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3935A -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3935A KR20240163935A KR1020230061158A KR20230061158A KR20240163935A KR 20240163935 A KR20240163935 A KR 20240163935A KR 1020230061158 A KR1020230061158 A KR 1020230061158A KR 20230061158 A KR20230061158 A KR 20230061158A KR 20240163935 A KR20240163935 A KR 202401639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frame
- transfer
- main frame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중을 지지하도록 메인 프레임(11)과 발판(1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방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로드셀이 구비된 앞바퀴(30, 31)와 후방 발판 하단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로드셀이 구비된 뒷바퀴(40, 41);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만곡진(curved) 구조의 이승 회전 프레임(25);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에 연결된 가변 고정대(72)와 가슴 지지대(73);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승 회전 프레임 사이에서 후방으로 피이승자의 무릅 고정대(52)를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51);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의 꺽인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실린더(21); 및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 상단부와 가변 고정대를 연결하는 제2 실린더(22);를 포함하며,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은, 피이승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상기 제1 실린더와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제2 실린더에 의해서 피이승자를 주어진 각도 범위내에서 들어 올리거나 내릴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스로 기립이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에 대하여 간호사 또는 보호자를 대신하여 침대, 휠체어, 좌변기, 샤워체어, 소파 등으로 상호 이승할 때에 쉽고 안전하게 이승시킬 수가 있으면서도, 키높이에 맞춤형이고,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인구가 339만 명으로 집계되며 이는 전체 인구의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도달하였다. 1인 노인가구 증가, 치매환자의 증가, 요양병원시설 및 입원자의 큰 증가로 인해 사회적 돌봄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록 각종 병원은 물론 요양시설에는 고령의 환자, 장애인, 수술환자 등의 이동을 조력하기 위한 돌봄 장치나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장치는 비용이나 기능면에서 불편함이 있고 간병인이나 간호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고령노인, 장기간 누워있을 수밖에 없는 환자 등의 배설, 목욕, 이동 등을 도와주는 일은 노약자 등의 몸을 세워야 하고 부축해야 하므로 육체적으로 매우 힘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소 2명 이상의 간병 인력이 필요하다. 또 수술환자는 약물 주사액 등을 투여하고 있는 상태로 검사를 위한 촬영이나 병실 이동을 하게 되므로 더욱 복잡한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스로 기립이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에 대하여 간호사 또는 보호자를 대신하여 쉽고 안전하게 이승시킬 수가 있는 이승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 장치는 액츄에이터 또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피이승자의 신체 일부를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이승장치들이 있지만, 특허문헌 1은 피이승자를 벨트 등으로 매달아 올려서 이승시키는 구조를 가진 이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이승자를 매달아 올릴 때나, 이승대상물에 내릴 때에 수고가 들뿐만 아니라 올리는 동작으로부터 오는 불안정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도움 로봇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승강부 및 암을 각각 동작시키므로, 피시중자의 이승 동작은 원활하게 되어, 사용 쾌적성이 향상되지만, 2개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된다.
또한 특허문헌 3, 4는 1개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이외에 추가적인 링크 기구와 댐퍼 기구 구성 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부재를 동작시키는 시중 장치에 관한 것이나, 어깨걸이용과 기립용의 엑츄에이터가 각각 설치된 기존의 장치와 비교해서 신체가 다소 밀착되지 않아 안정적인 자세가 느껴지지 않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피이승자의 신장 크기와는 상관없이 정해진 높이의 기립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다.
이외에도 대부분의 이승 장치들은 단순히 이승을 보조하는 기능만을 탑재하고 있을 뿐, 피이승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까지 구비된 장치는 개발된 적이 없다.
