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810000526B1 -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 Google Patents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26B1
KR810000526B1 KR760001915A KR760001915A KR810000526B1 KR 810000526 B1 KR810000526 B1 KR 810000526B1 KR 760001915 A KR760001915 A KR 760001915A KR 760001915 A KR760001915 A KR 760001915A KR 810000526 B1 KR810000526 B1 KR 81000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oadway
block
sides
separation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6000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기아끼 구사다께
Original Assignee
스기아끼 구사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아끼 구사다께 filed Critical 스기아끼 구사다께
Priority to KR76000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2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단부블록의 평면도.
제3도는 동 정면도.
제4도는 동 좌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B-B 단면도.
제6도는 중간블록의 정면도.
제7도는 동 좌측면도.
제8도는 각 블록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A-A 단면도.
제10a, b, c도는 벽체의 돌출부 또는 상정부에 고무재제의 완충부재를 고착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11a, b, c도는 강철제의 완충부재를 고착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차도에 설치하는 안전분리 벽체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차도에 면하는 쪽을 하부로부터 중앙부까지를 아래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약간 완만한 경사면으로, 중앙부로부터 상부까지를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면으로, 또한 상정부 양단에 완충부재를 장착하고 또는 차도에 면하는 쪽에 팽출시켜서 돌출부로 형성하거나 혹은 이 돌출부에 완충부재를 장착하고 또한 다른 블록과 접하는 벽체의 양측을 수직면으로 형성한 접속벽으로 이루어진 중간블록과, 중간블록에 형성된 한쪽의 접속벽에 둥그스름하게 한 단부블록으로 되어 있으며, 소요 수량의 중간블록을 연설해서 접속함과 동시에 양단에 단부블록을 각각 접속해서 차도에 일련의 안전분리 벽체를 구축하고, 이 일련의 안전분리벽체를 다수개 일정 간격마다에 차도에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분리벽 블록은 단지 표지로서의 기능을 갖는데 지나지 않거나, 혹은 차도를 구획하는 격벽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데 지나지 않으며, 블록 자체에 특유한 능동적 요소를 갖지 않는 것임과 동시에, 설치용 보울트의 부착위치 등에 대해서도 특별한 배려가 없으며, 지반에 부설한 앵커보울트에 고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격돌에 의한 파손때마다 벽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띠로는 앵커보울트도 파괴되고, 이들의 교환 혹은 보수에 시일과 노력이 필요하고, 또 설치한 벽체에 안정성이 결여되어 매우 불경제적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한 것으로서 그 실시예는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의 차도에 면하는 쪽을 하부로부터 중앙부까지를 아래쪽으로 점차 넓어지게 약간 완만한 경사면(1),(1)으로, 중앙부로부터 상부까지를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면(13)으로 연설해서 상정부에 이르고, 이 상정부를 다시 차도에 면하는 쪽으로 팽출시켜 돌출부(2),(2)를 형성하고, 다른 블록과 접하는 양쪽을 수직면으로 형성해서 벽체를 상호 접속하는 접속벽(3)으로 해서 중간블록(10)을 형성한다. 중간블록(10)에 형성된 접속벽(3)의 한쪽을 하부로부터 중앙부까지를 경사면(1)에 중앙부로부터 상부까지를 급경사면에 연설해서 상정부에 이르고, 상정부를 차도에 면하는 측에 팽출시켜 돌출부(2)로 하고 단부블록(9)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중간블록(10)에 형성된 접속벽의 한쪽을 둥글게 하고, 다른쪽만을 접속벽(3)으로 해서 단부블록(9)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와같이 형성된 소요 수량의 중간블록(10)......을 차도에 연설하고, 그 양단에 단부블록(9),(9)을 접속해서 안전분리 벽체(12)를 설치하고, 이 일련의 안전분리 벽체(12)를 다수개 소정 간격마다 설치해서 차도를 2차선 내지 수차선으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지반에 식설(植設)된 앵커보울트(6).....를 삽입하는 것과 같이 중간블록(10) 및 단부블록(9)의 접속벽(3)......을 합착시켜, 즉 접속벽(3)에 형성한 세로홈(4)......이 대향해서 형성되는 오목한 구멍(5)......에 앵커보울트(6)......를 삽통하는 것 같이 접속하고, 이 오목한 구멍(5)......에 몰탈(7)......을 충전하여, 주입구를 평탄면(8)으로 마무리해서 견고한 안전분리 벽체(12)를 구축한다.
