두 개의 클램핑 슈우즈(105)를 가지고 있다. 슈우즈는 기구가 조립체 회전작동시 전복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안전기구를 형성한다.
보수대 프레임의 상부(제2도)는 제8도와 9a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봉 이송 공구(106)를 특별히 수용하기에 적당하다. 공구는 챔버가 보수대에 설치되어 있을 때 손상된 골격체 외부로 건전한 봉을 끌어내고 상기 서술한 새로운 골격체를 그들을 재투입하며, 챔버위로 움직이기에 적당하다. 공구(106)는 일부가 푸울에 잠긴 기계적 부분과 푸울외부에 설치되었으며 공구의 이동 소자를 작동하는 전자 및 유압 조립체(도시안됨)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적 부분은 봉을 잡기위한 그램을 그 하단부에 가지고 있는 커플링과 수직이동 가능한 지지프레임 및 수직변위시 이동 커플링을 안내하는 케이지로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제8도는 지지 프레임이 어떻게 스퍼(110)에 의해 곳곳에 연결된 두 개의 수직관형 직립재(108)로 형성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가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직립재(108)는 그들의 단부가 상부 가로-세로 이동 테이블(112)의 기부에 그리고 하부 가로-세로 이동 테이블(114)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워크는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평면에 고정하고 높이를 보수대에 고정하기 위해 기부(ASI)에 강직하게 연결된 위치잡이핀(72)상에 속박되는 중공 지지 기둥(116)을 통해 챔버(AS)에 달려 있다. 기둥(108)에 강직하게 연결된 두 개의 유지핀(117)은 공구가 보수대 상부의 중심에 오도록 해준다.
상부 테이블(112)의 기부에 부착되었으며 직립재(108)의 지주에 부착된 굽어진 부재(118)는 공구가 태클과 함께 취급되도록 한다. 상부 가로-세로 이동 테이블은 안내 케이지(111)의 수평위치를 조정하게 되어 있다. 그 테이블은 공구가 사용될 때 푸울내의 수위 위에 설치된다. 그것은 두 개의 변속 직류 모우터(120)를 가지고 있어서 각각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되는 판들을 작동하게 된다. X방향으로 이동되는 판은 레일상에 활주하는 두 개의 아케이드(112)를 가지고 있었으며 각각은 Y방향으로 이동하는 판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126)의 한단부에 달려있다. 판을 수반하기 위해 두 개의 레일(12)과 나사(128)의 축이 동일 수직 평면에 존재한다. Y방향으로 이동되는 판은 후술될 안내 케이지(111)를 유지하기 위해 홈을 구성하고 있다. 평면은 어떤 전달 기구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8도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달기구는 볼(130)과 함께 나사를 회전하기 위해 사각봉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각봉은 X방향으로 이동되는 판에 강직하게 연결된 구동 피니온(도면에 도시안됨)에서 활주하게 된다.
하부 가로-세로 이동 테이블(114)은 상부 테이블의 이동을 지주에 의해 연결된 세 개의 레일(144)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144)의 상단부는 이동 커플링의 자동화기구를 수용하는 판(146)을 가지고 있다. 그 기구는 제8도에 도시되지 않고, 제9a도에서 이동 커플링(148)의 상부와 함께 나타나 있다. 자동화 기구는 비틀림 제한기 및 밟는 기어를 통해 축(152)을 구동하는 변속, 직류전환 전기 모우터(150)를 포함하고 있다. 축(152)은 수직방향(Z방향)으로 이동 커플링(148)을 변위하기 위해 체인(155)을 구동하는 이가난 휘일(153)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동 커플링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 및 유압가용성관(154)을 안내하기 위해 홈파진 휘일을 가지고 있다. 케이블 및 가요성관들은 또한 홈파진 휘일(156)위로 통과하여, 홈파진 휘일은 이동 지지체상에 설치된 종래의 풀리를 포함하는 길이 보상시스템의 복귀체를 형성하는 판(146)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 커플링(148)은 봉을 잡는 그랩(149)과 내부 성분들상에서 상이하게 필요한 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것은 그러한 이동과 봉에 가해지는 힘들을 감시하기 위한 부재를 지지한다. 그램(149)은 이동 커플링의 하부를 형성하며 또한 새로운 골격체를 통과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으며, 측면이 이동될 봉(11)의 플러그의 주위에 안착되는 4개의 탄성핀들로 형성되어 봉을 잡는 부재를 가지고 있어서 이동 커플링의 프레임에 연결된 견인관을 포함하고 있다. 판들은 외장의 강하에 의해 홈속에 잠겨진다. 그랩의 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필러(160)이며, 봉 플러그가 잠겨지기 전에 그랩의 단부에 정확하게 속박되었는가를 검사하게 된다.
