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41077A - 물티슈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티슈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41077A KR20240141077A KR1020230035110A KR20230035110A KR20240141077A KR 20240141077 A KR20240141077 A KR 20240141077A KR 1020230035110 A KR1020230035110 A KR 1020230035110A KR 20230035110 A KR20230035110 A KR 20230035110A KR 20240141077 A KR20240141077 A KR 202401410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fabric
- bundle
- packaging material
- closing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6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2—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7—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st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2—Squaring-up p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4—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conveyor, carr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9—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cutting p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4—Napkins or tissues, e.g. dressings, toweling, serviettes, kitchen paper and com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원단을 적층하는 적층 장치, 원단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 적층된 원단을 일정간격마다 절단하여 복수의 원단 뭉치를 생성하는 원단 절단 장치, 복수의 원단 뭉치 각각이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도록 원단 뭉치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원단 뭉치 정렬 장치, 원단 뭉치를 포장하는 포장재의 일부분에 원단 뭉치의 하나 이상의 원단이 배출되게 하는 개구부를 가공하는 가공 장치, 포장재로 원단 뭉치를 감싸는 포장 장치, 포장재가 원단 뭉치를 개별적으로 밀봉하도록 포장재를 절단하여 밀봉하는 밀봉 장치, 포장재에서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탈착 커버를 부착하는 탈착 커버 부착 장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를 하나씩 배출하여 이송하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 개폐 커버 공급 장치로부터 하나씩 배출되는 개폐 커버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스티커 부착 장치, 스티커가 부착된 개폐 커버를 포장재에서 탈착 커버가 위치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부착하는 개폐 커버 부착 장치 및 적층 장치, 원단 절단 장치, 이송 장치, 원단 뭉치 정렬 장치, 가공 장치, 포장 장치, 밀봉 장치, 탈착 커버 부착 장치, 개폐 커버 공급 장치, 스티커 부착 장치 및 개폐 커버 부착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 의해 다량의 개폐 커버가 장시간 공급됨으로써,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티슈 제조에 사용되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티슈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분 또는 유분이 함유된 티슈로서,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포장지에 포장된다. 이때, 물티슈는 각각 하나의 단위로 포장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밀봉 제작되거나, 일부가 개방되도록 제조된 포장지에 삽입 후 밀봉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물티슈는 포장지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포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직전까지 수분 또는 유분이 지속적으로 함유되도록 한다.
종래의 물티슈 제조 공정에서는, 원단을 적층하는 공정, 원단을 절단하는 공정, 포장재로 밀봉하는 공정 및 포장재에 커버를 부착하는 공정 등 여러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자재가 소모되면, 작업자는 물티슈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부자재들을 보충해야 한다. 부자재에 대한 작업자의 보충이 늦어지는 경우, 일부 공정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물티슈 제조 공정은 공정 전체가 자동화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자동화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은, 원단을 적층하는 적층 장치, 상기 원단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 적층된 상기 원단을 일정간격마다 절단하여 복수의 원단 뭉치를 생성하는 원단 절단 장치, 상기 복수의 원단 뭉치 각각이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도록 상기 원단 뭉치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원단 뭉치 정렬 장치, 상기 원단 뭉치를 포장하는 포장재의 일부분에 원단 뭉치의 하나 이상의 원단이 배출되게 하는 개구부를 가공하는 가공 장치, 상기 포장재로 상기 원단 뭉치를 감싸는 포장 장치, 상기 포장재가 상기 원단 뭉치를 개별적으로 밀봉하도록 상기 포장재를 절단하여 밀봉하는 밀봉 장치,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탈착 커버를 부착하는 탈착 커버 부착 장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를 하나씩 배출하여 이송하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로부터 하나씩 배출되는 상기 개폐 커버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스티커 부착 장치, 상기 스티커가 부착된 상기 개폐 커버를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탈착 커버가 위치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부착하는 개폐 커버 부착 장치 및 상기 적층 장치, 상기 원단 절단 장치, 상기 이송 장치,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 상기 가공 장치, 상기 포장 장치, 상기 밀봉 장치,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 및 상기 개폐 커버 부착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는, 상측 일부분이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내부에 상기 개폐 커버가 적층되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인입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 부재의 가장 하측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내부에 적층된 상기 개폐 커버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상기 개폐 커버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 및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어 상기 개폐 커버의 후단부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개폐 커버를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 트레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 유닛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 부재 및 상기 밀착 부재가 상기 개폐 커버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밀착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커버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이고, 상기 밀착 부재에서 상기 개폐 커버와 접촉되는 부분의 양측은 상기 개폐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양측 사이는 원호 형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는,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상기 원단 뭉치를 공급받아서 다른 이송 장치로 전달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공급된 상기 원단 뭉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원단 뭉치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 센서보다 앞에 위치되고, 상기 원단 뭉치의 전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상기 원단 뭉치의 이동을 기준 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진행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동작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측벽 부재,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단 뭉치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측벽 부재에 밀착시키는 정렬 부재 및 상기 정렬 부재가 상기 원단 뭉치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정렬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은 작업자의 수고가 없이 전공정이 자동화됨으로써, 제조 시간을 종래의 물티슈 제조 시스템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 의해 다량의 개폐 커버가 장시간 공급됨으로써,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원단 절단 장치와 이송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원단 뭉치 정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서 배출 유닛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탈착 커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탈착 커버 부착 장치에서 흡기홀과 공기 흡입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흡기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티커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티커 부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포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밀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밀봉 장치가 포장재를 밀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개폐 커버 부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원단 절단 장치와 이송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원단 뭉치 정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서 배출 유닛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탈착 커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탈착 커버 부착 장치에서 흡기홀과 공기 흡입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흡기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티커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티커 부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포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밀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밀봉 장치가 포장재를 밀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개폐 커버 부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원단 절단 장치와 이송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은 적층 장치(1120), 이송 장치(1200), 원단 절단 장치(1130),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 가공 장치(1400), 포장 장치(1150), 밀봉 장치(1600),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 스티커 부착 장치(1800),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 및 제어부(1110)를 포함한다.
