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008B1 -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분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2008B1 KR820002008B1 KR780002936A KR780002936A KR820002008B1 KR 820002008 B1 KR820002008 B1 KR 820002008B1 KR 780002936 A KR780002936 A KR 780002936A KR 780002936 A KR780002936 A KR 780002936A KR 820002008 B1 KR820002008 B1 KR 8200020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hacrolein
- methacrylic acid
- tower
- gas
- aqueous sol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물 또는 메타크릴산 수용액중의 메타크롤레인의 헨리(HENRY) 정수를 표시한 것.
제2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메타크롤레인과 메타크릴산의 분리 방법의 실시형태의 한 예를 표시한 것.
본 발명은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과 분자상 산소를 산화촉매 존재하에서 기상(氣相) 산화시켜 메타크릴산을 제조함에 있어서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롤레인을 효율적으로 분리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반응조건하에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이라 함은 예를 들면 이소부틸렌 또는 테트라부탄올 등이다.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수증기, 분자상산소(대개는 공기)와 함께 산화촉매 존재하에서 기상 산화시키면 목적물인 메타크릴산, 초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반응 메타크롤레인 또는 미반응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 산소, 질소 등을 함유하는 가스상 반응혼합물이 얻어진다. 이들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목적물의 메타크릴산 뿐만 아니라 메타크롤레인을 효율적으로 분리 회수할 필요가 있다.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로부터 메타크릴산에 대한 공업용 산화촉매에 대한 많은 개발을 시도한 바 있었으나 그 촉매성능은 공업적으로 아직 충분하고 만족할 정도가 되지 못하고, 특히 메타크롤레인의 저전화률을 나타내는 반응조건하에서는 메타크릴산 선택률은 높으나, 메다크롤레인의 전화률이 높은 반응조건하에서는 메타크릴산 선택률이 현저히 저하하는 성능의 촉매가 대부분인 현실에 있어서는 메타크롤레인의 전화률을 비교적 낮게하여 미반응 메타크롤레인을 메타크릴산 수용액으로부터 유효하게 분리 회수하여, 산화반응기에 순환하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것이 곧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의 기상산화법에 의한 메타크릴산의 제조법이 공업적제법으로서 성립할 수 있느냐의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어왔다.
이와 같이 가스상 반응혼합물로부터 메타크롤레인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1975-111017호 공보에 메타크롤레인의 분리 회수에 관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그 개요는 메타크롤레인 1몰에 대하여 50∼500몰의 물에 의한 메타크롤레인 함유 혼합가스를 흡수하고 메타크롤레인 수용액으로써 회수한 다음 증류 또는 스트립핑(STRIPPING)을 적용하여 메타크롤레인을 분리하는 방법인 것이다.
이 방법은 가스상 반응혼합물로부터 메타크롤레인을 흡수 분리할 때에 메타크롤레인의 흡수를 고압 또는 저온하에서 하게 되나 이렇게 되면 다량의 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극단적으로 단수(段數)가 많은 흡수탑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니되게 된다.
그 이유는 메타크롤레인은 물에 대한 용해도(6.1중량%, 25℃)가 낮고 물에서의 흡수는 극히 곤란하기 때문인 것이다. 다량의 물을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용매로서 사용하게 되면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뿐만 아니라 흡수탑에 계속되는 메타크롤레인 증류탑 및 스트립핑탑을 크게 할 필요가 있게 된다.
고압하에서 메타크롤레인 흡수시킨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이전의 반응기등 모든 기기의 조작압력을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의 조작압력이 높아진 것 만큼 승압하는 것이 되므로 이는 각기기의 내압, 안정성 및 경제성인 면에서 볼 때 극히 불리한 것이다.