이동 커플링(148)의 프레임(제8도 9a도 및 9b도)은 두 개의 단부판 각각이 레일(144)상에 세 개의 안내로울러(157)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그 프레임은 장력 균형자(도시안됨)을 통해 두 개의 체인(155)을 달고 있다. 커플링(148)의 하부제 단은 봉(11)을 잡는 그랩(149)을 잠그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랩을 싸고 있는 외장(151)은 피스톤이 프레임에 견고하게 연결된 2중 작용잭의 실린더(158)에 연결되어 있다. 전진 스프링들은 힘을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간극을 만들기 위해 외장에 연결된 판과 기둥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동 커플링의 제I단은 그랩의 이동과 힘을 감시하기에 적당하다. 그것은 실린더(158)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커플링 프레임의 플랜지(161)를 통해 뻗어 있는 축(160a)을 가지고 있다. 축(160a)의 단부는 그랩의 잠김 및 열림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주행 단부 접속체를 작동하는데, 그중 단지 하나(162a)가 도시되어 있다. 접속체들은 제어논리회로에 설치되어 있다.
벨로우(162)는 봉(11)상에 나타난 힘을 제어하기 위해 전달되도록 해준다. 이들의 길이를 변화하면 한쪽이 그랩의 견인관에 그리고 다른쪽이 커플링 프레임에 부착된 유도 변위 픽업(163)과 같은 것에 의해 수행된다. 제III단은 봉이 느슨하게 되는 정부 수준에 있을 때 무엇인가 잘못되면 봉을 풀기위해 열린후 그랩의 강제 열림을 확실히 해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III단은 수직홈과 함께 형성되어 있는 회전 너트(165)를 구동하는 2중 작동잭(164)을 포함하고 있다. 필러에 견고하게 부착된 핑거(166)는 홈으로 뻗어있다. 잭(164)의 작동은 필터(160)를 회전하게 하며, 그의 하단은 정상위치에서 그랩의 탄성깃 사이에 수용되는 4개의 돌출부(도시안됨)를 가지고 있다.
제Ⅳ단은 봉의 상대위치와 그랩의 위치를 감시하는데 적당하다. 그것은 이동시에 연료봉의 단부에 달려있는 봉과 같은 필러의 봉(169)위치를 제어하는 픽업(167)을 포함하고 있다. 픽업(167)은 커플링(148)의 프레임에 있는 상부판에 부착되어 있다.
챔버를 작동하게 되는 조종공구는 마스크 및 플러그 그리고 제어 및 조정봉을 조정하기 위한공구(OMB)와 챔버 조종공구(OMA)로 구성되어 있다. 공구(OMA) 및 (OMB)는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0도에 전반적으로 도시된공구(OMA)는 주행 크레인으로 회전하게 될 챔버(AI) 및 (AS)를 조종하는데 사용된다. 그것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챔버의 각 단부판이 구비된 두 개의 홈파진 기둥(58 혹은 82)상에 잠겨지는 하부(170)와,
-크레인 후크가 정부에 접하게 될 때 보호물의 층이 조립체위에 남아 있도록 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장진된 챔버가 물을 밖으로 내보낼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크레인과 상부사이에 삽입된 길이편이 상부(172), 부분(170)은 참고 문헌인 특허출원 82 19162호에 제7a도에 도시된공구와 유사하다. 그것은 두 개의 공축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축관은 서로공구가 기둥을 속박하게 되는 위치(제10도에 도시된 위치)와 잠기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용접과 같은 것에 의해 외부관의 하단에 부착된 것은 기둥(58) 혹은 (82)위에 끼워질 두 개의 수직 원통형 안내자(178)를 갖는 판(176)이다. 각 안내자(178)는 잡혀질 조종 기둥내의 수평홈과 일직선으로 안내자의 각 범위중 거의 3/4이 넘도록한 수평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접과 같은 것에 의해 내부관의 하단부에 부착된 것은 깃(180)이다.
내부관이 잠긴 위치에 있을 때 깃(180)에 형성된 두 개의 노치(182)가 안내자(178)의 구멍을 통해 기둥의 수평홈에 속박되어 취급될 챔버의공구(OMA)를 잠근다. 한편 내부관이 제10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깃(180)은 조종 기둥의 통로를 풀어주며 공구가 속박 또는 이탈되도록 해준다.