적층 장치(1120)는 원단(P1)을 적층한다. 일반적인 물티슈는 여러 장의 원단(P1)이 적층되어 있다. 적층 장치(1120)는 복수의 원단(P1)을 적층하고, 적층된 원단(P1)의 전체 형상은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원단(P1)의 소재는 부직포일 수 있다.
이송 장치(1200)는 물티슈 제조에 사용되는 원단(P1)을 이송한다. 이송 장치(1200)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장치(1200)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이송 장치(1200A, 1200B, 1200C, 1200D)는 후술할 원단 절단 장치(1130),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 포장 장치(1150) 및 밀봉 장치(1600) 각각에 설치되어 원단(P1) 및 원단 뭉치(P2)를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은 물 주입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주입 장치는 이송 장치(1200)에 의해 이송된 원단(P1)에 물을 주입하여 원단(P1)이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원단 절단 장치(1130)는 적층된 원단(P1)을 일정간격마다 절단하여 복수의 원단 뭉치(P2)를 생성한다. 원단 절단 장치(1130)는 일례로 회전날(113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날(1131)은 복수의 이송 장치(1200) 중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이송 장치(1200A, 1200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원단(P1)이 이송 장치(12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회전날(1131)이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되고, 원단(P1)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각 기둥 형상의 적층된 원단(P1)은 원단 절단 장치(1130)에 의해 절단되어 육면체 형상의 원단 뭉치(P2)로 분리된다.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는 복수의 원단 뭉치(P2) 각각이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도록 원단 뭉치(P2)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이 정렬된 원단 뭉치(P2) 각각은 후술할 포장 장치(1150)에 의해 포장재(M)로 밀봉된다. 원단 뭉치(P2)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면, 포장재(M)를 사용하여 원단 뭉치(P2)를 개별적으로 밀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는 원단 뭉치(P2)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서 후술할 포장 장치(1150)와 밀봉 장치(1600)에서 원단 뭉치(P2)의 포장 및 밀봉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공 장치(1400)는 원단 뭉치(P2)를 포장하는 포장재(M)의 일부분에 원단 뭉치(P2)의 하나 이상의 원단(P1)이 배출되게 하는 개구부(K)를 가공한다. 사용자가 일반적인 물티슈를 사용하는 경우, 물티슈가 개구부(K)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공 장치(1400)는 포장재(M)에 개구부(K)를 가공한다. 이러한 가공 장치(1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포장 장치(1150)는 포장재(M)로 원단 뭉치(P2)를 감싼다. 포장재(M)는 포장재 공급 장치(1140)에 포함된 롤러(미도시)에 감긴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으며, 포장재(M)가 원단 뭉치(P2)를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밀봉 장치(1600)에 의해 단위 길이만큼씩 절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포장 장치(1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밀봉 장치(1600)는 포장재(M)가 원단 뭉치(P2)를 개별적으로 밀봉하도록 포장재(M)를 절단하여 밀봉한다. 원단 뭉치(P2)가 포장 장치(1150)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밀봉 장치(1600)는 포장재(M)를 일정한 단위 길이만큼씩 절단한 다음, 절단된 부분을 밀봉하여 원단 뭉치(P2)에 포함된 수분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 장치(1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는 포장재(M)에서 개구부(K)에 대응되도록 탈착 커버(E)를 부착한다. 탈착 커버(E)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필름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탈착 커버(E)는 개구부(K)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지며, 개구부(K)를 폐쇄하여 원단 뭉치(P2)에 포함된 수분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탈착 커버(E)에서 포장재(M)에 부착되는 일부분은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탈착 커버(E)에서 접착력이 약한 부분을 포장재(M)로부터 분리하여 개구부(K)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강한 부분에 의해 탈착 커버(E)는 포장재(M)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는 상기 개구부(K)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F)를 하나씩 배출하여 이송한다. 개폐 커버(F)는 제조가 완료된 물티슈의 포장재(M)에서 탈착 커버(E)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개폐 커버(F)는 탈착 커버(E)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는 이러한 개폐 커버(F)를 후술할 스티커 부착 장치(1800)로 하나씩 공급할 수 있다.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로부터 하나씩 배출되는 개폐 커버(F)에 스티커(S)를 부착한다. 물티슈 상표나 회사의 로고가 스티커(S)에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이러한 스티커(S)를 개폐 커버(F)에 부착하여 물티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물티슈의 제품명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스티커 부착 장치(18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는 스티커(S)가 부착된 개폐 커버(F)를 포장재(M)에서 상기 탈착 커버(E)가 위치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부착한다. 즉,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에 의해 공급되는 개폐 커버(F)를 하나씩 파지하여 밀봉 장치(1600)에서 밀봉된 포장재(M)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110)는 상기 적층 장치(1120), 상기 원단 절단 장치(1130), 상기 이송 장치(1200),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 상기 가공 장치(1400), 상기 포장 장치(1150), 상기 밀봉 장치(1600),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 및 상기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10)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의 제어부(1110)는 적층 장치(1120), 상기 원단 절단 장치(1130), 상기 이송 장치(1200),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 상기 가공 장치(1400), 상기 포장 장치(1150), 상기 밀봉 장치(1600),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 및 상기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제어부(11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은 적층 장치(1120), 상기 원단 절단 장치(1130), 상기 이송 장치(1200),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 상기 가공 장치(1400), 상기 포장 장치(1150), 상기 밀봉 장치(1600),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 상기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 및 제어부(1110)를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물티슈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원단 뭉치 정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는 일례로, 이송 컨베이어(1330), 제1 위치 센서 및 제2 위치 센서(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330)는 상기 이송 장치(1200)로부터 원단 뭉치(P2)를 공급받아서 다른 이송 장치(1200)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장치(120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이송 컨베이어(133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송 장치(1200B, 1200C)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330)는 항상 구동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제2 위치 센서(1320)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서 일정 시간동안 동작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31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330)로 공급된 원단 뭉치(P2)를 감지한다. 제1 위치 센서(1310)는 이송 컨베이어(1330)의 후단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원단 뭉치(P2)가 이송 장치(1200)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1330)로 이송되면, 제1 위치 센서(1310)는 하나의 원단 뭉치(P2)가 이송 컨베이어(1330)로 이송되었음 감지한다.
