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860001585B1 -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85B1
KR860001585B1 KR1019810001279A KR810001279A KR860001585B1 KR 860001585 B1 KR860001585 B1 KR 860001585B1 KR 1019810001279 A KR1019810001279 A KR 1019810001279A KR 810001279 A KR810001279 A KR 810001279A KR 860001585 B1 KR860001585 B1 KR 86000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put
output
signal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456A (ko
Inventor
시게루 마쓰오까
다께시 도꾸나가
세이지 요네구라
고우지 야마우찌
미쓰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1000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585B1/ko
Publication of KR83000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8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0Fault detection
    • E05Y2400/508Fault detection of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차고의 도어 개폐장치를 차고내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차고의 도어 개폐장치 본체의 종단면도.
제3도는 차고의 도어 개폐장치 본체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4도는 차고의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레일과 트롤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부 절결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부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제어장치 및 이것에 관련하는 인접구성부를 나타낸 회로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7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1도는 제10도의 일부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3도는 제12도의 일부 변형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도어 상승중이나 자강중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의 회로의 요부에 관한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 도어(Door)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主) 제어장치가 고장났다던가 상태검출수단이 고장났을 경우 고장기능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도어 개폐장치에는, 미리 도어의 제어 내용을 기억장치에 명령 코우드를 포함한 프로그램으로하여 기억해 두고, 도어의 조작지령이나 이동중의 도어상태의 검지신호 및 실행중인 프로그램 상태로부터 최적의 도어제어상태를 논리판단하여 선정하도록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어계(制御系) 자체가 고장났다던가 또는 이동중인 도어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기가 고장났을 경우는, 도어 구동장치를 적정하게 제어할 수 없고, 그 결과 본래 도어 구동장치를 정지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구동장치에 구동전력이 계속 공급되어 중대한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던, 도어의 이동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기로서는 도어의 한쪽 방향의 이동 한계를 검지하는 상한(上限) 리미트 스위치와, 도어의 타방향의 이동한계를 검지하는 하한(下限) 리미트 스위치와, 도어 이동중에 장해물에 충돌하여 도어의 이동이 저지된 것을 검지하는 장해검지 스위치 등이 있다. 도어구동제어계는 이들의 스위치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여 도어 구동장치를 정확하게 제어해야 한다.
이들 상태 검출기나 제어계에 발생하는 고장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상한,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동작불량인 경우,
(2) 장해 검지 스위치가 동작 불량인 경우,
(3) 구동장치에 대한 지령출력을 출력하는 제어회로가 동작 불량인 경우,
(1)항에 관해서는 기구적인 이동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장났을 경우 장해검지 스위치가 작동할 것이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러나 상한, 하한 리미트 스위치와 함께 장해 검지 스위치가 동작불량이 되었을 경우에는 역시 제어 불능이 된다. 도어의 상태검지 수단이 정상이라도 구동장치에 대한 지령 출력이 동작 불능인 경우에는 제어 불능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제어가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중대사고가 발생한다. 도어가 록(lock) 될때까지 이동하면 구동장치중의 모우터도 록되어 그 록 토오크(lock torque)분이 장해물에 인가되어, 그 장해물에 대해 피해를 준다.
모우터의 열보호장치가 동작할때까지 그 상태는 계속되어 최악의 경우에는 모우터가 소손(燒損)하여 화재의 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있다. 만약 장애물이 인간이라면 목숨을 앗아갈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종래는 구동장치의 구동력 전달방법으로 그 대책을 강구하고 있었다. 예를들면, 동력을 벨트나 풀리를 개재하여 전달하도록 하고 벨트에 일정한 장력(張力)을 주는 조정기구를 부여하여 일정한 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벨트를 슬립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모우터의 공전에 의해 벨트가 마모되어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 기구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값이 비싸진다. 더우기 장해물에 대하여 일정한 힘으로 강압하는 상태는, 모우터의 열 보호장치가 작용할 때까지 계속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열보호장치가 작용할 때까지 모우터에 통전이 되면 모우터의 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림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태검출수단이 고장났다던가 주제어장치가 고장났을 때 예비대책으로서 상기한 주제어장치와는 별도의 보조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주제어장치가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총괄판단 제어하여, 주제어장치가 소정기간내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을 때는, 즉시 보조제어 장치가 동작하여 구동장치를 안전상태로 되도록 하여 안전성이 높은 최적의 자동 도어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 도어가 이동(개폐동작)하는 시간은, 도어의 중량평형(balance) 상태나 전원 전압 등의 변동에 의해 어느 정도 변화하기 때문에, 그 변동값을 고려하기 때문에, 그 변동값을 고려하여 최대의 도어 이동시간보다도 어느정도 긴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 설정 수단을 설치하여 도어가 이동 개시때부터 그 시간 관리 수단을 기동시켜 설정시간 내에 구동 장치가 소정의 상태로 되지 않은 경우는 전원을 끊는다든가, 모우터를 정지시킨다든가 또는 반전시키거나 하여 도어의 이동상태를 변화시켜 줌으로써 장해물이나 기구부에 대한 부하가 일정한 시간에서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도어의 상태검지 수단의 입력이나 또는 조작 입력의 신호에 의해 주제어회로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보조제어회로를 설치하고, 그 보조제어회로의 판정출력에 의해 전원을 끊어주든가 모우터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거나 하여 도어의 이동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장해물에 대하여 부하를 경감 또는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그 외의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고의 도어개폐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장치가 내장된 본체(1)와, 그 본체(1)와 연결된 레일(2)과, 그 레일(2)에 의하여 안내되고 또 그 보체(1)의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울러 체인(3)과, 이 로울러 체인과 계합되어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트롤리(4) 등을 주요부로 하고 있다.