제10도에 도시된 경우에 관들은 두 개의 핸들(184)세트에 의해 서로 장착된다. 상부(172)는 그의 상단부에 조종링(도시안됨)을 갖는 관형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봉의 하단부에는 회전시 잠겨지도록 부분(170)의 종단 정방향 부분(187)을 수용하게 되는 정방향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의 하단부는 하붕와의 연결을 위해 뽀족한 링을 가지고 있다. 마스크와 플러그를 조종하는 공구(OMB)는 마스크(83)와 같이 홈파진 기둥의 축에서 떨어진 거리가 챔버상에서 보다 더 가깝기 때문에 안내자(178)가 더 가까운 거리로 떨어져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구(OMA)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공구(OMB)(도면에 도시안됨)는 보수 및 재구성 작동시 사용되는 챔버 단부 플러그와 여러 부속물들의 수중 조종을 위해 사용된다. 공구(OMB)는 또한 그의 하부에 제한되어 있으며 상부는 공구(OMA)와 나누어 갖고 있다.
제어 및 조정봉들은 여러 가지 조정 사각체들을 수중에서 작동하는데 사용되며, 사각체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있다.
-회전기구의 슈우즈(94)에 있는 사각체.
-회전기구상의 챔버 회전기구를 작동하는 사각체.
-조립체를 챔버속으로 센터링하기 위해 휘일과 무단나사 시스템을 조정하는 사각체.
-챔버 단부 플러그를 그들의 판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67)를 조이고 풀기위한 사각체.
규정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길이를 갖는 봉들이 제공될 것이다. 제11도는 제어공구(OR)를 형성하는 그러한 봉의 하부를 예시하고 있다. 공구는 조정 사각체의 것과 상응하는 모양을 갖는 간단한 소켓 렌치이다. 봉은 공구(OMA)의 경우 뾰족한 링에 의한 연결된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단부재를 제거하기 위한공구는 손상된 조립체의 하단부재와 결합봉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이제 그 하단부재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부부재에 용접된 핀(17)의 홈에 추가함으로써 풀려나오게 되는 홈머리 나사(16)에 의해 부착되는 표준형 연료 조립체의 하단부재에 사용되는 공구를 설명하고자 한다. 분해 작동 소자와 다른 한편으로 각각이 상응하는 공구에 수용되며 그러한 공구를 안내하기에 적당한 핸드 마스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표준형 조립체상에 작동을 가하기 위해 본해공구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단부부재(13)를 골격체의 결합봉에 부착하기 위해 나사를 고정하는 핀(17)을 밀링하는 공구(OF)와.
-단부부재에 부착하도록 나사를 풀기위한 드라이버(TIS)와.
-나사를 빼내는 역할을 하며, 단부부재상에 드라이버(TIS)를 안내하기 위한 마스크(MIS)와.
-안내 마스크로부터 나사를 풀기위한 푸셔(OP)
제12도 및 13도에서 밀링공구는 조정 태클에 부착되어 도시되었으며, 마스크(MF)를 갖는 하부 챔버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4도 및 15도는 마스크(MF)와 공구의 하부 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16도는 공구의 밀링커터가 핀(17)상에서 작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안내 마스크(MF)(제14도 및 15도)는 두 기능을 수행하며, 밀링공구(OF)의 하단부를 안내하여 결합봉(15)과 하단부재(13)사이에서 연결나사와 공축이 되게 한다. 또한 마스크는 밀링커터가 기계공정에 따라 전진할 때 공구의 본체에 축방향 접근을 형성한다. 마스크(MF)는 보울트와 같은 것에 의해 단부부재(13)의 다리에 달려있는 기부판(190)에 부착된 판(188)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기부 조립체를 통해 뻗어 있는 것은 두 개의 갈라진 부시(192)인데, 이들은 표준 단부부재의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위치 잡이 구멍에 마스크(MF)가 잠겨지도록 하기 위해 원추형 너트(194)에 의해 신장된다. 너트는 제14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조정공구(OR)에 의한 조정 사각체(196)로 작동된다.