제2 위치 센서(1320)는 원단 뭉치(P2)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 센서(1310)보다 앞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센서(1320)는 상기 원단 뭉치(P2)의 전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1330)가 상기 원단 뭉치(P2)의 이동을 기준 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진행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1330)로 동작 신호를 전송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전술한 제1 위치 센서(1310)가 원단 뭉치(P2)를 감지하고, 이송 컨베이어(1330)는 계속 동작되면서, 제2 위치 센서(1320)는 원단 뭉치(P2)의 전단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1 위치 센서(1310)도 원단 뭉치(P2)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제2 위치 센서(1320)는 이송 컨베이어(1330)의 동작을 정지하는 동작 신호를 이송 컨베이어(1330)로 전송하고, 이송 컨베이어(1330)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컨베이어(1330)의 동작은 전술한 제어부(1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위치 센서(1320)가 동작 신호를 제어부(1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10)는 이송 컨베이어(1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컨베이어(1330)에서 이전에 이송된 원단 뭉치(P2)는 다른 이송 장치(1200)에 의해 계속 이송되는 상태이므로, 앞서 이송된 원단 뭉치(P2)와 이송 컨베이어(1330) 상에 위치된 원단 뭉치(P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이 지나면, 제2 위치 센서(1320)는 컨베이어의 동작을 시작하는 동작 신호를 이송 컨베이어(1330)로 전송하고, 이송 컨베이어(1330)의 동작이 시작되어 원단 뭉치(P2)가 이송 장치(120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와 다르게 하나의 위치 센서를 사용하는 원단 뭉치 정렬 장치에서는, 위치 센서가 오동작하여 원단 뭉치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원단 뭉치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에 포함된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는 제1 위치 센서(1310)와 제2 위치 센서(1320)를 사용하여 원단 뭉치(P2)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센서가 오동작하여 원단 뭉치(P2)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나머지 센서가 원단 뭉치(P2)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원단 뭉치의 제어 정확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는 서로 인접한 원단 뭉치(P2)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포장 장치(1150)와 밀봉 장치(1600)에서 원단 뭉치(P2)의 포장 및 밀봉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에 의해 정렬된 원단 뭉치(P2)는 이송 장치(1200)에 의해 후술할 포장 장치(115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는 측벽 부재(1340), 정렬 부재(1350) 및 제2 구동 부재(1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 부재(1340)는 이송 장치(1200)의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측벽 부재(13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송 장치(12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정렬 부재(1350)는 상기 이송 장치(120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 뭉치(P2)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측벽 부재(1340)에 밀착시킨다. 이송 장치(1200)를 사이에 두고, 정렬 부재(1350)와 측벽 부재(1340)는 서로 반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정렬 부재(1350)가 이송 장치(1200)에 의해 이송중인 원단 뭉치(P2)의 측면을 밀면, 원단 뭉치(P2)가 측벽 부재(1340)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1360)는 상기 정렬 부재(1350)가 원단 뭉치(P2)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정렬 부재(1350)를 왕복 이동시킨다. 제2 구동 부재(1360)가 정렬 부재(1350)를 과도하게 이동시키는 경우, 복수의 원단(P1)이 적층된 원단 뭉치(P2)가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제2 구동 부재(1360)는 정렬 부재(1350)가 원단 뭉치(P2)를 측벽 부재(1340)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정렬 부재(135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벽 부재(1340), 정렬 부재(1350) 및 제2 구동 부재(1360)에 의해 복수의 원단 뭉치(P2) 모두는 이송 장치(1200) 상에서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에 의해 정렬된 원단 뭉치(P2)는 이송 장치(1200)에 의해 후술할 포장 장치(115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개폐 커버 공급 장치에서 배출 유닛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는 일례로, 프레임 부재(1710), 수납 부재(1720), 배출 유닛(1740) 및 이송 트레이(17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710)는 상측 일부분이 인입된 인입부(1711)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1710)는 작업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후술할 수납 부재(1720)와 배출 유닛(1740)이 프레임 부재(17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이송 트레이(1730)는 프레임 부재(171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납 부재(1720)는 내부에 개폐 커버(F)가 적층되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수납 부재(17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수납 부재(1720)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수납 부재(1720)는 프레임 부재(17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수납 부재(1720)에 적층된 개폐 커버(F)가 모두 사용된 이후에는 다른 수납 부재(1720)에 적층된 개폐 커버(F)가 후술할 배출 유닛(1740)에 의해 이송 트레이(1730)로 공급될 수 있다.
