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22B1 - 칩형(chip Type) 전자부품 장착기 - Google Patents
칩형(chip Type) 전자부품 장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0222B1 KR890000222B1 KR1019840001225A KR840001225A KR890000222B1 KR 890000222 B1 KR890000222 B1 KR 890000222B1 KR 1019840001225 A KR1019840001225 A KR 1019840001225A KR 840001225 A KR840001225 A KR 840001225A KR 890000222 B1 KR890000222 B1 KR 890000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component
- chip
- pallet
- pair
- type electron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팰리트(pallet)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동 평면도.
제5도는 팰리트의 동작 설명도.
제6도는 칩형 전자부품 유지상태의 팰리트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칩형 전자부품 위치 결정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제8도는 동 평면도.
제9도는 동작 설명도.
제10도는 부품리드(lead) 변형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동 평면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동작 설명도.
제13도는 칩형 전자부품 검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14도는 동 평면도.
제15도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 해드 기구의 실시예로서 우측 반쪽부분을 나타낸 평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칩형 전자부품 장착 헤드 기구의 좌측 반쪽부분을 나타낸 평 단면도.
제17도는 지지판 및 작동 미끄럼이동부재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제18도는 칩형 전자부품 치환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19도는 동측 단면도.
제20도는 칩형 전자부품 위치 결정방향 변환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 단면도.
제21도는 동측 단면도.
제22도는 작동부재 및 그 주변의 기구를 나타낸 평 단면도.
제23도는 파지레버(gripping lever)를 하방으로부터 본 저면도.
제24도 내지 제26도는 동작 설명도.
본 발명은 리드선을 갖지 않는 칩형 전자부품을 1개씩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는 칩형 전자부품을 협지하여 이송하는 팰리트를 수평면내에서 주행시켜서 팰리트 주행로의 편측에만 배치된 공급장치로부터 칩형 전자부품의 공급을 실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면적이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팰리트에 유지된 칩형 전자부품의 중심 위치설정이나 팰리트 상에서의 칩형 전자부품의 유무의 검출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었기 때문에, 공급장치로부터 팰리트에 칩형 전자부품을 치환하기 위한 기구가 복잡화하거나 칩형 전자부품 장착의 신뢰성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감안하여, 팰리트를 수직면내에서 주행시킴으로써 장치의 면적의 축소를 기함과 동시에, 팰리트상의 칩형 전자부품을 특정위로 수정하는 부품 위치결정 기구와 칩형 전자부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부품 검출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칩형 전자부품 장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 있어서, 한쌍의 톱니바퀴(1A)(1B)들 사이에 체인(2)이 가설되어서 수직면을 간헐주행하는 체인 큰 베이어기구(3)가 구성되어 있다. 체인(2)의 외주측에는 팰리트(4)가 등간격으로 다수 장착되어 체인(2)의 간헐주행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인 콘 베이어기구(3)에 있어서, 체인(2)이 수평으로 주행하는 상변부분, 즉, 팰리트의 수평주행로(5)의 양측에는 상기 팰리트(4)의 직선 배열군에 대향하도록 공급장치(6A)(6B)가 팰리트와 동일배열 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때, 각 공급장치(6A)(6B)은 각각 1종류의 칩형 전자부품을 팰리트(4)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칩형 전자부품의 장착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하여 그 공급이 실행된다. 그리고, 각 공급장치(6A)(6B)는 본체를 (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장치 지지틀(9)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지지틀(9)에는 각 공급장치(6A)(6B)에 공통적으로 구도축(7A)(7B)(7C)(7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평주행로(5)에 따른 체인(2)이 직선적으로 주행하도록 체인 안내부재(10)가 본체틀(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톱니바퀴(1B)에 인접하여서 장착 헤드 기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헤드 기구(11)는 원형 눈금판(12)상에 등 각도간격(45°간격)으로 장착 헤드(13)를 방사선상으로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원형 눈금판(12)은 1회에 45°씩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팰리트(4)가 톱니바퀴(1B)에 따라서 원호상으로 주행하는 부분의 중간점이 팰리트(4)로부터 장착 헤드(13)에의 칩형 전자부품(20)의 치환위치로 되어 있다. 장착 헤드기구(11)의 상방에는 위치결정 및 방향변환기구(14)가 배치되며, 하방에는 XY 테이블(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 헤드(13)는 칩형 전자부품(20)을 진공흡착하여 XY 테이블(15)상의 인쇄회로 기판(16)의 접착제 도포위치에 장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팰리트(4)의 수평주행로(5)의 톱니바퀴(1B)쪽 위치 (공급장치 6A, 6B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한 위치)에는 팰리트(4)에 의하여 유지된 칩형 전자부품(20)을 특정위치 즉, 팰리트 중앙위치로 수정하는 부품위치 결정기구(21)와 칩형 전자부품(20)이 트랜지스터인 경우에 이 트랜지스터 저면과 거의 동일면에 리드 전극선단이 위치하도록 이 리드 전극을 변형시키는 부품 리드 변형기구(22)와 상기 위치결정기구 통과후의 팰리트상의 칩형 전자부품(20)의 유무를 검출하는 부품 검출기구(23)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환위치에는 칩형 전자부품(20)을 팰리트(4)로부터 장착헤드(13)로 옮기기 위한 치환기구(24)가 구비되어 있다.