본체(1)는 금구(金具)에 의해 차고의 천정에 매달려지며, 한편 레일(2)의 단부는 헤더 브래킷(header bracket)(5)에 의하여 차고의 일부에 고정된다. 한편 차고의 도어(6)는 일반적으로 수매로 분할되어 있으며, 또 서로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된 도어레일(7)을 따라 개폐된다. 또 차고의 도어(6)의 중량은 도어 평형스프링(balace spring)(8)에 의하여 평형되어 인력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 있는 차고의 도어(6)에 도어브래킷(9)을 고정하고 다시 그 도어 브래킷(9)과 트롤리(4)를 되어 아암(10)을 개재하여 회동 자재롭게 연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본체(1)의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울러체인(3), 로울러 체인의 작동에 의하여 레일(2)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4)에 연동하여 차고의 도어(6)는 도어 레일(7)을 따라 개폐된다.
상기한 본체(1)에 전원공급은 전원케이블(11)을 경유하여 공급된다. 또 본체(1)에 동작지령을 내릴 때는 차고의 벽에 취부된 푸시버튼 스위치(12)를 누른다든가, 또는 전파 등에 의한 신호를 수신기가 내장된 제어장치(13)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에 의해 행해진다. 또 만약 정전 등으로 인해 차고의 도어 개폐장치가 동작이 불가능해졌을 경우에는, 이탈용 끈(14)에 의하여 를울러 체인(3)과 트롤리(4)의 연결을 해제하여 인력에 의해 차고의 도어(6)를 단독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먼저 제2도, 제3도에 따라 차고 개폐장치의 본체 구조를 설명한다. 제2도는 종단측된도, 제3도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본체 프레임(15)의 하측에 고정된 모우터(16)의 회전력은 모우터축(16-a)에 고정된 모우터풀리(17)로 부터 V벨트(18)에 의해 대(大) 풀리(19)의 회전은, 스프로에축(19)에 의해 스프로킷(21)에 전달된다. 이 스프로킷(21)에는 로울러 체인(3)이 맞물린다.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는 본체 프레임(1)내에 있어서 양측면으로부터 체인가이드(22), 체인 가이드(23), 체인 가이드(24)에 의하여 안내된다.
레일(2)은 프레임(15)에 고정금구(25)에 의하여 체인가이드(A)(22)와, 체인가이드(C)(24)등으로 구성되는 홈부와 단차(段差)나 틈이 없도록 고정된다.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는 양측면이 레일(2)에 의하여 안내된다.
한편 상기 스프로킷(21)에 의하여 감겨지는 로울러체인(3)은, 체인가이드(A)(22)와 체인가이드(B)(23)에 의하여 구성되는 홈부와 단차나 틈이 없이 고정된 체인 수납 케이스(27)의 와권형(渦卷形)의 체인수납홈(27-a)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한 모우터(16)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스프로킷(21)이 회전되어 로울러체인(3)이 레일(2)을 따라 왕복동한다.
다음에 제1도에서 설명한 차고의 도어(6)의 개폐동작의 상한점, 하한점 즉, 트롤리(4)의 수평 이동량을 제한하는 리미트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로울러체인(3)의 이동량을, 스프로킷(21)과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는 대풀리(19)의 외주에 설치된 플리랙(pulley rack)(28)의 이동량으로 변환한다.
플리랙(28)에 맞물리는 피니온(29)에 의해 상한 리미트스위치(30), 하한리미트스위치(31)에 상기 플리랙(28)의 이동량을 전달한다.
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30)와, 하한리미트 스위치(31) 각각에 상한점 조정 손잡이(32), 하한점 조정 손잡이(33)를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본체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상한점, 하한점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차고 도어가 하강하는 도중에 장해물에 닿았을 경우에는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신속하게 검지하여 반전동작 즉, 상승시켜야 하며, 또 상기 차고의 도어가 상승중에 장해물에 닿았을 경우에는,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신속하게 검지하여 정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상 설명한 장해물 검지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인 가이드(A)(22)와 체인가이드(B)(23)와, 체인 가이드(C)(24)로 이루어지는 체인 안내홈의 일부를 곡로(曲路)로 형성하고 이 로울러체인(3)에 도어가 하강할 때 가해지는 압축력 도어가 상승할 때 가해지는 인장력(引長力)의 각각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장해 검지 금구(34)를 설치한다.