판(188)이 하부판(AII)의 세기둥(60)들을 위로 속박하기에 적당한 부시(196)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부시들은 제14도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판(188)은 조종공구(OMB)에 의해 잡혀지도록 하는 두 개의 홈파진 기둥(198)을 가지고 있다. 판-기부 조립체는 공구(OF)를 안내하기 위해 24개의 구멍(197)으로 형성되어있다. 두 개의 무장통로가 밀링공구(OF)의 부차을 위해 축방향접속을 발생되도록 밀링공구(OF)가 형성된 스텁(199)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판에 있는 각 구멍속으로 개방되어 있다. 공구(OF)의 전반적인 구조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공구(OF)가 부착되는 방법(제12도)은 다른공구의 분해 및 재결합을 위해 또한 적당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보통 높이가 약 4m인 관형 조립체인공구(OF)는 주행 크레인의 원치에 현수하기 위한 핸들(202)을 갖는 슬리이브(201)와, 슬리이브(201)내에서 활주할 수 있는 왼장(200)과 외장(200)에 의해 달려있는 밟기 기어링(204)와,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고 볼 베어링(도시안됨)에 의해 외장(200)으로 안내되는 회전 유닛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전 유닛은 청도 링(208)(제14도)에 의해 외장으로 안내되는 단부 밀링 커터(206)를 구비한 봉과 치형상으로 연결된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210)는 외장이 차단핀을 절단하기 위해 밀링 커터의 필요한 전진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지나 슬리이브(201)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해준다.
제12도와 13도에 예시된 밀링공궁(OF)는 금속편을 흡입하기 위해 외장상의 조각제거 도관(215)에 연결된 제거관(214)과 복귀 도관(216)으로 구성된 여과 조립체(212)에 의해 완료된다. 파이프(214)는 견고하며 외장(200)을 따라 부착되어 있다. 파이프는 펌핑 시스템이 우연한 사고로 정지되었을 경우 조각들이 푸울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플랩 밸브(217)를 가지고 있다. 그 상부에는 여과 조립체로의 연결을 위한 가요성 파아에 연결되어 있는 벤드를 가지고 있다. 다른공구와 같이 밀링공구도 수동으로 작동되며 단지 전기적 부속물은 여과 시스템의 펌프의 구동모우터와 밀링공구의 모우터뿐이다.
제17도에는 제거될 나사위에 위치한 분해 드라이버공구를 도시하며, 안내 마스크(MIS)는 단지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는 나사가 제거된 후 나사를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스크(MF)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드라이버공구(OT)는 작동 핸들(220)을 갖는 외부관(218)과 관(218)내로 안내되는 봉(2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의 상단부는 그를 관상에 유지하기 위한 쇼울더를 가지며, 역학적인 렌치에 의해 느슨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조종사각체에서 종료한다. 봉의 단부는 드라이버 깃으로 작용하는 측면단부부재(224)를 수용하는데 적당하다.
제17도는 드라이버공구가 어떻게 마스크(MIS)속으로 안내되는 가를 도시하며, 마스크(MF)와는 달리 무장 홈을 갖지는 않지만 나사가 완전히 풀리는 즉시 헤드를 잡아서 마스크로 배출할 수 있게 해주는 탄성 슬리이브(227)를 수용하는 링(226)들을 가지고 있다. 배출된후 마스크(MIS)의 탄성 슬리이브내에 잡혀있는 모든 나사를 동시에 풀어놓기 위한 나사 밀림공구는 그 하부(24)에 푸셔를 형성하는 핀을 갖는 핸들을 구비한 관형봉으로 제한되며, 나사를 몰아내기 위해 봉을 하향시키므로서 동시에 24개의 핀을 삽입하는데 충분하다.
단부부재 제거공구와 같이, 단부부재 교체공구는 부착방법을 시용하여야 한다. 다음에 재설치될 단부부재는 일단 나사가 완전히 삽입되면 나사를 고정하기 위해 팽창페루울을 갖는 나사에 의해 부착되어진다. 드라이버공구(TIA)는 하단부재가 조여질 나사내의 홈 측면으로 들어 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7도에 도시된 공구(TIS)와 동일하다. 그것을 사용하게되면 드라이버공구(TIA)는 마스크(TIA)에 간직되어져야 한다. 일부가 제18도에 도시된 마스크는 팽창공구(OEI)의 통과를 방해하는 탄성 슬리이브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과 팽창공구의 스텁이 축방향 접속를 이루도록 안내 구멍내에 종료하는 홈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스크(MIS)와 동일하다.
