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890001151B1 -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151B1
KR890001151B1 KR8204949A KR820004949A KR890001151B1 KR 890001151 B1 KR890001151 B1 KR 890001151B1 KR 8204949 A KR8204949 A KR 8204949A KR 820004949 A KR820004949 A KR 820004949A KR 890001151 B1 KR890001151 B1 KR 89000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lower alkyl
lower alkoxy
imidazole
oxyg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820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359A (ko
Inventor
앤셀름 슈네틀러 리차드
시러스 데이쥐 리차드
마틴 그리사 조안
Original Assignee
메이나드 알.죤슨
메렐 다우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나드 알.죤슨, 메렐 다우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이나드 알.죤슨
Publication of KR84000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15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70One oxy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90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혈압 치료제, 강심제 및 혈전증 치료제로서 유용한 하기 일반식(Ⅰ)의 이미다졸카복실산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이의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Q 및 T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2가의 황원자이고 ; R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킬카보닐 또는 벤조일이고; R1은 수소 또는 -CH(R3)R4이고 ; R2는 저급알콕시, 페녹시, 또는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르메틸, 저급알킬티오, 저급알킬설폰, 또는 저급알킬설폭사이드로 치환된 페녹시이고 ; R3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저급알킬카보닐옥시, -ONO2또는 할로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저급알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및 측쇄 알킬(예: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및 이소부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저급알킬카보닐”은 하기 일반식의 그룹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알킬 잔기는 타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예 ;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n-부틸 및 이소부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벤조일”은 구조식 -(CO)C6H5의 그룹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저급알콕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및 측쇄 알콕시(예 ; 메톡시, 에톡시,이소프로폭시,n-부톡시 및 이소부톡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저급알킬카보닐옥시”는 하기 일반식의 그룹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알킬 잔기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예 ;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및 이소부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며, “할라이드”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저급알킬티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및 측쇄 알킬티오(예 ; 메틸리오, 에틸티오, 이소프로필티오,n-부틸티오 및 이소부틸티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저급알킬설폰”은 하기 일반식의 그룹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알킬잔기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알킬(예;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n-부틸 또는 이소부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저급알킬설폭사이드”는 하기 일반식의 그룹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알킬잔기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예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n-부틸 또는 이소부틸)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Q 및 T가 각각 산소인 일반식(1)의 화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이 수소인 일반식(1)의 화합물이며, R4가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카보닐옥시인 일반식(1)의 화합물도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 R2가 메톡시, 에톡시 또는 페녹시인 일반식(1)의 화합물이며, R4가 수소, 메틸,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또는 아세틸옥시인 일반식(1)의 화합물도 포함된다.
일반식(1)의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메틸 2-옥소-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 페닐5-메틸-2-티옥소-이미디졸 -4-카복실레이트 ; (3-메틸페닐) 5-(브로모메틸)-2-옥소-이미다졸 -4-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페닐) 5-(1-에톡시에틸)-2-옥소-이미다졸 -4-카복실레이트; (4-메틸티오페닐) 5-에틸-2-옥소-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에틸 5-아세톡시메틸-2-옥소-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3-클로로페닐) 5-하이드록시메틸-2-옥소-이미다졸 -4-카복실레이트 니트레이트 에스테르; (4-3급-부틸페닐) 5-(1-하이드록시에틸) -2-옥소-이미다졸-4-티오카복실레이트; 프로필 1,3-디아세틸-5-이소부틸-2-옥소-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페닐 1,3-이소프로필-5-아세톡시메틸-2-옥소-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
R이 수소인 일반식(1)의 화합물은 산성이며 다음 일반식(2)의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염을 형성할 수 있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Q,T,R1및 R2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 M은 약학적으로 무독한 알칼리 금속(예; 나트륨 또는 칼륨), 알칼리 토금속(예 ; 칼슘 또는 마그네슘), 전이금속(예; 아연 또는 철), 또는 주요족(main group)금속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본 분야에 공지된 바와 유사한 표준 기술에 의해 제조한다.