제3도와 제6도는 팰리트(4)를 상세히 예시한 것이다. 체인(2)에 장착된 팰리트 기대(30)의 중앙부분에는 대판(bedplate)(31)가 형성되며, 그 위에는 초경재의 한쌍의 원형 유지봉(32A)(32B)이 이동자재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각 원형 유지를(32A)(32B)은 양단이 선제(先細)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팰리트 기대(30)의 양단은 일층 더 높은 계단형철부(33)로 되어 있으며, 이 내측면과 원형 유지봉(32A)(32B)과의 사이에 각각 만곡한 압축판 스프링(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 원형 유지봉(32A)(32B)는 밀접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게 된다. 또, 팰리트 기대(30)에는 전면 중앙부로부터 상면 중앙부에 개구하는 부품 검출시와 치환시에 사용하는 흡착용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팰리트 기대(30)상에는 원형 유지봉(32A)(32B)과 압축판스프링(34)을 배설한 상태에 있어서 윗 덮개(36)가 씌워진다. 이 윗 덮개(36)는 각각 나사(37)를 기대측의 나사구멍(38)에 결합함으로써 장착된다.
상기 팰리트(4)는 양측으로부터의 칩형 전자부품(20)의 수입이 가능하며, 제5도(A)와 같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 칩형 전자부품(20)을 삽입하면 원형 유지봉(32A)(32B)은 선단이 열려서 칩형 전자부품(20)을 수입하여 제6도와 같이 팰리트 기개(30)의 대판(31)과 양원형 유지봉(32A)(32B)과의 사이에서 칩형 전자부품(20)을 유지한다. 그리고 통상 칩형 전자부품(20)은 원형 유지봉(32A)(32B)의 중간의 흡착용 구멍(35)의 개구부분(35A)에까지 압입된다. 한편, 화살표(B)와 같이 원형 유지봉(32A)(32B)의 후단으로부터 칩형 전자부품(20)을 삽입한 경우에는 원형 유지봉(32A)(32B)의 후단이 열리며, 제6도와 같이 칩형 전자부품(20)을 수입할 수가 있다.
제7∼9도는 부품 위치 결정기구(21)를 상세히 예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 있어서,본체를 (8)의 전면에는 팰리트(4)가 수평으로 직선적으로 주행하는 수평주행로(5)의 상방을 직각으로 횡단하도록 지지부재(40)가 형성되며, 이 지지부재(4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하게 한쌍의 미끄럼 가능블록(41A)(4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미끄럼 가능블록(41A)(41B)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핀(42)을 갖는 위치 결정블록(43)이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압축스프링(44)에 의하여 전방(돌출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가능블록(41A)(41B)에는 위치 결정블록(43)의 돌출량을 규제하는 정지부재(41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재(40)에는 미끄럼 베어링(45)이 고정되며 화살표 C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하게 상하 미끄럼이동부재(46)가 지지되며, 이 미끄럼이동부재(46)에 동일 길이의 연결부재(47)를 통하여 상기 미끄럼 가능블록(41A)(41B)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동일 길이 연결부재(47)의 지점 X, Y, Z는 2등변 3각형을 이루며, 체인 안내부재(10)에 의하여 지지된 체인(2)에 장착되어 있는 팰리트(4)의 중심선과 상하 미끄럼이동부재(46)의 중심선을 일치시켜 놓음으로써 양위치 결정핀(42)는 팰리트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하 미끄럼이동부재(46)의 상단은 캠(48)의 구동력을 받는 레버(49)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미끄럼이동부재(46)는 하 미끄럼부(46A)와, 상 미끄럼부(46B)가 감합한 구조로서 양자는 스프링(46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는 캠측의 여분의 구동력을 스프링(46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는 캠측의 여분의 구동력을 스프링(46C)이 늘어남으로써 흡수하여서 칩형 전자부품(20)에 과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칩형 전자부품 위치 결정기구에 있어서 팰리트(4)의 정지시에 위치 결정핀(42)은 팰리트 측 원형 유지봉(32A)(32B)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상하 미끄럼이동부재(46)를 레버(49)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구동하면 서로 대향하는 위치 결정핀(42)의 간격은 좁아져서 제9도와 같이 칩형 전자부품(20)을 팰리트 중심, 즉, 원형 유지봉(32A)(32B)의 길이 방향 중간에 배치한다. 따라서 팰리트(4)에의 칩형 전자부품(20)을 공급위치에 오차가 있어도 항상 팰리트(4)의 중심에 칩형 전자부품(20)의 위치 결정할 수가 있으므로, 이후의 공정 예를들면 장착 헤드에의 칩형 전자부품(20)의 치환 등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이하, 부품 리드 변형기구의 실시예를 제10도∼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0도와 제11도에 있어서, 팰리트(4)의 수평주행로(5)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지지부재(50)가 본체틀(8)의 전면에 고정되며 이 지지부재(5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럼가능하게 미끄럼 가능블록(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 가능블록(51)에 장착부재(52)를 통하여 누름봉(53)이 상하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압축스프링(54)에 의하여 누름봉(53)은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가능블록(51)은 본체틀(8)측의 선단받이(62)에 축(63)에 의하여 축지지된 