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840002090Y1 - 이 앙 기 - Google Patents

이 앙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090Y1
KR840002090Y1 KR2019840004563U KR840004563U KR840002090Y1 KR 840002090 Y1 KR840002090 Y1 KR 840002090Y1 KR 2019840004563 U KR2019840004563 U KR 2019840004563U KR 840004563 U KR840004563 U KR 840004563U KR 840002090 Y1 KR840002090 Y1 KR 840002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planting
rice transplanter
rod
link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74U (ko
Inventor
이사오 이시다
신이찌로 야노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4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90Y1/ko
Publication of KR840005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74U/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 앙 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이앙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중요부 설명도.
제4도는 감지기구의 유압회로.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중요부의 측면도.
본 고안은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로우트와 모심기 장치 본체와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여 모심기 깊이를 조절하도록 한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앙기에 있어서는, 플로우트의 뒷부분을 모심기 장치의 본체에 피봇 연결하여 이 플로우트의 전체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플로우트의 뒷부분의 피봇 연결점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모심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플로우트의 앞부분에는 미리 설정된 심는 깊이를 유지하도록 주행차체와 플로우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구를 장치하여 이 감지기구에 의하여 주행차체에 설치된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모심기 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이앙기에 있어서는, 모심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플로우트의 피봇 연결점을 아래위로 이동시킬때 모심기 장치에 대해서 플로우트의 앞·뒷부분중 한 부분이 기울어져 모심기 장치와 플로우트 사이에 경사가 생겨서 플로우트의 평형상태가 깨어지고, 또한 상하운동이나 논바닥의 기복에 의한 플로우트의 상하운동에 대해서도 감지기구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모심기장치를 필요이상으로 상하운동시키는 결과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앙기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로우트의 앞·뒷부분을 동일한 양 즉, 모심기 장치에 대해서 거의 수평으로 아래 위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모심는 깊이를 조절한 경우라도 플로우트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논바닥에 닿아서 감지기구의 감도를 정상화하고, 적절한 모심기 깊이를 유지하면서 모심기 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주행차체의 뒷부분에 플로우트에 지지되어 있는 모심기 장치, 모심기 장치와 플로우트 사이에 모심기 깊이 조절장치 및 주행차체에 대한 플로우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구를 설치하여 주행차체에 설치된 유압장치를 상기 감지동작에 의하여 작동시켜 모심기 장치를 상하운동시키도록 구성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모심기 장치의 하부에 후방링크로드는 핀으로, 전방링크로드는 팬터그래프로써 플로우트에 피봇 연결시켜 상기 전·후방 링크로드가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연결하여 모심기 장치를 플로우트에 지지시키는 지지기구(支承機構)를 설치하여, 이 지지기구에 의한 플로우트의 상기 상하 동작에 의하여 감지기구가 작동하지 않도록 감지기구를 설치한 이앙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도면부호(1)는 승용 4륜 형식의 주행차로서, 그 뒷부분에 평행링크(2) 및 이것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3)로 형성된 양정기구(4)를 통해서 모심기 