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7505A -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for plants cultivation kit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for plants cultivation k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7505A KR20240097505A KR1020220179609A KR20220179609A KR20240097505A KR 20240097505 A KR20240097505 A KR 20240097505A KR 1020220179609 A KR1020220179609 A KR 1020220179609A KR 20220179609 A KR20220179609 A KR 20220179609A KR 20240097505 A KR20240097505 A KR 202400975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control valve
- plant cultivation
- water
- drai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3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5—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guided along a rai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은, 휴대가 가능한 식물 재배 키트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식물 재배 키트 외부로의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재배 선반에 제공되는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 상기 안착부의 저면 일측 결합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연결부; 및 상기 급수 연결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안착부의 저면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결합되는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함몰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결합되는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연결부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부는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a portable plant cultivation kit, and includes a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that controls water supply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and an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kit. a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including a drain-side control valve module that controls drainage to the furnace; a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provided on a cultivation shelf that is retractably install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has a recessed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detachably seated; a water supply connec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and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and a drain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spaced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to drain water su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wherein the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wherein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is provided. It includes a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coupled to the module, wherein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water supply,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forms a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with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stores the plants inside the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s equipped with a configuration to supply nutrients and light energy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the plants grow by the supplied nutrients and light energy.
근래에는 빛, 온도 조절 및 수분 조절이 가능한 재배 공간과, 상기 재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가정의 실내에서 식물을 직접 재배 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plant cultiva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include a cultivation space that can control light, temperature, and moisture,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ultivation space, allowing plants to be grown directly indoors at home.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캐비닛 내부에 재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재배 공간에 다수의 재배 선반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고, 재배 선반에 씨앗이 뿌려진 파드(pod)가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내용이 개시된다. The prior art below discloses that a cultivation space is provided inside a cabinet, a plurality of cultivation shelves are arrange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pods on which seeds are sown are detachably seated on the cultivation shelves.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파드는 선반으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독립적인 식물 재배 장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식물의 생장을 위해서는 상기 파드가 생장용 물이 저장된 상기 재배 선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However, the pod disclosed in the prior art loses its function as an independent plant cultivation device the moment it is separated from the shelf. In other words, for plant growth, the pod must remain seated on the cultivation shelf where water for growth is stored.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를 닫으면 상기 파드에 있는 식물의 생장을 눈으로 확인하는데 다소 불편함이 따를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door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s closed, there is an inevitable limitation that it will be somewhat inconvenient to visually check the growth of the plants in the p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은, 휴대가 가능한 식물 재배 키트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식물 재배 키트 외부로의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재배 선반에 제공되는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 상기 안착부의 저면 일측 결합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연결부; 및 상기 급수 연결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안착부의 저면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결합되는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함몰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결합되는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연결부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부는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side a portable plant cultivation kit, and a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that controls water supply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a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including a module and a drain-side control valve module that controls drainage to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kit; a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provided on a cultivation shelf that is retractably install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has a recessed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detachably seated; a water supply connec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and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and a drain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spaced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to drain water su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wherein the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wherein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is provided. It includes a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coupled to the module, wherein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water supply,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은 상기 안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편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은 상기 식물 재배 키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편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age control valve module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diagonally opposite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are located on diagonally opposite sides of the plant cultivation kit. Each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상기 식물 재배 키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씨앗이 심어진 시드 패키지의 안착과 상기 씨앗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저장을 위한 물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함몰부와,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수용을 위한 기계실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함몰부의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nt cultivation kit includes a case and a handl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nside the case, a water storage space is defined for seating the seed package in which the seeds are planted and storing water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seeds. A depression and a machine room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are formed, and the machine room is provided below the depression.
상기 함몰부의 일측 모서리 및 상기 일측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 반대편에 있는 타측 모서리 각각에는 급수구와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급수구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ter inlet and a drain are formed at one edge of the depression and the other edge diagonally opposite the one edge, and the drain is form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water inlet.
상기 식물 재배 키트는,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장되는 급수 튜브와, 상기 배수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장되는 배수 튜브를 포함한다.The plant cultivation kit includes a water supply tube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port into the machine room, and a drain tube extending from the drain port into the machine room.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바닥에 바텀홀이 형성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하부 연장관; 상기 하부 연장관보다 높은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밸브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상부 연장관; 상기 중공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어 밸브; 상기 중공부의 상면과 상기 제어 밸브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스프링; 상기 하부 연장관과 상기 급수 튜브를 연결하고, 내부에 첵밸브가 구비되는 급수 포트; 상기 상부 연장관과 상기 배수 튜브를 연결하는 배수 포트를 포함한다.Each of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bottom hole formed at the bottom; a lower extension pipe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an upper extension pipe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corresponding to a point higher than the lower extension pipe; a control valve movably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valve; a water supply port connecting the lower extension pipe and the water supply tube and having a check valve therein; It includes a drain port connecting the upper extension pipe and the drain tube.
상기 제어 밸브는, 상부 바디; 중앙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의 하면과 상기 하부 바디의 상면을 연결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 레그;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제 1 씰링을 포함하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 레그들 사이에 정의되는 사이드 홀은 상기 연통홀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valve includes an upper body; A lower body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connection legs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ncludes a first seal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a side hole defined between connection legs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 및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 각각은,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푸쉬바; 상기 푸쉬바의 저면에 놓이는 제 2 스프링; 상기 푸쉬바의 외주면에 둘러져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를 차폐하는 제 2 씰링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age control valve module includes a push bar extending through a guide slee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a second spring placed on the bottom of the push bar; It includes a second seal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sh bar to shield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and the push bar of the drain control valv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push bar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
상기 푸쉬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연장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장바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씰링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ba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formed between extension ba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econd sea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다수의 연장바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부의 반경 방향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bars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radial widt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part.
상기 급수 연결부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 2 스프링을 수용하는 급수 연결 포트; 및 상기 급수 연결 포트에서 연장되는 급수 연결관을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is mounted and accommoda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pring; and a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상기 케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는, 상기 밸브 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어 밸브를 밀어 올리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사이드 홀이 상기 하부 연장관과 연통하는 지점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as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push bar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to push up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trol valve has a side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xtension pipe. It is characterized by rising to a point.
상기 푸쉬바로 전달되는 상기 밸브 바디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푸쉬바가 하강하고, 상기 제 2 씰링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급수 연결 포트와 상기 다수의 유동 통로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bar is lowered as the second spring is compressed by the load of the valve body transmitted to the push bar, and the second seal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so that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and the plurality of flow passages are It is characterized by communication.
상기 배수 연결부는,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 2 스프링을 수용하는 배수 연결 포트; 및 상기 배수 연결 포트에서 연장되는 배수 연결관을 포함한다.The drain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drain connection 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rain control valve module is mounted and accommoda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pring; and a drain conne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drain connection port.
상기 케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는, 상기 밸브 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어 밸브를 밀어 올리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사이드 홀이 상기 상부 연장관과 연통하는 지점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as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push bar of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is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to push up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trol valve has a side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extension pipe. It is characterized by rising to a point.
상기 푸쉬바로 전달되는 상기 밸브 바디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푸쉬바가 하강하고, 상기 제 2 씰링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수 연결 포트와 상기 다수의 유동 통로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bar is lowered as the second spring is compressed by the load of the valve body transmitted to the push bar, and the second seal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so that the drain connection port and the plurality of flow passages are It is characterized by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식물 재배 키트를 식물 재배 장치 내부의 재배 선반으로부터 분리하더라도 독립된 식물 재배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식물 재배 키트를 재배 선반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plant cultivation kit can function as an independent plant cultivation device even if it is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shelf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separate the plant cultivation kit from the cultivation shelf.
둘째, 휴대 가능한 식물 재배 키트를 식물 재배 장치의 외부에 놓고 식물의 생장 과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식물을 재배하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portable plant cultivation kit can be placed out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the growth process of the plant can be directly observed with the eyes,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the user with the pleasure of growing plants.
셋째, 식물 재배 키트를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선반에 안착시키면 식물 재배 장치 내부에 설치된 급수 탱크와 상기 식물 재배 키트 간에 물의 순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물공급을 위한 조치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Third,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placed on the cultivation shelf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water is automatically circulated between the water tank installe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the plant cultivation kit,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measures for water supply are required.
넷째,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재배 선반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계속해서 물이 순환하므로, 고여있는 물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 또는 곰팡이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water continues to circulate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placed on the cultivation shelf,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damage from green algae or mold occurring in stagnant water.
다섯째, 상기 식물 재배 키트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충전 단자부가 구비되고, 안착부의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충전 단자부가 구비되므로, 식물 재배 키트가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식물 재배 키트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자동으로 충전되는 장점이 있다. Fifth, since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nt cultivation kit, and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mounte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kit while 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t has the advantage of charging the battery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재배 선반에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하부 재배 선반과 시드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시드 패키지의 절개 사시도.
도 6은 하부 재배 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하부 재배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베이스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선반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하부 재배 선반의 절개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하부 재배 선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1은 시드 패키지로의 급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급배수 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장착된 상부 재배 선반이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인입된 상태에 있는 상부 재배 선반의 확대 저면 사시도.