이 장해 검지 금구(34)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장해스프링(35)의 압축력을 장해동작력 조정 나사(36)를 돌림으로써 스프링 누름판(37)을 이동시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장해 검지 금구(34)의 움직임에 따라 ON,OFF되는 장해 검지 스위치(52)에 의하여 장해물을 검지하여 도어가 하강시에는 상승하고, 도어가 상승시에는 정지하도록 한다.
또 차고내를 조명해 주는 조명램프(38)를 설치하고, 차고 도어 움직임에 연동하여, 점, 소등(点, 消燈)을 행하도록 한다.
또 모으터(16) 및 램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9)를 프레임(15)에 고정하고, 다시 본체 커버(40), 램프커버(41)에 의하여 모우터(16), 대풀리(19), 램프(38)를 덮는다. 또 램프커버(41)는 반투명으로 하여 램프(38)의 빛을 투과시켜 차고내를 밝게 비치도록 한다. 이상은 차고 도어 개폐장치의 본체구조를 설명했으나, 레일 및 트롤리부에 관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따라 설명한다. 레일(2)의 단면구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철판이다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것이고, 이 레일의 외주부에서 트롤리(4)를 접동( " t-1 " 動) 안내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레일(2)에 의하여 로울러체인(3)의 로울러부를 양측면으로 부터 끼워넣어 로울러 체인(3)의 왕복동작을 직선적으로 행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로울러 체인(3)의 선단부는 상기 레일(2)에 의하여 로울러 체인(3)과 마찬가지로 안내되는 로울러 체인 부속장치(3-a)에 고정된다. 이 로울러 체인 부속장치(3-a)는 슬롯(slot)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에는 연셜금구(4-a)를 삽입한다. 이 연결금구(4-a)는 상기트롤리(4)내에서 상하로 접동이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스프링 등의 힘에 의하여 윗쪽으로 밀어올려져 있기 때문에 트롤리(4)와 로울러체인(3)은 연결상태에 있다.
만일 정전시에 차고 도어 개폐장치와 도어를 분리하여 인간의 힘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에는 연결금구(4-a)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겨 로울러체인 부속장치(3-a)로 부터 이탈시켜 도어를 개폐한다.
상기 트롤리(4)의 동작을 도어에 전달하기 위한 도어 아암(10)은, L자형 도어 아암(10-a)과 수직 도어 아암(10-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는 도어와 레일의 위치관계에 따라 자유롭게 길이를 바꾸어 연결된다. 상기 도어아암(10)의 일단은 트롤리(4)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도의 도어 브킷킷(9)을 거쳐 도어(6)에 연결된다. 도어아암(10)과 트롤리(4)의 결합은 트롤리(4)에 슬롯(4-b)을 설치하여 그 슬롯(4-b)에 핀(4-c)을 꽂아 결합한다.
이 핀(4-c)은, 평상시에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제4도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밀어붙여져 있다. 이것은 도어가 하강중에 장해물에 충돌한 경우의 충격흡수를 행하는 것이다.
또 차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바닥면이 눈이나 어름 등으로 쌓여 있을 경우, 혹은 수도용 호스 등과 같은 작은 물건에 의해 도어가 하강할 때 장해 검지에 의하여 반전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면상 2인치 이하에서는, 장해물이 검지되도록 도어를 반전하지 않고,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트롤리(4)와 도어(6)의 이동량의 차(差)를 슬롯(4-b)에서 흡수한다.
이상 기술한 차고 도어의 개폐장치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상태검지수단(300)은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 장해 검지 스위치(52) 등의 검지 수단을 가진다. 주 제어장치(301)는 상태 검지수단(300)으로 부터의 상태검지신호를 처리하여 도어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모우터(16)를 제어한다. 이 모우터 제어는 릴레이 회로에 의한 스위치(242),(243)의 개폐동작에 의해 모우터 (16)를 정전(正轉), 역전 또는 정지시키므로서 제어된다.
보조제어장치(302)는 주제어장치(301)에 발생하는 제어신호나 상태검지수단(300)으로 부터의 상태검지신호에 의해 소요의 개시(計時) 동작을 행하는 주제어장치(301)가 소정시간 내에 소정의 동작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에 한하여 모우터(16)의 전원 회로를 릴레이 스위치(303)로 개로(關路)하여 모우터(16)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미연의 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다음에 주제어회로(30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12는 도어 개폐동작 지령용 푸시버튼 스위치, 201은 마찬가지로 무선 수신장치로 부터의 도어 개폐동작 지령에 의해 동작하는 릴레이 집접출력단지, 30은 도어 상한 리미트 스위치, 31은 도어하한 리미트 스위치, 52는 자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 205는 전원 투입시에 리세트 신호를 작성하는 전원 리세트 회로, 206,207,250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208은 J-K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 209는 NE555(시그네틱 회사 제품)등을 사용한 타이머회로, 210,211은 D형 플립플롭, 212는 적분회로, 213은 미분회로, 214-222는 NOT 소자, 223은 2 입력 OR 소자, 224-228은 2 입력 AND소자, 229,230은 4입력 NOR 소자, 231은 2 입력 NOR 소자, 232는 3 입력 AND 소자, 251은 3 입력 NAND 소자, 233은 제어 전원용 트랜스,234는 다이오드 스택(stack), 235는 제어전원용 IC 레귤레이트, 236-238은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 239-241은 릴레이 코일, 242-244는 릴레이 코일(239-241)에 의해 동작하는 릴레이 접점, 16은 도어 개폐구동용 모우터, 38은 램프이다.
