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148551A - 와이어 하네스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8551A
KR20240148551A KR1020230044082A KR20230044082A KR20240148551A KR 20240148551 A KR20240148551 A KR 20240148551A KR 1020230044082 A KR1020230044082 A KR 1020230044082A KR 20230044082 A KR20230044082 A KR 20230044082A KR 20240148551 A KR20240148551 A KR 20240148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otrusion
holder
opening
wire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창영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8551A/ko
Publication of KR2024014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8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와이어 하네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는, 일 측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제1 홀더;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는 제2 홀더;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도전 판; 상기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도전 판;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 및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4 케이블;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전기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여러 개의 전선을 하나로 묶어서 구성한 전선 집합체입니다. 와이어 하네스는 일반적으로 차량, 항공기, 기계, 로봇 등과 같은 복잡한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와이어 하네스는 전선, 연결부, 커넥터, 보호재 및 소켓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전선을 하나로 묶어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전선의 손상 및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는 전선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체적을 줄이고, 가중치를 경량화시켜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제조사가 상이한 차량, 항공기, 기계, 로봇 등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하네스는 서로 다른 규격 때문에 제조사마다 별도로 생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되는 장치에 따라 도선을 교체하거나 내부의 배선을 수정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는 일 측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제1 홀더;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는 제2 홀더;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도전 판; 상기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도전 판;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 및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4 케이블;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개구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개구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 판은 상기 제1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도전 판은 상기 제2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제2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측벽을 따라 교호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전 판 및 상기 제2 도전 판은 상기 커버의 내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1 외부 커넥터; 상기 제1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1 내부 커넥터; 상기 제2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2 내부 커넥터; 상기 제3 케이블 및 상기 제4 케이블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2 외부 커넥터; 상기 제3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3 내부 커넥터; 및 상기 제4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4 내부 커넥터; 를 포함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는 탈부착 가능한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되는 장치에 따라 도선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는 케이블에 연결되는 내부 커넥터와 내부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전 판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되는 장치에 따라 내부의 배선을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1)는 하우징(10), 커버(20), 제1 홀더(30), 제2 홀더(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내부에 내부 공간(10a)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판상의 베이스(12)와 베이스(12)의 둘레를 따라 측벽(11)이 형성된다. 즉, 내부 공간(10a)은 일 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외부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커버(20)와 결합되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12)가 팔각형인 다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의 측벽에는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가 형성된다.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는 하우징(10)의 상 측 단부로부터 하 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가 함몰되는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 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의 하 측 내면은 베이스(12)로부터 상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에는 후술하는 제1 홀더(30) 및 제2 홀더(40)가 결합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홀더(30) 및 제2 홀더(40)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10)의 상 측에는 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커버(20)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10a)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는 하우징(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23)가 구비될 수 있다. 고리(23)는 커버(20)의 테두리로부터 하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리(23)의 내면이 하우징(10)의 측벽(11)의 외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커버(20)와 하우징(10)을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의 측벽(11)의 외면에는 돌기(17)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벽(11)의 돌기(17)가 고리(23)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됨으로써 커버(20)와 하우징(10)이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리(23)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리(2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20)를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고리(23)는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고리(23)를 측벽(11)의 외측으로 변형시켜 커버(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에 배치되는 구성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커버(20)와 하우징(10)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 결합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을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17)와 고리(23)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는 제1 리브(21) 및 제2 리브(22)가 구비된다. 제1 리브(21) 및 제2 리브(22)는 각각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리브(21)는 커버(2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 측으로 개방된 제1 개구(15)의 상 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리브(21)는 제1 개구(15)와 함께 홀을 형성한다. 제1 리브(21)는 커버(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후술하는 제1 홀더(3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2 리브(22)는 커버(2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 측으로 개방된 제2 개구(16)의 상 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리브(22)는 제2 개구(16)와 함께 홀을 형성한다. 제2 리브(22)는 커버(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후술하는 제2 홀더(4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1 홀더(30)와 제2 홀더(40)가 결합되는 구조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 돌출부(13), 제2 돌출부(14)가 구비된다. 제1 돌출부(13)는 하우징(10)은 측벽(11)으로부터 내부 공간(10a)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3)를 구비한다. 제1 돌출부(13)는 베이스(12)와 측벽(11)의 일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회로기판(90)이 커버(20)가 개방된 하우징(10)에 제1 돌출부(13)의 연장 방향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부 공간(10a)에 배치회로기판(90)즉, 제1 돌출부(13)는 회로기판(90)의 삽입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회로기판(90)에 형성되는 제1 함몰부(91)에 삽입됨으로써 회로기판(9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돌출부(13)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회로기판(90)의 제1 함몰부(9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돌출부(13)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회로기판(90)의 제1 함몰부(9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돌출부(13)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회로기판(90)의 제1 함몰부(91)가 이등변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가 형성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제2 돌출부(14)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14)는 제1 돌출부(1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돌출부(14)는 제1 돌출부(13)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일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2 돌출부(14)는 회로기판(90)에 형성되는 제2 함몰부(9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면 회로기판(90)의 설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90)이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회로기판(90)의 제1 함몰부(91) 및 제2 함몰부(92)에 각각 제1 돌출부(13) 및 제2 돌출부(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회로기판(90)을 고정하기 위하여 따로 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회로기판(90)에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우수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 제1 개구(15), 제2 돌출부(14) 및 제2 개구(16)는 측벽(11)을 따라 교호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3)에서 제2 돌출부(14)를 향하는 방향과 제1 개구(15)에서 제2 개구(16)를 향하는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후술하는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개구(15)로부터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대한 최단 거리로 제1 케이블(71) 및 제2 케이블(72)을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제2 개구(16)로부터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대한 최단 거리로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의 꼬임 없이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을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30)와 제2 홀더(40)는 각각 하우징(10)의 제1 개구(15)와 제2 개구(16)에 결합된다.