따라서 종래의 주기능인 피이승자의 이승을 보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피이승자의 키 높이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하고, 나아가서는 암 또는 댐퍼 기구 등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을 결합하지 않더라도 쉽고 안전하게 이승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스로 기립이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에 대하여 간호사 또는 보호자를 대신하여 침대, 휠체어, 좌변기, 샤워체어, 소파 등으로 상호 이승할 때에, 쉽고 안전하게 이승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이승자가 체중 측정을 위해서 별도의 휠체어 체중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체중을 측정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이승자의 신장 높이에 상관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승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메인 프레임(11)과 발판(1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방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로드셀이 구비된 앞바퀴(30, 31)와 후방 발판 하단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로드셀이 구비된 뒷바퀴(40, 41);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만곡진(curved) 구조의 이승 회전 프레임(25);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에 연결된 가변 고정대(72)와 가슴 지지대(73);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승 회전 프레임 사이에서 후방으로 피이승자의 무릅 고정대(52)를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51);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의 꺽인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실린더(21); 및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 상단부와 가변 고정대를 연결하는 제2 실린더(22);를 포함하며,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은, 피이승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상기 제1 실린더와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제2 실린더에 의해서 피이승자를 주어진 각도 범위내에서 들어 올리거나 내릴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앞바퀴에는 휠(308)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볼 베이링(305, 307)을 삽입하고, 휠이 빠지지 않도록 프로파일 샤프트(306)로 상하 작동 최하점 기준으로 고정시키고,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시에 로드셀(302)에 인가되는 힘에 간섭이 발생하기 않도록 하기 위해 관통구조의 휠컵(304)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앞바퀴는 뒷바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캐스터를 사용하고 좌우 한쌍의 앞바퀴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차단장치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뒷바퀴에는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시에 로드셀(403)에 인가되는 힘에 간섭이 발생하기 않도록 하기 위해 외팔보(cantilever) 구조의 휠플레이트(404)가 삽입되고, 상기 휠플레이트가 바닥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4개 플레이트 가이드(40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고정대(72)에는 암(77)이 돌출된 가슴 지지대(73)가 암홀더(7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슴 지지대 후면에는 사각형태의 핸들(71)이 부착되고, 가슴 지지대 전면에는 가슴 접촉부재(76)가 부착되며, 가슴 지지재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겨드랑이 지지대(7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고정대(72)에 일정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 삽입홀(75)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가슴 지지대의 돌출암(77)에 맞춰 끼워놓은 후 완벽한 결합을 위해서 고정을 위한 암홀더(74)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이승 보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고령의 환자, 장애인, 수술환자 등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서 간단한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 이송 보조장치를 이용하게 되므로, 쉽게 안전하게 이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이승자가 훨체어를 사용하는 환자인 경우, 각자 개인이 보유한 휠체어의 크기와 종류가 모두 상이하므로 체중 측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장치 자체에 체중 측정 센서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빠르게 언제든지 체중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높이 조절 기구를 부착하여 키 높이 기능을 설치하였으므로 사람별 신장 제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로 이승 동작하는 경우 (1) 기립 전과 (2) 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에 부착된 한쌍의 앞바퀴와 한쌍의 뒷바퀴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앞바퀴를 분해한 입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뒷바퀴를 분해한 입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에 결합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C 부분에서 가변 고정대를 가슴 지지대에 결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로 이승 동작하는 경우 (1) 기립 전과 (2) 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에 부착된 한쌍의 앞바퀴와 한쌍의 뒷바퀴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앞바퀴를 분해한 입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뒷바퀴를 분해한 입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에 결합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C 부분에서 가변 고정대를 가슴 지지대에 결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승 보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중에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승 보조장치의 입체도와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승 보조장치는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승이나, 훨체어에서 좌변기 또는 샤워체어로의 이승 등, 다른 위치 사이로의 이승을 보조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스로 기립이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이 앉아있는 자세로부터 이승하고자 하는 동작, 이승시에는 상반신이 기립된 상태 또는 앞으로 구부린 상태의 동작, 이승 후에는 다시 앉아있는 자세로 착석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수행함으로 해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승 보조장치는 지지부(10), 로드셀이 구비된 앞바퀴(30, 31)와 뒷바퀴(40, 41), 이승 회전 프레임(25), 가변 고정대(72), 가슴 지지대(73), 보조 프레임(51), 제1 실린더(21) 및 제2 실린더(2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라는 용어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actuator)를 의미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과 도 2에 있어, 피이승자의 체중을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전면부에 LCD 모니터를 부착하여 언제든지 제품 사용시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통신모듈을 내장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기기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환자인 경우는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지지부(10)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과 발판(12)으로 구성된다.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은 발판의 앞쪽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그 전방에 좌우 한쌍의 앞바퀴(30, 31)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간 부분에는 제1 실린더가 결합되어 있고, 발판 아래에는 좌우 한쌍의 뒷바퀴(40, 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바퀴와 뒷바퀴에는 체중 측정을 위한 로드셀(302, 403)이 구비된다. 특히 스스로 기립이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거나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 체중값은 중요한 지표 중에 하나이고, 이 장치를 이용한다면 이승하는 편리함을 추구하면서도 동시에 쉽게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만곡진(curved) 구조의 이승 회전 프레임(25)에 가변 고정대(72)와 가슴 지지대(73)가 연결 부착된다.
