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890001037B1 -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37B1
KR890001037B1 KR1019860006087A KR860006087A KR890001037B1 KR 890001037 B1 KR890001037 B1 KR 890001037B1 KR 1019860006087 A KR1019860006087 A KR 1019860006087A KR 860006087 A KR860006087 A KR 860006087A KR 890001037 B1 KR890001037 B1 KR 890001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denier
elongation
polyam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346A (ko
Inventor
페트릭(엔엠엔)버니
Original Assignee
몬산토 캄파니
아놀드 하베이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산토 캄파니, 아놀드 하베이콜 filed Critical 몬산토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3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기모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직물내에 폴리아미드사가 포함된 기모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테이플사로부터 브러시직물이나 기모직물을 제조하는 것는 오래전부터 알려진 것으로 이와같은 직물들은 전형적으로 직물의 표면물 티즐이나 와이어 카딩클로드와 접촉시켜 어브레딩하므로써 제조되는 것들로(아메리칸 엘세버어에서 1966년 출판된 헬의 ″섬유가공″, 제105면 내지 제108면 참조) 매우 짧은 파일이나 잔털이 기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물의 표면을 금강사 또는 기타 유사물질(″섬유가공″제107면 참조)로 접촉시켜 어브레딩하여 주므로써 직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가공한 것이다. 전형적인 나일론사인 연속필라멘트 나일론으로 제조된 직물들은 통상적인 브러싱장치를 사용하여 브러싱할 경우, 브러싱면에서 좋지않은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여러종류의 브러시직물로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등은 신도가 60% 이하이고 강도가 5g/데니어 이하나(7-[0.6×신도%]) g/데니어 이하보다 낮은 값의 특성을 갖도록 나일론사의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면, 연속 필라멘트 나일론을 포함하는 직물이라도 브러싱 공정을 성공적으로 행할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연속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가지는 세밀히 선택된 폴리아미드사로 직물을 구성하되 직물의 표면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폴리아미드사가 노출되도록 하여 그 표면을 폴리아미드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의 일부가 절단될 정도로 어브레딩시켜서 기모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폴리아미드사는 반드시 약 60% 이하의 신도, 5g/데니어 이하보다 낮은 강도나(7-[0.06×신도%]) g/데니어 이하보다 낮은 강도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폴리아미드사의 강도는 1.5 내지 4g/데니어의 범위이고 신도는 10 내지 50%의 범의가 바람직하다는 것이며, 바람직한 폴리아미드사로는 나일론 66으로 폴리아미드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데니어는 1.4 내지 6의 범위가 유리하다는 것과 폴리아미드사의 강도가 5g/데니어 이하의 값을 갖거나 (6.8-[0.06×신도%]) g/데니어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요구하는 다양한 염색 효과를 얻기위해서는 직물을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로 구성되지 않은 제2의 사를 포함시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제2의 사로는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나 가장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실시에에서 기술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전형적인 나일론사로 제조된 직물을 브러싱하는 방법의 일예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34줄의 필라멘트로된 나일론 66사를 연신된 사의 데니어가 70이 되도록 방사데니어를 선택하여 1400MPM으로 용융방사한 다음, 냉각하고 증기 처리하여 권취하고, 방사된 사의 신도가 40%가 되도록 냉연신하여, 강도가 5.6g/데니어인 연신사를 얻고 이것으로 경편포(Warp Knit Fabric)를 제직하였다. 이 경편포를 게스너 편제품 냅핑기(Gessner Knit goods napping apparatus)를 사용하여 브러싱을 시도한바, 냅핑기 와이어들이 급히 마모되어 필라멘트들을 완전히 절단할 수 없어 브러싱에 실패하였다.
한편, 방사공정과 연신공정을 변형시켜 신도 60% 강도 4.2g/데니어인 70데니어의 연신사와 신도 30%, 강도 6.5g/데니어인 70데니어의 연신사로 각각 경편포를 제직하여 브러싱을 시도하였으나 전술한 바와같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상대점도가 80인 나일론 66폴리머와 상대점도가 40인 나일론 66폴리더를 34개의 모세관을 갖는 구금을 통하여 상대점도가 높은 나일론 66폴리머와 상대점도가 낮은 나일론 66, 폴리머와의 체적비가 40% : 60%인 용융스트림으로 압출하여 복합방사 시켰다. 방사온도는 285℃로 하였으며 34줄의 용융스트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금 바로 하단에 위치한 냉각기에서 공냉시켜 필라멘트로 한 다음, 사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구금면 하단 91.44c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기로 가공을 행하고 구금면 하단 6.1m에 위치한 원주속도 3333MPM으로 회전하는 피이드로울에 사를 통과시켜 부분 랩핑한후, 원주속도 5000MPM으로 회전하는 딜리버리로울에 통과시켜 재차 부분랩핑을 행하였다. 피이드로울과 연신로울의 표면은 사가 이들 로울의 사이에서 연신되도록 미끄럼의 정도를 최소로 선택하였다. 다음에 온도 300℃의 길이가 61cm인 관에 사를 통과시킨 다음, 4605MPM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였다. 얻어진 70데니어의 사는 34줄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신도 43%, 강도 2.4g/데니어이었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콘쥬게이트사로 경편포를 제직하여 통상적인 브러싱을 행한결과, 놀랍도록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한 나일론사는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의 보강사(accent yarn)나 표면사로 100%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직물은 브러싱 공정이 용이하도록 노출된 나일론사의 길이가 길게 직포 또는 편포의 구조로 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로 하는 사의 특성을 실시예 2와는 다른 공정을 택하므로써 부여하였다.
상대점도 40인 나일론 66 폴리머를 285℃의 용융온도에서 방사하여 구금면 하단 52인치(132cm) 지점에서 용융스트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냉각하여 34줄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사를 형성시켰다. 다음에 사를 구금면 하단 3.3m에 위치한 가공기를 통과시킨 다음, 표면 속도 3800MPM으로 회전하는 피이드 로울에 접촉시키기 전에 완충핀과 피이드로울 사이에서 사의 장력이 55g 유지하도록 배열된 2개의 세라믹 완충핀(Snubbing pin) 각각에 부분 랩핑을 시키고 피이드로울을 통과한 후, 표면속도 3710MPM의 속도로 회전하는 딜리버 리로울로 부분 랩핑한 다음, 약 7g의 권취장력으로 권취하였다. 얻어진 70데니어의 사는 신도가 44%였고 강도는 3.9g/데니어 이었다. 얻어진 사로 제조된 경편포는 브러시 공정성이 매우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얻어진 직물 또한 매우 훌륭한 품질이었다.
실험방법
보빈으로 부터 50야아드의 사를 절단하고 인스트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신도를 측정하였다. 게이지길이(클램프사이에 놓여진 시료사의 초기길이)는 25cm로 하였고 크로스헤드의 속도는 분당 30cm로 하여 사가 절단될때까지 인장시키고 신도는 최대 하중이 걸렸을때 늘어난 시료의 길이를 초기게이지 길이(25cm)의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강도는 사를 인장시키기전 상의 데니어로 걸린 최대장력을 나눈값으로 표시하였다.

