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122190A -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2190A
KR20240122190A KR1020230015060A KR20230015060A KR20240122190A KR 20240122190 A KR20240122190 A KR 20240122190A KR 1020230015060 A KR1020230015060 A KR 1020230015060A KR 20230015060 A KR20230015060 A KR 20230015060A KR 20240122190 A KR20240122190 A KR 2024012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area
user
virtu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석
Original Assignee
장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석 filed Critical 장재석
Priority to KR102023001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2190A/ko
Publication of KR2024012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2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8Details of the 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이스틱영역과 조이스틱핸들로 구성된 가상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가상조이스틱 조작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창 상에 하나의 가상 조이스틱을 생성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가상 조이스틱의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여 조이스틱영역 내에서 드래그하여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창 전체를 조이스틱영역으로 하여 사용자의 터치영역의 드래그에 따라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4과정; 및 제4과정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조이스틱영역의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고정 한 후 고정된 움직임벡터 값과,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벡터값을 검출하여 가변되는 움직임벡터 값을 동시에 제공하여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한 손 조작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Method to manipulate the virtual joystick of mobile games with one hand and the device accordingly}
본 발명은 모바일 단발기의 게임 진행시 제공되는 가상 조이스틱의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손만을 이용하여 3인칭 혹은 1인칭 모바일 게임에서 조작하는데 필요한 캐릭터 움직임과 캐릭터의 회전을 도출하기 위한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콘솔 게임기나 PC를 사용해서 즐기던 게임들이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서도 실행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각종 게임들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해서 실행하는 게임 중에는 조작이 간단하고 단순한 퍼즐이나 보드게임도 있지만, 모바일 단말기의 성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근래에는 복잡하고 실시간으로 게임 내용을 조작해야 하는 스포츠 게임을 포함하는 3인칭 혹은 1인칭 게임들이 각광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3인칭 혹은 1인칭 게임들의 경우 첨부한 도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게임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10)의 화면(11)상에 두 개의 가상 조이스틱(12a, 12b)이 그래픽으로 표시된다.
상기 가상 조이스틱(12a, 12b)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지름이 다른 두 개의 동심원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가상 조이스틱(12a, 12b)의 모양은 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두 개가 아닌 세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1에 표현된 것과 같이 동심원 형상의 조이스틱(12a, 12b)에서 바깥쪽에 있는 원은 조이스틱(12a, 12b)의 외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가운데에 있는 원은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움직이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움직이는 방향으로 함께 따라서 움직인다.
게임 이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몸체를 양손으로 쥔 상태에서 오른손과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좌우 양측의 조이스틱(12a, 12b)을 각각 터치하면서 실제 조이스틱을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작방식은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거나, 모든 손가락을 원활히 사용하지 못한다면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 문제는 곧 장애인과 같은 특정 사람들은 추가적인 외부장치 없이는 조작을 할 수 없다는 문제와 연결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61187호(2014.01.28)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발기의 게임 진행시 제공되는 가상 조이스틱의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손만을 이용하여 3인칭 혹은 1인칭 모바일 게임에서 조작하는데 필요한 캐릭터 움직임과 캐릭터의 회전을 도출하기 위한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의 특징은, 조이스틱영역과 조이스틱핸들로 구성된 가상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가상조이스틱 조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창 상에 하나의 가상 조이스틱을 생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가상 조이스틱의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여 조이스틱영역 내에서 드래그하여 상기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 및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창 전체를 조이스틱영역으로 하여 사용자의 터치영역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4과정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조이스틱영역의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고정 한 후 고정된 움직임벡터 값과,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벡터값을 검출하여 가변되는 움직임벡터 값을 동시에 제공하여 상기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1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 조이스틱은 디스플레이의 좌측 혹은 우측의 특정 좌표를 중심 기준으로 생성되며, 좌측 혹은 우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4과정과 제5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출발점에서 같은 도착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4과정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은 최단거리인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를 일직선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5과정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은 곡선을 그리며 움직이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특징은, 조이스틱영역과 조이스틱핸들로 구성된 가상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가상조이스틱 