도 15는 인입된 상태에 있는 상부 재배 선반의 확대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의 사시도.
도 17은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의 저면도.
도 18은 도 16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의 절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19-19를 따라 절개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절개 사시도.
도 20은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어 밸브의 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21-21을 따라 절개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종단면도.
도 22는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의 사시도.
도 23은 상기 선반 트레이에 장착되는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4는 도 22의 24-24를 따라 절개되는 선반 트레이 및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종단면도.
도 25는 도 22의 25-25를 따라 절개되는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단면도로서 급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도 22의 24-24를 따라 절개되는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종단면도로서, 배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showing a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seated on a cultivation shelf.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aken along line 3-3 in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and seed package.
Figure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eed package cut along line 5-5 in Figure 4;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shelf base constituting the lower cultivation shelf.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base.
Figure 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taken along line 9-9 in Figure 4;
Figure 10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taken along line 10-10 in Figure 4;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water supply to the seed packag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and drainage module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ing the upper cultivation shelf equipped with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in a withdrawn state.
Figure 14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ultivation shelf in the retracted condition.
Figure 15 is an enlarge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ultivation shelf in a retracted stat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ottom view of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Figure 1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cut along line 18-18 in Figure 16.
FIG. 1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taken along line 19-19 of FIG. 18. FIG.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valve constituting a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FIG. 2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taken along line 21-21 in FIG. 19. FIG.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tray on which a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is mounted.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mounted on the shelf tray.
FIG. 2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elf tray and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taken along line 24-24 of FIG. 22. FIG.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cut along line 25-25 of FIG. 22, showing a water supply state.
FIG. 2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taken along line 24-24 of FIG. 22, showing a drainage s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재배 선반에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3-3을 따라 절개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showing a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seated on a cultivation shelf, and Figure 3 is 3-3 of Figure 1. This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cut along.
참고로 도 3의 측단면도는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제거된 상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측단면도임을 밝혀둔다. For refer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with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remov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식물이 생장하는 재배 공간(100)(생장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구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상세히, 상기 재배 공간(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통상적으로 샐러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엽채, 허브 등과 같이, 사용자가 취식 가능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식물들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에 용이한 식물들은 씨앗 또는 어린 새싹 형태로 시드 패키지(seed package)(90)에 심어진 상태로 상기 재배 공간(100)에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plants grown in the cultivation space 100 may be selected from plants that can be eaten by users, are easy to cultivate, and do not take up a lot of space, such as leafy vegetables and herbs that can be typically used in salads. In addition, plants that are easy to cultivate may be placed in the cultivation space 100 in the form of seeds or young sprouts, planted in a
상기 도어(13)는, 상부 힌지(136)와 하부 힌지(137)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캐비닛(10)은, 외형을 이루는 아우터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의 내측에 제공되는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와 인너 케이스(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01)를 포함한다. The
상기 아우터 케이스(11)는, 상기 캐비닛(10)의 양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하도록 n자 형태로 절곡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11)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1)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플레이트(112),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113)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개구부(1131)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1)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개구부(1131)는 상기 도어(13)에 의하여 개폐된다. The
상기 도어(13)는, 사각형 형상의 도어 프레임(131)과, 상기 도어 프레임(131)의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 패널(132), 및 상기 도어 프레임(131)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패널(133)을 포함한다. The
상기 프론트 패널(132)과 리어 패널(133)은, 상기 재배 공간(100)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132)과 리어 패널(133)의 사이에는 단열 패널(1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131)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가스켓(135)이 둘러져서, 상기 도어(13)를 닫으면 상기 재배 공간(100)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캐비닛(10)의 하방에는 기계실 모듈(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모듈(20)은 상기 재배 공간(100)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들이 배치된다. 상기 기계실 모듈(20)은,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22)에 의하여 기계실(2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0)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53)와 응축기(254)를 비롯한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수용된다. 상기 프런트 커버(22)에는, 상기 기계실 모듈(20)의 외부에 있는 공기가 상기 기계실(200)로 유입되고,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 모듈(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그릴부(221)가 형성된다. A
상기 하우징(21)은, 하면판(211), 측면판(212), 후면판(231), 및 상면판(216)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판(211)은 상기 기계실(200)의 저면을 정의하고, 상기 측면판(212)은 상기 기계실(200)의 좌우 측면을 정의하며, 상기 후면판(231)은 상기 기계실(200)의 후면을 정의하고, 상기 상면판(216)은 상기 기계실(200)의 상면을 정의한다. 상기 상면판(216)은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기계실 모듈(20)의 경계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판(216)은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부로 정의될 수도 있고, 상기 기계실 모듈(20)의 상면부로 정의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재배 공간(100)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재배 선반(30)을 포함한다.The
상기 재배 선반(30)은, 상기 재배 공간(10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공되는 상부 재배 선반(30a)과, 상기 재배 공간(100)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재배 선반(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100)에 제공되는 재배 선반(30)의 개수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The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에 의하여 상기 재배 공간(100)은 상부 재배 공간(100a)과 하부 재배 공간(10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과 하부 재배 선반(30b)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또는 식물 재배 키트)가 분리 가능하게 놓일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다수의 시드 패키지(90)가 놓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에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놓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cultivation space 100 may be divided into an
상기 재배 선반(30a,30b)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양 측면에는 상기 재배 선반(30a,30b)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16)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배 선반(30)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워터 탱크(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워터 탱크(86)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과 상기 재배 공간(100)의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배 공간(100)의 바닥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워터 탱크(86)에 저장된 물은, 급배수 모듈에 의하여,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과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 나뉘어 공급되고,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과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 공급된 물은 배수되어 상기 워터 탱크(86)로 되돌아오도록 설계된다. 특히,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놓이는 하부 선반(30b)으로 공급되는 배수 과정에서 완전히 비워지므로 상기 재배 선반(30)의 내부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tored in the
상기 워터 탱크(86)에 공급되는 물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액일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to th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라이팅 장치(40)(또는 조광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라이팅 장치(40)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라이팅 장치(40a)와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라이팅 장치(40b)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라이팅 장치(40)는, 라이트 케이스(41)와, 상기 라이트 케이스(41) 내부에 놓이는 엘이디 모듈(42), 및 상기 엘이디 모듈(42)의 하측에 놓이는 라이트 커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는 상기 재배 공간(10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은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The
상기 상부 라이팅 장치(40a)는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에 놓인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를 향하여 가시 광선을 조사하고,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에 놓인 시드 패키지(90)를 향하여 가시 광선을 조사한다. Th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송풍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송풍 장치(50)는, 상기 상부 재배 공간(100a)의 후면에 장착되는 상부 송풍 장치(50a)와, 상기 하부 재배 공간(100b)의 후면에 장착되는 하부 송풍 장치(5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ing
상기 상부 송풍 장치(50a)와 상기 하부 송풍 장치(50b)는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상부 재배 공간(100a)과 하부 재배 공간(100b) 각각에 독립적인 기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송풍 장치(50)는, 팬 가이드(51)와, 송풍팬(52), 및 송풍팬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owing
