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2540A -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2540A KR20240102540A KR1020220184670A KR20220184670A KR20240102540A KR 20240102540 A KR20240102540 A KR 20240102540A KR 1020220184670 A KR1020220184670 A KR 1020220184670A KR 20220184670 A KR20220184670 A KR 20220184670A KR 20240102540 A KR20240102540 A KR 202401025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ament
- section
- polyester
- nonwoven fabric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074 melt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HKPLLOSJHHKNU-INIZCTEOSA-N [(3S)-3-[8-(1-ethyl-5-methylpyrazol-4-yl)-9-methylpurin-6-yl]oxypyrrolidin-1-yl]-(oxan-4-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C)N1N=CC(=C1C)C=1N(C2=NC=NC(=C2N=1)O[C@@H]1CN(CC1)C(=O)C1CCOCC1)C FHKPLLOSJHHKNU-INIZCTEO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KBPZYKAUNRMKP-UHFFFAOYSA-N 1-[2-(2,4-dichlorophenyl)pentyl]1,2,4-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l)C=C(Cl)C=1C(CCC)CN1C=NC=N1 WKBPZYKAUNRM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FGKGUXTPFWHIX-UHFFFAOYSA-N 6-[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acet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C1=CC2=C(NC(O2)=O)C=C1 DFGKGUXTPFWH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6 electrostatic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01D39/16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sintered or bonded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5—Resistance to light or sun, i.e. protection of the textile itself as well as UV shielding materials or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Anti-yellowing treatment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여과 성능과 긴 사용 수명을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와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having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a long service lif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필터는 다른 상을 포함한 기체 또는 액체가 통과하는 격벽의 양측에 압력차를 만들어 상기 기체 또는 액체로부터 상기 다른 상을 분리하는 소재 또는 장치이다.A filter is a material or device that separates a different phase from a gas or liquid by creating a pressure difference on both sides of a partition through which a gas or liquid containing another phase passes.
일반적으로 필터에는 부직포가 적용된다. 특히, 스펀본드 부직포는 높은 생산성과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가져 필터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Generally, non-woven fabric is applied to filters. In particular, spunbond nonwoven fabric has high productivity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including filters.
필터용 부직포의 성능은 부직포를 이루는 여러 요소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포의 두께, 단위면적당 무게,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섬도 등에 따라 필터용 부직포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The performance of nonwoven fabric for filters can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the nonwoven fabric. For example, the performance of nonwoven fabric for filters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weight per unit area, and fineness of the filaments that make up the nonwoven fabric.
통상적으로 필터용 부직포에는 우수한 여과 성능과 긴 사용 수명이 요구된다. 그런데, 필터용 부직포의 여과 효율에 중점을 둘 경우 압력 손실이 높아져 통기도 또는 통액도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사용 수명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로, 필터용 부직포의 통기도 또는 통액도에 중점을 둘 경우 사용 수명이 길어지지만 여과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Typically, nonwoven fabrics for filters require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a long service life. However, when focusing on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nonwoven fabric for filters, the pressure loss increases and the air permeability or liquid permeability decreases, which tends to shorten the service life. Conversely, when focusing on the breathability or liquid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for filters, the service life increases, but filtration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그에 따라, 여과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긴 사용 수명을 나타낼 수 있는 필터용 부직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nonwoven fabrics for filters that can exhibit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a long service life.
본 발명은 우수한 여과 성능과 긴 사용 수명을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that has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long service lif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the filter.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융점 250 ℃ 이상인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와 융점 150 ℃ 내지 220 ℃인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fiber web in which first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C to 220°C are mixed,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하며,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fineness difference of 2 denier or more,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가 제공된다.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is provided.
발명의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융점 250 ℃ 이상인 제1 폴리에스터를 용융 방사하여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irst polyester filament by melt spinning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 C. or higher;
융점 150 ℃ 내지 220 ℃인 제2 폴리에스터를 용융 방사하여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second polyester filament by melt spinning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 C. to 220° C.;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fiber web in which the first filament and the second filament are mixed; and
상기 섬유 웹을 가압 하에 열 처리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heat treating the fibrous web under pressure to form a spunbond nonwoven fabric,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하며,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fineness difference of 2 denier or more,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the filter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Unless explicitly stated herein, terminology is intended to refer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is to specify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o specify another specific property,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융점 250 ℃ 이상인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와 융점 150 ℃ 내지 220 ℃인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fiber web in which first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C to 220°C are mixed,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하며,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fineness difference of 2 denier or more,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가 제공된다.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is provided.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상기 구현 예와 같은 구성들을 충족하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우수한 여과 성능을 가지면서도 적절한 통기도 또는 통액도를 나타내어 긴 사용 수명을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the present inventor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that satisfies the configurations of the above embodiment has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exhibits appropriate air permeability or liquid permeability, thereby providing a long service life.