팽창공구(제19도)는 하단부재의 요부에서 그들의 페루울을 변형하므로써 나사를 잃지 않고 느슨하지 않게 할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구는 작동 핸들(228)을 갖는 외부관(226)을 포함하고 있다. 외부관의 하부는 마스크(MIA)내의 홈속에 속박하므로써 축방향 및 원주상의 교대로 작용하는 스텁(238)을 가지고 있다. 두 부분으로된 봉은관(226)에 설치되어 있다. 봉의 하부(232)는 제20a도에 도시된 형태에서 제20b도에 도시된 형태로 그들의 스커트(236)를 변화하기 위해 나사를 크림핑하도록 한 맨드렐(234)을 가지고 있다. 봉은 외부관(226)에 그런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스텁(230)에 관해 맨드렐의 장착을 확실하게 해주지만 스프링(도시안됨)이 정부 위치로 봉을 복귀하므로써 제한된 길이를 지나 병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봉의 상부는 하부에 대향하여 축방향으로 달려있다. 그것은 사각체(237)에 의해 제어되는 나사-너트연결체를 통해 외부관에 연결되어 있다. 역학렌치에 의해 사각체(237)에 비틀림력을 가하면 페루울(236)의 스커트를 변형하기 위해 평면/구 접촉에 의한 축방향 힘이 발생된다.
이제 제22a-22c도를 참고하여 표준형 손상 조립체(10)의 봉을 새로운 골격체로 전달하므로써 조립체를 재구성하는 작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하단 챔버 플러그"(BSS 혹은 BIS)란 용어는 챔버내에 포함된 조립체의 하단부재 측면에 설치된 플러그를 의미하며 그 반대로 성립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장치의 초기 조건에서, 하부 챔버(AI)는 리프트상의 직선위치에 침적되어 있다(상부 플러그는 낮은 부착 위치에서 제거됨). 새로운 상부 챔버(AS)는 중도에서 제위치에 있는 유지 마스크(MR)와 함께 변환된 위치에서 저장된다. 상부 챔버는 패드(74)에 의해 결속된 단부부재가 없는 새로운 조립체 골격을 포함하고 있다. 손상된 조립체(10)는 주행 크레인에 의해 잡하고 하부 챔버(AI)내에 침적된다. 하부 챔버는 리프트에 의해 높은 위치로 돌아올려진다. 그의 상부 플러그는 제위치에 놓여진다. 조립체(10)는 축방향으로 차단되고 패드상에 작용하므로서 방사상으로 고정된다.
챔버(AI)는 크레인에 의해 회전 기구로 전달되어 기울어지게 되는 조종공구(OMA)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된 후 챔버는 다시 조종공구(OMA)에 잡혀져 상부 위치에 있는 리프트상에서 낮은 부착수준으로 위치된다(제22a도에서 화살료 f1,f2,f3) 하부 챔버(AI)의 하부 플러그(BII)는 그때 하단부재(B)가 제거되도록 철수된다. 그러한 제거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필요로 한다.
-조종공구(OMB)에 의해 마스크(MF)로 가져오고, 손상된 표준형 조립체의 하단부재(B)상에 마스크를 침적하고,
-단부부재 위치잡이 구멍속에서 두 개의 갈라진 부시(192)를 팽창하므로서 마스크를 고정하고,
-하나의 안내 구멍속으로 핀을 밀림하기 위해공구(OF)를 가져오고, 스텁(199)을 속박하므로써 베이오닛(bayonet)을 잠그며(제22b도),
-물의 흐름을 시작하고 조절하는 펌핑 세트(212)에 유압연결을 하며,
-예를 들어 24개인 모든 핀(17)을 연속밀링하고,
-공구 및 펌핑 조립체를 정지하고 추출하며,
-마스크(MF)를 절단 및 추출하고,
-표준형 하단부재를 안내하기 위해 마스크(MIS)내로 가져오고, 마스크의 갈라진 부시를 확장하여 고정시키고,
-드라이버(TIS)로 나사(16)를 풀고, 마스크의 슬리이브내로 속박하며,
-조종공구(OMB)를 사용하여 나사(16)를 포함하고 단부부재(13)에 견고하게 연결된 마스크(MIS)를 철수하고, 단부부제(B)와 마스크(MIS)를 분리하고 나사를 배출하기 위해 용기상에 조립체를 침적하고,
-푸셔공구(OP)를 사용하여 나사(16)를 배출하고,
-다시 조종공구(OMB)로 마스크(MIS)를 들어올린 후 그것을 저장 스탠드상에 침적시킨다.
