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7296A -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7296A KR20240127296A KR1020240020570A KR20240020570A KR20240127296A KR 20240127296 A KR20240127296 A KR 20240127296A KR 1020240020570 A KR1020240020570 A KR 1020240020570A KR 20240020570 A KR20240020570 A KR 20240020570A KR 20240127296 A KR20240127296 A KR 202401272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wall
- flat socket
- contact device
- socket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749 Copper compou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880 coppe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5—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having different types of direct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력 연결을 위한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에 관한 것이며, 이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캐리어 구조물(101) ─ 캐리어 구조물(101)은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박스 유닛(103)을 형성하며, 접점 박스 유닛 내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에 전기식으로 접점하기 위한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105)는 플러깅될 수 있음 ─ ; 및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플러깅된 탭 접점부(105)에 접점하기 위해 접점 박스 유닛(103)에 배열되는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본체(107)를 포함하며, 접점 본체(107)는 캐리어 구조물(101)의 기초 벽(109) 상에 배열되며, 기초 벽(109)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캐리어 구조물(101)의 최상부 벽(111) 상에, 탭 접점(105)에 기계식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이 배열되며, 그리고 최상부 벽(111)은 기초 벽(109)의 벽 두께의 적어도 2배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공학에서의 사용을 위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flat socket contact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소켓 접촉 디바이스는 특히, 전기식으로 전력공급될 수 있는 차량의 전기 배터리 모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고전류 범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자동차 공학에서 전기 전력 연결들을 위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문제는 전기 고전류 연결을 위한 개선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문제는 독립항에 따라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기 전력 연결을 위한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캐리어 구조물(carrier structure) ─ 캐리어 구조물은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박스 유닛을 형성하며, 접점 박스 유닛 내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에 전기식으로 접점하기 위한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는 플러깅될(plugged) 수 있음 ─ ; 및
접점 박스 유닛 내로 플러깅된 탭 접점부에 접점하기 위해 접점 박스 유닛에 배열되는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본체를 포함하며,
접점 본체는 캐리어 구조물의 기초 벽 상에 배열되며, 기초 벽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캐리어 구조물의 최상부 벽 상에, 탭 접점에 기계식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spring element unit)이 배열되며, 그리고 최상부 벽은 기초 벽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
이는, 개선된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가 전기 고전류 연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가 고전류 연결을 생성하도록 플러깅될 수 있는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박스 유닛을 형성하는 캐리어 구조물을 포함한다. 탭 접점부에 접점하기 위한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본체는 접점 박스 유닛에 배열된다. 접점 본체의 최상부 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이 배열되며, 스프링 요소 유닛에 의해, 플러그형 탭 접점부의 접점이 실시될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의 최상부 벽은 여기서 캐리어 구조물의 기초 벽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 더 큰 벽 두께로 인해, 스프링 요소 유닛의 보다 높은 접점 수직력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접점 박스 유닛 내로 플러깅된 탭 접점부는 증가된 접점 압력으로 접점 본체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는 탭 접점부와 접점 본체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스프링 요소 유닛의 복원력들은 60뉴턴의 구역에서 접점 수직력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용에 따라, 보다 높은 복원력들을 갖는 스프링 요소 유닛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것이 요구된다면, 보다 높은 접점 수직력들을 가능하게 한다. 탭 접점부 상의 스프링 요소 유닛에 의해 가해지는 높은 접점 수직력들은 탭 접점부을 접점 본체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가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셀프-플러그형 탭 접점과 접점 본체 사이에 효율적인 전기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고전류 연결에 대해 적합하다. 스프링 요소 유닛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높은 접점 수직력들은 또한, 탭 접점부와 접점 본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보다 큰 진동 저항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HV 진동 등급들 > 2+ 또는 등급 3의 요건들을 충족시킨다.
기초 벽 및 최상부 벽은 직육면체 캐리어 구조물 또는 접점 박스 유닛의 2개의 가장 큰 표면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서로 반대편에 배열된다. 캐리어 구조물 또는 접점 박스 유닛은 주로 직육면체인 수용 공간을 규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상부 벽은 내부 부분 벽 및 외부 부분 벽을 포함하며,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은 평면 방식으로 서로 접점하도록 배열되며, 내부 부분 벽은 접점 박스 유닛의 내벽을 규정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은 내부 부분 벽 상에 형성된다.
이의 기술적인 이점은, 최상부 벽이 서로 평면 접점하도록 배열되는 2개의 부분 벽들을 사용하여 벽 두께의 2배로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접점 박스 유닛의 내벽을 규정하는 내부 부분 벽은 접점 박스 유닛의 내부 내로 연장하는 스프링 요소 유닛을 포함한다. 내부 부분 벽 상에 놓이는 외부 부분 벽은,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 요소 유닛을 포함하지 않고, 그리고 스프링 요소 유닛의 접점 수직력이 증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내부 부분 벽을 강성화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내부 부분 벽 상에 놓이는 외부 부분 벽은 전체 캐리어 구조물의 기술적으로 간단한 강성화 및 따라서 스프링 요소 유닛의 가능한 접점 수직력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증가된 접점 수직력을 탭 접점부에 가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삽입된 탭 접점부의 개선된 전기적 접점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최상부 벽의 벽 두께는 기초 벽의 벽 두께의 적어도 2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벽은 제1 측벽 요소를 통해 그리고 제2 측벽 요소를 통해 내부 부분 벽에 일체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벽 요소들은 접점 박스 유닛의 측벽들을 규정한다.