조작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우측 혹은 좌측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가상조이스틱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과; 상기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을 통해 생성되어진 하나의 가상조이스틱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는 형태를 감지하고,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가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른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 및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른 관련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은,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오른손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그에 따라 가상조이스틱을 오버랩시킬 위치의 중심 좌표를 생성하는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과;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우측 혹은 좌측의 상기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을 통해 설정되어진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조이스틱을 생성하여 오버랩시키는 가상조이스틱 오버랩모듈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움직임벡터 검출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는 형태를 인지하기 위한 터치상태 검출모듈; 및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경우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영역이탈 확인모듈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는 가운데 상기 움직임벡터 검출모듈에서 움직임 벡터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지하기 위한 동작모드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은, 유입되는 조이스틱 조작신호를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에 제공하여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동작하도록 하는 게임 연동모듈과;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영역의 움직임 검출 및 그에 따른 벡터값을 생성될 때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확대한 개념으로 캐릭터 움직임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움직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임 연동모듈측에 제공하는 A타입 조작모듈; 및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산출하여 이동방향이 고정하도록 한 후,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 검출 및 그에 따른 벡터값을 생성될 때 상기 게임 연동모듈 측으로 상기 조이스틱 영역 경계에 고정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에 따른 고정된 움직임 벡터값과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벡터값을 동시에 제공하는 B타입 조작모듈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A타입 조작모듈과 B타입 조작모듈은 어느 하나가 활성화 되면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 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면, 한 손만을 이용하여 3인칭 혹은 1인칭 모바일 게임에서 조작하는데 필요한 캐릭터 움직임과 캐릭터의 회전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통상적으로 모바일 게임에서 가상의 조이스틱을 활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모바일 게임에서 가상의 조이스틱을 활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블록 구성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를 통해 캐릭터와 연동하는 조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목표)을 간략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모바일 게임 중 1인칭 혹은 3인칭 슈팅 게임(Shooting Game)을 예로 케릭터를 조작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방식은 캐릭터의 진행방향과 공격방향이 동일한 경우 즉, 예를 들어 직진하면서 전방의 대상을 공격하는 경우의 조작방식이다.
반면에 두 번째 방식은 캐릭터의 진행방향과 공격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즉, 예를 들어 공격대상은 전방에 위치하지만 캐릭터는 전방에서의 공격을 피해 우측 혹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공격은 전방으로 하는 경우의 조작방식이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은 2개의 조이스틱을 활용하여 하나의 조이스틱으로는 캐릭터의 진행(이동) 방향을 조작하고, 다른 하나의 조이스틱으로는 캐릭터의 시야(회전)방향을 조작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때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한 손만을 사용하여 캐릭터의 진행(이동)방향과 시야(회전)방향을 모두 한 개의 조이스틱의 조작을 통해 두 개의 조이스틱의 조작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내에서 움직이는 경우는 캐릭터의 진행방향과 공격방향이 동일한 첫 번째 조작방식의 경우로 인식하고,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두 번째 조작방식의 경우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내에서 움직이는 경우는 캐릭터의 이동과 회전에 대한 처리가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현상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은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동(드래그)하여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2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이를 처리하고자 한다.
즉,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동(드래그)하여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조이스틱 핸들이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의 이동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이는 방식(이하 A타입이라 칭함)이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면 해당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산출하여 고정하도록 한 후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의 이동방향으로 캐릭터가 회전하도록 하는 방식(이하 B타입이라 칭함)이다.
상술한 A타입과 B타입의 조작모드는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UI)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게임 중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빠르게 조작모드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캐릭터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이스틱 핸들을 일정시간(예를 들어 2초이상) 터치상태를 유지하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 설명에서 공격방향(혹은 시야방향) 혹은 회전이라 지칭된 것은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캐릭터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공격방향(혹은 시야방향)이 전방을 향하게 되면, 캐릭터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이라는 설명을 한 것이며 이는 혼용이 아니라 관점의 차이에 따른 호칭의 차이임을 미리 밝혀둔다.