따라서 물과 같이 메타크롤레인의 용해도가 낮은 흡수용매를 사용한다는 것은 분명히 공업적제법으로서는 불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메타크롤레인은 물에 대하여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물 대신 알코올류를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용매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 특개 1974-92007호로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의 용매가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용매로서는 유효하더라도 분리 회수한 후의 메타크롤레인을 메타크롤레인의 산화반응 공정으로 순환시켜 사용할 때와 회수된 메타크롤레인은 근소량이지만, 이것과 유기용매가 산화반응 공정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산화공정에서 유기용매에 의한 촉매 피해, 산화반응의 저해, 유기용매 증기의 혼입에 의한 폭발 등 이상반응의 위험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성능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유기용매를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용매로서 사용이 반드시 바람직스럽다고만 할 수 없다.
이와같은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성능도 좋고 또한 분리 회수후의 메타크롤레인의 촉매 피해등의 문제를 이르킴이 없이 용이하게 산화반응 공정에로 순환 사용하도록 메타크롤레인 흡수용매 및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메타크릴산을 함유한 수용액이 제1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물과 비교하여 메타크롤레인의 용해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여기에 도시한 제1도는 물 또는 메타크릴산 수용액에서 메타크롤레인의 헨리 정수를 나타낸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타크릴산 수용액의 농도를 될 수 있는 한 고농도로 유지하면서 메타크롤레인과 메타크릴산을 완전히 분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의 기상산화에 의하여 생성하는 반응가스로부터 메타크롤레인과 메타크릴산과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우선 산화반응기 출구의 반응혼합 가스를 응축기에 도입하고, 응축기에서 미리 응축 축적시킨 응축액의 일부와 가스상 반응혼합물과를 100℃ 이하의 온도로 직접 향류 접촉시키므로서 반응혼합물 중의 물과 메타크릴산을 응축시킨다.
이와같은 응축 조작을 1단계에서 할때에는 조작온도는100℃ 이하, 가능하면 30∼80℃이고, 응축조작을 2단계로 할때에는 제1단째의 조작온도는 100℃ 이하, 가능하면 30∼80℃이고, 제2단째의 조작온도는10∼50℃이며, 또한 제2단째 온도는 제1단째 온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온도는 100℃ 이상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중합이 심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반응혼합가스와 응축액과의 직접 향류접촉의 방식은 충전탑, 다공판탑, 포종탑(泡鍾塔), 분무탑과 같은 통상 실시하고 있는 접촉방식이면 어느 형식의 것이든 제한할 필요는 없다.
응축기의 탑정상으로부터 나오는 메타크롤레인을 함유하는 가스는 30℃ 이하, 바람직하기는 0∼15℃의 온도 범위에서 조작되는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탑지부에 도입되어, 그 탑의 정상부에서 공급되는 5중량% 이상, 바람직하기는 10중량% 이상의 메타크릴산을 함유하는 메타크릴산 수용액과 향류 접촉시키므로서 메타크롤레인이 흡수되고, 흡수탑 정상부로부터 메타크롤레인을 거의 완전히 분리한 가스체 또 탑지부에서는 메타크롤레인을 흡수란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얻는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의 조작온도가 30℃ 이상이면 메타크롤레인의 흡수 효율이 좋지 못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또 흡수탑에 사용되는 흡수액의 메타크릴산이 5중랑% 이하일 때는 용해도가 낮아 흡수효율이 좋지 못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의 형식은 충전탑, 다공판탑, 포종탑, 분무탑등 통상 사용하고 있는 형식의 흡수탑이면 족하므로 그 형식에 구애할 필요가 없다.