더욱 상세히, T가 산소이고 R이 수소인 본 발명의 이미다졸카복실산 유도체는 하기일반식(3)의 아미노케토카복실레이트를 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시아네이트 염(바람직하게는 시안화칼륨, 시안화 나트륨, 나트륨 티오시아네이트 또는 칼륨 티오시아네이트)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이 반응은 적합한 용매중에서 약 1몰 당량의 적절한 아미노케토카복실레이트를 약 1 내지 약 5몰당량, 바람직하게는 약 1몰 당량의 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시아네이트염과 혼합하여 수행한다. 이 반응은 반응물, 용매 및 온도에 따라 약 5분 내지 약 10분이 소요된다. 반등온도는 약 -10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0℃이다. 이 반응에 작합한 용매는 비-반응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수혼화성 용매, 예를 들어, 유기산(예; 아세트산),알코올(예; 메탄올 또는 에탄올),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p-디옥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물과 혼합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수성알콜이다.
이 반응의 생성물은 상응하는 나트륨 또는 칼륨 염으로의 전환 및 이산화탄소 또는 무기산(예 ; 희염산)을 사용한 재침전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T가 2가의 황원자인 화합물을 수득할 경우, T가 산소인 상응하는 일반식(Ⅰ)의 이미다졸카복실산을 오황화인(P2S5)과 본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적합한 용매중에서 약 1몰 당량의 이미다졸카복실산(여기에서, T는 산소이다)을 약 1 내지 약 5몰 당량, 바람직하게는 약 1몰 당량의 P2S5와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반응물, 용매 및 온도에 따라 약 1 내지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5시간이 소요된다. 반응 온도는 약 25 내지 약 125℃, 바람직하게는 약 80℃이다. 이 반응에 적합한 용매는 비-반응성 용매, 예를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p-디옥산, 벤젠, 톨루엔 또는 피리딘이다. 피리딘이 바람직한 용매이다.
경우에 따라, 이미다졸 환내의 질소원자 하나 또는 둘을 공지의 방법으로 알킬그룹으로 치환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적절한 N -비치환된 이미다졸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비반응성 용매의 존재하에 염기 및 알킬화제와 반응시켜 수행한다. 이 반응에 적합한 염기는 수소화물(예; 수소화나트륨 또는 수소화칼슘), 또는 알콕사이드(예; 나트륨 에톡사이드)이다. 적합한 알킬화제로는 예를들면 알킬 할라이드(예 : 메틸 요오다이드 ), 또는 디알킬설페이트(예 ; 디메틸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적합한 비반응성 용매로는 예를들면 디메틸 포름아미드(DMF)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이다.
이 반응은 약 1시간 내지 약 10시간 소요되며 온도는 약 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25℃이다.
이미다졸 환의 질소원자중 알킬기로 치환시키고자 할 경우 적합한 이미다졸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약 1몰 당량의 알킬화제와 반응시킨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두가지의 모노알킬화된 질소 이성체가 생성된다. 이 이성체들은 분별결정, 분별증류 또는 크로마토그라피와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미다졸 환의 질소원자중 두개 모두를 알킬치환시키고자 할 경우, 적합한 이미다졸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약 2 내지 약 10몰 당량, 바람직하게는 약 2몰 당량의 염기 및 약 2 내지 약 10몰 당량, 바람직하게는 약 2몰 당량의 알킬화제와 반응시킨다. 최종적으로, 하이드록시 치환체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동시에 알킬화시킬 수 있다.
즉 R4가 하이드록시이거나, R2가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페녹시인 경우, 이런 그룹들은 동일한 반응조건하에서 알킬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 치환체들의 알킬화반응은 본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보호그룹을 사용하여 막을 수 있는데, 예를들면 하이드록시기를 벤질화시키고 이어서 가수소분해로 탈차단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미다졸환의 질소원자들은 적합한 공지 방법에 따라 알킬카보닐 또는 벤조일그룹으로 치환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환(ring) N-치환된 이미다졸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수행한다. 이 반응는 약 1시간 내지 약 2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5시간 소요되며 반응온도는 약 0℃ 내지 약 200℃, 바람직하게는 135℃이다. 최종적으로, 하이드록시 치환체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동시에 아실화 또는 벤조일화시킬 수 있다. 즉, R4가 하이드록시 이거나 R2가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페녹시인 경우, 이들 그룹은 동일한 반응조건하에서 아실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 치환체들의 아실화는 본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보호그룹을 사용하여 막을 수 있는데, 예를들면 하이드록시기를 벤질화시키고 이어서 가수소분해로 탈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다졸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전이금속염 또는 주요족 금속염은 상응하는 금속 알콕사이드(예; 나트륨 메톡사이드 또는 칼륨 에톡사이드) 또는 금속 수소화물(예;수소화칼슘)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로는 저급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을,n-프로판올 또는 n-부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이 있다.