이하 회로 동작에 관하여 제8도, 제9도의 타임챠트로써 보충하면서 설명한다.
본 회로에 전원이 투입되면 트랜스(233)로 부터 다이오드 스택(234)과 IC 레귤레이트(235)를 거쳐 제어용 전원(VDD)이 공급된다. 그러면 전원 리세트 회로(205)는 이 VDD의 상승을 적분하여 그 상승을 지연시키므로 NOT 소자(215)는 전원 투입 직후의 지연기간 동안 고레벨이 되는 리세트 펄스를 출력한다. 이 리세트 펄스는 NOT 소자(216)를 거쳐, J-K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208)을 리세트 하고, 다시 4 입력 NOR 소자(229),(230)를 거쳐 각각 D형 플립플롭(210),(211)을 리세트 한다. 도어 개폐동작 지평인 푸시 버튼 스위치(12)가 ON되고, 또는 무선수신장치로 부터의 릴레이 접점출력단자(201)가 저레벨이 되면, NOT 소자(214)에 의하여 신호(A)가 출력되었을 경우에는, 신호(A)의 상승으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06)는 펄스폭(T1)의 신호(B)를 출력한다. 이 신호(B)는 2 입력 OR 소자(224)의 타측의 입력은 차고도어가 정지중일 때는 고레벨에 있기 때문에, 신호(C)가 출력된다.
신호(C)는 J-K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208)의 클릭으로써 입력된다. 이 플립플롭(208)의 출력신호(E)가 반전하기 전의 신호(C)의 하이(High) 기간 중에 2 입력 AND 소자(226)의 출력이 플립플롭(210)의 클럭으로서 입력되어 이 플립플롭(210)은 세트되어 신호(F)가 출력된다. 이것은 도어상승 지령으로 하여, 트랜지스터(237)에 의해 도어 상승용인 릴레이코일(240)이 여자(勵磁)되어 릴레이 접점(242)이 ON되면 모우터(16)는 정전(正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우터는 가동되지만, 이와 동시에 신호(B)는 NOT 소자(221)를 거쳐 타이머회로(209)에 트리거 신호로서 입력된다. 이것은 모우터가 기동됨과 동시에 차고내를 조명하는 램프(38)를 동작 지령후 일정시간 점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타이머 회로(209)의 출력이 트랜지스터(236)에 의해 릴레이 코일(239)을 여자하여 릴레이 접점(244)을 ON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명램프(38)는 일정시간 점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승 지령출력중에, 상한 리미트 스위치(30)가 ON하면 NOT 소자(217), 4입력 NOR 소자(229)를 거쳐 플립플롭(210)의 리세트가 입력되어 트랜지스터(237)가 OFF되고, 릴레이 코일(240)이 소자(消磁)되어 릴레이 접점 (242)이 OFF되어 모우터(16)은 정지한다.
또 상승지령출력 중에 재동작지령, 즉 푸시버튼 스위치(12)가 ON되고 또는 무선수신장치로 부터의 릴레이 접점출력단자(201)가 저레벨이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B)의 펄스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06)로부터 출력되어 OR 소자(223)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나 플립풀롭(210)이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은 로우(LOW)가 되어 있으며, 2입력 AND 소자(224)의 출력은 금지되어 있다. 이때 2입력 AND소자(227)는, NOT소자(218)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되기 때문에 신호(B)의 펄스를 신호(D)로서 출력된다. 이 신호(D)는 4입력 NOR 소자(229)를 거쳐 플립플롭(210)의 리세트 신호로서 입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우터(16)는 정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재동작지령이 상기와 같이 입력되면, J-K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208)이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2입력 AND 소자(226)의 출력은 금지되어 2입력 AND 소자(225)로 부터 신호(B)가 출력되어 플립플롭(211)을 세트하여 신호(G)를 출력한다.
이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238)가 ON하고, 도어 하강용인 릴레이 코일(241)은 여자되고, 그 릴레이 접점(243)이 ON하여 모우터(16)는 역전하여 도어는 하강 동작한다. 상기한 하강 동작중에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ON하면, NOT소자(219)에서 신호(H)가 출력되어 적분회로(212)에 의해 시간지연(T2)을 갖고 4입력 NOR소자(230)를 거쳐 플립플롭(211)의 리세트 신호로서 이력된다. 이 입력에 의해 상한시의 상한 리미트가 ON할때와 마찬가지로 모우터는 정지한다.
다음에 장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52)가 동작했을 때의 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상승동작중, 즉 J-K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208)이 세트, 플립플롭(210)이 세트, 플립플롭(211)이 리세트 되어 있을때, 장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52)가 동작하면, 이 리미트 스위치(52)는 B 접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OFF가 되어 3입력 AND 소자(251)에 하이신호를 입력한다.
