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12634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6344A
KR20240126344A KR1020230019008A KR20230019008A KR20240126344A KR 20240126344 A KR20240126344 A KR 20240126344A KR 1020230019008 A KR1020230019008 A KR 1020230019008A KR 20230019008 A KR20230019008 A KR 20230019008A KR 20240126344 A KR20240126344 A KR 2024012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ity state
message
cell
rr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엽
아닐 아지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6344A/ko
Priority to PCT/KR2024/001954 priority patent/WO2024172425A1/ko
Publication of KR2024012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634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BILITY STAT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TH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동성 상태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RRC_INACTIVE)에 있는 단말이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하는 도면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k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l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m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n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o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p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q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제어부(control unit), 프로세서(processor),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델(model), 인코더(encoder), 디코더(decoder), 오토인코더(autoencoder, AE), 신경망(neural network, NN) 모델 등) 및 데이터를 지칭하는 용어(신호(signal), 피드백(feedback), 보고(report, reporting), 정보(information), 파라미터(parameter), 값(value), 비트(bit), 코드워드(codeword)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 gNode B(next generation node B, gNB), eNode B(evolved node B, eNB), Node B,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NR(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Internet of Things)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뿐 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또는 UE)이 기지국(또는 eNB, gNB)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MBB), 대규모 기계형 통신(mMTC), 초신뢰 저지연 통신(URLLC)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더욱 향상된 다중 안테나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oT)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가 요구될 수 있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로서,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초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초신뢰도)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5G 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mMTC, URLLC, eMBB는 서로 다른 서비스 유형의 예시일 뿐,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서비스 유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LTE, LTE-A, LTE Pro, 5G(또는 NR), 또는 6G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 (1a-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a-30, Serving-Gateway)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 ~ 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a에서 ENB(1a-05 ~ 1a-20)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될 수 있다. ENB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 ~ 1a-2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1b-40), RLC (Radio Link Control 1b-10, 1b-35), MAC (Medium Access Control 1b-15, 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1b-05, 1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PDCP는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Protocol Data Units) at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Radio Link Control) AM(Acknowledged Mode))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Service Data Unit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Dual Connectivity),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RLC는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Unacknowledged mode)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physical, PHY) 계층(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물리 계층은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2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gNB 혹은 NR 기지국)(1c-10) 과 NR CN (1c-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1c-15)은 NR gNB(1c-10) 및 NR CN (1c-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c에서 NR gNB(1c-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될 수 있다. NR gNB는 NR UE(1c-15)와 무선 채널(1c-20)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1c-1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NR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NR CN (1c-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quality of service)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 (1c-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1c-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 1d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1d-01, 1d-45), NR PDCP(1d-05, 1d-40), NR RLC(1d-10, 1d-35), NR MAC(1d-15, 1d-30)으로 이루어진다.
NR SDAP(1d-01, 1d-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NR SDAP은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down link) and UL(up link))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를 마킹하는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f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RC 메시지에 의해,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를 이용하여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oS flow ID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 (1d-05, 1d-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NR PDCP는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1d-10, 1d-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NR RLC는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1d-15, 1d-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NR MAC는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물리(PHY) 계층(1d-20, 1d-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R 물리 계층은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RRC_INACTIVE)에 있는 단말이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하는 도면이다.
셀 재선택 평가 절차는,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RRC_INACTIVE)에 있는 단말이, 소정의 이유 또는 이동으로 인해 현재 캠프-온(camp-on) 하고 있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서비스 품질이 주변 셀(Neigbour cell)의 서비스 품질보다 낮아질 때, 현재 서빙 셀을 유지할 지 아니면 주변 셀로 셀을 재선택할 지를 결정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핸드오버의 경우 망(AMF 또는 source gNB)에 의해 핸드오버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반면에, 셀 재선택의 경우 셀 측정 값을 기반으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이 스스로 셀 재선택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이 재선택하게 되는 셀은, 현재 캠프-온하고 있는 서빙 셀과 같은 NR 주파수(NR intra-frequency 또는 서빙 NR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 서빙 셀과 다른 NR 주파수(NR inter-frequency)를 사용하는 셀 또는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이하 RAT)를 사용하는 주파수(inter-RAT frequency)에 있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단말(1e-01)은 NR 셀(1e-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e-03).
NR 셀(1e-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e-01)과 RRC 연결을 해제하고자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1e-04)할 수 있다. 메시지(RRCRelease)에 suspendConfig가 포함되면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1e-05)할 수 있다. 메시지(RRCRelease)에 suspendConfig가 포함되지 않으면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_IDLE)로 천이(1e-05)할 수 있다. 메시지(RRCRelease)에는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cellReselectionPriorities가 포함될 수 있다. cellReselectionPriorities는 freqPriorityListEUTRA, freqPriorityListNR, t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수납될 수 있다. 단말은 t320 값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값으로 T320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RRCRelease)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는 하기 표 0와 같을 수 있다.
RRCRelease ::= SEQUENCE {
rrc-TransactionIdentifier RRC-TransactionIdentifier,
criticalExtensions CHOICE {
rrcRelease RRCRelease-IEs,
criticalExtensionsFuture SEQUENCE {}
}
}

RRCRelease-IEs ::= SEQUENCE {
redirectedCarrierInfo RedirectedCarrierInfo OPTIONAL, -- Need N
cellReselectionPriorities CellReselectionPriorities OPTIONAL, -- Need R
suspendConfig SuspendConfig OPTIONAL, -- Need R
deprioritisationReq SEQUENCE {
deprioritisationType ENUMERATED {frequency, nr},
deprioritisationTimer ENUMERATED {min5, min10, min15, min30}
} OPTIONAL, -- Need N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OPTIONAL,
nonCriticalExtension RRCRelease-v1540-IEs OPTIONAL
}

RRCRelease-v1540-IEs ::= SEQUENCE {
waitTime RejectWaitTime OPTIONAL, -- Need N
nonCriticalExtension RRCRelease-v1610-IEs OPTIONAL
}

RRCRelease-v1610-IEs ::= SEQUENCE {
voiceFallbackIndication-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N
measIdleConfig-r16 SetupRelease {MeasIdleConfigDedicated-r16} OPTIONAL, -- Need M
nonCriticalExtension RRCRelease-v1650-IEs OPTIONAL
}

RRCRelease-v1650-IEs ::= SEQUENCE {
mpsPriorityIndication-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Cond Redirection2
nonCriticalExtension SEQUENCE {} OPTIONAL
}

RedirectedCarrierInfo ::= CHOICE {
nr CarrierInfoNR,
eutra RedirectedCarrierInfo-EUTRA,
...
}

RedirectedCarrierInfo-EUTRA ::= SEQUENCE {
eutraFrequency ARFCN-ValueEUTRA,
cnType ENUMERATED {epc,fiveGC} OPTIONAL -- Need N
}

CarrierInfoNR ::= SEQUENCE {
carrierFreq ARFCN-ValueNR,
ssb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smtc SSB-MTC OPTIONAL, -- Need S
...
}

SuspendConfig ::= SEQUENCE {
fullI-RNTI I-RNTI-Value,
shortI-RNTI ShortI-RNTI-Value,
ran-PagingCycle PagingCycle,
ran-NotificationAreaInfo RAN-NotificationAreaInfo OPTIONAL, -- Need M
t380 PeriodicRNAU-TimerValue OPTIONAL, -- Need R
nextHopChainingCount NextHopChainingCount,
...,
[[
sl-ServingCellInfo-r17 SL-ServingCellInfo-r17 OPTIONAL, -- Cond L2RemoteUE
sdt-Config-r17 SetupRelease { SDT-Config-r17 } OPTIONAL, -- Need M
srs-PosRRC-InactiveConfig-r17 SRS-PosRRC-InactiveConfig-r17 OPTIONAL, -- Need M
ran-ExtendedPagingCycle-r17 ExtendedPagingCycle-r17 OPTIONAL -- Need R
]]
}

PeriodicRNAU-TimerValue ::= ENUMERATED { min5, min10, min20, min30, min60, min120, min360, min720}


CellReselectionPriorities ::= SEQUENCE {
freqPriorityListEUTRA FreqPriorityListEUTRA OPTIONAL, -- Need M
freqPriorityListNR FreqPriorityListNR OPTIONAL, -- Need M
t320 ENUMERATED {min5, min10, min20, min30, min60, min120, min180, spare1} OPTIONAL, -- Need R
...,
[[
freqPriorityListNRSlicing-r17 FreqPriorityListNRSlicing-r17 OPTIONAL -- Need M
]]
}

PagingCycle ::= ENUMERATED {rf32, rf64, rf128, rf256}

ExtendedPagingCycle-r17 ::= ENUMERATED {rf256, rf512, rf1024, spare1}

FreqPriorityListEUTRA ::= SEQUENCE (SIZE (1..maxFreq)) OF FreqPriorityEUTRA

FreqPriorityListNR ::= SEQUENCE (SIZE (1..maxFreq)) OF FreqPriorityNR

FreqPriorityEUTRA ::= SEQUENCE {
carrierFreq ARFCN-ValueEUTRA,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OPTIONAL -- Need R
}

FreqPriorityNR ::= SEQUENCE {
carrierFreq ARFCN-ValueNR,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OPTIONAL -- Need R
}

RAN-NotificationAreaInfo ::= CHOICE {
cellList PLMN-RAN-AreaCellList,
ran-AreaConfigList PLMN-RAN-AreaConfigList,
...
}

PLMN-RAN-AreaCellList ::= SEQUENCE (SIZE (1.. maxPLMNIdentities)) OF PLMN-RAN-AreaCell

PLMN-RAN-AreaCell ::= SEQUENCE {
plmn-Identity PLMN-Identity OPTIONAL, -- Need S
ran-AreaCells SEQUENCE (SIZE (1..32)) OF CellIdentity
}

PLMN-RAN-AreaConfigList ::= SEQUENCE (SIZE (1..maxPLMNIdentities)) OF PLMN-RAN-AreaConfig

PLMN-RAN-AreaConfig ::= SEQUENCE {
plmn-Identity PLMN-Identity OPTIONAL, -- Need S
ran-Area SEQUENCE (SIZE (1..16)) OF RAN-AreaConfig
}

RAN-AreaConfig ::= SEQUENCE {
trackingAreaCode TrackingAreaCode,
ran-AreaCodeList SEQUENCE (SIZE (1..32)) OF RAN-AreaCode OPTIONAL -- Need R
}