수납 부재(1720)의 수평 단면의 형상은 개폐 커버(F)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고, 수납 부재(1720)의 내부공간은 개폐 커버(F)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일 수 있다. 복수의 개폐 커버(F)가 수납 부재(1720)의 내부공간에 적층될 수 있다.
배출 유닛(1740)은 상기 프레임 부재(1710)의 인입부(1711)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 부재(1720)의 가장 하측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납 부재(1720)의 내부에 적층된 개폐 커버(F)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개폐 커버(F)를 배출한다. 배출 유닛(1740)은 복수의 수납 부재(172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닛(1740)은 일례로, 밀착 부재(1741)와 제1 구동 부재(1742)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 부재(1741)는 상기 수납 부재(1720)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 트레이(1730)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 유닛(174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밀착 부재(1741)의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 커버(F)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 부재(1741)에서 상기 개폐 커버(F)와 접촉되는 부분의 양측은 상기 개폐 커버(F)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양측 사이는 원호 형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 부재(1741)가 개폐 커버(F)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개폐 커버(F)를 안정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밀착 부재(1741)의 두께는 수납 부재(172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수납 부재(1720)의 가장 하단의 일측은 밀착 부재(1741)가 출입 가능한 형상으로 관통되고, 타측은 개폐 커버(F)가 배출 가능한 형상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수납 부재(1720)의 가장 하단의 타측은 이송 트레이(173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1742)는 상기 밀착 부재(1741)가 개폐 커버(F)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밀착 부재(1741)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를 위한 제1 구동 부재(1742)는 일례로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구동 부재(1742)는 후술할 이송 트레이(1730)의 이송 속도와 연동하여 밀착 부재(1741)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개폐 커버(F)가 수납 부재(1720)에 보관된 상태에서, 배출 유닛(1740)이 개폐 커버(F)를 하나씩 배출할 수 있다.
이송 트레이(1730)는 상기 배출 유닛(1740)에 의해 배출되는 개폐 커버(F)를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로 이송한다. 이송 트레이(1730)는 돌출부(17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31)는 이송 트레이(1730)에서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어 상기 개폐 커버(F)의 후단부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커버(F)가 수납 부재(1720)에 보관된 상태에서, 배출 유닛(1740)이 개폐 커버(F)를 하나씩 배출한다. 개폐 커버(F)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돌출부(1731) 사이에 위치되며, 개폐 커버(F)의 후단부는 개폐 커버(F)의 후방에 위치된 돌출부(1731)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이송 트레이(1730)는 배출된 개폐 커버(F)를 스티커 부착 장치(1800)로 이송할 수 있다.
개폐 커버(F)는 돌출부(1731)에 의해 이송 트레이(1730) 상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스티커 부착 장치(1800)에 의해 스티커(S)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초기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트레이(1730)는 스티커 부착 장치(1800)를 지나서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에 걸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에서 하나씩 배출되는 개폐 커버(F)는 이송 트레이(1730)에 의해 스티커 부착 장치(1800)와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까지 별도의 이송 수단으로 옮겨지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취급없이 신속하게 이동되어 물티슈 제조 시간이 종래의 물티슈 제조 장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커버 공급 장치(1700)에 의해 다량의 개폐 커버(F)가 장시간 공급됨으로써,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가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공 장치(14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포장재(M)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마다 태그(G)가 형성될 수 있다.
태그(G)의 형상은 리본 형상, 다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태그(G)는 포장재(M)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마다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태그(G) 사이의 간격은 포장재(M)가 후술할 밀봉 장치(1600)에서 절단되는 단위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장치(1400)는 일례로 제1 롤러 부재(1410), 제2 롤러 부재(1420), 가공 부재(1430) 및 제2 감지 센서(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 부재(1410)는 포장재(M)를 이송한다. 제1 롤러 부재(1410)는 포장재(M)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롤러 부재(1420)는 포장재(M)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롤러 부재(1410)의 반대측에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2 롤러 부재(1420)는 포장재(M)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롤러 부재(1410)는 포장재(M)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 롤러 부재(1420)는 포장재(M)의 상면에 대해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가공 부재(1430)는 상기 개구부(K)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단날(143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 부재(1420)의 둘레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가공 부재(1430)는 제2 롤러 부재(14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롤러 부재(1420)보다 외부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가공 부재(1430)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고, 둘레면에 절단날(14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 부재(1430)는 포장재(M)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롤러 부재(1420)와 함께 회전되어 제1 롤러 부재(1410)와 서로 밀착되면서 포장재(M)에 개구부(K)를 가공한다.
제2 감지 센서(1440)는 상기 포장재(M)의 어느 하나의 태그(G)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제2 감지 센서(1440)가 상기 포장재(M)의 어느 하나의 태그(G)를 감지한 다음, 상기 제2 롤러 부재(1420)를 동작하기 위한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제2 설정 시간 이후에 상기 가공 부재(1430)가 회전되게 한다.