상기 송풍팬(52)은 상기 팬 가이드(51)에 형성된 팬 안착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팬 커버(53)는 상기 팬 가이드(51)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52)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재배 공간(100)의 후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송풍팬 커버(53)에 의하여 정의된다. The blowing fan 52 is mounted on the fan seating hole formed in the fan guide 51, and the blowing fan cover 53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an guide 51, so that the blowing fan 52 is used by the user. Avoid exposure to The rear of the cultivation space 100 is substantially defined by the blowing fan cover 53.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디스플레이(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이 인출될 때 한 몸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의 전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시드 패키지(90)는 상기 재배 선반(30)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씨앗의 종류가 다른 다수의 시드 패키지(90)를 하부 선반(30b)에 배치할 수 있고, 다른 시드 패키지(90)로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다. The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후면에는 증발기(19)가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19)의 전방에 상기 송풍 장치(50)가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52)이 작동하면, 상기 상부 재배 공간(100a)과 하부 재배 공간(100b)에서는 공기 순환이 일어난다. An
상세히, 상기 상부 재배 공간(100a)에 있는 공기는, 상기 송풍팬 커버(53)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19) 쪽으로 안내된다. 상기 증발기(19) 쪽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9)와 열교환한 뒤, 상기 상부 라이팅 장치(40a)와 상기 송풍팬 커버(53)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상부 재배 공간(100a)으로 공급된다. In detail, the air in the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재배 공간(100b)에 있는 공기는, 상기 송풍팬 커버(53)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19) 쪽으로 안내된다. 상기 증발기(19) 쪽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9)와 열교환한 뒤,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와 상기 송풍팬 커버(53)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하부 재배 공간(100b)으로 공급된다. Likewise, the air in the
상기 워터 탱크(86)의 후측에는 펌프 커버(81)가 배치되며, 상기 펌프 커버(81)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절곡된 플레이트이다. 상기 펌프 커버(81)의 하측에 펌프(82) 및 밸브를 포함하는 급배수 모듈의 일부가 수용된다. A
상기 워터 탱크(86)의 상면과 상기 펌프 커버(81)의 수평부는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재배 공간(100)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86)의 상면과 상기 펌프 커버(81)의 수평부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에 의하여 가려진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재배 공간(100)의 좌우 양측 벽면에는 히터(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재배 공간의 온도 조절을 위해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0)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8)는 상기 단열재(101)와 이너 케이스(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2)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8)는, 상기 상부 라이팅 장치(40a)와 상부 재배 선반(30a)의 사이 공간을 가열하는 상부 히터(18a)와, 상기 하부 라이팅 장치(40b)와 하부 재배 선반(30b)의 사이 공간을 가열하는 하부 히터(1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장치(50)와 히터(18)에 의해 상기 상부 재배 공간(100a)과 하부 재배 공간(100b)은 각각 다른 온도로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
도 4는 하부 재배 선반과 시드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시드 패키지의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and the seed package, and Figure 5 is a cut perspective view of the seed package cut along 5-5 in Figure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은 복수의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워터 탱크(86)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상세히, 상기 재배 선반(30)은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32)와,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선반 베이스(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에 안착되어 상기 재배 선반(3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이 우수하고 청결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오염에 강하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상면에 포개어지는 형태로 상기 선반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트레이(32)에는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20)에는 셔터(33)가 구비되며, 상기 셔터(33)의 구성과 기능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상기 시드 패키지(90)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91)와, 상기 용기(9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용기 커버(92)와,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씨앗이 수용되는 다수의 씨앗 수용부재(9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용기(91)의 바닥면에는 물 유입부(912)가 상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입부(912)의 측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용기(91) 내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용기(92)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A
상기 물 유입부(912)는 상기 재배 선반(30)에 설치된 셔터(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기 재배 선반(30)에 안착되면, 상기 셔터(33)는 상기 물 유입부(912)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로 물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상기 물 유입부(912)의 상단에는 차폐부재(96)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96)는 직물 또는 종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거나, 메쉬와 같은 그물 소재로 형성되어, 물은 상기 용기(91)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용기(91) 내부에 있는 이물질이 용기(9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shielding
또한, 상기 차폐부재(96)는 상기 물 유입부(912)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씨앗 수용부재(93)를 뚫고 성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물 유입부(912)의 홀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한편, 상기 용기 커버(92)는 상기 용기(9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용기 커버(92)의 하면에는 씨앗 수용부재(93)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앗 수용부재(93)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용기 커버(92)의 일 지점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씨앗 수용부재(93)에서 발아된 식물이 자라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용기 커버(92)의 상면에는 반사 시트(94)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94)는 상기 라이팅 장치(4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빛의 반사를 통해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
상기 씨앗 수용부재(93)는 상기 용기(91)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씨앗 수용부재(93)는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932)이 수용될 수 있으며,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로 급수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씨앗에 공급할 수 있다. The
상기 용기(91)의 내부에는 양분을 포함한 흙이나 배지가 수용되지 않으며,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기 재배 선반(30)에 장착된 후에 오직 양분이 포함된 물만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내부가 곰팡이 또는 녹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o soil or medium containing nutrients is accommodated inside the
그리고,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에는 급수 상황을 제외한 상황에서는 상기 재배 선반(30)을 통해 물이 배수되어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에는 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드 패키지(90) 및 상기 재배 선반(30)은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situations other than water supply,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도 6은 하부 재배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하부 재배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베이스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상기 선반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shelf base constituting the lower cultivation shelf, and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bas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 베이스(31)와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상면에 놓이는 선반 트레이(32)를 포함한다. 6 to 8, the
상세히,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전체적으로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321)와, 상기 트레이 바디(321)에서 함몰된 다수의 안착부(320)(또는 트레이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안착부(320)는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안착부(320)는 상기 트레이 바디(321)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하나의 안착부(320)에는 하나의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각각 독립된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The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321)은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용기 바닥면(911)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용기 바닥면(911)은 상기 안착부(320)의 바닥면(321) 면접촉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셔터(33)의 개방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용기 바닥면(911)과 상기 안착부(320)의 바닥면(322)의 사이로는 물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The
그리고, 상기 안착부(320)의 바닥면(322) 중앙에는 상기 셔터(33)가 구비되며, 하나의 안착부(320)에는 하나의 셔터(33)가 구비된다. 상기 셔터(3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선반 베이스(31)에 수용된 물이 상기 안착부(320)로 유입된다. Additionally, the
상기 셔터(33)는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하중에 의하여 동작한다. 즉,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장착된 상기 안착부(320)에 구비된 셔터(33)만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선반 베이스(3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안착부(320)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20)로 공급되는 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공급된다. The
상기 셔터(33)는,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물 유입부(912)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면, 상기 셔터(33)의 일부는 상기 물 유입부(912)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물 유입부(912)의 하면이 상기 셔터(33)의 상면을 눌러 상기 셔터(33)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한편, 상기 선반 베이스(31)는 상기 워터 탱크(86)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유동 및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반 트레이(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 트레이(32)의 하면 형상과 대응하는 상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상세히, 상기 선반 베이스(31)는 상기 선반 트레이(32)가 안착되는 베이스 바디(311), 상기 베이스 바디(311)의 전면에 형성되는 손잡이(312), 및 상기 베이스 바디(31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 측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311)에는 다수의 베이스 안착부(31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손잡이(312)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인출입을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 측면(313)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내부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선반 레일(16)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측면(313)은 레일 결합부로 정의될 수 있다. The
상기 베이스 측면(313)에는 상기 선반 레일(16)과 결합되는 전방 결합부(313a)와 후방 결합부(313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베이스(31)는 상기 선반 레일(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결합부(313a)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상하 방향으로 함몰되는 홈이고, 상기 후방 결합부(313b)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저후 방향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
상기 베이스 바디(311)의 내측에는 다수의 베이스 안착부(31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안착부(310)는 상기 안착부(3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안착부(310)의 하면 즉, 베이스 바닥면(314)은 상기 안착부(320)의 바닥면(322)과 서로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다수의 상기 베이스 안착부(310) 각각의 중앙에는 셔터 수용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수용부(315)는 상기 선반 트레이(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터(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
그리고, 상기 셔터 수용부(315)는, 상기 셔터(33)의 하부가 수용되는 크기로 함몰 되고, 상기 셔터(33)와 간섭되지 않는 깊이와 폭을 가지도록 설계된다.Additionally, the
한편,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후단의 좌우 양측 중 일측(도 77에서 우측)에는 급수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6)는 상기 베이스 바디(3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급수관(84)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Meanwhile, a
그리고,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후단의 좌우 양측 중 다른 일측 (도 7에서 좌측)에는 배수구(319a) 및 상기 배수구(319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6)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 장치(VA)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319a)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a
