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5049A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5049A KR20240105049A KR1020220187866A KR20220187866A KR20240105049A KR 20240105049 A KR20240105049 A KR 20240105049A KR 1020220187866 A KR1020220187866 A KR 1020220187866A KR 20220187866 A KR20220187866 A KR 20220187866A KR 20240105049 A KR20240105049 A KR 202401050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fluorine
- lithium secondary
- secondary battery
- carbonat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150000005676 cyclic carbon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SBLRHMKNNHXPHG-UHFFFAOYSA-N 4-fluoro-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FC1COC(=O)O1 SBLRHMKNNHXPH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12
- CRJXZTRTJWAKMU-UHFFFAOYSA-N 4,4,5-trifluoro-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FC1OC(=O)OC1(F)F CRJXZTRTJWAKM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DSMUTQTWFHVVGQ-UHFFFAOYSA-N 4,5-difluoro-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FC1OC(=O)OC1F DSMUTQTWFHVVG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AMXOYNBUYSYVKV-UHFFFAOYSA-M lith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Li+].[Br-] AMXOYNBUYSYVKV-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3473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SZMZKBZAYQGRS-UHFFFAOYSA-N lithium;bis(trifluoromethylsulfonyl)azanide Chemical compound [Li+].FC(F)(F)S(=O)(=O)[N-]S(=O)(=O)C(F)(F)F QSZMZKBZAYQGR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0238 LiAlCl 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5015 LiAsF 6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3188 LiBOB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0935 LiFOB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0941 LiFSI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2258 LiPO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2424 LiS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2513 LiSbF 6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SZCZNFXUDYRKD-UHFFFAOYSA-M lithium iodide Inorganic materials [Li+].[I-] HSZCZNFXUDYRKD-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VDVLPSWVDYJFRW-UHFFFAOYSA-N lithium;bis(fluorosulfonyl)azanide Chemical compound [Li+].FS(=O)(=O)[N-]S(F)(=O)=O VDVLPSWVDYJFR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5044 LiB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XGZVUEUWXADBQD-UHFFFAOYSA-L lithium carbonate Chemical group [Li+].[Li+].[O-]C([O-])=O XGZVUEUWXADBQD-UHFFFAOYSA-L 0.000 claims 1
- 229910052808 lith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787 dendrit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4
- -1 artificial graphit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437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54 inductively-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6507 inter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55 ion exchange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BPVMEKUJUKTBA-UHFFFAOYSA-N methyl 2,2,2-trifluoro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C(F)(F)F GBPVMEKUJUKT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JGJHDZQLWWMRT-UHFFFAOYSA-N 2,2,2-trifluoroethyl hydrogen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CC(F)(F)F HJGJHDZQLWWM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TCAGAIFZCHZFO-UHFFFAOYSA-N 2-(ethylamino)-1-(3-fluorophen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CNC(C)C(=O)C1=CC=CC(F)=C1 DTCAGAIFZCHZ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279 LaSrM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MDDXIMCDZRSNE-UHFFFAOYSA-N [C].[Si] Chemical compound [C].[Si] HMDDXIMCDZRSN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4 anode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LLOZRDOFANZMZ-UHFFFAOYSA-N bis(2,2,2-trifluoro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FC(F)(F)COC(=O)OCC(F)(F)F WLLOZRDOFANZ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60 carbonate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IQRQRGUYXRTJJ-UHFFFAOYSA-N fluorom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F PIQRQRGUYXRT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641 methac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010 per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69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79 polypropylene 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84 propylene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4—Fluorinated solv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1:9 내지 8:2의 부피비로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특성 및 고전압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성분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반복 가능한 전지로서, 정보 통신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캠코더, 휴대폰, 노트북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통신 기기들의 동력원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의 동력원으로서도 이차 전지를 포함한 전지 팩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로서 예를 들면, 리튬 이차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리튬 이차 전지가 작동 전압 및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충전 속도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는 점에서 활발히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세퍼레이터)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함침시키는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튬 금속이 음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리튬 이차 전지가 충전되는 동안 리튬이 불균형하게 증착되어 덴드라이트(수지상 결정)가 성장하고, 전지 수명 및 안정성이 열화될 수 있다.