제1 홀더(30)는 제1 개구(15)에 결합됨으로써 제1 개구(15)를 폐쇄한다. 이를 통해, 제1 개구(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내부와 같이 액체뿐만 아니라 먼지 등 고체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 제1 홀더(30)는 내부 공간(10a)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회로기판(90)의 손상이나 후술할 케이블들 사이의 예상치 못한 전기적 단락이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30)에는 제1 개구(15)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도록 둘레를 따라 제1 홈(32)이 형성된다. 제1 홈(32)은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홀더(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32)에 제1 개구(15)의 테두리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홈(32)의 좌우 측과 하부 측이 제1 개구(15)에 결합된다.
이때, 제1 홈(32)의 상부 측에는 전술한 커버(20)의 제1 리브(21)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홈(32)에 전체적으로 커버(20)와 하우징(10)이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a) 측에 추가적인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추가된 리브는 하우징(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제1 홀더(30)의 내부 공간(10a) 측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추가 리브는 커버(20)의 내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와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추가 리브를 통해 제1 홀더(30)의 내부 공간(10a) 내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추가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제1 홀더(30)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개구(15)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으로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제1 홀더(30)에는 제1 케이블 커버(31)가 형성된다. 제1 케이블 커버(31)는 제1 홀더(30)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 내측으로 일 단이 연장되고 외부로 타 단이 연장된다.
제1 케이블 커버(31)는 제1 홀더(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개구(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케이블 커버(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제1 케이블 커버(31)가 구비된다. 제1 케이블 커버(31)의 개수는 와이어 하네스(1)가 사용되는 장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30)를 하우징(10) 및 커버(20)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장비에서 요구되는 와이어 하네스(1)를 구비하기 위하여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1)를 제조하지 않더라도 제1 홀더(30)의 교체만으로 특정 장비에 설치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1)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케이블 커버(31)가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커버(31)의 내부에는 제1 케이블(71)이 배치된다. 제1 케이블(71)은 통전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케이블(71)은 전도성 소재를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에 피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블(71)은 제1 케이블 커버(3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홀더(30)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제1 케이블(71)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71)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 측 일 단에 제1 내부 커넥터(73)가 결합되고, 하우징(10)의 외부 측 타 단에 제1 외부 커넥터(70)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71)은 제1 케이블 커버(31)의 개수만큼 구비되고, 제1 외부 커넥터(70)도 제1 케이블(71)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제1 외부 커넥터(70)는 모두 동일한 커넥터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커넥터일 수도 있다. 즉, 와이어 하네스(1)가 설치되는 장비의 내부 사정에 따라 서로 다른 커넥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1 케이블(71)을 교체하거나 제1 홀더(30)와 제1 케이블(7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72)은 제1 케이블(71)과 함께 제1 케이블 커버(31)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케이블(72)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 측 일 단에는 제2 내부 커넥터(74)가 결합되고 제2 케이블(72)의 외부 측 타 단에는 전술한 제1 외부 커넥터(70)가 결합된다.
제1 외부 커넥터(70)에는 제1 케이블(71)과 제2 케이블(72)이 함께 결합된다. 다만, 후술할 제5 케이블(85)에 제1 케이블(71)과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71)의 제1 내부 커넥터(73)는 제1 도전 판(5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케이블(72)의 제2 내부 커넥터(74)는 제2 도전 판(6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내부 커넥터(73)와 제2 내부 커넥터(74)는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에 결합될 수 있으면 공지된 다양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커넥터(73)와 제2 내부 커넥터(74)가 'C'자 형 단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각각 접한 상태로 나사 결합하여, 제1 케이블(71) 및 제2 케이블(72)을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각각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1 내부 커넥터(73)와 제2 내부 커넥터(74)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제1 케이블(71) 및 제2 케이블(72)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 커넥터(73)와 제2 내부 커넥터(74)가 각각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서 설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홀더(40)는 제2 개구(16)에 결합됨으로써 제2 개구(16)를 폐쇄한다. 이를 통해, 제2 개구(16)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홀더(40)는 내부 공간(10a)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회로기판(90)의 손상이나 후술할 케이블들 사이의 예상치 못한 전기적 단락이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40)에는 제2 개구(16)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도록 둘레를 따라 제2 홈(42)이 형성된다. 제2 홈(42)은 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2 홀더(4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홈(42)에 제2 개구(16)의 테두리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홈(42)의 좌우 측과 하부 측이 제2 개구(16)에 결합된다.