이는 견고한 캐리어 구조물이, 제1 측벽 요소를 통해 내부 부분 벽에 그리고 제2 측벽 요소를 통해 외부 부분 벽에 대한 통합 연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접점 박스 유닛의 측벽들을 규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측벽 요소들은 접점 박스 유닛의 주로 직육면체인 수용 공간의 범위를 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구조물은 멀티-표면 굽힘 구조물로서 설계된다.
이는, 멀티-표면 굽힘 구조물이 캐리어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은 각각, 90° 굽힘부들을 통해 기초 벽에 대해 그리고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에 대해 각을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초 벽 그리고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에 대한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의 90° 굽힘부들이 캐리어 구조물의 간단한 그리고 견고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 90° 굽힘부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75° 내지 105°,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 범위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은 내부 부분 벽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내부 부분 벽 상의 스프링 요소 유닛의 일체형 설계가 스프링 요소 유닛의 견고한 설계 및 캐리어 구조물에 대한 스프링 요소 유닛의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은 굽힘 요소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내부 부분 벽의 측면 에지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스프링 요소 유닛은 180° 굽힘부에 걸쳐 내부 부분 벽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이는, 내부 부분 벽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굽힘 요소로서의 스프링 요소 유닛의 설계가, 견고한 스프링 요소 유닛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또한, 스프링 요소 유닛은 180° 굽힘부로 인해 접점 박스 유닛 내에서 제작하기에 용이하며, 이는, 스프링 요소 유닛이 내부 부분 벽에 대해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허용한다. 180° 굽힘부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165° 내지 195°,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9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185°,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의 각도 범위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부분 벽 및 외부 부분 벽은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 및/또는 용접된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의 기술적인 이점은, 클린치 연결부 및/또는 용접된 연결부가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이 함께 견고하게 그리고 고정되게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캐치는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를 유지 디바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외부 부분 벽 상에 그리고/또는 기초 벽 상에 배열된다.
이는, 외부 부분 벽 및/또는 기초 벽 상의 고정 캐치들 덕분에,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차량에서 장착 디바이스 상에 고정되게 배열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고정 캐치들은,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장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점 돔들 및/또는 스프링 요소 유닛들은 탭 접점부에 접점하기 위해 접점 본체 상에 형성된다.
이는, 접점 본체의 접점 돔들 및/또는 접점 스프링들이 접점과의 효율적인 그리고 강력한 접점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이점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고전류 전도를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를 통해 접점 박스 유닛 내의 캐리어 구조물의 기초 벽에 고정된다.
이는, 접점 본체가 클린치 연결부들에 의해 접점 박스 유닛에 고정되게 고정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클린치 연결부들은 여기서 접점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간단한 해결책이다.
적용의 의미 내에서, 클린치 연결부는 또한 잠금 탭 연결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는 전방 단부에 형성되며, 이 클린치 연결부를 통해, 탭 접점부는 접점 박스 유닛 내로 그리고/또는 전방 단부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접점 박스 유닛의 후방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접점 본체가 삽입 개구를 통해 접점 박스 유닛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전방 단부의 클린치 연결부가 방지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접점 박스 유닛의 후방 단부에서의 클린치 연결부들은, 접점 본체가 접점 박스 유닛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 단부의 클린치 연결부들은 접점 본체의 측면 구역 상에 배열된다.
접점 박스 유닛의 전방 단부는 접점 박스 유닛의 삽입 개구에 의해 규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해 접점 본체의 전방 단부에 그리고/또는 측면 구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오목부를 포함한다.
이는, 클린치 연결부들이 접점 본체의 전방 단부 또는 측면 구역의 오목부들을 통해 접점 본체에 고정되게 맞물릴 수 있어서, 접점 본체는, 접점 박스 유닛 내에서 이동하거나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 박스 유닛은 캐리어 구조물의 후방 벽에 의해 후방 단부에서 제한된다.
이는, 탭 접점부가 접점 박스 유닛을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접점 박스 유닛의 후방 단부에 배열되는 후방 벽이 방지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탭 접점부는 후방 벽에 의해 접점 박스 유닛 내에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벽은 내부 부분 벽의 측면 에지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방 벽은 90° 굽힘부를 통해 내부 부분 벽에 대해 각도를 두고 배열된다.