SDT-Config-r17 ::= SEQUENCE {
sdt-DRB-List-r17 SEQUENCE (SIZE (0..maxDRB)) OF DRB-Identity OPTIONAL, -- Need M
sdt-SRB2-Indication-r17 ENUMERATED {allowed} OPTIONAL, -- Need R
sdt-MAC-PHY-CG-Config-r17 SetupRelease {SDT-CG-Config-r17} OPTIONAL, -- Need M
sdt-DRB-ContinueROHC-r17 ENUMERATED { cell, rna } OPTIONAL -- Need R
}

SDT-CG-Config-r17 ::= OCTET STRING (CONTAINING SDT-MAC-PHY-CG-Config-r17)

SDT-MAC-PHY-CG-Config-r17 ::= SEQUENCE {
-- CG-SDT specific configuration
-- FFS on BSR configuration (e.g. i.e. for the FFS on the logicalChannelSR-DelayTimer)
-- FFS on delta signalling (We need to clarify how this works, for instance, whether initial BWP dedicated can be considered as
-- baseline to enable delta configuration or not etc).

cg-SDT-Config-LCH-restrictionToAddModList-r17 SEQUENCE (SIZE(1..maxLC-ID)) OF CG-SDT-Config-LCH-restriction-r17 OPTIONAL, -- Need N
cg-SDT-Config-LCH-restrictionToReleaseList-r17 SEQUENCE (SIZE(1..maxLC-ID)) OF LogicalChannelIdentity OPTIONAL, -- Need N
cg-SDT-Config-Initial-BWP-NUL-r17 SetupRelease {BWP-Uplink-Dedicated-SDT-r17} OPTIONAL, -- Need M
cg-SDT-Config-Initial-BWP-SUL-r17 SetupRelease {BWP-Uplink-Dedicated-SDT-r17} OPTIONAL, -- Need M
cg-SDT-Config-Initial-BWP-DL-r17 BWP-Downlink-Dedicated-SDT-r17 OPTIONAL, -- Need M
cg-SDT-TimeAlignmentTimer-r17 TimeAlignmentTimer OPTIONAL, -- Need M
cg-SDT-RSRP-ThresholdSSB-r17 RSRP-Range OPTIONAL, -- Need M
cg-SDT-TA-ValiditationConfig-r17 SetupRelease { CG-SDT-TA-ValiditationConfig-r17 } OPTIONAL, -- Need M
...
}

CG-SDT-TA-ValiditationConfig-r17 ::= SEQUENCE {
cg-SDT-RSRP-ChangeThreshold-r17 RSRP-Range
}

BWP-Downlink-Dedicated-SDT-r17 ::= SEQUENCE {
pdcch-Config-r17 SetupRelease { PDCCH-Config } OPTIONAL, -- Need M
pdsch-Config-r17 SetupRelease { PDSCH-Config } OPTIONAL, -- Need M
...
}BWP-Uplink-Dedicated-SDT-r17 ::= SEQUENCE {
pusch-Config-r17 SetupRelease { PUSCH-Config } OPTIONAL, -- Need M
configuredGrantConfigToAddModList-r17 ConfiguredGrantConfigToAddModList-r17 OPTIONAL, -- Need N
configuredGrantConfigToReleaseList-r17 ConfiguredGrantConfigToReleaseList-r17 OPTIONAL, -- Need N
...
}

ConfiguredGrantConfigToAddModList-r17 ::= SEQUENCE (SIZE (1..maxNrofConfiguredGrantConfig-r16)) OF ConfiguredGrantConfig

ConfiguredGrantConfigToReleaseList-r17 ::= SEQUENCE (SIZE (1..maxNrofConfiguredGrantConfig-r16)) OF ConfiguredGrantConfigIndex-r16

CG-SDT-Config-LCH-restriction-r17 ::= SEQUENCE {
logicalChannelIdentity-r17 LogicalChannelIdentity,
configuredGrantType1Allowed-r17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allowedCG-List-r17 SEQUENCE (SIZE (0.. maxNrofConfiguredGrantConfigMAC-1-r16)) OF ConfiguredGrantConfigIndexMAC-r16
OPTIONAL -- Need R
}

SRS-PosRRC-InactiveConfig-r17 ::= SEQUENCE {
srs-PosConfig-r17 SRS-PosConfig-r17,
bwp-r17 BWP OPTIONAL, -- Need S
srs-TimeAlignmentTimer-r17 TimeAlignmentTimer OPTIONAL, -- Need R
inactivePosSRS-RSRP-changeThresh-r17 RSRP-ChangeThresh-r17 OPTIONAL, -- Need R
srs-NrofSS-BlocksToAverage-r17 INTEGER (1..ffsUpperLimit) OPTIONAL, -- Need R
-- FFS upper limit
inactivePosSRS-AbsThreshSS-BlocksConsolidation-r17 RSRP-Range OPTIONAL -- Need R
}

--Editor's Note: Following temporary constant is introduced only for ASN.1 syntax purposes. Actual upper limit of the ranges using this consta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FFS.
ffsUpperLimit INTEGER ::= 9999

RSRP-ChangeThresh-r17 ::= ENUMERATED {dB4, dB6, dB8, dB10, dB14, dB18, dB22, dB26, dB30, dB34,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Editor's Note: To be updated to align with SDT, to further update SUL/NUL and BWP--

SRS-PosConfig-r17 ::= SEQUENCE {
srs-PosResourceSetToReleaseList-r17 SEQUENCE (SIZE(1..maxNrofSRS-PosResourceSets-r16)) OF SRS-PosResourceSetId-r16 OPTIONAL,-- Need N
srs-PosResourceSetToAddModList-r17 SEQUENCE (SIZE(1..maxNrofSRS-PosResourceSets-r16)) OF SRS-PosResourceSet-r16 OPTIONAL,-- Need N
srs-PosResourceToReleaseList-r17 SEQUENCE (SIZE(1..maxNrofSRS-PosResources-r16)) OF SRS-PosResourceId-r16 OPTIONAL,-- Need N
srs-PosResourceToAddModList-r17 SEQUENCE (SIZE(1..maxNrofSRS-PosResources-r16)) OF SRS-PosResource-r16 OPTIONAL -- Need N
}
1e-13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NR 셀(1e-02)로부터 필수 시스템 정보(essential system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와 System Information Block 1 (SIB1)을 필수 시스템 정보로 칭할 수 있다.
1e-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1e-13 단계에서 획득한 필수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셀 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선택한 PLMN 또는 SNPN에 속한 NR suitable cell을 찾아 해당 셀에 camp-on 할 수 있다. 단말이 camp-on 한 셀을 serving cel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RRC Inactive state"에 기반하여 하기 표 1 조건들이 충족하는 경우 suitable cell로 정의할 수 있다.
suitable cell:
For UE not operating in SNPN Access Mode, a cell is considered as suitable i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fulfilled:
-The cell is part of either the selected PLMN or the registered PLMN or PLMN of the Equivalent PLMN list, and for that PLMN either:
-The PLMN-ID of that PLMN is broadcast by the cell with no associated CAG-IDs and CAG-only indication in the UE for that PLMN (TS 23.501 [10]) is absent or false;
-Allowed CAG list in the UE for that PLMN (TS 23.501 [10]) includes a CAG-ID broadcast by the cell for that PLMN;
-The cell selection criteria are fulfilled, see clause 5.2.3.2.
According to the latest information provided by NAS:
-The cell is not barred, see clause 5.3.1;
-The cell is part of at least one TA that is not part of the list of "Forbidden Tracking Areas for Roaming" (TS 22.011 [18]), which belongs to a PLMN that fulfils the first bullet above.
For UE operating in SNPN Access Mode, a cell is considered as suitable i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fulfilled:
-The cell is part of either the selected SNPN or the registered SNPN of the UE;
-The cell selection criteria are fulfilled, see clause 5.2.3.2;
According to the latest information provided by NAS:
-The cell is not barred, see clause 5.3.1;
-The cell is part of at least one TA that is not part of the list of "Forbidden Tracking Areas for Roaming" which belongs to either the selected SNPN or the registered SNPN of the UE.
참고로, 단말은 하기 수학식 1이 만족하면 셀 선택 기준(cell selection criteria)이 충족(fulfil)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1]
Srxlev > 0 AND Squal > 0
where
Srxlev = Qrxlevmeas - (Qrxlevmin + Qrxlevminoffset) - Pcompensation - -Qoffsettemp,
Squal = Qqualmeas - (Qqualmin + Qqualminoffset) - Qoffsettemp.
여기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RRC Inactive state"를 참고할 수 있다.
1e-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서빙 셀(1e-02)로부터 셀 재선택 정보가 담긴 시스템 정보(일 예로, SIB2, SIB3, SIB4, SIB5)를 획득할 수 있다. SIB2에는 RRC 단말이 NR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inter-RAT frequency 셀을 재선택하는데 공통으로 적용되는 정보/파라미터와 NR intra-frequency 주변 셀과 관련된 정보를 제외한 NR intra-frequency 셀 재선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2 에는 서빙 NR 주파수 (현재 캠프-온 한 셀이 속해 있는 주파수)에 대한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란 cellReselectionPriority 와 cellReselectionSubPriority 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ellReselectionPriority 은 정수 값을 수납하며 (일례로, 0부터 7 중 하나의 정수 값), cellReselectionSubPriority는 소수 값을 수납 (일례로, 0.2, 0.4, 0.6, 0.8 중 하나의 소수 값)을 수납할 수 있다. 만약 cellReselectionPriority 와 cellReselectionSubPriority이 모두 시그널링 될 경우, 단말은 두 값을 더하여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큰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를 따르는 서빙 셀은, SIB2 를 통해 서빙 NR 주파수에 매핑된 cellReselectionPriority 은 항상(mandatory) 방송하는 특징이 있으며, cellReselectionSubPriority은 선택적(optional)으로 방송하기 때문에, 서빙 NR 주파수에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는 항상 방송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SIB2에서 방송되는 셀 재선택 설정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다.
SIB2 ::= SEQUENCE {
cellReselectionInfoCommon SEQUENCE {
nrofSS-BlocksToAverage INTEGER (2..maxNrofSS-BlocksToAverage) OPTIONAL, -- Need S
absThreshSS-BlocksConsolidation ThresholdNR OPTIONAL, -- Need S
rangeToBestCell RangeToBestCell OPTIONAL, -- Need R
q-Hyst ENUMERATED {
dB0, dB1, dB2, dB3, dB4, dB5, dB6, dB8, dB10,
dB12, dB14, dB16, dB18, dB20, dB22, dB24},
speedStateReselectionPars SEQUENCE {
mobilityStateParameters MobilityStateParameters,
q-HystSF SEQUENCE {
sf-Medium ENUMERATED {dB-6, dB-4, dB-2, dB0},
sf-High ENUMERATED {dB-6, dB-4, dB-2, dB0}
}
} OPTIONAL, -- Need R
...
},
cellReselectionServingFreqInfo SEQUENCE {
s-NonIntraSearchP ReselectionThreshold OPTIONAL, -- Need S
s-NonIntraSearchQ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S
threshServingLowP ReselectionThreshold,
threshServingLowQ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R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OPTIONAL, -- Need R
...
},
intraFreqCellReselectionInfo SEQUENCE {
q-RxLevMin Q-RxLevMin,
q-RxLevMinSUL Q-RxLevMin OPTIONAL, -- Need R
q-QualMin Q-QualMin OPTIONAL, -- Need S
s-IntraSearchP ReselectionThreshold,
s-IntraSearchQ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S
t-ReselectionNR T-Reselection,
frequencyBandList MultiFrequencyBandListNR-SIB OPTIONAL, -- Need S
frequencyBandListSUL MultiFrequencyBandListNR-SIB OPTIONAL, -- Need R
p-Max P-Max OPTIONAL, -- Need S
smtc SSB-MTC OPTIONAL, -- Need S
ss-RSSI-Measurement SS-RSSI-Measurement OPTIONAL, -- Need R
ssb-ToMeasure SSB-ToMeasure OPTIONAL, -- Need S
deriveSSB-IndexFromCell BOOLEAN,
...,
[[
t-ReselectionNR-SF SpeedStateScaleFactors OPTIONAL -- Need N
]],
[[
smtc2-LP-r16 SSB-MTC2-LP-r16 OPTIONAL, -- Need R
ssb-PositionQCL-Common-r16 SSB-PositionQCL-Relation-r16 OPTIONAL -- Cond SharedSpectrum
]]
},
...,
[[
relaxedMeasurement-r16 SEQUENCE {
lowMobilityEvaluation-r16 SEQUENCE {
s-SearchDeltaP-r16 ENUMERATED {
dB3, dB6, dB9, dB12, dB15,
spare3, spare2, spare1},
t-SearchDeltaP-r16 ENUMERATED {
s5, s10, s20, s30, s60, s120, s180,
s240, s300,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 OPTIONAL, -- Need R
cellEdgeEvaluation-r16 SEQUENCE {
s-SearchThresholdP-r16 ReselectionThreshold,
s-SearchThresholdQ-r16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combineRelaxedMeasCondition-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highPriorityMeasRelax-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
}