장치(5)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모심기 장치(5)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전동케이스를 겸하는 플램(6)을 기체로 하여 좌우 양측에 배치시킨 플로우트(7)와, 주행차체(1)측으로 경사져서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지지된 모탱크(8)와, 이 모탱크의 경사진 아랫쪽에 대향해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된 꼿는 장치(9)등을 구비하여, 상기 꼿는 장치(9)에 의하여 모탱크(8)위에 적재된 매트형태인 모를 한포기씩 떼어내어 논에 심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플로우트(7)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중앙플로우트(7a)를 그 양측에 중앙플로우트보다 길이가 짧은 한쌍의 측면 플로우트(7b)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플로우트(7a)에는 플로우트와 플램(6)과의 상하간격을 조절하여 꼿는 장치(9)에 의하여 논에 심는 모의 깊이를 조절하는 모심기 깊이 조절장치(10) 및 중앙플로우트(7a)의 상하운동을 감지하는 감지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는 후방링크로드(13) 및 전방링크로드(17)가 도시되어 각각 꺾여진 링크현상을 하고 있는데 플로우트(7)의 위쪽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플램(6)에 장착된 회전축(12)에는 후방링크로드(13)의 꺾여진 부분을 피봇 연결하고 플램(6)의 앞부분에 전방링크로드(17)의 꺾여진 부분을 피봇 연결함과 동시에, 로드(18)를 거쳐서 양 링크로드(13, 17)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함께 상방 또는 하방으로 거의 동일한 양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한 지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앙플로우트(7a)는 그 후부에 설치한 부라켓트(14)의 상단부에 핀(15)으로 후방 링크로드(13)를 설치하고 그 선단부는 팬트그래프(22)로서 전방링크로드(17)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2)에는 조작레버(19)의 기단부를 고정설치하고 그 선단부는 플루우트(7)의 상하운동범위를 두 단계에 분할하도록 모심기 장치(5)의 뒷부분에 돌출시킨 시프트판(20)에 힌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2)에는 아암(12a)을 통해서 측면플로우트(7b)의 거의 중앙부가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플로우트(7a)의 앞부분에 설치된 감지기구(11)는 중앙플로우트(7a)에 설치된 브라켓트(21)에 팬터그래프(22)의 하단부와 밸브스풀(11b)을 고정 설치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전방링크로드(17)의 단부에 핀(23)을 통해서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감지기구(11)는 유압밸브를 중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밸브 본체(11a)를 브라켓트(21)에 대해서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전방링크로드(17)에 핀(23)으로 힌지하고 밸브스풀(11b)은 중앙플로우트(7a)에 설치된 상기 브라켓트(21)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밸브스풀(11b)을 위쪽으로 밀어올릴때는 밸브본체(11a)에 의하여 기름흐름의 변화를 유압실린더(3)에 전달하여 이 변화에 따라서 피스톤아암(3c)을 돌출시켜서 모심기 장치(5)를 상승시킨다. 또한 역으로 밸브스풀(11b)을 하강시킬때는 유압실린더(3)의 피스톤아암(3c)을 안으로 잡아당겨서 모심기장치(5)를 하강시키도록 유압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제4도에 도시된 유압회로중의 도면부호(3a)는 유압펌프, 도면부호(3d)는 유압탱크이다.
또한 운전석의 좌측에 설치된 조작레버(24)는 상술한 밸브 본체(11a)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와이어(24a)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앙기를 사용하여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때, 양정기구(4)에 의하여 모심기 장치(5)를 하강시키면 상기 장치(5)는 플로우트(7)의 밑바닥이 논바닥에 닿아서 지지되고 주행차체(1)의 주행과 동시에 모심기 작업이 실시된다. 그리하여, 중앙플로우트(7a)는 주행차체(1)의 상하운동 및 논바닥의 기복등에 의해서 밸브스풀(11b)의 신축범위내에서 핀(15)을 중심으로 작동하여 상하 운동한다.
따라서 종래 공지의 이앙기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중앙플로우트(7a)가 하강하여 밸브스풀이 연장되면, 밸브 본체(11a)의 유압밸브가 움직여서 기름의 흐름방향에 따라 유압실린더가 수축하고 평행링크(2)를 통해서 모심기장치(5)가 하강하여 중앙플로우트가 상승하고 이것과 연동하여 밸브 스풀(11b)은 서서히 복귀되어 밸브 본체(11a)가 정상위치로 되돌아와서 밸브스풀(11b)은 신축되지 않게 되고 또한 플로우트(7a)는 적정위치로 유지된다.