이는, 후방 벽이 내부 부분 벽 상의 후방 벽의 일체형 설계로 인해 캐리어 구조물에 고정되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내부 부분 벽에 대한 후방 벽의 90° 굽힘부는, 접점 박스 유닛에 대해 후방 벽을 정렬시키기 위한 간단한 기술적인 해결책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구조물은 스테인리스 강 또는 구리 화합물로 제조된다.
이는, 안정적인 그리고 견고한 캐리어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구조물은, 삽입된 탭 접점부에 접점하기 위해 최대 40N, 바람직하게는 50N, 특히 바람직하게는 60N의 접점 수직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을 통해 구성된다.
이는, 스프링 요소 유닛의 증가된 복원력을 통해, 증가된 접점 수직력이 접점될 탭 접점부에 가해질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이는 접점 본체와 탭 접점부의 고성능 전기적 접점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고전류 범위에서 고전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높은 접점 수직력들은 연결의 진동 저항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접점 수직력은 탭 접점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탭 접점부는 스프링 요소 유닛을 통해 접점 박스 유닛에 클램프될 수 있다.
이는, 스프링 요소 유닛의 증가된 복원력 및 탭 접점 상에 가해지는 접점 수직력을 통해, 탭 접점부가 접점 박스 유닛에 고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접점 박스 유닛으로부터 탭 접점의 미끄러짐 및 전기 접점의 연관된 중단이 회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적어도 대략 200V, 300V, 400V, 500V, 1kV, 1.25kV 또는 1.5kV의 전기 전압들에 대해 그리고/또는 적어도 대략 200A, 300A, 400A, 500A, 600A, 800A, 1kA 또는 1.25kV의 전기 전류들에 대해 설계된다.
이는,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가 다양한 전압들 및 전류들을 위해, 특히 고전압 또는 고전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전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 및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를 갖는 전기 연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8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8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시스템(2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전기 연결 시스템(200)은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및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105)를 포함한다.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는 캐리어 구조물(101)을 포함한다. 캐리어 구조물(101)은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박스 유닛(103)을 규정한다. 탭 접점부(105)는 캐리어 구조물(101)의 개구(153)를 통해 캐리어 구조물(101)의 길이방향(L)을 따라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101)은 기초 벽(109), 기초 벽(109)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최상부 벽(111), 및 기초 벽(109) 및 최상부 벽(111)을 서로 연결시키는 2개의 측벽 요소들(121, 12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115, 117)은 횡방향(Q)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설계된다.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본체(107)는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박스 유닛(103)에 배열된다. 접점 본체(107)는 캐리어 구조물의 기초 벽(109) 상에 안착된다. 최상부 벽(111) 및 기초 벽(109)은 직육면체 접점 박스 유닛(103)의 2개의 큰 표면들에 의해 규정되고,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리고 접점 박스 유닛(103)의 높이-방향(H)을 따라 이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상부 벽(111)은 기초 벽(109)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최상부 벽(111)의 벽 두께는 기초 벽(109)의 벽 두께의 적어도 2배이다. 더욱이, 도 1에서는 보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최상부 벽(111) 상에 배열된다.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연장하고, 그리고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삽입되는 탭 접점부(105)와 접점하는 역할을 한다. 접점 수직력은 스프링 요소 유닛(113)을 통해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삽입된 탭 접점부(105) 상에 가해질 수 있다. 탭 접점부(105)는 접점 수직력을 통해 접점 본체(107)에 대해 가압되며, 그 결과로서, 탭 접점부(105)와 접점 본체(107) 사이에 전기 접점이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180° 굽힘을 통해 최상부 벽(111)에, 특히 내부 부분 벽(115)에 연결된다. 180° 굽힘은 내부 부분 벽(115) 상의 전방 단부(139)에 형성되며, 그리고, 따라서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접점 박스 유닛(103)의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접점 본체(107)는 또한 전기 전류 연결을 위해 라인 연결 요소(151)에 연결된다. 라인 연결 요소(151)는 캐리어 구조물(101)에 의해 규정된 접점 박스 유닛(103)의 외측에 배열되고, Z고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라인 연결 요소(151)는, 예를 들어, 케이블 러그(cable lug)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는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 본체(107)는, 예를 들어, 구리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라인 연결 요소(151)는 크림핑, 초음파 또는 용접 패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된 탭 접점부(105)는 접점 박스 유닛(103)에 배열되는 접점 본체(107)와 캐리어 구조물(101)의 최상부 벽(111) 사이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본체(107)는 전기 접점을 위한 복수의 접점 돔(dome)들(133)을 갖는다. 접점 돔들(133)은 접점 본체(107)의 표면(165)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이러한 표면(165)으로부터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삽입된 탭 접점(105)은 스프링 요소 유닛(113)의 접점 압력을 통해 접점 본체(107) 상으로 가압되며, 이에 의해 복수의 접점 돔들(133)과의 탭 접점부(105)의 점 접점이 실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돔들(133)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외부 표면(134)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형인 단부 구역(136)을 갖는 부분적으로 구형인 단부 구역(136)을 포함한다. 접점 돔들(13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 형상들을 가지고, 그리고 표면(165)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외부 표면들(134)을 포함한다. 