캠종동체로서의 레버(55)의 일단에 추착되며, 레버(55)의 타단의 로울러(56)는 캠원판(57)의 내부 캠면(57A)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체틀(46)상에 실린더(58)가 배설되며, 이 실린더(58)의 피스톤 로드(58A)는 본체틀측에 추지된 레버(59)의 일단에 추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레버(59)의 타단은 연결부재(60)를 통하여 레버(55)의 도중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55)와 본체틀(8)측과의 사이에는 미끄럼 가능블록(51)을 하강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한 신장 스프링(6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칩형 전자부품을 유지하여서 이송하는 팰리트(4)는 그 수평주행로(5)를 직선적으로 간헐 주행하고 있다. 그리하여, 누름봉(53)의 바로 밑에 정지하여 있는 팰리트(4)상의 부품이 통상의 칩형 전자부품과 같이 리드 전극의 변형을 필요로 하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58)가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레버(59)와 연결부재(60)를 통하여 레버(55)를 우회로 회동시킨 상태로 하여 선단의 로울러(56)를 캠면(57A)으로부터 이탈하여서 미끄럼이동부재(51)를 인상상태로 한다. 따라서 리드 변형 가공이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트랜지스터 등의 리드전극을 부착시킨 전자부품(20A)을 유지한 팰리트(4)가 상기 누름봉(53)의 바로 밑에 오면 실린더(58)가 축 이동 가능상태로 되어 레버(55)의 로울러(56)를 캠면(57A)에 당접한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캠윈판(57)의 회전에 따라서 레버(55)는 좌로 회동하여 미끄럼 가능를록(51), 즉, 누름봉(53)을 제12도(A)와 같이 팰리트(4)에 원형 유지봉(32A)(32B)에 의하여 유지된 리드 전극이 부착된 전자부품(20A)의 위에 화살표 D와 같이 압하하여 제12도(B)와 같이 리드 전극이 부착된 전자부품(20A)의 리드 전극(20B)을 변형시켜 리드 전극이 부착된 전자부품 저면과 거의 동일면에 리드 전극선단을 위치케 한다.
제13도∼세14도는 부품 검출기구(23)를 상세히 예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 있어서 팰리트의 수평주행로(5)에 대향하도록 지지부재(70)가 본체틀(8)의 전면에 고정되어 이 지지부재(70)에 대하여 화살표 E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미끄럼 가능블록(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 가능블록(71)에 장착부재(72)를 통하여 검출봉(73)이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압축스프링(74)에 의하여 검출봉(73)은 전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가능블록(71)은 본체틀(8)측에 축지지된 캠종동체로서의 벨 크랭크(75)의 일단은 연결부재(76)에 의하여 연결되며 벨 크랭크(75)의 타단의 로울러(77)는 캠(78)에 당접해 있다. 그리고 벨 크랭크(75)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로울러(77)가 항상 캠(78)에 접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검출봉(73)의 전면에는 고무 등의 패킹재 (packing material)(79)가 고착되며, 이 패킹재(79)와 검출봉(7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검출용 흡인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부품 검출기구(23)는 팰리트(4)가 일시 정지해 있을때에 캠(78)에 의하여 벨 크랭크(75)를 좌로 이동시켜서 검출봉(73)의 선단면을 팰리트 기대(30)의 전면 중앙에 압접한다. 이 결과 팰리트(4)측의 흡착용 구멍(35)과 검출용 흡인구멍(80)이 일치하여 연통한다. 이때, 칩형 전자부품(20)이 팰리트(4)의 중앙 소정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검출용 흡인구멍(80) 후단은 진공흡인되어 있으로므 이 검출용 흡인구멍(80)의 부압은 큰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칩형 전자부품(20)이 팰리트(4)상에 없으면 흡착용구멍(35)의 선단은 대기중에 개구하게 되며, 검출용 흡인구멍(80)내의 부압(負壓)은 대단히 저하한다. 이로써 칩형 전자부품(20)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의 장착 헤드 기구에 대해 상술하면, 제15도, 제16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장착 헤드 기구(11)에 있어서 본체를 (8)의 전면에 간헐회전축(90)이 돌출하여 있으며 내부 통축체(131)및 외부 통축체(132)이 끼워 삽입됨과 동시에 원형 눈금판(12)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원형 눈금판(12)에는 등각도 간격(45°간격)으로 장착 헤드(1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통축체(131)는 간헐 회전축(90)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부 통축체(132)는 본체를 (8)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 헤드(13)는 원형 눈금판(12)에 고정되는 외부통체(91)와 이 외부통체(91)의 양단과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재(92)(93)(94)와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와, 흡착핀(96)을 구비하고 있다. 