특히,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 구성들을 충족하는 필라멘트들을 포함함에 따라, 부직포에 의해 걸러지는 입자의 포집량이 증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입자에 의한 부직포 표면의 압력을 감소시켜 긴 사용 수명이 확보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includes filaments that satisfy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amount of particles filtered by the nonwoven fabric can be increased, and the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aused by the particles can be reduced to ensure a long service life. You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는 융점 250 ℃ 이상인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와 융점 150 ℃ 내지 220 ℃인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includes a fiber web in which first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C to 220°C are mixed.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250 ℃ 이상, 혹은 250 ℃ 내지 265 ℃, 혹은 250 ℃ 내지 260 ℃, 혹은 255 ℃ 내지 260 ℃인 융점을 갖는다.The first polyester filament has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or 250°C to 265°C, or 250°C to 260°C, or 255°C to 260°C.
일 예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융점 범위를 충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그 공중합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폴리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s one or more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tetrafluoroethylene, and copolymers thereof that meet the melting point range. 1 May contain polyester.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보다 30 ℃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50 ℃ 내지 220 ℃, 혹은 160 ℃ 내지 220 ℃, 혹은 160 ℃ 내지 210 ℃, 혹은 170 ℃ 내지 210 ℃, 혹은 180 ℃ 내지 210 ℃, 혹은 190 ℃ 내지 210 ℃인 융점을 갖는다.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has a melting point that is at least 30° C. lower than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Preferably,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has a temperature of 150°C to 220°C, or 160°C to 220°C, or 160°C to 210°C, or 170°C to 210°C, or 180°C to 210°C, or 190°C to 210°C. It has a melting point of ℃.
일 예로,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융점 범위를 충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그 공중합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2 폴리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is one or more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tetrafluoroethylene, and copolymers thereof that meet the melting point range. 2 May contain polyester.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70 내지 95 중량%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75 내지 95 중량%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75 내지 90 중량%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10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75 내지 85 중량%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brous web includes 70 to 95% by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5 to 30% by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As an example, the fiber web may include 75 to 95% by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5 to 25% by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As another example, the fiber web may include 75 to 90% by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10 to 25% by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As another example, the fiber web may include 75 to 85% by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15 to 25% by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상기 섬유 웹에서 필라멘트들의 결합력 확보를 위하여,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5 중량% 이상, 혹은 10 중량% 이상, 혹은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ecur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laments in the fiber web,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5% by weight or more, or 10% by weight or more, or 15% by weight or more.
다만, 상기 섬유 웹에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가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함량 저하로 인해 상기 섬유 웹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수 있고, 방사 공정과 그 후속 공정의 작업성이 저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30 중량% 이하 혹은 2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is included in an excessive amount in the fiber web,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ber web may decrease due to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the workability of the spinning process and subsequent processes may be reduced. may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0% by weight or less or 25% by weight or les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는 그 단면의 중심부가 비어있는 필라멘트이다.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는 중공인 원형 단면 혹은 중공인 이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is a filament in which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is empty.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may have a hollow circular cross-section or a hollow irregular cross-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는 10 % 내지 30 %의 중공율(상기 중공 단면의 외접원 면적을 기준으로 한 내접원 면적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may have a porosity (percentage of the inscribed circle area based on the circumscribed circle area of the hollow cross-section) of 10% to 30%.
필라멘트의 방사 과정에서 중공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의 중공율은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중공율이 과도할 경우 필라멘트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하고 중공 형태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의 중공율은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의 중공율은 10 % 내지 30 %, 혹은 15 % 내지 30 %, 혹은 15 % 내지 25 %일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hollow shape during the filament spinning process,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preferably has a porosity of 10% or more. However, if the hollowness is excessi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ament may deteriorate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hollow for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sity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is 30% or less. Specifically, the hollow percentage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may be 10% to 30%, or 15% to 30%, or 15% to 25%.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원형 이외의 단면을 갖는 필라멘트이다. 일 예로,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Y형, W형, 삼각형, 별형, 십자형, 편평형, 또는 다엽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is a filament having a cross-section other than circular. As an example,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may have a Y-shaped, W-shaped, triangular, star-shaped, cross-shaped, flat, or multi-lobed cross-section.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에 포함되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각각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라멘트의 방사 과정에서 중공 단면과 이형 단면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각각 1 데니어 이상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팩 누출(pack leakage) 등 방사성 및 조업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각각 10 데니어 이하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included in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each have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hollow cross-section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during the spinning process of the fila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each have a fineness of 1 denier or more. However,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radioactivity and operability, such as pack leak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each have a fineness of 10 denier or less.