이를 위한 제2 감지 센서(1440)는 일례로 포토 센서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2 감지 센서(1440)는 포토 센서 중에서도 광전자 센서일 수 있다. 광전자 센서는 음영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태그(G)는 검은색일 수 있고, 포장재(M)에서 태그(G)의 주변은 검은색보다 음영이 낮은 색상일 수 있다. 광전자 센서는 저렴하면서 가시성이 뛰어난 광선을 사용하여 태그(G)를 오류 없이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롤러 부재(1420)의 동작은 전술한 제어부(1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1440)가 동작 신호를 제어부(1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10)는 제2 롤러 부재(1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탈착 커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탈착 커버 부착 장치에서 흡기홀과 공기 흡입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흡기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는 일례로, 테이블(1510), 제1 공급 부재(1520), 제1 이탈 부재(1530), 제1 보관 부재(1540) 및 제1 감지 센서(155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510)은 포장재(M)를 이송한다. 포장재(M)가 테이블(1510)의 일면을 따라서 이송될 수 있다. 테이블(1510)은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제1 공급 부재(1520)에는 탈착 커버(E)가 부착된 제1 이형지(Y1)가 권취된다.
제1 이탈 부재(1530)는 끝부분이 이송되는 포장재(M)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탈착 커버(E)가 제1 이형지(Y1)로부터 하나씩 이탈되게 한다. 제1 이탈 부재(1530)는 일례로 판 평상일 수 있고, 끝부분은 테이블(1510) 상에서 이송되는 포장재(M)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이형지(Y1)는 종이의 표면에 접착을 방지하는 방지막이 형성된 연성의 소재이고, 탈착 커버(E)는 제1 이형지(Y1)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있는 시트지와 유사한 소재이다. 그러므로, 판 형상의 제1 이탈 부재(1530)의 끝부분에서 접히는 과정에서 탈착 커버(E)의 끝부분이 제1 이형지(Y1)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보관 부재(1540)는 상기 제1 공급 부재(1520)에 권취되어 있는 제1 이형지(Y1)가 상기 제1 이탈 부재(1530)를 통과한 이후에 권취되어 보관되도록 회전된다. 제1 보관 부재(1540)는 지속적으로 회전되지는 않으며, 일정 각도만큼 회전했다가 일정 시간 정지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보관 부재(154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는 탈착 커버(E)의 일단의 일부분이 제1 이형지(Y1)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관 부재(1540)가 회전을 시작하면, 탈착 커버(E)가 제1 이형지(Y1)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포장재(M)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1550)는 상기 포장재(M)의 어느 하나의 태그(G)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제1 감지 센서(1550)는 상기 포장재(M)의 어느 하나의 태그(G)를 감지한 다음 제1 설정 시간 이후에 탈착 커버(E)가 포장재(M)에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보관 부재(15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제1 보관 부재(1540)의 동작은 전술한 제어부(1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1550)가 동작 신호를 제어부(1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10)는 제1 보관 부재(15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태그(G)를 기준으로 포장재(M)에 개구부(K)가 형성되는 위치와 탈착 커버(E)가 부착되는 위치가 서로 같은 위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감지 센서(1550)의 제1 설정 시간과 가공 장치(1400)에 포함된 제2 감지 센서(1440)의 제2 설정 시간은 서로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착 커버(E)가 개구부(K) 전체를 폐쇄하여 제조가 완료된 물티슈의 원단 뭉치(P2)의 수분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는 테이블(1510), 제1 공급 부재(1520), 제1 이탈 부재(1530), 제1 보관 부재(1540) 및 제1 감지 센서(1550)를 사용하여 포장지의 개구부(K)에 탈착 커버(E)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1500)는 공기 흡입 유닛(1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기홀(1511)은 상기 테이블(1510)에서 상기 탈착 커버(E)가 부착되는 부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 유닛(1560)은 상기 복수의 흡기홀(1511)에 연결되어 포장재(M)가 상기 테이블(1510)에 밀착되도록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따라, 포장재(M)가 테이블(1510) 상에서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재(M)가 우그러짐 없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탈착 커버(E)가 포장재(M)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공기 흡입 유닛(1560)은 탈착 커버(E)가 포장재(M)에 이격공간 없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1510)에서 상기 부착 영역의 중심 부분은 주변 부분보다 상기 흡기홀(1512)이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 흡입 유닛(1560)의 흡입력이 부착 영역의 중심으로 집중되어 포장재(M)에서 탈착 커버(E)가 부착되는 부분이 테이블(1510)에 상대적으로 더욱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착 커버(E)의 부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흡기홀(1511A)이 배치된 전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흡기홀(1511B)이 배치된 전체 형상은 탈착 커버(E)와 대응되는 리본 형상인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홀(1511B)의 전체 형상이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원형인 것보다 상대적으로 탈착 커버(E)의 부착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스티커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스티커 부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일례로, 제2 공급 부재(1810), 제2 이탈 부재(1820), 제2 보관 부재(1830) 및 누름 부재(1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급 부재(1810)에는 스티커(S)가 부착된 제2 이형지(Y2)가 권취된다.