그리고 보조 프레임(51)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승 회전 프레임 사이에서 후방으로 피이승자의 무릅 고정대(5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무릅 고정대는 쿠션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피이승자의 무릅이 접촉하게 된다.
제1 실린더(21)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의 만곡진 구조 부분을 연결하고, 유압이나 공기압을 이용한 압력 구동원을 이용하여, 수축된 위치에서 신장된 위치까지 동작하거나 반대로 신장된 위치에서 수축된 위치로 동작함으로 인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 상단부와 가변 고정대를 연결하는 제2 실린더(22)도 마찬가지이고 이는 제1 실린더와는 다르게 상하방향으로 수축하거나 신장한다.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를 조작하는 제어부(미도시)에는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 등이 있어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승 회전 프레임에는 피이승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상기 제1 실린더와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제2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어서, 피이승자를 주어진 각도 범위내에서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로 이승 동작할 때 (1) 기립하기 전과 (2) 기립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피이승자를 기립하기 위해서, 제1 실린더는 상체를 들어올리기 위해 일정 각도 위치로 신장하고 제2 실린더는 상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일정 각도 위치로 수축하는 동작을 거친다.
또한 앞바퀴는 뒷바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캐스터를 사용하고 좌우 한쌍의 앞바퀴에는 2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차단장치(32)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예로 앞바퀴는 5인치 이상의 캐스터를 사용한다면 뒷바퀴는 4인치 이하의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차단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대부분 사람의 손이나 발로 바퀴 부위의 고정장치를 눌러 작동시키는 수동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정면의 앞바퀴 2개에 각각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2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프레임을 장착하는 것이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1개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편마모의 단점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중 측정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앞바퀴는 휠커버(301), 로드셀(302), 휠브라켓(303), 휠컵(304), 볼베어링(305), 프로파일 샤프트(306), 볼베어링(307), 휠(308)로 구성된다.
이때 앞바퀴에는 휠(308)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볼베어링(305, 307)을 삽입하고 있고, 상기 휠이 빠지지 않도록 프로파일 샤프트(306)로 상하 작동 최하점 기준으로 고정시키고,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시에 로드셀(302)에 인가되는 힘에 간섭이 발생하기 않도록 하기 위해 관통구조의 휠컵(304)을 구비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도 5의 왼쪽 그림은 내부를 투명하게 표현한 도면으로, 여기에 그려진 화살표는 로드셀에 다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관통하는 구조로 설계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보조장치의 뒷바퀴를 분해한 입체 사시도로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뒷바퀴는 이동성이 강조될수 밖에 없는 앞바퀴와는 전혀 다르게 구조를 설계될 필요가 있다. 물론 체중 측정을 위한 센서로 로드셀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지만, 발판위에 피이승자가 탑승하기 때문에 하중을 지탱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뒷바퀴에는 외팔보(cantilever) 구조의 휠플레이트(404)가 삽입되고, 상기 휠플레이트가 바닥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플레이트 가이드(401) 4개를 설치하여 외부충격에 대비하였다.