특히,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도 차이는 2 데니어 이상, 혹은 2 내지 9 데니어, 혹은 3 내지 9 데니어, 혹은 4 내지 9 데니어, 혹은 5 내지 9 데니어, 혹은 3 내지 8 데니어, 혹은 4 내지 8 데니어, 혹은 5 내지 8 데니어, 혹은 3 내지 7 데니어, 혹은 4 내지 7 데니어, 혹은 5 내지 7 데니어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difference in fineness of 2 denier or more. Specifically, the fineness difference is 2 denier or more, or 2 to 9 denier, or 3 to 9 denier, or 4 to 9 denier, or 5 to 9 denier, or 3 to 8 denier, or 4 to 8 denier, or 5 to 5 denier. It may be 8 denier, or 3 to 7 denier, or 4 to 7 denier, or 5 to 7 denier.
스펀본드 부직포의 우수한 여과 성능과 긴 사용 수명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 혹은 3 데니어 이상, 혹은 4 데니어 이상, 혹은 5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nsure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long service life of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fineness difference of 2 denier or more, or 3 denier or more, or 4 denier or more, or 5 denier or more. It is desirable to have it.
상기 섬도 조건들 하에서,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는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보다 크거나 작은 섬도를 가질 수 있다.Under the above fineness conditions,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may have a fineness that is greater or less than the odd cross-section filament.
그리고,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 30 내지 70 중량%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3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 35 내지 70 중량%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30 내지 6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 35 내지 65 중량%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35 내지 6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 40 내지 65 중량%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3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may include 30 to 70% by weight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30 to 70% by weight of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As an example,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may include 35 to 70% by weight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30 to 65% by weight of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may include 35 to 65% by weight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35 to 65% by weight of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may include 40 to 65% by weight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35 to 60% by weight of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스펀본드 부직포의 우수한 여과 성능과 긴 사용 수명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상술한 범위 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nsure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long service life of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preferably includes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원형 단면 필라멘트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may be a circular cross-section fila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5 데니어, 혹은 1 내지 4 데니어, 혹은 2 내지 4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원형 단면 필라멘트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웹에서 필라멘트들의 결합력 확보를 위하여,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술한 범위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may be a circ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ing a fineness of 1 to 5 denier, 1 to 4 denier, or 2 to 4 denier. In order to secure bonding strength of the filaments in the fiber web,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preferably has a finenes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중량과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적용 분야에 따라 적절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djus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는 100 g/m2 내지 350 g/m2, 혹은 150 g/m2 내지 350 g/m2, 혹은 150 g/m2 내지 300 g/m2, 혹은 200 g/m2 내지 300 g/m2인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the filter is 100 g/m 2 to 350 g/m 2 , or 150 g/m 2 to 350 g/m 2 , or 150 g/m 2 to 300 g/m 2 , or It may have a weight per unit area of 200 g/m 2 to 300 g/m 2 .
그리고,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는 0.1 mm 내지 1.0 mm, 혹은 0.2 mm 내지 1.0 mm, 혹은 0.2 mm 내지 0.9 mm, 혹은 0.3 mm 내지 0.9 mm인 두께를 가질 수 있다.And,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may have a thickness of 0.1 mm to 1.0 mm, or 0.2 mm to 1.0 mm, or 0.2 mm to 0.9 mm, or 0.3 mm to 0.9 mm.