기존에는 리튬 이차 전지를 3.0~4.2V의 전압에서 충전하였으나, 보다 높은 충전 전압(4.2~4.5V)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에너지 용량을 발휘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통상의 비수성 카보네이트계 용매를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 4.2V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하면 전해질의 분해반응이 진행되어 수명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10-2022-0082969호는 불소 함유 선형 대칭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해질은 고전압 안정성을 갖지만 낮은 용해도로 인해 장시간 보관시에 염이 석출될 수 있으며, 음극 표면에 안정한 고체 전해질 계면상(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을 형성하지 못하여 전지 성능이 열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과제는 리튬 이차 전지에 우수한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과제는 상기 전해질을 포함하여 우수한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1:9 내지 8:2의 부피비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비중합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불소 원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 디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DFEC)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TFE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미함유 알킬기이고, R6은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디메틸카보네이트(FDMC), 플루오로디에틸카보네이트(FDEC) 및 플루오로에틸메틸카보네이트(FEM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해 7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리튬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LiPF6, LiClO4, LiBF4, LiFSI, LiTFSI, LiSO3CF3, LiBOB, LiFOB, LiDFOB, LiDFBP, LiTFOP, LiPO2F2, LiCl, LiBr, LiI, LiB10Cl10,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LiSCN 및 LiC(CF3SO2)3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불소 함량이 3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산소 함량이 34중량%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주입된 상술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금속 리튬 또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1:9 내지 8:2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전착 모양을 평가한 사진이고, 도 3b 내 (A)는 전착된 리튬을 나타내며 도 3b 내 (B)는 구리 박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반복 충방전에 따른 용량 유지율(2.7V~4.3V, @80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반복 충방전에 따른 용량 유지율(2.7V~4.5V, @55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전착 모양을 평가한 사진이고, 도 3b 내 (A)는 전착된 리튬을 나타내며 도 3b 내 (B)는 구리 박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반복 충방전에 따른 용량 유지율(2.7V~4.3V, @80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반복 충방전에 따른 용량 유지율(2.7V~4.5V, @55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1:9 내지 8:2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의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내용과 함께 본 개시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는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이하, 전해질로 약칭될 수도 있다)은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1:9 내지 8:2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리튬 이차 전지를 고전압에서 구동하는 경우, 전극 표면의 피막이 분해되어 전극 및 전해질의 부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해질이 분해될 수 있으며, 전극 표면에 분해물이 축적되어 이온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불소 함유 카보네이트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불소 함유 카보네이트 용매가 리튬 메탈 전극 표면에 다수의 LiF를 갖는 SEI 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전기화학반응에 안정한 막으로써 작용하여 전해질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 함유 카보네이트 용매는 다수의 불소를 함유하므로, 고전압에서의 산화 분해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해질은 고전압 안정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해질은 다량의 불소를 함유하게 되므로, 산화안정성이 높아져 높은 전압대에서도 쉽게 분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극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상(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LiF rich layer)을 형성하여 안정한 전극-전해질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전극 및 전해질의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튬 메탈 전지에서 단락을 발생시키는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해질은 수명 및 용량 유지율이 향상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불소 원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R1 내지 R4 중 어느 하나가 불소 원자일 수 있고, R1 내지 R4 중 어느 둘이 불소 원자일 수 있고, R1 내지 R4 중 어느 셋이 불소 원자일 수 있고, R1 내지 R4 모두가 불소 원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 디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DFEC)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TFE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미함유 알킬기이고, R6은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R5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미함유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불소 미함유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의 불소 미함유 알킬기, 불소 미함유 메틸기 또는 에틸기, 또는 불소 미함유 메틸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R6은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메틸기 또는 에틸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메틸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12는 수소 원자가 모두 불소 원자로 치환된 과불화알킬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디메틸카보네이트(FDMC), 플루오로디에틸카보네이트(FDEC) 및 플루오로에틸메틸카보네이트(FEM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DMC는 플루오로메틸 메틸 카보네이트를 의미하고, 상기 FDEC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FEMC는 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MTFEC)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에틸메틸카보네이트(FEM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리튬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LiPF6, LiClO4, LiBF4, LiFSI, LiTFSI, LiSO3CF3, LiBOB, LiFOB, LiDFOB, LiDFBP, LiTFOP, LiPO2F2, LiCl, LiBr, LiI, LiB10Cl10,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LiSCN 및 LiC(CF3SO2)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LiPF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 용해된 상기 리튬 염의 농도는 0.5M 내지 3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튬 염의 농도는 0.5M 내지 3M, 0.8M 내지 1.5M 또는 0.8M 내지 1.2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리튬 이온 및/또는 전자가 더욱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비중합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해질은 리튬 염에 대해 더욱 충분한 용해도를 가질 수 있고, 장기 보관 시에도 리튬 염이 더욱 석출되지 않을 수 있다.