이미다졸카복실산 유도체와 염기를 반응물 및 온도에 따라 약 1분 내지 약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온도는 약 -78°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0°내지 약 25℃이다.
일반식(3)의 아미노케토카복실레이트는 다음 일반식(4)의 적절한 옥심을 환원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이 옥심은 공지의 방법, 예를들어 적합한 귀금속 촉매(예: pd/c)의 존재하에 산성의 알콜성 매질(예; 에탄올염산)내에서 촉매적으로 환원시키거나 아세트산/아세트산 무수물 용액내에서 아연 또는 주석을 사용하여 환원시킨다.
일반식(4)의 옥심은 공지의 방법, 예를들어 다음 일반식(5)의 적절한 β- 케토에스테르를 니트로소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적합한 니트로소화반응은 다음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O. Tousler의 “Organic Reactions”,VOL.VⅡ,pp.327-377]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울혈성 심부전, 후방심부전, 전방심부전, 좌심실성 심부전, 또는 우심실성 심부전을 포함하는 심부전의 치료, 또는 강심제로 심장기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기타 다른 질병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측면에서 이들 화합물은 디기탈리스-유사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일반식(1)의 화합물은 원발상 또는 본태성 고혈합, 홀몬으로 유발된 고혈압, 신성고혈압 및 화학적으로 유발된 고혈압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일반식(1)의 화합물은 혈전증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혈소판 응집을 막음으로써 혈액이 응괴되는 것을 막으며 이는 초기단계 및 색전 (occlusive)단계 같은 혈전증 상태에서 우수한 작용을 나타낸다. 동맥혈전증, 특히 심근 및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혈전증은 치사 및 불구를 초래한다.
고혈압 치료로서의 일반식(1)의 화합물의 효능은 6마리의 특발성 고혈압 래트(150mgHg 보다 높은 수축기 혈압을 가진 래트)에게 0.5% 메틸셀룰로즈 50mg/ 5ml /kg을 사용하여 시험화합물(50mg/5kg 경구투여)를 투여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하부 동맥혈압은 압력커프(cuff)바로 뒤에 있는 미부(tail)에 놓인 광전지 변환기를 통하여 기록한다. 이 기록은 투여한 1,2,3,4 및 24시간후 마다 약 2분간 수행한다. 이 시험 화합물은 혈압의 평균강하가 약제 처리한 1,2,3,4 또는 24시간중 적어도 하나에서 대조용보다 컷을 경우 (p<0.05)활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강심제로서의 일반식(1)의 화합물의 효용은 적합한 비이클내의 시험 화합물 (0.1 내지 10mg/kg)을 몬그릴(mongrel) 견(양성을 다 사용한다)에 정맥내, 복강내, 십이지장내 또는 위에 투여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시험견을 마취시키고, 적합한 동맥(예: 대퇴 경동맥 또는 총경동맥) 및 정맥(예 : 대퇴경정맥 또는 외경정맥)을 적출하고, 0.1% 헤파린-Na으로 충진된 폴리에틸렌 카테터를 도입하여 각각 동맥혈압 및 투여 화합물을 기록한다. 흉부는 흉골의 중심부위를 절개하거나 왼쪽의 5번째 늑간 공간에서 절개하여 노출시킨다. 심근수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브로디-왈튼 스트레인 게이지(Brodie-Walton Strain gage)를 우심 또는 좌심실에 봉합한다. 전자기성 유량 탐침기를 관상 혈류량보다는 심박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행대동맥의 근부 주위에 장치한다.대동맥 및 대정맥은 정맥의 심장으로 되돌아옴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심장 및 폐는 순환계의 휴식기로부터 혈관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심부전은 나트륨 펜토바비탈(분당0.25mg/kg의 일정한 속도로 20 내지 40mg/kg을 주입)을 투여하거나, 프로프라날을 하이드로클로라이드(분당 0.18m/kg의 일정한 속도로 4mg/kg을 주입)을 정맥내 투여하거나 또는 나트륨 펜토바비탈(0.15mg/ml)을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에 투여하여 유발시킬 수 있다. 이들 심기능 억제제중의 어느 것을 투여함에 의해서, 우동맥압은 급격히 증가하며 심박출량은 심하게 억제된다. 이러한 효과를 시험화합물로 역전시키는 것을 강심작용이라고 한다.