표면(165)은 직육면체 접점 본체(107)의 2개의 큰 표면들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내부 부분 벽(115)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본체(107)는 클린치 연결부들(137)을 통해 캐리어 구조물(101)에 연결된다. 클린치 연결부들(137)은 여기서 캐리어 구조물(101)에 일체로 연결되고,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본체(107)의 측면 구역(143) 상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들(145)에 맞물린다. 측면 구역(143)은 2개의 측벽 요소들(121, 123)에 맞닿게 놓이는, 직육면체 접점 본체(107)의 작은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린치 연결부들(137)은 캐리어 구조물(101)의 후방 단부(141)에 형성된다. 후방 단부(141)는 여기서 캐리어 구조물(101)의 전방 단부(139)의 반대편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최상부 벽(111)은 외부 부분 벽(117) 및 도 1에서 보이지 않는 내부 부분 벽을 포함한다.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115, 117)은 여기서 서로의 최상부 상에 평탄하게 놓이도록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구조물(101)의 외부 경계를 규정하는 외부 부분 벽(117)은 고정 캐치(131)를 갖는다. 고정 캐치(131)는 예를 들어, 차량에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를 수용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는, 고정 캐치(131)를 통해 접점 디바이스들을 유지하기 위한 대응하는 유지 구조물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121, 123)은 각각, 단부 면(139)에서, 수용 챔버(103)의 방향으로 굽힘되는 2개의 폴드오버(foldover) 요소들(167)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폴드오버 요소들(167)은 180° 굽힘부를 가지고, 그리고 제1 및 제2 벽 요소들(121, 1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기초하고, 그리고 도 1에 설명된 특징들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도 2는 최상부 벽(111)의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115, 117)의 설계를 도시한다.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115, 117)은 여기서 서로의 최상부 상에 평탄하게 놓이도록 배열된다. 내부 부분 벽(115)은 접점 박스 유닛(103)의 내부 천장 경계를 설명한다. 이미 언급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내부 부분 벽(115) 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굽힘 요소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접점 박스 유닛(103)의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180° 굽힘부(169)를 가지고, 그리고 내부 부분 벽(115)에 일체로 연결된다.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180° 굽힘부(169)를 통해 내부 부분 벽(115)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스프링 요소 유닛은 캐리어 구조물(101)의 기초 벽(109)의 방향으로 접점 수직력을 가하도록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부분 벽(115)의 측면 에지의 180° 굽힘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따라서 제2 측벽 요소(123)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진다. 내부 부분 벽(115)의 측면 에지는 제2 측벽 요소(123)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접점 박스 유닛(103)의 길이방향 축(L)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굽힘 요소(125)로서 형성되는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제1 단부(114) 및 반대편으로 배열된 제2 단부(116)를 포함한다. 제1 단부가 180° 굽힘부에 연결되는 한편, 제2 단부(116)는 자유 단부로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단부들(114, 116) 사이에, 굽힘부(12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바 요소들(118, 122)이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 유닛(113)의 2개의 경사진 바 요소들(118, 122)은 굽힘부(120)로 인해 서로에 대해 각이 있다. 제2 단부(116)는 또한 내부 부분 벽(115)과 접점한다. 그 결과, 2개의 바 요소들(118, 122) 및 굽힘부(120)는 내부 부분 벽(115)으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접점 박스 유닛(103)의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단부(141)에 형성된 클린치 연결부들(137) 이외에도, 접점 본체(107)는 또한, 캐리어 구조물(101)에 고정되고 그리고 전방 단부(139)에 형성된 추가의 클린치 연결부(137)를 통해 특히 접점 박스 유닛(103)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접점 본체(107)는 전방 단부(139)에 추가의 수용 오목부(145)를 가지며, 이 수용 오목부 내로, 캐리어 구조물(101)의 클린치 연결부(137)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클린치 연결부(137)는 캐리어 구조물(101)의 기초 벽(109)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시된 클린치 연결부(137)는 또한, 접점 본체(107)의 표면(165)으로부터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연장하는 곡선형 구역(163)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본체(107)는 전술된 복수의 접점 돔들(133)을 갖는다. 접점 돔들(133)은 다시 형상이 주로 원통형이고 그리고 접점 본체(107)의 표면(165)으로부터 돌출한다. 접점 돔들(133)은 접점 본체(107)의 표면(165) 위에서 서로 이격된 그룹들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구조물(101)은 또한, 후방 단부(141)에 후방 벽(147)을 갖는다. 후방 벽(147)은 기초 벽(109)에 연결되고, 그리고 기초 벽(109)에 대해 각을 두고 배열된다. 접점 박스 유닛(103)은 후방 벽(147)에 의해 후방 단부(141)를 향해 경계가 정해진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더욱이, 내부 부분 벽들(115) 및 외부 부분 벽들(117)은 2개의 클린치 연결부들(129)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린치 연결부들(129)은 전방 단부(139)에서 외부 부분 벽(117)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내부 부분 벽(115) 주위에서 맞물린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 요소(121)는 주로 연속 벽 요소로서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측벽 요소(123)는, 전방 단부(139)에 하나가 그리고 후방 단부(141)에 하나가 배열되는 2개의 바 요소들(173)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기초한 것이고, 그리고 도 2에 설명된 모든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가의 고정 캐치(131)는 캐리어 구조물(101)의 기초 벽(109) 상에 형성된다. 추가의 고정 캐치(131)는 다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가 대응하는 리셉터클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초 벽(109) 및 외부 부분 벽(117) 상의 고정 캐치들(131) 각각은 개개의 벽들(109, 117)로부터 펀칭 및 굽힘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이 벽들로부터 돌출한다.