제2 이탈 부재(1820)는 이송되는 개폐 커버(F)에 끝부분이 인접하게 위치되어 스티커(S)가 제2 이형지(Y2)로부터 하나씩 이탈되게 한다. 제2 이탈 부재(1820)는 일례로 판 평상일 수 있고, 끝부분은 이송 테이블(1510) 상에서 이송되는 개폐 커버(F)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이형지(Y2)는 종이의 표면에 접착을 방지하는 방지막이 형성된 연성의 소재이고, 스티커(S)는 제2 이형지(Y2)보다 상대적으로 탄성이 있는 시트지와 유사한 소재이다. 그러므로, 판 형상의 제2 이탈 부재(1820)의 끝부분에서 접히는 과정에서 탈착 커버(E)의 끝부분이 제2 이형지(Y2)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제2 보관 부재(1830)는 상기 제2 공급 부재(1810)에 권취되어 있는 제2 이형지(Y2)가 상기 제2 이탈 부재(1820)를 통과한 이후에 권취되어 보관되도록 회전된다. 제2 보관 부재(1830)는 제1 보관 부재(1540)와 유사하게 지속적으로 회전되지는 않으며, 일정 각도만큼 회전했다가 일정 시간 정지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보관 부재(183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는 스티커(S)의 일단의 일부분이 제2 이형지(Y2)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관 부재(1830)가 회전을 시작하면, 스티커(S)가 제2 이탈 부재(1820)에 의해 제2 이형지(Y2)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개폐 커버(F)에 부착될 수 있다.
누름 부재(1840)는 상기 개폐 커버(F)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 부재(1820)보다 앞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F)에 부착된 스티커(S)를 누른다. 누름 부재(1840)는 일례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브러쉬일 수 있다. 스티커(S)가 개폐 커버(F)에 부착된 이후에, 누름 부재(1840)는 스티커(S)를 눌러서 스티커(S)가 개폐 커버(F)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간격 센서(1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센서(1850)는 제2 이형지(Y2)에 부착되어 있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스티커(S) 사이의 간격을 감지한다.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간격 센서(1850)로부터 스티커(S)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커(S)가 제2 이형지(Y2)에 정상적으로 위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스티커(S)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제2 보관 부재(1830)의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보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복수개이고,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상기 개폐 커버(F)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 부착 장치(1800)는 두 개일 수 있고, 두 개의 스티커 부착 장치(1800)를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1110)는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 중 어느 하나의 스티커 부착 장치(1800)를 동작시키는 경우, 나머지 스티커 부착 장치(1800)의 동작은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스티커 부착 장치(1800)가 개폐 커버(F)에 스티커(S)를 지속적으로 부착하여 스티커(S)를 모두 소모하는 경우, 제2 공급 부재(181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제2 공급 부재(1810)의 회전을 감지하여, 해당 스티커 부착 장치(1800)의 동작을 정지하고, 다른 스티커 부착 장치(1800)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티커 부착 장치(1800)에 의해 스티커(S)가 부착된 개폐 커버(F)는 이송 트레이(1730)에 의해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3은 포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 장치(1150)는 일례로, 가이드 부재(1151) 및 융착 부재(115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51)는 하측이 개구된 기둥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전술한 원단 뭉치 정렬 장치(1300)에 의해 정렬되어서 이송 장치(1200)로부터 이송되는 원단 뭉치(P2)는 포장 장치(1150)로 공급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51)는 포장재(M)를 터널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원단 뭉치(P2)를 감싸도록 한다. 포장재(M)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은 가이드 부재(1151)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융착 부재(1152)는 포장재(M)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융착한다. 융착 부재(1152)는 일례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히팅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포장 장치(1150)에 의해 터널 형상으로 변형된 포장재(M)는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원단 뭉치(P2)와 함께 밀봉 장치(1600)로 바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4는 밀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밀봉 장치가 포장재를 밀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밀봉 장치(1600)는 일례로, 제1 가압 부재(1610), 제2 가압 부재(1620), 제3 가압 부재(1630), 편심 부재(1640), 승강 부재(1650), 왕복 이동 부재(1660) 및 밀봉 부재(1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1610)와 제2 가압 부재(1620)는 포장재(M)의 양면을 각각 가압한다.
제3 가압 부재(1630)는 포장재(M)의 상면을 가압한다.
편심 부재(164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가압 부재(1630)의 일측이 상기 원판 형상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도록 결합된다. 편심 부재(1640)는 별도의 동력원(미도시)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회전력을 발생하지는 않으면서 승강 부재(1650)와 왕복 이동 부재(1660)의 구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제3 가압 부재(1630)는 편심 부재(16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가압 부재(1630)는 브라켓(1631)에 의해 편심 부재(16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브라켓(1631)과 제3 가압 부재(1630) 사이에는 포장재(M)와 제3 가압 부재(1630)의 밀착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631)은 별도의 샤프트(1632)에 의해 편심 부재(1640)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1632)는 편심 부재(16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1632)는 편심 부재(164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부재(1650)는 상기 제3 가압 부재(163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3 가압 부재(1630)를 승강시킨다.