RangeToBestCell ::= Q-OffsetRange
SIB3은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이 NR intra-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주변 셀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3에는 NR intra-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NR intra-frequency 셀 리스트 (intraFreqNeighCellList) 또는 NR intra-frequency 셀 재선택이 허용되지 않는 셀 리스트(intraFreqBlackCellList)가 방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3에는 하기 표 3의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SIB3 ::= SEQUENCE {
intraFreqNeighCellList IntraFreqNeighCellList OPTIONAL, -- Need R
intraFreqBlackCellList IntraFreqBlackCellList OPTIONAL, -- Need R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OPTIONAL,
...,
[[
intraFreqNeighCellList-v1610 IntraFreqNeighCellList-v1610 OPTIONAL, -- Need R
intraFreqWhiteCellList-r16 IntraFreqWhiteCellList-r16 OPTIONAL, -- Cond SharedSpectrum2
intraFreqCAG-CellList-r16 SEQUENCE (SIZE (1..maxPLMN)) OF IntraFreqCAG-CellListPerPLMN-r16 OPTIONAL -- Need R
]]
}


IntraFreqNeighCellList ::= SEQUENCE (SIZE (1..maxCellIntra)) OF IntraFreqNeighCellInfo

IntraFreqNeighCellList-v1610::= SEQUENCE (SIZE (1..maxCellIntra)) OF IntraFreqNeighCellInfo-v1610

IntraFreqNeighCellInfo ::= SEQUENCE {
physCellId PhysCellId,
q-OffsetCell Q-OffsetRange,
q-RxLevMinOffsetCel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q-RxLevMinOffsetCellSU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q-QualMinOffsetCel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
}

IntraFreqNeighCellInfo-v1610 ::= SEQUENCE {
ssb-PositionQCL-r16 SSB-PositionQCL-Relation-r16 OPTIONAL -- Cond SharedSpectrum2
}

IntraFreqBlackCellList ::= SEQUENCE (SIZE (1..maxCellBlack)) OF PCI-Range

IntraFreqWhiteCellList-r16 ::= SEQUENCE (SIZE (1..maxCellWhite)) OF PCI-Range

IntraFreqCAG-CellListPerPLMN-r16 ::= SEQUENCE {
plmn-IdentityIndex-r16 INTEGER (1..maxPLMN),
cag-CellList-r16 SEQUENCE (SIZE (1..maxCAG-Cell-r16)) OF PCI-Range
}
SIB4는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이 NR inter-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4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R inter-frequency를 방송할 수 있으며, 각 NR inter-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각 NR inter-frequency 별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란 상술한 내용 (예를 들면, 각 NR inter-frequency에 매핑된 cellReselectionPriority and/or cellReselectionSubPriority)을 의미하지만, 각 inter-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가 선택적(optional)으로 방송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젝으로, SIB4에는 하기 표 4의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SIB4 ::= SEQUENCE {
interFreqCarrierFreqList InterFreqCarrierFreqList,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OPTIONAL,
...,
[[
interFreqCarrierFreqList-v1610 InterFreqCarrierFreqList-v1610 OPTIONAL -- Need R
]]
}

InterFreqCarrierFreqList ::= SEQUENCE (SIZE (1..maxFreq)) OF InterFreqCarrierFreqInfo

InterFreqCarrierFreqList-v1610 ::= SEQUENCE (SIZE (1..maxFreq)) OF InterFreqCarrierFreqInfo-v1610

InterFreqCarrierFreqInfo ::= SEQUENCE {
dl-CarrierFreq ARFCN-ValueNR,
frequencyBandList MultiFrequencyBandListNR-SIB OPTIONAL, -- Cond Mandatory
frequencyBandListSUL MultiFrequencyBandListNR-SIB OPTIONAL, -- Need R
nrofSS-BlocksToAverage INTEGER (2..maxNrofSS-BlocksToAverage) OPTIONAL, -- Need S
absThreshSS-BlocksConsolidation ThresholdNR OPTIONAL, -- Need S
smtc SSB-MTC OPTIONAL, -- Need S
ssb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ssb-ToMeasure SSB-ToMeasure OPTIONAL, -- Need S
deriveSSB-IndexFromCell BOOLEAN,
ss-RSSI-Measurement SS-RSSI-Measurement OPTIONAL,
q-RxLevMin Q-RxLevMin,
q-RxLevMinSUL Q-RxLevMin OPTIONAL, -- Need R
q-QualMin Q-QualMin OPTIONAL, -- Need S
p-Max P-Max OPTIONAL, -- Need S
t-ReselectionNR T-Reselection,
t-ReselectionNR-SF SpeedStateScaleFactors OPTIONAL, -- Need S
threshX-HighP ReselectionThreshold,
threshX-LowP ReselectionThreshold,
threshX-Q SEQUENCE {
threshX-HighQ ReselectionThresholdQ,
threshX-LowQ ReselectionThresholdQ
} OPTIONAL, -- Cond RSRQ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Priority OPTIONAL, -- Need R
cellReselectionSub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OPTIONAL, -- Need R
q-OffsetFreq Q-OffsetRange DEFAULT dB0,
interFreqNeighCellList InterFreqNeighCellList OPTIONAL, -- Need R
interFreqBlackCellList InterFreqBlackCellList OPTIONAL, -- Need R
...
}

InterFreqCarrierFreqInfo-v1610 ::= SEQUENCE {
interFreqNeighCellList-v1610 InterFreqNeighCellList-v1610 OPTIONAL, -- Need R
smtc2-LP-r16 SSB-MTC2-LP-r16 OPTIONAL, -- Need R
interFreqWhiteCellList-r16 InterFreqWhiteCellList-r16 OPTIONAL, -- Cond SharedSpectrum2
ssb-PositionQCL-Common-r16 SSB-PositionQCL-Relation-r16 OPTIONAL, -- Cond SharedSpectrum
interFreqCAG-CellList-r16 SEQUENCE (SIZE (1..maxPLMN)) OF InterFreqCAG-CellListPerPLMN-r16 OPTIONAL -- Need R
}

InterFreqNeighCellList ::= SEQUENCE (SIZE (1..maxCellInter)) OF InterFreqNeighCellInfo

InterFreqNeighCellList-v1610 ::= SEQUENCE (SIZE (1..maxCellInter)) OF InterFreqNeighCellInfo-v1610

InterFreqNeighCellInfo ::= SEQUENCE {
physCellId PhysCellId,
q-OffsetCell Q-OffsetRange,
q-RxLevMinOffsetCel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q-RxLevMinOffsetCellSU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q-QualMinOffsetCel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
}

InterFreqNeighCellInfo-v1610 ::= SEQUENCE {
ssb-PositionQCL-r16 SSB-PositionQCL-Relation-r16 OPTIONAL -- Cond SharedSpectrum2
}

InterFreqBlackCellList ::= SEQUENCE (SIZE (1..maxCellBlack)) OF PCI-Range

InterFreqWhiteCellList-r16 ::= SEQUENCE (SIZE (1..maxCellWhite)) OF PCI-Range

InterFreqCAG-CellListPerPLMN-r16 ::= SEQUENCE {
plmn-IdentityIndex-r16 INTEGER (1..maxPLMN),
cag-CellList-r16 SEQUENCE (SIZE (1..maxCAG-Cell-r16)) OF PCI-Range
}
SIB5는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이 inter-RAT 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5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EUTRA frequency를 방송할 수 있으며, 각 EUTRA 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각 EUTRA frequency 별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란 상술한 내용 (예를 들면, 각 EUTRA frequency에 매핑된 cellReselectionPriority and/or cellReselectionSubPriority)을 의미하지만, 각 EUTRA 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가 선택적(optional)으로 방송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젝으로, SIB5에는 하기 표 5의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SIB5 ::= SEQUENCE {
carrierFreqListEUTRA CarrierFreqListEUTRA OPTIONAL, -- Need R
t-ReselectionEUTRA T-Reselection,
t-ReselectionEUTRA-SF SpeedStateScaleFactors OPTIONAL, -- Need S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OPTIONAL,
...,
[[
carrierFreqListEUTRA-v1610 CarrierFreqListEUTRA-v1610 OPTIONAL -- Need R
]]
}

CarrierFreqListEUTRA ::= SEQUENCE (SIZE (1..maxEUTRA-Carrier)) OF CarrierFreqEUTRA

CarrierFreqListEUTRA-v1610 ::= SEQUENCE (SIZE (1..maxEUTRA-Carrier)) OF CarrierFreqEUTRA-v1610