하부 챔버(AI)를 운반하는 리프트는 그때 저부로 하강한다. 상부 챔버(AS)는 정부 부착수준에서 리프트상에 위치하며, 하부 챔버(AI)와 일직선을 이룬다. 봉 이송공구는 챔버위에 위치되며, 그의 지지기둥(116)은 판(ASI)의 기둥에 속박된다. 그랩은 추출될 봉(II)의 플러그의 수준까지 상부 골격체를 통해 하강된다. 그랩은 잠겨지고, 다시 봉을 상부 골격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승된다(제22c도), 봉이 풀려나오고, 그때 작동은 모든 봉(예를 들면 264)이 이송될때까지 계속된다.
일단 봉이 이송되어지면, 골격체는 완전한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해 새로운 단부부재들을 갖게된다. 단부부재들을 설치할때에는 다음과 같은 작동이 요구된다.
[하단부재의 도입 및 위치선정]
○ 이미 그 위치의 하단부재에 견고하게 연결되었으며, 골격체에 연결되기 위해 24개의 새로운 나사를 포함하는 마스크(MIS)가 조종공구(OMB)에 의해 들어오며, 골격체상의 위치에 놓아진다.
○ 예를 들어 제21도에 예시된 종류의 측정공구(OT)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수준을 검사한다.
○ 드라이버공구(TIA)를 사용하여 24개의 각 나사를 적당한 비틀림력으로 조인다.
○ 나사가 느슨하지 않게하기 위해 24개 나사의 스키들은 팽창공구(OEI)를 가져와 하강하므로써 연속적으로 변형된다.
○ 마스크(MIS)는 그의 저장 스탠드상에 침적된다.
○ 상부 챔버(AS)의 하부 플러그(BIS)는 판(ASI)에 나사로 끼워지고, 상부 챔버(AS)는 다시 조종공구(OMA)에 취해지며, 회전 기구상에 침적되고, 180°로 기울어진다.
상부 챔버가 리프트상에 놓여지기 전에, 연료봉이 빠져나온 사용된 연료 조립체는 단부부재에 의해 완료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보수대의 리프트는 정부위치로 복귀된다. 여전히 마스크(MIS)에 부착된 손상골격체의 하단부재는 조종공구(OMB)에 의해 골격체로 교체되며, 4개의 나사들이 골격체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그들의 안내관 뒤에 나사접속된다. 리프트는 저부 위치로 내려오며, 손상된 골격체는 저장 지역으로 제거된다. 리프트는 다시 들어 올려지며, 챔버(AI)의 하부 플러그(BII)는 그때 부착된다. 하부 챔버는 보수대에서 철수되어 대기지점에 위치된다.
[상단부재의 도입과 위치선정]
○ 상부 챔버(AS)는 기저 부착 지점에서 리프트상에 놓여진다.
○ 조정공구를 사용하여 이미 상단부재(14)에 견고하게 연결되었으며 재구성 조립체의 골격체에 부착을 위한 24개의 새로운 나사를 포함하는 마스크(MIS)를 가져오고 결합봉상에 위치된다.
○ 마스크의 수준을 측정공구(OT)에 의해 검사된다.
○ 드라이버공구(TIA)를 사용하여 24개의 나선부시들이 제각기 안내관속으로 나입된다.
○ 공구(OEI)와 유사한 팽창공구를 사용하여 나선부시의 스커트를 변형하여 나사가 손실되지 않고 느슨해지지 않게한다.
○ 리프트는 그의 저부 위치로 내려온다.
재구성 조립체는 그때 발전소의 연료 취급공구와 연결된 주행 크레인에 의해 저장을 제거된다. 리프트는 다시 올려지고, 상부 플러그(BSS)는 저장지역으로 제거되는 상부 챔버(AS)에 부착된다. 하부 챔버(AI)는 하부 부착 수준에서 리프트에 부착되며, 그의 플러그는 제거되고, 리프트는 다시 초기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내려온다.