화합물은 여러 방법으로 투여하여 원하는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화합물은 치료하여야 하는 환자에게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 제제의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 정맥내 또는 근육내 투여할 수 있다. 투여하는 화합물의 양은 심부전 중증도 및 투여방법에 따라 다양하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있어서, 강심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 체중 kg당 1일에 약 0.1mg내지 500mg까지이며, 바람직하게는 환자 체중 kg 당 1일에 약 0.1mg 내지 50.0mg까지이다.
경구투여를 위한 단위 용량형은 예를들어 활성성분 5 내지 500mg을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단위 용량형은 예를들어 활성성분 5내지 50mg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합물의 1일 투여를 반복할 수도 있으며, 이는 환자의 상태 및 투여방법에 따라 변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환자”라는 용어는 조류(예; 닭 및 칠면조) 및 포유동물 (예 :영장류, 인간,양, 말, 암소 및 황소, 돼지, 개, 고양이, 래트 및 생쥐)과 같은 온혈동물을 의미한다.
경구투여시, 본 화합물은 캅셀제, 환자, 정제, 트로키제, 산제 ,용액, 현탁제 또는 유제와 같은 고형 또는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고혈의 단위 용량형은 활탁제 및 유당, 서당 및 옥수수전분과 같은 불활성 충진제를 함유하는 통상적인 젤라틴형의 캅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 일반식(1)의 화합물은 결합제(예 ; 아카시아,옥수수전분 또는 젤라틴), 붕해제. (감자 전분 또는 알긴산), 및 윤활제(예 : 스테아르산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조합하여 유당, 서당 및 옥수수전분과 같은 통상적인 정제기제로 정제화 할 수 있다.
비경구투여시, 본 화합물은 계면활 성제 및 기타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조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은 물 및 오일과 같은 무균 액체일 수 있는 약제학적인 담체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중에서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제의 주사용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제제에 사용할 수 있는 오일의 예로는 석유, 동물성, 식물성 또는 합성오일 (예; 낙화생유,대두유 및 광유)이 있다. 일반적으로 물, 식염수, 수용성 택스트로즈 및 관련된 당 용액, 에탄올 및 글리콜(예;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특히 주사용 용액에 바람직한 액체 담체이다.
화합물은, 활성성분을 서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는 지속성 주사제 또는 이식 제제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활성성분은 펠렛(pellets) 또는 작은 실린더(cylinder) 형으로 압착할 수 있으며, 지속성 주사제 또는 이식제로 피하 또는 근육내에 이식시킬 수 있다. 이식제로는 생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 또는 합성실리콘(예; 다우-코닝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고무인 실라스틱)과 같은 불활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 화합물의 제법 및 용도를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
1,1-디메틸에틸 2,3-디하이드로-5- 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31.6g(0.2ml)의 3급-부틸 아세토아세테이트를 30ml의 아세트산에 녹여 교반하고 얼음-메탄올 욕에서 냉각시킨 다음, 물 50ml중의 15.2g(0.22ml)의 아질산나트륨 용액을 70분에 걸쳐 적가한다.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교반하고, 에틸 에테르 500ml를 가한다. 에테르성 용액을 물, 중탄산나트륨 용액, 염화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키면 오일상의 3급-부틸 2-(옥시미노) -3-옥소부타노에이트 36.4g이 남는다.