왕복 이동 부재(1660)는 포장재(M)가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 부재(165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왕복 이동 부재(1660)와 승강 부재(1650)에 의해 제3 가압 부재(1630)가 이동되는 경로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3 가압 부재(1630)는 포장재(M)의 이송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포장재(M)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3 가압 부재(1630)가 포장재(M)를 누르는 타이밍에 제1 가압 부재(1610)와 제2 가압 부재(1620)도 포장재(M)를 누르면서, 포장재(M)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전술한 편심 부재(1640)는 제3 가압 부재(1630)에서 승강 부재(1650)가 결합되지 않은 반대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편심 부재(1640)는 승강 부재(1650)의 수직 이동 및 왕복 이동 부재(1660)의 수평 이동에 의한 제3 가압 부재(1630)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밀봉 부재(1670)는 포장재(M)가 상기 제1 가압 부재(1610) 내지 제3 가압 부재(16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포장재(M)를 열융착한 다음, 열융착된 부분을 절단한다. 포장재(M)가 밀봉 부재(1670)에 의해 단위 길이만큼씩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 장치(1600)에 의해 밀봉된 포장재(M)는 이송 장치(1200)에 의해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에 인접한 작업 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6은 개폐 커버 부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는 일례로, 파지 부재(1910)와 도포 부재(19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부재(1910)는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1800)로부터 이송되는 개폐 커버(F)를 파지하여 포장재(M)에 부착한다. 파지 부재(1910)는 진공 흡착 방식에 의해 개폐 커버(F)를 파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파지 부재(1910)는 일례로 진공 흡착부(1911) 및 위치 제어부(191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제어부(1912)는 진공 흡착부(1911)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진공 흡착부(1911)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와 다르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파지 부재(1910)는 변형예로 다관절 구조의 로봇팔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포 부재(1920)는 상기 파지 부재(1910)가 개폐 커버(F)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 부재(1910)의 하단으로 접착 물질을 분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지 부재(1910)는 상기 도포 부재(1920)가 상기 개폐 커버(F)의 하측의 가장 자리를 따라 접착 물질을 분사하도록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개폐 커버(F)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포 부재(192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파지 부재(1910)가 개폐 커버(F)를 이동시켜서 개폐 커버(F)의 하측에 접착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은 검사 장치(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사 장치(1160)는 포장재(M)를 촬영하여 포장재(M)에 탈착 커버(E)가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탈착 커버(E)가 부착되지 않은 밀봉된 포장재(M)가 검사 장치(116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검사 장치(1160)는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로 불량으로 판단한 포장재(M)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개폐 커버 부착 장치(1900)는 불량 포장재(M)가 이송되는 경우, 개폐 커버(F)를 부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1000)은 작업자의 수고가 없이 전공정이 자동화되어 진행됨으로써, 제조 시간을 종래의 물티슈 제조 시스템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0: 물티슈 제조 시스템
1110: 제어부 1120: 적층 장치
1130: 원단 절단 장치 1131: 회전날
1140: 포장재 공급 장치 1150: 포장 장치
1151: 가이드 부재 1152: 융착 부재
1160: 검사 장치 1200: 이송 장치
1300: 원단 뭉치 정렬 장치 1310: 제1 위치 센서
1320: 제2 위치 센서 1330: 이송 컨베이어
1340: 측벽 부재 1350: 정렬 부재
1360: 제2 구동 부재 1400: 가공 장치
1410: 제1 롤러 부재 1420: 제2 롤러 부재
1430: 가공 부재 1431: 절단날
1440: 제2 감지 센서 1500: 탈착 커버 부착 장치
1510: 테이블 1511: 흡기홀
1520: 제1 공급 부재 1530: 제1 이탈 부재
1540: 제1 보관 부재 1550: 제1 감지 센서
1560: 공기 흡입 유닛 1600: 밀봉 장치
1610: 제1 가압 부재 1620: 제2 가압 부재
1630: 제3 가압 부재 1631: 브라켓
1632: 샤프트 1640: 편심 부재
1650: 승강 부재 1660: 왕복 이동 부재
1670: 밀봉 부재 1700: 개폐 커버 공급 장치
1710: 프레임 부재 1711: 인입부
1720: 수납 부재 1730: 이송 트레이
1731: 돌출부 1740: 배출 유닛
1741: 밀착 부재 1742: 제1 구동 부재
1800: 스티커 부착 장치 1810: 제2 공급 부재
1820: 제2 이탈 부재 1830: 제2 보관 부재
1840: 누름 부재 1850: 간격 센서
1900: 개폐 커버 부착 장치 1910: 파지 부재
1911: 진공 흡착부 1912: 위치 제어부
1920: 도포 부재 M: 포장재
K: 개구부 G: 태그
P1: 원단 P2: 원단 뭉치
S: 스티커 F: 개폐 커버
E: 탈착 커버 Y1: 제1 이형지
Y2: 제2 이형지
1110: 제어부 1120: 적층 장치
1130: 원단 절단 장치 1131: 회전날
1140: 포장재 공급 장치 1150: 포장 장치
1151: 가이드 부재 1152: 융착 부재
1160: 검사 장치 1200: 이송 장치
1300: 원단 뭉치 정렬 장치 1310: 제1 위치 센서
1320: 제2 위치 센서 1330: 이송 컨베이어
1340: 측벽 부재 1350: 정렬 부재
1360: 제2 구동 부재 1400: 가공 장치
1410: 제1 롤러 부재 1420: 제2 롤러 부재
1430: 가공 부재 1431: 절단날
1440: 제2 감지 센서 1500: 탈착 커버 부착 장치
1510: 테이블 1511: 흡기홀
1520: 제1 공급 부재 1530: 제1 이탈 부재
1540: 제1 보관 부재 1550: 제1 감지 센서
1560: 공기 흡입 유닛 1600: 밀봉 장치
1610: 제1 가압 부재 1620: 제2 가압 부재
1630: 제3 가압 부재 1631: 브라켓
1632: 샤프트 1640: 편심 부재
1650: 승강 부재 1660: 왕복 이동 부재
1670: 밀봉 부재 1700: 개폐 커버 공급 장치
1710: 프레임 부재 1711: 인입부
1720: 수납 부재 1730: 이송 트레이
1731: 돌출부 1740: 배출 유닛
1741: 밀착 부재 1742: 제1 구동 부재
1800: 스티커 부착 장치 1810: 제2 공급 부재
1820: 제2 이탈 부재 1830: 제2 보관 부재
1840: 누름 부재 1850: 간격 센서
1900: 개폐 커버 부착 장치 1910: 파지 부재
1911: 진공 흡착부 1912: 위치 제어부
1920: 도포 부재 M: 포장재
K: 개구부 G: 태그
P1: 원단 P2: 원단 뭉치
S: 스티커 F: 개폐 커버
E: 탈착 커버 Y1: 제1 이형지
