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15503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5038A
KR20240155038A KR1020230100099A KR20230100099A KR20240155038A KR 20240155038 A KR20240155038 A KR 20240155038A KR 1020230100099 A KR1020230100099 A KR 1020230100099A KR 20230100099 A KR20230100099 A KR 20230100099A KR 20240155038 A KR20240155038 A KR 2024015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display device
curv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11146B1 (ko
Inventor
이정욱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24102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24102423A1/de
Priority to US18/639,680 priority patent/US20240355257A1/en
Publication of KR2024015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5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1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111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 및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고, 각 게인의 조절에 따라 생성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용 정보기기, 사무기기, 컴퓨터 등의 표시기기에 응용됨은 물론, 텔레비젼에도 응용되어 음극선관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배터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배터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이 재생될 시,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되는 경우, 영상이 어두워져서 사용자의 영상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또한, 밝은 야외 환경에서도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 감소로, 시감적 밝기 또한 떨어져, 영상이 어두워지는 문제 발생한다.
본 개시는 배터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영상 신호의 보상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영상이 어두워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배터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측정된 조도에 따라 영상 신호를 보상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 및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고, 각 게인의 조절에 따라 생성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 및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및 각 게인의 조절에 따라 생성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되어도 영상 신호의 보상을 통해 화면이 어두워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밝은 환경인 야외에서 영상의 시청 시, 더 밝은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가 처리되어 사용자의 영상 시청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원공급부 및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액정표시패널과 광원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일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액정표시패널과 광원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일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게인이 조절된 DTM 커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게인이 조절된 DC 커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가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DTM 커브의 게인 및 DC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액정표시패널(LCD 패널)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다.
한편,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3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전원 공급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패널(LCD 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액정 표시 패널(210), 구동 회로부(230), 백라이트 유닛(250) 및 백라이트 디밍 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는 제1 기판과,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230)는, 도 1의 제어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통해 액정 표시 패널(21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드라이버(234),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R,G,B 데이터 신호, 수직동기 신호(Vsync) 등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34)와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제어하고, R,G,B 데이터 신호를 재배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제공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34)와 데이터 드라이버(236),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210)에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250)은, 액정 표시 패널(210)에 빛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250)은, 광원인 다수개의 광원(252)와, 광원(252)의 스캐닝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구동부(254)와, 광원(252)를 온(On)/오프(Off)하는 광원 구동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210)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광 투과율이 조절된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25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액정 표시 패널(210)에 공통전극 전압(Vcom)을 공급하며,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감마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50)에 광원(2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250)은 복수개의 블록들로 분할되어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개의 블록들 각각의 디밍값을 설정하여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입력 영상 데이터(RGB)를 백라이트 디밍 제어부(510)로 출력하고, 백라이트 디밍 제어부(51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 수신한 입력 영상 데이터(RGB)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블록들 각각의 디밍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액정표시패널과 광원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일 예시 도면이고, 도 6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액정표시패널과 광원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일 예시 도면이다.
액정표시패널(2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상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액정표시패널(210)이 16 개의 블록들(BL1~BL16)로 균등하게 분할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복수의 블록들 각각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50)은 에지형(edge type)과 직하형 (direct type)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250)은 액정표시패널(2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 시트들과 도광판이 적층되고, 도광판의 측면에 다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250)이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되는 경우, 광원들은 액정표시패널(210)의 상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과 좌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다. 도 5에서는 제1 광원 어레이(LA1)가 액정표시패널(21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제2 광원 어레이(LA2)가 액정표시패널(210)의 좌측면에 배치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제1 및 제2 광원 어레이들(LA1, LA2) 각각은 다수의 광원(252)과 광원(252)이 실장되는 광원 회로 보드(25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액정표시패널(210)의 제1 블록(BL1)에 입사되는 광의 밝기는 액정표시패널(210)의 제1 블록(BL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광원 어레이(LA1)의 광원들(252A)과 제2 광원 어레이(LA2)의 광원들(252B)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250)은 액정표시패널(2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 시트들과 확산판이 적층되고 확산판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250)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액정표시패널(210)의 블록들(BL1~BL16)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분할된다. 이 경우, 액정표시패널(210)의 제1 블록(BL1)에 입사되는 광의 밝기는 액정표시패널(210)의 제1 블록(BL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250)의 제1 블록(B1)에 포함된 광원(252)들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광원(252)들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점광원들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252)들은 광원 구동부(256)로부터의 광원구동신호들(LDS)을 입력받아 점등 및 소등된다. 광원(252)들은 광원구동신호들(LDS)의 진폭에 따라 빛의 세기가 조정될 수 있으며, 펄스 폭에 따라 점등 기간이 조정될 수 있다. 광원(252)들은 광원구동신호(LDS)에 따라 출력하는 빛의 밝기가 조정될 수 있다.