이 오일을 에탄올 300ml 및 2N 염산 200ml에 용해시킨다. 2.0g의 10% pd/c를 가하고 혼합물을 파르 진탕기내에서 수소 가스하에 2몰 당량의 수소가 소모될때(약 2시간)까지 진탕시킨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여 3급-부틸 2-아미노-3-옥소-부타노에이트의 산성용액을 수득하고, 이를 이등분한다.
상기 용액 한 부분에 시안화칼륨 16.2g(0.2ml)을 가하고 혼합물을 스팀욕에서 1시간 가열한다. 중성용액을 2N염산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냉각 시키면서 결정화시킨다. 혼합물을 에탄올 및 물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225℃(분해온도)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2]
에틸 2,3-디하이드로-5-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이 화합물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융점: 217 내지 220℃
이 화합물의 합성법은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Gabriel 및 Posner ,Ber.,27,1144(1894)].
[실시예 3]
에틸5-에틸-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이 화합물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융점: 186 내지 189℃
이 화합물의 합성법은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참조 : Duschinsky 및 Dolan의 J.Am,Chem,Soc.,68,2350(1946)].
[실시예 4]
에틸 1,3-디아세틸-2,3-디하이드로-5-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에틸2,3-디하이드로-5-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54.5g(0.32ml)와 아세트산 무수물 240ml의 혼합물을 환류온도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된 아세트산 무수물과 아세트산을 증류 제거(150ml)하고 새로운 아세트산 무수물을 가한다. 9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류하고 오일상 잔류물을 사이클로헥산으로 연마한다. 생성된 결정성 물질을 비등 사이클로헥산 600ml에 녹이고 소량의 불용성 물질을 경사 제거한후 용액을 목탄(후에 여과제거함)으로 처리하여 탈색시키고, 핵산 400ml를 가한 다음, 용액을 냉각(-20℃)시키다. 결정성 생성물을 수집한다. 수득량 : 48.4g(56%), 융점: 56 내지 58℃(분해온도).
[실시예 5]
에틸1,3-디아세틸-5-(브로모메틸)-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에틸1,3-디아세틸-2,3-디하이드로-5-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실시예 3),12.7g(0.05ml), N-브로모석신이미드 9.3g(0.052ml)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 약 100mg을 사염화탄소 400ml에 녹인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얼음로 냉각시키고, 침전된 석신이미드를 여과 제거한후, 여액을 증발시켜 오일상 물질 28.8g을 수득한다. 이 화합물은 NMR스펙트럼(CDCl3중에서)분석결과 표제 화합물임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6]
에틸 3-아세틸-5-(브로모메틸)-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조 에틸 5-(브로모메틸)-1,3-디아세틸-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를 30% 브롬산이 함유되어 있는 아세트산에 녹이고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정지시킨다. 침전된 생성물을 수집하고 80℃에서, 진공하에 수산화칼륨 상에서 건조시킨다.
융점 : 193 내지 194℃(분해온도)
[실시예 7]
에틸3-아세틸-5-[(아세틸옥시)메틸]-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60ml 중의 실시예 1의 화합물(2.9g)을 용액에 1.7g의 아세트산 은을 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다. 은염을 여과제거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킨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핵산(1:1)로 2회 재결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융점 : 138내지 139℃
[실시예 8]
에틸1,3-디아세틸-2,3-디하이드로-5-(하이드록시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니트레이트에스테르
질산은 8.5g(0.05m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 100ml에 녹여 냉각 (0℃)시킨 용액에, 조 에틸 1,3-디아세틸 -5-(브로모메틸)-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실시예 4)8.3g(0.025ml)를 아세토니트릴 40ml에 녹인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한다. 혼합물을 0℃에서 45분간 교반한다. 침전된 브롬화은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킨다. 잔류물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에 분해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물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다. 생성된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혼합물로 결정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켜 표제 화합물 수득한다.
융점 : 84 내지 85℃
[실시예 9]
5-알킬-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산 에스테르의 강심작용
체중 1 내지 3kg의 몬그릴 견에 펜토바비탈 나트륨 35mg/Kg을 정맥내 투여하여 마취시킨다. 개의 흉부를 수술하여 개방시키고 위심 크레이들(pericardial cradle)을 사용하여 심장을 지지시킨다. 심근수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브로디-완통 스트레인 게이지를 좌심실에 봉합한다. 심박수 및 동맥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부착한다.