이때, 제2 홈(42)의 상부 측에는 전술한 커버(20)의 제2 리브(22)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2 홈(42)에 전체적으로 커버(20)와 하우징(10)이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a) 측에 추가적인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추가된 리브는 하우징(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홀더(40)의 내부 공간(10a) 측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추가 리브는 커버(20)의 내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와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추가 리브를 통해 제2 홀더(40)의 내부 공간(10a) 내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추가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제2 홀더(40)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개구(16)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으로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제2 홀더(40)에는 제2 케이블 커버(41)가 형성된다. 제2 케이블 커버(41)는 제2 홀더(40)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 내측으로 일 단이 연장되고 외부로 타 단이 연장된다.
제2 케이블 커버(41)는 제2 홀더(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개구(16)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블 커버(4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 케이블 커버(31)가 구비된다. 즉, 제1 케이블 커버(31)의 개수와 제2 케이블 커버(41)의 개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1)의 장비에 대한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40)를 하우징(10) 및 커버(20)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장비에서 요구되는 와이어 하네스(1)를 구비하기 위하여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1)를 제조하지 않더라도 제2 홀더(40)의 교체만으로 특정 장비에 설치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1)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케이블 커버(41)가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커버(41)의 내부에는 제3 케이블(81)이 배치된다. 제3 케이블(81)은 통전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제3 케이블(81)은 전도성 소재를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에 피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케이블(81)은 제2 케이블 커버(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홀더(40)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제3 케이블(81)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케이블(81)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 측 일 단에 제3 내부 커넥터(83)가 결합되고, 하우징(10)의 외부 측 타 단에 제2 외부 커넥터(80)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케이블(81)은 제2 케이블 커버(41)의 개수만큼 구비되고, 제2 외부 커넥터(80)도 제3 케이블(81)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제2 외부 커넥터(80)는 모두 동일한 커넥터일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3 케이블(81)에는 다른 종류의 제2 외부 커넥터(8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이어 하네스(1)가 설치되는 장비의 내부 사정에 따라 서로 다른 커넥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3 케이블(81)을 교체하거나 제2 홀더(40)와 제3 케이블(81)을 함께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케이블(82)은 제3 케이블(81)과 함께 제2 케이블 커버(41)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4 케이블(82)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 측 일 단에는 제4 내부 커넥터(84)가 결합되고 제4 케이블(82)의 외부 측 타 단에는 전술한 제2 외부 커넥터(80)가 결합된다.
제2 외부 커넥터(80)에는 제3 케이블(81)과 제4 케이블(82)이 함께 결합된다. 다만, 후술할 제5 케이블(85)이 제3 케이블(81)과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케이블(81)의 제3 내부 커넥터(83)는 제1 도전 판(5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케이블(82)의 제4 내부 커넥터(84)는 제2 도전 판(6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내부 커넥터(83)와 제4 내부 커넥터(84)는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에 결합될 수 있으면 공지된 다양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내부 커넥터(83)와 제4 내부 커넥터(84)가 'C'자 형 단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각각 접한 상태로 나사 결합하여,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을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각각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3 내부 커넥터(83)와 제4 내부 커넥터(84)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부 커넥터(83)와 제4 내부 커넥터(84)가 각각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서 설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의 일 측에 제1 도전 판(50)이 배치되고, 타 측에 제2 도전 판(60)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도전 판(50)은 제1 돌출부(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도전 판(60)이 제2 돌출부(14)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커버(20)의 내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은 커버(20)를 탈거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을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에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3)의 상면과 제1 도전 판(50)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돌출부(14)의 상면과 제2 도전 판(60)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회로기판(90)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을 탈거하지 않고도 회로기판(90)을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제1 도전 판(50)과 제2 도전 판(60)은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도전 판(50)에는 제1 케이블(71) 및 제1 케이블(71)의 개수만큼 나사 결합 가능 나사 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도전 판(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71)과 제3 케이블(81)이 제1 내부 커넥터(73) 및 제3 내부 커넥터(83)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도전 판(60)에도 제2 케이블(72) 및 제4 케이블(82)의 개수만큼 나사 결합 가능 나사 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도전 판(6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72)과 제4 케이블(82)이 제2 내부 커넥터(74) 및 제4 내부 커넥터(84)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커넥터(73)는 제1 나사(51)를 통해 제1 도전 판(5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2 내부 커넥터(74)는 제2 나사(61)를 통해 제1 도전 판(5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3 내부 커넥터(83)는 제3 나사(52)를 통해 제1 도전 판(5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4 내부 커넥터(84)는 제4 나사(62)를 통해 제1 도전 판(5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51) 제2 나사(61), 제3 나사(52) 및 제4 나사(62)는 동일 나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나사(51), 제2 나사(61), 제3 나사(52) 및 제4 나사(62)는 제1 내부 커넥터(73)와 제3 내부 커넥터(83) 및 제2 내부 커넥터(74)와 제4 내부 커넥터(84)가 각각 제1 도전 판(50) 및 제2 도전 판(60)과 원활하게 통전 되도록 통전 가능한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케이블(81)과 제4 케이블(82)에 연결된 제2 외부 커넥터(80)에 배터리가 연결되는 경우, 제3 케이블(81)과 제4 케이블(82)은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될 수 있다. 