흡착핀(96)은 선단에 칩형 전자부품(20)을 흡착하는 것으로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의 중심요부(97)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의 선단에 나사결합하는 너트(98) 등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그리고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중심요부(97)내에는 흡착핀(96)을 화살표 F와 같이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압축스프링(99)이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는 원형 눈금판(12)에 고착된 외부통체(91)에 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프링(100)에 의하여 후퇴방향(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그리고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의 후단에는 로울러(10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형 눈금판(12)의 배후에 위치하고, 본체틀(8)에 고정된 지지판(133)상에는 제17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우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의 3개소에 로울러 안내부재(추력 베어링)(134A)(134B)(13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들에 대하여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A)(102B)(102C)가 각각 미끄럼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A)(102B)(102C)는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의 미끄럼 이동동작이 필요한 위치의 장착 헤드(1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작동로울러(136A)(136B)(136C)에 각각 결합하는 요부(137)를 갖고 있으며, 작동 로울러(136A)(136B)(136C)의 이동에 의하여 제17도에 화살표 G로 표시한 방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A)(102B)(102C)상에는 한쌍의 계합돌부(138)(139)가 형성되며, 계합돌부(139)의 계합면은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관통 미끄럼 이동부재(95)의 후단의 로울러(101)는 각 작동 미끄럼 이동(102A)(102B)(102C)의 계합돌부(138)(139)사이에 계합한다. 이때 계합돌부(139)의 계합면이 원호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계합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흡착핀(96)의 중심에는 흡착구멍(103)이 형성되며, 이와 연통하도록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 원형 눈금판(12), 내부통축체(131) 및 외부통축체(132)에도 진공흡인로(104)(105)(156)(157)가 각각 형성되어 외부통축체(132)의 진공흡인로(157)에 진공 흡인 파이프(158)가 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간헐 회전축(90)의 간헐회전에 의하여 원형 눈금판(12)은 1회에 45°씩 회전하여 팰리트(4)가 톱니바퀴(1B)에 따라서 원호상으로 주행하는 부분의 중간점, 즉 팰리트(4)로부터 장착 헤드(13)에의 칩형 전자부품(20)의 치환위치 P점에 장착 헤드(13)가 정지하면, P점의 장착 헤드(13)의 후단의 로울러(101)가 지지판 우측위치의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A)의 계합돌부(138)(139)사이에 계합하며, 이 상태에 있어서 작동로울러(136A)에 의한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A)의 우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관통 미끄럼 이동부재(95)는 우방향으로 전진하여 흡착핀(96)을 팰리트(4)상의 칩형 전자부품(20)에 누른다. 이때 흡착핀(96)의 여분의 돌출량은 압축 스프링(99)에 의하여 흡수된다. 칩형 전자부품(20)의 흡착후 P점의 장착 헤드(13)의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는 스프링(100)에 의하여 복귀한다.
상기 장착 헤드(13)는 팰리트(4)상의 칩형 전자부품(20)을 흡착핀(96)에 의하여 진공 흡착하여 원형 눈금판(12)의 회전에 따라서 Q점을 통과하여 R점에 달한다. R점에 위치하는 장착 헤드(13)에 대향하여 후술하는 칩형 전자부품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14)가 베설되어 있다. 이 R점의 장착 헤드(13)의 후단의 로울러(101)에는 지지판 상측위치의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B)의 계합돌부(138)(139)가 계합하며, 이 상태에 있어서 작동 로울러(136B)에 의한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B)의 계합돌부(136B)에 의한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B)의 상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는 상방향으로 전진하여 흡착핀(96)을 칩형 전자부품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14)에 대하여 전진시키며, 이로써 칩형 전자부품(20)의 위치결정 및 방향변환을 받도록 한다. 그후 R점의 장착 헤드(13)의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는 스프링(100)에 의하여 복귀한다.
위치 결정된 칩형 전자부품(20)을 유지한 장착 헤드(13)는 S, T, U점을 통과하여 V점에 달한다. V점의 하방에는 XY 테이블(15)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16)이 지지되어 있다(제2도). 이 V점의 장착 헤드(13)의 후단의 로울러(101)에는 지지판 하측위치의 작동 미끄럼 이동부재(102C)의 계합돌부(138)(139)가 계합하며, 이 상태에 있어서 작동 로울러(136C)에 의한 작동 미끄럼이동부재(102C)의 하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는 하방향으로 전진하여 흡착핀(96)을 기판방향으로 전진시키며, 이로써 칩형 전자부품(20)을 기판(16)상의 접착제 도포 위치에 장착한다. 이후 V점의 장착 헤드(13)의 관통 미끄럼이동부재(95)는 스프링(100)에 의하여 복귀한다.