도 4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에 기초하고, 그리고 도 2에 설명된 모든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115, 117)은 전방 단부(139)에 형성된 클린치 연결부들(129) 이외에도, 2개의 추가의 클린치 연결부들(129)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추가의 클린치 연결부들(129)은 여기서 캐리어 구조물(101)의 측면 구역(175) 상에 형성된다. 클린치 연결부들(129)은 제1 측벽 요소(121)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 부분 벽(117)은 사이드 클린치 연결부들(129)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수용 오목부들(177)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들은 외부 부분 벽(117)의 측면 구역(175) 상에 배열된다.
도 5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에 기초하고, 그리고 도 4에서 설명되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시되는 실시예는, 제2 측벽 요소(123)가 연속 벽 요소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바 요소들(173)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욱이, 접점 본체(107)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방 단부(139)에 형성된 클린치 연결부(137)는 곡선형 구역(163) 없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클린치 연결부(137)는 접점 본체(107)의 표면(165)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121, 123)은 도 1에서 이미 도시된 측면 폴드오버 요소들(167)을 갖는다.
또한, 외부 부분 벽(117)은 전방 단부(139)에 클린치 연결부들(129)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부분 벽들(115) 및 외부 부분 벽들(117)은 측면 구역(175) 상에 형성된 클린치 연결부들(129)을 통해 배타적으로 서로에 고정된다.
도 6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에 기초한다. 도 4의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추가의 클린치 연결부들(129)은 측면 구역(175)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전방 단부(139)에 형성된 클린치 연결부(137)는 곡선형 구역(163)을 가지지 않는다. 클린치 연결부(137)는 접점 본체(107)의 표면(165) 상에 직접적으로 놓이는 접점 구역(179)을 갖는다. 더욱이, 접점 본체(107)의 접점 돔들(133)은 접점 스프링들(135)에 의해 대체된다. 접점 스프링들(135)은 캐리어 구조물(101)의 길이방향(L)에 수직으로 이어진다. 길이방향(L)은 여기서 전방 단부(139)로부터 후방 단부(141)로 이어진다.
복수의 접점 스프링들(135)은 슬롯형 오목부들(159)에 의해 분리되며, 이 슬롯형 오목부들은 또한 길이방향(L)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접점 스프링들(135) 각각은 제1 단부(181) 및 반대로 배열된 제2 단부(183)를 갖는다. 제1 단부(181)가 접점 본체(107)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제2 단부(183)는 자유 단부로서 형성된다. 접점 스프링들(135)은 또한 곡선형 구역(185)을 갖는다. 곡선형 구역(185)은 제1 및 제2 단부들(181, 183)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리고 접점 박스 유닛(103)의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한다.
접점 스프링들(135)의 제2 단부들(183)은 둥근 오목부들(161) 내에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제2 단부(183)는 접점 본체(107)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그리고 접점 스프링들은 곡선형 구역(183)을 통해 접점 수직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도 7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 6의 실시예에 기초하고, 그리고 도 2에 설명된 모든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 7은 주로 도 6의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접점 스프링들(135)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그리고 길이방향(L)에 수직인 것으로 도시된다. 접점 스프링들(135)은 슬롯형 오목부들(177)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그리고 제2 단부들(183)은 둥근 오목부들(161)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도 8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의 캐리어 구조물(101)은 가간섭성 굽힘 구조물로서 설계된다. 캐리어 구조물(101)의 개별 구성요소들, 즉 기초 벽(109),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115, 117), 및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121, 123)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기초 벽(109)은 여기서 제3 측면 에지(187)에서 제1 측벽 요소(121)에 그리고 제4 측면 에지(189)를 통해 제2 측벽 요소(123)에 연결된다. 외부 부분 벽(117)은 또한 제5 측면 에지(191)를 통해 제2 측벽 요소(123)에 연결된다. 내부 부분 벽(115)은 제2 측면 에지(149)를 통해 제1 측벽 요소(121)에 연결된다. 더욱이,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내부 부분 벽(115)의 제1 측면 에지(127) 상에 형성된다.