이때, 제3 케이블(81)이 양극이면 제4 케이블(82)이 음극이 되고, 제3 케이블(81)이 음극이면 제4 케이블(82)이 양극이 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블(71) 및 제2 케이블(72)에 연결된 제1 외부 커넥터(70)에 연결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90)에는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14)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 함몰부(91)와 제2 함몰부(92)가 형성된다. 회로기판(90)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0a)에 고정된다. 회로기판(90)은 중개 회로기판으로서 전원 연결 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포함한 여러가지 신호 선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회로기판(90)은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71), 제2 케이블(72), 제3 케이블(81) 및 제4 케이블(82)이 회로기판(90)에 연결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와이어 하네스 51 제1 나사
10 하우징 52 제3 나사
10a 내부 공간 60 제2 도전 판
11 측벽 61 제2 나사
12 베이스 62 제4 나사
13 제1 돌출부 70 제1 외부 커넥터
14 제2 돌출부 71 제1 케이블
15 제1 개구 72 제2 케이블
16 제2 개구 73 제1 내부 커넥터
17 돌기 74 제2 내부 커넥터
20 커버 80 제2 외부 커넥터
21 제1 리브 81 제3 케이블
22 제2 리브 82 제4 케이블
23 고리 83 제3 내부 커넥터
30 제1 홀더 84 제4 내부 커넥터
31 제1 케이블 커버 85 제5 케이블
32 제1 홈 86 제5 내부 커넥터
40 제2 홀더 90 회로기판
41 제2 케이블 커버 91 제1 함몰부
42 제2 홈 92 제2 함몰부
50 제1 도전 판

Claims (10)

  1. 일 측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제1 홀더;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는 제2 홀더;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도전 판;
    상기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도전 판;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 및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 판에 연결되는 제4 케이블; 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개구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개구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홈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네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네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 판은 상기 제1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도전 판은 상기 제2 돌출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하네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하네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제2 함몰부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네스.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측벽을 따라 교호하여 형성되는, 와이어 하네스.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판 및 상기 제2 도전 판은 상기 커버의 내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와이어 하네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1 외부 커넥터;
    상기 제1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1 내부 커넥터;
    상기 제2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2 내부 커넥터;
    상기 제3 케이블 및 상기 제4 케이블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2 외부 커넥터;
    상기 제3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3 내부 커넥터; 및
    상기 제4 케이블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4 내부 커넥터; 를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KR1020230044082A 2023-04-04 2023-04-04 와이어 하네스 KR20240148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082A KR20240148551A (ko) 2023-04-04 2023-04-04 와이어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082A KR20240148551A (ko) 2023-04-04 2023-04-04 와이어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8551A true KR20240148551A (ko) 2024-10-11

Family

ID=9311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82A KR20240148551A (ko) 2023-04-04 2023-04-04 와이어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85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23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US20120043104A1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130194763A1 (en) Board block for vehicles
US20120327562A1 (en) Box main body
JP2018093671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0759358B2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wire harness
JP5882128B2 (ja) 電線接続構造
KR20240148551A (ko) 와이어 하네스
US10243293B2 (en) Device connector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CN219040756U (zh) 插座
US11938876B2 (en) Electrical unit
JP2011015466A (ja) 電気接続箱
KR102629846B1 (ko)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JP2018182923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1949182B2 (en) Wiring connector assembly
KR20090059869A (ko)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커넥터
JP2023013562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24106069A1 (ja) 電子部品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171721A (ja) 電気接続箱
US20230345680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20240178625A1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wire harnesses
US20230187872A1 (en) Connector assembly
EP4312319A1 (en) Connector
JP7157179B2 (ja) 配線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