제18도와 제19도는 칩형 전자부품 치환기구(24)를 상세히 예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 있어서 톱니바퀴(1B)에 따른 팰리트 주행로(11)를 양측으로부터 끼도록 선단이 뾰족한 한쌍의 공이부재(muller)(111A)(111B)가 각각 미끄럼 가능블록(112A)(112B)에 고착되어 있다. 이들 미끄럼 가능블록(112A)(112B)은 본체틀(8)에 고정된 지지부재(113)에 대하여 화살표 H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113)는 안내홈(114)을 갖고 있으며, 상하 미끄럼이동부재(115)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미끄럼 가능블록(112A)(112B)은 동일 길이 연결부재(116)를 통하여 각각 상하 미끄럼이동부재(115)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팰리트(4)의 중심선과 상하 미끄럼이동부재(115)의 중심선을 일치시킴으로써, 양 공이부재(111A)(111B)는 팰리트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이동한다. 상하 미끄럼이동부재(115)는 본체틀(8)에 고정된 선반받이(257)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는 레버(258)의 일단에 연결되며, 레버(258)의 타단은 캠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드(259)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가능블록(112B)의 지지부(261)에는 치환용 흡착봉(260)이 공이부재(111B)에 평행으로 횡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형성되며, 이 치환용 흡착봉(260)의 도중에 끼워 맛추어진 링(262)과 지지부(261)와의 사이에 배설된 압축스프링(263)에 의하여 전방(팰리트 4측면에 상당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치환용 흡착봉(260)의 중심에는 치환용 흡착구멍(264)이 형성되며, 이 치환용 흡착구멍(264)는 치환용 흡착봉(260) 후단에 접속된 파이프(265)를 통하여 진공흡인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치환용 흡착봉(260)의 후부쪽 위치에는 원형 정지판(266)가 형성되며, 치환용 흡착봉(260)의 선단면은 고무 등의 패킹부재(26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틀(8)에 고정된 선반받이(268)에는 벨 크랭크(269)가 축지되며, 그 일단의 로울러(270)는 상기 원형 정지판(266)에 당접하여 치환용 흡착봉(260)의 위치를 규제한다. 벨 크랭크(269)의 타단은 로드(271)를 통하여 캠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칩형 전자부품(20)을 유지한 팰리트(4)가 치환위치 즉 제2도의 P점의 장착 헤드(13)에 대향하는 위치에 와서 정지한때 로드(271)가 화살표 I 방향과 같이 상승하여 벨 크랭크(269)가 우회 회동하여 로울러(270)에 의하여 원형 정지판(266)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로써 치환용 흡착봉(260)은 압축스프링(263)에 의하여 전진하여 팰리트(4)의 측면에 압당한다. 이로써 치환용 흡착봉(260)측의 치환용 흡착 구멍(264)이 팰리트측의 흡착용 구멍(35)에 연통한다. 그리하여, 흡착용 구멍(35)내를 진공흡인하여 2개구부분(35A)를 막고 있는 칩형 전자부품(20)을 진공흡착하여 그 낙하를 방지한 상태로 해둔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로드(259)가 화살표 J와 같이 상승하며, 상하 미끄럼 이동부재(115)가 하방으로 구동되어 양 공이부재(111A)(111B)의 간격이 좁아져 팰리트(4)의 원형 유지봉(32A)(32B)의 경사면 사이에 당접하여 이들을 열고 그후 장착 헤드(13)가 전진하여서 칩형 전자부품(20)을 흡착핀(96)에 의하여 흡착유지한다. 그후 치환용 흡착봉(260)은 후퇴하고, 장착 헤드(13)가 복귀한후 공이부재(111A)(111B)도 후퇴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팰리트의 도래를 대기한다.