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용매로서 쓰이는 메타크릴산 수용액량은 흡수탑 입구 가스체에 대하여 몰비로 8 이하 될 수 있으면 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흡수탑 저부에서 얻어진 메타크롤레인을 흡수한 메타크릴산 수용액은 30∼100℃, 될수있으면 50∼80℃의 온도범위에서 조작되고 그 다음에 메타크롤레인 방산탑의 탑정상부에 또 앞서의 응축기에서 얻어진 응축액은 메타크롤레인 방산탑 중단부 또는 탑정상부에 각각 도입되어, 방산탑 저부에서 질소, 공기, 탄산가스, 이소부틸렌 또는 메타크롤레인 산화반응 배기가스 또는 산화반응 배기가스의 연소배기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므로서 메타크롤레인 방산탑 공급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메타크롤레인을 그 방산탑의 탑정상부에서 가스상 혼합물로서 분리하고 그 방산탑 저부에서 메타크롤레인을 완전히 분리 제거한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얻게 된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의 조작온도가 30℃ 이하일 때는 메타크롤레인의 증기압이 낮아 방산효과가 좋지못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또 조작온도가 100℃ 이상일 때는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중합이심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방산탑의 형식은 충전탑, 다공판탑, 포종탑, 분무탑등 통상 쓰여지는 형식의 기액(氣液) 접촉장치이면 족하는 것으로 그 형식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방산탑 탑저부에 공급하는 불활성가스량은 방산탑에 공급하는 전액량에 대하여 몰비로 1 이하, 될수 있으면 0.3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및 메타크롤레인 방산탑에서의 조작온도는 탑의 형식에 맞추어서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탑에 재킷을 설치하거나 전열용 코일등을 삽입하므로서 냉매 또는 열매를 재킷 또는 코일에 순환시켜서 유지할 수가 있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탑정상부에는 메타크롤레인 흡수용매로서 공급되는 5중량% 이상의 메타크릴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은 본 방법과는 관계없이 다른 곳에서 얻은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사용하여도 좋고, 메타크롤레인 방산탑의 저부액의 일부를 냉각하여 순환 사용하여도 좋다.
또 방산탑의 탑정상부로 부터 얻어진 메타크롤레인을 함유한 불활성가스 혼합물을 메타크롤레인의 제조, 기타 용도에 사용하여도 좋고, 불활성가스와 함께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의 기상산화 반응기에 재순환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응혼합가스는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의 산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생성가스로서 메타크릴산, 초산, 메타크롤레인, 미반응 이소부틸렌, 수증기,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산소, 질소 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이며 또 본발명의 메타크롤레인과 메타크릴산을 분리함에 있어서 반응기출구 혼합가스의 응축조작을 2단계로 했을 때의 한 예다.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기상산화반응기(3)로부터 나온 반응혼합가스는 라인(4)을 경유하여 제1단 응축기(5)의 탑저부에 공급되고, 라인(6), 냉각기(8), 라인(9)을 통하여 재순환된 메타크릴산을 함유한 제1단응축액과 직접 향류접촉시키므로서 반응혼합가스 중의 수증기, 메타크릴산 등이 응축된다.
제1단 응축기(5)의 탑저부에서 나온 메타크릴산을 함유한 제1단 응축액은 라인(7), 열교환기(24), 가열기(25)를 통하여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중단부에 공급된다. 제1단 응축기(5)의 탑정상 가스는 라인(10)을 통하여 제1단 응축기(5)에서 저온의 범위로 조작되는 제2단 응축기(11)의 탑저부에 공급되고 라인(12), 냉각기(14), 라인(15)를 통하여 재순환되는 메타크릴산을 함유한 제2단 응축액과 직접 향류 접촉하므로서 제1단 응축기 탑상부 가스중에 잔존하는 메타크릴산, 수증기의 대부분을 응축 분리한다.
제2단 응축기(11)의 탑저부로 나온 메타크릴산을 함유한 제2단 응축액은 라인(13), 열교환기(23)를 경유하여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중단부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제1단 응축액을 회수하는 라인(7)과 제2단 응축액을 회수하는 라인(13)은 제2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따로따로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에 공급하여도 좋고, 또는 하나로 합류시킨 다음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에 공급하여도 좋다.
제1단 응축기(5) 및 제2단 응축기(1l)로 메타크릴산, 수증기의 대부분을 분리 제거한 제2단 응축기 탑정상부의 가스는 라인(16)을 통하여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탑저부에 공급된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탑정상부에는 라인(26)을 통하여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메타크롤레인 흡수탑내를 상승하는 메타크롤레인 함유 가스와 향류접촉시키므로서 가스중의 메타크롤레인을 흡수한다. 메타크롤레인을 분리한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의 정상부 가스는 라인(20)을 통하여 방출되고 폐기가스 처리설비등에 의하여 대기중에 배출된다.