이 경우 NAND 소자(251)의 다른 2입력단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로울 신호를 2입력 NOR 소자(231)에 공급한다. NOR 소자(231)타측의 입력(H)이 저레벨에 있기 때문에 하이신호(J)가 출력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07)를 트리거한다. 이 멀티 바이브레이터(207)의 Q출력 펄스가 4입력 NOR 소자(229)를 거쳐 플립플롭(210)을 리세트하여 차고 도어를 정지시킨다. 또 이때 3입력 AND 소자(232)는 J-K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208)이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그 AND 소자의 출력은 금지되어 있다.
다음에 하강동작중, 즉 J-K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208)이 리세트, 플립플롭(210)이 리세트, 플립플롭(21)이 세트되어 있을 때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장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52)가 동작하면, 상기와 같이 3입력 NAND 소자(251)를 거쳐 2입력 NOR 소자(231)에 의해 신호(J)가 출력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207)로부터 펄스폭(T3)의 신호(K)가 출력된다. 이 신호(K)에 의해 4입력 NOR 소자(230)를 거쳐 플립플롭(211)을 리세트한다.
이 리세트에 의해 모우터는 정지하고, 도어의 하강 동작도 정지한다. 또 이 펄스신호(K)가 하강하면, 단 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207)의 Q 출력이 상승하여 3입력 AND 소자(232)의 출력에 하이(High) 신호(L)가 출력된다. 이 신호(L)는 미분회로(213), NOT 소자(222)를 거쳐 신호(M)로 변환되어 2입력 OR 소자(223)에 입력된다. 이 입력에 의해 상기와 같이 일련의 제어 회로를 거쳐 상승 지령인 신호(F)가 출력되어 도어는 상승하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30)의 신호인 NOT 소자(217)의 출력신호(N)에 의하여 도어는 정지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장해물을 검지하면 상승중에는 즉시 동작을 정지하고, 하강중에는 하강 동작을 즉시 정지하여, T3시간 후 동작을 개시한다고 하는 안전동작을 보중하고 있다. 그러나 도어 하한점 부근에서 작은 장해물(돌이나 막대등)이나 겨울철에 바닥면이 눈이나 어름 등에 의해 부풀어 올라있을 경우에는 장해물 검지 동작이 불필요하게 동작되지 않도록 하한점 리미트 스위치(31)가 ON하면, 장해물 검출동작은 2입력 NOR 소자(231)에 의해 즉시 금지되지만, 하강동작 지령인 신호(G)는 적분회로(212)에 의한 시간지연(T2) 후의 신호( I )에 의해 리세트 되어 도어는 정지한다. 도어가 정지중의 장해 스위치(52)의 입력은 NOR 소자(231)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하한점 부근에 작은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중에 장해 스위치가 동작하여 정지했을 때는 스위치(52)가 OFF상태가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도 원활하게 도어를 기동시키기 위해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의 하강시점, 즉 도어의 기동신호로 단안정멀티 바이블게이터(250)를 트리거시켜, 그 출력을 3입력 NAND 소자(251)의 1입력으로 하고, 그 출력이 나와 있는 동안은 장해 검지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한다. 또 도어가 정지중의 추출검지신호의 무시는,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을, 마찬가지로 3입력 NAND 소자(251)에 대하여 NOT 소자(220)를 서쳐 입력함으로써 달성한다.
다음에 보조제어장치(302)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조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제1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은 도어가 동작중(LOW)인지 또는 정지하고 있는 (High)지를 나타내고 있다. 즉,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에 주의하여 그 출력(Y)이 일정한 시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항상 체크하면 총다.
먼저, 도어의 최대 이동시간 보다 긴 시간(예를들면 도어이 이동시간이 16±5초인 때는 23초)에 설정한 단안정 멀티바이크레이터(304)를 설치하고, 상기 2입력 AND소자(228)의 출력(Y)의 하강, 즉 도어의 기동신호로서 이것을 기동시킨다. 또한 콘덴서(C32)와 저항(R34)은 설정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수이다.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4)의 출력(Q)이 다시 상승할 때까지 즉, 설정시간 경과할 때까지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이 하이(High)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주제어장치가 동작불량이라고 판단한다. 그 판단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을 NOT 소자(305)를 거쳐 2입력 AND소자(306)에 입력하고 다시 2입력 AND 소자(306)의 다른 입력단자에 상기 단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Q 출력을 입력한다. 이렇게 하여 2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이 만약 상승하는 일이 있으면 그것은 즉, 상기 주제어장치의 동작불량을 추출한 것이 된다. 상기 2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은 저항(R33), 콘덴서(C31)로 구성하는 적분회로를 통하여 D형 플립플롭(307)을 세트한다. 이 적분회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4)의 동작의 시간 지연에 의해, 출력(Y)의 하강시에 일시적으로 AND 소자(306)로부터 발생되는 짧은 펄스폭의 출력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D형 플립플롭(307)의 출력은, 트랜지스터(308)를 구동한다. 즉, 릴레이(309)의 구동한다. 릴레이(309)의 릴레이 접점(303)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우터 구동장치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어의동작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 상태는 전원을 차단하고 재투입 할때까지 계속한다. 즉 D형 플립플롭(307)은 제7도에 나타낸 전원 리세트회로(205)의 출력을 NOT 소자(214),(216)에 의해 2회 반전함으로써 얻어진 신호(P)에 의하여 리세트된다. 릴레이(309)에 병렬로 경보기(290)가 접속되고 이상 발생을 램프 또는 버저 등으로 알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와 푸시버튼(12)의 조작에 의해 트리거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도 소저시간 후의 이상 판단은 AND 소자(306)에 의해 신호(Y)의 유무에 의해 판단된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검지 수단이나 주제어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일정 시간후에 모우터의 구동상태를 차단할 수가 있어 이에 의하여 장시간의 과부하의 부담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안정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제12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7도의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이 일정시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회로를 설치한다. 먼저 도어의 이동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를 설치하고, 상기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의 하강, 즉 도어의 기동신호로 기동시킨다. 또 상기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을 NOT 소자(305)를 거쳐 2입력 AND 소자(306)에 입력시킨다.