Claims (9)

  1. 단부부재(13,14)에 부착된 결합봉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단부부재와, 결합봉을 따라 단부부재사이에 분포되었으며 단부부배사이에 걸린 연료봉(11)의 더미를 유지하는 격자로 형성된 골격체를 포함하는 형태의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단부부재를 제거하도록 챔버내의 조립체를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연료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챔버(AI)와; 골격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단부부재가 없는 새로운 연료 조립체 골격을 수용하기 위한 제2챔버(AS)와; 두 개의 수직으로 설치된 일선상의 챔버를 수용하여, 보호수층이 봉위에 있도록 하는 수준까지 챔버를 유지하기 위한 리프트를 포함하는 보수대와; 제1챔버내에 포함된 조립체로부터 동시에 골격체속으로 하나의 연료봉을 끌어내기 위한 이송공구(106)와, 단부부재들을 골격체상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AI,AS)는 그의 각 단부에 챔버 조종공구(OMA)를 수용하기 위한 기둥(58,82)을 지지하는 판(AII,AIS,ASI,ASS)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 개의 판은 조종공구(OMB)를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거 가능한 플러그(BIS,BSI)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BIS,BSI)가 챔버내에 포함된 조립체 또는 골격체의 축방향 유지를 위해 부재(69,74)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러한 부재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어서, 챔버가 회전할 때 골격체 또는 조립체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의 재구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챔버의 하부판(AII)과 제2챔버의 상부판(ASS)은 함께 이동되며 조립체 또는 골격체를 고정하고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크램핑 슈우즈(22)를 가지고, 상기 조립체는 그 단하나의 하단부재만이 제거될 수 있도록 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챔버가 180°로 기울게 만드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이송중 하부로 회전하는 제1챔버의 단부에 부착되는 골격체유지 마스크를 포함하며, 그러한 마스크는 봉 이송공구를 안내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여 1회에 하나의 봉을 이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추출될 봉을 갖는 조립체의 단부부재를 제거하기 위해공구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분 마스크(MIS)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마스크는 단부부재에 부착하고 센터링하기 위한 차단수단과 조종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기둥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회전 개구는 챔버의 중앙에 설치된 두 개의 절반측(56)을 수용하기 위해 두 개의 조립체를 갖는 규정된 높이의 변위될 수 있는 프레임을 가지고 있으며, 수동제어수단은 챔버를 기울게 하도록 적어도 절반축의 하나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재구성장치.
KR1019840006287A 1983-10-11 1984-10-11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Expired KR910005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316145 1983-10-11
FR83-16145 1983-10-11
FR8316145A FR2553226B1 (fr) 1983-10-11 1983-10-11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constitution d'assemblage de combustible nucle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270A KR850003270A (ko) 1985-06-13
KR910005806B1 true KR910005806B1 (ko) 1991-08-03

Family

ID=929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287A Expired KR910005806B1 (ko) 1983-10-11 1984-10-11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24607A (ko)
EP (1) EP0138711B1 (ko)
JP (1) JPS6098392A (ko)
KR (1) KR910005806B1 (ko)
CA (1) CA1220573A (ko)
DE (1) DE3472850D1 (ko)
ES (1) ES8701417A1 (ko)
FR (1) FR2553226B1 (ko)
ZA (1) ZA847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2902A3 (en) * 1985-08-05 1987-06-03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of removing and replacing locking screws in a nuclear fuel assembly
FR2599541B1 (fr) * 1986-06-03 1988-09-09 Fragema Framatome & Cogema Procede et installation de prelevement de troncon de tube dans un assemblage combustible nucleaire
US4822554A (en) * 1986-10-08 1989-04-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constitution and repair system for nuclear fuel rod assemblies
US5000906A (en) * 1987-06-18 1991-03-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nd consolidating the fuel rods of a nuclear fuel assembly
US4952072A (en) * 1987-06-18 1990-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nd consolidation fuel rods of a nuclear fuel assembly
FR2618014B1 (fr) * 1987-07-10 1992-08-14 Framatome Sa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constitution d'assemblage combustible nucleaire
FR2644616B2 (fr) * 1988-09-19 1991-07-05 Framatome Sa Dispositif et procede d'extraction d'un manchon de blocage d'un tube-guide demontable d'un assemblage combustible d'un reacteur nucleaire
US5135707A (en) * 1990-09-04 1992-08-04 B&W Fuel Company Fuel rod alignment template
FR2666924B1 (fr) * 1990-09-13 1992-12-18 Framatom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fuite sur un element combustible d'un assemblage pour reacteur nucleaire.