메타그롤레인을 흡수한 메타크릴산 수용액은 라인(19)을 통하여 회수하고 열교환기(21), 가열기(22)를 통하여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정상부에 보내진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은 메타크롤레인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될수 있는한 저온으르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나, 30℃ 이하, 가능하면 0∼15℃의 온도 범위에서 조작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로 흡수탑에는 재킷탑 내에 냉각용 코일의 삽입 등에 의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온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라인(26)으로부터의 메타크릴산 수용액의 공급은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 저부 회수액의 일부를 순환시켜도 좋고 또는 별도에서 얻은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사용하여도 된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에서는 라인(32)으로부터 공기, 질소, 탄산가스, 이소부틸렌 등 또는 메타크롤레인 산화반응 배기가스, 또는 산화반응 배기가스의 연소배기가스 등의 불활성가스를 공급하여 라인(19), 라인(13), 라인(7)을 통하여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에 공급되는 액중에 함유되는 메타크롤레인인 증발시켜 탑정상부로부터 라인(27)을 통하여 메타크롤레인을 함유하는 가스상 혼합물을 빼낸다.
이 가스상 혼합물은 메타크롤레인의 제조 또는 다른 용도에 사용하여도 되고 가열기(28)를 통해서 이소부틸렌 등 및 또는 메타크롤레인 기상산화반응기(3)의 입구 원료가스라인(1)에 순환시켜셔 사용할 수도있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탑저부 회수액은 라인(29)을 통하여, 열교환기(24)(23)에서 냉각되고 라인(30)을 통하여 메타크롤레인이 완전히 분리된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회수하고 메타크릴산의 정제나 기타 공정에 보내진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탑저부 회수액 일부는 열교환기(21), 라인(26), 냉각기(18)를 통하여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메타크롤레인 흡수용매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에서는 메타크롤레인의 대부분과 약간의 물의 증발등에 의하여 조작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방산탑에 재킷, 가열코일등을 설하여 열매체를 순환시키므로서 필요에 따라 방산탑 조작온도를 필요한 온도범위로 유지하여야 한다.
열교환기 (21),(23)(24), 가열기 (22)(25), 냉각기 (18)의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메타크롤레인 방산탑의 재킷 또는 전열코일등의 계통의 결합은 흡수탑, 방산탑의 필요조작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가 있는 한도내에서 수행하면 족한 것으로, 반드시 제2도로 표시한 것과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 추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반응혼합가스의 응축을 제2도와 같이 높고, 낮은 2단계의 온도수준으로 실시할 것이 아니라 제1단계의 온도수준에서 실시할 때에는 제2도중 제2단 응축기(11), 라인(12)(13)(15)(16), 냉각기(14), 열교환기(28)를 생략하고 제1단 응축기(5)의 탑상부 가스라인(10)을 직접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에 도입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응축기의 조작온도의 선정은 응축기 부속의 냉각기(8)(14)의 냉매로서 통상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는 온도범위를 선정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낮은 온도범위로 조작하므로서 응축액중의 메타크릴산의 중합방지와 라인(16)(또는 라인(10))을 통하여 제2단(또는 제1단) 응축기 정상부 가스와 함께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에 등반되는 수증기량이 감소되고, 그만큼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 및 냉각기(18)의 냉각부하가 감소되어, 경제성인 면에서도 유리하나, 응축기 조작온도를 지나치게 낮게하므로서 사용하는 냉매와의 평균온도차가 작아 냉각기(8)(14)의 전열면적이 현저하게 크게 되는 불리한 점이 있다.