불소 함유 선형 대칭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리튬 염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 염이 염 형태로 잔류하여, 저항이 증가하고, 부반응이 발생하며, 전극의 탈리 및 분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의 출력 및 수명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하지만,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리튬 염이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염이 염 형태로 잔류하지 않고 전해질 내에 리튬 이온이 고르게 분포하며 전극에 균일한 보호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리튬 이차 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해 7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불소계 용매의 함량은 70 내지 98중량%, 75 내지 95중량% 또는 80 내지 9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전해질에 포함되는 불소 원자의 함량이 적정하게 되어, 리튬 메탈 전극 표면에 SEI 층이 더욱 충분히 형성되고 덴드라이트의 형성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의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불소 함량이 30중량%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불소 함량은 30 내지 44중량%, 32 내지 40중량% 또는 35 내지 38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리튬 메탈 전극 표면에 다수의 LiF를 갖는 SEI 층이 형성되고, 덴드라이트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으며, 고전압 하에서 전해질의 분해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의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산소 함량이 34중량%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소 함량은 24 내지 34중량%, 27 내지 32중량% 또는 29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 및 용량 유지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해질을 구성하는 각 원소들의 함량은 Elemental Analyzer(EA),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scopy(ICP-OES), Ion Chromatography(IC) 및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수계 전해질일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
도 1 및 도 2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100) 및 음극(130)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50)는 케이스(160) 내에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해질과 함께 수용되어 함침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50)는 양극(100) 및 음극(130)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극(100)은 양극 활물질을 양극 집전체(105)에 도포하여 형성한 양극 활물질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 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은 니켈(Ni)을 포함하며, 코발트(Co) 또는 망간(M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은 하기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Li1+aNi1-(x+y)CoxMyO2
상기 화학식 3 중, -0.05α0.15, 0.01x0.3, 0.01y0.3, 이고 M은 Mn, Mg, Sr, Ba, B, Al, Si, Ti, Zr 또는 W 중 선택되는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을 용매 내에서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분산재 등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105)에 코팅한 후, 압축 및 건조하여 양극(100)을 제조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105)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티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예를 들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유기계 바인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등의 수계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와 같은 증점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바인더로서 PPC-LiTFSI 계열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활물질 입자들 사이의 전자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재는 흑연, 카본 블랙,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등과 같은 탄소계열 도전재 및/또는 주석, 산화주석, 산화티타늄, LaSrCoO3, LaSrMnO3와 같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물질 등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130)은 음극 집전체(125) 및 음극 활물질을 음극 집전체(125)에 코팅하여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125)는 예를 들면, 금,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티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인조흑연, 천연흑연, 비정질 탄소 등의 탄소계열 화합물 또는 실리콘(Si) 계열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실리콘 카바이드(SiC), 또는 탄소 코어 및 실리콘 코팅층을 포함하는 실리콘-탄소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음극(130)은 금속 리튬 또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금속 