상기 구동 장치(VA)는, 구동 모터(301)와, 피니언 박스(302)에 수용되고 상기 구동 모터(30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301)가 작동하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상기 랙(303)을 하강시키고, 상기 랙(303)은 상기 개폐 부재(36)의 누름단(361b)을 눌러서, 상기 개폐 부재(36)가 회전축(361a)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 부재(3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수구(319a)가 개방되어 배수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drive device (VA) includes a
그리고, 상기 회전축(361a)에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361c)에 장착되어, 상기 랙(303)이 상승하면 상기 탄성 부재(361c)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 부재(3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그러면, 상기 배수구(319b)가 폐쇄되고 배수가 중단된다. In addition, an
한편, 상기 선반 베이스(31),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311)에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상에서의 물 유동을 위한 베이스 유로(3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로(317)는 상기 급수부(316)와, 셔터 수용부(315), 수위 감지부(317f), 배수구(319a) 및 드레인부(318)를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유로(317)는 상기 선반 베이스(31)로 급수되는 물이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효과적으로 급수되고, 급수 완료 후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Meanwhile, a
상기 베이스 유로(317)는 급수 안내부(317a), 분지부(317b), 연결부(317c) 및 배수 안내부(317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급수 안내부(317a)는 상기 급수부(316)와 상기 분지부(317b)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311)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320)들의 후단을 따라서 상기 분지부(31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지부(317b)는 다수의 상기 안착부(320)를 모두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지부(317b)의 일단은 상기 배수 안내부(317d)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안내부(317d)는 상기 분지부(317b)의 일단에서 상기 배수구(319a)까지 연결될 수 있다. In detail, the water
상기 분지부(317b)에는 다수의 연결부(317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317c)는 상기 베이스 안착부(310) 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안착부(310)의 셔터 수용부(315)와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급수부(316)로 급수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배수가 시작되기 전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배수구(319a)는 막힌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 수용부(315)를 비롯한 상기 베이스 유로(317) 상에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section from when water starts to be supplied to the
상기 베이스 유로(317)는 수위 감지부(317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부(317f)는 상기 선반 베이스 내부로 만수위 이상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위 감지부(317f)에 수위 감지부재(34)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부(317f)의 후단, 즉 상기 분지부(317b)와 만나는 입구 부분에는 물유입 슬릿(3170)이 형성되어, 상기 분지부(317b)로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물유입 슬릿(3170)을 통하여 상기 수위 감지부(317f)로 유입된다. The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바닥면 일측에는 선반 감지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감지부재(35)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이 완전히 인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감지 부재(35)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펌프 커버(81)의 일측에는 선반 감지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반 감지부(35)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선반 감지 장치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 부재일 수 있다. A
상기 베이스 유로(317)는 상기 드레인 안내부(317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안내부(317e)는 상기 분지부(317b)와 상기 드레인부(318)를 연결할 수 있다. The
상기 드레인 안내부(317e)의 높이는 상기 수위 감지부재(34)에 의하여 설정되는 만수위보다 높고, 상기 베이스 바디(311)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34)와 상호 작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장치(미도시)가 고장으로 인하여 만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드레인부(318)를 통한 물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급수되는 물이 범람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의 수위는 어떠한 경우에도 만수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며, 상기 재배 선반(30)에 급수된 물이 넘쳐서 재배 공간(100)에 흘러내리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height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수위 감지 부재(34)의 배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water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하부 재배 선반의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cut along line 9-9 in Figure 4.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위 감지부(317f)는 상기 선반 트레이(32)의 장착시 상기 안착부(32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베이스 안착부들(31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316)와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여 만수위 이상으로 과급수되는 것을 즉각적으로 감지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water
상기 수위 감지부(317f)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의 하측에 배치된 수위 감지 장치(미도시)가 배치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장치는 도3의 단면도에서 상기 펌프(82)를 덮는 펌프 커버(81)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위 감지 부재(34)의 직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 감지부재(34)는 상기 수위 감지 장치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수위 감지 부재(34)는, 감지부재 케이스(341)와, 상기 감지부재 케이스(341) 내부에 매립되는 자석(342)과, 상기 감지부재 케이스(341)의 상하ㅏ 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감지부재 가이드(3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상세히, 상기 감지부재 케이스(341)는 상기 수위 감지부재(34)의 외형을 형성하며, 물에 뜰수 있는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 감지부재(34)는 플로팅부재 또는 플로터라 부를 수 있다. In detail, the sensing
상기 감지부재 가이드(343)는, 상기 수위 감지부(317f)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 돌기(343a) 및 제 2 안내 돌기(34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내 돌기(343a)와 제 2 안내 돌기(343b)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안내 돌기(343a)는 상기 수위 감지부재(34)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안내 돌기(343b)는 상기 제 1 안내 돌기(343a)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내 돌기(343b)는 상기 수위 감지부재(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수위 감지부재(3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만수위 상태에서도 상기 수위 감지부재(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상기 감지부재 케이스(341)의 바닥에는 제 1 안내 홀(341a)과 제 2 안내 홀(3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내 홀(341a)은 상기 제 1 안내 돌기(343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내 홀(341a)은 상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 1 안내 돌기(34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A
그리고, 상기 제 2 안내 홀(341b)은 상기 제 2 안내 돌기(34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내 홀(341b)은 상기 감지부재 케이스(34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안내 돌기(343b)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따라서, 상기 수위 감지부재(34)가 수위의 변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수위 감지부재(34)는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in a state where the water
한편, 상기 수위 감지부재(34)를 구성하는 상기 자석(342)은 상기 감지부재 케이스(34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안내 홀(341a)과 제 2 안내 홀(341b)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 장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위 감지부재(34)의 상하 이동에 따른 자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재배 선반(30)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세히, 상기 재배 선반(30)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수위 감지부재(34)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317f)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 장치에서는 상기 수위 감지부재(34)가 멀어짐에 따라서 자기장의 세기가 점차 약해지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In detail,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 수위 감지 장치에서 감지하는 자기력의 세기가 상기 재배 선반(30)의 수위가 만수위 일때의 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만수위를 초과하는 이상 수위로 판단하여 상기 재배 선반(30)으로의 급수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intensit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셔터(33)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도 10은 도 4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하부 재배 선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시드 패키지로의 급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ultivation shelf cut along line 10-10 of Figure 4, an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ate to the seed packag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부(316)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베이스 유로(317)를 따라 흐르며, 상기 급수 안내부(317a)와 분지부(317b), 연결부(317c)를 거쳐서 상기 셔터 수용부(315)로 공급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water supplied to the
상세히, 상기 선반 트레이(32)에 함몰 형성된 상기 안착부(320)의 바닥에는 셔터(3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33)의 일부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에 형성된 상기 셔터 수용부(315)에 수용된다. In detail, a
즉, 상기 셔터(33)는 상기 안착부(320)의 바닥면(322)을 기준으로 하측의 구성들은 상기 셔터 수용부(31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측의 구성들은 돌출되어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는 시드 패키지(90)와 접촉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components of the
상기 셔터(33)는 상기 안착부(3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장착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선반 베이스(31)로 급수되는 물이 상기 안착부(320) 및 시드 패키지(9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셔터(33)는 상기 안착부 내부로의 급수를 결정하므로 급수 장치 또는 개폐 장치라 부를 수도 있다. The
상기 셔터(33)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셔터(33)는 상기 셔터 수용부(315)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차폐부재(331)와, 연통부재(334), 및 누름부재(336)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세히, 상기 차폐부재(331)는 상기 셔터 수용부(31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재(334)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통홀(334a)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hielding
상기 차폐부재(331)는 하방에서 볼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스크류(337)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37)는 상기 차폐부재(331)를 관통하여 상기 누름부재(336)에 삽입된다.The shielding
상기 차폐부재(331)는 하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셔터 수용부(315)에 물이 채워지면 수면과 접촉되어 효과적으로 상측으로 부양된다. 특히, 상기 차폐부재(331)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 수용부(315)에 물이 채워지면 수위에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차폐부재(331)는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331)의 상면에는 실링부재(3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32)는 오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재(331)가 상승할 때 상기 연통부재(334)의 하면에 접하게 된다. Additionally, a sealing
상기 차폐부재(331)가 상승하여 상기 실링부재(332)가 상기 연통부재(334)와 접하게 되면, 상기 선반 베이스(31)로 급수된 물이 상기 안착부(320)로 공급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shielding
상기 누름부재(336)는 상기 안착부(320)에 수용되는 접촉부(336a)와, 상기 접촉부(336a)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보스부(336b)를 포함한다. 상기 보스부(336b)는 상기 연통부재(334)를 관통하여 상기 셔터 수용부(315)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337)를 관통하는 상기 스크류(337)는 상기 보스부(336b)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336)와 상기 차폐부재(331)가 한 몸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pressing
상기 셔터(33)는 상기 보스부(336b)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스프링(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연통 부재(334)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335)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35)의 하단은 상기 안착홈에 놓이고 상단은 상기 접촉부(336a)의 저면에 접촉한다.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상기 스프링(335)은 상기 셔터 수용부(315)의 내측에 물이 수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차폐부재(331)가 상기 연통홀(334a)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시드 패키지990)가 상기 안착부(320)에 놓이면, 상기 누름부재(336)가 가압되면서 상기 스프링(335)이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335)이 압축되면서 상기 차폐 부재(331)는 하강하여 상기 연통홀(334a)을 개방한다. Then, when the seed package 990 is placed on the