CarrierFreqEUTRA ::= SEQUENCE {
carrierFreq ARFCN-ValueEUTRA,
eutra-multiBandInfoList EUTRA-MultiBandInfoList OPTIONAL, -- Need R
eutra-FreqNeighCellList EUTRA-FreqNeighCellList OPTIONAL, -- Need R
eutra-BlackCellList EUTRA-FreqBlackCellList OPTIONAL, -- Need R
allowedMeasBandwidth EUTRA-AllowedMeasBandwidth,
presenceAntennaPort1 EUTRA-PresenceAntennaPort1,
cellReselectionPriority CellReselectionPriority OPTIONAL, -- Need R
cellReselectionSubPriority CellReselectionSubPriority OPTIONAL, -- Need R
threshX-High ReselectionThreshold,
threshX-Low ReselectionThreshold,
q-RxLevMin INTEGER (-70..-22),
q-QualMin INTEGER (-34..-3),
p-MaxEUTRA INTEGER (-30..33),
threshX-Q SEQUENCE {
threshX-HighQ ReselectionThresholdQ,
threshX-LowQ ReselectionThresholdQ
} OPTIONAL -- Cond RSRQ
}

CarrierFreqEUTRA-v1610 ::= SEQUENCE {
highSpeedEUTRACarrier-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EUTRA-FreqBlackCellList ::= SEQUENCE (SIZE (1..maxEUTRA-CellBlack)) OF EUTRA-PhysCellIdRange

EUTRA-FreqNeighCellList ::= SEQUENCE (SIZE (1..maxCellEUTRA)) OF EUTRA-FreqNeighCellInfo