발명의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융점 250 ℃ 이상인 제1 폴리에스터를 용융 방사하여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irst polyester filament by melt spinning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 C. or higher;
융점 150 ℃ 내지 220 ℃인 제2 폴리에스터를 용융 방사하여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second polyester filament by melt spinning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 C. to 220° C.;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fiber web in which the first filament and the second filament are mixed; and
상기 섬유 웹을 가압 하에 열 처리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heat treating the fibrous web under pressure to form a spunbond nonwoven fabric,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하며,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fineness difference of 2 denier or more,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the filter is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는 제1 폴리에스터와 제2 폴리에스터를 용융 방사하여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와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형성하고 이를 가압 하에 열 처리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is made by melt spinning the first polyester and the second polyester to form a fiber web in which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are mixed, and heat treating it under pressure. It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상기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상기 제2 폴리에스터, 및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각 특성은 앞서 설명된 내용과 같다.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the first polyester,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the second polyester, and each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리에스터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용융되어 별도의 구금을 통해 방사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폴리에스터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는 각각 용융되어 이종 수지의 토출공 수와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혼섬용 구금을 통해 방사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lyester and the second polyester may be independently melted and spun through separate spinneret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Alternatively, the first polyester and the second polyester are each melted and spun through a single blending spin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number and shape of the discharge holes of the heterogeneous resin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You can.
특히,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용융된 제1 폴리에스터를 중공 단면 토출공과 이형 단면 토출공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구금을 통해 방사함으로써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가 얻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the molten first polyester is spun through a spinneret that can adjust the ratio of the hollow cross-section discharge hole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discharge hole to form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can be obtained.
상기 용융 방사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에 바람직한 섬도를 고려하여 방사 속도와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In the melt spinning, spinning speed and tension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fineness desired for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4000 m/min 내지 6000 m/min, 혹은 4500 m/min 내지 6000 m/min, 혹은 4500 m/min 내지 5500 m/min인 방사 속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결정화도를 갖는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방사 속도는 4000 m/min 이상 혹은 4500 m/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방사 속도가 과도할 경우 방사 과정에서 필라멘트의 엉킴이 발생하여 부직포의 균제도가 저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방사 속도는 6000 m/min 이하 혹은 5500 m/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is spinning at 4000 m/min to 6000 m/min, or 4500 m/min to 6000 m/min, or 4500 m/min to 5500 m/min,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carry out under speed. In order to form a filament with appropriate crystallinity, the spinning speed is preferably 4000 m/min or more or 4500 m/min or more. However, if the spinning speed is excessive, entanglement of filaments may occur during the spinning process, which may reduce the uniformity of the nonwoven fabric.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inning speed is 6000 m/min or less or 5500 m/min or less.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혼섬되어 상기 섬유 웹을 형성한다. 혼섬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정전기대전법, 충돌판법, 및 기류확산법과 같은 통상의 개섬법에 의해 연속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적층되어 섬유 웹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70 내지 95 중량%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are blended to form the fibrous web. The mixed first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are laminated on a continuously moving net conveyor by a common opening method such as electrostatic charging, collision plate method, and air flow diffusion method to form a fiber web. Here, the fiber web preferably includes 70 to 95% by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5 to 30% by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이어서, 상기 섬유 웹을 가압 하에 열 처리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Next, a step is performed to heat treat the fibrous web under pressure to form a spunbond nonwoven fabric.
상기 단계는 상기 섬유 웹에 포함된 필라멘트들을 열 접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는 단계이다. 일 예로, 상기 섬유 웹을 가열된 롤에 통과시킴으로써 적절한 평활성과 두께가 부여된 스펀본드 부직포가 얻어진다. 상기 단계에는 캘린더 롤 및 엠보스 롤과 같은 통상적인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롤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접착 가능한 정도로 용융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된다.This step is a step of obtain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by heat bonding the filaments included in the fiber web. As an example, a spunbond nonwoven fabric with appropriate smoothness and thickness is obtained by passing the fibrous web through a heated roll. Conventional devices such as calendar rolls and emboss rolls can be used for this step. The roll is heated to a temperature that melts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to a bondable degree.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여과 성능과 긴 사용 수명을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와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having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a long service lif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Below,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se only.
실시예 1Example 1
255 ℃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제1 폴리에스터)와 210 ℃의 융점을 갖는 공중합 폴리에스터(Co-PET; 제2 폴리에스터)를 각각 280 ℃ 하에서 연속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하였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rst polyester) with a melting point of 255 ° C. and copolymer polyester (Co-PET; second polyester) with a melting point of 210 ° C. were melted using a continuous extruder at 280 ° C.