시험 화합물을 평량하고 메틸 아세트 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물로 희석하여 정해진 농도로 만들고 이 용액을 0.1%헤파린 나트륨으로 충진된 폴리에틸렌 카테터를 통해 정맥내 투여한다. 투여된 시험화합물을 동물 체중 Kg당 0.3, 1 및 3mg으로 조절한다.
각 농도의 시험화합물을 투여한후 심근수축력은 증가하였다. 이 측정으로부터, 유효량, 즉 적어도 20분의 지속기간동안 수축력을 30%증가시키는 양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합물 유효량(mg/kg/ 정맥내투여)
1 0.45
2 0.44
3 0.51
화합물 1 : 에틸 5-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화합물 2 : 1,1-디메틸에틸 5-메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 : 에틸 5-에틸-2-옥소-1H-이미다졸-4-카복실레이트

Claims (10)

  1. 하기 일반식(3)의 아미노케톤을 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시아네이트 염과 반응시킨 다음 T가 2가의 황원자인 화합물을 수득할 경우에는, T가 산소원자인 상기 생성물을 오황화인과 반응시키고 ; R이 수소가 아닌 화합물을 수득할 경우에는, R이 수소인 상기 생성물을 아실 할라이드 또는 알킬화제와 반응시키고 ;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수득할 경우에는 상기 생성물을 염기성 금속염 또는 유기산과 반응시키고 ; 이어서 반응물로부터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를 분리함을 포함하여, 하기 일반식(1)의 이미다졸카복실산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Q 및 T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2가의 황원자이고; R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킬카보닐 또는 벤조일이며: R1은 수소 또는 -CH(R3)R4이고 ; R2는 저급알콕시, 페녹시, 또는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위치에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티오, 저급알킬설폰 또는 저급알킬설폭사이드에 의해 치환된 페녹시이며 ; R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저급알킬카보닐옥시,-ONO2또는 할로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이고, R1이 메틸이며, R2가 저급알콕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이고, R1이 에틸이며, R2가 저급알콕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R이 수소이고,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인 방법.
  6. 하기 일반식(Ⅰ)의 이미다졸카복실산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강심 유효량의 약제학적 조성물.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Q 및 T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2가의 황원자이고; R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킬카보닐 또는 벤조일이며; R1은 수소 또는 -CH(R1)R4이고; R2는 저급알콕시 페녹시, 또는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위치에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티오, 저급알킬설폰 또는 저급알킬설폭사이드에 의해 치환된 페녹시이며; R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저급알킬카보닐옥시, -ONO2또는 할로겐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인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이고, R1이 메틸이며, R2가 저급알콕시인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이고, R1이 메틸이며, R2가 저급알콕시인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R이 수소이고, Q 및 T가 각각 산소원자인 조성물.
KR8204949A 1981-11-04 1982-11-03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Expired KR890001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7956 1981-11-04
US06/317,956 US4418071A (en) 1981-11-04 1981-11-04 Cardiotonic imidazole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371.956 1981-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359A KR840002359A (ko) 1984-06-25
KR890001151B1 true KR890001151B1 (ko) 1989-04-25

Family

ID=2323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949A Expired KR890001151B1 (ko) 1981-11-04 1982-11-03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418071A (ko)
EP (1) EP0078545B1 (ko)
JP (1) JPS5885818A (ko)
KR (1) KR890001151B1 (ko)
AT (1) ATE32339T1 (ko)
AU (1) AU558254B2 (ko)
CA (1) CA1182826A (ko)
DE (1) DE3278074D1 (ko)
DK (1) DK163827C (ko)
ES (1) ES8402824A1 (ko)
GB (1) GB2112774B (ko)
GR (1) GR77054B (ko)
IE (1) IE54121B1 (ko)
IL (1) IL67131A0 (ko)
NO (1) NO157214C (ko)
NZ (1) NZ202348A (ko)
PH (1) PH19153A (ko)
ZA (1) ZA8279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250A (en) * 1983-11-23 1985-07-30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5-Heteroarylimidazol-2-ones having cardiotonic activity