Claims (10)

  1. 다수의 연속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로된 신도 60%이하, 강도 5g/데니어 이하보다 적거나 (7-[0.06×신도%]) g/데니어 이하보다 적은 값을 갖는 폴리아미드사로 직물을 제직하되, 부분적으로 직물의 표면에 폴리아미드사가 노출되도록 직물을 제직하고, 직물의 표면에 노출된 폴리아미드사의 일부 필라멘트들이 절단 되도록 충분히 직물의 표면을 어브레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사의 강도를 1.5∼4g/데니어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사의 신도를 10-50%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사의 신도를 10-50%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를 나일론 6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의 데니어를 1.5 이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을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포함하지 않는 제2의 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의 사를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2의 사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사의 강도를 4g/데니어 이하보다 적게 하거나 또는 (6.8-[0.06×신도%]) g/데니어 이하보다 적은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KR1019860006087A 1985-07-26 1986-07-25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Expired KR890001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956485A 1985-07-26 1985-07-26
US759564 198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46A KR870001346A (ko) 1987-03-13
KR890001037B1 true KR890001037B1 (ko) 1989-04-20

Family

ID=2505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087A Expired KR890001037B1 (ko) 1985-07-26 1986-07-25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210971B1 (ko)
JP (1) JPS6228464A (ko)
KR (1) KR890001037B1 (ko)
DE (1) DE366532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4913A (en) * 1992-05-12 1995-05-16 Wetmore Associates Ultraviolet protective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5747A (en) * 1971-07-05 1974-09-04 Mitsubishi Rayon Co Process of enhancing pilling resisitance of textile materials
DE2742761A1 (de) * 1976-09-23 1978-03-30 Monsanto Co Gerauhte stoff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D158259A1 (de) * 1981-03-23 1983-01-05 Christoph Riedel Textiles flaechengebilde mit faseropt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0971A1 (en) 1987-02-04
JPS6228464A (ja) 1987-02-06
DE3665329D1 (en) 1989-10-05
EP0210971B1 (en) 1989-08-30
KR870001346A (ko) 198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78888A (en) Artificial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385417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exturing yarn
US4237187A (en) Highly oriented, partially drawn, untwisted, compact poly(ε-caproamide) yarn
JPS6114244B2 (ko)
US3039171A (en) Process of drawing filaments
TW200416310A (en) Staple fiber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4791026A (en) Synthetic polymer multifilament yarn useful for bulky yar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389956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ixed yarns
KR890001037B1 (ko) 기모직물의 제조방법
SU132458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основы или секционной основы из синтетических нитей
NL7905234A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ynthetisch crepegaren.
KR900008260B1 (ko) 경사 또는 프랙션의 제조방법
US4019312A (en) Method of combining synthetic yarns
JP2000220049A (ja) 潜在伸縮特性を有する長短複合紡績糸
KR880014151A (ko) 가연된 벌키성 멀티필라멘트 사(系), 이 사(系)를 제조하는 방법과 최종 사용
US3409496A (en) Twistless multifilament yar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JP2591715B2 (ja) 異収縮混繊ポリエステル糸の製造方法
JP2634074B2 (ja) 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3130640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2901806B2 (ja) 複合ミシン糸
KR880001031B1 (ko) 부분적으로 권축이 개선된 나일론사와 그 제조방법
KR840001172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US3175029A (en) Method of treating thermoplastic synthetic filaments
JPH034652B2 (ko)
KR840001629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2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