그리고 중앙플로우트가 상승하여 밸브스풀(11b)이 수축하면, 밸브 본체(11a)의 유압밸브는 복귀되어 유압실린더(3)의 피스톤 아암(3c)이 연장되어 평행링크(2)를 통해서 모심기 장치가 상승되어 중앙 플로우트(7a)는 적당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이와 같이, 플로우트(7)와 플램(6)과 꼿는 장치(9)들과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적당한 모심기 깊이로서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모의 크기 및 논바닥의 상황등에 의하여 모심기 깊이를 조절할 때에는 조작레버(19)를 이용하여 회전축(12)을 선회시키도록 위쪽 또는 아랫쪽으로 이동시켜 시프트판(20)에 힌지시킨다. 그렇게 하면, 회전축(12)이 회전하고 동시에 후방링크로드(13) 및 아암(12a)의 회전에 의하여 중앙플로우트(7a)의 뒷부분 및 측면플로우트(7b)는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로드(18), 전방링크로드(17)를 통해서 중앙플로우트의 앞부분은 밸브 스풀(11b)의 높이 및 밸브 본체(11a)의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그대로 뒷부분과 거의 동일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플로우트(7) 특히 중앙플로우트(7a)의 밑바닥은 상하조절을 실시해도 논면에 대해서 거의 수평으로 상하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로우트 전방 아랫쪽이나 전방 윗쪽에서의 발생이 아닌 상하운동을 감지기구(11)는 적절하게 감지하여 모심기장치(5)를 상하로 이동시켜 모심기 깊이 조절장치(10)로써 설정된 모심기 깊이를 유지하면서 정확하게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5도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상기 지지기구중에 후방링크로드(13), 전방링크로드(17) 및 로드(18)를 없애고 대신 조작레버(19)에 중앙플로우트(7a)의 브라켓트(14)를 핀(25)에 의해서 직접 고정설치하고 또한 회전축(12)에는 브라켓트(26)를 고정설치하여 이 브라켓트(26)에 와이어(27)의 한끝을 설치하여, 그 다른 끝을 다음에 설명하는 감지기구(11)에 연결시켰다. 상기 감지기구(11)는, 플램(6)에 핀(28)에 의해서 힌지된 하부링크로드(29)의 하단부와 중앙플로우트(7a)에 설치된 브라켓트(21)와의 사이를 로드(30)로써 연결하고 하부링크로드(29)의 다른 단부는 로드(31)의 한쪽단부를 연결하고, 또한 로드(31)의 다른 단부는 플램(6)에 고정된 상부링크로드(32)의 한 단부에, 이 상부링크로드(32)의 다른 단부는 상기 와이어(27)의 한끝에 연결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이외는 상술된 실시예와 같으며 동일부호를 붙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도면부호(33)는 와이어(27)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수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앙기가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때, 중앙플로우트(7a)가 핀(25)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 이 상하이동을 감지기구(11)로써 감지하여 로드(30), 하부링크로드(29)를 통해서 로드(31)를 끌어당기거나 또는 복귀시켜서 모심기 장치(5)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모의 심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조작레버(19)를 상하로 이동시켜 시프트판(20)에 힌지하면 상기 동작에 연동하여 핀(25)이 따라서 이동하므로 중앙플로우트(7a) 및 측면플로우트(7b)는 상하로 이동하고 꼿는 장치(9)에 의해서 심지어는 모의 깊이가 변한다. 그리고 상기 핀(25)의 위치에 의한 중앙플로우트의 상하이동을 a 또는 b라고 하면, 회전축(12)의 회전에 의하여 브라켓트(26)를 통해서 와이어(27)를 당기거나 복귀시켜 상부링크로드(32)의 선단을 a' 또는 b'만큼 이동시키므로 로드(31) 및 로드(30)를 통해서 중앙플로우트(7a)의 앞부분을 a' 또는 b'만큼 상하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중앙플로우트(7a)의 밑바닥은 논바닥에 거의 균일하게 접촉하여 활주하고, 감지기구(11)는 상하운동을 적절하게 감지하여 설정된 모심기 깊이를 유지하면서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행차체에 대한 플로우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구를 갖고, 이 감지 동작에 따라서 주행차체에 설치된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모심기 장치를 상하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앙기에 있어서, 모의 심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심기 장치에 대해서 플로우트를 상하 조절하는 경우에 지지기구를 통하여 플로우트의 앞·뒷부분을 동시에 거의 동일하게 이동시켜 모심기장치 및 플로우트의 사이에 플로우트의 앞이 올라가든가 또는 내려가는가 등의 경사가 생기지 않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우트의 상하운동에 연동하여 감지기구가 작동되지 않도록 지지기구를 구성시켰기 때문에 플로우트를 상하조절시켜도 플로우트의 밑바닥은 논바닥에 대하여 거의 수평으로 접하게 되고, 감지기구의 감도는 늘 적정하게 되고, 모심기 장치가 일정치 않게 움직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설정된 모의 심는 깊이를 유지하면서 정밀한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승용형 이앙기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을 보행형 이앙기에 적용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플루우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지기구는 상기 두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조라도 상관없다.