리튬을 사용할 수 있고, 음극 활물질층(120)은 음극 집전체(125) 상에 배치된 리튬 금속 포일(lithium metal foi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130)은 상기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 중 하나 이상의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을 용매 내에서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분산재 등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125)에 코팅한 후, 압축 및 건조하여 음극(13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로서 상술한 물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음극용 바인더로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PC-LiTFSI 등의 유기계 바인더, 또는 SBR 등의 수계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CMC와 같은 증점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양극(100) 및 음극(130) 사이에는 분리막(140)이 개재될 수 있다. 분리막(140)은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음극(130)의 면적(예를 들면, 분리막(140)과 접촉 면적) 및/또는 부피는 양극(100)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100)으로부터 생성된 리튬 이온이 예를 들면, 중간에 석출되지 않고 음극(130)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양극(100), 음극(130) 및 분리막(140)에 의해 전극 셀이 정의되며, 복수의 전극 셀들이 적층되어 예를 들면, 젤리 롤(jelly roll) 형태의 전극 조립체(1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막(140)의 권취(winding), 적층(lamination), 접음(folding) 등을 통해 전극 조립체(150)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50)가 케이스(160) 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해질과 함께 수용되어 리튬 이차 전지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극 셀에 속한 양극 집전체(105) 및 음극 집전체(125)로부터 각각 전극 탭(양극 탭 및 음극 탭)이 돌출되어 케이스(160)의 일 측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들은 케이스(160)의 상기 일측부와 함께 융착되어 케이스(160)의 외부로 연장 또는 노출된 전극 리드(양극 리드(107) 및 음극 리드(12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예를 들면,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실시예 1
(1) 전해질의 제조
FEC(Tokyo Chemical Industry사 제조) 및 FEMC(Synquest labs사 제조)를 각각 1:4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 용매를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 용매에 1M LiPF6을 용해시키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서 Li[Ni0.6Co0.2Mn0.2]O2, 도전재로서 carbon black과,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92:5: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15㎛ 두께의 알루미늄박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30℃에서 진공 건조하였다. 건조된 슬러리를 압연하여 밀도 3.667g/cm3의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은 리튬 금속 포일(20㎛ 두께)(Honzo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폴리프로필렌)을 개재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1)에서 제조한 전해질을 케이스에 투입하고, 진공 포장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
유기 용매인 EC(에틸렌 카보네이트)(Enchem사 제조) 및 EM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nchem사 제조)를 각각 3:7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 용매를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 용매에 1M LiPF6을 용해시키고 FEC를 첨가한 후,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전해질 대신 상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3. 비교예 2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인 FEMC를 사용하지 않고, FEC 및 불소 함유 선형 대칭 카보네이트인 DFDEC(비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카보네이트)(Tokyo Chemical Industry사 제조)를 각각 1:4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전해질 대신 상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4. 비교예 3
1M LiPF6 대신 1.5M LiPF6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전해질 대신 상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5. 비교예 4
불소계 용매인 FEC 및 FEMC를 각각 0.8:9.2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전해질 대신 상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6. 비교예 5
불소계 용매인 FEC 및 FEMC를 각각 8.2:1.8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전해질 대신 상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있어서, 용매들의 부피비(v/v)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고, 전해질의 총 중량에 대한 용매 및 리튬 염의 함량(중량%)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으며. 전해질에 포함된 불소, 인, 산소, 탄소, 수소의 함량을 표 3에 기재하였다.