상기 제1 폴리에스터 용융물을 중공 단면 토출공과 이형 단면 토출공을 갖는 구금이 구비된 방사팩을 통해 방사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중공율 10 %) 및 이형 단면 필라멘트(Y형 단면)를 형성하였다. 상기 방사팩을 통해 방사된 연속 필라멘트를 냉각풍으로 고화한 후, 고압의 공기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5000 m/min의 방사 속도가 되도록 연신시켜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얻었다. 이때,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 50 중량% 및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50 중량%를 포함하도록 준비되었다.The first polyester melt is spun through a spin pack equipped with a spinneret having a hollow cross-section discharge hole and a special cross-section discharge hole to produc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hollow ratio 10%)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Y) having the fineness shown in Table 1 below. type cross section) was formed. The continuous filament spun through the spinning pack was solidified with cooling air and then stretched at a spinning speed of 5000 m/min using a high-pressure air stretching device to obtain a first polyester filament. At this time,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was prepared to include 50% by weight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50% by weight of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상기 제2 폴리에스터 용융물을 원형 단면 토출공을 갖는 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2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였다.The second polyester melt was spun through a spinneret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discharge hole to form a second polyester filament having a fineness of 2 denier.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중량비가 80 : 20 (중량%)가 되도록 혼섬하고, 이를 연속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적층하여 섬유 웹을 형성하였다.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were mixed so that the weight ratio was 80:20 (% by weight), and were laminated on a continuously moving net conveyor to form a fiber web.
상기 섬유 웹을 200 ℃ 및 35 N/mm를 유지하는 캘린더 롤과 엠보스 롤에 통과시켜 스펀본드 부직포(단위면적당 중량 270 g/m2, 두께 0.65 mm)를 제조하였다.The fiber web was passed through a calender roll and an emboss roll maintained at 200° C. and 35 N/mm to produce a spunbond nonwoven fabric (weight per unit area: 270 g/m 2 , thickness 0.65 mm).
실시예 2~5 및 비교예 1~4Examples 2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섬도를 갖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A spunbond nonwoven fabric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were each manufactured to have the fineness shown in Table 1 below.
(g/m2)nonwoven weight
(g/ m2 )
(mm)Nonwoven Thickness
(mm)
시험예Test example
(1) 부직포의 두께(1) Thickness of non-woven fabric
한국표준협회 KS K ISO 9073-2:2006에 따라 부직포의 두께를 측정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Association KS K ISO 9073-2:2006.
부직포 시편을 위치시킨 기준판과 상기 기준판에 평행하고 부직포에 지정한 압력을 가하는 가압자 사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부직포 시편(20cm x 20cm)을 10 개씩 준비하였고, 그 두께의 평균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두께의 측정에는 Thwing-Albert Instrument사의 ProGage Thickness Tester가 이용되었다.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late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specimen was placed and the pressurizer that was parallel to the reference plate and applied the specified pressure to the nonwoven fabric was measured. Ten nonwoven fabric specimens (20cm x 20cm)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and the average thickness value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hwing-Albert Instrument's ProGage Thickness Tester was used to measure the thickness.
(2) 부직포의 여과 성능(2) Filtration performance of non-woven fabric
필터 미디어 테스트 시스템(AFC-131, Topas GmbH)을 이용하여 아래의 방법으로 부직포의 여과 성능을 평가하였다.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nonwoven fabric was evaluated using the filter media test system (AFC-131, Topas GmbH) using the method below.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부직포 시편(0.525cm x 0.225cm)을 준비하였다. 75.6 m3/h의 풍속이 적용되었다. 먼지 입자로는 ISO-12103-1의 A2 Fine TEST Dust (0.3~1.0 ㎛)가 적용되었다.Nonwoven fabric specimens (0.525cm x 0.225cm)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A wind speed of 75.6 m 3 /h was applied. As dust particles, A2 Fine TEST Dust (0.3~1.0 ㎛) of ISO-12103-1 was applied.
- 압력 손실(△Pa): 75.6 m3/h의 풍속에서 부직포 시편의 통과 전/후의 초기 압력 손실을 측정하였다(RS K 0011).- Pressure loss (△Pa): The initial pressure loss before and after passing the nonwoven specimen was measured at a wind speed of 75.6 m 3 /h (RS K 0011).
- 포집율(%): 75.6 m3/h의 풍속에서 상기 먼지 입자를 20 mg/m3의 농도로 부직포 시편에 통과시켰을 때 부직포에 포집되는 비율을 측정하였다.- Collection rate (%): When the dust particles were passed through a non-woven fabric specimen at a concentration of 20 mg/m 3 at a wind speed of 75.6 m 3 /h, the rate of collection in the non-woven fabric was measured.