칩형 전자부품의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14)의 상세도를 제20도 내지 제23도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본체틀(8)의 전면상부의 R점의 장착 헤드(13)에 대향하는 위치에 지지틀(120)이 고정되며, 이 지지틀(120)상에 펄스모터(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121)의 회전축(122)에는 하단이 정 4각주로된 회전부재(123)가 고착되며, 이 회전부재(123)의 4각주의 제1면에는 한쌍의 파지레버(124A)(124B)가 지지점(125A)(125B)에 의하여 각각 추착되어 있다. 또, 제1면에 직교하는 제 2면에는 한쌍의 파지레버(124C)(124D)가 지지점(125C)(125D)에 의하여 각각 추착되어 있다. 이들 파지레버(124A)(124B)(124C)(124D)의 하단에는 제23도 내지 제26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칩형 전자부품(20)의 측면에 접하는 수평파지부(354A)(354B)(354C)(354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파지레버(124A)(124C)의 상단에는 로울러(126)가 형성되며, 또 지지점(125A)(125B)의 중간점 및 지지점(125C)(125D)의 중간점에 각각 핀(127)이 입설되어 있다. 파지레버(124B)(124D)는 핀(127)에 계합하는 요부를 갖고 있다. 이 결과 장착 헤드(13)의 흡착핀(96)의 중심선과 한쌍의 파지레버(124A)(124B) 및 기타의 한쌍의 파지레버(124C)(124D)의 선단의 간격의 2등분선을 일치시킴으로써 파지레버(124A)(124B) 및 파지레버(124C)(124D)는 흡착핀(96)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23)의 주위에는 화살표 K방향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여 파지레버(124A)(124B)(124C)(124D)의 개폐동작을 행케하는 작동부재(128)가 제22도와 같이 지지틀(120)의 수직면에 상하로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부재(128)의 배면은 본체틀측에 축지지된 레버(355)의 일단의 로울러(356)과 계합하며, 레버(355)의 타단의 로울러(357)는 캠(358)에 당접하여 캠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다. 또 파지레버(124A)(124B)(124C)(124D)의 선단중간 즉 각 수평파지부(354A)(354B)(354C)(354D)의 중간에 칩형 전자부품(20)의 상면을 압하하는 정지부재(129)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파지레버(124A)(124B) 사이 및 파지레버(124C)(124D)사이에 선단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신장 스프링(130)이 각각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칩형 전자부품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14)는 캠(358)의 구동력을 레버(355)를 통하여 받은 작동부재(128)가 하강위치에 있으며, 로울러(126)는 압하되어 상기 회전부재(123)의 4각주의 제1면의 한쌍의 파지레버(124A)(124B) 및 이와 직각인 제2면의 한쌍의 파지레버(124C)(124D)는 개방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즉 각 파지레버 하단의 수평파지부(354A)(354B)(354C)(354D)가 제24도와 같이 개방상태에 있어서 장착 레버(13)의 흡착핀(96)이 칩형 전자부품(20)을 흡착한 상태로 제20도에 예시된 화살표 L과 같이 칩형 전자부품(20)의 상면이 정지부재(129)에 당접하기까지 전진하며, 각 파지레버의 수평파지부 사이에 칩형 전자부품(20)을 배치한다. 그후 작동부재(128)의 상승에 의하여 파지레버(124A)(124B) 및 또 한조의 파지레버(124C)(124D)의 수평파지부(354A)(354B)(354C)(354D)는 제24도 화살표 M와 같이 폐쇄되어 제35도의 파지상테에서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만 제25도 화살표 N과 같이 펄스모터(121)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부재(123)이 회전하여 칩형 전자부품(20)의 회전(예를들면, +90o+180o-90o방향변환)을 실행한다. 단 회전각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후 상기 작동부재(128)가 재차 하강하여 제26도 화살표 0방향과 같이 각 수평파지부(354A)(354B)(354C)(354D)가 개방되어 칩형 전자부품(20)의 중심이 흡착핀(96)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 칩형 전자부품(20)을 유지한 장착 헤드(13)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위치를 회전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전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주행로(51)를 간헐주행하는 팰리트(4)는 대향하는 공급장치(6A)(6B)로부터 각각 칩형 전자부품(20)의 공급을 받아 인쇄회로기판(16)에 장착순으로 칩형 전자부품(20)을 각각 유지한 배열순서에 의하여 제2도 좌방향으로 진행하여 먼저 부품위치 결정기구(21)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제9도와 같이 팰리트(4)의 중심위치에 칩형 전자부품(20)이 오도록 위치 수정이 실시된다.
이어서 팰리트(4)는 부품 리드 변형기구(22)에 달한다. 여기서 팰리트(4)가 통상의 칩형전자부품(20)이면 부품 리드 변형기구(22)는 작동하지 않고 팰리트(4)는 그대로 통과한다. 팰리트(4)가 트랜지스터(20A)이면 제12도(A)와 같이 부품 리드 변형기구(22)의 누름봉(53)이 작동하여 제12도(B)와 같이 트랜지스터(20A)의 리드 전극(20B)선단이 트랜지스터 저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변형시킨다.
부품 리드 변형기구(22)를 통과한 팰리트(4)는 부품 검출기구(23)에 도달하며, 여기에서 팰리트 중심의 소정위치에 칩형 전자부품(2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검출을 받는다. 즉, 제4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팰리트 측의 흡착용 구멍(35)의 개구부분(35A)가 칩형 전자부품(20)에 의하여 막혀 있으면 부품 검출기구측의 검출용 흡인구멍(80)내의 부압이 크며 칩형 전자부품(20)이 없으면 부압이 작으므로, 칩형 전자부품(20)의 유무를 알 수 있다. 칩형 전자부품 유무가 검출되었을때는 이후의 동작을 중지하여서 원인을 조사한다.
정상시에는 칩형 전자부품(20)은 팰리트(4)의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동작은 계속되며, 팰리트(4)는 톱니바퀴(1B)에 따라서 내리며, 장착 헤드 기구(11)의 P점의 장착 헤드(13)에 대향하는 치환위치에 달한다.