2입력 AND 소자(306)의 다른 입력단자에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Q 출력을 입력시켜 두면 이 2입력 AND 소자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될 때는 상기 주제어장치의 동작 불량을 추출한 것이 된다. 상기 2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은 저항(R33), 콘덴서(C31)로서 구성되는 적분회로를 통하여 D형 플립플롭(307)를 세트한다. 그와 동시에 D형 플립플롭(310)도 세트한다. 전자의 D형 플립플롭(307)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308)를 구동하여, 즉 릴레이(309)를 구동한다.
이 릴레이(309)의 릴레이 접점은 2접점(315),(316)을 가지며, 모우터 구동장치를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의 구동 지령인 릴레이 접점(242),(243)을 무효가 되게 하는 것이다.
또 후자의 D형 플립플롭(310)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311)를 구동하고 즉, 릴레이(312)를 구동한다. 이 릴레이(312)의 릴레이 접점(317)은 상승측 모우터 구동계에 삽입하여 릴레이(309)가 동작하고 있을 때만 유효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이상 상태를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에 의해 추출한후 강제적으로 상승시킨다.
D형 플립플롭(310)의 D입력 단자에 제7도에 나타낸 D형 플립플롭(211)의 출력(G)을 입력시켜두면 도어가 하강중에 동작 불량이 검출되면, 신호(G)는 하이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플립플롭(310)의 출력(Q)은 하이가 되어 도어는 상승으로 전환된다. 또 도어의 상승중에 동작불량이 검출되면 신호(G)는 로우(LOW)이기 때문에 플립플롭(310)의 출력(Q)는 로우가 되어도 도어는 정지된다. 이에 의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도어를 안전한 측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회로를 리세트 조건으로서는 D형 플립플롭(307)은 전원의 차단, 재투입에 의해 초기상태로 리세트 하기 위해 제7도의 전원 리세트회로(205)의 출력에 의해 NOT 소자(215),(216)를 거쳐 얻어진 신호(P)를 클리어 단자에 입력한다.
D형 플립플롭(310)은 신호(P) 또는 상한리미트 스위치(30)가 ON되었을 때 상승하는 NOT 소자(217)의 출력(Q)에 의해 리세트 되도록 NOT 소자(313)와 2입력 AND 소자(314)를 거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도어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주 제어회로가 고장났을 경우는 도어의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보다 중대한 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하강의 경우 그 상태를 해체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매우 안전성이 높은 제품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는 제12도의 D형 플립플롭(310)을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10')로 치환하여 도어 하강중에 AND 소자(306)로부터 이상 신호가 검지되었을 경우, AND 소자(291)에 의해 도어 하강증을 나타내는 신호(G)와 그 이상 신호에 의해 AND를 취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10')를 트리거 하면 트랜지스터(311)를 일정 시간만큼 ON으로 하여 도어를 상승 구동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상한 리미트 스위치(30)가 고장난 경우에도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구동장치의 전원 회로는 개방되기 때문에 제품의 안전성은 더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14 및 제15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제7도의 D형 플립플롭(210),(211)의 각 출력과 저항기(R17),(R18)간에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18),(319)에는 D형 플립플롭(210),(211)으로 부터의 도어 상승지령(F)과 도어 하강 지령(G)이 각각 입력된다.
이를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설정시간을 도어의 최대 이동 시간보다 길게 하여 놓고, 지령신호(F),(G)의 상승으로 각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18),(319)를세트하고, 그 지령신호의 하강에 의해 리세트하도록 구성하고, 그 설정기간내에 지령신호(F),(G)가 하강되지 않았을 때는, 설정시간 경과시에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18),(319)는 리세트 되므로 릴레이(240),(241)는 OFF되어 모우터(16)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대단히 간단한 회로로서 정확한 안전동작을 하는 회로를 얻을 수가 있다.