- DHC (Dust Holding Capacity): 75.6 m3/h의 풍속에서 상기 먼지 입자를 70 mg/m3의 농도로 부직포 시편에 통과시키고, 최종 압력이 100 Pa이 되었을 때 부직포 시편에 포집된 먼지 입자의 무게를 측정하였다(RSK K 0011).- DHC (Dust Holding Capacity): The dust particles are passed through a non-woven fabric specimen at a concentration of 70 mg/m 3 at a wind speed of 75.6 m 3 /h, and when the final pressure is 100 Pa, the dust particles collected in the non-woven fabric specimen are Weight was measured (RSK K 0011).
(3) 방사성(3) Radioactivity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시 필라멘트의 이탈과 절사의 발생 여부 및 섬유 웹의 균일도를 기준으로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When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occurrence of filament separation and breakage and the uniformity of the fiber web were evaluated using the criteria below.
- ◎ : 필라멘트의 이탈 및 절사 발생이 매우 적고, 정상적인 필라멘트가 연속으로 네트에 적층되어 매우 균일한 부직포가 형성됨- ◎: There is very little occurrence of filament separation or cutting, and normal filaments are continuously stacked on the net to form a very uniform nonwoven fabric.
- ○ : 필라멘트의 이탈 및 절사 발생이 적고, 정상적인 필라멘트가 연속으로 네트에 적층되어 비교적 균일한 부직포가 형성됨- ○: There is little occurrence of filament separation or cutting, and normal filaments are continuously stacked on the net to form a relatively uniform nonwoven fabric.
- △ : 필라멘트의 절사가 다수 발생하고, 필라멘트가 정상적이지 않으나 부직포의 형성이 가능함- △: Many breaks in the filament occur, and the filament is not normal, but non-woven fabric can be formed.
- X : 필라멘트의 절사가 매우 많이 발생하고, 필라멘트가 정상적이지 않아 부직포의 형성이 어려움-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들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81.5 % 이상의 포집율과 11.8 g/m2 이상의 DHC를 가져 여과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25 내지 38인 적정 수준의 압력 손실(△Pa)을 나타내어 긴 사용 수명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ferring to Tables 1 and 2 above, the spunbond nonwoven fabrics of the examples have a collection rate of 81.5% or more and a DHC of 11.8 g/m 2 or more, providing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and an appropriate level of pressure loss (△Pa) of 25 to 38. ), which is expected to indicate a long service life.
비교예 1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가장 높은 포집율을 나타내었으나 가장 큰 압력 손실(△Pa)을 가져 사용 수명이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예 2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실시예들과 유사한 수준의 압력 손실(△Pa)을 나타내었으나 가장 낮은 포집율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에서는 용융 방사 과정에서 팩 누출(pack leakage)로 인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4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비교적 낮은 포집율과 높은 압력 손실(△Pa)을 나타내었다.The spunbond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 showed the highest collection rate, but had the largest pressure loss (△Pa) and is expected to have a short service life.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2 showed a similar level of pressure loss (△Pa) as the Examples, but showed the lowest collection rate. In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impossible to manufacture spunbond nonwoven fabric due to pack leakage during the melt spinning process.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showed a relatively low collection rate and high pressure loss (△Pa).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tents described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claims.
Claims (11)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It includes a fiber web in which first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and second polyester filaments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C to 220°C are mixed,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difference in fineness of 2 denier or more,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상기 섬유 웹은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70 내지 95 중량%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The fiber web is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 filter comprising 70 to 95% by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5 to 30% by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 30 내지 70 중량%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 3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s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 filter comprising 30 to 70% by weight of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30 to 70% by weight of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3 내지 9 데니어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 filter, wherein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difference in fineness of 3 to 9 denier.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는 10 % 내지 30 %의 중공율(상기 중공 단면의 외접원 면적을 기준으로 한 내접원 면적의 백분율)을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has a hollowness of 10% to 30% (percentage of the inscribed circle area based on the circumscribed circle area of the hollow cross-section),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 filter.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Y형, W형, 삼각형, 별형, 십자형, 편평형, 또는 다엽형 단면을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is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 filter having a Y-shaped, W-shaped, triangular, star-shaped, cross-shaped, flat, or multi-lobed cross-section.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원형 단면 필라멘트인,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is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 filter, which is a circ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ing a fineness of 1 to 5 denier.