상기 측면 에지들에 대한 연결부들에서,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121, 123)은 90°의 굽힘부들(171)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에서, 캐리어 구조물(101)은 굽힘되지 않은 형태로 도시되고 그리고 평탄한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의 3차원의 주로 직육면체인 캐리어 구조물(101)은 90° 굽힘부들(171) 및 180° 굽힘부들(169)에서의 대응하는 굽힘 공정들에 의해 제조된다.
더욱이, 외부 부분 벽(117)은 전방 에지(193)에서 서로 이격된 2개의 클린치 연결부들(129)을 갖는다. 유사하게는, 외부 부분 벽(117)은 후방 에지(195)에서 2개의 클린치 연결부들(129)을 갖는다.
유사하게는, 기초 판(109)은 전방 에지(193)에서 추가의 클린치 연결부(137) 및 후방 에지(195)에서 2개의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클린치 연결부들(137)을 갖는다.
클린치 연결부들(129, 137) 각각은 180° 굽힘부들(169)을 가지며, 이 굽힘부들에 의해, 클린치 연결부들(129)은 내부 부분 벽(115) 주위에서 굽힘될 수 있으며, 그리고 클린치 연결부들(137)은 접점 본체(107) 주위에서 굽힘될 수 있다.
내부 부분 플레이트(115)는 또한, 후방 에지(195)에 후방 벽(147)을 갖는다. 결국, 후방 벽(147)은 90° 굽힘부(171)를 통해 내부 부분 플레이트(115)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따라서 접점 박스 유닛(103)의 후방 경계결정(delimitation)을 제공하기 위해 90°를 통해 굽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스프링(135)은 180° 굽힘부(169)를 통해 제1 측면 에지(127) 상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유닛은 굽힘 요소(125)로서 설계되고,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3개의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을 가지며, 이 스프링 요소 유닛들은 슬롯들(155)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굽힘 요소(125)는 제1 단부(114) 및 반대편으로 배열된 제2 단부(116)를 갖는다. 굽힘 요소(125)는 제1 단부(114)를 통해 180° 굽힘부(169)에 연결되는 반면, 제2 단부(116)는 자유 단부로서 형성된다. 개별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은 굽힘부(12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바 요소들(118, 122)을 갖는다. 바 요소들(118, 122)은 굽힘부(120)를 통해 서로에 대해 각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180° 굽힘부(169)와 같은 굽힘부(120) 및 바 요소들(118, 122)을 통해,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은 대응하는 접점 수직력을 실시할 수 있다. 180° 굽힘부(169)는,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 또는 굽힘 요소(125)가 내부 부분 벽(115)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은 접점 박스 유닛의 길이방향(L)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부분 벽(115)을 따라 연장하기 때문이다. 제2 단부들(116)은 여기서 내부 부분 벽(115)과 접점할 수 있는 반면, 굽힘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바 요소들(118, 122)은 내부 부분 벽(115)으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접점 박스 유닛(103)의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하여, 복귀를 보장한다.
유사하게는,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 또는 굽힘 요소(125)의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은 또한, 도 1 및 도 5의 실시예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180° 굽힘부(169)을 통해 내부 부분 벽(115)의 전방 에지(19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굽힘 요소(125)의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은 접점 박스 유닛(103)의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 요소(121)는 90°의 굽힘부들(171)의 구역에 배열되는 4개의 슬롯들(155)을 갖는다. 유사하게는, 제2 측벽 요소(123)는 오목부(157)를 가지고, 바 요소들(173)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더욱이, 기초 벽(109) 및 외부 부분 벽(117)은 고정 캐치들(131)을 갖는다. 고정 캐치들(131) 각각은 제1 단부(196) 및
반대편의 제2 단부(197)를 갖는다. 제1 단부(196)는 굽힘부(198)를 통해 기초 벽(109) 또는 외부 부분 벽(117)에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단부(197)는 자유 단부로서 형성된다. 굽힘부(198)를 통해, 고정 캐치(131)는 원하는대로 설정될 수 있는 각도로 기초 벽(109) 또는 외부 부분 벽(117)에 대해 굽힘될 수 있다. 이는, 고정 캐치(137)가 접점 수직력을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고정 캐치(137)는 스탬핑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그리고 주로 U-형상 슬롯(199)에 의해 둘러싸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구조물(101)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다. 캐리어 구조물(101)은 스탬핑 공정에 의해 대응하는 시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굽힘부들(169, 171, 198)에서 전술된 굽힘 공정들에 의해 도 1 내지 도 7의 3차원 캐리어 구조물(101)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는 실시예는 주로 단지 예시적이며, 다양한 인자들과 관련하여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요소 유닛들(113)은 도시된 실시예와 형상, 수, 및 배향이 상이할 수 있다.