EUTRA-FreqNeighCellInfo ::= SEQUENCE {
physCellId EUTRA-PhysCellId,
dummy EUTRA-Q-OffsetRange,
q-RxLevMinOffsetCel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q-QualMinOffsetCel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이 셀 재선택 평가 절차(cell reselection evaluation process)를 수행할 수 있다. 셀 재선택 평가 절차란 재선택 우선 순위 결정 (reselection priorities handling),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규칙(measurement rules for cell re-selection)을 적용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셀 재선택 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a)를 평가하여 셀을 재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1e-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1e-04 단계에서 수신한 RRC 해제 메시지 또는 1e-20 단계에서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재선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1e-04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cellReselectionPriorities가 포함되어 있고 cellReselectionPriorities에 t320 타이머 값이 없는 경우 또는 t320 타이머 값이 설정되어 있어 T320 타이머가 구동 중인 경우,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따라 재선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celllReselectionPriorities를 적용할 수 있는 경우,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따라 재선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cellReselectionPriorities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cellReselectionPriorities를 해제한 경우, 단말은 1e-20 단계에서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재선택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를 따르는 단말은 현재 캠프-온 하고 있는 서빙 셀이 속한 NR 주파수에 매핑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기준으로 각 NR inter-frequency 또는 inter-RAT frequency 별 셀 재선택 우선 순위가 서빙 셀이 속한 NR 주파수와 같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지니는 지, 서빙 셀이 속한 NR 주파수보다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지니는 지, 또는 서빙 셀이 속한 NR 주파수보다 낮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지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1e-20 단계에서 획득한 시스템 정보에서 현재 캠프-온 하고 있는 서빙 셀이 속한 NR 주파수에 매핑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이 3, inter NR frequency 1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은 2, inter NR frequency 2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은 3, inter NR frequency 3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은 4, EUTRA frequency 1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이 2 로 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inter NR frequency 1와 EUTRA frequency 1은 낮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lower reselection priority)로 결정하고, inter NR frequency 2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는 동일(equal reselection priority)로 결정하고, inter NR frequency 3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는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higher reselection priority)로 결정할 수 있다.
1e-3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셀 재선택을 위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1e-25 단계에서 결정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에 따라 다음의 측정 규칙(measurement rule)을 사용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은 하기 조건 1 이 만족하면, NR intra-frequency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일 예로, 하기 조건 1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NR intra-frequency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n 조건 1: 서빙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SIntraSearchP 임계값보다 크고 서빙 셀의 수신 품질(Squal)이 SIntraSearchQ 임계값보다 크다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IntraSearchP and Squal > SIntraSearchQ).
- 현재 서빙 셀의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순위가 높은 NR inter-frequency 또는 inter-RAT frequency에 대해 단말은 3GPP TS 38.133 규격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 현재 서빙 셀의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거나 같은 NR inter-frequency와 현재 서빙 셀의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은 inter-RAT frequency에 대해, 단말은 하기 조건 2이 만족하면,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일 예로, 하기 조건 2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거나 같은 NR inter-frequency에 있는 셀들을 측정하고 또는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은 inter-RAT frequency에 있는 셀들을 측정할 수 있다.
n 조건 2: 서빙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SnonIntraSearchP 임계값보다 크고 서빙 셀의 수신 품질(Squal)이 SnonIntraSearchQ 임계값보다 크다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and Squal > SnonIntraSearchQ).
참고로, 전술한 임계값들(SintraSearchP, SintraSearchQ, SnonIntraSearchP SnonintraSearchQ)은 1e-20 단계에서 획득한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될 수 있다.
1e-3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1e-30 단계에서 수행한 측정 값을 기반으로 셀 재선택 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a)를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고자 결정할 수 있다. 셀 재선택 기준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셀 재선택 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a)을 만족하는 여러 개의 셀이 다른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을 경우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진 frequency/RAT 셀을 재선택하는 것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frequency/RAT 셀을 재선택하는 것보다 우선될 수 있다(Cell reselection to a higher priority RAT/frequency shall take precede over a lower priority RAT/frequency if multiple cells of different priorities fulfil the cell reselection criteria). 구체적으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재선택 기준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제 1 동작:
n 만약 SIB2에 threshServingLowQ에 대한 임계값이 포함되어 방송되며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난 경우,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HighQ 보다 크면(Squal > ThreshX,HighQ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 제 2 동작:
n 단말은 제 1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제 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나고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HighP 보다 크면(Srxlev > ThreshX, HighP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들(ThrehX, HighQ, ThreshX, HighP), TreselectionRAT 값들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4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동작 혹은 제 2 동작을 수행하며, 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ThreshX,HighQ, ThreshX, HighP), TreselectionRAT 값들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5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동작 혹은 제 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SIB4에는 Qqualmin 값 혹은 Qrxlevmin 값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혹은 수신 레벨(Srxlev)을 도출할 수 있다. 만약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만족하는 NR 주파수에 있는 셀들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 상술하는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 재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셀들에서 제일 rank가 높은 셀(highest ranked cell)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 재선택 기준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제 3 동작:
n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과 수신 레벨(Srxlev)이 0 보다 큰 경우, 측정값(RSRP)를 기반으로 셀 별 Rank를 도출한다(The UE shall perform ranking of all cells that fulfils the cell selection criterion S). 서빙 셀과 주변 셀의 Rank는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각각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l 여기서 Qmeas,s는 서빙 셀의 RSRP 측정값, Qmeas,n는 주변 셀의 RSRP 측정값, Qhyst는 서빙 셀의 hysteresis 값, Qoffset은 서빙 셀과 주변 셀간의 오프셋이다. SIB2에 Qhyst 값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값은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tra-frequency 셀의 재선택의 경우, Qoffset은 셀 별로 시그날링 되며, 지시된 셀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SIB3에 포함되어 있다. 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의 경우, Qoffset은 셀 별로 시그날링 되며, 지시된 셀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SIB4에 포함되어 있다. 수학식 2로부터 구해진 주변 셀의 Rank가 서빙 셀의 Rank보다 큰 경우(R-n > Rs)에 대해, 주변 셀 중 최적의 셀로 재선택 할 수 있다.
l 여기서 Qoffset-temp--는 셀에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오프셋으로 SIB1에서 방송되는 ConnEstFailureControld에 포함된 connEstFailOffset을 의미할 수 있으며, RRC 연결 실패 시(예를 들어, T300 타이머 만료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재선택 기준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제 4 동작:
n 만약 SIB2에 threshServingLowQ에 대한 임계값이 포함되어 방송되며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난 경우, 현재 서빙 셀의 신호 품질(Sqaul)이 임계값 ThreshServing, LowQ 보다 작고(Squal < ThreshServing, LowQ)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 LowQ- 보다 크면(Squal > ThreshX,LowQ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 제 5 동작:
n 단말은 제 4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제 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나고, 현재 서빙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임계값 ThreshServing, LowP 보다 작고(Srxlev < ThreshServing, LowP)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 LowQ- 보다 크면(Srxlev > ThreshX,LowP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inter-frequency 셀에 대한 제 4 동작 혹은 제 5 동작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2에 포함되어 있는 임계값들(ThreshServing, LowQ, ThreshServing, LowP)과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4에 포함되어 있는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들(ThrehX, LowQ, ThreshX, LowP), TreselectionRAT를 기반으로 수행하며, 단말의 inter-RAT 셀에 대한 제 4 동작 혹은 제 5 동작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2에 포함되어 있는 임계값들(ThreshServing, LowQ, ThreshServing, LowP)과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5에 포함되어 있는 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들(ThreshX,LowQ, ThreshX, LowP), TreselectionRAT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SIB4에는 Qqualmin 값 혹은 Qrxlevmin 값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혹은 수신 레벨(Srxlev)을 도출할 수 있다. 만약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만족하는 NR 주파수에 있는 셀들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 상술하는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 재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셀들에서 제일 rank가 높은 셀(highest ranked cell)로 재선택할 수 있다.
1e-4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후보 타겟 셀(candidate target cell)을 최종적으로 재선택하기 전에 후보 타겟 셀에서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MIB 혹은 SIB1)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타겟 셀의 수신 레벨(Srxlev)과 수신 품질(Squal)이 S-criterion (수학식 1) 이라고 칭해지는 셀설렉션 기준(Cell selection criterion)을 충족(Srxlev > 0 AND Squal > 0)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수학식 1이 충족하고 후보 타겟 셀이 suitable 하면, 후보 타겟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도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g를 참조하면, 단말(1g-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g-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g-01)은 기지국(1g-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speedStateReselectionPars)들을 방송할 수 있다.
- t-Evaluation: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The duration of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mobility states). 일 예로,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n t-Evaluation은 TCRmax 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허용 가능한 셀 재선택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pecifies the duration for evaluating allowed amount of cell reselection(s))
- t-HystNormal: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Normal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추가 지속 지간 값 (The additional duration for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normal mobility state). 일 예로,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n t-HystNormal은 TCRmaxHyst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전 추가적인 시간 기간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additional time period before the UE can enter Normal-mobility state)
- n-CellChangeMedium: 중간 이동성 상태(medium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medium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n n-CellChangeMedium은 NCR_M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이동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Medium-mobility state).
- n-CellChangeHigh: 높은 이동성 상태(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high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n-CellChangeMedium 보다 큰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n n-CellChangeHigh은 NCR_H-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High-mobility state).
- q-HystSF: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sf-Medium: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n sf-High: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 t-Reselection-SF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n sf-High: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 t-ReselectionEUTRA-SF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n sf-High: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1g-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g-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1g-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g-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다음 소정의 조건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 중간 이동성 상태 조건(Medium-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와 동일하거나 크면서 NCR_H-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NCR_M but less than or equal to NCR_H-)
-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High-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H-을 초과하는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 is greater than NCR_H)
-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 조건(Normal-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hyst 동안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criteria for either Medium- or High-mobility state is not detected during time period TCRmaxHsyt)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보다 적은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 is less than NCR_M)
단말은 결정한 이동성 상태에 따라 scaling rule을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와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If neither Medium- nor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Sca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no scaling is applied)
- 만약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High 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 값을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 by the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 값을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 by the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Medium-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Medium 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 값을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 by the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 값을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 by the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참고로, 단말이 scaling을 아무 TreselectionRAT 파라미터에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scaling 후 결과를 가장 가까운 초로 올림을 할 수 있다(In case scaling is applied to any TreselectionRAT parameter, the UE shall round up the result after all scalings to the nearest second.)
1g-20에서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scaling 결과를 반영하여 1g-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g-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g-01)은 기지국(1g-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g-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g-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g-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g-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도 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H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h를 참조하면, 단말(1h-01)은 NR 셀(1h-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h-03).
1h-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h-01)은 NR 셀(1h-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1h-05 단계에서, NR 셀(1h-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h-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 t-ReselectionRATUAV: 셀 재선택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cell reselection timer value). 각 타겟 NR 주파수 또는 각 RAT에 대해 구체적인 셀 재선택 타이머를 위한 값이 정의될 수 있다. 종래 t-ReselectionRAT은 0, 1.., 7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보다 작은 값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0, 0.1, 0.2, 0.3, 0.4 .., 1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 될 수 있다.
n NR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NRUAV을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로 설정될 수 있다.
n E-UTRA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EUTRAUAV를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 또는 E-UTRAN 주파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게 설정될 수 있다.
n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 보다 더 작거나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단말은 더 빠르게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 t-EvaluationUAV: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The duration of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mobility states). 일 예로, 5초, 10초, 2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종래 t-Evaluation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t-EvaluationUAV은 TCRmaxUAV 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허용 가능한 셀 재선택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pecifies the duration for evaluating allowed amount of cell reselection(s))
- t-HystNormalUAV: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Normal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추가 지속 지간 값 (The additional duration for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normal mobility state). 일 예로, 5초, 1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36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EvaluationUAV은 종래 t-HystNormal 보다 작은 값 또는 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작은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빨리 천이하기 위한 용도이며, 큰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늦게 천이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t-HystNormalUAV은 TCRmaxHystUAV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전 추가적인 시간 기간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additional time period before the UE can enter Normal-mobility state)
- n-CellChange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medium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medium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MediumUAV는 종래 n-CellChange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MediumUAV은 NCR_MUAV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이동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Medium-mobility state).
- n-CellChange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high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 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n-CellChangeMediumUAV 보다 큰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MediumUAV는 종래 n-CellChange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High은 NCR_H-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High-mobility state).
- q-HystSFUAV: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SFUAV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EUTRA-SFUAV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몇 초 뒤에 셀 재선택이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값
n 종래는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 지 1초가 지난 후에 주변 셀로 재선택이 가능하지만, 신규 값은 1초 보다 적은 값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1초 보다 빨리 주변 셀로 재선택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신규 타이머 값
n 전술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규 타이머 값.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은 신규 타이머 값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1h-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h-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h-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h-01)은 기지국(1h-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를 결정하기 위한 신규 파라미터(speedStateReselectionParsUAV)들을 방송할 수 있다.
- t-ReselectionRATUAV: 셀 재선택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cell reselection timer value). 각 타겟 NR 주파수 또는 각 RAT에 대해 구체적인 셀 재선택 타이머를 위한 값이 정의될 수 있다. 종래 t-ReselectionRAT은 0, 1.., 7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보다 작은 값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0, 0.1, 0.2, 0.3, 0.4 .., 1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 될 수 있다.
n NR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NRUAV을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로 설정될 수 있다.
n E-UTRA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EUTRAUAV를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 또는 E-UTRAN 주파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게 설정될 수 있다.
n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 보다 더 작거나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단말은 더 빠르게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 t-EvaluationUAV: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The duration of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mobility states). 일 예로, 5초, 10초, 2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EvaluationUAV는 종래 t-Evaluation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t-EvaluationUAV은 TCRmaxUAV 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허용 가능한 셀 재선택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pecifies the duration for evaluating allowed amount of cell reselection(s))
- t-HystNormalUAV: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Normal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추가 지속 지간 값 (The additional duration for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normal mobility state). 일 예로, 5초, 1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36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HystNormalUAV는 종래 t-HystNormal 보다 작은 값 또는 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작은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빨리 천이하기 위한 용도이며, 큰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늦게 천이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t-HystNormalUAV은 TCRmaxHystUAV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전 추가적인 시간 기간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additional time period before the UE can enter Normal-mobility state)
- n-CellChange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medium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medium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MediumUAV는 종래 n-CellChange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MediumUAV은 NCR_MUAV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이동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Medium-mobility state).
- n-CellChange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high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 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n-CellChangeMediumUAV 보다 큰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HighUAV는 종래 n-CellChange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High은 NCR_H-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High-mobility state).