제16도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회로를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하강 동작중에 이상상태가 되었을 때 일정시간만큼 도어를 상승 동작시키는 것이다. 도어의 상승동작 중의 회로 동작은 제13도에 나타낸 회로 동작과 하등 다른점이 없다. 그러나 도어의 하강 동작중에 이상 상태가 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19)의 출력은 설정 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로우 출력으로 되어 NOT 소자(292)에 의해 반전되어 하이가 되어 AND 소자(293)의 일축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AND 소자(293)의 타측의 입력단자는 하강지령(G)이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 상태에 있어서는 이하강지령(G)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19)의 설정 시간의 경과 후에도 하이에 있기 때문에 AND 소자(293)는 하이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적분 회로를 거쳐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94)를 트리거하고 일정 시간만큼 Q단자에 하이를 출력한다. 이 일정시간의 하이 신호를 OR소자(295)를 거쳐 트랜지스터(237)를 ON으로 하므로, 도어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94)의 설정시간만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기술적 효과는 제12도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94)의 출력으로 플립플롭(296)은 세트되어 경보기(290)를 동작시킨다. 플립플롭(296)은 신호(P)에 의해 리세트 된다. 이에 의하여 이상이 발생된 것을 경보기(290)에 의해 알릴 수 있고 도어가 정지하여 있을 경우에는 "정상", "이상"의 구별을 명확하게 할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 중에서 주제어회로의 논리회로에 의해 도어의 상승 또는 하강 신호를 추출했으나, 이것은 최종단의 릴레이 접점의 출력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또 직접 모우터의 구동방향을 릴레이 또는 그외의 수단에 의해 검지하여도 본 발명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고장이 추출된 후에는 보조제어회로를 리세트 하는 조건으로 전원 차단 재투입하는 것으로 했지만 전용 리세트 푸시버튼을 설치하여 신호(P)를 발생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제10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보조제어장치에 포함되는 계시수단(計時手段)(304),(318),(319)은 실질적으로 도어의 기동시에 동기하여 계시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계시수단은 상태검지수단(300)이 도어를 정지해야 할 상태를 검지했을 때 또는 도어를 정지해야 할 조작 입력이 부여되었을 때 계시동작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주제어장치(301)는 도어의 상승중 또는 하강중에 상태검지수단(300)의 검지동작 또는 도어정지 조작에 응동(應動)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1) 상승중→상한 리미트 검지→정지
(2) 하상중→하한 리미트 검지→정지
(3) 상승중→장해검지→정지
(4) 하강중→장해검지→상승
(5) 도어의 조작 입력에 의한 동작→정지
주제어장치(301)는 상태 검지수단(300)의 검지후 또는 도어 정지조작 입력후, 이것에 응동하여 소정의 상태에 달할때 까지 비교적 짧은 어떤 시간을 요한다. 이 시간은 1초보다 더 짧은 시간이다. 이 때문에 상태검지수단의 검지수호 등에 의해 보조제어장치의 계시수단이 계시(計時)를 개시하도록 구성한 장치에 있어서는, 그 설정시간은 1초 정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보조제어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0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것과 같기 때문에 특히 다른 부분에 관하여 제17도에 나타낸다.
제17도에 있어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설정 시간은, 제7도에서 설명한 장해 검지 입력을 무시하는 시간(단 안정 멀티 방아브레이터 250의 설정시간)보다도 긴 시간(예컨대 1초)으로 설정된다. 그 B 입력 단자는 OR소자)(401)의 출력으로 접속된다. 이 OR 소자(401)의 입력 단자에는, 각각 장해 검지스위치(52)의 출력(R), AND 소자(402),(403)의 출력이 입력된다. AND 소자(402)의 2입력에는 각각 도어 상승신호(F)와 상한 리미트 스위치(30)의 출력(N)이 입력되어, 도어 상승중에 상한에 달한 것을 검지한다. AND 소자(403)는 도어 하강신호(G)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의 출력 (H)이 입력되어 하강중의 도어가 하한에 달한 것을 검지한다. 따라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4)는 장해검지 스위치(52),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431) 중의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응동하여 트리거 된다. 왜냐하면,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은 로울일 때 도어 동작중임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는 A입력 로우에 의해, 또 B입력 하이에 의해 트리거되어 Q 출력이 다시 상승할 때까지, 즉 스위치(30),(31) 또는 52가 동작된 후 설정시간 경과까지 그 스위치가 동작 상태를 계속하고 또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Y)이 로우인 경우에는, 주제어장치가 동작 불량이라고 판단한다. 그 때문에 2입력 AND 소자(228)의 출력을, NOT 소자(305)를 거쳐 3입력 AND 소자(306)에 입력하고 다시 3입력 AND 소자(306)의 다른 입력 단자에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Q 출력과, 상기 검지입력(R),(F),(G)을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3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이 만약 상승되는 일이 있으면 그것은 즉, 상기 주제어장치의 동작불량을 추출한 것이 된다. 상기 3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은 저항(R33), 콘덴서(C31)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분회로를 통하여 D형 플립플롭(307)을 세트한다.