광원 구동부(256)는 백라이트 디밍 제어부(510)로부터 입력되는 블록들 각각의 디밍값에 기초하여 광원구동신호들(LDS)을 생성하여 광원(252)에 출력할 수 있다. 블록들의 디밍값은 로컬 디밍을 구현하기 위한 값으로, 광원(252)들이 출력하는 빛의 밝기일 수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의 사용 시, 영상이 어두워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터리는 도 2의 전원 공급부(190)에 포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배터리는 전원 공급부(190)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전 영상(700)을 재생하고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C 전원을 공급받고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C 전원의 연결이 해제되고,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터리의 사용 시,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킨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터리의 사용 시, 입력 영상 신호 대비 출력 영상 신호의 밝기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프(710)가 제2 그래프(730)가 되도록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백라이트 디밍 제어부(510)에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디밍 신호를 전송한다.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됨에 따라 영상(700)의 밝기는 어두워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두운 영상을 시청하므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저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배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에 포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배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전원 공급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배터리의 사용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8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배터리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AC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배터리의 사용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AC 전원으로부터 공급받는 전원과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S803).
제어부(170)는 배터리의 사용이 감지된 경우, 배터리의 잔량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배터리로부터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배터리의 잔량에 상응하는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배터리의 잔량와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 간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에 매칭되는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를 독출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이 클수록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는 커질 수 있고, 배터리의 잔량이 작을수록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는 작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광 출력 그래프(910)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광 출력 그래프(910)는 배터리의 잔량이 클수록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도 커짐을 나타내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효과 비율 그래프(930)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의 변경량을 얼마나 크게 적용할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광 출력 세기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Dynamic Tone Mapping, DTM) 커브의 게인 및 동적 콘트라스트(Dynamic Contrast, DC) 커브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S805).
제어부(170)는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한 경우, DTM 커브의 게인 및 DC 커브의 게인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한 경우, DTM 커브의 게인을 조절한 후, DC 커브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무선 통신부(17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적 톤 매핑 커브는 RGB 도메인에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출력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커브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 신호의 값 대비 출력 영상 신호의 값의 비율이 1을 초과하고,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값을 갖도록 입력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값은 지나치게 밝은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 신호의 입력 값과 출력 영상 신호의 출력 값의 비가 1인 1:1 비를 나타내는 직선(1000)에 비해 더 큰 값을 갖도록 DTM 커브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 신호의 색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DTM 커브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고 계조 영역의 신호 구분력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 계조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커브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하도록 DTM 커브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게인이 조절된 DTM 커브를 통해 동적 톤 매핑을 수행한 후, 게인이 조절된 DC 커브를 통해 동적 콘트라스트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게인이 조절된 DTM 커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입력 값과 출력 값의 비가 1:1인 직선(1000)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 신호의 입력 값과 출력 영상 신호의 출력 값의 비가 1인 포인트의 APL(Average Picture Level) 값이 1:1 비를 나타내는 직선(1000)에 비해 더 큰 값을 갖도록 DTM 커브(1010)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의 변화량에 따른 DTM 커브의 조정 정도를 나타내는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DTM 커브의 조정 정도는 게인에 대응되는 값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도 10의 (b)와 같이, 오프셋을 나타내는 오프셋 커브(1035)에 기초하여, 제1 DTM 커브(1031)를 제2 DTM 커브(1033)로 변경할 수 있다.
오프셋 커브(1033)는 제1 DTM 커브(1031)의 출력 값과 제2 DTM 커브(1033)의 출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커브일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DTM 커브를 통해 입력 영상 신호를 처리한 후, DC 커브를 통해 처리된 영상 신호를 보상할 수 있다.
DC 커브는 휘도(Y) 영역에서 입력 영상 신호 대비 출력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커브일 수 있다.
DC 커브의 게인은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매개 변수일 수 있다. DC 커브의 게인이 커질수록 밝은 영역의 명암 대비가 증가하고, 어두운 영역의 명암 대비가 감소할 수 있다.
DC 커브의 게인이 작아질수록 밝은 영역의 명암 대비가 감소하고, 어두운 영역의 명암 대비가 증가할 수 있다.
DC 커브의 게인은 0과 1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DTM 커브를 통해 달라지는 영상 신호의 명암 대비를 DC커브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작게, 고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크도록 DC 커브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게인이 조절된 DC 커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영상 신호의 보상을 위해 도 10의 (a)의 DTM 커브(1010)를 도 11의 (a)의 DC 커브(1110)로 변경할 수 있다.
입력 값이 h1보다 작은 값은 저 계조 영역에 대응되고, 입력 값이 h1보다 큰 값은 고 계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작게, 고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크도록 DC 커브(111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의 변화량에 따른 DC 커브(1110)의 조정 정도를 나타내는 오프셋 커브(1130)가 도시되어 있다.