- q-HystSFUAV: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SFUAV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EUTRA-SFUAV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몇 초 뒤에 셀 재선택이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값
n 종래는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 지 1초가 지난 후에 주변 셀로 재선택이 가능하지만, 신규 값은 1초 보다 적은 값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1초 보다 빨리 주변 셀로 재선택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1h-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h-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르거나 또는 1h-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h-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h-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UAV를 지원하는 단말은 1h-05 단계 또는 1h-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획득한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에 기반하여 소정의 조건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1h-05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설정받은 경우,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 중간 이동성 상태 조건(Medium-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UAV (또는 TCRmax)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또는 N-CR_MUAV) 와 동일하거나 크면서 NCR_H(또는 NCR_H-UAV)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 (or TCRmaxUAV)is greater than or equal to NCR_M (or NCR_MUAV) but less than or equal to NCR_H- (or NCR_H-UAV))
-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High-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UAV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H- (또는 NCR_HUAV)을 초과하는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UAV (or TCRmax)is greater than NCR_H(or NCR_HUAV))
-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 조건(Normal-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HystUAV 또는 (TCRmaxHyst) 동안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criteria for either Medium- or High-mobility state is not detected during time period TCRmaxHystUAV or TCRmaxHyst) 또는 TCRmaxUAV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또는 NCR_MUAV) 보다 적은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UAV (or TCRmax) is less than NCR_M(or NCR_MUAV))
단말은 결정한 이동성 상태에 따라 scaling rule을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와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If neither Medium- nor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Sca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no scaling is applied)
- 만약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 값을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or sf-High) 값을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Medium-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MediumUAV (또는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Medium UAV (or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TURA) by the sf-MediumUAV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참고로, 단말이 scaling을 아무 TreselectionRAT 파라미터에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scaling 후 결과를 가장 가까운 초로 올림을 할 수 있다(In case scaling is applied to any TreselectionRAT parameter, the UE shall round up the result after all scalings to the nearest second.)
참고로, UAV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UAV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1h-05 단계 또는 1h-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에 기반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h-20에서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scaling 결과를 반영하여 1h-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h-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h-01)은 기지국(1h-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h-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h-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h-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h-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UAV 단말인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가 방송되거나 설정되는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UAV 단말이라도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가 없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i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i를 참조하면, 단말(1i-01)은 NR 셀(1i-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i-03).
1i-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i-01)은 NR 셀(1i-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 속도에 따라 enhanced mobility state를 결정할 수 있다느 지시자
1i-05 단계에서, NR 셀(1i-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i-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 t-ReselectionRATUAV: 셀 재선택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cell reselection timer value). 각 타겟 NR 주파수 또는 각 RAT에 대해 구체적인 셀 재선택 타이머를 위한 값이 정의될 수 있다. 종래 t-ReselectionRAT은 0, 1.., 7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보다 작은 값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0, 0.1, 0.2, 0.3, 0.4 .., 1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 될 수 있다.
n NR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NRUAV을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로 설정될 수 있다.
n E-UTRA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EUTRAUAV를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 또는 E-UTRAN 주파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게 설정될 수 있다.
n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 보다 더 작거나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단말은 더 빠르게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 t-EvaluationUAV: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The duration of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mobility states). 일 예로, 5초, 10초, 2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EvaluationUAV는 종래 t-Evaluation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t-EvaluationUAV은 TCRmaxUAV 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허용 가능한 셀 재선택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pecifies the duration for evaluating allowed amount of cell reselection(s))
- t-HystNormalUAV: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Normal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추가 지속 지간 값 (The additional duration for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normal mobility state). 일 예로, 5초, 1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36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HystNormalUAV는 종래 t-HystNormal 보다 작은 값 또는 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작은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빨리 천이하기 위한 용도이며, 큰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늦게 천이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t-HystNormalUAV은 TCRmaxHystUAV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전 추가적인 시간 기간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additional time period before the UE can enter Normal-mobility state)
- n-CellChange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medium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medium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MediumUAV는 종래 n-CellChange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MediumUAV은 NCR_MUAV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이동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Medium-mobility state).
- n-CellChange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high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 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n-CellChangeMediumUAV 보다 큰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HighUAV는 종래 n-CellChange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High은 NCR_H-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High-mobility state).
- q-HystSFUAV: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SFUAV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EUTRA-SFUAV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몇 초 뒤에 셀 재선택이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값
n 종래는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 지 1초가 지난 후에 주변 셀로 재선택이 가능하지만, 신규 값은 1초 보다 적은 값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1초 보다 빨리 주변 셀로 재선택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신규 타이머 값
n 전술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규 타이머 값.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은 신규 타이머 값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 속도 임계치 값
n 단말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종래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1i-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i-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i-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i-01)은 기지국(1i-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를 결정하기 위한 신규 파라미터(speedStateReselectionParsUAV)들을 방송할 수 있다.
- t-ReselectionRATUAV: 셀 재선택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cell reselection timer value). 각 타겟 NR 주파수 또는 각 RAT에 대해 구체적인 셀 재선택 타이머를 위한 값이 정의될 수 있다. 종래 t-ReselectionRAT은 0, 1.., 7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보다 작은 값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0, 0.1, 0.2, 0.3, 0.4 .., 1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 될 수 있다.
n NR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NRUAV을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로 설정될 수 있다.
n E-UTRA에 대한 타이머 값은 t-ReselectionEUTRAUAV를 의미하며, 해당 타이머 값은 주파수 별 또는 E-UTRAN 주파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게 설정될 수 있다.
n t-ReselectionRATUAV는 종래 t-ReselectionRAT 보다 더 작거나 또는 작지만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단말은 더 빠르게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 t-EvaluationUAV: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The duration of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mobility states). 일 예로, 5초, 10초, 2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EvaluationUAV는 종래 t-Evaluation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t-EvaluationUAV은 TCRmaxUAV 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허용 가능한 셀 재선택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pecifies the duration for evaluating allowed amount of cell reselection(s))
- t-HystNormalUAV: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Normal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추가 지속 지간 값 (The additional duration for evaluating criteria to enter normal mobility state). 일 예로, 5초, 10초, 30초, 60초, 120초, 180초, 240초, 360초 등의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t-HystNormalUAV는 종래 t-HystNormal 보다 작은 값 또는 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작은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빨리 천이하기 위한 용도이며, 큰 값을 포함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늦게 천이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t-HystNormalUAV은 TCRmaxHystUAV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전 추가적인 시간 기간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additional time period before the UE can enter Normal-mobility state)
- n-CellChange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medium mobility state)를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medium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MediumUAV는 종래 n-CellChange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MediumUAV은 NCR_MUAV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이동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Medium-mobility state).
- n-CellChange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하기 위한 셀 변화 횟수 값(The number of cell changes to enter high mobility state). 일 예로, 1부터 (또는 0 부터) 16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n-CellChangeMediumUAV 보다 큰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n-CellChangeHighUAV는 종래 n-CellChange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더 빨리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ellChangeHigh은 NCR_H-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최대 셀 재선택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This specifies the maximum number of cell reselections to enter High-mobility state).
- q-HystSFUAV: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hysteresis 파라미터 값. 일 예로, -10dB, -8dB, -6 dB, -4 dB, -2dB, 0dB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SFUAV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Medium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t-ReselectionEUTRA-SFUAV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sf-MediumUAV: 중간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t-ReselectionEUTRA-SFUAV는 종래 sf-Medium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n sf-HighUAV: 높은 이동성 상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mobility control related 파라미터 값. 일 예로,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 예로, 0.1, 0.125, 0.25, 0.5, 0.75, 1 중 하나의 값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sf-HighUAV는 종래 sf-High 보다 작은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몇 초 뒤에 셀 재선택이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값
n 종래는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 지 1초가 지난 후에 주변 셀로 재선택이 가능하지만, 신규 값은 1초 보다 적은 값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이 1초 보다 빨리 주변 셀로 재선택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속도 임계치 값
n 속도 임계치 값에 따라,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빠른 경우 또는 빠르거나 같은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종래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1i-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i-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르거나 또는 1i-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i-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i-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UAV를 지원하는 단말은 1i-05 단계 또는 1i-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획득한 경우, 속도 임계치 값 (1i-05 또는 1i-10 단계에서 획득 또는 단말 내부에서 직접 결정할 수도 있음)에 따라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에 기반하여 소정의 조건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1i-05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설정받은 경우,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 중간 이동성 상태 조건(Medium-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UAV (또는 TCRmax)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또는 N-CR_MUAV) 와 동일하거나 크면서 NCR_H(또는 NCR_H-UAV)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 (or TCRmaxUAV)is greater than or equal to NCR_M (or NCR_MUAV) but less than or equal to NCR_H- (or NCR_H-UAV))
-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High-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UAV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H- (또는 NCR_HUAV)을 초과하는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UAV (or TCRmax)is greater than NCR_H(or NCR_HUAV))
-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 조건(Normal-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HystUAV 또는 (TCRmaxHyst) 동안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criteria for either Medium- or High-mobility state is not detected during time period TCRmaxHystUAV or TCRmaxHyst) 또는 TCRmaxUAV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또는 NCR_MUAV) 보다 적은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UAV (or TCRmax) is less than NCR_M(or NCR_MUAV))
단말은 결정한 이동성 상태에 따라 scaling rule을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와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If neither Medium- nor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Sca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no scaling is applied)
- 만약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 값을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or sf-High) 값을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Medium-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MediumUAV (또는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Medium UAV (or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TURA) by the sf-MediumUAV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참고로, 단말이 scaling을 아무 TreselectionRAT 파라미터에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scaling 후 결과를 가장 가까운 초로 올림을 할 수 있다(In case scaling is applied to any TreselectionRAT parameter, the UE shall round up the result after all scalings to the nearest second.)
참고로, UAV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UAV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1i-05 단계 또는 1i-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에 기반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속도 임계치 값 보다 느리거나 또는 같거나 느린 경우도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i-20에서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scaling 결과를 반영하여 1i-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i-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i-01)은 기지국(1i-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i-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i-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i-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i-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거나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라도,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가 없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거나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j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j를 참조하면, 단말(1j-01)은 NR 셀(1j-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j-03).
1j-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j-01)은 NR 셀(1j-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1j-05 단계에서, NR 셀(1j-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j-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 for t-ReselectionRAT: for t-ReselectionRAT는 종래 t-ReselectionRAT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해당 파라미터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
- for t-Evaluation: for t-Evaluation는 종래 t-Evaluation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t-Evaluation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용도.
- for t-HystNormal: for t-HystNormal는 종래 t-HystNormal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t-HystNormal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또는 더 늦게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빨리 천이하기 위한 용도.
- for n-CellChangeMedium: for n-CellChangeMedium는 종래 n-CellChange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n-CellChange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for n-CellChangeHigh: for n-CellChangeHigh는 종래 n-CellChange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n-CellChange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q-HystSFUAV: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for sf-Medium: for sf-Medium는 종래 파라미터 sf-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n for sf-High: for sf-High는 종래 파라미터 sf-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 t-Reselection-SF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for sf-Medium: for sf-Medium는 종래 파라미터 sf-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해당 파라미터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n for sf-High: for sf-High는 종래 파라미터 sf-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 t-ReselectionEUTRA-SF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for sf-Medium: for sf-Medium는 종래 파라미터 sf-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n for sf-High: for sf-High는 종래 파라미터 sf-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몇 초 뒤에 셀 재선택이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값 또는 scaling factor
n 종래는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 지 1초가 지난 후에 주변 셀로 재선택이 가능하지만, 신규 값은 1초 보다 적은 값 또는 1초에 scaling factor를 곱하여 단말이 1초 보다 빨리 주변 셀로 재선택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신규 타이머 값
n 전술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규 타이머 값.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은 신규 타이머 값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 속도 임계치 값
n 단말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종래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1j-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j-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j-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j-01)은 기지국(1j-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를 결정하기 위한 신규 scaling 파라미터(speedStateReselectionScalingPars)들을 방송할 수 있다.
- for t-ReselectionRAT: for t-ReselectionRAT는 종래 t-ReselectionRAT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t-ReselectionRAT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
n t-ReselectionRATUAV = t-Reselection + or t-ReselectionRAT
- for t-Evaluation: for t-Evaluation는 종래 t-Evaluation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t-Evaluation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용도.
n TCRmaxUAV = TCRmax + or TCRmax
- for t-HystNormal: for t-HystNormal는 종래 t-HystNormal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t-HystNormal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또는 더 늦게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빨리 천이하기 위한 용도.
n TCRmaxHystUAV = TCRmaxHyst+ or TCRmaxHyst
- for n-CellChangeMedium: for n-CellChangeMedium는 종래 n-CellChange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n-CellChange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R_MUAV = NCR_MUAV + or NCR_MUAV
- for n-CellChangeHigh: for n-CellChangeHigh는 종래 n-CellChange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n-CellChange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n NCR_HUAV = NCR_HUAV + or NCR_HUAV
- q-HystSFUAV: 속도 기반 ScalingFator 파라미터
n for sf-Medium: for sf-Medium는 종래 파라미터 sf-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u sf-MediumUAV = sf-Medium + or sf-Medium
n for sf-High: for sf-High는 종래 파라미터 sf-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u sf-HighUAV = sf-High + or sf-High
- t-Reselection-SF (per NR frequency):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for sf-Medium: for sf-Medium는 종래 파라미터 sf-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u sf-MediumUAV = sf-Medium + or sf-Medium
n for sf-High: for sf-High는 종래 파라미터 sf-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u sf-HighUAV = sf-High + or sf-High
- t-ReselectionEUTRA-SF (per EUTRA frequency or common for all EUTRA frequencies): SpeedStateScaleFactors 파라미터
n for sf-Medium: for sf-Medium는 종래 파라미터 sf-Medium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Medium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u sf-MediumUAV = sf-Medium + or sf-Medium
n for sf-High: for sf-High는 종래 파라미터 sf-High 에 scaling factor를 의미. for sf-High를 종래 파라미터에 곱하거나 더해서 단말이 더 빨리 주변 셀을 재선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
u sf-HigjUAV = sf-High + or sf-High
-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몇 초 뒤에 셀 재선택이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값 또는 scaling factor
n 종래는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 지 1초가 지난 후에 주변 셀로 재선택이 가능하지만, 신규 값은 1초 보다 적은 값 또는 1초에 scaling factor를 곱하여 단말이 1초 보다 빨리 주변 셀로 재선택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 속도 임계치 값