이러한 외팔보 구조는 한쪽 끝은 고정되고 다른쪽 끝은 자유로운 들보 형상인데, 이는 고정단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와 전단력을 통해서만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시 로드셀(403)에 인가되는 힘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특별한 구성의 로드셀이 구비된 앞바퀴와 뒷바퀴를 포함한 이승 보조장치를 이용하면, 쉽고 편하게 피이승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이승자의 신장 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한 가변 고정대(72)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이승 회전 프레임에 연결된 가변 고정대를 중심으로 연결되거나 부착된 다른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는 도 2의 C를 확대한 도면으로, 핸들(71), 가변 고정대(72), 가슴 지지대(73), 및 겨드랑이 지지대(7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가변 고정대(72)에는 암(77)이 돌출된 가슴 지지대(73)가 암홀더(7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슴 지지대 후면에는 사각형태의 핸들(71)이 부착되고, 가슴 지지대 전면에는 가슴 접촉부재(76)가 부착되며, 가슴 지지재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겨드랑이 지지대(78)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변 고정대는 일정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 삽입홀(75)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가슴 지지대의 돌출암(77)에 맞춰 끼워놓은 후 완벽한 결합을 위해서 고정을 위한 암홀더(74)를 장착하게 된다.
피이승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이승시 상체가 접촉하는 가슴 지지대의 높이를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이를 사용하면 된다. 높이 조절 과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가변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된 3개 중 위쪽 2개 연결핀(23)은 제2 실린더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아래쪽 1개 연결핀(24)은 이승 회전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슴 지지대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의 핸들이 부착된다. 이는 피시승자가 안전을 위해 파지하는 부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보호자와 같은 시중자가 파지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가슴 지지대는 금속이나 고분자 재질의 강성이 큰 판재를 이용하여 직사각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슴 접촉부재는 유연성과 쿠션이 있는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가슴 지지대의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물성을 가진 재질로 2층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겨드랑이 지지대(78)는, 가슴 지지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어?틸? 겨드랑이가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일자 모양 또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지지부, 11 : 메인 프레임, 12 : 발판
21 : 제1 실린더, 22 : 제2 실린더, 23, 24 : 연결핀, 25 : 이승 회전 프레임
30, 31 : 앞바퀴, 32 : 차단장치
40, 41 : 뒷바퀴
51 : 보조 프레임, 52 : 무릅 고정대
71 : 핸들, 72 : 가변 고정대, 73 : 가슴 지지대, 74 : 암홀더
75 : 삽입홀, 76 : 가슴 접촉부재, 77 : 돌출암, 78 : 겨드랑이 지지대
301 : 휠커버, 302 : 로드셀, 303 : 휠브라켓, 304 휠컵, 305 : 볼베어링
306 : 프로파일 샤프트, 307 : 볼 베어링, 308 : 휠
401 : 플레이트 가이드, 403 : 로드셀, 404 : 휠 플레이트
405 : 휠고정대, 406 : 휠
21 : 제1 실린더, 22 : 제2 실린더, 23, 24 : 연결핀, 25 : 이승 회전 프레임
30, 31 : 앞바퀴, 32 : 차단장치
40, 41 : 뒷바퀴
51 : 보조 프레임, 52 : 무릅 고정대
71 : 핸들, 72 : 가변 고정대, 73 : 가슴 지지대, 74 : 암홀더
75 : 삽입홀, 76 : 가슴 접촉부재, 77 : 돌출암, 78 : 겨드랑이 지지대
301 : 휠커버, 302 : 로드셀, 303 : 휠브라켓, 304 휠컵, 305 : 볼베어링
306 : 프로파일 샤프트, 307 : 볼 베어링, 308 : 휠
401 : 플레이트 가이드, 403 : 로드셀, 404 : 휠 플레이트
405 : 휠고정대, 406 : 휠
Claims (6)
-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로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메인 프레임(11)과 발판(1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방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로드셀이 구비된 앞바퀴(30, 31)와 후방 발판 하단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로드셀이 구비된 뒷바퀴(40, 41);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만곡진(curved) 구조의 이승 회전 프레임(25);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에 연결된 가변 고정대(72)와 가슴 지지대(73);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승 회전 프레임 사이에서 후방으로 피이승자의 무릅 고정대(52)를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51);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의 꺽인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실린더(21); 및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 상단부와 가변 고정대를 연결하는 제2 실린더(22);를 포함하며,