반면, 상기 안착부(320)로부터 상기 시드 패키지(90)를 분리하면, 상기 스프링(3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336)는 상승하여 상기 연통홀(334a)이 폐쇄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여기서, 상기 차폐 부재(331)가 물에 뜨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335)은 장착되지 않아도 무방하고, 상기 스프링(335)이 제공될 경우 상기 차폐 부재(331)는 물에 뜨는 소재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물론, 차폐 부재(331)가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335)이 제공되는 구조도 가능하다.Here, when the shielding
상기 차폐 부재(331)가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셔터(33)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먼저, 상기 재배 선반(30)의 급수부(316)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베이스 유로(317)를 따라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재배 선반(30)에 형성된 모든 셔터 수용부(315)에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재배 선반(30)의 셔터 수용부(315)까지는 모두 물이 공급될 수 있다.First,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 펌프(82)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상기 셔터 수용부(315)를 모두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셔터 수용부(315)에 물(W)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차폐 부재(331)는 부력에 의하여 상승한다. All of the plurality of
이때, 상기 차폐부재(331)의 바닥면에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별도의 부력부재(338)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폐부재(33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재(338)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후 상기 차폐부재(331)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한편, 상기 셔터 수용부(315)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면 상기 차폐부재(331)는 최대 높이로 상승하여, 상기 실링부재(332)가 상기 연통홀(334a)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연통홀(334a)을 통한 물의 이동이 차단된다. Meanwhile, when the
상기 재배 선반(30)에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처럼 상기 셔터(3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안착부(320) 내측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When the
상기 스프링(335)이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물공급 전에 이미 상기 실링부재(332)가 상기 연통홀(334a)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한편, 상기 재배 선반(30)에는 식물의 재배를 위해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안착부(320) 중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된 상기 안착부(320)에는 급수시 상기 안착부(320) 및 시드 패키지(90) 내측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Meanwhile, the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면 상기 셔터(33)의 누름부재(336)가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물 유입부(91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물 유입부(912)의 상면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336)가 가압된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336)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차폐부재(331) 또한 하강하여 상기 실링 부재(332)가 상기 바닥부(322)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연통홀(334a)이 개방된다.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상ㄹ기 안착부(320)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차폐부재(331)는 상기 셔터 수용부(315)의 바닥에 닿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급수되는 물은 상기 연통홀(334a)을 통해 상기 안착부(320)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334a)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은 용기 개구(912a)를 통해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로 공급된다. And, as the pressing
상기 용기 개구(912a)는 상기 연통홀(334a)과 이격된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334a)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홀(334a)을 통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는 물은 상기 용기 개구(912a)를 통해 상기 용기(9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The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의 상기 씨앗 수용부재(93)까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씨앗 수용부재(93)에서는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씨앗 수용부재(93) 내측의 씨앗 또는 식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 water flowing into the
한편,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a)으로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36)는 설정된 시간 동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앗 또는 식물에 충분한 양의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구동 장치(VA)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구동 장치(VA)의 동작시 상기 개폐부재(36)는 상기 개폐부재 회전축(361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319a)를 개방하고, 상기 배수구(319a)를 통해서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을 배출하게 된다. Meanwhile, with water supplied to the
이때,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장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연통홀(334a)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의 물도 상기 물 유입부(912)의 용기 개구(912c)를 통해 배수되며, 상기 연통홀(334a)을 통해서 상기 셔터 수용부(315)로 유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결국,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 내부의 물은 물론, 상기 시드 패키지(90) 내부의 물까지 상기 베이스 유로(317)를 지나 상기 배수구(319a)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319a)로 배출되는 물은 후술하게 될 배수 트레이와 배수관을 통해서 상기 워터 탱크(86)로 회수된다. Ultimately, not only the water inside the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30) 내부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 장치(VA)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36)는 다시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배수구(319a)를 차폐하게 된다.Then, when the drainage inside the
이와 같이 상기 재배 선반(30)은 물론 상기 시드 패키지(90)의 내부는 급수 후 일정 시간을 제외하고는 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30)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녹조가 발생되지 않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interior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의 급수 및 배수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rocess to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급배수 모듈의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modul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재배 공간(100)의 내측에는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과 상기 재배 선반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바닥에는 상기 펌프(82)와 밸브(83) 및 이들 구성과 연결되는 배관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82)와 밸브(83) 및 이들 구성과 연결되는 배관들은 상기 펌프 커버(8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커버(81)의 전방에는 상기 워터 탱크(86)가 놓이며,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은 상기 워터 탱크(86)의 상면과 상기 펌프 커버(81)의 상면에 놓인다.Referring to FIG. 12, a water supply module that supplies water to the
상기 급수 모듈은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물 공급을 위해 배치되는 상기 펌프(82)와 밸브(83) 및 급수관(8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은 상기 펌프 커버(81)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 water supply module may be defined as including the
상기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는 좌우 측면 중, 일 측면에는 급수관(8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4)은 상기 밸브(83)로부터 상기 재배 공간(100)의 측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재배 공간(100)의 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다.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s forming the cultivation space 100, a
상기 밸브(83)는 상부 밸브(83a)와 하부 밸브(83b)를 포함한다. The
상기 급수관(84)은, 상기 상부 밸브(83a)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으로 물을 공급하는 상부 급수관(84a)과, 상기 하부 밸브(83b)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 물을 공급하는 하부 급수관(84b)을 포함한다. The
한편, 상기 급수 모듈이 배치되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에는 배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모듈은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을 상기 워터 탱크(86)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수 트레이(85)와, 배수관(87)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 drainage module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00 where the water supply module is disposed an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ther side. The drainage module is for draining water from the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는 상부 배수 트레이(85a)와,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는 하부 배수 트레이(85b)를 포함한다. The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는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의 후단부에서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배수 트레이(85b)는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의 후단부에서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The upper drainage tray (85a) may be located at a lower point than the upper cultivation shelf (30a)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cultivation shelf (30a), and the lower drainage tray (85b) is located at the lower cultivation shelf (30b). It may be located at a lower point than the lower cultivation shelf (30b) at the rear end of.
상기 배수관(87)은,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와 하부 배수 트레이(85b)를 연결하는 배수 안내관(871)과, 상기 하부 배수 트레이(85b)와 상기 워터 탱크(86)를 연결하는 배수 뉴브(872)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 튜브(872)는 상기 하부 배수 트레이(85b)의 전단부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 튜브(872)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수 노즐(873)은 상기 워터 탱크(86)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워터 탱크(86) 내부로 인입된다. The
그리고, 상기 배수 노즐(873)은 밸브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워터 탱크(86)의 인입시 개방되고, 상기 워터 탱크(86)의 인출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수 노즐(873)이 상기 워터 탱크(86)의 배면에 결합되면 개방되고, 상기 워터 탱크(83)의 인출에 의하여 상기 배수 노즐(873)이 상기 워터 탱크(86)로부터 분리되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그리고, 상기 펌프 커버(1)의 전면에는 피팅부(821)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itting portion 82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상기 워터 탱크(86)의 배면에는 출수관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출수관은 상기 피팅부(8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 탱크(86)의 배면이 상기 펌프 커버(81)의 전면에 밀착되면 상기 출수관은 상기 피팅부(821)에 끼워져서, 상기 워터 탱크(86) 내부의 물이 상기 펌프(82)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A water outlet pipe may extend from the rear of the
상기 피팅부(821)의 단부에는 상기 펌프(82)와 연결되는 펌프 입수 배관(822)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82)의 일측에는 펌프 출수 배관(823)이 연결되고, 상기 펌프 출수 배관(823)의 출구는 상기 밸브(83)에 연결된다. A
이러한 급배수 모듈 구조에 의하면, 상기 워터 탱크(86)에 저장된 물은 상기 피팅부(821) 및 상기 펌프 입수 배관(822)을 따라 상기 펌프(82)로 공급되고, 상기 펌프(82)에서 펌핑되는 물은 상기 펌프 출수 배관(823)을 따라 상기 밸브(83)로 안내된다. 상기 밸브(83)로 안내되는 물은 상기 상부 밸브(83a)와 하부 밸브(83b)로 나뉘어져서 상기 상부 급수관(84a)과 하부 급수관(84b)으로 각가가 나뉘어 흐르게 된다. According to this water supply/drain module structure, the water stored in the
상기 상부 급수관(84a)을 따라 흐르는 물은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으로 공급되고, 상기 하부 급수관(84b)을 따라 흐르는 물은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 공급된다.Water flowing along the upper
한편,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로 배수되고, 상기 배수 안내관(871)을 따라 상기 하부 배수 트레이(85b)로 안내된다. Meanwhile, the water supplied to the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하부 배수 트레이(85b)로 배수되고, 상기 하부 배수 트레이(85b)로 안내되는 물은 상기 배수 튜브(872)와 배수 노즐(873)를 따라 상기 워터 탱크(86)로 되돌아간다.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cultivation shelf (30b) is drained to the lower drainage tray (85b), and the water guided to the lower drainage tray (85b) flows through the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와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간의 급배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tructure between the mobile