또 경사면(1)의 적소에 끝이 굵은 테이퍼 경사벽으로 한 보울트 매설 구멍(11)을 앵커보울트(6)에 삽통시켜서 개구에서 몰탈을 충전하여 중간블록(10) 또는 단부블록(9)을 부동상태로 지반에 고착 설치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돌출부(2)에 탄성을 가진 고무재제의 완충부재(14)를 피착하여(제10a도) 또 벽면의 상정부를 직벽(直壁)으로 형성해서 이 상정부에 단면이 각형 또는 원형의 완충부재를 고착하고 (제10b, c도) 또 돌출부(2)에 탄발성을 가진 강철제의 완충부재(15)를 고착하고(제11d도) 혹은 직벽으로 형성한 벽면의 상정부에 완충부재(15)를 고착한다.(제11e, f도).
경우에 따라서 돌출부(2)나 상정부를 보호하고, 또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해서 차체 및 인명의 보호를 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해서 되어 있으므로, 안전분리 벽체(12)는 수개의 견고한 블록으로된 결합체로 되어서 커다란 질량을 보유하여, 자동차의 격돌을 튀기는 반동력을 갖추고, 벽체에 돌입된 자동차의 앞바퀴가 경사면(1)에 얹혔을 때 경사면에 의해서 진행방향으로 되돌려 차체의 격돌을 피해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주행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또 벽면의 상정부에 형성된 돌출부(2)는 만일 차체가 바운드하였을 때 뛰어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2) 또는 상정부에 완충부재(14) 또는 완충부재(15)를 장착하였을 경우는 충격을 완화하고 또한 이 부분의 파손을 방지한다.
설치된 안전분리 벽체(12)는 커다란 질량을 보유함과 동시에 하부에 중심이 있어서 안정되고, 따라서 도괴할 우려가 없으며, 교환이나 보수의 필요도 없어서, 안전분리 벽체(12)의 외관은 전면이 둥그스름한 원활면이기 때문에 미려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구조는 견고하고 내구성을 가지며, 주행차를 안정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도로환경을 미화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벽체의 차도에 면하는 양측을 하부로부터 중앙부까지를 아래쪽으로 점차 넓어지게 약간 완만한 경사면으로, 중앙부로부터 상부까지를 급경사면으로 연설해서 상정부에 이르고 이 상정부에 완충부재를 양쪽에 장착하고, 또는 차도에 면하는 측에 팽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이 돌출부에 완충부재를 장착하여, 다른 블록과 접하는 벽체의 접속벽을 수직면으로 형성한 중간블록과 이 중간블록의 접속벽의 한쪽에 둥글게 한 단부블록에 벽체 양측의 경사면에 끝이 굵은 테이퍼 경사벽으로 한 보울트 매설구멍을 천설해서 된 차도에 설치한 안전분리 벽체.
KR760001915A 1976-08-07 1976-08-07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Expired KR81000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915A KR810000526B1 (ko) 1976-08-07 1976-08-07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915A KR810000526B1 (ko) 1976-08-07 1976-08-07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490U Division KR820002670Y1 (ko) 1982-03-31 1982-03-31 식수를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용 방호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26B1 true KR810000526B1 (ko) 1981-05-25

Family

ID=1920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1915A Expired KR810000526B1 (ko) 1976-08-07 1976-08-07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2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3154C (en) Safety crash barrier
EP1012401A4 (en) BARRIER ELEMENT
JPS6338483B2 (ko)
US4606498A (en) Rail seal
US7722282B2 (en) Crash barriers for roads
WO2000008258A1 (en) Traffic divider for calibrating the deceleration of vehicles upon impact
KR101344082B1 (ko) 지주 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EP0297182B1 (en) Energy absorbing barrier
KR810000526B1 (ko)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US2646969A (en) Highway guard
CN111088806A (zh) 一种环保的防公路边坡滑坡装置
JP2933890B2 (ja) 道路の防護さく用緩衝器
KR102270229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체
KR200336654Y1 (ko)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JP3493619B2 (ja) 緩衝式防護柵及びそれのための躯体
CA1167306A (en) Protective barrier with at least one side bar
JP3306587B2 (ja) 緩衝式防護柵
KR200160340Y1 (ko) 반대차선 침입 방지용 중앙 분리대
JPH0519363Y2 (ko)
KR101258617B1 (ko) 도로분리대용 충격흡수 장치
KR100944623B1 (ko) 도로 분리대
KR200262211Y1 (ko) 완충형 중앙분리대
JPH0632963Y2 (ja) 車道の中央分離帯装置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60807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10422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108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1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1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4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11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