첨부한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모바일 게임에서 가상의 조이스틱을 활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의 블록 구성 예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를 통해 캐릭터와 연동하는 조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2와 도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을 적용하면 오른손(첨부한 도2 참조) 혹은 왼손(첨부한 도3 참조)만으로 모바일 게임에서 가상의 조이스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바일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창(110)에 우측 혹은 좌측의 임의의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조이스틱(120)은 오버랩 되어진다. 이때 상기 가상조이스틱(120)은 조이스틱영역(121)과 조이스틱핸들(122)로 구성되며, 상기 조이스틱핸들(122)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이스틱영역(121) 내에서 드래그하면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창(1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케릭터가 상기 조이스틱핸들(122)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며, 캐릭터의 이동과 회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에 따른 소프트웨어적인 모듈의 구성이 첨부한 도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크게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210)과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220) 및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230)로 구성된다.
상기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210)은 가상조이스틱 오버랩모듈(211)과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212)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212)은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UI)를 조작하여 오른손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그에 따라 가상조이스틱(120)을 오버랩시킬 위치의 중심 좌표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또한, 상기 가상조이스틱 오버랩모듈(211)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창(110)에 우측 혹은 좌측의 임의의 좌표 즉, 상기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212)을 통해 설정되어진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조이스틱(120)을 오버랩시키게 된다.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220)은 동작모드 확인모듈(221)과 터치상태 검출모듈(222)과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 및 영역이탈 확인모듈(224)로 구성되는데, 상기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핸들(122)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구성이며, 상기 터치상태 검출모듈(222)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핸들(122)을 터치하는 형태(예를들면, 클릭 혹은 더블클릭 혹은 터치상태 유지)를 인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영역이탈 확인모듈(224)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핸들(122)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과정에서 조이스틱영역(121)을 벗어나려고 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핸들(122)을 터치하는 가운데 상기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에서 움직임 벡터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 즉, 움직임 없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2초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A타입과 B타입으로 구분하는 데,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UI)를 조작하여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A타입 혹은 B타입으로 조작모드를 전환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설정은 A타입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가운데 사용자가 B타입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용자가 조이스틱핸들(122)을 터치하는 가운데 움직임 없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2초이상)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조작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역시 B타입에서 A타입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은 현재 사용자사 선택한 조작모드를 인지하고 있으며, 상기 터치상태 검출모듈(222)와 상기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의 검출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모드를 전환하고자 한다고 판단되면 현재 인지하고 있는 조작모드를 다른 조작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후술하는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230)측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230)은 A타입 조작모듈(231)과 B타입 조작모듈(232) 및 게임 연동모듈(233)로 구성되는데, 게임 연동모듈(233)은 A타입 조작모듈(231)과 B타입 조작모듈(232) 중 어느 하나의 조작모듈에서 제공되는 조이스틱 조작신호를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에 제공하여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A타입 조작모듈(231)은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조이스틱 조작모드가 A타입이라고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터치상태 검출모듈(222)과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의 검출데이터를 기준으로 조이스틱 핸들(122)이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동(드래그)하여 조이스틱 영역(121)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조이스틱 핸들(122)이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의 이동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B타입 조작모듈(232)은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조이스틱 조작모드가 B타입이라고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터치상태 검출모듈(222)와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의 검출데이터를 기준으로 조이스틱 핸들(122)이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위치하면 해당 조이스틱 핸들(122)이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조이스틱 핸들(122)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산출하여 이동방향이 고정하도록 한 후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부분의 이동방향으로 캐릭터가 회전하며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A타입 조작모듈(231)의 작동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과 상기 B타입 조작모듈(232)의 작동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 상의 가장 큰 차이는 결과적으로 같은 출발점에서 같은 도착점으로 이동할 때 A타입은 최단 거리인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를 거의 일직선으로 이동하는 반면, B타입은 곡선을 그리며 움직이게 된다는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를 통해 캐릭터와 연동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모바일 게임이 시작되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는 해당 게임에 가상조이스틱이 필요한가를 스텝 S101의 과정을 통해 확인하고, 상기 스텝 S101의 과정을 통해 가상조이스틱이 필요 없는 게임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02로 진행하여 해당 게임을 진행한다.