도 13은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장착된 상부 재배 선반이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인입된 상태에 있는 상부 재배 선반의 확대 저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인입된 상태에 있는 상부 재배 선반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ing the upper cultivation shelf equipped with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in a withdrawn state, Figure 14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ultivation shelf in the retracted state, and Figure 15 is the retracted state. This is an enlarge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ultivation shelf in .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재배 선반(30a)과 하부 재배 선반(30b)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부 재배 선반(30a)에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13 to 15, a mobile
상세히,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재배 선반(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재배 선반(30)에 안착되면 급수와 배수가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재배 선반(30)으로부터 분리되면 급수와 배수가 중단되도록 하는 급배수 연결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In detail, in order for the mobile
이를 위해서,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37)의 바닥에는 급수 연결부(88)와 배수 연결부(89)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놓이는 재배 선반, 일례로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을 구성하는 선반 베이스는 상기 급수 연결부(88)와 배수 연결부(89)의 도시 및 설명을 위해서 도면에서 삭제되어 있으나, 상기 급수 연결부(88)와 배수 연결부(89)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선반 베이스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o this end, a water
그리고,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결합되는 선반 베이스는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설치되는 잽배 선반, 즉 하부 재배 선반(30b)의 선반 베이스(31)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될 상기 급수 연결부(88)와 배수 연결부(89)의 특성상,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놓이는 재배 선반의 선반 베이스에는 물이 채워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저면에 결합되는 선반 베이스는 상기 급수 연결부(88)와 배수 연결부(89)의 외부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의 기능을 가지면 충분하다. In addition, the shelf base coupled to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두 개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놓이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wo mobile
한편, 상기 급수 연결부(88)는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전단부 쪽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배수 연결부(89)는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후단부 쪽에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ater
상기 급수 연결부(88)는, 상기 상부 급수관(84a)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급수 호스(881)와,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바닥에 장착되는 연결 포트를 포함한다.The water
상기 선반 트레이(37)에는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되는 안착부(372)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연결 포트(372)는 상기 안착부(372)의 바닥에 연결된다.A
또한, 상기 안착부(372)가 한 개인 경우, 즉 단일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급수 연결부(88)는 상기 급수 호스(881)와 단일의 급수 연결 포트(885 또는 886)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반면, 복수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장착 가능하도록 복수의 안착부(372)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급수 연결 포트로 물이 나뉘어 흐르도록 하는 구성이 더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따라서, 복수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 일례로 두 개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에서 상기 급수 연결부(88)는, 상기 급수 호스(881)와, 상기 급수 호스(881)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지 파이프(882)와, 상기 분지 파이프(882)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 1 급수 연결관(883) 및 제 2 급수 연결관(884)과, 상기 제 1 급수 연결관(883)에 연결되는 제 1 급수 연결 포트(885), 및 상기 제 2 급수 연결관(884)에 연결되는 제 2 급수 연결 포트(88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급수 연결 포트(885)와 상기 제 2 급수 연결 포트(886)는 두 개의 안착부(372)의 바닥에 각각 연결된다. Therefore,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obil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부 급수관(84a)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급수 호스(882)를 따라 상기 분지 파이프(882)로 안내되고, 상기 분지 파이프(882)에서 상기 제 1 급수 연결관(883)과 제 2 급수 연결관(884)으로 나뉘어 흘러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급수 연결 포트(885) 및 제 2 급수 연결 포트(886)로 공급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한편, 단일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37) 구조에서,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배수 연결부(89)는, 상기 안착부(372)의 바닥에 장착되는 단일의 배수 연결 포트(895 또는 896)와, 상기 배수 연결 포트에서 연장되는 배수 호스(891)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배수 호스(891)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로 휘어진 경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트레이(37)가 재배 공간(10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 호스(891)가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 호스(891)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로 낙하한다. The
반대로, 상기 선반 트레이(37)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호스(891)는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트레이(37)는 배수가 중단 또는 완료된 이후에만 인출가능하다. Conversely, when the
또한, 복수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장착 가능하도록 복수의 안착부(372)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배수 연결 포트로 물이 나뉘어 흐르도록 하는 구성이 더 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따라서, 복수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 일례로 두 개의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에서 상기 배수 연결부(89)는, 두 개의 안착부(372) 바닥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배수 연결 포트(895) 및 제 2 배수 연결 포트(896)와, 상기 제 1 및 제 2 배수 연결 포트(895,896)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 1 배수 연결관(893) 및 제 2 배수 연결관(894)과, 상기 제 1 및 제 2 배수 연결관(893,894)이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 호스(893)가 타측에 연결되는 합지 파이프(892)를 포함한다.Therefore,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obile
상기 압지 파이프(892)는 상기 분지 파이프(882)와 동일한 T자형 구조를 이루되, 물의 흐름 방향만 반대가 된다. The
또한, 상기 급수 연결 포트(885,886)와 배수 연결 포트(895,896) 또는 동일한 구조의 포트이고 물의 흐름 방향만 반대가 된다. In addition, the water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의 저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의 절개 사시도이다.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ottom view of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and Figure 18 is a cut of the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along 18-18 of Figure 16.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시드 패키지(90a)와, 상기 케이스(71)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손잡이(72)를 포함한다.16 to 18, the mobile
상세히, 상기 시드 패키지(90a)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시드 패키지(90)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드 패키지(90a)가 안착되는 공간의 크기와 체적에 맞게 폭과 길이 및 높이가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케이스(71)는, 바닥부(711)와, 상기 바닥부(7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면부(713), 및 상기 바닥부(711)와 상면부(713)를 연결하는 측면부(712)를 포함한다. The
또한, 상기 케이스(71)에는 상기 시드 패키지(90a)가 안착되는 함몰부(714)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714)는 상기 상면부(713)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Additionally, a
상기 바닥부(711)와 상면부(713)는 타원형 또는 트랙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부(711)와 상면부(713)는 한 쌍의 마주보는 장변부와, 한 쌍의 마주보는 단변부로 이루어질수 있다. 특히, 상기 한 쌍의 단변부는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The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한 쌍의 단변부는 상기 케이스(71)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는, 장변부를 이등분하는 수직면 및 단변부를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71)의 전면과 후면은 동일한 형상을 이루되, 상기 케이스(71)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놓이는 방향에 따라 전면과 후면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A pair of short sides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be defined a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한편, 상기 함몰부(714)의 상면은 장변부와 단변부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손잡이(72)는 상기 함몰부(714)를 제외한 상기 상면부(713)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714)의 상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단변부와 상기 상면부(713)의 단변부들 사이에는 평평한 면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72)는 상기 평평한 면들로부터 연장된다.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72)는, 상기 두 개의 평평한 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제 1 파트(721)와, 상기 두 개의 평평한 면들 중 다른 하나에서 연장되는 제 2 파트(722)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제 1 파트(721)와 제 2 파트(722)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간능한 다단 인출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하여 제 1 파트(721)와 제 2 파트(722)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이 부착되어, n자 형태의 단일 손잡이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를 들고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72)를 n자 형태로 변형하고,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1)의 재배 공간(30) 내부에 배치할 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파트(721,722)를 축소시켜, 상기 시드 패키지(90a)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케이스(71)의 측면부 중 단변부를 형성하는 두 측면부에는 충전 단자부(7113)가 각각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케이스(7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충전 단자(7113)가 형성된다. Charging
상기 바닥부(711)에는 다수의 안착판(73)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71)가 경사진 곳에 배치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 상기 안착판(73)은 고무 소재 또는 벨크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안착판(73)은 상기 바닥부(711)의 네 모서리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바닥부(711)에는 제 1 밸브홀(7111)과 제 2 밸브홀(7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7111,7112)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의 전면과 후면을 구별하지 않고 상기 안착부(372)에 안착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a
한편, 상기 함몰부(714)는, 상기 케이스(71)의 상면부(71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네 개의 패키지 지지면(7141)과, 상기 함몰부(714)의 바닥을 정의?F는 베이스면(7143)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상기 네 개의 패키지 지지면(714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장변부측 지지면과,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단변부측 지지면을 포함한다. The four package support surfaces 7141 include two long side support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wo short side support surfaces facing each other.
상기 두 개의 단변부측 지지면은 상기 상면부(713)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장변부측 지지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단변부측 지지면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면(7143)까지 경사면(714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two short side support surfaces extend downward from the
상기 한 쌍의 단변부측 지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면(7142)은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장변부측 지지면 쪽에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면(7143)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A pair of
상기 상면부(713)와 상기 경사면(7143)의 상단까지의 길이, 즉 상기 단변부측 지지면의 수직 방향 길이는 상기 시드 패키지(90a)의 측면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변부측 지지면과 상기 경사면(7143)이 만나는 지점에 상기 시드 패키지(90a)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The length from the
상기 함몰부(714)를 정의하는 상기 패키지 지지면(7141), 경사면(7142) 및 베이스면(7143)의 상측 공간은 물(W)이 저장되는 물저장 공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물 저장 공간을 제외한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은 기계실(715)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upper space of the
상기 장변부측 지지면과 단변부측 지지면이 만나는 네 개의 모서리들 중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서리 부분에는 배수 안내홈(717)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수 안내홈(717)의 바닥에는 배수구(7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719)로부터 상기 기계실(715) 내부로 배수 튜브(7191)가 연장된다. Of the four corners where the long side support surface and the short side support surface meet, drain