이렇기 때문에 1단 응축기만을 사용할 때에는 30℃ 이상 80℃ 이하가 좋고, 2단계의 응축기를 사용할때에는 제1단 응축기를 30℃ 이상,80℃ 이하, 제2단 응축기를 제1단 응축기 조작온도 범위이하이고 또한 10℃ 이상 50℃를 넘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단일응축기를 사용할 것인가 또는 2단 응축기를 사용할 것인가는 응축기 부속의 냉각기(8)(14)의 소요 전열면적,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냉각기(28)에서의 냉각부하등 총합적으르 감안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일괄하여 우열을 결정할 수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5)(11), 메타크롤레인 흡스탑(17),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조작압력은 메타크롤레인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기상산화반응기(3)의 조작압력과의 관련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라인(16) 또는 라인(27)에 승압용 압축기를 장치할 필요가 없는 범위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조작압력으로서는 0∼7atg(게이지압), 될수 있으면 0.5∼4atg의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게 되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타크롤레인 1.62용적%, 메타크릴산1.57용적%, 초산0.52용적%,수증기42.75 용적% 및산소, 일산화타소, 이산화탄소 등의 비응축성 가스 53.53 용적%를 함유하는 310℃의 반응혼합가스 4528 Nℓ/hr를 자제 라쉬히링(RASCHIG RING) 충전탑 형식의 제1단 응축기(5)에 공급한다. 제1단째의 응축액은 1698g/hr 생성하고, 그 액중의 메타크릴산 농도는 15.24중량%, 메타크롤레인은 0.18중량%, 초산은 3.37중량%이다.
또 제1단 응축기(5) 정상부에서 나온 가스중에는 메타크롤레인이 2.65용적%, 메타크릴산 0.13용적%,수증기 8.08용적%가 함유되어, 전량으로서는 2723 Nℓ/hr의 가스가 자제 라쉬히링 충전탑 형식의 제2단 응축기(11)에 공급된다.
제2단째의 응축액온도가 32∼35℃일 때 제2단 응축액은 94.66g/hr 생성되고 그 액중의 메타크릴산 농도는10.19중량%, 메타크롤레인은 0.74중량%, 초산은4,567중량%이었다. 또 제2단 응축기(11)정상부로부터 나온 가스중에는 메타크롤레인인 2.75용적%, 메타크릴산이 0.04용적%, 수증기 4.62용적% 함유되어 전량으르서 2619 Nℓ/hr의 가스를 스테인레스제 라쉬히링 충전탑 형식의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탑저부에 공급된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탑정상부에서는 메타크롤레인의 흡수용제로서 메타크릴산 15.1중량%, 초산3.46중량%, 메타크롤레인 0.20중량% 함유하는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하부액의 일부를 8∼10℃로 냉각하여 6,378g/hr의 유량으로 공급하였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탑저부로부터는 메타크롤레인 3.55중량%, 메타크릴산 14.46중량%, 초산 3.40중량%를 함유한 메타크롤레인 흡수액 6,689g/hr를 얻는다.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탑정상부에서는 메타크롤레인 60ppm을 함유한 가스 2,451Nℓ/hr를 얻었다.이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은 탑의 지름이 55mm, 충전 높이 6m로서 재킷을 설하여 조작온도를 5∼15℃로유지한다.
이와갈이 하여 얻은 제1단 응축액 및 제2단 응축액, 메타크롤레인 흡수액은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종단부, 탑정상부에 각각 공급된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탑저부에는 질소가스 692Nℓ/hr를 공급하고, 탑정상부로부터 메타크롤레인 8.48용적%, 수증기 10.0용적%를 포함한 메타크롤레인 방산가스 847Nℓ/hr를 얻어, 280℃에서 가열하여 산화반응기(3)의 입구부로 순환시킨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31)의 탑저부로부터 메타크릴산 15.1중량%, 초산 3.46중량%, 메타크롤레인 0.20중량%를 함유하는 회수액 8,183g/hr를 얻고, 1부 6,378g/hr를 메타크롤레인 흡수용매로서 순환 사용하고, 남어지 1,805g/hr를 제품으로 하여 회수하였다.
메타크롤레인 방산탑은 탑지름 55mm, 충전 높이 3m로 스테인레스제 라쉬히링 충전탑에 재킷을 설하여 60∼70℃로의 온도범위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2단 응축기(11)를 생략하고, 제1단 응축기(5)의 탑정상부 가스를 직접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하부로 공급하고,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의 충전길이를 6.5m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게 조작한 결과, 메타크롤레인 흡수탑(17) 탑정상부의 가스중에 메타크롤레인이 65ppm 함유되고,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의 탑저부로 부터 메타크롤레인 3.52중량%, 메타크릴산 14.41중량%, 초산3.34중량%를 함유한 메타크롤레인 흡수액 6.778g/hr를 얻었다.