KR930004646B1 (ko) * 1986-12-09 1993-06-02 다나베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심기능 부전의 예방 및 치료제
US4999365A (en) * 1987-03-20 1991-03-12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reducing reperfusion injury with imidazol-2-thiones
DE19858352A1 (de) 1998-12-17 2000-06-21 Basf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2,4-Dimethyl-3,5-bis-alkoxycarbonyl-pyrro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324A (en) * 1946-03-21 1949-04-26 Hoffmann La Roc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midazolones
FR1184709A (fr) * 1957-09-21 1959-07-24 Cfmc Nouveaux dérivés imidazoliques, utilisables comme agents de protection contre les rayons ultra-violets et leurs procédés de fabrication
NL294421A (ko) * 1962-06-22
US3303199A (en) * 1963-07-15 1967-02-07 Geigy Chem Corp Certain imidazolo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S5913511B2 (ja) * 1975-10-11 1984-03-30 田辺製薬株式会社 新規イミダゾ−ル誘導体の製法
JPS5283372A (en) * 1975-12-26 1977-07-12 Tanabe Seiyaku Co Ltd Synthesis of imidazole derivatives
GB2009741B (en) 1977-12-02 1982-05-12 Smithkline Corp Chemical process
BE871675A (fr) * 1977-12-02 1979-04-30 Smithkline Corp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l'imidaz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27976B (en) 1983-09-28
GB2112774B (en) 1985-09-11
EP0078545A1 (en) 1983-05-11
GB2112774A (en) 1983-07-27
CA1182826A (en) 1985-02-19
IL67131A0 (en) 1983-03-31
DE3278074D1 (de) 1988-03-10
JPS5885818A (ja) 1983-05-23
DK488282A (da) 1983-05-05
AU9011082A (en) 1983-05-12
US4418071A (en) 1983-11-29
ES517039A0 (es) 1984-03-01
ATE32339T1 (de) 1988-02-15
ES8402824A1 (es) 1984-03-01
EP0078545B1 (en) 1988-02-03
NO157214C (no) 1988-02-10
IE54121B1 (en) 1989-06-21
GR77054B (ko) 1984-09-05
IE822623L (en) 1983-05-04
DK163827B (da) 1992-04-06
DK163827C (da) 1992-09-14
KR840002359A (ko) 1984-06-25
PH19153A (en) 1986-01-15
JPH0465810B2 (ko) 1992-10-21
NZ202348A (en) 1986-04-11
AU558254B2 (en) 1987-01-22
NO823645L (no) 1983-05-05
NO157214B (no) 198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5628A (en) 4-Pyridylimidazolones and method of use
KR890001151B1 (ko) 이미다졸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410540A (en) Cardiotonic 4-aroylimidazolidin-2-ones
KR890005203B1 (ko) 티아졸론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900003879B1 (ko) 5-아릴-2,4-디알킬-3h-1,2,4-트리아졸-3-티온 및 이의 제조방법
KR890001152B1 (ko) 치환된 알카노일이미다졸-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BE883856A (fr) Nouvelles aroyl-4 amidazolones-2 utiles comme medicament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therapeutiques les contenant
EP0180500A1 (fr) Dérivés de thiéno et furo - [2,3-c]pyrroles,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médicaments les contenant
US4552880A (en) Aroylimidazolones
US4447619A (en) 4-Alkanoylimidazol-2-ones
EP0221720B1 (en) Dihydropyridines
KR900000368B1 (ko) 5-헤테로사이클릭-2, 4-디알킬-3h-1, 2, 4-트리아졸-3-티온 및 이의 제조방법
US4775689A (en) 5-(naphthyl)-2,4-dialkyl-3H-1,2,4-triazole-3-thiones and their use as antidepressants
JPH0414665B2 (ko)
JPH0233032B2 (ko)
JPS5883681A (ja) 4−シクロアルキルアミノキナゾリン誘導体
KR19990007807A (ko) 3-페닐-1,4-디알킬-1,2,4-트리아졸륨 염 및 항우울제로서의이의 용도
PT100774A (pt) "3-(tetrazolil substituidos)4-oxo-4h-pirido-{1,2-a}-pirimidinas, seus sais, composicoes farmaceuticas que as contem e processos para a sua preparaca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11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2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8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228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