오프셋 커브(1130)는 DTM 커브(1010)의 적용에 따른 베이스 DC 커브와 게인이 조정된 DC 커브(1110) 간의 출력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커브일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각 게인이 조정된 출력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출력할 수 있다(S807).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공급을 위해 배터리를 사용할 시, 백라이트 유닛(250)의 광 출력 세기가 감소됨에 따라 어두워진 화면을 전력 소비와 무관한 DTM 커브 및 DC 커브를 이용하여 밝은 화면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영상 시청에 대한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가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DTM 커브의 게인 및 DC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조도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조도 센서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로부터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배터리의 사용이 감지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 센서가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기존의 DTM 커브(1010)를 게인이 상향 조정된 새로운 DTM 커브(1210)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배터리 사용이 감지되고, 조도가 증가됨에 따라 DTM 커브(1010)의 게인을 증가시켜, 새로운 DTM 커브(1210)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일정 조도 이상의 조도 값과 DTM 커브의 게인 값을 매칭시킨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측정된 조도에 매칭되는 DTM 커브의 게인을 획득하고, 획득된 게인에 따라 DTM 커브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 조도가 증가하더라도 영상 신호의 밝기가 상향 조정되어 사용자의 영상 시청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새로운 DTM 커브(1210)의 생성 후, 영상 신호의 보상을 위해 기존의 DC 커브(1110)를 게인보다 증가된 새로운 DC 커브(1230)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DC 커브(1110)에 비해 저 계조 영역의 명암 대비가 증가하고, 어두운 영역의 명암 대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패턴 생성기로부터 수신된 내부 패턴을 중앙 영역(1310)에 표시하고 있다. 중앙 영역(1310) 이외의 영역에는 고정된 외부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패턴 생성기는 내부 패턴의 신호 레벨을 블랙 레벨에서 화이트 레벨까지 변경하면서, 내부 패턴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 영역(131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AC 전원(13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신호 레벨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제1 커브(133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신호 레벨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제2 커브(1333)가 도시되어 있다.
즉, 배터리의 사용 시, 중앙 영역(1310)에서 동일한 신호 레벨 대비 휘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DTM 커브의 게인이 조정된 것임을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조도 센서가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신호 레벨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제3 커브(1335)가 도시되어 있다.
즉, 배터리의 사용이 감지되고, 조도 센서가 일정 조도 이상이고, 중앙 영역(1310)에서 측정된 동일한 신호 레벨 대비 휘도가 배터리의 사용만이 감지된 경우에 비해 더 높게 측정되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DTM 커브의 게인이 조정된 것임을 확인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 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 및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고, 각 게인의 조절에 따라 생성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한 후,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증가시킨 후,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입력 값과 출력 값의 비율이 1을 초과하고,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값을 갖도록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 계조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커브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하도록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작게, 고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크도록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가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더 증가시킨 후,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더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 출력 세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 및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및
    각 게인의 조절에 따라 생성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광 출력 세기의 감소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한 후,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증가시킨 후,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입력 값과 출력 값의 비율이 1을 초과하고,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값을 갖도록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고 계조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커브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하도록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는
    저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작게, 고 계조 영역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비는 1보다 크도록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가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동적 톤 매핑 커브의 게인을 더 증가시킨 후, 상기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의 게인을 더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30100099A 2023-04-19 2023-07-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ctive KR102811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4102423.2A DE102024102423A1 (de) 2023-04-19 2024-01-29 Anzeigevorrichtung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18/639,680 US20240355257A1 (en) 2023-04-19 2024-04-18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535 2023-04-19
KR20230051535 2023-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5038A true KR20240155038A (ko) 2024-10-28
KR102811146B1 KR102811146B1 (ko) 2025-05-26

Family

ID=9328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099A Active KR102811146B1 (ko) 2023-04-19 2023-07-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111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5678A (ja) * 2008-04-28 2009-11-12 Sharp Corp 周辺状態に合わせた画像補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2100022A (ja) * 2010-11-01 2012-05-24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90079921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다중 스크린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5678A (ja) * 2008-04-28 2009-11-12 Sharp Corp 周辺状態に合わせた画像補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2100022A (ja) * 2010-11-01 2012-05-24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90079921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다중 스크린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11146B1 (ko) 202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484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297008A1 (en) Display device
US12190834B2 (en) Display device and local method of controlling local dimming thereof preliminary class
KR10271971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545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로컬 디밍 제어 방법
US76926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8111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8266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732686B1 (ko) 영상 표시 장치
US2023031701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35525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8105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488989A1 (en) Display device
KR102733242B1 (ko) 영상 표시 장치
JP2014186275A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73619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77482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소스 디바이스
JP201313433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JP201313445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