치환위치에서는 팰리트(4)의 흡착용 구멍(35)을 진공 흡인하여 놓고, 칩형 전자부품(20)의 탈락을 방지한 상태로 하고서 제18도의 치환기구(24)의 한쌍의 공이부재(111A)(111B)를 전진시켜서 팰리트(4)의 원형유지봉(32A)(32B)을 개방한다. 그리하여 P점의 장착 헤드(13)의 전진동작에 의하여 흡착핀(96)에 의하여 칩형 전자부품(20)을 흡착 유지함과 동시에 팰리트(4)의 흡착용 구멍(35)의 진공흡인을 정지한다. 그 결과 칩형 전자부품(20)은 팰리트(4)로부터 장착 헤드(13)로 치환된다.
칩형 전자부품(20)을 유지한 P점의 장착 헤드(13)는 원형 눈금판(12)의 간헐회전에 의하여 45o씩 회전하며, Q점을 거쳐서 R점에 달한다. R점에서는 제20도의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14)에 의하여 칩형 전자부품(20)의 중심과 장착 헤드(13)의 흡착핀(96)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되며,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칩형 전자부품(20)을 소정각도 회전하에서 자세를 바꾼다.
R점을 통과한 장착 헤드(13)는 S, T, U점을 통과하여 V점에 도달하며, V점에 있어서 장착 헤드(13)가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16)의 소정위치에 칩형 전자부품(20)을 장착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올릴 수 있다.
(1) 체인(2)을 수직면내에서 주행시키는 무단대기구(endless belt mechine)에 의하여 팰리트(4)를 이송하도록 하며, 또는 팰리트(4)의 수평주행로(5)의 양측에 공급장치(6A)(6B)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가 있다.
(2) 팰리트(4)의 수평주행로(5)의 도중에 부품위치 결정기구(21) 및 부품검출기구(23)를 설치하였으므로 팰리트(4)가 칩형 전자부품(20)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실히 알수가 있으므로 장착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3) 부품 리드 변형기구(22)를 팰리트(4)의 수평주행로(5)에 형성하였으므로 트랜지스터 등의 리드 전극이 부착된 칩형 전자부품(20)의 장착이 가능하다.
(4) 장착 헤드(13)에 의하여 흡착된 칩형 전자부품(20)은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14)에 의하여 위치 규제 하도록 하며, 칩형 전자부품(20)의 유지는 장착 헤드(13)의 흡착핀(96)만으로써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장착 헤드(13)의 기구의 간략화를 기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각 기구부분의 상세부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칩형 전자부품 장착의 신뢰성이 향상된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2)
- 수직면내에서 주행하는 무단대기구에 장착되어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팰리트와, 팰리트의 수평주행로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칩형 전자부품 공급장치와, 소정의 이송위치에서 팰리트로부터 칩형 전자부품의 공급을 받아서 인쇄회로기판상에 칩형 전자부품을 장착하는 장착 헤드를 갖는 장착 헤드 기구와, 상기 이송 위치에 팰리트가 도달하기 전에 팰리트에 의하여 유지된 칩형 전자부품의 위치를 특정위치로 수정하는 부품 위치 결정기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기구 통과후의 팰리트상의 칩형 전자부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부품 검출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형 전자부품이 리드 전극이 부착된 전자부품인 경우에 이 리드 전극이 부착된 전자부품 저면과 거의 동일면에 리드 전극 선단이 위치하도록 이 리드 전극을 변형시키는 부품 리드 변형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리트가 기대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칩형 전자부품을 상기 기대와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한쌍의 원형 유지봉과, 이 한쌍의 원형 유지봉을 상호 밀접한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위치 결정기구가 수평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한쌍의 미끄럼 가능블록과, 서로 대향하도록 이 한쌍의 미끄럼 가능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위치 결정핀과, 수직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상하 미끄럼이동부재와, 이 상하 미끄럼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미끄럼 가능블록을 각각 연결하는 동일 길이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팰리트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는 칩형 전자부품을 상기 위치결정핀으로 끼워서 위치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검출기구가 칩형 전자부품 유지 위치에 개구한 흡착용 구멍을 갖는 팰리트의 상기 흡착용 구멍에 연통 가능한 검출용 흡인구멍을 형성한 검출봉과, 상기 팰리트 정지시에 상기 검출봉을 팰리트에 누르는 기구를 갖고, 상기 팰리트상의 칩형 전자부품에 의하여 상기 흡착용 구멍의 개구가 막혀 있을 때에는 상기 검출봉을 누를 때 그 검출용 흡인구멍에 부압이 증대함으로써 칩형 전자부품 검출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헤드 기구가 간헐회전축과, 이 간헐회전축에 고착되는 원형 눈금판과, 칩형 전자부품을 흡착하는 흡착핀을 관통 미끄럼이동부재의 선단에 갖고 있고 상기 원형 눈금판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장착 헤드와, 원형 눈금판의 배후에 배치되어 본체틀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소정위치의 상기 장착 헤드의 관통 미끄럼이동부재의 후단측에 계합하여 상기 관통 미끄럼이동부재를 구동하는 작동 미끄럼이동부재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원형 유지봉에 의하여 칩형 전자부품을 유지하고 개구가 이 칩형 전자부품에 의하여 폐색된 흡착용 구멍을 갖는 팰리트로부터 장착 헤드의 흡착핀에 상기 핀상의 칩형 전자부품을 치환하는 칩형 전자부품 치환기구로서 상기 팰리트의 흡착용 구멍에 연통하는 치환용 흡착구멍을 형성한 치환용 흡착봉을 상기 팰리트에 누름 가능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팰리트의 한쌍의 원형 유지봉을 개방한 한쌍의 공이부재를 이동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치환용 흡착봉을 상기 팰리트에 눌러서 상기 흡착용 구멍을 진공 흡인한 상태로 상기 한쌍의 공이부재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원형 유지봉을 개방하는 칩형 전자부품 치환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1항에 있어서, 모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의 직교하는 2개의 측면에 각각 한쌍의 파지레버를 추착함과 동시에 이들 한쌍의 파지레버에 의하여 파지된 칩형 전자부품의 상면에 당접하는 정지부재를 형성한 칩형 전자부품 위치결정 방향변환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파지레버가 상기 각 레버의 추착점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핀을 갖는 제1레버와, 이 중간핀에 계합하는 요부를 갖는 제 2레버에 의하여 구성되며 대칭으로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리드 변형기구가 수직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미끄럼 가능블록에 누름봉을 형성하고, 이 누름봉에 의하여 팰리트상의 리드 전극이 부착된 전자부품의 상면을 압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장착기.