만약 상기 스텝 S101의 과정을 통해 가상조이스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3으로 진행하여 가상조이스틱의 오버랩 위치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창(110)에 참조번호 120으로 지칭되는 가상조이스틱을 오버랩시키게 된다.
이때 가상조이스틱의 오버랩 위치는 첨부한 도2와 도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설정하게 되고, 이에따라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212)은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UI)를 조작하여 오른손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그에 따라 가상조이스틱(120)을 오버랩시킬 위치의 중심 좌표를 생성하게 되고, 가상조이스틱 오버랩모듈(211)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창(110)에 우측 혹은 좌측의 임의의 좌표 즉, 상기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212)을 통해 설정되어진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조이스틱(120)을 오버랩시키게 된다.
상술한 스텝 S103의 과정이 완료되면, 스텝 S104의 과정으로 진행하여 조이스틱 조작모드의 타입을 확인하게 된다.
즉, 현재 설정상태가 A타입인지 혹은 B타입인지를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초기 설정값은 A타입을 기본으로 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스텝 S105에서는 조이스틱핸들(122)이 움직이는 가를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 데, 상기 스텝 S105에서 조이스틱핸들(122)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터치상태 검출모듈(222)을 통해 조이스틱 핸들(122)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형태가 클릭 혹은 더블클릭 혹은 터치상태 유지 중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스텝 S107에서는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변경하고자 하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즉 조이스틱핸들(122)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조이스틱 핸들(122)을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상 터치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스텝 S107에서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변경 요청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05로 진행하고, 상기 스텝 S107에서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변경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8로 진행하여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를 다른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저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는 상기 조이스틱핸들(122) 혹은 조이스틱 영역(121)에 A타입인지 혹은 B타입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텝 S105에서 조이스틱핸들(122)의 움직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9로 진행하여, 움직임벡터 검출모듈(223)을 통해 조이스틱 핸들(122)의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09에서 산출되는 움직임 벡터의 데이터는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A타입 조작모듈(231)과 B타입 조작모듈(232) 중 어느 하나의 조작모듈을 통해 게임 연동모듈(233)측에 제공되고, 상기 게임 연동모듈(233)은 제공받은 조이스틱 조작신호를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에 제공하여 스텝 S110을 통해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후 스텝 S111의 과정에서는 조이스틱 핸들(122)이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도달하였는가를 영역이탈 확인모듈(224)를 통해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영역이탈 확인모듈(224)를 통해 조이스틱 핸들(122)이 조이스틱 영역(121) 내부에서만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05의 과정으로 재 진행하게 된다.
만약 스텝 S111의 과정에서 조이스틱 핸들(122)이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이스틱 핸들(122)을 터치하고 있던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를 벗어났는가를 스텝 S112의 과정에서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영역이탈 확인모듈(224)를 통해 조이스틱 핸들(122)을 터치하고 있던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 외부로 이탈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05의 과정으로 재 진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112의 과정에서 상기 조이스틱 핸들(122)을 터치하고 있던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를 벗어나 외부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113으로 진행하여 현 시점에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가 무엇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13의 과정에서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가 A타입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14로 진행하여 조이스틱 영역(121) 외부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위치의 움직임벡터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14과정에서 산출되어진 움직임벡터를 기준으로 스텝 S115에서는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위치하던 조이스틱 핸들(122)을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스텝 S116의 과정에서 움직임 벡터의 데이터는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A타입 조작모듈을 통해 게임 연동모듈(233)측에 제공되고, 상기 게임 연동모듈(233)은 제공받은 조이스틱 조작신호를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에 제공하여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후 스텝 S117의 과정으로 진행하는 데, 상기 스텝 S117의 과정에서는 상기 터치상태 검출모듈(222)을 통해 조이스틱 핸들(122)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형태가 클릭 혹은 더블클릭 혹은 터치상태 유지 중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스텝 S118에서는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변경하고자 하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즉 조이스틱핸들(122)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조이스틱 핸들(122)을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상 터치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스텝 S118에서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변경 요청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13으로 재 진행하고, 상기 스텝 S118에서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변경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스텝 S119로 진행하여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를 다른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저장하게 한다.