100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
101 캐리어 구조물
103 접점 박스 유닛
105 탭 접점부
107 접점 본체
109 기초 벽
111 최상부 벽
113 스프링 요소 유닛
114 제1 단부
115 내부 부분 벽
116 제2 단부
117 외부 부분 벽
118 바 요소
119 내부 벽
120 굽힘부
121 제1 측벽 요소
122 바 요소
123 제2 측벽 요소
125 굽힘 요소
127 제1 측면 에지
129 클린치 연결부
131 고정 캐치
133 접점 돔
134 외부 표면
135 접점 스프링
136 단부 구역
137 클린치 연결부
139 전방 단부
141 후방 단부
143 측면 구역
145 수용 오목부
147 후방 벽
149 제2 측면 에지
151 라인 요소
153 개구
155 슬롯
157 오목부
159 슬롯형 오목부
161 둥근 오목부
163 곡선 구역
165 표면
167 폴드오버 요소
169 180° 굽힘부
171 90° 굽힘부
173 바 요소
175 측면 구역
177 수용 오목부
179 접점 구역
181 제1 단부
183 제2 단부
185 곡선 구역
187 제3 측면 에지
189 제4 측면 에지
191 제5 측면 에지
193 전방 에지
195 후방 모서리
196 제1 단부
197 제2 단부
198 굽힘부
199 U-형상 슬롯
200 전기 고전압 연결 시스템
H 높이 방향
L 길이 방향
Q 횡단 방향
101 캐리어 구조물
103 접점 박스 유닛
105 탭 접점부
107 접점 본체
109 기초 벽
111 최상부 벽
113 스프링 요소 유닛
114 제1 단부
115 내부 부분 벽
116 제2 단부
117 외부 부분 벽
118 바 요소
119 내부 벽
120 굽힘부
121 제1 측벽 요소
122 바 요소
123 제2 측벽 요소
125 굽힘 요소
127 제1 측면 에지
129 클린치 연결부
131 고정 캐치
133 접점 돔
134 외부 표면
135 접점 스프링
136 단부 구역
137 클린치 연결부
139 전방 단부
141 후방 단부
143 측면 구역
145 수용 오목부
147 후방 벽
149 제2 측면 에지
151 라인 요소
153 개구
155 슬롯
157 오목부
159 슬롯형 오목부
161 둥근 오목부
163 곡선 구역
165 표면
167 폴드오버 요소
169 180° 굽힘부
171 90° 굽힘부
173 바 요소
175 측면 구역
177 수용 오목부
179 접점 구역
181 제1 단부
183 제2 단부
185 곡선 구역
187 제3 측면 에지
189 제4 측면 에지
191 제5 측면 에지
193 전방 에지
195 후방 모서리
196 제1 단부
197 제2 단부
198 굽힘부
199 U-형상 슬롯
200 전기 고전압 연결 시스템
H 높이 방향
L 길이 방향
Q 횡단 방향
Claims (20)
- 전력 연결을 위한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electrical flat socket contact device)(100)로서,
상기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는,
캐리어 구조물(carrier structure)(101) ─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은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박스 유닛(103)을 형성하며, 상기 접점 박스 유닛 내로, 상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에 전기식으로 접점하기 위한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105)는 플러깅될(plugged) 수 있음 ─ ; 및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플러깅된 상기 탭 접점부(105)에 접점하기 위해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에 배열되는 주로 직육면체인 접점 본체(107)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 본체(107)는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의 기초 벽(109) 상에 배열되며, 상기 기초 벽(109)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의 최상부 벽(111) 상에, 상기 탭 접점(105)에 기계식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spring element unit)(113)이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최상부 벽(111)은 상기 기초 벽(109)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가지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벽(111)은 내부 부분 벽(115) 및 외부 부분 벽(117)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115, 117)은 평면 방식으로 서로 접점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내부 부분 벽(115)은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의 내벽(119)을 규정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상기 내부 부분 벽(115) 상에 형성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벽(109)은 제1 측벽 요소(121)를 통해 상기 내부 부분 벽(115)에 그리고 제2 측벽 요소(123)를 통해 상기 외부 부분 벽(117)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벽 요소들(121, 123)은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의 측벽들을 규정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은 멀티-표면 굽힘 구조물(multi-surface bending structure)로서 설계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 요소들(121, 123)은 각각, 90° 굽힘부들을 통해 상기 기초 벽(109)에 대해 그리고 상기 내부 및 외부 부분 벽들에 대해 각을 두고 배열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상기 내부 부분 벽(115)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굽힘 요소(125)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상기 내부 부분 벽(115)의 측면 에지(127)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스프링 요소 유닛(113)은 180° 굽힘부를 통해 상기 내부 부분 벽(115)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 벽(115) 및 상기 외부 부분 벽(117)은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clinch connection)(129) 및/또는 용접된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캐치(131)는 상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를 유지 디바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 부분 벽(117) 상에 그리고/또는 상기 기초 벽(109) 상에 배열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점 돔(contacting dome)(133)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 스프링(135)은 상기 탭 접점부(105)에 접점하기 위해 상기 접점 본체(107) 상에 형성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본체(107)는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137)를 통해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 내에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의 기초 벽(109)에 연결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137)는 전방 단부(139)에 형성되며, 상기 클린치 연결부를 통해, 상기 탭 