- 기대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칩형 전자부품을 상기 기대와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한쌍의 원형 유지봉과, 이 한쌍의 원형 유지봉을 서로 밀접한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전자부품 이송용 팰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76205 | 1983-05-02 | ||
JP58076205A JPS59202700A (ja) | 1983-05-02 | 1983-05-02 | チツプ状電子部品装着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0170A KR850000170A (ko) | 1985-02-25 |
KR890000222B1 true KR890000222B1 (ko) | 1989-03-10 |
Family
ID=1359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1225A KR890000222B1 (ko) | 1983-05-02 | 1984-03-10 | 칩형(chip Type) 전자부품 장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59202700A (ko) |
KR (1) | KR8900002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67757A1 (en) * | 2002-02-06 | 2003-08-14 | Mirim Intellectual Robot Technology Co., Ltd | Blank mounting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quartz oscillator |
WO2003067758A1 (en) * | 2002-02-07 | 2003-08-14 | Mirim Intellectual Robot Technology Co., Ltd | Apparatus for automatic insertion of a base in fabrication of quartz oscill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0987B2 (ja) * | 1987-12-11 | 1997-03-1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子部品実装装置 |
JPH0496899U (ko) * | 1991-01-30 | 1992-08-21 |
-
1983
- 1983-05-02 JP JP58076205A patent/JPS59202700A/ja active Granted
-
1984
- 1984-03-10 KR KR1019840001225A patent/KR8900002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67757A1 (en) * | 2002-02-06 | 2003-08-14 | Mirim Intellectual Robot Technology Co., Ltd | Blank mounting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quartz oscillator |
WO2003067758A1 (en) * | 2002-02-07 | 2003-08-14 | Mirim Intellectual Robot Technology Co., Ltd | Apparatus for automatic insertion of a base in fabrication of quartz oscill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59202700A (ja) | 1984-11-16 |
KR850000170A (ko) | 1985-02-25 |
JPH0218598B2 (ko) | 1990-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1904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chip type electronic parts | |
US4135630A (en) | Centering device for automatic placement of chip components in hybrid circuits | |
US4151945A (en) | Automated hybrid circuit board assembly apparatus | |
US5195235A (en) | Parts mounting apparatus | |
KR920000970B1 (ko) | 전자 부품 취부 장치 | |
EP0071303A1 (en) | Method of and device for positioning electrical and or electronic components on a substrate | |
KR100238568B1 (ko) |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 |
KR890000222B1 (ko) | 칩형(chip Type) 전자부품 장착기 | |
CN216734910U (zh) | 电子元件自动编带机 | |
KR100195797B1 (ko) |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 |
JPS6136938A (ja) | 半導体デバイスのボンデイング装置 | |
US4776743A (en) | Lead-frame separating apparatus | |
JPH0213475B2 (ko) | ||
CN114486508A (zh) | 一种叠层封装用推拉力测试装置 | |
US3533614A (en) | Workpiece holding device | |
JPH0122999B2 (ko) | ||
JPS638640B2 (ko) | ||
JPS6230518B2 (ko) | ||
CN220055320U (zh) | 检测装置 | |
JPS63244641A (ja) | ダイ供給方法およびトレイキヤリアダイ供給体 | |
KR910006470B1 (ko) | 칩 부품연 배열 장치 | |
JPS6284588A (ja) | プリント基板スクリ−ン印刷機 | |
JPH02303734A (ja) | 基板位置決め装置 | |
KR930000271Y1 (ko) |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 |
CN118635867A (zh) | 一种摇臂装配用螺钉螺母安装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