용매들의 부피비 (v/v) |
|
실시예 1 | FEC:FEMC=1:4 |
비교예 1 | EC:EMC=3:7 |
비교예 2 | FEC:DFDEC=1:4 |
비교예 3 | FEC:DFDEC=1:4 |
비교예 4 | FEC:FEMC=0.8:9.2 |
비교예 5 | FEC:FEMC=8.2:1.8 |
리튬 염 | 용매 | |
실시예 1 | LiPF6(11.0중량%) | FEC(19.0중량%) 및 FEMC(70.0중량%) |
비교예 1 | LiPF6(13.0중량%) | EC(30.5중량%), EMC(54.5중량%), 및 FEC(2중량%) |
비교예 2 | LiPF6(10.1중량%) | FEC(17.4중량%) 및 DFDEC(72.4중량%) |
비교예 3 | LiPF6(15.3중량%) | FEC(16.4중량%) 및 DFDEC(68.3중량%) |
비교예 4 | LiPF6(11.1중량%) | FEC(9.6중량%) 및 FEMC(79.3중량%) |
비교예 5 | LiPF6(10.6중량%) | FEC(72.7중량%) 및 FEMC(16.7중량%) |
불소 함량 (중량%) |
인 함량 (중량%) |
산소 함량 (중량%) |
탄소 함량 (중량%) |
수소 함량 (중량%) |
|
실시예 1 | 37.1 | 2.3 | 30.0 | 27.8 | 2.8 |
비교예 1 | 10.2 | 2.7 | 42.9 | 38.5 | 5.7 |
비교예 2 | 47.5 | 2.1 | 23.3 | 25.3 | 1.8 |
비교예 3 | 49.1 | 3.1 | 22.2 | 23.9 | 1.7 |
비교예 4 | 38.8 | 2.3 | 28.6 | 27.5 | 2.8 |
비교예 5 | 27.1 | 2.2 | 38.2 | 29.9 | 2.6 |
평가
평가 1: 리튬 전착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상온(25℃)에서 4.3V까지 0.1C로 정전류 충전하고, 4.3V를 유지하면서 전류가 0.01C로 될 때까지 정전압 충전하였다. 이후, 구리 박의 표면에 전착된 리튬의 모양을 SEM(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평가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전착 모양을 평가한 사진이고, 도 3b 내 (A)는 전착된 리튬을 나타내며 도 3b 내 (B)는 구리 박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전반적으로 리튬이 구리 박의 표면에 밀도 있게 전착되고 덴드라이트의 형성도 억제되었지만, 비교예 1은 리튬이 구리 박의 표면에 고르지 않게 전착되고 덴드라이트의 성장도 억제되지 않았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2: 일반 전압 수명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상온(25℃)에서 4.3V까지 0.5C로 정전류 충전하고, 4.3V를 유지하면서 전류가 0.05C로 될 때까지 정전압 충전하였다. 이후, 2.7V까지 0.5C로 방전하여 초기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충전 및 방전을 80회 반복하면서 각 사이클에서의 방전 용량을 초기 용량으로 나누어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 ratio, %)을 계산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반복 충방전에 따른 용량 유지율(2.7V~4.3V, @80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60사이클 이후 용량 유지율이 일부 감소하지만, 비교예 1 및 3은 30사이클 이후 용량 유지율이 급격히 감소하며, 비교예 2는 용량 유지율이 반복 충방전 초기부터 급감하다가 18사이클 이후 0%로 되었다.
80사이클에서의 용량 유지율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3: 고전압 수명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상온(25℃)에서 4.5V까지 0.5C로 정전류 충전하고, 4.5V를 유지하면서 전류가 0.05C로 될 때까지 정전압 충전하였다. 이후, 2.7V까지 0.5C로 방전하여 초기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충전 및 방전을 55회 반복하면서 각 사이클에서의 방전 용량을 초기 용량으로 나누어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 ratio, %)을 계산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반복 충방전에 따른 용량 유지율(2.7V~4.5V, @55사이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30사이클 이후 용량 유지율이 일부 감소하지만, 비교예 1은 22사이클 이후 용량 유지율이 급격히 감소하며, 비교예 2 및 3은 용량 유지율이 반복 충방전 초기부터 급감하다가 각각 11사이클 및 17사이클 이후 0%로 되었다.
55사이클에서의 용량 유지율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 여부 |
용량 유지율 (%) (2.7V~4.3V, @80사이클) |
용량 유지율 (%) (2.7V~4.5V, @55사이클) |
|
실시예 1 | ○ | 84 | 84 |
비교예 1 | × | 20 | 0 |
비교예 2 | × | 0 | 0 |
비교예 3 | × | 32 | 0 |
비교예 4 | ○ | 58 | 61 |
비교예 5 | ○ | 41 | 45 |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소정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전해질은, 불소 함량이 30중량% 이상이고, 덴드라이트 억제능과 일반 전압 및 고전압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향상되었다.