JP3105042B2 (ja) * 1991-10-24 2000-10-30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燃料集合体の組立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組立装置
JPH05126987A (ja) * 1991-10-24 1993-05-25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燃料集合体の組立装置
JPH05126988A (ja) * 1991-10-24 1993-05-25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燃料集合体の組立装置
JPH05196787A (ja) * 1991-10-24 1993-08-06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燃料集合体の組立装置
SE509671C2 (sv) * 1996-11-22 1999-02-22 Asea Atom Ab Metod och anordning vid bränslehantering
RU2182734C1 (ru) * 2000-11-16 2002-05-20 Курская Атом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Способ перегрузки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сборок при контроле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каналов на водографитовых ядерных реакторах
FR2971881A1 (fr) * 2011-02-18 2012-08-24 Areva Np Dispositif de retournement d'un conteneur, notamment pour assemblage de combustible nucleaire, ensemble de retournement et centrale nucleaire
CZ308431B6 (cs) * 2016-12-01 2020-08-19 Ĺ KODA JS a.s. Způsob provádění inspekce palivových souborů s jaderným palivem a zařízení pro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KR102229251B1 (ko) * 2019-10-07 2021-03-1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경수로 핵연료봉 장입력 측정장치
CN113406691B (zh) * 2021-06-23 2023-04-11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试验堆内中子注量与形变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9202A (en) * 1956-05-17 1960-08-16 Treshow Michael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3044947A (en) * 1956-10-24 1962-07-17 Jr John H Payne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machine
US3039949A (en) * 1958-12-19 1962-06-19 United Shoe Machinery Corp Fuel element handling apparatus
DE2264383A1 (de) * 1971-09-07 1973-09-06 Transfer Systems Vorrichtung zum ausheben und transportieren eines kernreaktorbrennstoffelementes
JPS52142185A (en) * 1976-05-22 1977-11-26 Kuroda Precision Ind Ltd Assembling device for fuel assembly
DE2635501C2 (de) * 1976-08-06 1986-01-09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Brennstabwechselwerkzeug
US4311557A (en) * 1979-10-12 1982-01-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fueling machine for a nuclear reactor
DE3002003A1 (de) * 1980-01-21 1981-07-23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Reparaturvorrichtung fuer brennelemente von siedewasserkernreaktoren
US4446098A (en) * 1981-05-29 1984-05-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ent fuel consolidation system
US4474398A (en) * 1981-06-26 1984-10-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Fuel assembly locking apparatus
US4522780A (en) * 1982-02-16 1985-06-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val and replacement of fuel rods in nuclear fuel assembly
US4547117A (en) * 1983-09-23 1985-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fuel rod bundle driv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701417A1 (es) 1986-12-01
JPS6098392A (ja) 1985-06-01
EP0138711B1 (fr) 1988-07-20
FR2553226B1 (fr) 1987-01-02
FR2553226A1 (fr) 1985-04-12
EP0138711A2 (fr) 1985-04-24
KR850003270A (ko) 1985-06-13
US4724607A (en) 1988-02-16
ZA847522B (en) 1985-05-29
EP0138711A3 (ko) 1985-06-12
DE3472850D1 (en) 1988-08-25
CA1220573A (en) 1987-04-14
JPH0414320B2 (ko) 1992-03-12
ES536518A0 (es) 198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806B1 (ko)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DE2635501C2 (de) Brennstabwechselwerkzeug
US4659537A (en)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nuclear fuel assemblies
KR910003289B1 (ko) 핵연료 집합체 처리장치 및 방법
DE3217166C2 (ko)
JPS5946885A (ja) 加圧水型原子炉の案内ピン交換の方法及び装置
KR970003779B1 (ko) 핵연료조립체의 연료봉들을 제거하고 합체시키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DE102007062895A1 (de) Übergabeverfahren und Anordnung zur Brennstofferneuerung eines Kernreaktors
US4715111A (en) Remote repair system for nuclear fuel rod assemblies
EP0258705A2 (de) Einrichtung zum Handhaben und Abstellen von Bohrgestängen im Bohrturm
DE69402876T2 (de) Vorrichtung zur ladung von brennstabbündeln
DE2707400C2 (de) Ladevorrichtung für einen Kernreaktor
DE1589851B2 (de) Einrichtung zum handhaben von kernelementen in einem kernreaktor
KR940003706B1 (ko)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JPS62298796A (ja) 燃料棒集荷装置
EP0263336A2 (en) Improved reconstitution and repair system for nuclear fuel rod assemblies
US3827579A (en) Irradiated fuel processing system
US3855684A (en) Nuclear fuel rod bundle handling means useful in an irradiated fuel reprocessing system
DE3417145A1 (de) Maschine zum abbruch ausrangierter kernreaktoren
US3416996A (en) Fuel handling systems associated with a nuclear reactor
US4639993A (en) Nuclear fuel rod loading fixture for use in a remote repair system
US3621742A (en) Irradiated fuel processing system
DE69930151T2 (de) Einrichtung zum beladen von brennstäben in ein kernreaktorbrennstabbündel
EP0209262B1 (en) Nuclear fuel rod loading fixture for use in a remote repair system
DE2623103A1 (de) Vorrichtung zum auswechseln von staeben eines brennelements eines kernreak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10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4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89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7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