접점(105)은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 내로 그리고/또는 상기 전방 단부(139)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의 후방 단부(141)에 플러그될 수 있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본체(107)는, 상기 접점 본체(107)의 전방 단부(139) 및/또는 측면 구역(143)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린치 연결부(137)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오목부(145)를 포함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은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의 후방 벽(147)을 통해 상기 후방 단부(141)에서 범위가 정해지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벽(147)은 상기 내부 부분 벽(115)의 측면 에지(149)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후방 벽(147)은 90° 굽힘부를 통해 상기 내부 부분 벽(115)에 대해 각을 두고 배열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은 스테인레스 강 또는 구리 화합물로 제작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101)은, 상기 플러그-인된 탭 접점부(105)에 접점하기 위해 최대 40N, 바람직하게는 50N, 특히 바람직하게는 60N의 접점 수직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유닛(113)을 통해 구성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접점부(105)는, 상기 스프링 요소 유닛(113)을 통해 상기 접점 박스 유닛(103)에 클램프될 수 있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대략 200V, 300V, 400V, 500V, 1kV, 1.25kV 또는 1.5kV의 전기 전압들에 대해 그리고/또는 적어도 대략 200A, 300A, 400A, 500A, 600A, 800A, 1kA 또는 1.25kV의 전기 전류들에 대해 설계되는,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 -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100)를 포함하고 그리고 주로 직육면체인 탭 접점부(105)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시스템(2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3103680.7A DE102023103680A1 (de) | 2023-02-15 | 2023-02-15 | Flachbuchsenkontakteinrichtung |
DE102023103680.7 | 2023-02-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7296A true KR20240127296A (ko) | 2024-08-22 |
Family
ID=8990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0570A KR20240127296A (ko) | 2023-02-15 | 2024-02-13 |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75101A1 (ko) |
EP (1) | EP4418468A1 (ko) |
JP (1) | JP2024116097A (ko) |
KR (1) | KR20240127296A (ko) |
CN (1) | CN118508122A (ko) |
DE (1) | DE10202310368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19514A1 (de) | 1996-05-14 | 1997-11-20 | Grote & Hartmann | Flachsteckkontakthülse |
JP4722707B2 (ja) | 2005-10-13 | 2011-07-1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
DE102011054316B4 (de) | 2011-10-07 | 2021-04-01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Zweiteiliges Crimpkontaktelement |
JP2018049682A (ja) * | 2016-09-20 | 2018-03-29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雌端子及びコネクタ |
DE102016120050A1 (de) | 2016-10-20 | 2018-04-26 | Lisa Dräxlmaier GmbH | Kontaktteil |
-
2023
- 2023-02-15 DE DE102023103680.7A patent/DE102023103680A1/de active Pending
-
2024
- 2024-02-08 CN CN202410177092.4A patent/CN118508122A/zh active Pending
- 2024-02-12 US US18/438,879 patent/US20240275101A1/en active Pending
- 2024-02-12 EP EP24157053.0A patent/EP4418468A1/en active Pending
- 2024-02-13 JP JP2024019112A patent/JP2024116097A/ja active Pending
- 2024-02-13 KR KR1020240020570A patent/KR20240127296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23103680A1 (de) | 2024-08-22 |
CN118508122A (zh) | 2024-08-16 |
JP2024116097A (ja) | 2024-08-27 |
EP4418468A1 (en) | 2024-08-21 |
US20240275101A1 (en) | 2024-08-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16332B1 (en) | Contact part | |
JP5888790B2 (ja) | レセプタクル端子 | |
US20170062955A1 (en) | Connector Assembly With A Blade Connector | |
US9478875B2 (en) | Connecting terminal | |
TWI275218B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 |
WO2021145447A1 (ja) | 端子 | |
US10522929B2 (en) | Connector to provide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 |
KR102227471B1 (ko) | 전력 단자 커넥터 | |
US11749926B2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vehicle | |
CN112636032A (zh) | 包括具有导体布置的母线的电气连接布置以及夹子元件 | |
CN116569421A (zh) | 端子单元 | |
US20220190504A1 (en) | Connector, connection apparatus and connection method | |
CN108140975B (zh) | 端子 | |
US11005203B2 (en) | Terminal module | |
CN108140974B (zh) | 端子 | |
WO2019167599A1 (ja) | 雌端子 | |
CN113169474A (zh) | 用于导电连接的插座接触元件 | |
KR20240127296A (ko) | 플랫 소켓 접점 디바이스 | |
CN114465032A (zh) | 电连接器组件 | |
US5857877A (en) | Receptacle container for pressed screen contact pins | |
KR20210129964A (ko) |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 |
US20230402770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CN212011357U (zh) | 一种母端子 | |
US20240178596A1 (en) | Terminal module | |
JP7548161B2 (ja)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