FEC가 첨가되었지만 주로 EC/EMC의 혼합 용매를 사용한 비교예 1은, 덴드라이트 억제능과 일반 전압 및 고전압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모두 열화하였다.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대칭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및 3은, 덴드라이트 억제능과 일반 전압 및 고전압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모두 열화하였다.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의 부피비가 특정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4 및 5는, 일반 전압 및 고전압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비교예 1보다는 향상되었지만 실시예 1에 비해 열화하였다.
따라서, 소정의 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 1의 전해질은 고전압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양극
105: 양극 집전체
110: 양극 활물질층 120: 음극 활물질층
125: 음극 집전체 130: 음극
140: 분리막 150: 전극 조립체
160: 케이스
110: 양극 활물질층 120: 음극 활물질층
125: 음극 집전체 130: 음극
140: 분리막 150: 전극 조립체
160: 케이스
Claims (14)
-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를 1:9 내지 8:2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비중합성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이고,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불소 원자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 디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DFEC)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TFE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미함유 알킬기이고, R6은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는 플루오로디메틸카보네이트(FDMC), 플루오로디에틸카보네이트(FDEC) 및 플루오로에틸메틸카보네이트(FEM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환형 카보네이트 및 불소 함유 선형 비대칭 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해 70중량% 이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튬 염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LiPF6, LiClO4, LiBF4, LiFSI, LiTFSI, LiSO3CF3, LiBOB, LiFOB, LiDFOB, LiDFBP, LiTFOP, LiPO2F2, LiCl, LiBr, LiI, LiB10Cl10,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LiSCN 및 LiC(CF3SO2)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불소 함량이 30중량% 이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산소 함량이 34중량%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주입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금속 리튬 또는 흑연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7866A KR20240105049A (ko) | 2022-12-28 | 2022-12-28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PCT/KR2023/018890 WO2024143916A1 (ko) | 2022-12-28 | 2023-11-22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7866A KR20240105049A (ko) | 2022-12-28 | 2022-12-28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5049A true KR20240105049A (ko) | 2024-07-05 |
Family
ID=9171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7866A KR20240105049A (ko) | 2022-12-28 | 2022-12-28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5049A (ko) |
WO (1) | WO2024143916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2969A (ko) | 2020-12-10 | 2022-06-20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전-불소계 카보네이트 기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44585A (zh) * | 2007-04-05 | 2012-07-04 | 三菱化学株式会社 | 二次电池用非水电解液以及使用该非水电解液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 |
US20200388882A1 (en) * | 2019-06-05 | 2020-12-10 | Enevate Corporation | Silicon-based energy storage devices with fluorinated electrolyte formulations |
CN113748537A (zh) * | 2019-08-02 | 2021-12-03 | 株式会社Lg新能源 | 具有改善的循环特性的锂二次电池 |
CN114024036A (zh) * | 2021-11-05 | 2022-02-08 | 中南大学 | 一种低浓度锂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的锂离子电池 |
CN114976239B (zh) * | 2022-05-31 | 2024-08-20 |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 一种适用于全海深的高安全锂离子电池电解液 |
-
2022
- 2022-12-28 KR KR1020220187866A patent/KR20240105049A/ko unknown
-
2023
- 2023-11-22 WO PCT/KR2023/018890 patent/WO2024143916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2969A (ko) | 2020-12-10 | 2022-06-20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전-불소계 카보네이트 기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43916A1 (ko) | 2024-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9908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1166019B1 (ko) | 도전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0982325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20080082276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2640842B1 (ko) | 리튬전지 | |
KR20120091627A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1542071B1 (ko) | 장수명 이차 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US7858241B2 (en) |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 using the same | |
KR101499684B1 (ko) | 이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1586681B1 (ko) | 리튬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488633B1 (ko) |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637999B1 (ko) |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 |
KR101625848B1 (ko) |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 |
KR102501252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240105049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2160704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638001B1 (ko) |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 |
KR101433662B1 (ko) | 이차전지용 전해액과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 |
US20230163357A1 (en) |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power consuming device | |
EP4425589A1 (en) |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05048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CN117954693A (zh) | 锂二次电池 | |
KR20230105406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CN118712453A (zh) | 二次电池及装置 | |
KR20230131632A (ko) | 비수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 및 이차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