Claims (1)

  1. 주행차체의 뒷부분에 플로우트로 지지되어 있는 모심기 장치를 설치하고, 모심기장치와 플로우트의 사이에 모심기 깊이 조정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주행차체에 대하여 플로우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구를 설치하여, 주행차체에 장착된 유압장치를 상기 감지동작에 의해서 작동시켜서 모심기 장치를 상하 운동시키는 이앙기에 있어서, 모심기장치(5)의 하부에는 전방링크로드(17)와 모심기 깊이 조절장치(10)에 연동되는 후방링크로드(13)와를 동일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연결하고, 플루우트(7a)는 그 뒷부분을 상기 후방링크로드(13)측에 핀(15)으로 또한 앞부분은 전방링크로드(17)측에 상하작동이 자유롭도록 팬터 그래프(22)로써 접촉시키는 등의 지지기구에 의하여 상기 모심기장치(5)에 지지시키고, 감지기구(11)가 모심기 깊이 조절장치(10)로서 플로우트(7a)의 후부를 상하이동시켜서 모심기 깊이를 조절할때 지지기구에 의한 플로우트의 상하동작에 의하여 감지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2019840004563U 1980-02-21 1984-05-17 이 앙 기 Expired KR840002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563U KR840002090Y1 (ko) 1980-02-21 1984-05-17 이 앙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08A KR830001594A (ko) 1980-02-21 1980-02-21 논식묘기
KR2019840004563U KR840002090Y1 (ko) 1980-02-21 1984-05-17 이 앙 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08A Division KR830001594A (ko) 1980-02-21 1980-02-21 논식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90Y1 true KR840002090Y1 (ko) 1984-10-13
KR840005974U KR840005974U (ko) 1984-11-10

Family

ID=691734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08A Withdrawn KR830001594A (ko) 1980-02-21 1980-02-21 논식묘기
KR2019840004563U Expired KR840002090Y1 (ko) 1980-02-21 1984-05-17 이 앙 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08A Withdrawn KR830001594A (ko) 1980-02-21 1980-02-21 논식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3000159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74U (ko) 1984-11-10
KR830001594A (ko) 198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090Y1 (ko) 이 앙 기
JPH0614628A (ja) 苗植付装置の昇降制御機構
JPH0739381Y2 (ja) 歩行型水田作業機におけるフロートの基準位置計測装置
JP2554198Y2 (ja) 水田作業機における機体固定装置
JPS6314610A (ja) 水田作業車における作業部の昇降制御装置
JPH07236314A (ja) 田植機
JPS63233708A (ja) 田植機の植付制御装置
JPH0637624Y2 (ja) 田植機の昇降制御装置
JPH0244672Y2 (ko)
JPH0444016Y2 (ko)
JPH0335054Y2 (ko)
JP2854518B2 (ja) 乗用型田植機
JPH0742260Y2 (ja) 乗用移動農機におけるセンサ−フロ−ト取付装置
KR830001606Y1 (ko) 보행형 이앙기의 차륜 상하 이동장치
JPH0317606Y2 (ko)
JPH08140433A (ja) 多条植え乗用型田植機
JPS634B2 (ko)
JPH0928134A (ja) 田植機
JPS6112170Y2 (ko)
JPS6320268Y2 (ko)
JP2556806Y2 (ja) 水田用移動農機におけるフロート支持装置
JPH0748011Y2 (ja) 水田作業機における作業部姿勢の検知感度調整装置
JPH04271710A (ja) 歩行型田植機のスタンド装置
JPH0614627A (ja) 田植機の昇降制御機構
JPS61289805A (ja) 水田用農機の作業機昇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40517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4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5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5011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73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307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