상기 이승 회전 프레임은, 피이승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상기 제1 실린더와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제2 실린더에 의해서 피이승자를 주어진 각도 범위내에서 들어 올리거나 내릴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 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에는 휠(308)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볼 베이링(305, 307)을 삽입하고, 휠이 빠지지 않도록 프로파일 샤프트(306)로 상하 작동 최하점 기준으로 고정시키고,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시에 로드셀(302)에 인가되는 힘에 간섭이 발생하기 않도록 하기 위해 관통구조의 휠컵(304)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 보조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는 뒷바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캐스터를 사용하고 좌우 한쌍의 앞바퀴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차단장치(3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 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에는 피이승자의 체중 측정시에 로드셀(403)에 인가되는 힘에 간섭이 발생하기 않도록 하기 위해 외팔보(cantilever) 구조의 휠플레이트(404)가 삽입되고, 상기 휠플레이트가 바닥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4개 플레이트 가이드(40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 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고정대(72)에는 암(77)이 돌출된 가슴 지지대(73)가 암홀더(7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슴 지지대 후면에는 사각형태의 핸들(71)이 부착되고, 가슴 지지대 전면에는 가슴 접촉부재(76)가 부착되며, 가슴 지지재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겨드랑이 지지대(7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 보조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변 고정대(72)에 일정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 삽입홀(75)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가슴 지지대의 돌출암(77)에 맞춰 끼워놓은 후 완벽한 결합을 위해서 고정을 위한 암홀더(74)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승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3935A true KR20240163935A (ko) | 2024-11-19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93932B (zh) | 看護機器人 | |
KR20140050884A (ko) |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 |
CN109966078A (zh) | 一种带坐便的半自动床椅 | |
US20220047440A1 (en) | Device for supporting the ability of a person with restricted mobility to move | |
JP6722868B2 (ja) | ベッド | |
CN209899961U (zh) | 一种老人体检装置 | |
KR20170101333A (ko) |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 |
CA2170959A1 (en) | Invalid chair with pivotal foot rest | |
KR20240163935A (ko) | 체중 측정이 가능한 이승 보조장치 | |
US11730642B2 (en) | Assisted lifting devices for roll-in cots | |
KR101205094B1 (ko) | 하반신 부자유자 이송용 의료보조기 | |
JP2001129032A (ja) | 介護補助装置 | |
TWM582384U (zh) | Nursing robot | |
JP4960842B2 (ja) | 介護用の移乗介助装置 | |
JP3006428U (ja) | 介護用ベッド | |
CN219629967U (zh) | 一种无磁轮椅转运床 | |
KR20200009447A (ko) | 환자 이동 보조장치 | |
US10813810B2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sting persons from a lying position to a sitting position and a sitting position to a lying position | |
WO2022079745A1 (en) | Static-dynamic stabiliser | |
CN210056565U (zh) | 一种下肢失能人员护理辅助装置 | |
IT202000005695U1 (it) | Stabilizzatore statico-dinamico | |
JP2006181105A (ja) | 横移動手段を有する車椅子 | |
PL65448Y1 (pl) | Łóżko rehabilitacyjne | |
JP2005000578A (ja) | スライド式介護ベッ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