Y2: 제2 이형지
Claims (5)
- 원단을 적층하는 적층 장치;
상기 원단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
적층된 상기 원단을 일정간격마다 절단하여 복수의 원단 뭉치를 생성하는 원단 절단 장치;
상기 복수의 원단 뭉치 각각이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도록 상기 원단 뭉치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원단 뭉치 정렬 장치;
상기 원단 뭉치를 포장하는 포장재의 일부분에 원단 뭉치의 하나 이상의 원단이 배출되게 하는 개구부를 가공하는 가공 장치;
상기 포장재로 상기 원단 뭉치를 감싸는 포장 장치;
상기 포장재가 상기 원단 뭉치를 개별적으로 밀봉하도록 상기 포장재를 절단하여 밀봉하는 밀봉 장치;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탈착 커버를 부착하는 탈착 커버 부착 장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를 하나씩 배출하여 이송하는 개폐 커버 공급 장치;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로부터 하나씩 배출되는 상기 개폐 커버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스티커 부착 장치;
상기 스티커가 부착된 상기 개폐 커버를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탈착 커버가 위치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부착하는 개폐 커버 부착 장치; 및
상기 적층 장치, 상기 원단 절단 장치, 상기 이송 장치,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 상기 가공 장치, 상기 포장 장치, 상기 밀봉 장치, 상기 탈착 커버 부착 장치,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 및 상기 개폐 커버 부착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커버 공급 장치는,
상측 일부분이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내부에 상기 개폐 커버가 적층되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인입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 부재의 가장 하측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내부에 적층된 상기 개폐 커버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상기 개폐 커버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 및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어 상기 개폐 커버의 후단부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개폐 커버를 상기 스티커 부착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트레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 트레이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 유닛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 부재; 및
상기 밀착 부재가 상기 개폐 커버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밀착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이고,
상기 밀착 부재에서 상기 개폐 커버와 접촉되는 부분의 양측은 상기 개폐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양측 사이는 원호 형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는,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상기 원단 뭉치를 공급받아서 다른 이송 장치로 전달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공급된 상기 원단 뭉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원단 뭉치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 센서보다 앞에 위치되고, 상기 원단 뭉치의 전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상기 원단 뭉치의 이동을 기준 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진행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동작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뭉치 정렬 장치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측벽 부재;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단 뭉치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측벽 부재에 밀착시키는 정렬 부재; 및
상기 정렬 부재가 상기 원단 뭉치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정렬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5110A KR20240141077A (ko) | 2023-03-17 | 2023-03-17 | 물티슈 제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5110A KR20240141077A (ko) | 2023-03-17 | 2023-03-17 | 물티슈 제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1077A true KR20240141077A (ko) | 2024-09-25 |
Family
ID=9291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5110A KR20240141077A (ko) | 2023-03-17 | 2023-03-17 | 물티슈 제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41077A (ko) |
-
2023
- 2023-03-17 KR KR1020230035110A patent/KR202401410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02786B2 (ja) | ラベル貼付方法およびラベル貼付装置 | |
TWI541134B (zh) | Sheet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and sheet bonding apparatus and sticking method | |
US8544519B2 (en) | Tack labeler | |
US20110083401A1 (en) | Method and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 |
JP2000502309A (ja) | ラベルを準備して貼付する装置及び該装置の運転法 | |
CN104684811A (zh) | 用于将标签施用于盒子的设备和方法 | |
CZ305987B6 (cs) | Způsob a zařízení k lepení kapes na vnějšek kontejneru | |
CN112224485B (zh) | 外带物品打包机 | |
JPH11193011A (ja) | ストロー取り付け装置及び方法 | |
JP2016152178A (ja) | 積層装置 | |
KR20100115938A (ko) | 시트형 내용물 자동 포장 시스템 | |
CN115504052B (zh) | 高精度烟包贴标装置 | |
JP2001315732A (ja) | ラベル貼り付け装置 | |
KR20240141077A (ko) | 물티슈 제조 시스템 | |
KR20240141078A (ko) | 물티슈 제조 시스템 | |
JPH08318913A (ja) | 袋開口装置 | |
JP2007064275A (ja) | タイヤ小組バランス修正装置 | |
JPH0924901A (ja) | 蓋部材装着方法及び装置 | |
CN210653763U (zh) | 端子热封设备 | |
JP6209238B2 (ja) | 製袋機の把手貼付部 | |
JPH11292025A (ja) | 吸引搬送装置,それを用いた包装方法及び包装機 | |
KR101778633B1 (ko) | 상품 포장을 위한 자동 래핑 시스템 | |
WO2014192150A1 (ja) | ラベル貼付装置 | |
CN213893015U (zh) | 外带物品打包机 | |
JP3762885B2 (ja) | テープ貼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