기타 부분의 조성 및 류량은 실시예 1의 결과와 거의 동일한 결과였다.
Claims (1)
- 메타크롤레인 및 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생성하는 화합물과 분자상 산소를 산화촉매 존재하에 고온으로 기상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메타크릴산 단량체를 함유한 가스상 혼합물로부터 메타크롤레인과 메타크릴산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기로부터 나온 가스상 반응혼합물을 응축기에 도입하고, 그 응축기에서 미리 응축 축적시킨 응축액의 일부와 가스상 반응혼합물과를 100℃ 이하의 온도에서 직접 향류 접촉시키므로서 반응혼합물 중의 물, 메타크릴산을 응축시키고 메타크롤레인의 대부분과 비응축성 가스체와를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다음 이 가스를 30℃ 이하의 온도로 조작시켜 메타크롤레인 흡수탑의 저부로 공급하고 메타크릴산을 5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용액을 흡수탑의 정상부로 공급하여 가스중의 메타크롤레인을 흡수하고, 메타크롤레인 흡수탑 저부에서 얻어지는 메타크롤레인을 함유하는 메타크릴산 수용액은 30∼100℃의 온도로 조작되는 메타크롤레인 방산탑 정상부에 공급하고, 또 반응기출구 가스상 반응혼합물을 응축시켜서 얻어진 응축액은 방산탑 중단부 또는 정상부에 공급하고, 그 탑 저부로부터 질소, 공기등의 불활성가스를 공급시켜서 각 공급액중에 함유하는 매타크롤레인을 탑정상부로부터 분리하고, 탑저부에서는 메타크릴산 수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 분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002936A KR820002008B1 (ko) | 1978-09-26 | 1978-09-26 |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분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002936A KR820002008B1 (ko) | 1978-09-26 | 1978-09-26 |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분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2008B1 true KR820002008B1 (ko) | 1982-10-24 |
Family
ID=1920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002936A KR820002008B1 (ko) | 1978-09-26 | 1978-09-26 |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분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2008B1 (ko) |
-
1978
- 1978-09-26 KR KR780002936A patent/KR820002008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18709A (en) | Waste water treatment in the production of methacrylic acid | |
US4110370A (en) | Method of separating high-boiling or non-volatile materials | |
JP5393713B2 (ja) | (メタ)アクリル酸の製造法 | |
JPH09227445A (ja) | アクリル酸及びそのエステ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 |
JP4410935B2 (ja) | アクリル酸およびアクリル酸エステルを製造する方法 | |
JP3901351B2 (ja) | アクロレインを含む気体流れの精製のためのプラント | |
JPS6059891B2 (ja) | メタクロレインおよびメタクリル酸の分離方法 | |
EP0009545B1 (en) | Acrylic acid recovery with recycle quench | |
JPH0276835A (ja) | メタクロレインの回収方法 | |
EP0559227B1 (en) | Process for producing acrolein | |
JPH01149778A (ja) | 酸化エチレンプロセスの改良 | |
KR820002008B1 (ko) | 메타크롤레인 및 메타크릴산의 분리방법 | |
US4046822A (en) | Method for recovering ethylene values | |
US7531066B2 (en) |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acrolein | |
US4234519A (en) | Recovery of methacrolein | |
JPS6212776B2 (ko) | ||
JP4091766B2 (ja) | メタクロレインの製造方法 | |
JP3036677B2 (ja) | 炭酸ジメチルの蒸留分離方法 | |
JPS6312458B2 (ko) | ||
JP3721290B2 (ja) | ヒドロキシ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の製造方法 | |
JPH062700B2 (ja) | メタクロレインの分離法 | |
JP3543447B2 (ja) | 二量化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 |
JP3541542B2 (ja) | 二量化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 |
KR20010050806A (ko) |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제조방법 | |
JPH01226845A (ja) | メタクロレインの吸収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