이후 스텝 S120에서는 조이스틱 핸들(122)의 위치를 조이스틱 영역(121)의 중앙으로 초기화한 후 상기 스텝 S105로 재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재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113의 과정에서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가 B타입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21로 진행하여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위치하는 조이스틱 핸들(122)의 위치를 현 상태로 고정하고 스텝 S122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 S122에서는 현재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고정된 조이스틱 핸들(122)의 위치의 벡터값을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의 중심좌표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이를 움직임 벡터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22에서 산출되어진 움직임 벡터값을 스텝 S123에서는 상기 동작모드 확인모듈(221)에 저장되어진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B타입 조작모듈을 통해 게임 연동모듈(233)측에 제공되고, 상기 게임 연동모듈(233)은 제공받은 조이스틱 조작신호를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에 제공하여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이동하는 가를 스텝 S124에서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스텝 S124에서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23으로 진행하여 현재 조이스틱 영역(121)의 경계에 고정된 조이스틱 핸들(122)의 위치의 벡터값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을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124에서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125로 진행하여 상기 조이스틱 영역(121)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 위치가 이동하는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벡터값을 산출하고, 스텝 S126의 과정을 통해 캐릭터를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캐릭터를 움직이는 움직임 벡터의 값은 2개인데, 이는 상기 스텝 S122를 통해 산출되어진 고정된 움직임 벡터값과 상기 스텝 S125에서 산출되는 가변되는 움직임 벡터값이다.
따라서 실제적인 캐릭터의 움직임을 2개의 움직임 벡터값에 따라 라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스텝 S117로 재 진행하여 상술한 동작을 재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가 제공되면, 기존에 2개의 조이스틱으로 운영되던 것을, 조이스틱 1개의 조작만으로 캐릭터의 이동과 회전을 모두 입력가능해 진다.
더욱이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드래그를 할 경우, 캐릭터의 회전에 맞게 자동으로 이동방향이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A타입의 경우 기존 진행 방향으로 설정된 방향 값이 회전한 방향 값으로 변경되고, B타입의 경우 기존 진행 방향으로 설정된 방향 값을 유지하고 회전한 방향 값으로 추가적인 힘을 가해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같은 출발점에서 같은 도착점으로 이동할 때 A타입의 경우는 최단거리인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를 일직선으로 이동하는 반면, B타입의 경우는 곡선을 그리며 움직이게 된다.
상기 2가지 방법의 차이는 이동의 편의성이다. 즉, A타입은 조이스틱 영역이 디스플레이 창 전체로 확장된 것과 같은 개념으로 최단거리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조작할 경우 계속해서 손가락을 움직여줘야 하는 반면 B타입은 이동거리가 길어지지만 손가락 하나를 클릭 상태를 유지한 채 드래그를 하는 것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방법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100 : 모바일 단말기
11, 110 : 디스플레이창
12a, 12b, 120 : 가상조이스틱
121 : 조이스틱영역
122 : 조이스틱핸들
210 :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
211 : 가상조이스틱 오버랩모듈
212 :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
220 :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
221 : 동작모드 확인모듈
222 : 터치상태 검출모듈
223 : 움직임벡터 검출모듈
224 : 영역이탈 확인모듈
230 :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
231 : A타입 조작모듈
232 : B타입 조작모듈
233 : 게임 연동모듈

Claims (11)

  1. 조이스틱영역과 조이스틱핸들로 구성된 가상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가상조이스틱 조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창 상에 하나의 가상 조이스틱을 생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가상 조이스틱의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여 조이스틱영역 내에서 드래그하여 상기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 및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창 전체를 조이스틱영역으로 하여 사용자의 터치영역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조이스틱영역의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고정 한 후 고정된 움직임벡터 값과,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벡터값을 검출하여 가변되는 움직임벡터 값을 동시에 제공하여 상기 캐릭터를 조작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 조이스틱은 디스플레이의 좌측 혹은 우측의 특정 좌표를 중심 기준으로 생성되며, 좌측 혹은 우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과 제5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출발점에서 같은 도착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4과정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은 최단거리인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를 일직선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5과정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은 곡선을 그리며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6. 조이스틱영역과 조이스틱핸들로 구성된 가상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가상조이스틱 조작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우측 혹은 좌측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가상조이스틱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과;