n 단말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종래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1j-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j-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르거나 또는 1j-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j-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j-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UAV를 지원하는 단말은 1j-05 단계 또는 1j-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획득한 경우, 종래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에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고려하여 소정의 조건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1j-05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설정받은 경우,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UAV를 지원하는 단말(1j-01)은 1j-05 단계 또는 1j-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획득한 경우, 속도 임계치 값 (1j-05 또는 1j-10 단계에서 획득 또는 단말 내부에서 직접 결정할 수도 있음)에 따라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에 기반하여 소정의 조건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 중간 이동성 상태 조건(Medium-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UAV (또는 TCRmax)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또는 N-CR_MUAV) 와 동일하거나 크면서 NCR_H(또는 NCR_H-UAV)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 (or TCRmaxUAV)is greater than or equal to NCR_M (or NCR_MUAV) but less than or equal to NCR_H- (or NCR_H-UAV))
-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High-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UAV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H- (또는 NCR_HUAV)을 초과하는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UAV (or TCRmax)is greater than NCR_H(or NCR_HUAV))
-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 조건(Normal-mobility state criteria)
n TCRmaxHystUAV 또는 (TCrmaxHyst) 동안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criteria for either Medium- or High-mobility state is not detected during time period TCRmaxHystUAV or T-CRmaxHyst) 또는 TCRmaxUAV (또는 TCRmax) 동안 셀 재선택 횟수가 NCR_M (또는 NCR_MUAV) 보다 적은 경우(If number of cell reselections during time period TCRmaxUAV (or TCRmax) is less than NCR_M(or NCR_MUAV))
단말은 결정한 이동성 상태에 따라 scaling rule을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와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If neither Medium- nor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Sca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no scaling is applied)
- 만약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 값을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or sf-High) 값을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Medium-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MediumUAV (또는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Medium UAV (or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TURA) by the sf-MediumUAV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참고로, 단말이 scaling을 아무 TreselectionRAT 파라미터에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scaling 후 결과를 가장 가까운 초로 올림을 할 수 있다(In case scaling is applied to any TreselectionRAT parameter, the UE shall round up the result after all scalings to the nearest second.)
참고로, UAV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UAV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1j-05 단계 또는 1j-10 단계에서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에 기반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UAV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UAV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속도 임계치 값 보다 느리거나 또는 같거나 느린 경우도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j-20에서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scaling 결과를 반영하여 1j-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j-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j-01)은 기지국(1j-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j-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j-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j-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j-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UAV 단말인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가 방송되거나 설정되는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를 적용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UAV 단말이라도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가 없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는 본 개시에서는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를 적용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큰 경우라도, 신규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가 없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거나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k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k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k를 참조하면, 단말(1k-01)은 NR 셀(1k-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k-03).
1k-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k-01)은 NR 셀(1k-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1k-05 단계에서, NR 셀(1k-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k-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신규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또는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속도 임계치 값 (sh, sm -or s)
n 단말은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속도 임계치 값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의 속도가 sh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여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의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의 속도가 sh 보다 작거나 또는 작거나 같고 sm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여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의 속도가 s-m 보다 작거나 또는 작거나 같은 경우,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하나의 속도 임계치 값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의 속도가 s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여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할 수 있다.
- 신규 타이머 값
n 단말의 속도가 신규 타이머 값 동안 조건이 만족하는 지 판단하는 타이머 값. 즉, 해당 기간 동안 조건이 만족하면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다.
1k-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k-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k-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k-01)은 기지국(1k-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를 결정하기 위한 신규 파라미터(speedStateReselectionScalingPars or speedStateReselectionPars)들을 방송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속도 임계치 값 (sh, sm, s)
n 단말은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속도 임계치 값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의 속도가 sh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여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의 속도가 sh 보다 작거나 또는 작거나 같고 sm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중간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여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의 속도가 sm 보다 작거나 또는 작거나 같은 경우,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하나의 속도 임계치 값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의 속도가 s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하여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meters 를 적용할 수 있다.
- 신규 타이머 값
n 단말의 속도가 신규 타이머 값 동안 조건이 만족하는 지 판단하는 타이머 값. 즉, 해당 기간 동안 조건이 만족하면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다.
1k-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k-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르거나 또는 1k-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k-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k-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UAV를 지원하는 단말은 1k-05 단계 또는 1k-10 단계에서 속도 임계치 값을 설정 받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경우, 또는 UAV를 지원하는 단말은 단말 스스로 속도 임계치 값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다음의 소정의 조건에 의해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 중간 이동성 상태 조건(Medium-mobility state criteria)
n 단말의 속도가 sh 보다 작거나 또는 작거나 같고 s-m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n 또는 조건이 신규 타이머 값 기간 동안 만족할 때 중간 이동성 상태로 천이
-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High-mobility state criteria)
n 단말의 속도가 sh (또는 s) 보다 크거나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n 또는 조건이 신규 타이머 값 기간 동안 만족할 때 높은 이동성 상태로 천이
- 일반적인 이동성 상태 조건(Normal-mobility state criteria)
n 단말의 속도가 sm 보다 작거나 또는 작거나 같은 경우
n 또는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결정한 이동성 상태에 따라 scaling rule을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와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If neither Medium- nor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Scaling을 적용하지 않는다 (no scaling is applied)
- 만약 높은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High-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또는 sf-High) 값을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HighUAV (or sf-High) 값을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by the sf-HighUAV (or sf-High)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 만약 중간 이동성 상태가 감지된 경우(If Medium-mobility state is detected)
n Qhyst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Qhyst에 더한다 (Add the sf-MediumUAV (또는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Qhyst" to Qhyst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NR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NRUAV (또는 TreselectionNR)에 곱한다 (For NR cells, multiply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by the sf-Medium UAV (or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NRUAV (or TreselectionNR)"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n EUTRA 셀들에 대해서,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대한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인 sf-MediumUAV (또는 sf-Medium) 값을 TreselectionEUTRAUAV (또는 TreselectionEUTRA)에 곱한다 (For EUTRA cells, multiply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TURA) by the sf-MediumUAV (sf-Medium) of "Speed dependent ScalingFactor for TreselectionEUTRAUAV (or TreselectionEUTRA)" if broadcasted in system information)
참고로, 단말이 scaling을 아무 TreselectionRAT 파라미터에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scaling 후 결과를 가장 가까운 초로 올림을 할 수 있다(In case scaling is applied to any TreselectionRAT parameter, the UE shall round up the result after all scalings to the nearest second.)
1k-20에서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scaling 결과를 반영하여 1k-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k-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k-01)은 기지국(1k-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k-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k-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k-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k-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단말의 속도가 속도 임계치 값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l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l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l를 참조하면, 단말(1l-01)은 NR 셀(1l-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l-03).
1l-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l-01)은 NR 셀(1l-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 한 번의 셀 재선택임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이 dedicated하게 설정한 값 또는 broadcast 되는 값으로 셀 재선택 횟수를 카운트 할 수 있는 지시자.
1l-05 단계에서, NR 셀(1l-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l-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또는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복수 번의 셀 재선택 횟수로 카운트 하기 위한 셀 재선택 횟수 값(cellEquivalentSizeUAV) 및/또는 고도 임계값
n 단말은 cellEquivalentSizeUAV 가 설정되면,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셀 재선택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은 더 빠르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n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한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셀 재선택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은 더 빠르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1l-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l-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l-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l-01)은 기지국(1l-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복수 번의 셀 재선택 횟수로 카운트 하기 위한 셀 재선택 횟수 값 (cellEquivalentSizeUAV) 및/또는 고도 임계값
n 단말은 cellEquivalentSizeUAV가 방송되면,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셀 재선택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은 더 빠르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참고로 cellEquivalentSizeUAV 는 기존에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되는 cellEquivalentSize를 의미할 수도있다.
n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한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셀 재선택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은 더 빠르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1로 카운트할 수 있다.
1l-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l-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거나 또는 1l-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l-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l-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비행 고도에 따라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또는 1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 동작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를 수 있다.
1l-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l-01)은 기지국(1l-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l-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l-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l-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l-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한 번의 셀 재선택이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cellEquivalentSizeUAV 로 카운트하여 더 빠르게 중간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천이하여 셀 재선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는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비행 고도에 따라 한 번의 셀 재선택을 cellEquivalentSizeUAV 로 또는 1로 카운트하여 더 빠르게 중간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천이하여 셀 재선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m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m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m를 참조하면, 단말(1m-01)은 NR 셀(1m-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m-03).
1m-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m-01)은 NR 셀(1m-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 한 번의 셀 재선택임에도 불구하고 단말 속도에 따라 기지국이 dedicated하게 설정한 값 또는 broadcast 되는 값으로 셀 재선택 횟수를 카운트 할 수 있는 지시자.
1m-05 단계에서, NR 셀(1m-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m-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speed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또는 speed dependent reselection scaling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복수 번의 셀 재선택 횟수로 카운트 하기 위한 셀 재선택 횟수 값(cellEquivalentSizeUAV)과 단말 속도 임계값
n 만약 cellEquivalentSizeUAV 와 단말 속도 임계값이 각각 하나씩 포함되는 경우
u 단말은 단말 속도 임계값보다 빠르게 또는 같거나 빠르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단말 속도 임계값보다 느리게 또는 같거나 느리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한 번으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 비행 속도는 이동성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에서의 평균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순간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n 만약 복수 개의 cellEquivalentSizeUAV 값과 이에 각각 매핑된 속도 임계값이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어, {s1, cellEquivalentSizeUAV1}, {s2, cellEquivalentSizeUAV2} 가 포함(s2>=s1 or s2> s1, EquivalentSizeUAV2 >=EquivalentSizeUAV1 or EquivalentSizeUAV2 > EquivalentSizeUAV1)되어 있는 경우,
n 단말은 단말 속도 임계값이 s1 보다 느리게 또는 느리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한 번으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만약 UAV 단말이 단말 속도 임계값이 s1 보다 빠르게 또는 같거나 빠르게 비행하고 단말 속도 임계값 s2 보다 느리게 또는 느리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1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만약 UAV 단말이 단말 속도 임계값이 s2 보다 빠르게 또는 같거나 빠르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2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 속도는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에서의 평균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순간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 고도 임계값
n 참고로 상술한 내용은 단말이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1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1m-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m-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m-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m-01)은 기지국(1m-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복수 번의 셀 재선택 횟수로 카운트 하기 위한 셀 재선택 횟수 값(cellEquivalentSizeUAV)과 단말 속도 임계값
n 만약 cellEquivalentSizeUAV 와 단말 속도 임계값이 각각 하나씩 포함되는 경우
u 단말은 단말 속도 임계값보다 빠르게 또는 같거나 빠르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단말이 단말 속도 임계값보다 느리게 또는 같거나 느리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한 번으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 비행 속도는 이동성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에서의 평균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순간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n 만약 복수 개의 cellEquivalentSizeUAV 값과 이에 각각 매핑된 속도 임계값이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어, {s1, cellEquivalentSizeUAV1}, {s2, cellEquivalentSizeUAV2} 가 포함(s2>=s1 or s2> s1, EquivalentSizeUAV2 >=EquivalentSizeUAV1 or EquivalentSizeUAV2 > EquivalentSizeUAV1)되어 있는 경우,
n 단말은 단말 속도 임계값이 s1 보다 느리게 또는 느리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한 번으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만약 UAV 단말이 단말 속도 임계값이 s1 보다 빠르게 또는 같거나 빠르게 비행하고 단말 속도 임계값 s2 보다 느리게 또는 느리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1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만약 UAV 단말이 단말 속도 임계값이 s2 보다 빠르게 또는 같거나 빠르게 비행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2 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 속도는 이동성 상태를 진입하기 위해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 값에서의 평균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순간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 고도 임계값
n 참고로 상술한 내용은 단말이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한 번의 재선택 횟수를 1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1m-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m-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거나 또는 1m-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m-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m-01)은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비행 속도에 따라 단말 속도 임계값과 비교하여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1 로 또는 cellEquivalentSizeUAV2로 또는 1로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 동작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를 수 있다.
1m-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m-01)은 기지국(1m-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m-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m-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m-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m-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한 번의 셀 재선택이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단말의 속도에 따라 단말 속도 임계값 별 cellEquivalentSizeUAV 로 카운트하여 더 빠르게 중간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천이하여 셀 재선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n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n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n를 참조하면, 단말(1n-01)은 NR 셀(1n-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n-03).
1n-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n-01)은 NR 셀(1n-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distance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 단말 총 이동 거리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1n-05 단계에서, NR 셀(1n-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n-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신규 distance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Normal mobility state, medium mobility state, high mobility state 를 결정하는 각 total movement distance threshold (DH, DM)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더 많이 또는 같거나 더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고 DM 보다 많이 또는 같거나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medium mobility state로 진입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M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는 경우, 단말은 normal mobility state로 진입할 수 있다.
- 고도 임계값
n 참고로 상술한 내용은 단말이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n-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n-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n-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n-01)은 기지국(1n-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신규 distance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Normal mobility state, medium mobility state, high mobility state 를 결정하는 각 total movement distance threshold (DH, DM)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더 많이 또는 같거나 더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high mobility state로 진입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고 DM 보다 많이 또는 같거나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medium mobility state로 진입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M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는 경우, 단말은 normal mobility state로 진입할 수 있다.
- 고도 임계값
n 참고로 상술한 내용은 단말이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n-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n-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르거나 또는 1n-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n-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n-01)은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1n-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은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라 speed dependent (scaling) reselection paratmers를 적용할 수 있다.
1n-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n-01)은 기지국(1n-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n-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n-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n-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n-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주어진 시간 동안 이동한 총 거리에 기반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도 1o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을 NR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Uncrewed aerial vehicl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또는 높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단말 또는 새롭게 정의되는 mobility state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UAV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은 3GPP TS 22.125에 명시되어 있는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UA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단말은 종래 mobility state determination에 따를 경우,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훨씬 늦게 중간 이동성 상태 또는 높은 이동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을 위한 mobility state determination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trol Mode Function Typical Message Interval
 