100 g/m2 내지 350 g/m2인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100 g/m 2 to 350 g/m 2 .
0.1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지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According to claim 1,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having a thickness of 0.1 mm to 1.0 mm.
융점 150 ℃ 내지 220 ℃인 제2 폴리에스터를 용융 방사하여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가 혼섬된 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 웹을 가압 하에 열 처리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는 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이형 단면 필라멘트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단면 필라멘트와 상기 이형 단면 필라멘트는 2 데니어 이상의 섬도 차이를 가지는,
제 1 항에 따른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polyester filament by melt spinning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 C. or higher;
Forming a second polyester filament by melt spinning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 C. to 220° C.;
Forming a fiber web in which the first filament and the second filament are mixed; and
heat treating the fibrous web under pressure to form a spunbond nonwoven fabric,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includes hollow cross-section filaments and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1 to 10 denier,
The hollow cross-section filament and the irregular cross-section filament have a difference in fineness of 2 denier or more,
A method for produc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4000 m/min 내지 6000 m/min의 방사 속도 하에서 수행되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polyester filament and the second polyester filament is each performed under a spinning speed of 4000 m/min to 6000 m/mi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670A KR20240102540A (en) | 2022-12-26 | 2022-12-26 |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PCT/KR2023/017759 WO2024143867A1 (en) | 2022-12-26 | 2023-11-07 |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670A KR20240102540A (en) | 2022-12-26 | 2022-12-26 |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2540A true KR20240102540A (en) | 2024-07-03 |
Family
ID=9171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4670A KR20240102540A (en) | 2022-12-26 | 2022-12-26 |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2540A (en) |
WO (1) | WO202414386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7294B1 (en) * | 2008-12-29 | 2011-02-28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Polyester hollow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air filt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ES2805101T3 (en) * | 2014-03-31 | 2021-02-10 | Kuraray Co | Polyester Binder Fibers |
KR101976155B1 (en) * | 2017-09-26 | 2019-05-07 | 주식회사 휴비스 | Fibrous Nonwoven Fabric For Mask Pack |
KR102362232B1 (en) * | 2018-06-22 | 2022-02-1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with improved filtration performance |
KR102336703B1 (en) * | 2020-04-22 | 2021-12-08 | 주식회사 휴비스 | Spunlace Nonwoven Fabric With Cool Feeling |
-
2022
- 2022-12-26 KR KR1020220184670A patent/KR20240102540A/en unknown
-
2023
- 2023-11-07 WO PCT/KR2023/017759 patent/WO2024143867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43867A1 (en) | 2024-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4708B1 (en) | Melt-blown material with depth fiber size gradient | |
JP5362561B2 (en) | Pleated filter using bimodal single-layer single-component media | |
JP4852104B2 (en) | Heat resistant nonwoven fabric | |
KR10236223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with improved filtration performance | |
WO2017110365A1 (en) |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fabric | |
KR20080111506A (en) | Pleatable non-woven material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thereof | |
WO2018221122A1 (en) | Spunbonded nonwoven fabric f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19990030043A (en) | Pleated filter | |
US11364470B2 (en) |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 |
KR101242687B1 (en) | Polyester nonwoven fabric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EP3964620A1 (en) | Melt-blown nonwoven fabric,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melt-blown nonwoven fabric | |
KR20240102540A (en) |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JP3326808B2 (en) | filter | |
EP3896199B1 (en) | Core-sheath composite polyester monofilament for superfine high-mesh filter | |
WO2020202899A1 (en) | Melt-blown nonwoven fabric for liquid filter, layered body of said melt-blown nonwoven fabric, and liquid filter equipped with layered body | |
KR20230101133A (en) | Non-woven with improved filtration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 |
KR102617463B1 (en) | Spunbond non-woven fabrics having sheath-c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20196963A (en) | Melt-blown nonwoven fabric, heat-resistant filter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40102541A (en) |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WO2023171363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icomponent fiber, and bicomponent spinneret | |
EP4283038A1 (en) | Wet-laid nonwoven fabric sheet | |
JP7225761B2 (en) | metal filtration filter | |
JP3353405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ylindrical filter | |
KR20230081818A (en) | Specific surface area improved wet-laid non-woven fabric for electrostatic air filter containing dielectric compounds and electrostatic air filter using the same | |
KR20220021528A (en) | Pre-filter comprising melt blown non-wove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