    상기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을 통해 생성되어진 하나의 가상조이스틱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는 형태를 감지하고,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가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른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 및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른 관련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플레이되는 1인칭 혹은 3인칭 모바일 게임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조이스틱 관리모듈은,
    사용자가 게임 유틸리티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오른손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왼손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그에 따라 가상조이스틱을 오버랩시킬 위치의 중심 좌표를 생성하는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과;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우측 혹은 좌측의 상기 가상조이스틱 위치변경모듈을 통해 설정되어진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조이스틱을 생성하여 오버랩시키는 가상조이스틱 오버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움직임벡터 검출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는 형태를 인지하기 위한 터치상태 검출모듈; 및
    사용자가 상기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는 경우 드래그를 하는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영역이탈 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핸들을 터치하는 가운데 상기 움직임벡터 검출모듈에서 움직임 벡터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지하기 위한 동작모드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조이스틱 정합모듈은,
    유입되는 조이스틱 조작신호를 모바일 게임의 캐릭터에 제공하여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동작하도록 하는 게임 연동모듈과;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영역의 움직임 검출 및 그에 따른 벡터값을 생성될 때 상기 조이스틱영역을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확대한 개념으로 캐릭터 움직임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움직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임 연동모듈측에 제공하는 A타입 조작모듈; 및
    상기 조이스틱 동작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영역이 조이스틱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이 조이스틱 영역의 경계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심점으로 부터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동방향을 산출하여 이동방향이 고정하도록 한 후,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 검출 및 그에 따른 벡터값을 생성될 때 상기 게임 연동모듈 측으로 상기 조이스틱 영역 경계에 고정되어진 조이스틱 핸들의 위치에 따른 고정된 움직임 벡터값과 상기 조이스틱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영역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벡터값을 동시에 제공하는 B타입 조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타입 조작모듈과 B타입 조작모듈은 어느 하나가 활성화 되면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장치.


KR1020230015060A 2023-02-03 2023-02-03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2024012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060A KR20240122190A (ko) 2023-02-03 2023-02-03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060A KR20240122190A (ko) 2023-02-03 2023-02-03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2190A true KR20240122190A (ko) 2024-08-12

Family

ID=9237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060A KR20240122190A (ko) 2023-02-03 2023-02-03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21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87B1 (ko) 2012-08-28 2014-09-23 (주)공게임즈 가상의 조이스틱을 이용한 야구게임 진행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87B1 (ko) 2012-08-28 2014-09-23 (주)공게임즈 가상의 조이스틱을 이용한 야구게임 진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36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642310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に基づく操作及び制御方法及び端末
TWI568480B (zh) 用於觸摸顯示器之虛擬控制器的輸入方法及計算設備
KR102358390B1 (ko) 게임 시스템, 게임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5994019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2014531946A (ja) タッチ対応移動体デバイスにおけるゲーム・コントローラー
JP6447853B1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28267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2023089287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658163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6308643B1 (ja) 姿勢算出プログラム、姿勢情報を用いたプログラム
US11638868B2 (en) Controller having display with selectable icons
CN112807673A (zh) 一种游戏角色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977878B1 (ja) プログラム、ゲー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40122190A (ko) 모바일 게임의 가상 조이스틱에 대한 한 손 조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JP7028428B2 (ja) ゲームの操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操作制御装置
JP6807732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964884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969066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8180552A1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30473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7062033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008949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端末
JP7062034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54079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