이하의 동작은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B 입력단자에는 장해 검지신호(R)만을 입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OR 소자(401)의 입력에는 다시 도시하지 않은 정지조작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7도에서는 상태 검지수단(300)은 도어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ON,OFF되는 스위치 수단에 관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스위치 수단 자체가 고장난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즉,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는 도어의 구동력이 과대하게 되면 장해 검지 스위치(52)가 동작하여 모우터(16)가 정지 또는 반전하기 때문에, 구동장치에 장시간 과부하를 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장해검지 스위치 자체 또는 주제어장치 자체가 고장난 경우에는, 구동장치가 록 되어 있는 일이 있어 이 록 상태의 신속한 해소가 필요하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로서는 구동장치 자체의 소비전류를 검출하도록 한 상태검지 수단을 사용한 보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 회로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10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히 상이한 부분만을 제18도에 나타내고 있다.
제18도에 있어서, 상태 검지수단으로서 부하 전류 검출기(405)가 사용되어 모우터(16)의 부하전류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을 검지한다. 이 검출기(405)의 출력은 파형정형회로(406)에서 파형정형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4)에 입력한다. 이 신호가 지속하고 있는지 여부, 즉, 록 전류인지의 여부를 일정시간 후에 체크한다. 이것은 도어의 기동시(모우터의 기동시)에 록 전류와 동일한 전류가 일정시간 흐르기 때문이고, 록 전류를 기동전류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는 이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즉, 파형정형회로(406)의 출력의 하강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크레이터(304)를 트리거한다. 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출력(Q)이 다시 상승할 때까지 즉, 설정시간 경과까지에 파형저형회로(406)의 출력이 로우인 때는 모우터 록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상기 파형정형회로(406)의 출력을 NOT 소자(305)를 거쳐 2입력 AND 소자(306)에 입력한다. 한편 2입력 AND 소자(306)의 다른 입력단자에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04)의 Q 출력을 입력한다. 이렇게 하여 2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이 만약 상승하는 일이 있으면 그것은 즉 제어계의 동작불량을 추출한 것이 된다.
상기 2입력 AND 소자(306)의 출력은 저항(R33), 콘덴서(C31)로 이루어지는 적분회로를 통하여 D형 플립플롤(314)을 세트한다.
이후의 동작은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장해 검지까지 포함한 정상적인 처리 상태와는 다른 이상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으며, 또 그 검지신호에 의해 모우터의 구동 상태를 차단하고 또는 일정시간 반전시키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대단히 안정성이 높은 제품이 가능하다.
또 모우터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대신 정상적인 구동상태와 구별하여 이상 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1) 모우터이 회전수 검지, 예컨대 타코 제어레이터
(2) 보조 장해검지 스위치, 예를 들면 장해검지 스위치(52)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이 스위치(52)가 동작하지 않는 사태에 달했을 때 동작하도록 한 것.
본 발명에 의하면 상태 검지수단 혹은 주제어회로가 고장난 경우에도 장해물에 대한 부하가 일정시간에서 해제되게 되어 장치의 신뢰성, 안정성이 모두 대단히 향상된다.

Claims (1)

  1. 도어와 연결되고, 그 도어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폐 조작시키는 구동장치와, 이동하고 있는 상기 도어의 그 이동의 계속을 중단시켜야 할 상태를 검지하는 상태검지 수단과, 상기 상태검지수단으로 부터의 상태검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에 구동지령을 인가하여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와, 상기 도어의 정상 동작시의 최대 이동 시간보다도 긴 설정시간을 갖으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 개시에 실질적으로 동기하여 계시 동작을 개시하는 개시수단 및 그 계시수단이 계시 동작의 개시 전부터 상기 설정시간을 경과했을 때,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에 의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구동지령이 가해져 있는 경우, 상기 주제어장치의 구동지령에 관계없이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의 계속을 중단하도록 한 제어회로 등의 보조 제어 장치로 이루어진 자동도어 개폐 제어장치.
KR1019810001279A 1981-04-14 1981-04-14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Expired KR86000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279A KR860001585B1 (ko) 1981-04-14 1981-04-14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279A KR860001585B1 (ko) 1981-04-14 1981-04-14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56A KR830005456A (ko) 1983-08-13
KR860001585B1 true KR860001585B1 (ko) 1986-10-10

Family

ID=1922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279A Expired KR860001585B1 (ko) 1981-04-14 1981-04-14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5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56A (ko) 198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398A (en) Automatic door control apparatus
KR860001573B1 (ko) 도어 개폐제어장치
CA1167552A (en)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JPS6317996B2 (ko)
AU581723B2 (en) Control and drive for sliding wing
US4475069A (en)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WO1992018999A1 (en) Garage door operator safety apparatus
US4405923A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KR860001585B1 (ko)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JP2004150096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S6316554B2 (ko)
JPH051703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224988B2 (ko)
JPH0616137Y2 (ja) 電動シヤツターの安全装置
KR960000027Y1 (ko) 셔터용 안전장치
RU20050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JPS6317995B2 (ko)
JPH0224987B2 (ko)
JPH0338391B2 (ko)
KR850001687B1 (ko) 차고문 개폐 제어 장치
KR830001614B1 (ko) 도어 개폐 제어 장치
JPS6316553B2 (ko)
KR860002535Y1 (ko) 정전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장치
JPS629715B2 (ko)
JP2004150097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104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6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60908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7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