또한, 상기 배수구(719)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경사면(7142)의 어느 지점에는 급수구(718)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718)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급수 튜브(7181)가 연장된다. 상기 급수구(718)는 상기 배수구(719)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가 완료되더라도, 상기 물저장 공간(716)에는 상기 배수구(719)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위로 물이 채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를 상기 선반 트레이(37)로부터 분리하여 실내 창가나 베란다에 설치한 뒤에 따로 물공급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Additionally, a
한편, 상기 기계실(715) 내부에는 상기 물저장 공간(716)의 급수 및 상기 물저장 공간(716)으로부터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는, 상기 제 1 밸브홀(7111)과 제 2 밸브홀(7112)이 형성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편에 형성되는 상기 급수 튜브(7181) 및 상기 배수 튜브(7191)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두 개의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 중 어느 하나는 급수를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배수를 제어한다. Meanwhile, a first
상세히, 상기 이동식 재재 장치(70)를 상기 선반 트레이(37)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전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는 상기 급수 연결부(88)와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 공간(716)으로의 급수를 제어하고,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는 상기 배수 연결부(89)와 연결되어 상기 물 저장 공간(716)으로부터의 배수를 제어한다. In detail, when the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rst
도 19는 도 18의 19-19를 따라 절개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어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21-21을 따라 절개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FIG. 1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cut along 19-19 of FIG. 18,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valve constituting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and FIG. 21 is a cutaway view of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taken along line 19-19 of FIG. 19.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cut along.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에 제공되는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는, 밸브 바디(741), 급수 포트(744), 배수 포트(746), 상기 밸브 바디(74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 밸브(742) 및 스프링(743)을 포함한다.19 to 21, the first
상기 밸브 바디(741)는, 내부에 중공부(7411)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바텀홀(7412)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 바디(741)는 상기 케이스(71)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제 1 밸브홀(7111)과 제 2 밸브홀(7112)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됨으로서, 상기 바텀홀(7412)은 상기 제 1 밸브홀(7111) 또는 제 2 밸브홀(7112)과 연통한다. 상기 제어 밸브(742)는 상기 중공부(74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상기 스프링(743)은 상기 중공부(7411)의 상면과 상기 제어 밸브(74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어 밸브(742)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된다. The
상기 밸브 바디(741)의 측면에는 상부 연장관(7413)과 하부 연장관(7414)이 각각 연장되고, 상기 상부 연장관(7413)은 상기 하부 연장관(7414)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연장된다. An
상기 하부 연장관(7414)은 상기 급수 포트(744)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연장관(7413)은 상기 배수 포트(746)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 1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 포트(744)의 타 단부는 상기 급수 튜브(7181)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 포트(746)의 타 단부는 상기 배수 튜브(7191)에 연결된다.The
상기 급수 포트(744)의 내부에는 첵 밸브(745)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 바디(741)로부터 상기 급수 튜브(7181) 쪽으로만 물이 흐르고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A
상기 제어 밸브(742)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바텀홀(7412)을 통하여 상기 밸브 바디(741)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 포트(744)로 공급되거나, 상기 배수 포트(746)를 통하여 상기 밸브 바디(741) 내부로 회수된 물은 상기 바텀홀(7412)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의 외부로 배출된다.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 제어 밸브(742)는, 상부 바디(7422), 하부 바디(7423) 및 다수의 연결 레그(742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바디(7422)와 하부 바디(7423)는, 상기 밸브 바디(741)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내부가 채워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7422)와 하부 바디(7423)의 외주면에는 실링(7424)이 장착되어, 상기 제어 밸브(742)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 바디(741)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Meanwhile, the
상기 하부 바디(7423)의 중앙에는 연통홀(7426)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연결 레그(7425)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 레그들(742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사이드 홀(7427)로 정의된다. 상기 사이드홀(7427)과 상기 연통홀(7426)은 서로 연통하여 물의 이동이 가능한 유로를 형성한다. A
상기 연통홀(7424)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푸쉬바 밀착면(74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바 밀착면(7428)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 push
도 22는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상기 선반 트레이에 장착되는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24-24를 따라 절개되는 선반 트레이 및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tray on which a mobile plant cultivation kit is mounted,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mounted on the shelf tray, Figure 24 is a shelf tray cut along 24-24 of Figure 22 and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37)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안착부(372)가 함몰 형성되는 트레이 바디(371)를 포함한다.22 to 24, the
상세히, 상기 트레이 바디(371)의 바닥,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착부(372)의 바닥에는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38)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 밸브 어셈블리(38)는, 상기 안착부(372)의 전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로의 급수를 담당하는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과, 상기 안착부(372)의 후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로부터의 배수를 담당하는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과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은 후술하게 될 푸쉬바의 길이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In detail, a second
그리고,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이 상기 안착부(372)의 후측에 제공되고,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이 상기 안착부(372)의 전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 In addition,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water supply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과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은 상기 안착부(372)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안착부(372)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와 연결된다. The water supply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과 결합되는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과 결합되는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을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은 구조가 동일하며,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결합되는 모듈이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이고,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결합되는 모듈이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have the same structure, the modul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is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module coupled to the drain control valve module is the drain side control. It can be defined as a valve module.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를 구성하는 밸브 모듈들과 상기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38)를 구성하는 밸브 모듈들 각각은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 편에 구비되므로,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바뀐 상태로 안착부(372)에 안착되더라도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74)와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38)에 정확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를 상기 안착부(372)에 결합할 때 상기 케이스(71)의 앞뒤 방향을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구분이 따로 없는 구조로 할 수 있다. Since each of the valve modules constituting the first
또한, 상기 안착부(372)의 후단부 측면 또는 전단부 측면에는 충전 단자부(37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안착부(327)에 안착되면, 상기 식물 재배 키트(70)의 케이스(71)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된 충전 단자부(711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충전 단자부(373) 접촉되어,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가 자동으로 충전된다.In addition, a charging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어느 방향으로 결합되든지 관계없이,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로부터 물이 배수된다. Regardless of which direction the mobile
상기 급수 담당 및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38b)이 장착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안착부(372)의 바닥에는 가이드 슬리브(3711)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의 상측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71)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밸브홀(7111,7112)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되, 어느 지점에서 직경이 감소되어 단차지며, 직경이 감소된 부분이 상기 밸브홀(7111,7112)에 삽입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는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 전부가 상기 밸브홀(7111,7112)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A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는 전방의 제 1 가이드 슬리브(3731)와 후방의 제 2 가이드 슬리브(37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리브(3731,3732)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가이드 슬리브(3731)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트레이 바디(371)의 바닥에는 상기 급수 연결 포트(885 또는 886)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슬리브(4732)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트레이 바디(371)의 바닥에는 상기 배수 연결 포트(895 또는 896)가 연결된다. The
한편, 상기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38)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푸쉬바(381)와, 상기 푸쉬바(38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씰링(382)과, 상기 푸쉬바(381)의 저면에 제공되는 스프링(383)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second
상세히, 상기 푸쉬바(381)는, 내부가 채워진 원통 형상의 본체부(3811)와, 상기 본체부(3811)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바(3812)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연장바(3812)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장바들(3812) 사이에 유동 통로(38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3812)는, 상기 본체부(38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812a)와, 상기 제 1 연장부(3812a)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812a)의 반경 방향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8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연장부(3812b)는 상기 제 1 연장부(3812a)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812b)의 상단에는 밀착면(3813)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3813)은 상기 제어 밸브(742)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푸쉬바 밀착면(7428)에 맞닿는다. In detail, the
상기 다수의 유동 통로(3814)는 상기 푸쉬바(381)의 외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또는 단차져서 형성되는 골짜기로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연장바(3812)는 인접하는 유동 통로(3814) 사이에 형성되는 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도 24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는 급수되는 물의 흐름을 보여주고, 점선 화살표는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보여준다. 급수의 경우 상기 연결 포트는 급수 연결 포트(885 또는886)일 것이고, 배수의 경우 상기 연결 포트는 배수 연결 포트(895 또는 896)일 것이다.The solid arrow shown in Figure 24 shows the flow of water being supplied, and the dotted arrow shows the flow of water being drained. In case of water supply, the connection port will be a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885 or 886), and in the case of drainage, the connection port will be a drainage connection port (895 or 896).