Max UAV ground speed Typical message Size
(note 1)
End to end Latency
 
Reliability
(note 2)
Positive ACK
(note 8)
Steer to waypoints (note 3)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0 byte
 
1 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4)
1 s 84-140 byte 1 s 99.9% Not Required
Direct stick steering
(note 5)
UAV terminated C2 message 40 ms
(note 6)
60km/h 24 byte 40 ms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note 7)
40 ms 84-140 byte 40 ms
 
99.9% Not Required
Automatic flight on UTM
(note 10)
UAV terminated C2 message 1 s     300 km/h
 
 
<10 kbyte 5 s (note 9) 99.9% Required
UAV originated C2 message 1 s
(note 9)
1500 byte 5 s
(note 9)
99.9% Required
Approaching Autonomous Navigation Infrastructure UAV terminated C2 message 500 ms 50 km/h 4 kbyte 10 ms 99% Required
UAVoriginated C2 message 500 ms   4 kbyte 140 ms 99.99% Required
NOTE 1: Message size is at the application layer and excludes any headers and security related load. The numbers shown are typical as message size depends on the commands sent and is implementation specific.
NOTE 2: Messag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transmission within the required latency at the application layer while under network coverage.
NOTE 3: Video is neither required nor expected to be used for steering in this mode.
NOTE 4: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is message on an event driven basis (e.g. approaching a geo fence).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NOTE 5: A video feedback is required for this mode. The KPIs for video are defined in table 7.2-2.
NOTE 6: UAVs on-board controllers typically update at either 50Hz (20ms) or 25Hz (40ms).
NOTE 7: A status message may, but is not required to, be sent as a response to a control message A 1oz slow mode also exists.
NOTE 8: Positive ACK is sent to the originator of the message (i.e. UAV controller and / or the UTM). The 5G system makes no assumption whether an appropriate ACK is sent by the application layer.
NOTE 9: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C2 communication between a UAV and UTM can be allowed to experience much longer traffic interruptions, e.g. timeouts of 30 s on the uplink and 300 s on the downlink.
NOTE 10: This only represents periodic message exchange during a nominal mission in steady state. Itdoes not represent unusual or aperiodic events such as conveying dynamic restrictions or a flight plan to the UAV on the downlink.
도 1o를 참조하면, 단말(1o-01)은 NR 셀(1o-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o-03).
1o-04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o-01)은 NR 셀(1o-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nhanced mobility state 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 UAV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
-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distance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를 적용할 수 있다는 지시자
- 단말 총 이동 거리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지시자
1o-05 단계에서, NR 셀(1o-02)은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1o-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에는 신규 distance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ellEquivalentSizeUAV (예를 들어, cellEquivalentSizeUAV2, cellEquivalentSizeUAV1 (cellEquivalentSizeUAV2>=cellEquivalentSizeUAV1 or cellEquivalentSizeUAV2 > cellEquivalentSizeUAV1) 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더 많이 또는 같거나 더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2 로 카운트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고 DM 보다 많이 또는 같거나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1 로 카운트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M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1로 카운트할 수 있다.
- 고도 임계값
n 참고로 상술한 내용은 단말이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o-06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o-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o-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o-01)은 기지국(1o-02)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에는 신규 distance dependent reselection parameters 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ellEquivalentSizeUAV (예를 들어, cellEquivalentSizeUAV2, cellEquivalentSizeUAV1 (cellEquivalentSizeUAV2>=cellEquivalentSizeUAV1 or cellEquivalentSizeUAV2 > cellEquivalentSizeUAV1) 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더 많이 또는 같거나 더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2 로 카운트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h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고 DM 보다 많이 또는 같거나 많이 이동한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cellEquivalentSizeUAV1 로 카운트할 수 있다.
n 단말의 총 이동거리가 TCRmax (또는 신규 TCrmaxnew)동안 DM 보다 적게 또는 적거나 같게 이동하는 경우, 단말은 한 번의 셀 재선택 횟수를 1로 카운트할 수 있다.
- 고도 임계값
n 참고로 상술한 내용은 단말이 고도 임계값 보다 높거나 또는 높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고도 임계값 보다 낮거나 또는 낮거나 같게 비행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1o-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o-01)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르거나 또는 1o-10 단계에서 상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o-2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o-01)은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동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결정한 mobility state에 따라 1o-15에서 명시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o-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1o-01)은 기지국(1o-02)과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개시할 수 있다. 즉, 1o-2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전송할 수 있다. 1o-3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o-31)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를 전송(1o-35)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단말의 신규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for UAV) 또는 종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성 상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하기 직전의 이동성 상태로 설정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할 수 있다 (include the mobilityStateUAV or mobilityState and set it to the mobility state (as specified in TS 38.304) of the UE just prior to entering RRC_CONNECTED state).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주어진 시간 동안 이동한 총 거리에 기반하여 거리 임계값에 따라 셀 재선택 횟수를 다르게 카운트하여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도 1p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p를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 처리부(1p-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p-20), 저장부(1p-30), 제어부(1p-40)를 포함할 수 있다.
RF 처리부(1p-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 처리부(1p-10)는 기저대역 처리부(1p-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처리부(1p-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p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1p-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 처리부(1p-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 처리부(1p-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1p-10)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 처리부(1p-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p-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p-20)은 RF 처리부(1p-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p-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p-20)은 RF 처리부(1p-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처리부(1p-20) 및 RF 처리부(1p-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 처리부(1p-20) 및 RF 처리부(1p-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 처리부(1p-20) 및 RF 처리부(1p-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1p-20) 및 RF 처리부(1p-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p-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p-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p-30)는 제어부(1p-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p-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p-40)는 기저대역 처리부(1p-20) 및 RF 처리부(1p-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p-40)는 저장부(1p-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p-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p-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q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q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 처리부(1q-10), 기저대역 처리부(1q-20), 백홀통신부(1q-30), 저장부(1q-40), 제어부(1q-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처리부(1q-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 처리부(1q-10)는 기저대역 처리부(1q-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처리부(1q-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q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1q-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 처리부(1q-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 처리부(1q-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1q-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 처리부(1q-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q-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q-20)은 RF 처리부(1q-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q-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 처리부(1q-20)은 RF 처리부(1q-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처리부(1q-20) 및 RF 처리부(1q-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 처리부(1q-20) 및 RF 처리부(1q-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 통신부(1q-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 통신부(1q-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1q-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q-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q-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q-40)는 제어부(1q-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q-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q-50)는 기저대역 처리부(1q-20) 및 RF 처리부(1q-10)을 통해 또는 백홀 통신부(1q-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q-50)는 저장부(1q-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q-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230019008A 2023-02-13 2023-02-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ending KR20240126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008A KR20240126344A (ko) 2023-02-13 2023-02-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4/001954 WO2024172425A1 (ko) 2023-02-13 2024-02-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008A KR20240126344A (ko) 2023-02-13 2023-02-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6344A true KR20240126344A (ko) 2024-08-20

Family

ID=9242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008A Pending KR20240126344A (ko) 2023-02-13 2023-02-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26344A (ko)
WO (1) WO20241724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04201A (zh) * 2024-11-29 2024-12-27 贵州警察学院 基于深度学习的无人机飞行状态监测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4612B2 (en) * 2012-08-07 2018-10-16 Hfi Innovation Inc. UE preference indication and assistanc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O2019066559A1 (en) * 2017-09-28 2019-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MOBILITY STATUS OF A UE AND DEVICE SUPPORTING IT
WO2019160268A1 (en) * 2018-02-14 2019-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stimating mobility state of ue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0138856A1 (en) * 2018-12-26 2020-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04201A (zh) * 2024-11-29 2024-12-27 贵州警察学院 基于深度学习的无人机飞行状态监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72425A1 (ko) 202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94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ephemeris-based cell reselection in satellite network
EP4062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214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177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N-DC cell reselection indicator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4012634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15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eriving cell reselection priority in slice-based cell reselec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500145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전력 웨이크업 수신기에 기반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117292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non-anchor Network Energy Saving (NES) Cell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58856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2763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ell reselection priority of terminal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50142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report message to bs by ue when leaving condition for eventaxhy is satisfied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245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ice based cell reselection prior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3889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measurement sequence for frequencies according to base station configur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073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porting of uncrewed aerial vehicle terminal in non-terrestrial network
US202301224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procedure
US202400156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cell based on sli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19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connection establishment failur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163889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도 기반 복수 개의 설정 정보를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1468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추가적인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500145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500467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설정에 따른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12126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135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KR2024012619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Cell DTX(Discontinous transmission)/DRX(Discontinuous reception)을 지원하는 Network Energy Saving (NES) 셀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588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인 항공기의 접속을 억제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