도 25는 도 22의 25-25를 따라 절개되는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단면도로서 급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cut along line 25-25 of FIG. 22, showing the water supply state.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선반 트레이(37)의 안착부(372)에 안착되면,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의 푸쉬바(381)가 상기 제 1 밸브홀(7111)과 상기 밸브 바디(741)의 바텀홀(7412)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 바디(741) 내부로 삽입된다. Referring to FIG. 25, when the mobile
상세히,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부(372)에 안착되기 전에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의 푸쉬바(381)는 스프링(38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상기 푸쉬바(381)의 씰링(382)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의 관통홀(3713) 하단을 차폐하여, 상기 급수 호스(881)를 따라 공급되는 물은 급수 연결 포트(885,886)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3711)의 내부에서 멈춘다.In detail, before the mobile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안착부(372)에 안착되면, 상기 푸쉬바(381)가 상기 밸브 바디(74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바(381)의 상단에 형성되는 밀착면(3813)은 상기 제어 밸브(742)의 푸쉬바 밀착면(7428)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바(381)는 상기 밸브 바디(741)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상기 제어 밸브(742)(도 24 참조)를 위로 밀어올린다. 이때, 상기 제어 밸브(742)가 상기 푸쉬바(381)에 의하여 상기 밸브 바디(741)의 상단을 향하여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밸브(742)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푸쉬바(381)를 지지하는 상기 스프링(383)이 압축된다. When the mobile
그리고, 상기 스프링(383)이 압축되면서 상기 씰링(382)이 상기 관통홀(3713)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관통홀(3713)의 하단에 틈새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연결 포트(885,886)로 안내된 물은 상기 틈새와 상기 푸쉬바(381)의 유동 통로(3814)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어 밸브(742)의 연통홀(7426)로 유입된다. Then, as the
또한, 상기 푸쉬바(381)는, 상기 제어 밸브(742)의 사이드 홀(7427)과 상기 하부 연장관(7414)이 연통하는 지점까지 상기 제어 밸브(742)를 밀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급수 연결 포트(885,886) 내부에 있는 물은 상기 제어 밸브(742)의 연통홀(7426)과 상기 사이드 홀(7427), 상기 하부 연장관(7414), 및 상기 급수 포트(744)를 따라 흘러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의 물 저장 공간(716)으로 공급된다. Additionally, the
그리고, 상기 물 저장 공간(716)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구(719)의 높이 이상이 되면 상기 배수 튜브(7191)로 유입되어 상기 제어 밸브(742)의 상면 까지만 채워지고, 더 이상의 배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And, when the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도 26은 도 22의 24-24를 따라 절개되는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종단면도로서, 배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cut along line 24-24 of FIG. 22, and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state.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안착부(372)에 안착되면,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을 구성하는 푸쉬바(381)는 상기 밸브 바디(741)에 삽입되어 상기 제어 밸브(742)를 밀어올린다. 이때, 상기 제어 밸브(742)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스르링(383)이 압축되면서 상기 배수 연결 포트(895,896)로 안내된 물이 상기 밸브 바디(74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도 2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26, when the mobile
그리고,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을 구성하는 상기 푸쉬바(381)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을 구성하는 푸쉬바(381)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어 밸브(742)의 사이드 홀(7427)이 상기 상부 연장관(7413)과 연통하는 지점까지 상기 제어 밸브(742)를 밀어 올린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을 통하여 상기 물 저장 공간(716)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 안내홀(719)에 도달하면, 상기 배수 안내홀(717)과 배수 튜브(7191)를 통하여 흘러내리고, 상기 제어 밸브(742)의 사이드홀(7427)과 연통홀(742), 및 상기 수취바(381)의 유동 통로(3814)를 따라 상기 배수 연결 포트(885)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배수 연결 포트(885)로 안내되는 물은 상기 배수 호스(891)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상부 배수 트레이(85a)로 낙하한다. And, when the water level supplied to the
여기서, 상기 급수 포트(744)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첵밸브(745)에 의하여 상기 물 저장 공간(716)의 물이 상기 하부 연장관(7414)으로 역류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Here, the phenomenon of water in the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안착부(372)에 안착되면, 상기 케이스(71)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a)과 상기 케이스(71)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38b)이 모두 개방되어,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가 상기 안착부(372)에서 분리되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물이 순환하므로, 상기 시드 패키지(90a) 내부가 곰팡이나 녹조에 의하여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mobile
그리고, 상기 물 저장 공간(716)의 수위는 상기 배수구(719)의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식 식물 재배 키트(70)를 상기 선반 트레이(37)로부터 분리하여 창가 또는 다른 공간에 배치한 다음 당분간은 따로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Claims (16)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공간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재배 선반에 제공되는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
상기 안착부의 저면 일측 결합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연결부; 및
상기 급수 연결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안착부의 저면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결합되는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함몰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상기 식물 재배 키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결합되는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연결부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부는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 first device is provided inside a portable plant cultivation kit and includes a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that controls water supply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and a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that controls water supply to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kit. control valve assembly;
a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provided on a cultivation shelf that is retractably install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has a recessed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detachably seated;
a water supply connec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and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and
I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es a drainage connection portion that drains water su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kit,
The second control valve assembly,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and coupled to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and includes a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that is coupled to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when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The water supply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 module responsible for drainage.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은 상기 안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편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은 상기 식물 재배 키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편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age control valve module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in a diagonal direction,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are each disposed on diagonally opposite sides of the plant cultivation kit.
상기 식물 재배 키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씨앗이 심어진 시드 패키지의 안착과 상기 씨앗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저장을 위한 물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함몰부와,
상기 제 1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수용을 위한 기계실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함몰부의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With case,
Includes a handl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nside the case,
a depression defining a water storage space for seating the seed package in which the seed is planted and storing the water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seed;
A machine room is formed for receiving the first control valve assembly,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chine room is provided below the depression.
상기 함몰부의 일측 모서리 및 상기 일측 모서리의 대각선 방향 반대편에 있는 타측 모서리 각각에는 급수구와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급수구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A water supply port and a drain port are formed at one edge of the depression and at the other edge diagonally opposite the one edge,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wherein the drain is form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water supply hole.
상기 식물 재배 키트는,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장되는 급수 튜브와,
상기 배수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장되는 배수 튜브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plant cultivation kit is,
a water supply tube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port into the machine room;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including a drain tube extending from the drain hole into the machine room.
상기 급수측 제어 밸브 모듈과 상기 배수측 제어 밸브 모듈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바닥에 바텀홀이 형성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하부 연장관;
상기 하부 연장관보다 높은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밸브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상부 연장관;
상기 중공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어 밸브;
상기 중공부의 상면과 상기 제어 밸브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스프링;
상기 하부 연장관과 상기 급수 튜브를 연결하고, 내부에 첵밸브가 구비되는 급수 포트;
상기 상부 연장관과 상기 배수 튜브를 연결하는 배수 포트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5,
Each of the water supply side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 side control valve module,
A valve body with a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and a bottom hole formed at the bottom;
a lower extension pipe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an upper extension pipe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corresponding to a point higher than the lower extension pipe;
a control valve movably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valve;
a water supply port connecting the lower extension pipe and the water supply tube and having a check valve therein;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including a drainage port connecting the upper extension pipe and the drainage tube.
상기 제어 밸브는,
상부 바디;
중앙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의 하면과 상기 하부 바디의 상면을 연결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 레그;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제 1 씰링을 포함하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 레그들 사이에 정의되는 사이드 홀은 상기 연통홀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valve is,
upper body;
A lower body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connection legs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ncludes a first seal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hole defined between the connection legs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 및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 각각은,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푸쉬바;
상기 푸쉬바의 저면에 놓이는 제 2 스프링;
상기 푸쉬바의 외주면에 둘러져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를 차폐하는 제 2 씰링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7,
Each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and the drainage control valve module,
a push bar extending through a guide slee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a second spring placed on the bottom of the push bar;
It includes a second seal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sh bar to shield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wherein the push bar of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ush bar of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water supply.
상기 푸쉬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연장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장바들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씰링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8,
The push bar is,
main body;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formed between adjacent extension ba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cond sealing is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다수의 연장바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부의 반경 방향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9,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bar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omprising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radial width of the first extension part.
상기 급수 연결부는,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 2 스프링을 수용하는 급수 연결 포트; 및
상기 급수 연결 포트에서 연장되는 급수 연결관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0,
The water supply connection is,
a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is mounted and accommoda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pring; and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including a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상기 케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급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는, 상기 밸브 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어 밸브를 밀어 올리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사이드 홀이 상기 하부 연장관과 연통하는 지점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cas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push bar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to push up the control valve,
The control valve is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it rises to a point where the side hol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xtension pipe.
상기 푸쉬바로 전달되는 상기 밸브 바디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푸쉬바가 하강하고,
상기 제 2 씰링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급수 연결 포트와 상기 다수의 유동 통로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2,
The push bar descends as the second spring is compressed by the load of the valve body transmitted to the push bar,
The second sealing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and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flow passages.
상기 배수 연결부는,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 2 스프링을 수용하는 배수 연결 포트; 및
상기 배수 연결 포트에서 연장되는 배수 연결관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0,
The drain connection is,
a drain connection por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rain control valve module is mounted and accommoda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pring; and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including a drainage conne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drainage connection port.
상기 케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배수 담당 제어 밸브 모듈의 푸쉬바는, 상기 밸브 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어 밸브를 밀어 올리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사이드 홀이 상기 상부 연장관과 연통하는 지점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4,
When the cas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push bar of the control valve module in charge of drainage is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to push up the control valve,
The control valve is a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it rises to a point where the side hole communicates with the upper extension pipe.
상기 푸쉬바로 전달되는 상기 밸브 바디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푸쉬바가 하강하고,
상기 제 2 씰링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수 연결 포트와 상기 다수의 유동 통로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키트용 급배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5,
The push bar descends as the second spring is compressed by the load of the valve body transmitted to the push bar,
The second sealing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and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a plant cultivation k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connection port and the plurality of flow passag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9609A KR20240097505A (en) | 2022-12-20 | 2022-12-20 |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for plants cultivation k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9609A KR20240097505A (en) | 2022-12-20 | 2022-12-20 |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for plants cultivation k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7505A true KR20240097505A (en) | 2024-06-27 |
Family
ID=917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9609A KR20240097505A (en) | 2022-12-20 | 2022-12-20 |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for plants cultivation k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750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8335A (en) | 2020-01-06 | 2021-07-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2022
- 2022-12-20 KR KR1020220179609A patent/KR20240097505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8335A (en) | 2020-01-06 | 2021-07-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9645B1 (en)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US20230109941A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US20230292677A1 (en)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 |
US12063901B2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US20220394937A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water supply method therefor | |
US20230113737A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20190137201A (en) | Election type garden system | |
KR101930424B1 (en) | Device for sprout cultivation using the nature mineral | |
KR102572899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US20220192107A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KR20240097505A (en) |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for plants cultivation kit | |
KR102556977B1 (en)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KR102594727B1 (en)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CN209268279U (en) | Vertical hydroponic system | |
KR102621738B1 (en)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CN222017431U (en) | Fruit and vegetable cultivation equipment | |
KR102589627B1 (en)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JP2023102096A (en) | Hydroponic device | |
KR102554767B1 (en) |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 |
CN214316450U (en) | Vegetable seed breeding device that sprouts | |
KR960006065Y1 (en) | Receptacles for plants | |
CN212753655U (en) | Seed parent breeding isolating device convenient to ventilate | |
KR200375956Y1 (en) | A water feeding apparatus for a flowerpot | |
KR20240086992A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JP2607602B2 (en) | Hydroponics equipment |